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987B1 -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987B1
KR102381987B1 KR1020200059731A KR20200059731A KR102381987B1 KR 102381987 B1 KR102381987 B1 KR 102381987B1 KR 1020200059731 A KR1020200059731 A KR 1020200059731A KR 20200059731 A KR20200059731 A KR 20200059731A KR 102381987 B1 KR102381987 B1 KR 102381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server
unit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510A (ko
Inventor
남기춘
정재범
조성학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3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한국어 능력 진단 장치 및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한국어 능력 진단 장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판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국어 능력 진단 장치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한국인의 관점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현실적이고 보다 정확한 진단 시스템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LEARNERS USING REGULARITY OF KOREAN VERBS}
본 발명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 도구 기술들과 학습 전자기기 기술은 존재한다. 그러나, 학습에 앞서, 혹은 학습 후에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측정하거나 진단하는 장치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한국어 학습에 기본적이고 탄탄하게 다져야 할 단어와 어절을 효과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해 더 구체적인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서버 및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하는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 사용자의 발음을 녹음하는 녹음부,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진단 콘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판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는, 제2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판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하고, 처리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및 학습 자료를 저장하는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판단부에서 한국어 능숙도 판단을 하고, 상기 한국어 능숙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한국어 능숙도에 맞는 학습데이터를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는, 학습 콘텐츠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된 사용자의 발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제3 통신부,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는 어절 빈도 조사부 및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듣는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뇌파 감지기를 부착하고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판단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열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하는 녹음 스크립트를 제공단계,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녹음하는 녹음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서버로, 상기 서버에서 판단부로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서버-판단부 전송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되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출력하는 출력단계,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뇌파 감지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듣고, 판단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는 어절 빈도 조사단계, 상기 뇌파측정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어절 빈도 조사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판단부-서버 전송단계, 상기 뇌파측정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어절 빈도 조사결과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저장단계, 상기 사용자의 한국어 능숙도에 맞는 학습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는 학습 콘텐츠 매칭단계 및 매칭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사용자 단말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열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한국인의 관점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현실적이고 보다 정확한 진단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한국어 능숙도 진단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이용자로서, 기존의 한국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배운 단어와 어절만을 이용하여 한국어 의사소통을 한 외국인들, 한국어 교재 출판사와 학교, 학원 등과 같은 교육기관, TOPIK과 같은 한국어 능력 시험 검정 기관과 연구소 등이 있을 수 있다.
현재 외국인 대상 한국어 특허 중에는 학습 콘텐츠, 학습을 도와주는 전자기기, 그리고 프로그램에 관한 특허가 많다. 하지만 여러 콘텐츠와 전자기기 기술을 뒷받침할 한국어 학습 진단 콘텐츠는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목표로 삼아야 하는 것은 바로 '얼마나 한국어 화자처럼 한국어 사용 수준을 가지느냐' 이다. 그러므로 한국어 화자들이 어떻게 단어 또는 어절에 반응하는지 살피고, 외국인 학습자도 한국어 학습 후에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같은 양상을 그리는지 비교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국어 학습에 기본적이고 탄탄하게 다져야 할 단어와 어절을 효과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해 더 구체적인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특허에서는 빈도가 높은 규칙 적용 단어 또는 불규칙 적용 단어와 어절들을 기반으로 그 빈도 순으로 기존 학습 콘텐츠에서 단어와 어절을 선별할 것을 제안하며, 이를 진단하는 본 특허의 내용이 들어간다면 효율적인 한국어 학습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다. 아울러, 규칙성 및 빈도에 따른 학습 및 진단은 실생활에서 더 쉽게 쓰이고 응용 가능성과 연결되기 때문에, 본 특허를 기반으로 한국어 진단이 이루어진다면, 현실에 빨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발명이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한국인의 관점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현실적이고 보다 정확한 진단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서버(20) 및 판단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한국어 발음을 녹음할 수 있는 기기 또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에게 진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는 외국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 및 상기 판단부(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기 판단부(30) 중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 및 상기 판단부(30)와 동시에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부(30)는 녹음된 사용자의 발음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부(30)는 상기 서버(2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녹음된 사용자의 발음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의 발음을 판단할 수 있다.
진단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10), 사용자 단말(10) 및 판단부(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서버(20), 녹음된 사용자의 발음을 판단하는 판단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는 외국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가 녹음한 한국어 발음을 네이티브인 한국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은 해당 네이티브 한국인의 뇌파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은 효율적인 학습 콘텐츠를 외국인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1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110), 녹음부(120), 제1 통신부(130), 진단 콘텐츠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110)는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110)에서 제공되는 문장 또는 단어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네이티브 한국인의 발음으로 출력되는 청각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음부(120)는 사용자의 한국어 발음을 녹음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는 상기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은 LTE, 와이파이, 5G 및 3G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진단 콘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콘텐츠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 콘텐츠 제공부(140)는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실시간 재생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 콘텐츠 제공부(140)는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다운받아두고, 사용자가 열람을 하는 경우에 무선통신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별도의 사용자 단말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 PC일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음을 녹음하고, 상기 서버(20)에 전송하며, 상기 진단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서버(2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의 상기 서버(20)는 제2 통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230), 학습 데이터베이스(240), 학습 콘텐츠 매칭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 및 상기 판단부(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 및 상기 판단부(30) 중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 및 판단부(30)와 동시에 통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 및 상기 판단부(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 및 상기 판단부(3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의 상기 데이터 처리방식은 상기 판단부(30)에서 측정된 뇌파의 데이터를 수치의 형태로 변환 처리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23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학습 콘텐츠 매칭부(25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한국어 능숙도 판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한국어 능숙도에 맞는 학습데이터를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240)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칭 방식은 매칭 순위별로 n개의 학습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칭 방식은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학습데이터 하나를 제공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의 판단부(3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의 상기 판단부(30)는 출력부(310), 제3 통신부(320), 어절 빈도 조사부(330), 뇌파 측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에서 녹음된 사용자의 한국어 발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310)가 제공하는 발음은 청각적 형태만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에 문장 또는 단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형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통신부(320)는 상기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은 LTE, 와이파이, 5G 및 3G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절 빈도 조사부(330)는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와 어절을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상기 단어와 어절에 대한 학습을 우선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뇌파 측정부(340)는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듣는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뇌파 감지기를 부착하고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뇌파 감지기는 전극 패드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뇌파 감지기는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뇌파 감지기를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한국어 능숙도 진단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국어 능숙도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S110 단계에서,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한다. 이 때, 상기 제시 방법은 음성의 형태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S120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문장 또는 단어를 상기 사용자가 발음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녹음부(120)에 저장된다.
사용자 S130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상기 녹음부(120)에서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제1 통신부(130)를 통하여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20)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판단부(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20)에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한 후 상기 판단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상기 출력부(31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음성 출력 방식은, 판단자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보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나오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별도의 버튼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통하여 수행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S140 단계에서 상기 판단자는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잠시 멈출 수 있으며, 다시 재생시킬 수 있다.
S150 단계에서는 모국어를 한국어로 하는 판단자의 뇌파를 측정한다. 상기 뇌파 측정 시, 뇌파 감지기를 판단자의 이마 및 두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부착하여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는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한다. 상기 어절 빈도 조사부(330)에서는 상기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와 어절을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에서는 상기 단어와 어절에 대한 학습을 우선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170 단계에서는 측정된 상기 판단자의 뇌파 및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제3 통신부(320)를 통해 상기 서버(20)로 전송한다.
이후, S180 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이후, S190 단계에서는 처리된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240)가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매칭시킨다.
S200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매칭된 사용자 맞춤 학습 콘텐츠를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서버(2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전송되지 않고, 상기 서버(20)에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상기 서버(20)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콘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맞춤 학습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에 저장되어 무선 인터넷 통신 없이도 열람이 가능하다.
10: 사용자 단말
20: 서버
30: 판단부
110: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
120: 녹음부
130: 제1 통신부
140: 진단 콘텐츠 제공부
210: 제2 통신부
220: 데이터 처리부
230: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240: 학습 데이터베이스
250: 학습 콘텐츠 매칭부
310: 출력부
320: 제3 통신부
330: 어절 빈도 조사부
340: 뇌파 측정부

Claims (5)

  1. 사용자 단말, 서버 및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하는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
    사용자의 발음을 녹음하는 녹음부;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진단 콘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판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는, 제2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판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하고, 처리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학습 자료를 저장하는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판단부에서 한국어 능숙도 판단을 하고, 상기 한국어 능숙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한국어 능숙도에 맞는 학습데이터를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는, 학습 콘텐츠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된 사용자의 발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제3 통신부;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는 어절 빈도 조사부; 및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듣는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뇌파 감지기를 부착하고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를 포함하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판단부로 전송하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열람될 수 있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4.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하는 녹음 스크립트를 제공단계;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녹음하는 녹음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서버로, 상기 서버에서 판단부로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서버-판단부 전송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되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출력하는 출력단계;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뇌파 감지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듣고, 판단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는 어절 빈도 조사단계;
    상기 뇌파측정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어절 빈도 조사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판단부-서버 전송단계;
    상기 뇌파측정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어절 빈도 조사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상기 서버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저장단계;
    상기 사용자의 한국어 능숙도에 맞는 학습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는 학습 콘텐츠 매칭단계; 및
    매칭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사용자 단말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진단 콘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열람될 수 있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
KR1020200059731A 2019-09-27 2020-05-19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KR102381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9907 2019-09-27
KR1020190119907 2019-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510A KR20210037510A (ko) 2021-04-06
KR102381987B1 true KR102381987B1 (ko) 2022-03-31

Family

ID=7547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731A KR102381987B1 (ko) 2019-09-27 2020-05-19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9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743B1 (ko) 2016-07-21 2017-11-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뇌반응을 이용한 언어 이해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747B1 (ko) * 2011-10-13 2013-08-13 최기선 문장구성요소의 순차적 배열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을 위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28797B1 (ko) * 2017-03-02 2019-10-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질환의 조기 발견을 위한 언어능력진단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352163B1 (ko) * 2019-11-26 2022-0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언어 능숙도를 진단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743B1 (ko) 2016-07-21 2017-11-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뇌반응을 이용한 언어 이해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510A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5545B2 (en) Analyzing speech delivery
WO2019024247A1 (zh) 一种基于数据交换网络的在线教学考评系统及方法
KR101379431B1 (ko) 읽기검사방법, 이를 적용한 읽기검사단말 및 시스템
JP6419924B1 (ja) 学習支援システムおよび学習支援方法
CN109191349A (zh) 一种英文学习内容的展示方法及系统
CN105532014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KR101538317B1 (ko) 영어 리터러시 자동측정 시스템
KR20080081635A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EP2974654A1 (en) Hearing examination device, hearing examination method, and method for generating words for hearing examination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1871A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CN110853624A (zh) 言语康复训练系统
KR102381987B1 (ko)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JP2010231084A (ja) 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29780A5 (ko)
TW201913546A (zh) 心理與行為狀態評量暨診斷方法及系統
MacRoy-Higgins et al. The influence of phonotactic probability o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in 3-year-olds with a history of expressive language delay
US11457864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alculating a brain activity value of a user and changing a level of brain training content being performed by the user
Setter et al. Evaluating the intonation of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using a computerized test battery
CN112185186B (zh) 一种发音纠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OOTEANG-ON et al. Effects of Using Videos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Sixth-Grade Students at Nakprasith School, Nakhon Pathom
JP2005037853A (ja) 外国語会話聞き取り能力検定法及び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とそれらを記録した電磁記録媒体。
KR20180061824A (ko) 난독증 진단 및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528293B1 (ko)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지원 통합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과제 처리 방법
TWI679654B (zh) 自動化聽知覺評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