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660B1 -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 - Google Patents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660B1
KR102384660B1 KR1020210089031A KR20210089031A KR102384660B1 KR 102384660 B1 KR102384660 B1 KR 102384660B1 KR 1020210089031 A KR1020210089031 A KR 1020210089031A KR 20210089031 A KR20210089031 A KR 20210089031A KR 102384660 B1 KR102384660 B1 KR 10238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antibacterial
peg
extract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석
Original Assignee
김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석 filed Critical 김병석
Priority to KR102021008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6Picnic s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4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Zincates; Cadm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기재 원단; 및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무기물;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항균 코팅층;을 포함함에 따라, 항균 성능이 우수한,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TEXTILE FABRIC FOR POUCH OF CAMPING ARTICLE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POUCH FOR CAMPING ARTICLE FORMED THEREFROM}
본 발명은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캠핑용품 피우치용 항균 섬유원단으로 형성된 캠핑용품 보관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주 5일 근무제의 도입으로 인하여, 여가 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캠핑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캠핑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내 캠핑시장 규모는 6000억 이상의 규모로,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 역시 약 600 만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2030 세대에서 캠핑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어, 캠핑에 필요한 캠핑용품 등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캠핑에는 텐트, 타프, 테이블, 수납장, 이불, 조리도구, 코펠, 냄비, 의자, 아이스박스 등 다양한 용품들이 요구되는데, 상기 캠핑용품들은 통상적으로 섬유원단으로 형성된 파우치에 담겨 보관 및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캠핑용품의 경우, 사용 주기가 적어도 1년 이상이므로, 캠핑용품 파우치 내에 보관된 캠핑용품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캠핑용품 또는 이의 파우치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조리도구, 코펠 또는 냄비 등 음식 제조에 사용되는 용품은, 다른 용품들 보다, 물기가 많고, 보관 과정에서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며, 세균이 번식할 경우,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 항균 효과를 가지는 캠핑용품 파우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캠핑용품 파우치 또는 가방은 부피가 크거나, 구조가 복잡한 캠핑용품을 용이하게 보관하는 용도 등으로 주로 개발되고 있을 뿐, 항균 효과 및 이의 지속성이 우수한 캠핑용품 파우치에 대한 개발은 다소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80065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항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섬유 기재 원단과 항균 코팅층 간의 부착성이 우수하여 항균 지속성이 좋고, 강도가 우수하여 캠핑용품 파우치에 적합한, 항균 섬유원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의 항균 섬유원단으로 형성되어, 항균 효과 및 이의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캠핑용품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섬유 기재 원단; 및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은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무기물;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것인,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항균 섬유원단으로 형성되어, 캠핑용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항균 성능을 갖는 캠핑용품 파우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은, 섬유 기재 원단; 및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특정 조합의 복합 추출물, 복합 무기물, 바인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항균 코팅층;을 포함함에 따라, 항균 성능 및 강도가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은 상기 섬유 기재 원단과 상기 항균 코팅층의 부착성이 우수하여, 외력이 작용하거나, 장기간 사용 시에도, 상기 섬유 기재 원단과 상기 항균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항균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용품 파우치는 항균 효과 및 이의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습기가 많은 조리도구, 코펠 또는 냄비 등이 보관되는 종래의 캠핑용품 파우치의 경우에는,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항균 섬유원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섬유 기재 원단; 및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은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무기물;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것인,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은 항균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이의 지속성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에서 섬유 기재 원단과, 복합 추출물, 복합 무기물, 바인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 용매가 특정 조합된 항균 조성물로 형성된 항균 코팅층 간의 부착성이 우수하여, 외력이 작용하거나 장기간 사용 시에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은 강도가 우수하여, 캠핑용품 보관에 적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은 섬유 기재 원단을 포함한다.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은 텐셀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스판 섬유, 목화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 나일론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된 원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은 나일론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이용하여 혼방사를 제조하고, 상기 혼방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혼방직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은 두께가 1 마이크로미터 ~ 30 미리미터, 구체적으로는 10 마이크로미터 ~ 20 미리미터, 더 구체적으로는 100 마이크로미터 ~ 10 미리미터, 가장 구체적으로는 1000 마이크로미터 ~ 5 미리미터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두께가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며, 캠핑용품의 보관 과정에서 파우치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두께가 30 미리미터를 초과할 경우에는 무게 및 부피가 증가하여, 사용성, 편리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은 항균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은 섬유 기재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은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무기물;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항균 코팅층을 형성하는 항균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된 6 가지의 추출물이 복합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본 실시예에 따르는 항균 섬유원단의 항균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6 가지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더욱 우수한 항균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e) 추출물은 편백나무를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레몬(Citrus limon) 추출물은 레몬을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매실 추출물은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의 열매인 매실을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 추출물은 목이버섯을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잎을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은행잎은 은행나무(ginkgo, Ginkgo biloba)의 잎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추냉이(Wasabia koreana) 추출물은 고추냉이를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추출은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수 추출은 건조 식물에 10 ~ 50 배의 물을 가하고, 약 70 ℃ 이상의 온도에서 추출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탄올 추출은 건조 식물에 10 ~ 50 배의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침지 추출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70 %(v/v)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5 ~ 10 : 1 : 1 : 1 : 5 ~ 10 : 5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항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7 ~ 8 : 1 : 1 : 1 : 7 ~ 8 : 5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현저히 우수한 항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추출물 10 ~ 30 중량%, 구체적으로는 12 ~ 28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5 ~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추출물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항균 성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추출물 3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섬유 기재 원단과 항균 코팅층 간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항균 성능 및 이의 지속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복합 무기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된 5 가지의 무기물이 복합된 상기 복합 무기물은 본 실시예의 항균 섬유원단의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5 가지의 복합물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더욱 우수한 항균 성능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복합 무기물은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1 : 1 ~ 10 : 1 ~ 10 : 1 ~ 10 : 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더욱 우수한 항균 효과 및 강도의 구현이 가능하며, 항균 조성물 내에서 균일한 혼합 및 분산을 구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복합 무기물은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1 : 1 : 1 : 7 ~ 8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항균 조성물 내에서 균일한 혼합 및 분산을 구현함과 동시에 현저히 우수한 항균 효과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카는 이산화규소(SiO2)로서, 입경이 1 ~ 3 ㎛ 인 구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리카로서, 입경이 1 ~ 3 ㎛ 인 구형 실리카를 포함함에 따라, 더욱 우수한 항균 효과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나노 입자는 입경이 50 ~ 200 nm, 구체적으로는 80 ~ 180 nm 더 구체적으로는 100 ~ 150 nm 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은나노 입자의 입경이 50 nm 미만일 경우에는, 복합 무기물의 응집이 형성되며, 분산성이 저하되어, 전반적인 항균 성능, 강도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은나노 입자의 입경이 200 nm 초과일 경우에는,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이 저하되어, 전반적인 항균 성능, 강도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무기물 20 ~ 30 중량%, 구체적으로는 22 ~ 28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25 ~ 26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무기물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항균 성능 및 강도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무기물 3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항균 코팅층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항균 성능의 지속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바인더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을 바인더를 포함하되, 상기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섬유 기재 원단에 대한 항균 코팅층의 부착성 및 항균 섬유원단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20,000 ~ 180,000, 구체적으로는 140,000 ~ 170,000, 더 구체적으로는 150,000 ~ 160,000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00 ~ 160,000 인, 상대적으로 고분자량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부착성 및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20,000 미만인 경우에는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80,000 초과인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사용성이 저하되고, 균일한 두께와 평탄한 표면을 갖는 항균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바인더 5 ~ 20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 1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2 ~ 1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바인더를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바인더를 2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조성물 내에서 복합 추출물, 복합 무기물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항균 효과 및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실리콘계 분산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조성물 내에서 복합 추출물, 복합 무기물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계 분산제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계 분산제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계 분산제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1 : 10 ~ 15 : 10 ~ 15 : 0.01 ~ 0.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산성이 향상되어, 전박적으로 향상된 항균 성능 및 이의 지속성, 부착성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계 분산제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1 : 14 : 14 : 0.02 ~ 0.04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산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전박적으로 우수한 항균 성능, 강도 및 부착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계 분산제를 1 ~ 7 중량%, 구체적으로는 2 ~ 6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3 ~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계 분산제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분산성이 저하되어, 항균 성능, 강도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계 분산제를 7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과도한 실리콘계 성분에 의해, 오히려 항균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점도가 증가하여 균일한 표면을 갖는 항균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용매를 10 ~ 40 중량%, 구체적으로는 12 ~ 4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5 ~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용매를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분산성이 저하되고,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항균 성능, 강도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항균 조성물이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용매를 4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항균 성능을 구현하는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항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공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보조 계면활성제, 소포제, 안료, 킬레이트화제, 가소제, 경화제, 필름형성제, 증점제, 향기 성분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기 성분은 에센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센셜 오일은 라벤더(Lavender) 오일, 라임(Lime) 오일, 레몬(Lemon) 오일, 레몬그래스(Lemongrass) 오일,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오일, 로즈(Rose)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로즈우드(Rosewood) 오일, 마조람(Majoram) 오일, 만다린 (Citrus madurensis) 오일, 머틀(Myrtle) 오일, 미르(Myrrh) 오일, 바질(Basil) 오일, 버베나(Verbena) 오일 및 버취(Birch)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항균 성능을 갖는 캠핑용품 파우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섬유 기재 원단; 및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은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무기물;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항균 섬유원단으로 형성된, 항균 성능을 갖는 캠핑용품 파우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캠핑용품 파우치는 상기의 항균 섬유원단으로 제조되며, 캠핑용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형태라면,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캠핑용품은 조리도구 및 코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캠핑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핑용품 파우치에는 공지의 모든 부품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부품은 지퍼, 클립, 주머니, 손잡이, 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4
표 1[단위 : 중량%]에 따라 복합 추출물, 복합 무기물, 바인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고, 두께가 3 mm 인 섬유 기재 원단(나일론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된 혼방사로 제조된 혼방 직물)의 양면에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코팅층(두께 : 약 50 ~ 100 마이크로미터)을 형성함으로써, 향균 섬유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하기에 따라 제조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은 편백나무(잎)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7 : 1 : 1 : 1 : 7 : 5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추출액을 감압 및 농축한 뒤, 건조함으로써 수득된 건조 분말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에탄올 70% (v/v))에 의해 수득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복합 무기물은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1 : 1 : 1 : 7 : 10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실리카로는 입경이 1 ~ 3 ㎛ 인 구형 분말을 사용하였고, 상기 은나노 입자는 입경이 100 ~ 150 nm 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바인더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 ~ 160,000 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실리콘계 분산제는 표 2[단위 : 중량비]에 따라, 각 성분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단위 : 중량% 실시예 1 내지 4
복합 추출물 20
복합 무기물 25
바인더 13
실리콘계 분산제 5
유기 용매(프로필렌 글리콜) 37



1



2



3



4
피이지-10다이메티콘 1 1 1 1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14 14 14 14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14 14 14 14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0.01 0.02 0.04 0.1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8
표 3[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단위 :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복합 추출물 5 35 20 20 20 20 20 20
복합 무기물 25 25 15 35 25 25 25 25
바인더 13 13 13 13 1 25 13 13
실리콘계분산제 5 5 5 5 5 5 0.1 12
유기용매 to,100
비교예 9 내지 10
표 4[단위 : g/mol]에 따르는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수지(바인더)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9 비교예10
중량평균 분자량 50,000 ~ 80,000 250,000 ~ 300,000
비교예 11 내지 14
표 5[단위 : 중량비]에서 '○'로 표기된 성분만을 실리콘계 분산제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피이지-10다이메티콘 × × ×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 × ×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 × ×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 × ×
비교예 15 내지 17
표 6[단위 : 중량비]의 비율에 따라 혼합된 실리콘계 분산제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17
피이지-10다이메티콘 1 1 1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14 14 5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14 14 20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0.001 1 1
[ 실험예 ]
실험예 1 : 항균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항균 섬유원단의 제조에 사용된 항균 조성물 10 mL를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약 120 ℃에서 15 ~ 20 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멸균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기 조성물에 생리심역수(8.5 %의 NaCl 수용액) 90 mL와 배양된 시험 균주액 1 mL를 넣어 혼합한 뒤, 약 35 ~ 39 ℃ 및 31.5 ~ 31.9 % R.H 조건에서, 약 24 시간 동안 진탕배양한 다음, 일정량을 채취하여 한천배지에 도말하여,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초기 세균수(1.7×104)와 측정된 세균수를 이용하여, 세균 감소율을 계산한 후, 표 7[단위 : CFU/mL]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서 시험 균주를 투입하지 않고 생리식염수만 100 mL 적용한 경우의 결과도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 균주로는 슈퍼박테리아인 MRSA(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ATCC 33591)를 사용하였으며, 시험 균주는 Nutrient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17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균 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함께 나타내었다.
세균 감소율(%) 세균 감소율(%)
대조군 - 비교예7 85.4
실시예1 96.0 비교예8 84.7
실시예2 99.9 비교예9 99.9
실시예3 99.9 비교예10 99.9
실시예4 96.0 비교예11 80.4
비교예1 65.9 비교예12 81.6
비교예2 99.9 비교예13 82.5
비교예3 53.2 비교예14 81.4
비교예4 99.9 비교예15 88.0
비교예5 99.9 비교예16 89.0
비교예6 90.9 비교예17 87.0
표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항균 조성물의 경우,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항균 조성물의 부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균 섬유원단의 제조에 사용된, 항균 조성물을 별도로 취하여, 이의 부착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부착성 평가는 크로스 컷 시험(Cross-cut)으로 실시되며, ASTM D 3359 분류 기준에 따라, 결과를 평가한 뒤, 이의 3회 평균값을 표 8에 나타내었다.
부착성 부착성
실시예1 5B 비교예8 3B
실시예2 5B 비교예9 2B
실시예3 5B 비교예10 3B
실시예4 5B 비교예11 3B
비교예1 5B 비교예12 3B
비교예2 2B 비교예13 3B
비교예3 5B 비교예14 3B
비교예4 2B 비교예15 3B
비교예5 2B 비교예16 3B
비교예6 3B 비교예17 3B
비교예7 2B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항균 조성물의 부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항균 섬유원단의 인장강도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원단 각각을 시편으로 하여, 미국재료시험협회규격 ASTM D 5034에 따른 인장강도 측정장치의 하부 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상부 클램프를 위로 이동시키면서 시편이 파단될 때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3회 반복한 결과의 평균을 표 9[단위 : kgf/inch]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인장강도
실시예1 284 비교예8 121
실시예2 310 비교예9 110
실시예3 305 비교예10 156
실시예4 286 비교예11 208
비교예1 242 비교예12 209
비교예2 220 비교예13 210
비교예3 115 비교예14 214
비교예4 246 비교예15 226
비교예5 110 비교예16 241
비교예6 140 비교예17 221
비교예7 95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항균 섬유원단의 경우,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항균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균 섬유원단은, 우수한 항균 성능, 강도 및 부착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섬유 기재 원단; 및
    상기 섬유 기재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은
    편백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매실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아연 및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무기물;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산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것이되,
    상기 항균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추출물 10 ~ 30 중량%, 복합 무기물 20 ~ 30 중량%, 바인더 5 ~ 20 중량%, 실리콘계 분산제 1 ~ 7 중량% 및 유기 용매 10 ~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20,000 ~ 18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분산제는
    상기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를 1 : 10 ~ 15 : 10 ~ 15 : 0.01 ~ 0.1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보조 계면활성제, 소포제, 안료, 킬레이트화제, 가소제, 경화제, 필름형성제, 증점제, 향기 성분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6. 제 1 항의 항균 섬유원단으로 형성되어,
    캠핑용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항균 성능을 갖는 캠핑용품 파우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용품은
    조리도구 및 코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을 갖는 캠핑용품 파우치.
KR1020210089031A 2021-07-07 2021-07-07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 KR10238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031A KR102384660B1 (ko) 2021-07-07 2021-07-07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031A KR102384660B1 (ko) 2021-07-07 2021-07-07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660B1 true KR102384660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031A KR102384660B1 (ko) 2021-07-07 2021-07-07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5418A (zh) * 2023-01-05 2023-05-23 江苏新瑞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织物抗菌整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578A (ja) * 1997-12-04 1999-06-29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加工繊維類の製造法
KR200480065Y1 (ko) 2014-04-24 2016-04-07 최상길 수납 가변식 캠핑용 가방
KR20190056979A (ko) * 2017-11-16 2019-05-2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신규한 용도
KR102263195B1 (ko) * 2020-11-24 2021-06-11 주식회사 올리 항균원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578A (ja) * 1997-12-04 1999-06-29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加工繊維類の製造法
KR200480065Y1 (ko) 2014-04-24 2016-04-07 최상길 수납 가변식 캠핑용 가방
KR20190056979A (ko) * 2017-11-16 2019-05-2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신규한 용도
KR102263195B1 (ko) * 2020-11-24 2021-06-11 주식회사 올리 항균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5418A (zh) * 2023-01-05 2023-05-23 江苏新瑞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织物抗菌整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660B1 (ko) 캠핑용품 파우치용 항균 섬유원단 및 이로 형성된 캠핑용품 파우치
Okigbo et al. Biological control of rot-inducing fungi of water yam (Dioscorea alata) with Trichoderma harzianum, Pseudomonas syringae and Pseudomonas chlororaphis
US20230183917A1 (en) Fabric comprising graphene, method of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Montazer et al. Durable anti-bacterial nylon carpet using colloidal nano silver
CN113395961A (zh) 具有抗微生物性质的织造物、非织造物、棉、共混的非织造物-棉、聚乙烯和聚丙稀和聚苯乙烯口罩、伤口敷料、内裤、胸罩、手帕、垫、擦洗垫、一次性手术服、一次性片
CN103668945A (zh) 纺织品专用防螨抗菌剂
CN110273218A (zh) 一种艾草纤维床上用品及其制备方法
TW201138627A (en) Composition, antibacterial processing agent and antibacterial molded article
Nosál et al. Anti-bacterial and anti-mold efficiency of silver nanoparticles present in melamine-laminated particleboard surfaces
CN105996619A (zh) 一种防螨抗菌竹凉席及其生产工艺
KR102084663B1 (ko) 군용 의류대 및 그 제조방법
CN109479896A (zh) 抗菌组合物及其在制备抗菌纺织品中的应用
CN107502973A (zh) 一种用于保健护肩的远红外线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104955487A (zh) 含金属衍生物的抗菌涂层通过暴露在水性过氧化氢下再生
CN101463557A (zh) 一种棉麻织物无机纳米抗菌整理剂及其制备方法
CN109749250A (zh) 抗菌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抗菌材料
KR102026086B1 (ko) 발열성 합성솜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성 합성솜의 제조방법
KR102528419B1 (ko) 향취 및 항균 성능이 우수한 식품 포장용 종이 포장지
EP1024694A1 (en) Methods of controlling house dust mites and bedmites
KR102463743B1 (ko) 항균 효과를 갖는 작업용 장갑
KR20160147496A (ko) 옻 성분 강화 천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옻 성분 강화 직물
KR101196921B1 (ko) 황토 페인트의 제조방법
Huang et al. One-Bath Application of Repellent and Antimicrobial Finishes to Nonwoven Surgical Gown Fabrics.
US20230292977A1 (en) Antiviral and/or antibacterial abrasive blanket, antiviral and/or antibacterial cleaning spong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viral and/or antibacterial abrasive blanket and for manufacturing an antiviral and/or antibacterial cleaning sponge, and use of an antiviral and/or antibacterial abrasive blanket and of an antiviral and/or antibacterial cleaning sponge
CN216535037U (zh) 一种竖纹拼合木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