KR102385600B1 -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600B1
KR102385600B1 KR1020200060772A KR20200060772A KR102385600B1 KR 102385600 B1 KR102385600 B1 KR 102385600B1 KR 1020200060772 A KR1020200060772 A KR 1020200060772A KR 20200060772 A KR20200060772 A KR 20200060772A KR 102385600 B1 KR102385600 B1 KR 10238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area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042A (ko
Inventor
고경철
이사무엘
송운영
Original Assignee
(주)고백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백기술 filed Critical (주)고백기술
Priority to KR102020006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6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 및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포함하여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Safety Self Controlling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Guard And Response Notification Based On Intelligent Spati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 및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포함하여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 수단의 발달에 따라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의한 운송 수단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에 대한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신호 위반을 단속하는 시스템으로서 레이저 또는 루프기반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대한 속도 위반 확인 및 관련 영상을 수집하는 방법이 있고, 참고문헌 1에는 교통 위반 단속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경찰청에서만 단속을 제한적으로 하게 되고, 소수 업체가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제한된 업체의 납품에 따른 설치가격, 유지 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는 시스템으로서 PTZ와 검지카메라의 연동으로 불법주정차에 대한 단속을 진행하는 방법이 있고, 참고문헌 2에는 PTZ 카메라에 의한 차량 그림자 영역 탐지를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구청이나 시청에서 제한적으로 단속하고 있고, 자동화된 단속기능(거리, 인식율 등)이 매우 떨어지고, 설치 가격(h/w, s/w)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 높다는 단점이 있다.
유고검지 시스템으로서 검지카메라와 PTZ의 조합으로 터널 및 교차로 시스템에서 활용하는 방법이 있고, 참고문헌 3에는 도로 감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자동화된 시스템의 성능 검증 필요하고, 설치 가격(h/w, s/w)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 높다는 단점이 있다.
사이니지 시스템으로서 참고문헌 4에는 차량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제한된 정보의 표출 및 사이니지 시스템들간의 동기화 지원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 개시된 참고문헌에는 신호 위반 단속, 불법 주정차 단속, 유고검지, 사이니지 시스템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61294호 참고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7256호 참고문헌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8496호 참고문헌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740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안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들의 기능 및 성능을 최대화하고, 시스템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분석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니지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변의 관찰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 표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특정 구간, 구역,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안전 관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 및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포함하는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한다.
상기 현장 관리부는 관제하고자 하는 범위를 영역, 구역 및 구간으로 나누어 영역 관제, 구역 관제 및 구간 관제를 실시하며, 또한, 상기 현장 관리부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주정차 인식 시스템, 유고 검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구간의 입구 및 출구, 상기 구역의 주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하는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은 지정된 구역 내에 PTZ 회전형 카메라를 설치하여 정지된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 내에 차량 또는 사람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유고 사항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간 내의 속도 위반 정보 데이터,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역 내의 주정차 정보 데이터,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에 의한 유고 정보 데이터가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에 전송되고,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알림 관리부로 전송한다.
상기 안전 관리부는 공간 정보를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따라 보통, 주의, 경고로 구분하여 공간을 관리하며, 상기 보통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며, 상기 영역 및 구역에서의 위험 요소가 없는 상태이며, 상기 주의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나,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며, 상기 경고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비정상적이며, 또한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다.
상기 알림 관리부는 알림을 사이니지(SIGNAGE), 메세지(MESSAGE), 콜(CALL)로 구분하며, 상기 사이니지는 도로 및 보도 상에 설치되며, 또한 속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얻어진 차량 속도 및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과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표출하는 표출 장비이며, 상기 안전 관리부에서 얻어진 지능화된 공간 정보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안전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사이니지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제1 사이니지 및 횡단 보도의 안전성 여부를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제2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며, 상기 메세지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에게 상기 지능화된 공간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송신은 안전 상황 및 활용 목적에 따라 메일, 문자 및 알람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콜은 안전과 관련된 위험 상황이 있는 경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관리자,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의 순서로 업무전화를 자동으로 걸어 위험 상황을 직접 자동음성으로 전달한다.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상기 사이니지 시스템,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동기화 및 수집된 정보의 분석, 지능화를 통한 시나리오 기반 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지킴 관리부는 지킴을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한 지킴, 현장 지킴이에 의한 지킴 및 출동 담당자에 의한 지킴으로 구분하며, 상기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한 지킴은, 상기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서 주의 또는 경고가 발생할 때 상기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상기 주의 또는 경고의 신호가 전달되며, 상기 주의 또는 경고의 신호에 따라 알림을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에게 전달하며, 상기 현장 지킴이에 의한 지킴은, 현장 지킴이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 내 또는 근방에 상주하며, 상기 관리자로부터 받은 지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관리자 또는 출동 담당자를 직접 호출하여 업무를 진행하며, 상기 출동 담당자에 의한 지킴은, 출동 담당자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의 별도의 공간에 상주하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는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의 순서로 업무를 전달하며, 또한 상기 현장 지킴이가 상기 관리자로부터 업무를 전달 받지 못하거나 안전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자동으로 상기 출동 담당자에게 메세지를 전송하여 상기 출동 담당자가 상기 지킴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대응 관리부는 대응을 호출, 파견 및 출동으로 구분하며, 상기 호출은 현장 지킴이가 상기 영역, 구역 또는 구간에서 발생한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상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원격으로 메세지를 송신하여 대응을 유도하고, 상기 파견은 상기 관리자가 상기 현장 지킴이에게 알림을 통하여 상기 영역 및 구역에 파견하여 대응하고, 상기 출동은 상기 출동 담당자가 상기 콜을 통하여 경찰 또는 견인차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영역, 구역 또는 구간에 대하여 스쿨존에 적용되어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한다.
본 발명은 관리자, 현장 지킴이, 출동 담당자는 상호 순차적인 피드백을 통해 알림과 지킴, 대응에 대한 내용을 주고 받는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처음 알림을 받고 대응에 대한 피드백을 자율관제 플랫폼에 하지 않을 경우에 시스템은 자동으로 다음 순서인 현장 지킴이에게 전달하며, 현장 지킴이도 관련 내용에 대한 대응 피드백을 전달하지 않은 경우에 출동 담당자에게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되며, 피드백으로 운영되는 구조이며, 주의 및 경고(위험)과 관련된 안전정보는 바로 처리되어 출동에 따른 대응(경찰) 또는 출동에 따른 견인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 및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동기화하여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주변 안전 지킴이, 또는 외부 대응 알림이를 통해 현장의 문제점을 직접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 상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시스템을 도식화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능화된 공간정보, 안전지킴, 대응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 대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능화된 공간 정보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현장 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 알림이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안전 지킴이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안전 대응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안전 알림이 및 안전 지킴이와 연동된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도로 상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시스템을 도식화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주정차 인식 시스템, 유고 검지 시스템, 사이니지가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과 연계되어 동기화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능화된 공간정보, 안전지킴, 대응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 및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포함한다. 여기서,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는 각각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에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의 용어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하부 시스템의 의미로서, 현장 관리 서브시스템, 안전 관리 서브시스템, 알림 관리 서브시스템, 지킴 관리 서브시스템, 대응 관리 서브시스템의 용어를 사용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 대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개요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장 안전 시스템의 데이터는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에 연동되어, 알림 관리부의 안전 지킴이, 지킴 관리부의 안전 지킴이, 대응 관리부의 안전 대응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장 관리부는 관제하고자 하는 범위를 영역, 구역 및 구간으로 나누어 영역 관제, 구역 관제 및 구간 관제를 실시할 수 있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일반 형태의 지능화된 공간 정보를 나타내는 개요도를 나타내고, 도 5 (B)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지능화된 공간 정보를 나타내는 개요도를 나타낸다.
또한, 현장 관리부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주정차 인식 시스템, 유고 검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구간의 입구 및 출구, 상기 구역의 주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하는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은 지정된 구역 내에 PTZ 회전형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정차된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 내에 차량 또는 사람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유고 사항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간 내의 속도 위반 정보 데이터,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역 내의 주정차 정보 데이터,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에 의한 유고 정보 데이터가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에 전송되고,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안전 알림이, 안전 지킴이에게 전달되어 안전 대응 서비스가 행해지고, 상기 서비스의 결과를 안전 지킴이, 안전 알림이를 통하여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현장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다. 현장 안전 시스템은 현장 관리부 및 안전 관리부가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과 연동되어 동작하고, 통합 관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나타내는 개요도를 나타낸다. 즉, 현장 정보 관리, 안전 정보 관리, 알림 정보 관리, 지킴 정보 관리, 대응 정보 관리와 연계되는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현장 안전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기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과 사이니지 시스템은 상호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은 진출입하는 차량들에 대한 정보(차량전면, 번호판, 차량후면 등)를 수집하며, 근접한 사이니지 시스템은 진출입하는 차량에 대한 속도를 감지하고, 동기화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된 차량 번호 및 관련 정보를 사이니지 화면을 통해 액티브하게 표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과 사이니지 시스템이 상호 동기화되고 연계되어 동작하도록 관제를 하며, 초기 생성된 진입 시간, 진입 속도, 진입 관련 정보들을 이용하여 차량이 구간에 기반한 중간구역을 통과하는 경우, 차량 진입시에 생성된 값들과 중간 구역을 통과하는 값들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과속여부 및 안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진출 시에도 과속 여부 및 단속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사이니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정차 인식 시스템은 PTZ 회전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주정차 관제 등의 서비스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이 특정 구역 및 영역에 정차할 경우에, PTZ 회전형 카메라는 차량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단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번호, 위치, 정차 시간 등을 수집하여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과 동기화되고 연계되어 사이니지 시스템을 통하여 메시지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인접한 사이니지 시스템을 통하여 주정차 초과에 대한 메시지 송출 및 주차된 영역에 대한 안전관리 데이터를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관심 지역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 및 유고 또는 특정 상황에 대한 인지 및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은 횡단보도 및 주요 관심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 및 유고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서버에 기반한 현장 안전 시스템의 데이터 통합 분석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현장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사이니지 시스템, 주정차 인식 시스템, 유고 검지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동기화 및 수집된 정보의 분석, 지능화를 통한 시나리오 기반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장의 시스템들과 실시간, 주기적 통신을 통한 상태 정보 및 수집 정보의 확인 및 이를 바탕으로 지능화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집/분석/지능화/서비스의 레벨별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센터의 통합 관제 시스템과 주기적 통신 및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지능화된 공간 정보의 관리 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센터의 통합 관제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문제 확인 및 솔루션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센터의 통합 관제 시스템과의 신호 전송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스스로 사전에 정의된 시나리오에 기반한 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며 자율 관제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역 또는 구간에 경고의 공간 정보가 생성된 때, 인접된 안전 지킴이를 호출하고, 대응 알림이를 통해 인접된 담당자, 경찰차, 견인차 등을 요청하여 문제 해결을 스스로 진행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센터의 통합 관제 시스템은,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과 주기적으로 동기화되어 지능화된 공간 정보의 관리 등에 대한 관제 정보를 수집하여 특정 조건과 환경에서 가장 최적화된 자율관제를 위한 시나리오 수정 및 현장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현장의 안전 자율관제 시스템으로부터 현장의 안전 정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경고의 공간 정보 발생 등), 담당자 및 견인, 경찰 등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즉각적인 대응 조치를 1차적으로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장의 시스템들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동작할 수 있도록 주기적 현장시스템 모니터링 및 관제의 기능을 수행하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해결책을 연계된 기관 및 서비스로부터 지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관리부는 공간 정보를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따라 보통, 주의, 경고로 구분하여 공간을 관리하며, 상기 보통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며, 상기 영역 및 구역에서의 위험 요소가 없는 상태이며, 상기 주의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나,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며, 상기 경고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비정상적이며, 또한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지능화된 공간 정보는 공간과 시간별 주요 도로 구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수 및 속도정보, 공간과 시간별 주요 감시 영역에 주차된 차량 및 오토바이의 수량정보, 공간과 시간별 주요 감시 영역을 통행하는 행인들의 군중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의하여 지능화된 안전 공간 정보의 지속적 생성과 운영이 가능해 진다. 지능화된 공간 정보의 관리 구간은 전체 관제 지역 (예를 들어, 스쿨존)이며, 상기 주요 도로 구역은 구간 내의 지정 구역(예를 들어, 임의 도로지역)이며, 상기 주요 감시 영역은 구역 내의 지정 영역(예를 들어, 횡단 보도)이다.
본 발명의 보통, 주의, 경고로 구분된 공간 정보는 색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은 보통을 나타낸고, 황색은 주의를 나타낸고, 레드는 경고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구역별, 영역별 개별 관리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청색(보통-안전)은 전체 구간별 위험요소들이 매우 적고, 황색(주의-위험)은 전체 구간별(구역별) 위험요소들이 많이 있고, 레드(경고-심각)는 전체 구간별(구역별, 영역별) 위험요소들이 매우 심각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림 관리부는 알림을 사이니지(SIGNAGE), 메세지(MESSAGE), 콜(CALL)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니지(SIGNAGE)는 도로 및 보도 상에 설치되며, 또한 속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얻어진 차량 속도 및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과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표출하는 표출 장비이며, 상기 안전 관리부에서 얻어진 지능화된 공간 정보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안전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사이니지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도로 상에 설치된 제1 사이니지 및 횡단 보도의 안전성 여부를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보다 상에 설치된 제2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니지 시스템은 STATIC SIGNAGE(소형) 및 DYNAMIC SIGNAGE(중형)로 운영될 수 있다. STATIC SIGNAGE(소형)는 작은 규모의 정보표출, BLE 동작, 현재 구역의 안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DYNAMIC SIGNAGE(중형)는 설치되는 곳에 따라서 용도의 변경 가능하며, 주요 구간의 통행하는 차량 및 오토바이의 속도를 표출하기 위한 용도(운전자 중심 정보표출)나 주요 영역의 주정차 및 행인들을 중심으로 정보 표출(행인중심 정보표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이니지 시스템은 차량의 과속 여부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도로 상에 설치된 제1 사이니지, 횡단 보도의 안전성 여부를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보다 상에 설치된 제2 사이니지, 주정차 차량의 가능 여부 및 경고 신호를 표출하는 제3 사이니지, 특정 도로 상황에 대한 차량 및 보행자에게 메시지 전달하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제4 사이니지, 연속된 구간, 구역, 영역의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표출하기 위한 블루투스 기반의 소형 사이니지인 제5 사이니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세지(MESSAGE)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에게 상기 지능화된 공간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송신은 안전 상황 및 활용 목적에 따라 메일, 문자 및 알람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콜(CALL)은 안전과 관련된 위험 상황이 있는 경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가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의 순서로 업무를 전화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사이니지 시스템, 주정차 인식 시스템, 유고 검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동기화 및 수집된 정보의 분석, 지능화를 통한 시나리오 기반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 알림이를 나타내는 개요도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전 알림이는 현장 영역 단위 알림, 현장 구역 단위 알림, 현장 구간 단위 알림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알림은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과 연계되어 동기화 될 수 있다.
안전 알림이는 현장 구간 단위의 알림, 현장 구역 단위의 알림, 현장 영역 단위의 알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현장 구간 단위의 알림은 상기 구간을 관제하고, 콜을 통하여 알림을 행하거나 강제 표출을 행하고, 상기 현장 구역 단위의 알림은 상기 구역을 관제하고 메세지를 통하여 알림을 행하거나 직접 표출을 행하고, 상기 현장 영역 단위의 알림은 상기 영역을 관제하고 사이니지를 통하여 알림을 행하거나 간접 표출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은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과 연계되어 동기화 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안전 지킴이를 나타내는 개요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킴 관리부는 지킴을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한 지킴, 현장 지킴이에 의한 지킴 및 출동 담당자에 의한 지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안전 지킴이는 현장을 담당하는 현장 지킴이, 원격을 담당하는 관리자, 전문 담당인 출동 담당자가 연계되어 이루어지며, 안전 지킴이는 안전 알림이와 연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에서 의무적(공익요원, 경찰 등) 또는 스스로 지원에 의해서(시민, 노인 등) 구성된 안전 지킴이들이 스마트폰의 앱 서비스를 통해 주요 구간내의 안전을 지키는 역할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앱 서비스는, 현재 분석된 현장 시스템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간, 구역, 영역 내의 관리 정보를 안내하고, 황색(주의) 및 레드(경고)로 지정될 경우에 지점으로 이동하여 안전 관리 업무(앱을 통해, 관리공무원에게 연락 또는 견인차 호출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한 지킴은, 상기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서 주의 또는 경고가 발생할 때 상기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상기 주의 또는 경고의 신호가 전달되며, 상기 주의 또는 경고의 신호에 따라 알림을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지킴이에 의한 지킴은, 현장 지킴이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 내 또는 근방에 상주하며, 상기 관리자로부터 받은 지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관리자 또는 출동 담당자를 직접 호출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출동 담당자에 의한 지킴은, 출동 담당자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의 별도의 공간에 상주하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가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의 순서로 업무를 전달하며, 또한 상기 현장 지킴이가 상기 관리자로부터 업무를 전달 받지 못하거나 안전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자동으로 상기 출동 담당자에게 메세지를 전송하여 상기 출동 담당자가 상기 지킴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응 관리부는 대응을 호출, 파견 및 출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안전 대응 서비스를 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안전 대응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요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출 서비스, 지킴 서비스, 출동 서비스로 이루어진 안전 대응 서비스는 원격 관제, 현장 관제, 지킴 관제가 가능해 진다.
상기 호출은 현장 지킴이가 상기 영역, 구역 또는 구간에서 발생한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상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원격으로 메세지를 송신하여 대응을 유도하고, 상기 파견은 상기 관리자가 상기 현장 지킴이에게 알림을 통하여 상기 영역 및 구역에 파견하여 대응하고, 상기 출동은 상기 출동 담당자가 상기 콜을 통하여 경찰 또는 견인차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안전 대응 서비스는 강제 관제에 의한 출동 서비스, 현장 관제에 의한 지킴 서비스, 원격 관제에 의한 호출 서비스로 이루어져 안전 지킴이와 연계되어 동기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 내의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되는 시스템들(신호위반, 주차위반, 일반 방범 등)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들로부터 구간, 구역, 영역내의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여, 황색(주의) 또는 레드(경고) 로 판단될 경우에 해당되는 이벤트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1차 모듈로 내부 안전 지킴이 들에게 문자 메시지 전송 및 대응 전략 전송하고, 2차 모듈로 센터 안전 관리 통합 시스템에 자동 알람을 송출하여 대응 시나리오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안전 관리 통합 시스템은 현장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대응 시나리오를 가동할 수 있다. 즉, 황색의 경우이며 특정 구역에 불법주정차가 있을 경우, 담당자에게 확인 문자 발송, 견인업체에 문자 전송 등의 자동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영역에 방치된 물건이 있을 경우, 담당자에게 확인 문자 발송, 현장 안전 지킴이 출동 및 해결 요청 등의 시나리오 기반 자동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차 모듈로 안전 관리 통합 시스템으로부터 진행 및 해결되는 내용에 대한 응답이 없을 경우, 자체 시나리오 및 대응 전략에 따라 업무 수행(직접 견인업체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인근 경찰서 담당자 문자 전송 및 대응 요청 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요도를 나타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안전 알림이 및 안전 지킴이와 연동된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스마트 시티의 다양한 사업분야(교통, 안전, 생활, 환경, 에너지 등)에서 폭 넓게 활용 가능하다. 특히, 지능화된 공간정보의 생성과 이를 기반으로하는 특정 목적의 자율적 관제 기능은 매우 중요한 사업 분야로 예측 되고, 스쿨존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 및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현장 관리부는 관제하고자 하는 범위를 영역, 구역 및 구간으로 나누어 영역 관제, 구역 관제 및 구간 관제를 실시하며, 여기서, 상기 구간 내에 상기 구역이 포함되고, 상기 구역 내에 상기 영역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현장 관리부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주정차 인식 시스템, 유고 검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구간의 입구 및 출구, 상기 구역의 주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하는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은 지정된 구역 내에 PTZ 회전형 카메라를 설치하여 정지된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 내에 차량 또는 사람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유고 사항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간 내의 속도 위반 정보 데이터,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역 내의 주정차 정보 데이터,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에 의한 유고 정보 데이터가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에 전송되고,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알림 관리부로 전송하며,
    상기 안전 관리부는 공간 정보를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따라 보통, 주의, 경고로 구분하여 공간을 관리하며,
    상기 보통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며, 상기 영역 및 구역에서의 위험 요소가 없는 상태이며,
    상기 주의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나,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며,
    상기 경고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비정상적이며, 또한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며,
    상기 알림 관리부는 알림을 사이니지(SIGNAGE), 메세지(MESSAGE), 콜(CALL)로 구분하며,
    상기 사이니지는 도로 및 보도 상에 설치되며, 또한 속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얻어진 차량 속도 및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과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표출하는 표출 장비이며, 상기 안전 관리부에서 얻어진 지능화된 공간 정보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안전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사이니지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제1 사이니지 및 횡단 보도의 안전성 여부를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출하는 제2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며,
    상기 메세지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에게 상기 지능화된 공간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송신은 안전 상황 및 활용 목적에 따라 메일, 문자 및 알람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콜은 안전과 관련된 위험 상황이 있는 경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이 자동으로 관리자,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의 순서로 업무를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자동 음성으로 전달하고,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상기 사이니지 시스템,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동기화 및 수집된 정보의 분석, 지능화를 통한 시나리오 기반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5. 현장 관리부; 안전 관리부; 알림 관리부; 지킴 관리부; 대응 관리부; 및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현장 관리부는 관제하고자 하는 범위를 영역, 구역 및 구간으로 나누어 영역 관제, 구역 관제 및 구간 관제를 실시하며, 여기서, 상기 구간 내에 상기 구역이 포함되고, 상기 구역 내에 상기 영역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현장 관리부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주정차 인식 시스템, 유고 검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구간의 입구 및 출구, 상기 구역의 주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하는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은 지정된 구역 내에 PTZ 회전형 카메라를 설치하여 정지된 차량 및 오토바이의 객체에 대한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 내에 차량 또는 사람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유고 사항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간 내의 속도 위반 정보 데이터, 상기 주정차 인식 시스템에 의한 특정 구역 내의 주정차 정보 데이터, 상기 유고 검지 시스템에 의한 유고 정보 데이터가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에 전송되고,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알림 관리부로 전송하며,
    상기 안전 관리부는 공간 정보를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따라 보통, 주의, 경고로 구분하여 공간을 관리하며,
    상기 보통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며, 상기 영역 및 구역에서의 위험 요소가 없는 상태이며,
    상기 주의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정상적이나,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며,
    상기 경고의 공간 정보는 교통의 흐름이 비정상적이며, 또한 상기 영역 및 구역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며,
    상기 지킴 관리부는 지킴을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한 지킴, 현장 지킴이에 의한 지킴 및 출동 담당자에 의한 지킴으로 구분하며,
    상기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한 지킴은, 상기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서 주의 또는 경고가 발생할 때 상기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상기 주의 또는 경고의 신호가 전달되며, 상기 주의 또는 경고의 신호에 따라 알림을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에게 전달하며,
    상기 현장 지킴이에 의한 지킴은, 현장 지킴이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 내 또는 근방에 상주하며, 상기 관리자로부터 받은 지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관리자 또는 출동 담당자를 직접 호출하여 업무를 진행하며,
    상기 출동 담당자에 의한 지킴은, 출동 담당자가 상기 영역, 구역 및 구간의 별도의 공간에 상주하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은 자동으로 관리자, 현장 지킴이 및 출동 담당자의 순서로 업무를 전달하며, 또한 상기 현장 지킴이가 상기 관리자 또는 자동으로 업무를 전달 받지 못하거나 안전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안전 자율 관제 플랫폼은 자동으로 상기 출동 담당자에게 메세지를 전송하여 상기 출동 담당자가 상기 지킴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리부는 대응을 호출, 파견 및 출동으로 구분하며,
    상기 호출은 현장 지킴이가 상기 영역, 구역 또는 구간에서 발생한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상기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원격으로 메세지를 송신하여 대응을 유도하고,
    상기 파견은 상기 관리자가 상기 현장 지킴이에게 알림을 통하여 상기 영역 및 구역에 파견하여 대응하고,
    상기 출동은 상기 출동 담당자가 상기 콜을 통하여 경찰 또는 견인차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7.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영역, 구역 또는 구간은 스쿨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KR1020200060772A 2020-05-21 2020-05-21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KR10238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72A KR102385600B1 (ko) 2020-05-21 2020-05-21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72A KR102385600B1 (ko) 2020-05-21 2020-05-21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42A KR20210144042A (ko) 2021-11-30
KR102385600B1 true KR102385600B1 (ko) 2022-04-13

Family

ID=7872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72A KR102385600B1 (ko) 2020-05-21 2020-05-21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6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25B1 (ko) 2007-11-26 2008-04-25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과속 단속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및 방법
KR101241623B1 (ko) 2012-07-06 2013-03-18 박상현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KR101872825B1 (ko) * 2018-01-12 2018-08-02 주식회사 토페스 지능형 교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988B1 (ko) 1999-03-25 2003-03-29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교통위반 단속 시스템
KR20060116759A (ko) * 2006-06-08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87438A (ko) * 2009-01-28 2010-08-0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쿨존 안전관리시스템
KR20110094393A (ko) * 2010-02-16 2011-08-24 (주)모노시스 불법차량 자동단속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8496B1 (ko) 2013-07-18 2013-12-10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도로 감시 방법
KR101327256B1 (ko) 2013-09-11 2013-11-08 (주)나인정보시스템 Ptz 카메라에 의한 차량 그림자 영역 탐지를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74037B1 (ko) 2017-09-08 2020-02-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25B1 (ko) 2007-11-26 2008-04-25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과속 단속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및 방법
KR101241623B1 (ko) 2012-07-06 2013-03-18 박상현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KR101872825B1 (ko) * 2018-01-12 2018-08-02 주식회사 토페스 지능형 교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42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1131B2 (en) Wrong way vehicl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EP2219166B1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CN109191911A (zh) 一种隧道路况预警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24986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주차관리 통합관제장치
KR101624983B1 (ko) 방범 및 화재 통합관제장치
KR101624991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2138493B1 (ko)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CN107578645A (zh) 一种高速公路预警响应系统及其运行方法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Gade ICT based smart traffic management system “iSMART” for smart cities
KR101223094B1 (ko)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CN114639231A (zh) 公路交通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00000306A (ko) 스쿨존 종합 교통 관리 시스템
TW201523535A (zh) 行動控制單元,設施管理系統,行動單元控制系統,設施管理方法及行動單元控制方法
RU2585991C2 (ru) Система сопровождения и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объектов
KR102385600B1 (ko)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JP2016162150A (ja) 車両の強制停止装置
KR20180061910A (ko) 주정차 무인 관제 시스템
CN103700256A (zh) 一种用于卡口管理的方法和系统
CN205845305U (zh) 一种基于多数据源的高速公路安全保障系统
KR102039404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0604A (ko) 택시 비상사태 알림 시스템
KR102588414B1 (ko) 자율 주행차가 혼재된 도로에서 돌발상황 및 재난 발생 시 현장제어를 위한 도로교통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earce et al. Implementing ATVAM, the world's largest ITS program, across Saudi Arab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