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635B1 -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635B1
KR102381635B1 KR1020190152943A KR20190152943A KR102381635B1 KR 102381635 B1 KR102381635 B1 KR 102381635B1 KR 1020190152943 A KR1020190152943 A KR 1020190152943A KR 20190152943 A KR20190152943 A KR 20190152943A KR 102381635 B1 KR102381635 B1 KR 10238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data
education
theoretical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571A (ko
Inventor
김영범
정광모
박병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6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 관리 시스템은, 이론 교육 데이터, 온라인 교육 데이터 및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 결정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수신된 데이터들을 파일럿 양성을 위한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온라인 이론학습기능 및 이론평가기능을 제공하는 이론교육시스템 도입을 통한 공간정위상실 예방 이론교육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초훈련시뮬레이터 사전탑승훈련을 통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훈련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훈련관리시스템의 훈련자별 이론평가결과 조회 및 기초훈련시뮬레이터 탑승 정보 조회 기능을 통한 훈련자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용자 조작정보에 기반한 사후평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Training management system for virtual training system of spatial disorientation}
본 발명은 비행 훈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간정위상실로 인한 사고로 인한 경제적 피해액은 연간 수십억 달러에 달하며, ETC, AMST사를 비롯한 해외 시뮬레이터 제작 업체에서는 공간정위상실 예방 훈련을 위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과정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간정위상실 이론에 대한 집체교육 형태의 이론교육과정(S10)과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을 통해 진행되는 체험과정(S20)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훈련과정은 일회성 교육으로 인한 이론 불충분 숙지 상태를 야기할 수 있어, 높은 비용이 발생하는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훈련의 효과를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론 불충분 숙지 상태를 예방하고, 저비용, 고효율의 훈련 효과를 얻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론교육시스템과 기초훈련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훈련관리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의 공간정위상실 예방 훈련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관리 시스템은, 이론 교육 데이터, 온라인 교육 데이터 및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 결정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수신된 데이터들을 파일럿 양성을 위한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론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론 교육 데이터는,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형태로 제공되는 공간정위 상실 관련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온라인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는, 파일럿 양성을 위한 LTI(learning tool interoperability)를 통한 훈련 참가자별 기초 훈련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데이터 요청 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IOS(instructor operating station)에 마련되는 관리자 단말에 훈련 참가자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은,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관리 방법은, 이론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온라인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 결정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수신된 데이터들을 파일럿 양성을 위한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라인 이론학습기능 및 이론평가기능을 제공하는 이론교육시스템 도입을 통한 공간정위상실 예방 이론교육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초훈련시뮬레이터 사전탑승훈련을 통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훈련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훈련관리시스템의 훈련자별 이론평가결과 조회 및 기초훈련시뮬레이터 탑승 정보 조회 기능을 통한 훈련자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용자 조작정보에 기반한 사후평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행 훈련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된 데이터들의 조회 결과가 출력되는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이하에서는 '훈련 관리 시스템'으로 총칭하기로 함)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이론학습기능 및 이론평가기능을 제공하고, 기초훈련시뮬레이터 사전탑승훈련을 통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훈련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훈련관리시스템의 훈련자별 이론평가결과 조회 및 기초훈련시뮬레이터 탑승 정보 조회 기능을 통한 훈련자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론학습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수강 및 이론 평가, 기초훈련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사전 탑승, 이론 및 기초훈련시뮬레이터 이수정보 조회기능을 추가하였다.
이론학습시스템은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형태로 제공되는 공간정위상실 관련 강의자료 및 이론학습정도 판단을 위한 퀴즈를 훈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훈련자의 강의 수강 정보 및 이론학습 퀴즈 점수는 훈련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기초훈련시스템은 훈련관리시스템의 외부도구 형태로 존재하며, 훈련관리시스템 상에서 LTI (learning tool interoperability) 를 통해 작동하게 된다. 기초훈련시스템은 모션플랫폼을 동반하지 않는 데스크탑 시뮬레이터 형태로, 시각 착각 기반의 공간정위상실 시나리오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훈련자가 체험한 시나리오 정보는 훈련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훈련 관리 시스템은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에 탑승할 훈련자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교관은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IOS(instructor operating station)에서 탑승자의 집체교육 진행현황, 이론 평가 결과, 기초훈련시스템 이수 정보를 도 4와 같이 동시에 조회하여 시뮬레이터 탑승 시 최대한의 훈련효과를 얻을 수 있는 훈련자를 간편하게 확인하고, 시뮬레이터에 탑승시킬 수 있다. 덧붙여 훈련 중 발생하는 비행체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훈련자 조작정보는 동기화되어 훈련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사후강평 시스템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 훈련 관리 시스템은,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2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수단이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이론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자의 단말로부터 교육 참가자의 이론 교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별도로 마련되는 온라인 이론교육 시스템으로부터 교육 참가자의 온라인 교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기초훈련시스템에 연결되어, 교육 참가자의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 결정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수신된 데이터들을 파일럿 양성을 위한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프로세서(12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여기서, 이론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론 교육 데이터는,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형태로 제공되는 공간정위 상실 관련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온라인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는, 파일럿 양성을 위한 LTI(learning tool interoperability)를 통한 훈련 참가자별 기초 훈련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요청 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IOS(instructor operating station)에 마련되는 관리자 단말에 훈련 참가자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미도시)은, 훈련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방법(이하에서는 '훈련 관리 방법'으로 총칭하기로 함)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된 데이터들의 조회 결과가 출력되는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관리 방법은,
이론 교육을 수행하여 이론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고(S310), 온라인 교육을 수행하여 온라인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며(S320), 훈련 참가자를 기초훈련시스템에 탑승시켜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고(S330),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 결정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수신된 데이터들을 파일럿 양성을 위한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관리자(ex. 교관)는,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IOS(instructor operating station)에서 탑승자의 집체교육 진행현황, 이론 평가 결과, 기초훈련시스템 이수 정보를 도 4와 같이 동시에 조회하여 시뮬레이터 탑승 시 최대한의 훈련효과를 얻을 수 있는 훈련자를 간편하게 확인하고, 특정 훈련 참가자의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를 결정하여,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에 탑승시킬 수 있다(S340).
이를 통해, 온라인 이론학습기능 및 이론평가기능을 제공하는 이론교육시스템 도입을 통한 공간정위상실 예방 이론교육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초훈련시뮬레이터 사전탑승훈련을 통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훈련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훈련관리시스템의 훈련자별 이론평가결과 조회 및 기초훈련시뮬레이터 탑승 정보 조회 기능을 통한 훈련자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용자 조작정보에 기반한 사후평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130 : 저장부

Claims (8)

  1. 이론 교육 데이터, 온라인 교육 데이터 및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 결정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수신된 데이터들을 파일럿 양성을 위한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론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되고,
    이론 교육 데이터는,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형태로 제공되는 공간정위 상실 관련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더 포함되며,
    온라인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온라인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되며,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는,
    파일럿 양성을 위한 LTI(learning tool interoperability)를 통한 훈련 참가자별 기초 훈련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되고,
    프로세서는,
    시각 착각 기반의 공간정위상실 시나리오 중 훈련 참가자가 체험한 시나리오 정보를 기록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 요청 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IOS(instructor operating station)에 마련되는 관리자 단말에 훈련 참가자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며,
    관리자 단말은,
    훈련 참가자의 이론 교육 데이터, 온라인 교육 데이터 및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가 동시에 조회되도록 하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며,
    프로세서는,
    시뮬레이션 훈련 중 발생하는 비행체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훈련자 조작정보가 동기화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훈련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통신부가, 이론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통신부가, 온라인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통신부가,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 결정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수신된 데이터들을 파일럿 양성을 위한 훈련 참가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론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되고,
    이론 교육 데이터는,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형태로 제공되는 공간정위 상실 관련 이론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더 포함되며,
    온라인 교육 데이터는,
    훈련 참가자별 온라인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되며,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는,
    파일럿 양성을 위한 LTI(learning tool interoperability)를 통한 훈련 참가자별 기초 훈련 교육의 이수 정보 및 성적 정보가 포함되고,
    프로세서는,
    시각 착각 기반의 공간정위상실 시나리오 중 훈련 참가자가 체험한 시나리오 정보를 기록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 요청 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IOS(instructor operating station)에 마련되는 관리자 단말에 훈련 참가자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며,
    관리자 단말은,
    훈련 참가자의 이론 교육 데이터, 온라인 교육 데이터 및 기초 훈련 교육 데이터가 동시에 조회되도록 하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탑승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고,
    프로세서는,
    시뮬레이션 훈련 중 발생하는 비행체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훈련자 조작정보가 동기화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훈련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관리 방법.
KR1020190152943A 2019-11-26 2019-11-26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 KR102381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43A KR102381635B1 (ko) 2019-11-26 2019-11-26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43A KR102381635B1 (ko) 2019-11-26 2019-11-26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71A KR20210064571A (ko) 2021-06-03
KR102381635B1 true KR102381635B1 (ko) 2022-04-01

Family

ID=7639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943A KR102381635B1 (ko) 2019-11-26 2019-11-26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321B1 (ko) 2021-06-23 2022-03-04 (주)아이엠티 공간정위상실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시각적 경사 착각 훈련 방법
KR102370320B1 (ko) 2021-06-23 2022-03-04 (주)아이엠티 공간정위상실 훈련을 위한 비행 훈련 시스템
KR102425452B1 (ko) 2021-06-23 2022-07-27 (주)아이엠티 공간정위상실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전향성 착각 훈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40B1 (ko) * 2012-09-17 2014-07-10 주식회사 유비온 Lms에서의 툴의 동적 호출방법
KR101418484B1 (ko) * 2012-12-26 2014-07-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모의 훈련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항공기 정비 교육 방법
KR20160123722A (ko) * 2015-04-17 2016-10-26 새동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항공안전 온라인 교육시스템 관리방법
KR20190124045A (ko) * 2018-04-25 2019-11-04 한길씨앤씨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훈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71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635B1 (ko) 공간정위 상실 가상훈련 시스템을 위한 훈련 관리 시스템
CN107622318A (zh) 一种用于驾考学员预约培训的运营平台及运营方法
CN108777090A (zh) 一种沉浸式虚拟现实的列检培训方法和系统
CN107331247B (zh) 一种驾驶培训中教练考核方法及装置
CA2798486A1 (en) Hazard-zone incident command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s
CN108831237A (zh) 沉浸式虚拟现实的机车乘务员非正常行车实训考核系统
CN111341166A (zh) 应急演练系统的控制方法及系统
CN205028489U (zh) 一种飞行技术cbt教学装置
CN115374412A (zh) 基于元宇宙的铁路车站信息处理方法
Polikarpus et al. Training incident commander’s situational awareness—a discussion of how simulation software facilitate learning
Shamsudin et al.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enhancement of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hazard recognition training in piling work: pilot study
Tichon The use of expert 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s for train driver training
CN113496638A (zh) 网络安全训练系统及方法
Nikitin et al. VR Training for Railway Wagons Maintenance: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CN111913576A (zh) 一种vr教育培训系统及其运行方法
Luo et al. A multi-player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platform for construction safety
CN108520486A (zh) 一种基于软硬件结合的双师互动教学系统
CN107331233B (zh) 一种带教师机功能的自动列车监控模拟培训系统
KR102606532B1 (ko)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구급대응 도상훈련시스템
Malachová et al. SIMEX simulation tool—“accident” crisis scenario and crisis management entities' exercise
CN114021974A (zh) 三维模拟演练效果评估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364519A (zh) 一种基于互联网的教育方法
RU2657708C1 (ru)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готовки судоводителей
CN215643194U (zh) 一种轨道交通车务实训演练系统
CN108564834A (zh) 一种移动教育平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