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496B1 - 도로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496B1
KR101338496B1 KR1020130084805A KR20130084805A KR101338496B1 KR 101338496 B1 KR101338496 B1 KR 101338496B1 KR 1020130084805 A KR1020130084805 A KR 1020130084805A KR 20130084805 A KR20130084805 A KR 20130084805A KR 101338496 B1 KR101338496 B1 KR 10133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ontrol server
coordinates
radar detector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기
이진각
오창권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8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감시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로에 낙하물이 존재하거나 차량 정차 또는 교통사고 발생과 같은 유고상황 발생시 그 유고상황을 1차적으로 레이더 검지기를 통해 검지하는 한편,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는 유고상황 위치를 GPS모듈과의 연계를 통해 추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도로 위에서의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현장 출동의 후속 조치를 통해 도로에서의 2차 사고 피해를 신속하게 예방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감시 방법{Load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도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더 검지와 GPS좌표를 이용하여 도로에서의 차량 정차나 교통사고 또는 낙하물 등과 같은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정밀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 설치된 CCTV와 같은 카메라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감시영역내의 교통상황을 파악하고, 정차, 사고, 낙하물 등과 같은 유고상황 발생시 관리자에게 유고상황 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관리자는 유고상황 정보가 송출된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추적한 후 그 추적된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확대 촬영함으로써 유고상황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여 도로에서의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영상을 통해 물체의 위치를 자동 추적하는 기술은 수집 영상의 분석을 통해 영상픽셀의 색상, 윤곽 등 대상 객체의 픽셀을 감지하고, 이와 같은 객체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해당 영상영역을 추적하거나 확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이는 기본적으로 영상검지에 사용되는 기본영상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객체 영역을 확대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시스템은 유고상황 정보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유고상황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해당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동조작을 하더라도 기본 감시영상에서 표출하는 이미지의 단순 확대 축소만 이루어지는 바, 이는 원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정밀 촬영을 기대할 수는 없었다.
즉, 고속도로와 같이 주행속도가 높은 도로에서는 유고상황 발생시 신속한 유고상황의 인지와 대응 방안에 관한 의사결정(예; 현장 출동)을 지원하여 2차 사고의 피해를 줄일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영상시스템은 도로에서 유고상황이 발생할 때 그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 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확대 촬영 또한 불가능하게 되고, 이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위치 및 상황 정보의 실시간 안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2차 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에 낙하물이 존재하거나 차량 정차 또는 교통사고 발생과 같은 유고상황 발생시 그 유고상황을 1차적으로 레이더 검지기를 통해 검지하는 한편,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는 유고상황 위치를 GPS모듈과의 연계를 통해 추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로 위에서의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현장 출동의 후속 조치를 통해 도로에서의 2차 사고 피해를 신속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도로 감시방법은, 도로에 측량기준점을 설정하고, 상기 측량기준점을 중심으로 레이더 검지기의 검지영역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설정되는 레이더 검지기의 검지영역을 GPS좌표와 맵매칭하여 검지영역의 기준좌표를 측량하고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이후, 도로에서 유고상황이 실제 발생하고 이를 레이더 검지기가 검지하여 관제서버에 전송시, 상기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측량하여 저장시킨 기준좌표에 매칭시켜, 상기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산출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를 현장 출동의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관리자에게 전송 처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는, 도로에 측량기준점을 설정시, 상기 측량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감시장치를 통해 PTZ(Pan, Tilt, Zoom)를 사용하지 않은 기본 영상을 촬영한 후 이러한 기본 영상을 GPS와 맵매칭하여 기준좌표를 측량하고 저장하는 영상좌표설정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가 산출시, 상기 관제서버에서 유고상황 발생 지점의 좌표와 상기 영상좌표설정단계에서 저장한 기준좌표를 비교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인접하는 영상감시장치들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감시장치의 PTZ(Pan, Tilt, Zoom)를 선택적으로 자동 제어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영상을 정밀 확대한 후 이를 관제서버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에는, 상기 단계로부터 전송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정밀 확대 영상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밀 확대 영상을 관리자에게 전송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장치는 확대 추적 촬영을 위해 PTZ(Pan, Tilt, Zoom)의 제어 기능을 가지는 모터들과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이며, 상기 영상감시장치는 도로에 마련되는 설치대의 상단에서 배치 구성된 상태에서 관제서버가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대에는 상기 영상감시장치의 영상 촬영 영역내에 GPS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이나 장비의 좌표를 수신한 후 이를 관제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관제서버가 영상감시장치의 PTZ(Pan, Tilt, Zoom)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GPS수신기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에는 상기 영상감시장치의 PTZ에 대한 선택적인 PTZ값을 산출하는 PTZ 산출 알고리즘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에 낙하물이 존재하거나 차량 정차 또는 교통사고 발생과 같은 유고상황 발생시 그 유고상황을 1차적으로 레이더 검지기를 통해 검지하는 한편,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는 유고상황 위치를 GPS모듈과의 연계를 통해 추출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도로 위에서의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현장 출동의 후속 조치를 통해 도로에서의 2차 사고 피해를 신속하게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로감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로감시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로에서 GPS좌표를 측량하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레이더 검지기와 GPS좌표를 근거로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추적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레이더 검지기와 영상감시장치를 이용한 도로감시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영상감시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측정된 GPS좌표를 근거로 영상감시장치의 P(Pan), T(TILT), Z(Zoom)를 제어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확대 촬영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영상감시장치의 촬영 위치 자동 추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감시장치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도로에 마련되는 설치대(400)에 설치되는 레이더 검지기(100)와,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와 유,무선의 통신망으로 통신하는 관제서버(200),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200)와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상기 설치대(4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를 통해 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설치대(400)는 도로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설치된 GPS좌표는 관제서버(400)에 제공되며,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는 상기 설치대(400)에 설치되면서 도로에 정지된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도로에 측량기준점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측량기준점을 중심으로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검지영역을 설정하여 둔 것이며, 상기 검지영역에 대한 기준좌표는 상기 GPS수신기(300)를 통해 이루어지는 GPS좌표와 맵매칭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200)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설치대(400)에 GPS수신기(300)를 설치 구성하는데, 상기 GPS수신기(300)는 GPS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이나 장비의 GPS좌표를 수신한 후 이를 관제서버(200)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첨부된 도 1의 구성도를 구축한 본 발명의 도로감시장치에 대한 도로감시방법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단계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우선 도로에 측량기준점(P1,P2,P3,…,Pn)을 설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측량기준점(P1,P2,P3,…,Pn)은 레이더 검지기(100)의 검지영역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도로에 최소한 4개 이상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의 최초 검지영역인 설치대(400)를 중심으로 하여 도로를 따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의 검지영역들에 대한 기준좌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측량기준점(P1,P2,P3,…,Pn)을 중심으로 레이더 검지기(100)의 검지영역들을 GPS와 맵매칭하여, 상기 측량기준점(P1,P2,P3,…,Pn)들에 대응하는 검지영역들에 대한 각각의 기준좌표를 측량한 후 이를 관제서버(200)에 저장하여 두도록 한 것이며, 이는 도로에 실제 차량 정차나 교통사고 또는 낙하물과 같은 유고상황이 발생시, 상기 유고상황은 우선 레이더 검지기(100)를 통해 검지된 후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200)에 전송 처리됨으로써, 상기 제 3 및 제 4 단계가 실행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 3 단계는 레이더 검지기(100)의 검지영역들을 GPS와 맵매칭하여 기준좌표를 측량한 상태에서, 실제 도로에서 유고상황이 발생시, 이는 레이더 검지기(100)에 의해 검지된 후 관제서버(200)에 전송처리되며,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에 의해 검지되는 영역을 상기 제 1,2 단계로부터 저장하여 둔 기준좌표와 비교처리함으로써, 상기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치대(200)에는 GPS수신기(300)를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GPS수신기(300)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의 검지영역내에서 GPS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이나 장비의 GPS좌표를 수신한 후 이를 관제서버(200)에 전송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의 검지영역내에서 유고상황이 발생할 때 그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상기 GPS수신기(3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 4 단계로서,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산출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와,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의 설치 위치에 따른 좌표, 그리고 상기 GPS수신기(300)에 의해 수신되는 GPS좌표를 이용하여, 도로에서의 유고상황 발생지점 좌표를 도로 관리자에게 전송처리함으로써, 도로 관리자는 상기 관제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좌표를 중심으로 도로에서의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보다 손쉽게 찾아 나설 수 있게 되면서, 도로에서 유고상황으로 인한 2차 사고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로에서의 유고상황으로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는 요소가 검지될 경우, 그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GPS좌표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GPS좌표를 도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송 처리함으로써,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신속한 현장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더 검지기(100)를 통해 도로에서의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추적하도록 하였지만, 이는 관제서버(200)에서의 영상 모니터링은 이루어지지 않는 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서는 영상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설치대(400)에 영상감시장치(500)를 설치 구성한 후 이를 레이더검지기(100)와 연계시켜 도로를 감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우선 상기 제 1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측량기준점을 설정시, 상기 측량기준점을 중심으로 설치대(400)에 설치되는 영상감시장치(500)를 통해 PTZ(Pan, Tilt, Zoom)를 사용하지 않은 기본 영상을 촬영한 후 이러한 기본 영상을 GPS와 맵매칭하여 기준좌표를 측량하고 이를 관제서버(200)에 저장하는 영상좌표설정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에 의해 검지된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가 산출되었을 때, 상기 관제서버(200)에서 유고상황 발생 지점의 좌표와 상기 영상좌표설정단계에서 저장한 기준좌표를 비교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인접하는 영상감시장치(500)들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의 PTZ(Pan, Tilt, Zoom)를 선택적으로 자동 제어하면서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영상을 정밀 확대한 후 이를 관제서버(2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켜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단계에는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정밀 확대 영상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밀 확대 영상을 현장 출동의 도로 관리자에게 전송 처리함으로써, 도로 관리자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상황을 출동중인 상태에서 미리 파악하여 후속조치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영상감시장치(500)는 확대 추적 촬영을 위해 PTZ(Pan, Tilt, Zoom)의 제어 기능을 가지는 모터들과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로, 상기 영상감시장치(500)는 도로를 관리하는 원격지의 관제서버(200)와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관제서버(200)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관제서버(200)에는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의 PTZ에 대한 선택적인 PTZ값을 산출하는 PTZ 산출 알고리즘을 탑재 구성됨은 물론, 영상에 대한 픽셀좌표(X-Y축 위치좌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해주는 호모그래피 행렬(Homography Matrix)이 탑재 구성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원격지의 관제서버(200)는 상기 영상감시장치(500)를 통해 도로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원격지에는 상기 관제서버(200)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수단이 마련되어, 원격지의 관리자들이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로에 측량기준점(P1,P2,P3,…,Pn)을 설정하는 둔 상태에서, 상기 측량기준점(P1,P2,P3,…,Pn)은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의 촬영 영역 범위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도로에 최소한 4개 이상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의 초점을 상기 측량기준점(P1,P2,P3,…,Pn)들의 중간지점에 맞춰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측량기준점(P1,P2,P3,…,Pn)을 중심으로 영상감시장치(500)를 통해 1차적으로 기본 영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촬영된 기본 영상의 측량기준점(P1,P2,P3,…,Pn)들을 GPS와 맵매칭하여, 상기 측량기준점(P1,P2,P3,…,Pn)들에 대한 각각의 기준좌표를 측량하고, 다음으로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에 의해 촬영되는 기본 영상의 기준 픽셀좌표(X축,Y축)를 생성하여 둔다.
이때,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정보는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200)에 전송되는 바, 상기 관제서버(200)에서는 탑재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해 주는 호모그래피 행렬을 통해 상기 영상정보에서 X-Y축의 픽셀좌표를 생성하여 저장하게 되며, 이러한 기준좌표와 기준 픽셀좌표가 설정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도로에 실제 차량 정차나 교통사고 또는 낙하물과 같은 유고상황이 발생시, 상기 유고상황은 우선 레이더 검지기(100)에 의해 검지된 후 관제서버(200)에 통보된다.
그러면,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100)에 의해 검지된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위치에 근접하는 영상감시장치(500)를 제어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촬영하게 되고,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에 의해 촬영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영상정보는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다시 관제서버(200)에 전송 처리됨으로써,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정보에서 탑재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해 주는 호모그래피 행렬을 통해 측정 픽셀좌표(X축, Y축)를 추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관제서버(200)는 도로에서의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확대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PTZ값을 PTZ 산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한 후,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의 PTZ(Pan, Tilt, Zoom)를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선택적(도 7의 O점→B점→C점)으로 자동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영상감시장치(500)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유고상황 발생지점(도 7의 C점)의 영상을 정밀 확대한 후 이를 관제서버(200)에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관제서버(200)에 마련되는 표시수단을 통해 상기 영상감시장치(500)에서 촬영되어 정밀 확대된 영상은 물론 그 좌표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원격지의 도로 관리자가 별도로 수동적으로 영상감시장치(500)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밀 확대 영상과 좌표를 통해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원격지에서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주변에 위치하는 도로 관리자에게 현장 출동을 위한 지시를 좌표 지정을 통해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도로에서의 2차 사고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도로에서 유고상황이 발생할 때 그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레이더 검지기(100)를 통해 1차 검지한 상태에서 GPS좌표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GPS좌표에 따라 영상감시장치(500)의 PTZ를 제어함으로써,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신속한 모니터링은 물론, 신속한 현장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도로감시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레이더 검지기 200; 관제서버
300; GPS수신기 400; 설치대
500; 영상감시장치

Claims (7)

  1. 관제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도로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도로에 측량기준점이 설정될 때, 상기 측량기준점을 중심으로 설치대에 설치되는 영상감시장치를 통해 PTZ(Pan, Tilt, Zoom)를 사용하지 않은 기본 영상을 촬영한 후 이러한 기본 영상을 GPS와 맵매칭하여 기준좌표를 측량하여 저장하는 한편, 상기 측량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감시장치와 함께 GPS수신기와 레이더 검지기가 설치되는 설치대를 중심으로 하여 도로를 따라 상기 레이더 검지기의 검지영역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설정되는 레이더 검지기의 검지영역을 도로를 따라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는 GPS수신기의 GPS좌표와 맵매칭하여, 상기 측량기준점들에 대응하는 상기 레이더 검지기의 검지영역들에 대한 각각의 기준좌표를 측량하고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 2 단계 이후, 도로에서 유고상황이 실제 발생하고 이를 레이더 검지기가 검지하여 전송시, 상기 유고상황 발생지점을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측량하여 저장시킨 기준좌표에 매칭시켜 상기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를 산출한 후 이를 상기 제 1 단계에서 영상감시장치에 의해 저장한 기준좌표와 비교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인접하는 영상감시장치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상기 영상감시장치의 PTZ(Pan, Tilt, Zoom)를 선택적으로 자동 제어하여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영상을 정밀 확대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산출된 상기 레이더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유고상황 발생지점의 좌표와, 디스플레이되는 유고상황 발생지점에 대한 정밀 확대 영상을 현장 출동의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관리자에게 전송 처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감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는 영상감시장치는 상기 설치대의 상단에 배치 구성된 상태에서 관제서버에 의해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제어되는 것으로, 확대 추적 촬영을 위해 PTZ(Pan, Tilt, Zoom)의 제어 기능을 가지는 모터들과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감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는 GPS수신기는 상기 관제서버가 영상감시장치의 PTZ(Pan, Tilt, Zoom)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감시장치의 영상 촬영 영역내에서 GPS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이나 장비의 GPS좌표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감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에는 상기 영상감시장치의 PTZ에 대한 선택적인 PTZ값을 산출하는 PTZ 산출 알고리즘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감시 방법.
KR1020130084805A 2013-07-18 2013-07-18 도로 감시 방법 KR10133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05A KR101338496B1 (ko) 2013-07-18 2013-07-18 도로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05A KR101338496B1 (ko) 2013-07-18 2013-07-18 도로 감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496B1 true KR101338496B1 (ko) 2013-12-10

Family

ID=4998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805A KR101338496B1 (ko) 2013-07-18 2013-07-18 도로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4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360B1 (ko) 2015-10-29 2017-04-04 백선영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101806663B1 (ko) * 2016-02-11 2017-12-11 주식회사 로브아이 레이더 및 비디오 카메라 일체형 교통정보 측정시스템
KR20200059505A (ko) 2018-11-21 2020-05-29 (주)아와소프트 웹 gis 기반의 지능형 도로 위험도 관리 시스템
KR102188567B1 (ko) 2020-05-18 2020-12-10 (주) 안세기술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도로 감시 시스템
KR20210144042A (ko) 2020-05-21 2021-11-30 (주)고백기술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187A (ja) * 2006-03-03 2009-08-13 インリ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データソースからのデータを使用する道路交通状況の評価
KR101287190B1 (ko) * 2012-06-04 2013-07-17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영상감시장치의 촬영 위치 자동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187A (ja) * 2006-03-03 2009-08-13 インリ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データソースからのデータを使用する道路交通状況の評価
KR101287190B1 (ko) * 2012-06-04 2013-07-17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영상감시장치의 촬영 위치 자동 추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360B1 (ko) 2015-10-29 2017-04-04 백선영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101806663B1 (ko) * 2016-02-11 2017-12-11 주식회사 로브아이 레이더 및 비디오 카메라 일체형 교통정보 측정시스템
KR20200059505A (ko) 2018-11-21 2020-05-29 (주)아와소프트 웹 gis 기반의 지능형 도로 위험도 관리 시스템
KR102188567B1 (ko) 2020-05-18 2020-12-10 (주) 안세기술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도로 감시 시스템
KR20210144042A (ko) 2020-05-21 2021-11-30 (주)고백기술 지능화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안전 지킴과 대응 알림을 지원하는 안전 자율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90B1 (ko) 영상감시장치의 촬영 위치 자동 추적 방법
US10878584B2 (en) System for tracking object, and camera assembly therefor
KR101338496B1 (ko) 도로 감시 방법
KR101343975B1 (ko) 돌발검지 시스템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CN108447075B (zh) 一种无人机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KR100862398B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용 씨씨티브이 기능을 갖는 불법주정차 무인 자동 단속방법 및 그 시스템
CN105160600A (zh) 供电线路的铁塔结构巡检方法
WO2019065045A1 (ja) 物体捜索システム、物体捜索装置、及び物体捜索方法
CN115597659A (zh) 一种变电站智能安全管控方法
CN111046121A (zh) 环境监控方法、装置和系统
KR101697060B1 (ko) 이벤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563702B1 (ko) Gis 기반의 cctv 관제 시스템 및 그 화면 표시방법
KR20060083076A (ko) 건설공사 위험지역 및 건설구조물의 실시간 감시시스템
US11386669B2 (en) Building evacuation method and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20180113158A (ko) 위치 검출들을 그래픽 표시로 맵핑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1639068B1 (ko) 공간 정보 기반 감시카메라의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910887B1 (ko) 활주로 내의 이물질 위치 표시 방법
JP2014145629A (ja) 三次元表示可能な地中レーダシステム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CN111277791B (zh) 一种案事件监测方法及系统
KR101432512B1 (ko) 도로 상황 관제를 위한 가상영상 표시장치
CN111200722A (zh) 一种低空管制系统及信号管理方法
JP2005338941A (ja) 視程検出方法および視程検出装置
KR101670247B1 (ko) Cctv 실시간 영상의 원클릭 선택을 이용한 객체 확대 이동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