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114B1 -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114B1
KR102385114B1 KR1020200153705A KR20200153705A KR102385114B1 KR 102385114 B1 KR102385114 B1 KR 102385114B1 KR 1020200153705 A KR1020200153705 A KR 1020200153705A KR 20200153705 A KR20200153705 A KR 20200153705A KR 102385114 B1 KR102385114 B1 KR 10238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transistor
channel
source electrode
drai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352A (ko
Inventor
성태연
윤광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7/777,6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406946A1/en
Priority to PCT/KR2020/016261 priority patent/WO2021101242A1/ko
Publication of KR2021006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45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multipl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 상기 제1 채널층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기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은 소스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MULTI-CHANNEL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BY THE SAME}
본 발명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이 게이트 전극에 의해 형성된 상하부에 다층 채널을 통해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는 절연성 지지 기판 위에 반도체 박막을 이용하여 만든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한 종류로,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제공하는 활성층과, 채널 영역 상에 위치하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활성층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게이트 전극에 지속적인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가 제공될 때 채널층과 게이트 절연층 간의 인터페이스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인터페이스 저하 현상에 의한 문턱 전압 이동은 소스/드레인 전류의 감소를 야기하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의 품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고화질화 추세에 따라 고성능의 소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 이동도 및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고성능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9681호, "이중 채널층을 가진 박막 트랜지스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5475호, "높은 온/오프 전류비를 가진 박막 트랜지스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이 게이트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의 채널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문턱 전압 이동을 감소시키고, 소자의 온-오프 비(on-off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이 소스 전극 연결부로 연결되고,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이 드레인 전극 연결부로 연결되어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하고,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으로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짐으로써,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출력을 한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면적에서 나타낼 수 있어, 주 전하(main carrier)인 전자가 흐르는 길인 채널층을 다층으로 포함하여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하고,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으로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짐으로써, 동작 전압 이동 감소 효과를 가진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적층하고, 수직으로 적층할 때,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사용하여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단일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채널층이 증가(3, 4, 5, ?? 개의 채널 층)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 상기 제1 채널층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기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은 소스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이 동시에 구동될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1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고, 상기 제2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2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에 매립될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1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은 n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적어도 둘 이상 적층되어 삼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삼차원 구조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으로 구동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기 기판,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 상기 제1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은 소스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이 동시에 구동될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1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고, 상기 제2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2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될수 있다.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적어도 둘 이상 적층되어 삼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삼차원 구조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층의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층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이 게이트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의 채널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문턱 전압 이동을 감소시키고, 소자의 온-오프 비(on-off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이 소스 전극 연결부로 연결되고,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이 드레인 전극 연결부로 연결되어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하고,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으로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짐으로써,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출력을 1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면적에서 나타낼 수 있어, 주 전하(main carrier)인 전자가 흐르는 길인 채널층을 다층으로 포함하여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하고,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으로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짐으로써, 동작 전압 이동 감소 효과를 가진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적층하고, 수직으로 적층할 때,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사용하여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단일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채널층이 증가(3, 4, 5, ?? 개의 채널 층)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삼차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삼차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MIM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C-V 특성(커패시턴스-게이트 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이중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BG)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드레인 전류가 0.1V(VDS=0.1V)일 때의 전송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드레인 전류가 10V(VDS=10V)일 때의 전송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출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하에서의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하에서의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하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및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스트레스 시간에 따른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히스테리시스 동작(Hysteresis behaviors)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의 히스테리시스 동작(Hysteresis behaviors)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히스테리시스 동작(Hysteresis behaviors)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120), 제1 채널층(120)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제1 채널층(120),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150), 게이트 전극(150)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160) 및 제2 채널층(160)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171)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2 소스 전극(171)은 소스 전극 연결부(17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드레인 전극(132) 및 제2 드레인 전극(170)은 드레인 전극 연결부(18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12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으로서, 당 분야에서 사용하는 기판(110)으로 그 재질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실리콘, 유리, 플라스틱, 석영 또는 금속 호일(foil)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비닐(Polyvinyl),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아세테이트(Polyacet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elate; PEN) 및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ehalate;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층(120)으로 p-형(n-type) 산화물 반도체 및 n-형(n-type) 산화물 반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 채널층(120)으로 n-형(n-type) 산화물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채널층(120)으로 n-형(n-type)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면, 전류 흐름을 야기하는 주된 전하 수송자는 전자이기 때문에 네거티브 바이어스(negative bias)가 가해진 전극(제1 소스 전극(131) 및 제2 소스 전극(171))에서 포지티브 바이어스(positive bias)가 가해지는 전극(제1 드레인 전극(132) 및 제2 드레인 전극(170))으로의 전류 흐름이 생길 수 있다.
제1 채널층(120)은 a-IGZO(amorphous-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ZO(Ind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GTO(Gallium Tin Oxide), ZTO(Zinc Tin Oxide), IAZO(Indium Antimony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O(Indium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및 GZO(Gallium Zinc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채널층(120)은 a-IGZO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층(120)은 기판(110) 상에 패턴화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2a 도시된 제1 채널층과 같이 기판(110) 상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채널층(120)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을 포함한다.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사이의 거리는 채널 길이가 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사이의 거리는 5㎛ 이상일 수 있고,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사이의 거리는 5㎛ 미만이면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과 제1 채널층(120) 사이의 접촉 저항의 영향이 커져 소자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사이의 거리가 너무 길어지면 드레인 전류량이 낮아지고, 소자의 면적이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
제1 소스 전극(131) 또는 제1 드레인 전극(132)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텅스텐(W), 구리(Cu),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백금(Pt), 탄탈(Ta), 금(Au) 또는 은(Ag)과 같은 저(低)저항의 금속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채널층(120),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을 포함한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의 두께는 수십 nm에서 두껍게는 수백 nm정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300nm일 수 있고,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의 두께가 10nm미만이면 절연 특성이 낮아 누설 전류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고, 300nm를 초과하면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의 캐패시턴스가 감소되지 때문에(절연막의 캐패시턴스는 절연막의 두께에 반비례함) 소자의 전류량이 감소(절연막의 캐패시턴스는 드레인 전류 값에 반비례함)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의 두께는 50nm 일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은 유기절연막 또는 무기절연막의 단일막 또는 다층막으로 포함되거나 유-무기 하이브리드 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유기절연막으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PMMA,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스타이렌(PS, 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페놀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이미드와 같은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 고분자, p-자이리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파릴렌(par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무기절연막으로는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Al2O3), 탄탈늄 산화막(Ta2O5), 이트륨 옥사이드(Y2O3), 지르코늄 옥사이드(ZrOx), 티타늄옥사이드(TiOx), 하프늄옥사이드(HfOx), 지르코늄 알루미늄 산화물(ZrAlOx), BST 및 PZ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150)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150)은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내에 매립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50)은 전기 전도도 물질인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전극(15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또는 은(Ag)과 같은 금속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전극(150)은 p+-Si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게이트 전극(150)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포함한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의 두께는 수십 nm에서 두껍게는 수백 nm정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300nm일 수 있고,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의 두께가 10nm미만이면 절연 특성이 낮아 누설 전류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고, 300nm를 초과하면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의 캐패시턴스가 감소되지 때문에(절연막의 캐패시턴스는 절연막의 두께에 반비례함) 소자의 전류량이 감소(절연막의 캐패시턴스는 드레인 전류 값에 반비례함)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의 두께는 50nm 일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는 유기절연막 또는 무기절연막의 단일막 또는 다층막으로 포함되거나 유-무기 하이브리드 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유기절연막으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PMMA,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스타이렌(PS, polystyrene), 페놀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이미드와 같은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 고분자, p-자이리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파릴렌(par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무기절연막으로는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Al2O3), 탄탈늄 산화막(Ta2O5), 이트륨 옥사이드(Y2O3), 지르코늄 옥사이드(ZrOx), 지르코늄 알루미늄 산화물(ZrAlOx), BST 및 PZ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16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으로 분리되어 흘러 문턱 전압 이동을 감소시키고, 소자의 온-오프 비(on-off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으로 분리되어 흘러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을 포함하고,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50)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으로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짐으로써,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출력을 1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면적에서 나타낼 수 있어, 주 전하(main carrier)인 전자가 흐르는 길인 채널층을 다층으로 포함하여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을 포함하고,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50)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으로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짐으로써, 동작 전압 이동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게이트 전극(150)을 기준으로, 제1 채널층(120), 제1 채널층(120)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제1 채널층(120),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150)을 포함하는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 전극(150), 게이트 전극(150)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160) 및 제2 채널층(160)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171)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을 포함하는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병렬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에서 출력을 받을 수 있어, 단일 박막 트랜지스터의 면적에서 두 개의 트랜지스터 출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동작 전압 이동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채널층(160)으로 p-형(n-type) 산화물 반도체 및 n-형(n-type) 산화물 반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2 채널층(160)으로 n-형(n-type) 산화물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채널층(160)으로 n-형(n-type)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면, 전류 흐름을 야기하는 주된 전하수송자는 전자이기 때문에 네거티브 바이어스(negative bias)가 가해진 전극(제1 소스 전극(131) 및 제2 소스 전극(171))에서 포지티브 바이어스(positive bias)가 가해지는 전극(제1 드레인 전극(132) 및 제2 드레인 전극(170))으로의 전류 흐름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으로 모두 n-형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전류 흐름을 야기하는 주된 전하수송자는 전자이기 때문에 네거티브 바이어스(negative bias)가 가해진 전극(제1 소스 전극(131) 및 제2 소스 전극(171))에서 포지티브 바이어스(positive bias)가 가해지는 전극(제1 드레인 전극(132) 및 제2 드레인 전극(170))으로의 전류 흐름이 생길 수 있다.
제2 채널층(160)은 a-IGZO(amorphous-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ZO(Ind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GTO(Gallium Tin Oxide), ZTO(Zinc Tin Oxide), IAZO(Indium Antimony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O(Indium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및 GZO(Gallium Zinc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채널층(120)은 a-IGZO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층(160)은 기판(110) 상에 패턴화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2a에 도시된 제2 채널층과 같이 기판(110) 상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2 채널층(160)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171)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을 포함한다.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 사이의 거리는 채널 길이가 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 사이의 거리는 5㎛ 이상일 수 있고,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 사이의 거리는 5㎛ 미만이면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과 제1 채널층(160) 사이의 접촉 저항의 영향이 커져 소자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 사이의 거리가 너무 길어지면 드레인 전류량이 낮아지고, 소자의 면적이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
제1 소스 전극(131)과 제1 드레인 전극(132) 사이의 거리는,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2 소스 전극(171) 또는 제2 드레인 전극(172)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또는 은(Ag)과 같은 금속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2 소스 전극(17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스 전극 연결부(17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 및 제2 드레인 전극(1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드레인 전극 연결부(180)를 포함한다.
즉, 소스 전극 연결부(1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182)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소스 전극 연결부(1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182)는 상하부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소스 전극 연결부(1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182)를 통하여 제1 채널층(120) 및 제2 채널층(160)이 동시에 구동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131)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150)에 의해 제1 채널층(120)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32)으로 수집(collect)되고, 제2 소스 전극(171)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150)에 의해 제2 채널층(160)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2)으로 수집(collect)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mo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소스 전극 연결부(181)는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2 소스 전극(171)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소스 전극 연결부(181)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또는 은(Ag)과 같은 금속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이 포함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 연결부(172)는 제1 드레인 전극(132)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드레인 전극 연결부(172)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또는 은(Ag)과 같은 금속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삼차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1, 102 103)는 적어도 둘 이상 적층되어 삼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적층할 때,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된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을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으로 사용하여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단일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채널층이 증가(3, 4, 5, ?? 개의 채널 층)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를 참조하면, 3차원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1),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2) 및 제3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1)의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은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1) 상부에 적층된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2)의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2)의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은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2) 상부에 적층된 제3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3)의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삼차원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은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으로 구동되고,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1),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2) 및 제3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3)의 소스 전극 연결부(1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18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삼차원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단일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채널층이 증가(3, 4, 5, ?? 개의 채널 층)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제1 채널층(230)과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222)의 위치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기판(210)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 기판(210),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222)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230), 제1 채널층(230)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241), 제1 게이트 절연막(24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250), 게이트 전극(250)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242), 제2 게이트 절연막(242)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260) 및 제2 채널층(260)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271)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소스 전극 연결부(2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282)를 통하여 제1 채널층(230) 및 제2 채널층(260)이 동시에 구동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221)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250)에 의해 제1 채널층(230)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222)으로 수집(collect)되고, 제2 소스 전극(271)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250)에 의해 제2 채널층(260)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272)으로 수집(collect)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mo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채널층(230) 또는 제2 채널층(260)은 기판(110) 상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a에 도시된 제1 채널층 또는 제2 채널층과 같이 기판(110) 상에 패턴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제1 채널층(230) 및 제2 채널층(260)으로 n-형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전류 흐름을 야기하는 주된 전하수송자는 전자이기 때문에 네거티브 바이어스(negative bias)가 가해진 전극(제1 소스 전극(221) 및 제2 소스 전극(271))에서 포지티브 바이어스(positive bias)가 가해지는 전극(제1 드레인 전극(222)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으로의 전류 흐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2 소스 전극(271)은 소스 전극 연결부(28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드레인 전극(222)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은 드레인 전극 연결부(28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소스 전극 연결부(2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282)를 통하여 제1 채널층(230) 및 제2 채널층(260)이 동시에 구동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131)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250)에 의해 제1 채널층(230)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222)으로 수집(collect)되고, 제2 소스 전극(271)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250)에 의해 제2 채널층(260)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2)으로 수집(collect)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mo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 기판(210),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222)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230), 제1 채널층(230)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241) 및 제1 게이트 절연막(24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250)을 포함하는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 전극(250), 게이트 전극(250)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242), 제2 게이트 절연막(242)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260) 및 제2 채널층(260)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271)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을 포함하는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병렬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제1 채널층(230) 및 제2 채널층(260))에서 출력을 받을 수 있어, 단일 박막 트랜지스터의 면적에서 두 개의 트랜지스터 출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동작 전압 이동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삼차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1, 202 203)는 적어도 둘 이상 적층되어 삼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1, 202 203)를 수직으로 적층할 때,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된 제2 소스 전극(271)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을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22)으로 사용하여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단일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채널층이 증가(3, 4, 5, ?? 개의 채널 층)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를 참조하면, 3차원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1),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2) 및 제3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1)의 제2 소스 전극(271)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은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1) 상부에 적층된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2)의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222)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2)의 제2 소스 전극(271)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은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2) 상부에 적층된 제3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3)의 제1 소스 전극(221) 및 제1 드레인 전극(222)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삼차원 구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소스 전극(271) 및 제2 드레인 전극(272)은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231) 및 제1 드레인 전극(232)으로 구동되고,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1),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2) 및 제3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203)의 소스 전극 연결부(2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28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단일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채널층이 증가(3, 4, 5, ?? 개의 채널 층)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15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1 소스 전극(131), 제1 드레인 전극(132),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이 형성되고, 제1 소스 전극(131) 및 제1 드레인 전극(132)과 제2 소스 전극(171) 및 제2 드레인 전극(172)을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소스 전극 연결부(181)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18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제1 채널층의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120),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130),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140),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150),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S160),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170), 제2 채널층 상에 소스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180) 및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문턱 전압 이동을 감소시키고, 소자의 온-오프 비(on-off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제1 채널층, 제1 채널층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 및 제2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병렬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에서 출력을 받을 수 있어, 단일 박막 트랜지스터의 면적에서 두 개의 트랜지스터 출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동작 전압 이동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S110)를 진행한다.
제1 채널층은 기판 상에 산화물 반도체막을 증착하고, 산화물 반도체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산화물 반도체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층은 용액 공정 또는 증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층이 용액 공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채널층은 스핀 코팅(Spin-coating), 슬릿 다이 코팅(Slit dye coa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및 딥 코팅(dip coating)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층은 바람직하게는 스핀 코팅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스핀 코팅은 기판 상에 용액을 일정량 떨어뜨리고 기판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용액에 가해지는 원심력으로 코팅하는 방법이다.
용액 공정은 증착 공정 대비 공정 기술의 단순화를 통하여 공정 비용 및 공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채널층이 증착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채널층은 진공 증착법 (vacuum deposition),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및 스퍼터링(Sputtering)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채널층은 기판 상에 패턴화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2a 도시된 제1 채널층과 같이 기판 상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채널층은 n-형 산화물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1 채널층의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1220)를 진행한다.
제1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제1 채널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은 제1 채널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기판 및 제1 채널층 상에 소스/드레인 도전막을 증착하고, 소스/드레인 도전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소스/드레인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제1 채널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 도전막은 진공 증착법 (vacuum deposition),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스퍼터링(Sputter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및 존 캐스팅(zone cast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130)를 진행한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은 기판,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증착하고,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용액 공정 또는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용액 공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스핀 코팅(Spin-coating), 슬릿 다이 코팅(Slit dye coa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및 딥 코팅(dip coating)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이 증착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진공 증착법 (vacuum deposition),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및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스퍼터링(Sputter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140)를 진행한다.
게이트 전극은 기판 상에 게이트 도전막을 증착하고, 게이트 도전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게이트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150)를 진행한다.
제2 게이트 절연막은 용액 공정 또는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은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모두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게이트 전극은 제2 게이트 절연막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S160)를 진행한다.
제2 채널층은 용액 공정 또는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채널층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170)를 진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170)는 제1 소스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S171), 제1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된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S172) 및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 전극 상부에 형성된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S171)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제1 소스 전극을 일부 노출시키도록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함으로써 제1 비아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된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S172)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제1 드레인 전극을 일부 노출시키도록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함으로써 제2 비아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S171 및 단계 S172는 별도로 진행되지 않고,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각각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일부 노출시키도록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함으로써 제1 비아홀 및 제2 비아홀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173)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일부 노출시키는 제1 비아홀 및 제2 비아홀 내를 도전성 물질로 채워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하여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이 동시에 구동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250)에 의해 제1 채널층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고, 제2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2 채널층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mo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2 채널층 상에 소스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180)를 진행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2 채널층 상에 드레인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190)를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S180 및 단계 S190는 별도로 진행되지 않고,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제2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채널층 상에 소스/드레인 도전막을 증착하고, 소스/드레인 도전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소스/드레인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제1 채널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각각 제2 게이트 절연막 표면으로 노출된 소스 전극 연결부와 드레인 연결부 상에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서 제1 채널층 과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의 제조 순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210), 기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제1 채널층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30),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240),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50),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S260),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270), 제2 채널층 상에 소스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280) 및 제2 채널층 상에 드레인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29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270))는, 제1 소스 전극 상부에 형성된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S271), 제1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된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S272), 제1 비아홀 및 제2 비아홀 내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27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문턱 전압 이동을 감소시키고, 소자의 온-오프 비(on-off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전압 인가 시, 전류가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으로 분리되어 흘러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제1 채널층, 제1 채널층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 및 제2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병렬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에서 출력을 받을 수 있어, 단일 박막 트랜지스터의 면적에서 두 개의 트랜지스터 출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동작 전압 이동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하여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이 동시에 구동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250)에 의해 제1 채널층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고, 제2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2 채널층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어 드레인 전류 및 모빌리티(mo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S210)를 진행한다.
제1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기판 상에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은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기판 상에 소스/드레인 도전막을 증착하고, 소스/드레인 도전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소스/드레인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진행한다.
제1 채널층은 기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산화물 반도체막을 증착하고, 산화물 반도체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산화물 반도체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층은 용액 공정 또는 증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층이 용액 공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채널층은 스핀 코팅(Spin-coating), 슬릿 다이 코팅(Slit dye coa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및 딥 코팅(dip coating)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층은 바람직하게는 스핀 코팅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스핀 코팅은 기판 상에 용액을 일정량 떨어뜨리고 기판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용액에 가해지는 원심력으로 코팅하는 방법이다.
용액 공정은 증착 공정 대비 공정 기술의 단순화를 통하여 공정 비용 및 공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채널층이 증착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채널층은 진공 증착법 (vacuum deposition),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및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스퍼터링(Sputter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채널층은 기판 상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a에 도시된 제1 채널층과 같이 기판(110) 상에 패턴화될 수 있다.
제1 채널층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30를 진행한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제1 채널층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증착하고,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 즉,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용액 공정 또는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용액 공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스핀 코팅(Spin-coating), 슬릿 다이 코팅(Slit dye coa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및 딥 코팅(dip coating)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이 증착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진공 증착법 (vacuum deposition),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및 분자선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스퍼터링(Sputter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240 부터 단계 S19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교예 1] : 상부 게이트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유리(glass) 기판을 초음파 세척기(sonicator)에 넣은 후 아세톤과 메탄올 용액에 각각 5분씩 세척하고 질소(N2)로 분사(blowing)하였다. 이 후, 기판 상에 RF-sputter(RF-스퍼터)를 사용하여 30nm의 두께를 갖는 IGZO 채널층을 형성(60W, room temperature, Ar 28.5sccm O2 1.5sccm, PO2 = 5%)하였다. 이 후,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20/40nm 의 두께를 갖는 Ti/Au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였다. 이 후, 원자층 증착(ALD)를 사용하여 50 nm의 Al2O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150℃ TMA precursor + H2O (oxidant))하였다. 이 후,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100nm 의 두께를 갖는 Ti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공기 분위기 하에서 26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포스트 어닐링(Post annealing)을 진행하였다. 모든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 및 리프트 오프 공정(photolithography-lift off)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 하부 게이트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유리(glass) 기판을 초음파 세척기(sonicator)에 넣은 후 아세톤과 메탄올 용액에 각각 5분씩 세척하고 질소(N2)로 분사(blowing)하였다. 이 후,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100nm 의 두께를 갖는 Ti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였다. 이 후, 원자층 증착(ALD)를 사용하여 50 nm의 Al2O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150℃ TMA precursor + H2O (oxidant))하였다. 이 후, RF-sputter(RF-스퍼터)를 사용하여 30nm의 두께를 갖는 IGZO 채널층을 형성(60W, room temperature, Ar 30sccm O2 1.5sccm, PO2 = 0%)하였다. 이 후,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20/40nm 의 두께를 갖는 Ti/Au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공기 분위기 하에서 26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포스트 어닐링(Post annealing)을 진행하였다. 모든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 및 리프트 오프 공정(photolithography-lift off)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 TG+BG TFT
별도의 소자로 제조되는 것이 아닌,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상부 게이트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하부 게이트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의 각각의 데이터 값을 단순히 합한 것을 명명한 것이다.
[실시예] :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
유리(glass) 기판을 초음파 세척기(sonicator)에 넣은 후 아세톤과 메탄올 용액에 각각 5분씩 세척하고 질소(N2)로 분사(blowing)하였다. 이 후, 기판 상에 RF-sputter(RF-스퍼터)를 사용하여 30nm의 두께를 갖는 IGZO 제1 채널층을 형성(60W, room temperature, Ar 28.5sccm O2 1.5sccm, PO2 = 5%)하였다. 이 후,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20/40nm 의 두께를 갖는 Ti/Au 제1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였다. 이 후, 원자층 증착(ALD)를 사용하여 50 nm의 Al2O3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150℃ TMA precursor + H2O (oxidant))하였다. 이 후,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100nm 의 두께를 갖는 Ti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였다. 이 후, 원자층 증착(ALD)를 사용하여 50 nm의 Al2O3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150℃ TMA precursor + H2O (oxidant))하였다. 이 후, RF-sputter(RF-스퍼터)를 사용하여 30nm의 두께를 갖는 IGZO 제2 채널층을 형성(60W, room temperature, Ar 30sccm O2 1.5sccm, PO2 = 0%)하였다. 이 후, Al2O3 식각액(Ceramic etchant A, Sigma Aldrich)을 이용하여 100℃에서 20초 동안 습식 식각(wet etching)을 진행하여 제1 및 제2 비아홀을 형성하고,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Ti 100nm 를 증착하여 Ti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였다. 이 후, E-빔 증발기(E-beam evaporator)를 사용하여 20/40nm 의 두께를 갖는 Ti/Au 제2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공기 분위기 하에서 26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포스트 어닐링(Post annealing)을 진행하였다. 모든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 및 리프트 오프 공정(photolithography-lift off)을 사용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MIM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C-V 특성(커패시턴스-게이트 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110), 제1 소스 전극(131) 또는 제1 드레인 전극(132),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게이트 전극(150)이 MIM(금속-절연체-금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IM 구조를 통해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통해 증착된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였고,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의 캐패시턴스는 Cox=136nF/cm2 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드레인 전류가 0.1V(VDS=0.1V)일 때의 전송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비교예 1은 상부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이고, 비교예 2는 하부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이며, 비교예 3(TG+BG TFT)은 TG TFT와 BG TFT의 그래프를 단순히 합한 것이다.
도 9는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드레인 전류가 10V(VDS=10V)일 때의 전송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출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채널 폭(W)은 50㎛이고, 채널 길이(L)는 20㎛이다.
표 1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표이다.
[표 1]
Figure 112020123129082-pat00001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이중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BG TFT) 대비 전송 특성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을 포함함으로써,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드레인 전류, 모빌리티 및 온/오프비(on/off ratio)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동작 전압 및 문턱 전압에서의 기울기(Subthreshold swing(SS))는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동도 특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문턱 전압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0 및 표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단일 채널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와 비교하여 더 높은 드레인 전류를 가지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의 성능을 합한 비교예 3보다도 뛰어난 성능(예; 드레인 전류 증가 및 모빌리티 증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하에서의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하에서의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하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게이트 전류(VGS)는 20V이고, 드레인 전류(VDS)는 0.1V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채널 폭(W)은 50㎛이고, 채널 길이(L)는 20㎛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하에서의 문턱 전압 이동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스트레스 테스트에 의해 동작 전압이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동작 전압 이동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전송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 게이트 전류(VGS)는 -20V이고, 드레인 전류(VDS)는 0.1V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 채널 폭(W)은 50㎛이고, 채널 길이(L)는 20㎛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문턱 전압 이동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스트레스 테스트에 의해 동작 전압이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동작 전압 이동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포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positive bias stress; PBS) 및 네거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 NBS) 하에서의 스트레스 시간에 따른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이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스트레스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스트레스 테스트에 의해 동작 전압이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동작 전압 이동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8은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의 히스테리시스 동작(Hysteresis behaviors)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9는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의 히스테리시스 동작(Hysteresis behaviors)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히스테리시스 동작(Hysteresis behaviors)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서 채널 폭(W)은 50㎛이고, 채널 길이(L)는 20㎛이다.
도 18 내지 도 20를 참조하면, 바이어스 스트레스 테스트에 의해 동작 전압이 비교예 1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G TFT) 및 비교예 2의 단일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BG TFT) 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의 동작 전압 이동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생기는 원인은 PBS 및 NBS에서 동작 전압이 이동하는 원리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DC TFT)는 채널층(제1 채널층 및 제2 채널층)과 절연층(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 계면에서의 전하(전자)가 트랩(trap)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신뢰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01, 201: 제1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02, 202: 제2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03, 203: 제3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10, 210: 기판 120, 230: 제1 채널층
131, 221: 제1 소스 전극 132, 222: 제1 드레인 전극
141, 241: 제1 게이트 절연막 142, 242: 제2 게이트 절연막
150, 250: 게이트 전극 160, 260: 제2 채널층
171, 271: 제2 소스 전극 172, 272: 제2 드레인 전극

Claims (18)

  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
    상기 제1 채널층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기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은 소스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로,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1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고,
    상기 제2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2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10nm 내지 3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은 n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적어도 둘 이상 적층되어 삼차원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구조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0.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기 기판,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 채널층;
    상기 제1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제2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제2 소스 전극은 소스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로,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1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1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고,
    상기 제2 소스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제2 채널층을 통해 상기 제2 드레인 전극으로 수집(collec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적어도 둘 이상 적층되어 삼차원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구조의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하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은 상부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15. 기판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층의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층,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로,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7. 기판 상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제1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층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소스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층 상에 상기 드레인 전극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제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부 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수직 적층된 듀얼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로,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각각 소스 전극 연결부 및 드레인 전극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20200153705A 2019-11-18 2020-11-17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77,692 US20220406946A1 (en) 2019-11-18 2020-11-18 Multi-channel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by the same
PCT/KR2020/016261 WO2021101242A1 (ko) 2019-11-18 2020-11-18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8038 2019-11-18
KR1020190148038 2019-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52A KR20210060352A (ko) 2021-05-26
KR102385114B1 true KR102385114B1 (ko) 2022-04-12

Family

ID=7613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705A KR102385114B1 (ko) 2019-11-18 2020-11-17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1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932B1 (ko) * 2012-12-13 2014-07-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층 구조의 반도체 채널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2083B1 (ko) 2013-11-13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높은 온/오프 전류비를 가진 박막 트랜지스터
KR20150059681A (ko) 2013-11-22 201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채널층을 가진 박막 트랜지스터
KR102465353B1 (ko) * 2015-12-02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101876011B1 (ko) * 2016-01-29 2018-07-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52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4907B1 (en) Transistor device having p-type delafossite channel
US10109647B2 (en) MOTFT with un-patterned etch-stop
US81019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in-film device
US905393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2697B1 (ko) 산화물 반도체 박막 포토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7068265B2 (ja) アモルファス金属ホットエレクトロントランジスタ
US10192890B2 (en)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220406946A1 (en) Multi-channel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by the same
US9252165B2 (en)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ixel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40144388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JP2018074178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CN104347813B (zh) 晶体管、制造晶体管的方法和包括晶体管的电子装置
KR102385114B1 (ko) 다층 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74129B2 (en)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664024B2 (en) Fabrication method of a pixel structure and a pixel structure
US10283533B2 (en) Transistor array panel including transistor with top electrod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source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82556B1 (ko)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4686B1 (ko) 고 이동도 트랜지스터
KR101792644B1 (ko) 고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83190A (ko)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