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228B1 -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228B1
KR102383228B1 KR1020160170810A KR20160170810A KR102383228B1 KR 102383228 B1 KR102383228 B1 KR 102383228B1 KR 1020160170810 A KR1020160170810 A KR 1020160170810A KR 20160170810 A KR20160170810 A KR 20160170810A KR 102383228 B1 KR102383228 B1 KR 10238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ush rod
base
unit
spo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804A (ko
Inventor
최정남
임성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228B1/ko
Priority to US15/597,542 priority patent/US10300552B2/en
Publication of KR2018006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26Welding of thi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81Electrodes with a seam contacting part shap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nd area, e.g. for making an annular bond without relativ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m between the electrode holder and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푸시로드가 전후진 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상부 내주면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등분되어 밀착된 복수개의 단위용접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로드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단위용접헤드들이 서로 이격되는 용접헤드; 및 상기 베이스의 외주에 구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진 작동하며 용접전류를 상기 용접헤드에 인가하는 용접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ONE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단면을 이루는 차체 패널에 대하여 편방향으로 용접하여 접합할 수 있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용접 라인에서는, 작업 효율이 우수한 저항 점 용접(Resistance Spot Welding), 즉, 스폿 용접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자동화 공정이 요구되는 대량 생산 라인에서는 스폿 용접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스폿 용접은, 한쌍의 용접 전극 사이에 겹쳐진 복수의 패널을 위치시키고,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한 채, 상기 한쌍의 용접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여 복수의 패널을 접합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자동차용 부품 중에는 부품의 형상적인 제약에 의해 용접 전극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부품이 다수 존재하며, 이러한 경우 스폿 용접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편방향 스폿 용접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이란, 통상의 스폿 용접과 달리, 하나의 용접 전극만으로 용접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접지 전극을 통해 통전 경로를 마련한 상태에서, 하나의 용접 전극에 전류 인가와 함께, 상기 하나의 용접 전극으로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복수의 패널을 접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용접 전극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자동차용 부품의 용접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편방향 스폿 용접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즉, 용접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 이상의 가압력이 확보되어야만 하는데, 편방향 스폿 용접의 경우 하나의 용접 전극에 의해 가압력이 부여되는 바, 용접 시 복수의 패널 형상의 뒤틀림 등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폐단면을 이루는 차체 패널에 대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통전에 의해 전기저항을 형성하여 용접열을 발생시켜 용접할 수 있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푸시로드가 전후진 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상부 내주면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등분되어 밀착된 복수개의 단위용접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로드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단위용접헤드들이 서로 이격되는 용접헤드; 및 상기 베이스의 외주에 구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진 작동하며 용접전류를 상기 용접헤드에 인가하는 용접팁을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는 상단부에 원뿔대 형상으로 캠구동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헤드는 원주방향으로 3등분되어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3개의 단위용접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용접헤드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드 홈에 대응하여 하부에 슬라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헤드는 외주면 일측 둘레를 따라 링홈을 형성하여 상기 각 단위용접헤드를 상호 결합한 상태로, 상기 링홈에 스프링 링을 끼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용접헤드 각각은 상기 푸시로드의 캠구동면에 대하여 캠 작동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내면에 경사진 곡면으로 이루어진 캠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와 용접팁은 하부에 구성된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는 푸시로드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외측으로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용접팁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2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양방향 스폿 용접이 불가능한 폐단면을 이루는 차체 패널에 대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통전에 의해 전기저항을 형성하여 용접열을 발생시켜 용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패널 상에 형성된 용접홀에 대하여 용접헤드를 삽입한 후, 용접팁을 가압하여 상기 용접헤드와 용접팁 사이에 대응하는 용접홀의 둘레를 따라 전기저항열에 의해 용접되는 구조로, 상기 용접헤드와 용접팁의 설계 변경에 따라 너겟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의 스폿 용접 건을 사용하면서, 상기 용접헤드와 용접팁 만을 추가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용접한 너겟의 형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개략적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용접한 너겟의 형상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1, 이하, 간단히 '스폿 용접 장치'라 함)는 양방향 스폿 용접이 불가능한 폐구간으로 이루어진 차량 패널을 용접 접합할 때 적용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작동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용접한 너겟의 형상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폿 용접 장치(1)는 베이스(10), 용접헤드(30) 및 용접팁(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는 내부 중심에 관통홀(1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10)의 외면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0)는 사각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는 내부에 푸시로드(20)가 전후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푸시로드(20)는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에 삽입되어 전후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20)는 상단부가 원뿔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푸시로드(20)는 상단부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캠구동면(2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20)는 하단부에 스토퍼(2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부 내주면에 슬라이드 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홈(13)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푸시로드(20)는 하부에 구성되는 실린더(50)에 의해 전후진 작동한다.
상기 실린더(50)의 구성은 이하에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용접헤드(3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용접헤드(30)는 원주방향으로 등분되어 밀착되는 복수개의 단위용접헤드(3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접헤드(30)는 원주방향으로 3등분되어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3개의 단위용접헤드(31)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단위용접헤드(31)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단위용접헤드(31) 각각은 하부에 슬라이드 돌기(33)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단위용접헤드(31) 각각은 상기 베이스(10)의 슬라이드 홈(13)에 대응하여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드 돌기(3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홈(13)과 슬라이드 돌기(33)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홈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체결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홈(13)과 슬라이드 돌기(33)는 상기 홈의 영역만큼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헤드(30)는 외주면 일측 둘레를 따라 링홈(3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접헤드(30)는 각 단위용접헤드(31)를 상호 결합한 상태로, 상기 링홈(37)에 스프링 링(35)을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링(35)은 일측과 타측에 소정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단위용접헤드(31)에 대하여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상기 스프링 링(35)의 일측에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위용접헤드(31) 각각은 내면에 캠면(39)을 형성한다.
이러한 캠면(39)은 상기 푸시로드(20)의 캠구동면(21)에 대하여 캠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단위용접헤드(31) 각각은 서로 대응하는 내면에 경사진 곡면으로 이루어진 캠면(39)을 형성여 상기 푸시로드(20)의 캠구동면(21)에 대하여 캠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접헤드(30)는 상기 푸시로드(20)의 캠 작동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용접이 끝나면, 상기 스프링 링(35)에 의해 다시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용접팁(40)은 상기 베이스(10)의 외측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용접팁(40)은 상기 베이스(10)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팁(40)은 하부의 실린더(50)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며, 별도의 접지로 상기 용접헤드에 대하여 용접전류가 인가된다.
이때, 상기 용접팁(40)에 용접전류가 인가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공지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50)는 2개의 챔버(C1, C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실린더(50)는 푸시로드(20)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1챔버(C1)와, 상기 제1챔버(C1)의 외측으로 격벽(51)에 의해 구획되는 제2챔버(C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챔버(C2)는 상기 용접팁(40)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용접팁(40)에 대하여 공압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린더(50)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20)와 용접팁(40)은 선택적으로 공압이 공급되어 전후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폿 용접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폿 용접 장치(1)를 이용하여 복수의 패널(P)을 접합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패널(P)의 용접홀(H)에 대하여 용접헤드(30)를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푸시로드(20)가 상기 용접헤드(30)를 향하여 전진 작동하면서 상기 각 단위용접헤드(31)를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벌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20)에는 실린더(50)의 제1챔버(C1)를 통해 계속적으로 공압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2챔버(C2)로부터 공압이 공급되어 상기 용접팁(40)이 상기 용접헤드(30) 측으로 전진 작동하여 상기 패널(P)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용접팁(40)은 용접 접합이 끝나기 전까지 상기 제2챔버(C2)로부터 계속해서 공압이 공급되면서 상기 용접헤드(30)에 대하여 패널(P)을 가압한다.
동시에, 상기 용접팁(40)에 용접전류가 흐르며 상기 용접헤드(30)와 용접팁(40) 사이에 대응하는 패널(P)이 전기저항열에 의해 용접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의 너겟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너겟은 상기 용접헤드(30)와 용접팁(40)의 설계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용접이 끝나면, 상기 실린더(50)의 작동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용접헤드(30)는 스프링 링(35)의 복원력에 의해 후진 작동되고, 상기 스폿 용접 장치(1)를 제거하여 마무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폿 용접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개략적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용접한 너겟의 형상이다.
도 5 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폿 용접 장치(1)는 베이스(10), 용접헤드(30) 및 용접팁(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용접팁(4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용접팁(40)은 별도의 접지로 상기 용접헤드에 대하여 용접전류가 인가된다.
이때, 상기 용접팁(40)에 용접전류가 인가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공지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용접팁(40)은 하부의 실린더(50)의 공압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팁(40)은 내부의 관통홀 일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단(4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41)은 베이스(10)의 하단부가 고정되기 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단(41)은 상기 베이스(10)가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돌출되는 영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용접팁(40) 내부의 고정단(4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0)는 복수개의 단위베이스가 원주방향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베이스는 4개 또는 5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단위베이스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10)는 각 단위베이스의 상단부에 걸림단(15)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중심부에 푸시로드(20)가 전후진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20)는 하부에 구성되는 실린더(50)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접팁(40)과 푸시로드(20)를 전후진 작동시키는 실린더(50)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실린더(50)는 2개의 챔버(C1, C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실린더(50)는 푸시로드(20)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1챔버(C1)와, 상기 제1챔버(C1)의 외측으로 격벽(51)에 의해 구획되는 제2챔버(C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챔버(C2)는 상기 용접팁(40)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용접팁(40)에 대하여 공압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린더(50)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20)와 용접팁(40)은 선택적으로 공압이 공급되어 전후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20)는 하단부에 스토퍼(23)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용접헤드(3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용접헤드(30)는 원주방향으로 등분되는 복수개의 단위용접헤드(31)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접헤드(30)는 원주방향으로 4등분되어 반경방향으로 분리되는 4개의 단위용접헤드(3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헤드(30)는 원주방향으로 5등분되어 반경방향으로 분리되는 5개의 단위용접헤드(3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접헤드(30)는 각 단위용접헤드(31)가 4개 또는 5개로 등분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단위용접헤드(31)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용접헤드(30)는 상기 베이스(10)의 걸림단(15)에 대응하여 하부에 걸림홈(15a)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단(15)에 힌지핀(34)을 통해 힌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용접헤드(30)는 각 단위용접헤드(31)의 하단부에 걸림홈(15a)이 형성되어 각 단위베이스의 상단부의 걸림단(15)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헤드(30)는 상기 단위용접헤드(31)의 각 하단부에 상기 푸시로드(20) 측으로 연장되는 체결단(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용접헤드(30)는 상기 체결단(32)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20)와 힌지핀(34)을 통하여 힌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용접헤드(30)는 상기 베이스(10)와 푸시로드(20) 사이에 각각 힌지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용접헤드(30)는 상기 푸시로드(20)의 전진 작동에 의해 방사상으로 전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폿 용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폿 용접 장치(1)를 이용하여 복수의 패널(P)을 접합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패널(P)의 용접홀(H)에 대하여 용접헤드(30)를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푸시로드(20)가 상기 용접헤드(30)에 대하여 전진 작동하면서 상기 단위용접헤드(31) 각각을 방사상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20)는 실린더(50)의 제1챔버(C1)를 통해 계속적으로 공압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2챔버(C2)로부터 공압이 공급되어 상기 용접팁(40)이 상기 용접헤드(30) 측을 전진 작동하여 상기 패널(P)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용접팁(40)은 용접 접합이 끝나기 전까지 상기 제2챔버(C2)로부터 계속해서 공압이 공급되면서 상기 용접헤드(30)에 대하여 패널(P)을 가압한다.
동시에, 상기 용접팁(40)에 용접전류가 흐르며, 상기 용접헤드(30)와 용접팁(40) 사이에 대응하는 패널(P)이 전기저항열에 의해 용접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의 너겟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너겟은 상기 용접헤드(30)와 용접팁(40)의 설계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용접이 끝나면, 상기 실린더(50)의 작동하고 스폿 용접 장치(1)를 패널에 대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폿 용접 장치(1)는 양방향 스폿 용접이 불가능한 폐단면을 이루는 차체 패널(P)에 대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통전에 의해 전기저항을 형성하여 전기저항열을 발생시켜 용접 접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패널(P) 상에 형성된 용접홀(H)에 대하여 용접헤드(30)를 삽입한 후, 용접팁(40)을 가압하여 상기 용접헤드(30)와 용접팁(40) 사이에 대응하는 용접홀(H)의 둘레를 따라 전기저항열에 의해 용접되는 구조로, 상기 용접헤드(30)와 용접팁(40)의 설계 변경에 따라 너겟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의 스폿 용접 건을 사용하면서, 상기 용접헤드(30)와 용접팁(40) 만을 추가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폿 용접 장치 10: 베이스
11: 관통홀 13: 슬라이드 홈
15: 걸림단 15a: 걸림홈
20: 푸시로드 21: 캠구동면
23: 스토퍼 30: 용접헤드
31: 단위용접헤드 32: 체결단
34: 힌지핀 33: 슬라이드 돌기
35: 스프링 링 37: 링홈
39: 캠면 40: 용접팁
41: 고정단 50: 실린더
51: 격벽 C1: 제1챔버
C2: 제2챔버 P: 패널
H: 용접홀

Claims (15)

  1.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푸시로드가 전후진 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상부 내주면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방향으로 3 등분되어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3개의 단위용접헤드를 포함하며, 외주면 일측 둘레를 따라 링홈을 형성하여 상기 각 단위용접헤드를 상호 결합한 상태로, 상기 링홈에 스프링 링을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단위용접헤드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용접헤드; 및
    상기 베이스의 외주에 구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진 작동하며, 용접전류를 상기 용접헤드에 인가하는 용접팁;
    을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는
    상단부에 원뿔대 형상으로 캠구동면을 형성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용접헤드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드 홈에 대응하여 하부에 슬라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용접헤드 각각은
    상기 푸시로드의 캠구동면에 대하여 캠 작동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내면에 경사진 곡면으로 이루어진 캠면을 형성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와 용접팁은
    하부에 배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는
    상기 푸시로드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외측으로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용접팁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2챔버;
    로 구성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8.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용접전류를 인가하는 용접팁;
    상기 용접팁의 내부의 관통홀 일측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푸시로드가 전후진 작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에 걸림단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걸림단에 걸린 상태로, 원주방향으로 등분되는 복수개의 단위용접헤드로 구성된 상태로, 상기 푸시로드에 의해 방사상으로 전개되는 용접헤드;
    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헤드는
    상기 단위용접헤드의 각 하단부에 상기 푸시로드 측으로 연장되는 체결단을 통하여 상기 푸시로드와 힌지핀을 통하여 힌지 체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구성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팁은
    내부의 관통홀 일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단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복수개의 단위베이스가 원주방향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상태로, 상기 각 단위베이스의 상단부에 걸림단이 형성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헤드는
    원주방향으로 4등분되어 반경방향으로 분리되는 4개의 단위용접헤드로 구성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헤드는
    원주방향으로 5등분되어 반경방향으로 분리되는 5개의 단위용접헤드로 구성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헤드는
    상기 단위용접헤드의 각 하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의 걸림단과 힌지핀을 통해 힌지 체결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와 용접팁은
    하부에 배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는
    상기 푸시로드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외측으로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용접팁의 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제2챔버;
    로 구성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KR1020160170810A 2016-12-14 2016-12-14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KR10238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810A KR102383228B1 (ko) 2016-12-14 2016-12-14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US15/597,542 US10300552B2 (en) 2016-12-14 2017-05-17 One-side spot wel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810A KR102383228B1 (ko) 2016-12-14 2016-12-14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04A KR20180068804A (ko) 2018-06-22
KR102383228B1 true KR102383228B1 (ko) 2022-04-05

Family

ID=6248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810A KR102383228B1 (ko) 2016-12-14 2016-12-14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00552B2 (ko)
KR (1) KR1023832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742B1 (ko) * 2001-07-31 200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휠하우스부 용접 장치
KR101459614B1 (ko) * 2013-04-30 2014-11-07 주식회사 신영 차체 마운팅부의 용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6552A (en) * 1931-07-09 1934-10-0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Portable spot-welding device
US2272968A (en) * 1940-09-11 1942-02-10 Percussion Welder Corp Apparatus for welding metal
US2683791A (en) * 1951-08-27 1954-07-13 Herbert E Ruehlemann Wire arc welding method and device
US3322124A (en) * 1964-11-25 1967-05-30 Donald W Irel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metallic objects from teeth, flesh, bone and thelike
US4484055A (en) * 1980-10-07 1984-11-20 Haines Maurice S Spot welder
GB2197611B (en) * 1986-09-30 1990-01-10 Chloride Silent Power Ltd Welding
US4794221A (en) * 1986-11-26 1988-12-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de chips used for resistance welding
KR890003100B1 (ko) 1987-02-07 1989-08-22 한국과학기술원 섬유 강화 복합재료 판스프링의 체결장치
JP2872389B2 (ja) 1990-11-13 1999-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970011420A (ko) 1995-08-11 1997-03-27 성재갑 차량용 섬유강화 복합재료 판스프링
US5705784A (en) * 1996-05-11 1998-01-06 Aoyama; Yoshitaka Electrode for electric resistance welding
WO2006068257A1 (ja) * 2004-12-24 2006-06-29 Honda Motor Co., Ltd. 電極チップホルダ、溶接方法及び電極チップ調整装置
US7633032B2 (en) * 2005-07-08 2009-1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lamping and resistance welding
KR20080098607A (ko) * 2006-02-12 2008-11-11 아돌프 뷔르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블라인드 리벳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180056436A1 (en) * 2016-08-26 2018-03-01 The Boeing Company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xit hole repair associated with welding oper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742B1 (ko) * 2001-07-31 200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휠하우스부 용접 장치
KR101459614B1 (ko) * 2013-04-30 2014-11-07 주식회사 신영 차체 마운팅부의 용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00552B2 (en) 2019-05-28
US20180161912A1 (en) 2018-06-14
KR20180068804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7746B2 (ja) 実用車用の圧縮空気タンクおよび製造方法
US3491649A (en) Rivets
CN104093544B (zh) 扩张工具的扩张头、包括扩张头的扩张工具
KR101545856B1 (ko) 진동 스폿 용접장치 및 진동 스폿 용접방법
CN104551367B (zh) 具有安装件和焊接件的安装单元及制造安装单元的方法
JP5007872B2 (ja) 単筒式油圧緩衝器および単筒式油圧緩衝器におけるブラケットの取付方法
CN201423577Y (zh) 涨套夹具
CA2860979A1 (en) Expansion head for expansion tools, expansion tool comprising said expansion head and use thereof
US20160363147A1 (en) Dissimilar material joining member, dissimilar material joined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dissimilar material joined body
KR102383228B1 (ko)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
US20180031024A1 (en) Method of connecting a press-in bolt with a metal sheet and cover eleme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655029B1 (ko)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
CN114025910B (zh) 管状构件的结合装置、制造方法和异种材料接合方法
CA2843429A1 (en) Round sonotrode
KR200479508Y1 (ko) 스터드 용접기용 리프팅유닛
CN104289611B (zh) 胀管机的胀管器装置
KR101883675B1 (ko) 진동 저항 요소 용접용 리벳
US7287406B2 (en) Transition forming machine
JP2005207524A (ja) Ea材の取付用クリップ及び取付構造
CN105980730A (zh) 具有安装件的活塞缸总成
KR20080110362A (ko) 셀프 피어싱 장치용 앤빌유닛
US10343232B2 (en) Resistance welding device and method for welding vehicle part using the same
CN109773074A (zh) 制造用于电池单池的单池壳体的方法和电池单池
WO2007070003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tubular element comprising a tube with a fixedly arranged flange
JP2015124877A (ja) シリンダ装置及び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