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521B1 -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 Google Patents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521B1
KR102385521B1 KR1020200023427A KR20200023427A KR102385521B1 KR 102385521 B1 KR102385521 B1 KR 102385521B1 KR 1020200023427 A KR1020200023427 A KR 1020200023427A KR 20200023427 A KR20200023427 A KR 20200023427A KR 102385521 B1 KR102385521 B1 KR 10238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cover
opening
frame member
sl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620A (ko
Inventor
이흥룡
Original Assignee
이흥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룡 filed Critical 이흥룡
Priority to KR102020002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5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하는 두 슬랫 중 상부 슬랫과 하부 슬랫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결로나 빗물, 눈 등의 결빙이 예상되는 물질이 외부로 자유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이음부의 틈새로 스며드는 것을 원천 차단하여 사계절 내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를 밀폐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고, 최상단 슬랫과 최하단 슬랫을 제외한 나머지 슬랫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는 두 슬랫 중 상부 슬랫의 하단부와 하부 슬랫의 상단부가 요철 결합됨과 아울러 최상단 슬랫의 상부와 최하단 슬랫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개폐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개폐부재의 상부 슬랫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 슬랫의 상단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FREEZING PREVENT TYPE SYSTEM LOUVER}
본 발명은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속하는 두 슬랫 중 상부 슬랫과 하부 슬랫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결로나 빗물, 눈 등의 결빙이 예상되는 물질이 외부로 자유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이음부의 틈새로 스며드는 것을 원천 차단하여 사계절 내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통풍이 요구되는 곳에 대한 시각적 노출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풍을 보장하면서도 햇빛을 차단하고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보통 기계실이나 주차장, 혹은 공장 벽체 등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의 미관이나 실외기의 청결 문제 등으로 인해 옥상 등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하거나, 건물 내에 실외기를 매입 설치하고 있다. 이때, 실외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냉방시에는 개방하여 열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실외기의 외측에 루버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루버를 시스템 루버라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시스템 루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루버를 상하로 절개한 후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통상적인 시스템 루버는 한 쌍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11a, 11b)이 조립 형성된 장방형의 프레임 부재(11)와, 수직 프레임(11a)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슬랫(12a, 12b)을 구비한 개폐부재(12)와, 수직 프레임(11a)에 구비되어 개폐부재(12)를 동시에 구동시켜 개폐하는 구동장치(13)와, 프레임 부재(1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12)의 최상단 슬랫(12c)과 최하단 슬랫(12d)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14)와, 수직 프레임(11a)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부재(12)의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 브래킷(15)과, 수직 프레임(11a)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정부재(14)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16)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시스템 루버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개폐부재(1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슬랫(12a, 12b)이 각각 구동장치(1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브래킷(15)과 연동하여 회전하여 고정부재(14)와 맞물리는 한편,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 슬랫의 각 단부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프레임 부재(11)가 밀폐되고, 복수 개의 슬랫(12a)이 회전하여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프레임 부재(11)가 개방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시스템 루버에서는 프레임 부재(11)를 밀폐할 때 서로 맞물리는 슬랫(12a, 12b)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되지 못해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개폐부재(12)의 반복적인 개폐동작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서로 맞물리는 슬랫(12a, 12b)의 단부가 충격에 의해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서로 맞물리는 슬랫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됨으로써 차양성과 단열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282호(등록일: 2014.08.28.)에서는 서로 맞물리는 슬랫들의 각 단부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각각 요철부가 형성된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가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282호에서는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된 슬랫들의 단부, 즉 서로 접면하는 단부의 접면부에 요철(凹凸)을 형성하여 프레임 부재를 폐쇄할 때 이들이 서로 암수 결합됨으로써 슬랫들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282호에서 제안된 요철방식의 기밀 방식은 개폐부재의 반복적인 개폐동작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됨에 따라 기밀성을 장기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슬랫들 사이의 틈새로 결로나 빗물, 눈 등이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겨울철에 결빙이 발생하여 시스템 루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에는 슬랫들 사이에 일반 가스킷을 끼워 슬랫들 간의 틈새를 덮는 구조로 상부 슬랫과 하부 슬랫 사이의 틈새를 막아 기밀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 슬랫으로부터 가스킷이 쉽게 분리되어 이탈하거나 수축되어 오히려 바람이 지나는 공간을 형성하여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74282 Y1 KR 10-2011-0084064 A KR 10-2011-0130161 A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쌍을 이루는 상부슬랫과 하부슬랫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덮개를 이용하여 외부의 결로나 빗물, 눈 등의 결빙이 예상되는 물질이 외부로 자유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이음부의 틈새로 스며드는 것을 원천 차단하여 사계절 내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결빙 방지용 시스템 루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덮개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재질을 변경하여 작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를 밀폐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고, 최상단 슬랫과 최하단 슬랫을 제외한 나머지 슬랫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는 두 슬랫 중 상부 슬랫의 하단부와 하부 슬랫의 상단부가 요철 결합됨과 아울러 최상단 슬랫의 상부와 최하단 슬랫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개폐부재의 상부 슬랫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 슬랫의 상단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판재로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슬랫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고무 또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부 슬랫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슬랫의 단부에서 곡면의 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슬랫의 상측을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부 슬랫의 끝단이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랫의 상부에 상기 덮개가 안착되도록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연질의 완충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개폐부재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는, 연속하는 두 슬랫 중 상부 슬랫에 구비된 덮개가 하부 슬랫의 일부를 덮어주게 되므로 결로나 빗물, 눈 등의 결빙이 예상되는 물질이 슬랫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지 않고 자유낙하하게 되어 슬랫 사이의 틈새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여 추운 겨울철에 결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사계절 내내 시스템 루버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에 따르면, 덮개가 하나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슬랫에 부착됨에 따라 노후시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에 따르면, 덮개가 고무 또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에 따라 개폐부재의 작동시 마찰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에 따르면, 덮개가 상부 슬랫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부 슬랫에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에 따라 덮개가 개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미감을 저해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에 따르면, 덮개에 연질의 완충재가 구비됨에 따라 개폐부재의 작동시 마찰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시스템 루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루버를 상하로 절개한 후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의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슬랫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일부 구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추가 또는 변형된 부분을 제외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를 상하로 절개한 후 일부를 확대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의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슬랫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는 기본적으로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a) 및 수평 프레임(11b)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 프레임 부재(11)와; 프레임 부재(1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프레임 부재(11)를 밀폐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4)와;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고정부재(14)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고, 최상단 슬랫(12c)과 최하단 슬랫(12d)을 제외한 나머지 슬랫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는 두 슬랫 중 상부 슬랫(12a)의 하단부와 하부 슬랫(12b)의 상단부가 요철 결합됨과 아울러 최상단 슬랫(12c)의 상부와 최하단 슬랫(12d)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재(14)에 결합 고정되는 개폐부재(12)와; 프레임 부재(11)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1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3)와, 프레임 부재(11)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부재(22)의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 브래킷(15)과, 프레임 부재(11)의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정부재(14)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부재(12)와 고정부재(14)를 제외하고,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 부재(11), 구동장치(13), 회전 브래킷(15) 및 고정 브래킷(16)의 구조 및 구동방식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구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빙방지용 시스템 루버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된 개폐부재의 상부 슬랫(12a)과 하부 슬랫(12b)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부 슬랫(12a)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 슬랫(12b)의 상단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2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결로나 빗물, 눈 등의 결빙이 예상되는 물질이 상부 슬랫(12a)과 하부 슬랫(12b)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지 않고 자유낙하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부 슬랫(12a)과 하부 슬랫(12b) 사이의 틈새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추운 겨울철에도 결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사계절 내내 시스템 루버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가 개폐부재(12)의 실내측이 아닌 실외측에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결로가 주로 발생하고 눈이나 비에 노출되는 부분이 상기 개폐부재(12)의 실외측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의 덮개(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로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슬랫(12a)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수단으로는 공지의 볼트와 너트가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 슬랫(12a)에 체결되는 나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20)가 노후화되는 경우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덮개(20)는 고무 또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폐부재(12)가 닫힐 때 상기 덮개(20)가 하부 슬랫(12b)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20)가 금속이 아닌 경우에는 고정수단으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슬랫(12a)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상부 슬랫(12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20)는 상부 슬랫(12a)의 단부에서 곡면의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슬랫(12b)의 상측을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덮개(20)를 별개로 제작하지 않고 상기 상부 슬랫(12a)과 일체로 제작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상부 슬랫(12a)에 맺히게 되는 물방울 등이 상기 덮개(20)에 의해 바닥으로 그대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슬랫(12a)의 끝단이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슬랫(12b)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20)가 안착되도록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안착부(12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슬랫(12a)이 연장되어 형성된 덮개(20)가 개폐부재(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미감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슬랫(12b)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부(12b')가 연결되는 부분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의 끝단 내측이 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슬랫(12a)의 외측면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덮개(20)를 거쳐 상기 하부 슬랫(12b)의 외표면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랫(12a)의 끝단이 연장되어 덮개(20)를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덮개(20)의 내측면에 연질의 완충재(25)가 부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폐부재(12)가 닫힐 때 상기 덮개(20)가 하부 슬랫(12b)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프레임 부재
11a : 수직 프레임
11b : 수평 프레임
12 : 개폐부재
12a : 상부 슬랫
12b : 하부 슬랫
12b' : 안착부
13 : 구동장치
14 : 고정부재
15 : 회전 브래킷
16 : 고정 브래킷
20 : 덮개
25 : 완충재

Claims (7)

  1. 한 쌍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를 밀폐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고, 최상단 슬랫과 최하단 슬랫을 제외한 나머지 슬랫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는 두 슬랫 중 상부 슬랫의 하단부와 하부 슬랫의 상단부가 요철 결합됨과 아울러 최상단 슬랫의 상부와 최하단 슬랫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개폐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개폐부재의 상부 슬랫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 슬랫의 상단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부 슬랫의 끝단이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부 슬랫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가 안착되도록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슬랫이 연장되어 형성된 덮개가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랫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끝단 내측이 상기 경사 형성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연질의 완충재가 부착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개폐부재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3427A 2020-02-26 2020-02-26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KR10238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27A KR102385521B1 (ko) 2020-02-26 2020-02-26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27A KR102385521B1 (ko) 2020-02-26 2020-02-26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620A KR20210108620A (ko) 2021-09-03
KR102385521B1 true KR102385521B1 (ko) 2022-04-11

Family

ID=7778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427A KR102385521B1 (ko) 2020-02-26 2020-02-26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5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42B1 (ko) * 2013-06-27 2013-12-05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보조벽체를 가지는 공조용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35B1 (ko) 2010-01-15 2011-11-04 안건형 시스템루버의 구조
KR101207409B1 (ko) 2010-05-27 2012-12-04 은산건업주식회사 시스템 루버
KR20140003210U (ko) * 2012-11-19 2014-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환기 장치
KR200474282Y1 (ko) 2013-09-13 2014-09-03 한용운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42B1 (ko) * 2013-06-27 2013-12-05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보조벽체를 가지는 공조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620A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2908B2 (ja) レール詰込み形スライディング窓戸装置
US4831779A (en) Self-draining panel threshold combination
EP1920120B1 (en) Double-skin and moveable- sunshade facade system
EA010558B1 (ru) Рама для двери, окна или иной аналогич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07420011B (zh) 一种风力自适应百叶窗
KR101489307B1 (ko) 단열 시스템 루버
US3421259A (en) Storm shutters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2385521B1 (ko) 결빙방지형 시스템 루버
JP413594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017573B1 (ko) 환기창용 루버
WO2020228439A1 (zh) 一种单摆式联动百叶窗、联动百叶天窗屋顶及百叶片
CN200989146Y (zh) 电动的单层n型玻璃叶片的百叶窗
KR100662657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EP2048318B1 (en) Assembly of a ventilation device and a rebate of a window
CN214329618U (zh) 一种可开启采光天窗系统
KR20230114049A (ko)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CN210659837U (zh) 一种多功能防雨百叶窗
KR102247552B1 (ko) 가스켓을 이용한 내풍압 단열 셔터
JP432580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CN214403333U (zh) 一种百叶天窗屋顶
KR20090113427A (ko) 미닫이 창문
CN206468224U (zh) 内置百叶的断桥门窗
CN206495615U (zh) 设有金刚网的断桥门窗
CN213330778U (zh) 一种新型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