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387B1 -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387B1
KR102382387B1 KR1020200107018A KR20200107018A KR102382387B1 KR 102382387 B1 KR102382387 B1 KR 102382387B1 KR 1020200107018 A KR1020200107018 A KR 1020200107018A KR 20200107018 A KR20200107018 A KR 20200107018A KR 102382387 B1 KR102382387 B1 KR 10238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earning
driving
posture
driving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232A (ko
Inventor
최학희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0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3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따라 룸 미러와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각각 매칭하여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초기 각도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며, 차량이 주행을 시작한 후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 구동부를 다시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Mirr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driving posture}
본 발명은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미러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가 직접 방향 버튼을 눌러서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운전자가 사전에 조절한 미러 각도를 메모리에 기억한 후 버튼을 누를 시 해당 미러 각도로 조절되는 IMS(Intergrated Memory System)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고, 운전자의 신체 조건(키, 몸무게, 앉은 키)을 입력하면 이를 근거로 미러 각도를 조절하는 헬스 케어(Health Care)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IMS 기능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있는 자세와 무관하게, 단지 운전자가 사전에 조정한 미러 각도로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고정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운전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후방 시야가 제한되거나 후방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헬스 케어 기능은 표준화된 신체 데이터를 근거로 미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어서, 실제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하지 않은 각도로 사이드 미러의 미러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자세를 센싱하는 센싱부; 사용자 입력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미러 구동부;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따라 미러의 각도를 각각 매칭하여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운전자세 학습부; 및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초기 각도로 상기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고, 차량이 주행을 시작한 후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세 학습부는,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고,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세 학습부는, 운전자세별 미러의 각도에 대한 학습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수단;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센싱값 수신수단; 운전자로부터 조절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미러 구동부로부터 수신하는 각도 수신수단; 및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때까지,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세 학습부는,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면, 학습 데이터로 저장된 적어도 2개의 센싱값들 간의 평균값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센싱값에 각각 매칭된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여,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하는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가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따른 센싱값과 가장 유사한 센싱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으로서, (1) 상기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의 제어부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 (3)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면, 해당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초기 각도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4)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5)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6) 추출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여,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와 상기 제 (3)단계 사이에, (2)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고,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부의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2-1)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는 단계; (2-2)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2-3) 운전자로부터 조절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2-4)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2)단계 내지 상기 제 (2-4)단계는,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2-5)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면, 학습 데이터로 저장된 적어도 2개의 센싱값들 간의 평균값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센싱값에 각각 매칭된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여,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가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따른 센싱값과 가장 유사한 센싱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따라 룸 미러와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각각 매칭하여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초기 각도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며, 차량이 주행을 시작한 후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 구동부를 다시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에 따라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운전자세를 바꾸더라도 후방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에서 학습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구축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운전자세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운전자가 운전자세를 변경하며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에서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에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에서 학습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구축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운전자세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은 센싱부(100), 미러 구동부(200), 운전자세 학습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싱부(100)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에 구비되며,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을 출력한다. 이때, 센싱부(100)는 운전자로부터 가해진 중량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센싱값으로서 운전자세 학습부(300) 및 제어부(4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또는 압전 시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운전자의 운전자세로 인한 중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이나 스트레인 게이지를 적용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0)는 부채꼴 형태를 갖는, 전방측 압전 시트(110), 후방측 압전 시트(120), 좌측 압전 시트(130) 및 우측 압전 시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압전 시트들이 맞닿아 원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전자의 운전자세로 인한 중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미러 구동부(2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0) 및 운전자세 학습부(300)에 출력한다.
이러한, 미러 구동부(200)는 좌측 사이드 미러, 우측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 모터 또는 이를 포함하는 미러 구동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세 학습부(300)는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미러의 각도를 각각 매칭시켜 학습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세 학습부(300)는 운전자에게 운전자세를 바꾸면서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운전자는 서로 다른 운전자세에서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장 용이하도록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한다.
이때, 운전자세 학습부(300)는 각각의 운전자세에 대해 센싱되는 센싱값과, 해당 센싱값이 수신되는 시점의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하나의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세 학습부(300)는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들의 중간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를 계산하여 추가하는 세분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세 학습부(300)는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미러의 각도를 매칭시켜 저장한 복수의 학습 데이터(31a 내지 31e)와,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들의 중간값으로 세분화된 학습 데이터들(32a 내지 32t)을 포함하도록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V축과 H축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제 1학습 데이터(31a)는 운전자가 평상 시 운전하는 정자세에서 측정된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를 매칭하여 저장된 것으로, 제 1학습 데이터(31a)에 저장된 미러의 각도는 초기 각도로 설정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대해 복수의 학습 데이터들(31a 내지 31e, 32a 내지 32t)이 좌표평면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세 학습부(300)는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고,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부(100)의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의 학습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센싱부(100)에서 출력되는 센싱값과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러 구동부(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초기 각도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미러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센싱부(100)의 센싱값을 수신하며,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있는지 판정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운전자세 학습부(300)에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 구동부(200)를 제어함으로써,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운전자세를 바꾸면, 이에 맞춰서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자세에 맞게 조절한 것이므로, 운전자는 보다 용이하게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가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존재하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따른 센싱값(S) 또는 해당 센싱값의 위치값(VY+, HY+)과 가장 유사한 센싱값 또는 위치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32l)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운전자가 운전자세를 변경하며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에서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에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학습부(300)는 학습 요청수단(310), 센싱값 수신수단(320), 각도 수신수단(330),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 및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블록들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해당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스크립트 언어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상기 학습 요청수단(310)은 운전자세별 미러의 각도에 대한 학습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학습 요청수단(310)은 차량 내 클러스터나 센터페시아 또는 네이게이션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학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학습 요청수단(310)은 운전자가 어떠한 운전자세를 취해야 하는지 안내하는 문구나 그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학습 요청수단(310)을 통해 운전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운전을 하는 정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각도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고(a), 운전석의 좌측 후방으로 기대어 앉은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각도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며(b), 운전석의 좌측 정면으로 숙인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각도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고(c), 운전석의 우측 정면으로 숙인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각도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며(d), 운전석의 우측 후방으로 기대어 앉은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각도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e).
상기 센싱값 수신수단(320)은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을 센싱부(100)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센싱값 수신수단(320)은 운전자로부터 가해진 중량에 대응하는 센싱값, 즉, 전방측 압전 시트(110), 후방측 압전 시트(120), 좌측 압전 시트(130) 및 우측 압전 시트(140)에서 각각 출력되는 전압값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수신수단(330)은 운전자로부터 조절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러 구동부(20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각도 수신수단(330)은 좌측 사이드 미러, 우측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에 각각 구비된 미러 구동부(200)로부터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의 학습 데이터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학습 요청수단(310)으로부터 평상 시 운전을 하는 정자세에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요청된 상태에서 수신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V축과 H축을 포함하는 좌표평면의 원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원점에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서 제 1학습 데이터(31a)로 저장한다.
이때,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전방측 압전 시트(110)의 전압값과 후방측 압전 시트(120)의 전압값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V축의 원점을 계산하고, 좌측 압전 시트(130)의 전압값과 우측 압전 시트(140)의 전압값 간의 차이값으로 H축의 원점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아래의 수학식 1의 각 변수에 대응되는 값을 대입하여 V축과 H축의 원점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VB - VF = V0
VL - VR = H0
여기서, VB는 후방측 압전 시트(120)의 전압값이고, VF는 전방측 압전 시트(110)의 전압값이며, V0는 V축 원점의 전압값이고, VL은 좌측 압전 시트(130)의 전압값이며, VR은 우측 압전 시트(140)의 전압값이고, H0는 H축 원점의 전압값이다.
또한,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학습 요청수단(310)으로부터 운전석의 좌측 후방에 기대어 앉은 상태에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요청된 상태에서 수신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V축과 H축 상의 위치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서 제 2학습 데이터(31b)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전방측 압전 시트(110)의 전압값과 후방측 압전 시트(120)의 전압값 간의 차이값에서 V축 원점의 전압값을 뺀 값으로 V축 상의 위치값을 계산하고, 좌측 압전 시트(130)의 전압값과 우측 압전 시트(140)의 전압값 간의 차이값에서 H축 원점의 전압값을 뺀 값으로 H축 상의 위치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아래의 수학식 2의 각 변수에 대응되는 값을 대입하여 V축 상의 위치값과 H축 상의 위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VB - VF - V0 = VX
VL - VR - H0 = HY
여기서, VB는 후방측 압전 시트(120)의 전압값이고, VF는 전방측 압전 시트(110)의 전압값이며, V0는 V축 원점의 전압값이고, VX는 V축 상의 위치값이며, VL은 좌측 압전 시트(130)의 전압값이고, VR은 우측 압전 시트(140)의 전압값이며, H0는 H축 원점의 전압값이고, HY는 H축 상의 위치값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340)은 운전석의 좌측 정면으로 숙인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3학습 데이터(31c), 운전석의 우측 정면으로 숙인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학습 데이터(31d) 및 운전석의 우측 후방으로 기대어 앉은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5학습 데이터(31e)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은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면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하여, 학습 데이터의 수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은 학습 데이터로 저장된 적어도 2개의 센싱값들 간의 평균값과, 적어도 2개의 센싱값에 각각 매칭된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은 제 2학습 데이터(31b)와 제 3학습 데이터(31c)의 위치값들의 평균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인 제 6학습 데이터(32a)로 저장하고, 제 4학습 데이터(31d)와 제 5학습 데이터(31e)의 위치값들의 평균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인 제 7학습 데이터(32b)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은 제 2학습 데이터(31b)와 제 5학습 데이터(31e)의 위치값들의 평균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 8학습 데이터(32c)로 저장하고, 제 3학습 데이터(31c)와 제 4학습 데이터(31d)의 위치값들의 평균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 9학습 데이터(32d)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은 제 2학습 데이터(31b)와 제 6학습 데이터(32a) 사이의 평균값을 갖는 제 10학습 데이터(32e), 제 6학습 데이터(32a)와 제 3학습 데이터(31c) 사이의 평균값을 갖는 제 11학습 데이터(32f), 제 1학습 데이터(31a)와 제 9학습 데이터(32d) 사이의 평균값을 갖는 제 12학습 데이터(32g), 제 7학습 데이터(32b)와 제 4학습 데이터(31d) 사이의 평균값을 갖는 제 13학습 데이터(32h), 제 5학습 데이터(31e)와 제 7학습 데이터(32b) 사이의 평균값을 갖는 제 14학습 데이터(32i) 및 제 8학습 데이터(32c)와 제 1학습 데이터(31a) 사이의 평균값을 갖는 제 15학습 데이터(32j)를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은 제 1학습 데이터(31a) 내지 제 15학습 데이터(32j) 중 적어도 2개의 학습 데이터 사이의 평균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들을 추가적으로 더 계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여 제 16학습 데이터(32k), 제 17학습 데이터(32l), 제 18학습 데이터(32m), 제 19학습 데이터(32n), 제 20학습 데이터(32o), 제 21학습 데이터(32p), 제 22학습 데이터(32q), 제 23학습 데이터(32r), 제 24학습 데이터(32s) 및 제 25학습 데이터(32t)를 포함하는 세분화된 학습 데이터로 추가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25개의 학습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350)은 운전자가 직접 운전자세를 변경하며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수를 증가시켜서 충분한 표본의 수를 확보할 수 있게 하며, 학습 데이터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제어부(400)는 차량의 운전자가 과거에 학습한 운전자세와 상이한 운전자세를 취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각도로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30)에 5개의 학습 데이터들(31a 내지 31e)을 저장한 다음, 20개의 학습 데이터들(32a 내지 32t)로 세분화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발명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한 것으로, 실제로는 더 많거나 적은 수의 학습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도 있고, 또한, 더 많거나 적은 수의 학습 데이터들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의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S110),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지 판정한다(S120).
이때,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는 운전자세 학습부를 통해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고,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부의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서 저장함으로써,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한다(S200).
구체적으로, 제 S200단계에서 운전자세 학습부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클러스터나 센터페시아 또는 네이게이션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고(S210),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부의 센싱값을 수신하며(S220), 운전자로부터 조절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러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다음(S230),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S240).
제 S210단계 내지 제 S240단계는,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 S240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전자세 학습부는, 운전자가 평상 시 운전을 하는 정자세에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요청된 상태에서 수신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V축과 H축을 포함하는 좌표평면의 원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원점에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서 제 1학습 데이터로 저장한다.
이때, 운전자세 학습부는 수학식 1의 각 변수에 대응되는 값을 대입하여 V축과 H축의 원점을 계산할 수 있는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V축과 H축의 원점을 계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운전자세 학습부는 운전자가 운전석의 좌측 후방에 기대어 앉은 상태, 운전석의 좌측 정면으로 숙인 상태, 운전석의 우측 정면으로 숙인 상태 및 운전석의 우측 후방으로 기대어 앉은 상태에서 각각 센싱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V축과 H축 상의 위치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서 학습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세 학습부는 수학식 2의 각 변수에 대응되는 값을 대입하여 V축과 H축 상의 위치값을 계산할 수 있는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V축과 H축 상의 위치값을 계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면(S250), 운전자세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로 저장된 적어도 2개의 센싱값들 간의 평균값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센싱값에 각각 매칭된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한다(S260).
이러한 과정이 모두 수행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이 완료된다(S270).
한편,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이미 구축되어 있거나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완료하면, 제어부는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초기 각도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미러 구동부를 제어한다(S310).
이때,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는, 운전자가 평상 시 운전을 하면서 취하는 정자세에서 측정된 센싱값과, 정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각도로 조절된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의 각도를 매칭시킨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데, 해당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미러의 각도가 초기 각도로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제어부는 센싱부의 센싱값을 수신하여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를 모니터링하고(S410),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있는지 판정하고, 또한,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지 판정한다(S420).
이때,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제어부는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다(S510).
한편,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가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S520), 제어부는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따른 센싱값과 가장 유사한 센싱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다(S530).
그 다음, 제어부는 추출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미러의 각도를 조절한다(S610).
즉,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운전자세를 바꾸면, 이에 맞춰서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운전자가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전술한 제 S410단계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과정부터 다시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시동을 끌 때까지 계속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센싱부
200 : 미러 구동부
300 : 운전자세 학습부
310 : 학습 요청수단 320 : 센싱값 수신수단
330 : 각도 수신수단 340 :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
350 :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
400 : 제어부

Claims (10)

  1. 운전자의 운전자세를 센싱하는 센싱부;
    사용자 입력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미러 구동부;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따라 미러의 각도를 각각 매칭하여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운전자세 학습부; 및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초기 각도로 상기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고, 차량이 주행을 시작한 후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세 학습부는,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고,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세 학습부는,
    운전자세별 미러의 각도에 대한 학습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수단;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센싱값 수신수단;
    운전자로부터 조절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미러 구동부로부터 수신하는 각도 수신수단; 및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때까지,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학습 데이터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세 학습부는,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면, 학습 데이터로 저장된 적어도 2개의 센싱값들 간의 평균값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센싱값에 각각 매칭된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여,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하는 학습 데이터 세분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가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따른 센싱값과 가장 유사한 센싱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6.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으로서,
    (1) 상기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의 제어부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
    (2)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고,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부의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
    (3)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면, 해당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초기 각도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4)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5) 운전자의 운전자세 변화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6) 추출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여,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2-1) 운전자세별 미러 각도의 학습을 요청하는 단계;
    (2-2)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대한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2-3) 운전자로부터 조절되는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2-4) 운전자세에 대한 센싱값과, 미러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의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2)단계 내지 상기 제 (2-4)단계는,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2-5) 기설정된 수의 운전자세 또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면, 학습 데이터로 저장된 적어도 2개의 센싱값들 간의 평균값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센싱값에 각각 매칭된 미러의 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추가적인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여,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세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부합하는 학습 데이터가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운전자세별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변화한 운전자세에 따른 센싱값과 가장 유사한 센싱값을 갖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방법.



KR1020200107018A 2020-08-25 2020-08-25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8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18A KR102382387B1 (ko) 2020-08-25 2020-08-25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18A KR102382387B1 (ko) 2020-08-25 2020-08-25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232A KR20220026232A (ko) 2022-03-04
KR102382387B1 true KR102382387B1 (ko) 2022-04-05

Family

ID=8081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18A KR102382387B1 (ko) 2020-08-25 2020-08-25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3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150A (ja) 2005-02-03 2006-08-17 Calsonic Kansei Corp 運転位置設定装置
JP2007045217A (ja) * 2005-08-08 2007-02-22 Denso Corp 車両用電動ミラーの制御システム
JP2013132970A (ja) 2011-12-26 2013-07-08 Denso Corp ミラー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573A (ko) * 2004-06-25 2005-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미러의 위치 제어 방법
KR102429480B1 (ko) * 2016-07-27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79333B1 (ko) * 2017-03-07 2021-07-20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150A (ja) 2005-02-03 2006-08-17 Calsonic Kansei Corp 運転位置設定装置
JP2007045217A (ja) * 2005-08-08 2007-02-22 Denso Corp 車両用電動ミラーの制御システム
JP2013132970A (ja) 2011-12-26 2013-07-08 Denso Corp ミラー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232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980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park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10977507B2 (en) Driver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562174A (zh) 一种驾驶姿势调节方法、系统、车辆及存储介质
JP6814977B2 (ja) 画像処理装置、検知装置、学習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3602198B (zh) 车辆后视镜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US2016033258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eat by a mobile device,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system
CN111204219A (zh) 车辆用显示装置、车辆用显示方法及存储介质
KR102382387B1 (ko) 운전자세 기반의 차량용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983781B2 (en) Seat state correction system, seat state correction method, and seat state correction program
US11983952B2 (en) Physiqu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physique determination method
US10458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direction of face of driver in vehicle
JP5082620B2 (ja) 余所見判定装置
CN112429015B (zh) 驾驶支援装置及驾驶支援方法
WO2018047449A1 (ja) 車両用操作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859879A (zh) 一种座椅调节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7081447B2 (ja) 車両用制御装置
CN115303214A (zh) 车辆前端视野调节方法、车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0016164A (ja) ピッチング角演算装置
JP7227106B2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81035B2 (en) Calibration device, calibration method, drive recorder, vehicle, and storage medium
US20220283636A1 (en) Calibration device, calibration method, drive recorder, vehicle, and storage medium
JP2007038859A (ja) 表示機器制御装置
US1193899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ane keeping and method thereof
US20240179407A1 (en) Focus-of-expansion locating device
US11873023B2 (en) Boundary memor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pos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