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501B1 - 커넥터 핀 벤딩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핀 벤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501B1
KR102384501B1 KR1020210123224A KR20210123224A KR102384501B1 KR 102384501 B1 KR102384501 B1 KR 102384501B1 KR 1020210123224 A KR1020210123224 A KR 1020210123224A KR 20210123224 A KR20210123224 A KR 20210123224A KR 102384501 B1 KR102384501 B1 KR 10238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in
support
connector p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웅
배병흠
김창선
남성식
양재유
오세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21012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벤딩 장치는 커넥터 핀의 상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핀의 벤딩 지점을 지지하는 핀 지지부와, 상기 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커넥터 핀을 벤딩시키는 핀 벤딩부와,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를 기울이는 틸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핀 벤딩 장치 {Connector Pin Be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넥터 핀 벤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커넥터 핀을 개별적으로 벤딩할 수 있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전자 기계 장치들이 개발되어 인간 생활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 기계 장치들은 단순히 기계적인 메커니즘으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제어 방식을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현대 산업에 사용되는 많은 전자 기계 장치들은 별도의 제어반과 같은 외부 기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계 장치들과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다른 기기들과 다양하게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통상 플라스틱 재질의 커넥터 하우징에 다수개의 커넥터 핀이 삽입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암수 커넥터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내부의 커넥터 핀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제조 장치를 통해 대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핀이 별도의 장치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커넥터 핀 삽입 장치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에 다수개의 커넥터 핀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 제작되고 있다.
이때, 커넥터 핀은 커넥터 하우징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다수개 삽입되는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커넥터 핀을 벤딩하여 커넥터 핀의 돌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커넥터 핀을 벤딩하는 작업 또한 별도의 벤딩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데,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커넥터 핀을 동시에 벤딩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커넥터 핀의 개별적인 벤딩 상태 조절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에 대해 적용할 수 없어 벤딩 작업할 수 있는 작업 대상 커넥터의 종류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또한 개별적인 특정 커넥터 핀에 대한 벤딩 상태를 수작업으로 수정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 핀을 개별적으로 벤딩할 수 있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핀 벤딩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커넥터 핀 벤딩 장치는 커넥터 핀의 상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핀의 벤딩 지점을 지지하는 핀 지지부; 상기 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커넥터 핀을 벤딩시키는 핀 벤딩부; 및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를 기울이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지지부는 지지부 구동모터; 상기 지지부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지지부 편심축; 상기 지지부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커넥터 핀의 벤딩 지점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커넥터 핀을 지지하는 지지 툴; 및 상기 지지 툴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 편심축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 편심축의 편심 회전 운동을 상하 방향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지지 툴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벤딩부는 벤딩부 구동모터; 상기 벤딩부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벤딩부 편심축; 상기 벤딩부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 툴에 의하여 지지된 커넥터 핀을 구부리는 펀치 툴; 일단에 상기 펀치 툴이 고정되고 타단에 롤러 슬라이더가 결합되며, 상기 펀치 툴과 상기 롤러 슬라이더 사이에 상기 벤딩부 편심축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펀치 툴 고정대; 및 상기 롤러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 구동모터가 구동될 때, 상기 롤러 슬라이더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펀치 툴 고정대는 상기 롤러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며, 상기 펀치 툴은 상기 펀치 툴 고정대가 기울어지는 동안 곡선 궤도를 그리며 이동될 수 있다.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가 고정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볼 스크류; 상기 테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고, 양단이 중앙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테이블 가이드; 및 상기 볼 스크류의 볼 스크류 너트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고, 상기 테이블에 상기 볼 스크류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하방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볼 스크류가 구동될 때,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체결돌기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테이블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지면에 대해 틸팅될 수 있다.
커넥터 핀의 이미지를 획득 가능한 센서 모듈; 상기 이미지를 통하여 커넥터 핀의 지면에 대한 폭 방향 기울기를 측정 가능한 제어부;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제어부를 사용자 단말과 연동시키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커넥터 핀의 이미지 정보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획득된 커넥터 핀의 기울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의 틸팅 방향 및 틸팅 정도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달받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가 틸팅되도록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고, 상기 틸팅부에 의한 틸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핀 벤딩 장치의 벤딩 유닛은 복수 개의 커넥터 핀을 개별적으로 벤딩할 수 있으므로 각 커넥터 핀의 벤딩 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벤딩부 구동모터와 커넥터 핀의 벤딩 지점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커넥터 핀의 물성 때문에 벤딩부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고장 방지 및 커넥터 핀 벤딩 장치의 수명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치 툴이 곡선 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커넥터 핀의 벤딩 지점에 강하고 효과적으로 굽힘 모멘트를 가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핀의 두께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커넥터 핀을 구부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틸팅부를 이용하여 의도치 않게 경사지게 삽입된 커넥터 핀을 교정하거나 의도적으로 커넥터 핀의 굽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치 툴의 이동속도를 상향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커넥터 핀을 구부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벤딩 유닛의 분리가 용이하여 핀 지지부나 핀 벤딩부에 대한 점검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핀 벤딩 장치의 일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핀 벤딩 장치의 핀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핀 지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핀 벤딩 장치의 핀 벤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핀 벤딩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8은 커넥터 핀을 구부리기 위하여 도 1의 벤딩 유닛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핀 벤딩부의 곡선 궤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 핀 벤딩 장치에서 벤딩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틸팅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틸팅부를 조립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틸팅부에 의하여 테이블 및 벤딩 유닛이 기울어져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 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 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핀 벤딩 장치의 일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할 때, 커넥터 핀 벤딩 장치(1)는 커넥터 하우징(Q)(또는, "하우징")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삽입된 다수 개의 커넥터 핀(P)을 각각 개별적으로 벤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커넥터 핀 벤딩 장치(1)는 베이스(10), 테이블(20), 벤딩 유닛(30), 하우징 이송부(40)(또는, "이송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핀 벤딩 장치(1)는 틸팅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지면과 나란하고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 가능한 평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11)와, 하부 플레이트(11)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와 상부 플레이트(13)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를 연결하며 하부 플레이트(11) 상에서 상부 플레이트(13)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12)와, 상부 플레이트(13)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 격벽(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격벽(14)은 지면에 수직하게 서있을 수 있고 수평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10)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구조물에 해당될 수 있으며, 테이블(20)과 벤딩 유닛(30)과 틸팅부(300)를 지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베이스(10)에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1)의 구성들이 결합(또는,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테이블(20)은 베이스(1)에 장착될 수 있다. 테이블(20)은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테이블(20)은 베이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이블(20)은 베이스(10)에 이동 불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될 수도 있다.
테이블(20)은 지면에 대략 나란한(또는, 수평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21)와, 지지 플레이트(21)의 상면 상에 고정되고 지면에 수직한 판상의 고정 격벽(23)과, 지지 플레이트(21)의 양 단(예: 전단 및 후단)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수평 방향(예: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22) 각각은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 격벽(14) 각각과 마주할 수 있다.
테이블(20)에 벤딩 유닛(30)이 배치(또는, 설치)될 수 있다. 벤딩 유닛(30)은 테이블(20)에 고정될 수 있다. 벤딩 유닛(30)은 고정 격벽(23)에 설치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벤딩 유닛(30)이 설치된 상태의 고정 격벽(23)의 하단은 지지 플레이트(21)에 고정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고정 격벽(23)의 하단은 지지 플레이트(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이송부(40)는 복수의 커넥터 핀(P)이 벤딩 유닛(30)에 의해 하나씩 벤딩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Q)을 벤딩 작업을 위한 정위치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핀(P)이 삽입된 커넥터 하우징(Q)은 별도의 컨베이어를 따라 일정한 흐름으로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공급되는 커넥터 하우징(Q)은 하우징 이송부(40)에 의하여 파지되어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이송부(40)는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Q)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커넥터 핀(P)이 각각 벤딩 유닛(30)에 의하여 벤딩되도록 일정 간격(예: 복수의 커넥터 핀 사이의 간격) 만큼씩 커넥터 하우징(Q)을 분할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이송부(40)는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수단에 해당될 수 있다.
커넥터 핀(P)의 단면은 사각형(예: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 핀(P)의 단면은 원형일 수도 있다.
벤딩 유닛(30)은 커넥터 핀(P)을 벤딩할 수 있다. 벤딩 유닛(30)은 지면과 나란하게 뻗은 커넥터 핀(P)을 그 일부분이 지면에 수직하도록 90°로 벤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 유닛(30)은 지면과 나란하게 뻗은 커넥터 핀(P)을 그 일부분이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벤딩할 수 있고, 상기 소정 각도는 0°초과 90°이하의 각도일 수 있다.
벤딩 유닛(30)은 커넥터 핀(P)의 벤딩 지점을 지지하는 핀 지지부(100)와, 핀 지지부(100)에 의하여 지지된 커넥터 핀(P)을 벤딩시키는 핀 벤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핀 지지부(100)는 벤딩 작업의 대상이 되는 커넥터 핀(P)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핀 벤딩부(200)는 벤딩 작업의 대상이 되는 커넥터 핀(P)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핀 지지부(100)는 그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격벽(23)에 결합될 수 있다. 핀 벤딩부(200)는 그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격벽(23)에 결합될 수 있다. 핀 지지부(100)와 핀 벤딩부(200)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틸팅부(300)는 핀 지지부(100)와 핀 벤딩부(200)를 기울일 수 있다. 틸팅부(300)는 지면과 나란한 평면에 대하여 테이블(20)을 기울임으로써 핀 지지부(100)와 핀 벤딩부(200)를 지면(또는, 지면과 나란한 평면)에 대하여 기울일 수 있다.
틸팅부(300)는 베이스(10)와 테이블(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부(300)는 베이스(10)와 테이블(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틸팅부(300)는 테이블(20)을 베이스(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틸팅부(300)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3은 도 1의 핀 벤딩 장치의 핀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핀 지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핀 벤딩 장치의 핀 벤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핀 벤딩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8은 커넥터 핀을 구부리기 위하여 도 1의 벤딩 유닛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핀 벤딩부의 곡선 궤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9를 참조할 때, 핀 지지부(100)는 지지부 구동모터(110), 지지부 편심축(130)(또는, "지지부 크랭크축"), 지지 툴(160), 지지 툴 고정대(140), 고정대 가이드(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 구동모터(110)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 구동모터(110)는 스텝 모터(step motor)의 일종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 구동모터(110)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에 해당될 수 있다.
핀 지지부(100)는 지지구조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 구동모터(110)는 지지구조체(12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구조체(120)의 타측이 고정 격벽(23)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부 구동모터(110)는 고정 격벽(23)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 편심축(130)은 지지구조체(120)를 관통할 수 있다. 지지부 편심축(130)은 고정 격벽(23)에 수직한 방향(예: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 편심축(130)은 지지부 구동모터(110)의 회전축과 연결 및/또는 결합될 수 있고, 지지부 구동모터(11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지지부 편심축(130)은 지지부 구동모터(110)의 회전축과 중심이 일치하여 동축 회전하는 동심부분(131)과, 지지부 구동모터(110)의 회전축 및/또는 동심부분(131)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하는 편심부분(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동심부분(131)과 편심부분(132)은 대략 단면이 원형인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편심부분(132)은 동심부분(13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동심부분(131)과 편심부분(13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심부분(132)과 동심부분(131)은 별개물이고, 편심부분(132)은 동심부분(13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동심부분(131)은 지지부 편심축(130)의 일단을 형성할 수 있고, 편심부분(132)은 지지부 편심축(130)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 편심축(130)의 일단을 형성하는 동심부분(131)의 일단은 지지부 구동모터(110)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부 편심축(130)의 타단을 형성하는 편심부분(132)의 일단은 지지 툴 고정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툴 고정대(140)는 고정대 바디(141)와, 고정대 바디(141)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툴 고정대(140)는 지지부 편심축(13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툴 고정대(140)는 지지부 편심축(130)의 편심부분(13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 편심축(130)의 편심부분(132)은 지지 툴 고정대(140)의 결합홈(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 편심축(13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부 구동모터(110)에 의하여 구동될 때, 편심부분(132)은 동심부분(131)의 중심 및/또는 지지부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또는, 공전)하게 된다. 이때, 편심부분(132)은 위아래를 왕복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편심부분(132)에 결합된 지지 툴 고정대(140) 역시 편심부분(132)의 회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대 가이드(150)는 지지 툴 고정대(1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고정대 가이드(150)는 가이드 레일(151)과 가이드 블록(15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 가이드(150)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리니어모션(Linear Motion) 가이드에 해당될 수 있다.
지지 툴 고정대(140)(예: 고정대 바디(141))는 고정 격벽(23)과 마주할 수 있고, 고정대 가이드(150)는 지지 툴 고정대(140)와 고정 격벽(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152)은 고정대 바디(141)에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151)은 고정 격벽(23)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52)은 가이드 레일(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격벽(23)의 일면에는 지지구조체(120)가 고정될 수 있고, 고정 격벽(23)의 일면과 반대되는 고정 격벽(23)의 타면에는 고정대 가이드(150)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 편심축(130)은 고정 격벽(2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툴(160)은 지지 툴 고정대(140)의 일단(예: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툴(160)은 고정대 바디(141)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대 바디(141)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 툴(16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이 고정대 바디(141)에 고정되는 핑거(161)와, 핑거(161)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커넥터 핀(P)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161)와 지지돌기(162)는 연결될 수 있다. 핑거(161)와 지지돌기(16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툴(160)은 커넥터 핀(P)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툴(160)(예: 지지돌기(162))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커넥터 핀(P)의 상면에 접촉되어 커넥터 핀(P)을 지지할 수 있다.
핀 벤딩부(200)는 벤딩부 구동모터(210), 벤딩부 편심축(230)(또는, "벤딩부 크랭크축"), 펀치 툴(260), 펀치 툴 고정대(240), 홀더(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 구동모터(210)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벤딩부 구동모터(210)는 스텝 모터(step motor)의 일종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부 구동모터(210)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에 해당될 수 있다.
핀 벤딩부(200)는 지지구조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 구동모터(210)는 지지구조체(22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구조체(220)의 타측이 고정 격벽(23)에 고정됨으로써 밴딩부 구동모터(210)는 고정 격벽(23)에 고정될 수 있다.
벤딩부 편심축(230)은 지지구조체(220)를 관통할 수 있다. 벤딩부 편심축(230)은 고정 격벽(23)에 수직한 방향(예: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벤딩부 편심축(230)은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축과 연결 및/또는 결합될 수 있고, 벤딩부 구동모터(21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벤딩부 편심축(230)은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축과 중심이 일치하여 동축 회전하는 동심부분(231)과,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축 및/또는 동심부분(231)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하는 편심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동심부분(231)과 편심부분(232)은 대략 단면이 원형인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편심부분(232)은 동심부분(23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동심부분(231)과 편심부분(23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심부분(232)과 동심부분(231)은 별개물이고, 편심부분(232)은 동심부분(23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동심부분(231)은 벤딩부 편심축(230)의 일단을 형성할 수 있고, 편심부분(232)은 벤딩부 편심축(230)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벤딩부 편심축(230)의 일단을 형성하는 동심부분(231)의 일단은 벤딩부 구동모터(210)에 결합될 수 있고, 벤딩부 편심축(230)의 타단을 형성하는 편심부분(232)의 일단은 펀치 툴 고정대(240)에 결합될 수 있다.
벤딩부 편심축(230)은 고정 격벽(23)을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격벽(23)은 벤딩부 편심축(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23a)을 포함할 수 있고, 벤딩부 편심축(230)은 관통홀(23a)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구조체(220)가 고정되는 고정 격벽(23)의 일면과 반대측인 고정 격벽(23)의 타면 측에서 노출될 수 있다. 관통홀(23a)을 통과한 벤딩부 편심축(230)의 일단(예: 편심부분(232))은 펀치 툴 고정대(240)에 결합될 수 있다.
펀치 툴 고정대(240)는 고정대 바디(241)와, 고정대 바디(241)의 일단에 결합되는 롤러 슬라이더(243)와, 고정대 바디(241)에 형성되는 관통홀(242)을 포함할 수 있다. 펀치 툴 고정대(240)는 일 방향(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펀치 툴 고정대(240)는 고정 격벽(23)을 기준으로 벤딩부 구동모터(210)와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대 바디(241)에 형성된 관통홀(242)은 고정 격벽(23)에 형성된 관통홀(23a)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대 바디(241)에 형성된 관통홀(242)과 고정 격벽(23)에 형성된 관통홀(23a)은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벤딩부 편심축(230)에 의하여 관통될 수 있다.
고정대 바디(241)는 일 방향(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대 바디(241)는 관통홀(242)에 삽입되는 벤딩부 편심축(230)의 편심부분(232)과 결합될 수 있다. 편심부분(232)은 고정대 바디(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대 바디(241)는 벤딩부 편심축(230)이 회전될 때, 편심부분(232)과 함께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동할 수 있다.
롤러 슬라이더(243)는 고정대 바디(241)의 일단(예: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슬라이더(243)는 고정대 바디(241)의 일단(예: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250)는 롤러 슬라이더(24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250)는 롤러 슬라이더(24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 격벽(23)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250)는 지지구조체(220)가 고정되는 고정 격벽(23)의 일면과 반대 측인 고정 격벽(23)의 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250)는 롤러 슬라이더(243)와 결합될 수 있다. 홀더(250)는 롤러 슬라이더(24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251)을 형성할 수 있다. 롤러 슬라이더(243)는 홀더(250)의 슬라이드 홈(25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롤러 슬라이더(243)는 벤딩부 편심축(230)(예: 편심부분(232))에 의하여 고정대 바디(241)가 회동될 때, 슬라이드 홈(251)을 따라 수평 방향(예: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펀치 툴(260)은 펀치 툴 고정대(240)(예: 고정대 바디(241))의 일단(예: 전단)에 고정될 수 있다. 펀치 툴(260)은 관통홀(242)(또는, 벤딩부 편심축(230)의 편심부분(232))을 사이에 두고 롤러 슬라이더(243)와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펀치 툴(260)과 롤러 슬라이더(243) 사이에 벤딩부 편심축(230)의 일단(예: 편심부분(232))이 관통홀(24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펀치 툴(260)은 일 방향(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예: 후단)이 고정대 바디(241)에 고정되는 핑거(261)와, 핑거(261)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커넥터 핀(P)을 가압하여 구부리는 펀치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펀치돌기(262)의 일단(예: 전단)은 핑거(261)의 일단(예: 전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펀치돌기(262)는 펀치 툴(260)의 전단을 형성할 수 있다. 핑거(261)와 펀치돌기(262)는 연결될 수 있다. 핑거(261)와 펀치돌기(26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대 바디(241)가 회동될 때, 펀치 툴(260)은 곡선 궤도(S)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부 구동모터(210)가 일 방향으로 구동될 때, 펀치 툴 고정대(240)(예: 고정대 바디(241))는 롤러 슬라이더(24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지면과 나란한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질(또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펀치 툴 고정대(240)(또는, 고정대 바디(241))가 일단(예: 후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는 동안, 펀치 툴 고정대(240)(또는, 고정대 바디(241))의 타단(예: 전단)은 곡선 궤도를 그리며 이동될 수 있고, 펀치 툴 고정대(240)(또는, 고정대 바디(241))의 타단에 고정된 펀치 툴(260) 역시 곡선 궤도(S)를 그리며 이동될 수 있다. 커넥터 핀(P)은 곡선 궤도(S)를 그리며 이동하는 펀치 툴(260)에 의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벤딩부 편심축(230)의 편심부분(232)의 중심(C)과 롤러 슬라이더(243)의 중심(M)과 펀치 툴(260)의 일단(P)(예: 전단)은 대략 일 방향(또는, 고정대 바디(241)가 연장되는 방향)(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위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한편, 펀치 툴(260)의 일단(P)(예: 전단)의 궤도(S)는 아래와 같다. 이러한 궤도방정식은 equations of the coupler curves of Berard에 의하여 유도될 수 있다.
커넥터 핀 벤딩 장치(1)를 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축(O)을 원점(O)으로 하고 지면과 나란하게(또는, 수평하게) 일 방향(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과 지면과 수직하게(또는, 수직하게) 타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갖는 xy평면에 대하여, 펀치 툴의 곡선 궤도의 함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07016530-pat00001
Figure 112021107016530-pat00002
Figure 112021107016530-pat00003
이때,
Figure 112021107016530-pat00004
은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축(O)으로부터 편심부분(232)의 중심(C)까지의 거리(또는, 편심부분(232) 중심의 공전 궤도의 반지름),
Figure 112021107016530-pat00005
은 편심부분(232)의 중심(C)으로부터 롤러 슬라이더(243)의 중심(M)까지의 거리,
Figure 112021107016530-pat00006
은 편심부분(232)의 중심(C)으로부터 펀치 툴(260)의 일단(P)(예: 전단)까지의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벤딩부 구동모터(210)가 한바퀴 회전할 때, 펀치 툴(260)의 일단(P)은 식 (1)과 식 (2)에 따른 곡선 궤도(S)를 한바퀴 일주할 수 있다. 벤딩부 구동모터(210)가 360°미만의 각도만큼 회전할 때, 펀치 툴(260)의 일단(P)은 식 (1)과 식 (2)에 따른 곡선 궤도(S)의 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펀치 툴(260)의 일단(P)은 식 (2)에 따른 곡선 궤도(S)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벤딩 유닛(30)이 커넥터 핀(P)을 벤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 이송부(40)는 구부리고자 하는 커넥터 핀(P)의 상부에 지지 툴(160)이 위치되고 구부리고자 하는 커넥터 핀(P)의 하부에 펀치 툴(260)이 위치되도록 하우징(Q)을 이송할 수 있다.
핀 지지부(100)는 지지부 구동모터(1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툴(160)(예: 지지돌기(162))이 커넥터 핀(P)에 접촉되게 지지 툴(1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 툴(160)에 접촉되는 부분은 벤딩 지점에 해당될 수 있다.
핀 벤딩부(200)는 벤딩부 구동모터(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평하게 놓여있던 펀치 툴(260)(예: 펀치돌기(262))을 곡선 궤도(S)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펀치 툴(260)은 곡선 궤도(S)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커넥터 핀(P)을 설정된 각도만큼 벤딩할 수 있다.
커넥터 핀(P)의 벤딩이 완료되면, 지지부 구동모터(110)와 벤딩부 구동모터(210)는 각각 일방향과 반대인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지지 툴(160)과 펀치 툴(260)은 원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다.
하우징 이송부(40)는 구부러진 커넥터 핀(P)의 옆에 있는 다음 커넥터 핀이 지지 툴(160)과 펀치 툴(260)에 대응되도록 커넥터 하우징(Q)을 이송할 수 있다. 벤딩 유닛(30)은 그 전에 구부린 커넥터 핀과 같거나 다른 각도로 커넥터 핀을 구부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핀 벤딩 장치(1)는 복수 개의 커넥터 핀(P)을 개별적으로 벤딩할 수 있으므로, 각 커넥터 핀(P)의 벤딩 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벤딩부 편심축(230)(예: 편심부분(232))과 롤러 슬라이더(243)와 펀치 툴(260)이 대략 일직선상에 배치됨에 따라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축과 커넥터 핀(P)의 벤딩 지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커넥팅 핀(P)의 내부응력에 의하여 벤딩부 구동모터(210)에 가해지는 부하는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펀치 툴 고정대(240)는 벤딩부 편심축(230)의 편심 회전 운동을 비원형 곡선 궤도 운동(S)으로 변환할 수 있다. 비원형 곡선 궤도 운동을 하는 펀치 툴(260)은 커넥터 핀(P)이 설정한 각도(예: 90°)만큼 구부러지는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벤딩부 편심축(230)의 편심 회전 궤도(즉, 편심부분 중심(C)의 공전 궤도)와 같은 원형 궤도 운동을 하는 펀치 툴보다 벤딩 지점에서 더 멀리 이격된 커넥터 핀의 일 지점까지 상방 이동되면서 커넥터 핀에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벤딩 지점에 더욱 강하고 효과적으로 굽힘 모멘트를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두꺼운 커넥터 핀이라 하더라도 그 두께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커넥터 핀을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핀이 90°로 구부러지는 지점까지 곡선 궤도(S)를 따라 이동하는 펀치 툴의 일단이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편심 회전이 90°만큼 회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작으므로 하나의 커넥터 핀(P)을 구부리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 격벽(23)의 상단부에 핀 지지부(100)(예: 지지부 구동모터 및 지지 툴 고정대 등)가 결합되고 고정 격벽(23)의 하단부에 핀 벤딩부(200)(예: 벤딩부 구동모터 및 펀치 툴 고정대 등)가 결합됨에 따라서 벤딩 유닛(30)의 모든 구성이 하나의 고정 격벽(23)에 설치(및/또는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테이블(20)에서 고정 격벽(23) 만을 분리하면 벤딩 유닛(30) 전체를 커넥터 핀 벤딩 장치(1)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벤딩 유닛(30)을 원하는 작업 환경으로 운반한 후 핀 지지부(100)나 핀 벤딩부(200)에 대한 점검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 핀 벤딩 장치에서 벤딩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틸팅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틸팅부를 조립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틸팅부에 의하여 테이블 및 벤딩 유닛이 기울어져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14를 참조할 때, 틸팅부(300)는 볼 스크류 어셈블리(310)와, 체결돌기(320)와, 테이블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300)는 테이블(20)을 지면(또는, 지면과 나란한 평면)에 대하여 기울일 수 있다.
볼 스크류 어셈블리(310)는 베이스(10)(예: 상부 플레이트(13))에 배치(또는, 고정)될 수 있다. 볼 스크류 어셈블리(310)는 한 쌍의 지지 격벽(1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격벽(14)은 볼 스크류 어셈블리(310)에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부분들(예: 볼 스크류 너트(313))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볼 스크류 어셈블리(310)는 틸팅부 구동모터(311)와, 볼 스크류(312,313)(또는, "볼 스크류 이송장치")와, 너트 가이드(314)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스크류(312,313)는 스크류(312)와, 볼 스크류 너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 구동모터(311)와 볼 스크류(312,313)는 당업계에 널리 쓰이는 통상적인 수단일 수 있다.
틸팅부 구동모터(311)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틸팅부 구동모터(311)는 스텝 모터(step motor)의 일종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틸팅부 구동모터(311)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에 해당될 수 있다.
볼 스크류(312,313)는 틸팅부 구동모터(31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볼 스크류(312,313)(또는, 스크류(312))는 일 방향(예: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크류(312)의 일단은 틸팅부 구동모터(311)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312)는 틸팅부 구동모터(311)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볼 스크류 너트(313)는 스크류(3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틸팅부 구동모터(311)가 회전될 때 볼 스크류 너트(313)는 스크류(3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너트 가이드(314)는 가이드 블록(314b)과 가이드 레일(314a)을 포함하는 리니어모션 가이드일 수 있다. 너트 가이드(314)는 볼 스크류 너트(313)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너트 가이드(314)는 볼 스크류 너트(313)와 베이스(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4a)은 스크류(3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14b)은 볼 스크류 너트(313)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314a)은 베이스(10)의 상부 플레이트(13)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14b)은 가이드 레일(31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는 볼 스크류 너트(3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는 볼 스크류 너트(313)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는 볼 스크류 너트(313)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디 프레임(321)과, 바디 프레임(3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32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322)는 바디 프레임(32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21)은 볼 스크류 너트(313)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테이블(20)은 지지 플레이트(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체결돌기(3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홈(24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블(20)은 지지 플레이트(21)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방을 향해 개방되는 체결홈(24a)을 형성하는 체결홀더(24)를 포함할 수 있고, 체결돌기(320)의 롤러(322)는 체결홈(2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체결홈(24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롤러(322) 역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체결돌기(320)의 롤러(322)는 체결홈(24a)을 형성하는 체결홀더(24)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체결돌기(320)(예: 롤러(322))는 체결홀더(24)와 결합된 상태에서 볼 스크류 너트(313)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이블(20)을 좌우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테이블 가이드(330)는 테이블(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테이블 가이드(330)는 가이드 레일(331)과 가이드 블록(3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32)은 가이드 레일(3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테이블 가이드(330)는 복수의(또는, 한 쌍의) 테이블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가이드(330)는 베이스(10)와 테이블(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20)의 플랜지(22)는 베이스(10)의 지지 격벽(14) 외측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지지 격벽(14)과 중첩될 수 있고 지지 격벽(14)을 마주할 수 있다. 테이블 가이드(330)는 지지 격벽(14)과 플랜지(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331)은 지지 격벽(14)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 블록(332)은 플랜지(22)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테이블 가이드(330)의 가이드 레일(331)은 양단(예: 좌측단과 우측단)이 중앙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블록(332)은 가이드 레일(33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예: 롤러(322))가 체결홀더(24)와 결합된 상태에서 볼 스크류 너트(313)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이블(20)을 좌우 방향으로 가압할 때, 테이블(20)은 테이블 가이드(330)의 가이드 레일(331)을 따라 스윙 궤도로 움직임으로써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테이블(20)이 좌우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331)을 따라 이동할 때, 체결홀더(24)의 지면(또는, 상부 플레이트(13))로부터의 높이와 기울기가 변화된다.
체결돌기(320)의 롤러(322)는 체결홀더(24)의 높이 변화에 따라 체결홈(24a) 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체결홀더(24)는 기울어짐에 따라서 롤러(322)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체결돌기(320)는 체결홀더(24)의 높이 및 기울기에 관계없이 체결홈(24a)에 삽입 및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테이블(20)의 틸팅과 관계없이 체결돌기(320)와 체결홀더(24)는 서로 결합 및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틸팅부 구동모터(311)의 동력이 즉각적으로 테이블(20)에 전달될 수 있다.
테이블에 마련되는 랙과 틸팅부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피니언의 결합을 통해 테이블의 틸팅을 구현하는 방식의 경우, 랙과 피니언 사이의 백래시(또는, 유격)에 의하여 동력 전달에 딜레이가 생길 수 있고 백래시로 인하여 틸팅 후 테이블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틸팅부(300)는 체결돌기(320)와 체결홀더(24)의 접촉 및 결합이 항상 유지될 수 있으므로, 동력이 즉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틸팅 후 테이블(20)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1)의 구동에 있어서 틸팅부(300)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4의 (a)와 같이, 의도치 않게 커넥터 핀(P)이 지면과 나란하게 이송되는 하우징(Q)에 경사지게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의도치 않게 커넥터 핀(P)은 폭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지면 및/또는 하우징(Q)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을 지면 및/또는 하우징(Q)과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벤딩 유닛(30)을 작동시키면 커넥터 핀(P)의 형상 때문에 커넥터 핀(P)을 지면에 수직하게 구부리지 못한다.
도 14의 (b)와 같이, 틸팅부(300)가 커넥터 핀(P)이 경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벤딩 유닛(30)을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틸팅한 후 벤딩 유닛(30)을 작동시키면, 지지 툴(160) 및 펀치 툴(260)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서 경사지게 배치된 커넥터 핀(P)은 지면 및/또는 하우징(Q)에 수직하게 벤딩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틸팅부(300)를 이용하여 테이블(20)과 벤딩 유닛(30)(예: 핀 지지부(100) 및 핀 벤딩부(200))을 경사지게 기울임으로써 하우징(Q)에 경사지게 삽입된 커넥터 핀(P)을 지면(P) 및/또는 하우징(Q)에 수직하게 벤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4의 (c)와 같이 틸팅부(300)는 커넥터 핀(P)의 폭(또는, 하면)과 나란하도록 커넥터 핀(P)의 배치각도와 같은 각도로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을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벤딩 유닛(30)을 구동함으로써 커넥터 핀(P)을 수직 방향에서 기울어진 일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벤딩 유닛(30)은 커넥터 핀(P)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커넥터 핀(P)을 구부릴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 벤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커넥터 핀 벤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핀 벤딩 장치의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할 때, 커넥터 핀 벤딩 장치(1)는 센서 모듈(50)과, 제어부(70)와, 통신 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핀 벤딩 장치(1)는 사용자 단말(2)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 모듈(50)은 벤딩 유닛(3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은 하우징(Q)에 삽입된 상태인 커넥터 핀(P)(또는, "제1 커넥터 핀")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하우징 이송부(40), 센서 모듈(50), 통신 모듈(60), 틸팅부(300), 핀 지지부(100), 핀 벤딩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센서 모듈(50)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커넥터 핀(P)이 폭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삽입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커넥터 핀(P)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또는, 폭 방향으로 지면에 대한 커넥터 핀(P)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커넥터 핀(P)의 상면 및/또는 하면이 폭 방향으로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60)을 통해 센서 모듈(50) 및/또는 제어 모듈(70)은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모듈(6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과 무선 연결될 수도 있고, 케이블 등으로 사용자 단말(2)과 유선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60)은 센서 모듈(50)을 통해 획득된 커넥터 핀(P)의 이미지와 제어부(70)를 통해 도출된 커넥터 핀(P)의 기울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구부리고자 하는 커넥터 핀(P)의 이미지와 지면에 대한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틸팅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이 기울어지는 방향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 단말(2) 및 통신 모듈(60)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도록 틸팅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이 기울어지는 정도(또는, 각도)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 단말(2) 및 통신 모듈(60)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틸팅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틸팅 방향, 틸팅 정도에 맞추어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의 틸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벤딩 유닛(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틸팅된 상태에서 벤딩 유닛(30)에 의하여 커넥터 핀(P)의 벤딩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 커넥터 핀(P)(또는, "제2 커넥터 핀")이 정위치에 오도록 하우징 이송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300)는 테이블(20) 및 벤딩 유닛(30)이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틸팅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은 제2 커넥터 핀(P)에 대해서도 제1 커넥터 핀과 같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2 커넥터 핀(P)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2 커넥터 핀이 지면 및/또는 하우징(Q)과 나란하다고(또는, 수평하다고) 판단되면 벤딩 유닛(30)을 구동하여 제2 커넥터 핀을 벤딩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2 커넥터 핀이 기울어져 있다고 판단되면 센서 모듈(50)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정보와 제어부(70)를 통해 도출된 기울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2)에 전달하도록 통신 모듈(6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벤딩 유닛(30)의 작업 속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 단말(2) 및 통신 모듈(60)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지부 구동모터(110)와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지지부 구동모터(110)와 벤딩부 구동모터(210)의 회전속도에 맞추어 하우징 이송부(40)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커넥터 핀 벤딩 장치
10; 베이스
20; 테이블
30; 벤딩 유닛
40; 하우징 이송부
100; 핀 지지부
200; 핀 벤딩부
300; 틸팅부

Claims (6)

  1. 커넥터 핀의 상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핀의 벤딩 지점을 지지하는 핀 지지부; 상기 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커넥터 핀을 벤딩시키는 핀 벤딩부; 및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를 기울이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 지지부는
    지지부 구동모터;
    상기 지지부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지지부 편심축;
    상기 지지부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커넥터 핀의 벤딩 지점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커넥터 핀을 지지하는 지지 툴; 및
    상기 지지 툴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 편심축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 편심축의 편심 회전 운동을 상하 방향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지지 툴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핀 벤딩부는
    벤딩부 구동모터;
    상기 벤딩부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벤딩부 편심축;
    상기 벤딩부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 툴에 의하여 지지된 커넥터 핀을 구부리는 펀치 툴;
    일단에 상기 펀치 툴이 고정되고 타단에 롤러 슬라이더가 결합되며, 상기 펀치 툴과 상기 롤러 슬라이더 사이에 상기 벤딩부 편심축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펀치 툴 고정대; 및
    상기 롤러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 구동모터가 구동될 때,
    상기 롤러 슬라이더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펀치 툴 고정대는 상기 롤러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며, 상기 펀치 툴은 상기 펀치 툴 고정대가 기울어지는 동안 곡선 궤도를 그리며 이동되고,
    상기 커넥터 핀 벤딩 장치는
    커넥터 핀의 이미지를 획득 가능한 센서 모듈;
    상기 이미지를 통하여 커넥터 핀의 지면에 대한 폭 방향 기울기를 측정 가능한 제어부;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제어부를 사용자 단말과 연동시키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커넥터 핀의 이미지 정보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획득된 커넥터 핀의 기울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의 틸팅 방향 및 틸팅 정도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달받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가 틸팅되도록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고,
    상기 틸팅부에 의한 틸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를 구동시키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핀 지지부와 상기 핀 벤딩부가 고정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을 결합시키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볼 스크류;
    상기 테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고, 양단이 중앙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테이블 가이드; 및
    상기 볼 스크류의 볼 스크류 너트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고, 상기 테이블에 상기 볼 스크류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하방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볼 스크류가 구동될 때,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체결돌기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테이블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지면에 대해 틸팅되는 커넥터 핀 벤딩 장치.


  6. 삭제
KR1020210123224A 2021-09-15 2021-09-15 커넥터 핀 벤딩 장치 KR10238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24A KR102384501B1 (ko) 2021-09-15 2021-09-15 커넥터 핀 벤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24A KR102384501B1 (ko) 2021-09-15 2021-09-15 커넥터 핀 벤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501B1 true KR102384501B1 (ko) 2022-04-12

Family

ID=8118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24A KR102384501B1 (ko) 2021-09-15 2021-09-15 커넥터 핀 벤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5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85B1 (ko) * 2011-11-17 2012-05-21 주식회사 시너스 단자 밴딩기
KR101184423B1 (ko) * 2012-05-22 2012-09-20 주식회사 재원 자동 고니오 스테이지
KR101213115B1 (ko) * 2012-09-20 2012-12-18 김근환 커넥터 핀 벤딩 장치
KR101396405B1 (ko) * 2013-02-26 2014-05-19 애니모션텍 주식회사 스테이지 틸팅장치
KR102077616B1 (ko) * 2018-09-04 2020-04-07 주식회사 비텍스 커넥터용 핀 밴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85B1 (ko) * 2011-11-17 2012-05-21 주식회사 시너스 단자 밴딩기
KR101184423B1 (ko) * 2012-05-22 2012-09-20 주식회사 재원 자동 고니오 스테이지
KR101213115B1 (ko) * 2012-09-20 2012-12-18 김근환 커넥터 핀 벤딩 장치
KR101396405B1 (ko) * 2013-02-26 2014-05-19 애니모션텍 주식회사 스테이지 틸팅장치
KR102077616B1 (ko) * 2018-09-04 2020-04-07 주식회사 비텍스 커넥터용 핀 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8833B2 (en) Flexible fixing system for product testing
US200601055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446394A (zh) 整形裝置及其定位機構
EP1715288A1 (en) Surface roughness and/ or contour shape measuring apparatus
US8757036B2 (en) Jig for measuring dimensions of workpiece
CN103817629A (zh) 同步夹紧装置
KR20160038760A (ko) 로봇
CN110722777A (zh) 一种fpc排线折弯装置及折弯传送系统
CN110430950B (zh) 输送装置
KR102384501B1 (ko) 커넥터 핀 벤딩 장치
EP2181800B1 (en) Three dimensional variable-axis machine
CN105583642A (zh) 定位装置
US20130207330A1 (en) Dual-toggle-type mobile platform structure
KR20160111558A (ko) 정밀 이송 구조의 자동 검사 소켓
CN213689193U (zh) 多功能柔性器件可靠性测试平台
TWI474016B (zh) Lightweight correction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JP2018105493A (ja) テーブル装置
KR101213115B1 (ko) 커넥터 핀 벤딩 장치
TW202208100A (zh) 載具機構及其應用之作業設備
JP4249530B2 (ja) パラレルメカニズム利用の位置決め装置
US8231106B2 (en) Synchronous moving device and image measuring apparatus
KR100916786B1 (ko) 패널 이송용 셔틀장치
CN109695624B (zh) 软性显示设备及支撑装置
US7171883B2 (en) Punching apparatus and the punching unit thereof
JP4631678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