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107B1 - 자세 교정용 의류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107B1
KR102381107B1 KR1020200045833A KR20200045833A KR102381107B1 KR 102381107 B1 KR102381107 B1 KR 102381107B1 KR 1020200045833 A KR1020200045833 A KR 1020200045833A KR 20200045833 A KR20200045833 A KR 20200045833A KR 102381107 B1 KR102381107 B1 KR 10238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sture correction
back plate
posture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103A (ko
Inventor
오성규
Original Assignee
오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규 filed Critical 오성규
Priority to KR102020004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1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교정용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과, 상기 앞판보다 폭이 짧게 구비되고,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과 우판으로 나누어서 제작되며,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가 봉제되되,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 앞판보다 신축성이 작고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이 덧대어지는 뒤판을 결합하여 상의를 구성함으로써, 어깨와 등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 자세 교정 효과를 갖는 자세 교정용 의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의류{Posture correction clothing}
본 발명은 자세 교정용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과, 상기 앞판보다 폭이 짧게 구비되고,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과 우판으로 나누어서 제작되며,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가 봉제되되,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 앞판보다 신축성이 작고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이 덧대어지는 뒤판을 결합하여 상의를 구성함으로써, 어깨와 등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 자세 교정 효과를 갖는 자세 교정용 의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세 교정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일상생활 또는 운동 중 올바르지 못한 자세에 기인하여 신체가 비정상적인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경우, 척추의 만곡, 어깨가 앞쪽으로 구부러지거나 상체가 구부정해지거나 목 또는 허리 등에 디스크와 같은 만성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척추가 만곡된 경우뿐만 아니라 구부러진 자세로 보행하는 습관 또는 부정확한 자세로 수행되는 운동 등에 의하여 신체는 비정상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자세 교정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자세 교정 기술은 교정 기능을 갖는 의복, 운동 기구, 자세교정을 위한 교정 장치 및 운동 치료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의류 중 상의는 전체적으로 앞판과 뒤판을 제작한 다음, 이를 봉제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앞판과 뒤판은 모두 동일한 소재와 형태로 이루어져 봉제되기 때문에 자세 교정 등의 별다른 특징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종래 자세교정 보정속옷에는 특히 신체를 감싸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배면 양 어깨부분과 겨드랑이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배면 양 옆구리 부분에 연결되어 본체의 등 부분을 'X'자 형태로 가로지르는 라이크라 재질의 어깨탄력밴드와, 양 끝단이 상기 본체의 양 옆구리 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본체의 허리부분을 감싸는 라이크라 재질의 허리탄력밴드, 상기 본체의 양 옆구리 부분에 양단이 연결되는 허리벨트로 구성되어, 앞으로 굽은 자세를 교정하고 허리가 완만한 S자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구성 및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자세교정 보정속옷의 경우 앞으로 굽은 자세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나, 자세 교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우며 비용이 극대화되어 상품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바른 자세 교정 밴드의 경우엔 신체 압박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로 인한 겨드랑이 통증을 유발하고, 겨드랑이 압박이 심하여 지속성이 떨어지며, 등과 어깨를 펴준다는 명목은 뚜렷하지만 이 기능성이 강조된 데 반해 착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제품들이 비일비재하다. 특히 뭐든지 꾸준하게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얇은 티셔츠 안에 입을 수 없기 때문에 일상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레이온과 폴리우레탄(스판)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텐셀섬유는 터치가 부드럽고 원단을 양쪽에서 잡아 당겼을 때 부드럽게 늘어나 일반적으로 내의나 런닝의 원단으로 사용하고, 나이론과, 폴리우레탄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파워네트는 그물망 구조로 생긴 탄탄하고 짱짱한 원단으로 신축성과 복원력이 우수하여 보정속옷과 같은 바디 쉐이퍼, 거들, 올린원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파워네트 원단을 이용해 뒤판을 형성하고, 신축성이 있는 텐셀섬유 등의 탄성원단으로 앞판을 형성한 자세교정 보정속옷 제품은 등이 펴지는 효과가 떨어지고, 앞판이 뒤로 밀려나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8443호 의복은 파워네트를 제외하고 신축성이 있는 탄성원단으로만 형성되어 등펴지는 강도가 약하고 심지어 등펴지는 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기능적인 부분이 단기간에 약해지므로 핵심패턴의 변형이 빠르게 일어나서 기능적인 부분의 지속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팔을 움직이고 뒤에서 당겨지는 힘으로 소매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KR 10-0267754 (등록번호) 2000.07.07. KR 10-1129008 (등록번호) 2012.03.14. KR 10-1554878 (등록번호) 2015.09.16. KR 10-1938443 (등록번호) 2019.01.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과, 좌판과 우판으로 나누고 패턴부를 형성하여 봉제한 다음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 상기 앞판보다 신축성이 작고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을 봉제한 뒤판을 결합하여 상의를 구성함으로써, 어깨와 등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자세 교정용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드 타입의 원단인 고밀도 파워네트로 이루어지는 보강원단에 의해 양쪽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에서 당겨지는 압력을 받아 착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자세를 바로 잡게 되므로 어깨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허리가 완만한 S자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움츠러든 가슴과 굽은 자세를 펴지도록 교정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자세 교정 밴드에 비해 편안하게 입을 수 있어 평상시에도 착용가능하고 일상성을 가지며 일상 속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편안한 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자세 교정용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앞판과 뒤판의 어깨와 겨드랑이를 따라 연결되는 긴소매를 구비하여 뒤판의 양 옆에서 뒤판 패턴부를 잡아 주어 힘있게 지탱하게 되므로 뒤판 패턴부가 어깨를 당겨줌과 동시에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하는 자세 교정용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긴소매의 밑단에 시보리를 형성하여 상기 긴소매가 뒤판에서 당겨주는 힘에 의해 지속적으로 팔꿈치 방향으로 올라가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자세 교정용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의의 전면부로 이루어지고,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110)과; 상기 앞판(110)과 봉제하여 상의의 후면부로 구성되되, 상기 앞판(110)보다 폭이 짧게 구비되고,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121)과 우판(122)으로 나누어서 제작되며, 상기 좌판(121)과 우판(122)의 봉제를 위한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120a)가 봉제되고,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서 상기 앞판(110)보다 신축성이 작고 양쪽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130)이 덧대어져 봉제되는 뒤판(120);을 포함하되; 착용 후 상기 뒤판(120)과 앞판(110)을 연결하는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a')는 착용 전 상기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떨어진 거리(a)보다 길다.
본 발명의 상기 앞판(110)은 겨드랑이 부분에서 상기 뒤판(120)보다 그 폭이 넓게 구비되고, 허리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 끝단에서는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과 만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뒤판(120)의 최대 절개위치는 양쪽 겨드랑이에서 이어지는 양쪽 날개뼈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120a)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 중앙선의 상하단부와 패턴부에 의해 절개된 부분이 유선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원단(130)은 상기 뒷판(120)과 면접촉하되, 좌우측에서 상기 뒤판(120)의 좌판(121)과 우판(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하측에서 상기 좌판(121) 및 우판(122) 보다 내측으로 들어가 뒷판(120)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의 어깨와 겨드랑이에서 연결되는 긴소매(1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긴소매(140)는 밑단에 강한 탄성력을 갖는 시보리(141)가 봉제결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 긴소매(140)는 밑단에는 소매의 직경을 원 사이즈의 직경보다 더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과, 상기 앞판보다 폭이 짧게 구비되고,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과 우판으로 나누어서 제작되며,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가 봉제되고,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 상기 앞판보다 신축성이 작고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이 봉제되는 뒤판을 봉제하여 상의를 구성함으로써, 어깨와 등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하드 타입의 원단인 고밀도 파워네트로 이루어지는 보강원단에 의해 착용 후 상기 앞판과 뒤판을 연결하는 옆구리 박음질선이 옆구리선에서 뒤판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착용 전 상기 옆구리 박음질선이 옆구리선에서 이동한 거리보다 커서 양쪽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에서 당겨지는 압력을 받아 착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자세를 바로 잡게 되므로 어깨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허리가 완만한 S자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움츠러든 가슴과 굽은 자세를 펴지도록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기존의 자세 교정 밴드에 비해 편안하게 입을 수 있어 평상시에도 착용가능하고 일상성을 가지며 일상 속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편안한 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앞판과 뒤판의 어깨와 겨드랑이를 따라 연결되는 긴소매를 구비하여 뒤판의 양 옆에서 뒤판 패턴부를 잡아 주어 힘있게 지탱하게 되므로 뒤판 패턴부가 어깨를 당겨줌과 동시에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긴소매의 밑단에 시보리를 형성하여 상기 긴소매가 뒤판에서 당겨주는 힘에 의해 지속적으로 팔꿈치 방향으로 올라가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에서 뒤판의 좌우판이 봉제되기 전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에서 뒤판의 좌우판이 봉제된 후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에서 보강원단이 봉제된 뒤판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에서 앞판과 결합된 뒤판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의 착용 후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의 착용 후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의 착용 전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는 어깨와 등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의 전면부로 이루어지고,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110)과,
상기 앞판(110)과 봉제하여 상의의 후면부로 구성되되, 상기 앞판(110)보다 폭이 짧게 구비되고,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121)과 우판(122)으로 나누어서 제작되며, 상기 좌판(121)과 우판(122)의 봉제를 위한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120a)가 봉제되되,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서 상기 앞판(110)보다 신축성이 작아 양쪽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130)이 덧대어져 봉제되는 뒤판(120)을 포함하여 상의(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면은 상의(100)의 앞면을 뜻하고, 후면은 전면의 반대되는 쪽의 면으로 위치상으로 등 쪽의 면인 배면을 의미한다.
상기 상의(100)는 전면부로 이루어지는 앞판(110),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뒤판(120) 및 상기 뒤판(120) 상부에서 양쪽 어깨에서 겨드랑이 사이에 덧대어지는 보강원단(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앞판(110)은 소매가 없고 신체의 앞부분(가슴, 배)을 덮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뒤판(120) 또한 소매가 없고 신체의 뒷부분(등)을 덮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앞판(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드랑이 부분에서 상기 뒤판(120)보다 그 폭이 넓게 구비되며, 이에 상기 뒤판(120)과 결합되는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전면이 아닌 후면, 즉 등부분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앞판(110)은 겨드랑이 부분에서 허리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 끝단에서는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과 만나게 된다.
상기 옆구리선(112)은 양쪽 겨드랑이 중심에서 하부로 내려오는 중심선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의(100)를 착용 후 상기 뒤판(120)과 결합된 앞판(110)의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이 있는 곳까지 이동한 거리(a')는 착용 전 상기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떨어진 거리(a)보다 크게 된다.
상기 뒤판(120)은 상기 앞판(110)과 봉제되어 함께 상의(100)를 구성하되, 수직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121)과 우판(122)으로 나누어서 제작된다.
상기 뒤판(120)은 봉제 전에 상기 좌판(121)과 우판(122)의 봉제를 위한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120a)가 형성된다.
상기 최대 절개위치는 겨드랑이 부분의 높이에서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앞판(110)의 옆구리 박음질선(111)은 상기 패턴부(120a)의 최대 절개위치에 영향을 받아 겨드랑이 부분의 높이에서 상기 옆구리선(112)과 사이 폭이 가장 넓게 된다.
상기 패턴부(120a)는 좌측 패턴라인(121a)과 우측 패턴라인(122a)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마름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20a)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상의(100) 착용이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동시에 등부분이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압박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뒤판(120)의 좌판(121) 및 우판(122)을 봉제하기 전, 수직중앙선의 상하단부와 좌측 패턴라인(121a) 및 우측 패턴라인(122a)에 의해 절개된 부분인 패턴부(120a)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패턴부(120a)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물고기 몸통과 같은 유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뒤판(120)의 수직중앙선의 하단부까지 전체적으로 절개하지 않고 하단부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에서 패턴부(120a)가 끝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좌판(121)과 우판(122)의 패턴부(120a)를 봉제할 때는 상기 뒤판(120)을 완성하도록 좌판(121) 및 우판(122)의 패턴부(120a)의 좌측 패턴라인(121a) 및 우측 패턴라인(122a)을 서로 맞댄 다음 이를 봉제한다.
상기 좌판(121) 및 우판(122)의 패턴부(120a)를 서로 맞댄 다음, 이를 봉제하게 되면 좌판(121) 및 우판(122)의 외측 라인은 도 1에 도시된 형태에서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된다. 즉 외측 라인이 내측으로 약간 들어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텐셀섬유는 레이온과 폴리우레탄(스판)의 혼합으로 구성되고, 이때 레이온과 폴리우레탄 비율은 92~95:8~5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92:8로 이루어지는 것이 신축강도 및 편안함이 가장 좋다.
텐셀섬유는 터치가 부드럽고 신축성이 좋아 원단을 양쪽에서 잡아 당겼을 때 부드럽게 늘어나게 되므로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의 결합시 겨드랑이 부분의 폭이 앞판(110)보다 좁은 뒤판(120)에서 상기 앞판(110)을 잡아 당기게 된다.
상기 뒤판(120)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상기 보강원단(130)은 나이론과 폴리우레탄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나이론과 폴리우레탄의 비율은 70~75 : 30~25이고, 나이론 72%, 폴리우레탄 28% 으로 혼합될때에 전술한 레이온과 폴리우레탄 비율의 비율인 92:8의 비율가 가장 적합하게 등과 가슴을 고정한다.
상기 파워네트는 소프트, 미디움, 하드 타입으로 3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장 강도가 높은 하드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원단(130)은 텐셀섬유보다 신축력이 작지만 복원력이 우수하여 상기 뒤판(120) 상부에 결합하여 어깨가 펴지는 강도와 지속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원단(130)이 결합된 상의(100)를 착용했을 때는 어깨가 쫙 젖혀지면서 가슴이 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상기 보강원단(130)이 하드 타입 파워네트 원단으로 구비될 경우 미들 타입과 소프트 타입의 파워네트 원단보다 어깨 펴지는 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원단(130)이 하드 타입의 파워네트 원단으로 구비될 경우 특성상 변형(늘어짐과 틀어짐)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핵심패턴, 즉 보강원단(130)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유지되게 된다.
상기 보강원단(130)은 그 위치가 뒤판(120)의 윗부분(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뒤판(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원단(130)은 상기 뒤판(120)의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서 상기 앞판(110) 및 뒤판(120)보다 신축성이 작고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원단으로 이루어져 뒤판(120)에 봉제결합된다.
상기 보강원단(130)은 고밀로 파워네트로 이루어져 앞판(110) 및 뒤판(120)의 소재보다 탄성력이 뛰어나 상기 앞판(110) 및 뒤판(120)이 신축될 힘보다 더 큰 힘을 가해야 신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원단(130)이 있는 부분인 어깨와 등 부분에서는 자세가 구부정한 경우에는 특수 패턴으로 좁아진 디자인과 보강원단(130)에 의해 강한 압박력이 가해지게 되고, 자세가 바른 자세로 되면 그 압박력이 사라지게 되어 착용자는 압박력에 따라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원단(130)이 상기 뒤판(120)에 봉제결합되면, 상기 뒤판(120)을 앞판(110)과 봉제결합하여 상의(100)를 완성한다.
상기 보강원단(130)이 덧대어진 상의(100)는 상체가 발달되거나 볼륨감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 겨드랑이(암홀) 부분의 봉제선이 팽팽해져서 피부에 닿는 부분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겨드랑이에 닿는 앞판(110)의 소매형성 부분에 충분한 여유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소매형성 부분에 충분한 여유 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가슴을 열어주는 기능이 감소할 수 있어 여유 공간의 확대는 제한적으로 접근하여야 하며, 볼륨감이 있는 여성 또는 근육질의 남성의 경우에는 원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로 접근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자세 교정용 의류는 소매가 있는 것과 없는 것 동일한 제작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허리라인은 내측으로 약간 들어간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전술한 절개된 패턴부(120a)의 좌측 패턴라인(121a) 및 우측 패턴라인(122a)을 서로 봉제하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로 변형된다.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뒤판(120)의 좌판(121)과 우판(122)을 만든 다음, 패턴부(120a)를 서로 봉제하고, 다시 내측에 보강원단(130)을 봉제결합하며, 앞판(110)과 뒤판(120)을 봉제결합하여 완성한다.
이때, 상기 좌판(121)과 우판(122)의 패턴부(120a)를 서로 당겨 봉제하기 때문에 허리부분이 내측으로 조금 휘어져 보이게 된다.
이에 수직중앙부를 따라 패턴부(120a)가 서로 봉제되고, 팔부분과 어깨부분근처에서 상기 보강원단(130)이 봉제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등과 어깨가 구부정하게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힘을 받도록 상기 보강원단(130)이 어깨 부근에서 겨드랑이 부근까지 위치한다.
상기 뒤판(120)의 제작을 위한 좌판(121)과 우판(122)은 종래기술과 같이 재단하되, 상기 패턴부(120a)가 형성되도록 좌측 패턴라인(121a)과 우측 패턴라인(122a)을 따라 절개한다. 상기 패턴부(120a)는 겨드랑이 부근에서 좌측 패턴라인(121a)과 우측 패턴라인(122a)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형성되고, 이후 상하단에서 서서히 그 거리가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패턴부(120a)는 봉제 전에는 유선형 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좌측 패턴라인(121a)과 우측 패턴라인(122a)을 서로 맞대어 봉제하게 되면 뒤판(120)은 도 3과 같은 형태로 허리부분이 내측으로 약간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앞판(110)과 뒤판(120)을 봉제결합하면 도 4와 같은 형태로 상의(100)가 완성된다.
보강원단(130)인 파워네트는 신축성이 앞면보다 나쁘지만, 복원력이 뛰어나다. 이러한 보강원단(130)은 착용자가 입기전의 상태인 도 4와 입은 후의 상태인 도5및 6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뚜렷해진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상의(100)를 착용 후 상기 뒤판(120)과 결합된 앞판(110)의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이 있는 곳까지 이동한 거리(a')는 착용 전 상기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떨어진 거리(a)보다 크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보강원단(130)의 신축력이 앞판(110)인 텐셀섬유보다 나쁘기 때문에 착용자가 입었을때에 신장이 되지 않는 반면, 앞판(110)은 보다 쉽게 신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보강원단(130)은 연속적인 면으로 이루어져 뒷판(120)과 면접촉하여 결합되며, 좌우측이 좌판(121)과 우판(122)의 형상과 대응되게 전개되고, 상하측이 좌판(121)과 우펀(122)의 내측으로 들어가 좌우의 폭이 상하의 폭보다 길게 된다. 이것은 보강원단(130)의 좌우폭이 가장 짧은 견갑골 부분에도 적용된다. 보강원단(130)의 상단은 뒷판(120)의 상단에서 이격된다. 이러한 이격은 간격은 어깨부분에서부터 커지기 시작하여 수직중앙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가장 크다. 이와 같은 이격된 거리로 인하여 보강원단(130)은 뒷목 부분에서 가압력이 낮아지고, 특히 앞판(110)의 목과 그 아래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가압력을 제공하여 호흡이 편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강원단(130)의 형상과 신축력 및 복원력은 착용자가 입었을때에 앞판인 텐션섬유를 신장시켜 뒷판쪽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도5와 같은 압력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압력방향으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팔이 없는 도 5와 같은 형태에서 앞판의 어깨부분에서 뒤쪽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특히 보강원단(130)이 결합된 뒷판(120)과 박음질된 겨드랑이 밑쪽에서 강한 압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보강원단(130)의 가압력에 의하여 민소매(나시)와 같은 도5의 경우에는 착용에 무리가 없으나, 팔굼치 위에서 마무리되는 반팔의 경우에는 팔의 앞쪽이 뒤쪽으로 말려 이동하여 입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러나, 도 7과 같은 팔굼치 아래까지 연결된 다른 실시예의 긴소매(140)는 압력이 가해져도 팔굼치 아래로 연장된 소매로 인하여 뒤판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착용에 무리가 없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는 자세가 바른 경우에는 별다른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나, 자세가 앞쪽으로 구부정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원단(130)에 의해 강하게 압박을 받게 되기 때문에 자신의 자세가 잘못된 것을 인지하게 되어 바로 자세를 잡음으로써 바른 자세를 생활화하여 결국에는 자세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패턴 상의 설계로 인하여 양쪽의 견갑골을 잡아 당겨주어 바른 자세로의 교정을 돕기 위해 상의(100)의 뒷면을 입체 패턴으로 제작한 것으로, 등을 향해 자연스럽게 펴진 어깨를 통해 몸의 중심을 모아 내려주어 일상 속에서 바른 자세를 만들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의 어깨와 겨드랑이를 따라 연결되는 9부 길이의 긴소매(140)가 구비된다.
상기 자세 교정용 의류는 어깨 위로 올라가는 부분이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민소매로 구비될 수 있으며, 민소매에 반팔소매를 덧붙일 경우 보강원단(130)의 강한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앞판(110)이 뒤로 가게 되어 옷의 형태가 틀어져 착용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보강원단(130)의 복원력에 의해 쉽게 뒤로 밀려가지 않고 고정력이 있는 긴소매(140)를 덧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긴소매(1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겉옷 밖에서 보이지 않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팔굼치 아래까지 내려오는 길이라면 충분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9부로 도시하였다.
상기 긴소매(140)는 팔꿈치를 지나 손목 근처까지 오게 되고, 신축성이 좋은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밑단에는 강한 탄성력을 갖는 시보리(141)를 덧붙여 봉제될 수 있다.
상기 시보리(141)는 일반적으로 옷의 소매나 밑단에 사용되는 신축성 있는 편성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긴소매(140)가 팔꿈치 방향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강한 탄성력을 갖는 밴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긴소매(140)는 앞판(110)과 뒤판(120)의 원단과 동일한 텐셀섬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긴소매(140)에 시보리(141)가 없는 경우 팔을 움직일 경우 보강원단(130)에서 당겨주는 힘에 의해 긴소매(140)가 지속적으로 팔꿈치 방향으로 올라가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긴소매(140)에 시보리(141)를 형성하여 소매가 올라가서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때, 소매의 말단을 소매와 동일한 텐셀섬유로 달성할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말단의 직경을 원래 사이즈 소매 직경보다 더 작게 하여 말단에서 손목 또는 팔 부분을 더 강하게 조이도록 하여 구비한다. 즉, 소매 직경이 의류 사이즈가 가져야할 직경보다 작게 되어 손목이나 팔 부분을 강하게 조이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긴소매(140)는 시보리(141)가 형성됨으로써, 팔꿈치 방향으로 올라가지 않으므로 어깨주변에서의 옷 뒤틀림을 방지하게 되고, 상의(100)의 양쪽에서 보강원단(130)을 잡아주어서 힘있게 지댕하게 되어 보강원단(130)이 어깨를 당겨줌과 동시에 지지대 역할을 하여 가슴을 여는 효과를 가지되, 착용자가 불편을 적게 느끼면서 어깨를 펴서 가슴을 열어주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세 교정용 의류가 민소매로 구비될 경우 앞판(110)이 등 쪽으로 당겨지겠지만 어깨 위로 올라가는 부분이 작은 끈으로 이루어져 당겨져도 불편함이 적고 오히려 가슴을 열어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의(100)는 착용 전(제조시, 입기 전, 판매상태인 경우)과 착용 후(입은 후, 입어서 가슴을 열어주는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경우)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착용 전에 양측면에 위치하는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떨어진 거리(a)가 착용 후에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이동한 거리(a')보다 작으며, 이는 착용 후에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이동한 거리(a')가 착용 전에 양측면에 위치하는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떨어진 거리(a)보다 큰 것으로 상기 상의(100)를 착용했을 때 상기 보강원단(130)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더 뒤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상의(100)를 착용한 착용자는 상기 보강원단(130)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후면으로 밀려난 것을 인지하고 자세를 바로 잡게 되어 어깨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허리가 완만한 S자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움츠러든 가슴과 굽은 자세를 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은 신장성이 뛰어나 쉽게 늘어나는 반면, 상기 보강원단(130)은 신장되지 않으므로 등 뒤쪽으로 모아지도록 한다.
상기 상의(100)는 착용자가 벗게 되면 신축성과 복원성에 의해 늘어났던 부위가 원상 복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110)과, 상기 앞판(110)보다 폭이 짧게 구비되고, 수직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121)과 우판(122)으로 나누어서 제작되며,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120a)가 봉제되고,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 상기 앞판(110)보다 신축성이 작고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130)이 봉제되는 뒤판(120)을 봉제하여 상의(100)를 구성함으로써, 어깨와 등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하드 타입의 원단인 고밀도 파워네트로 이루어지는 보강원단(130)에 의해 착용 후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을 연결하는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착용 전 상기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떨어진 거리보다 커서 양쪽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에서 당겨지는 압력을 받아 착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자세를 바로 잡게 되므로 어깨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허리가 완만한 S자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움츠러든 가슴과 굽은 자세를 펴지도록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기존의 자세 교정 밴드에 비해 편안하게 입을 수 있어 평상시에도 착용가능하고 일상성을 가지며 일상 속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편안한 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의 어깨와 겨드랑이를 따라 연결되는 긴소매(140)를 구비하여 뒤판(120)의 양 옆에서 보강원단(130)을 잡아 주어 힘있게 지탱하게 되므로 보강원단(130)이 어깨를 당겨줌과 동시에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긴소매(140)의 밑단에 시보리(141)를 형성하여 상기 긴소매(140)가 뒤판(120)에서 당겨주는 힘에 의해 지속적으로 팔꿈치 방향으로 올라가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100 : 상의
110 : 앞판 111 : 옆구리 박음질선
112 : 옆구리선 120 : 뒤판
120a : 패턴부 121 : 좌판
121a : 좌측 패턴라인 122 : 우판
122a : 우측 패턴라인 130 : 보강원단
140 : 긴소매 141 : 시보리

Claims (7)

  1. 상의의 전면부로 이루어지고,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앞판(110)과;
    상기 앞판(110)과 봉제하여 상의의 후면부로 구성되되, 상기 앞판(110)보다 폭이 짧게 구비되고,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좌판(121)과 우판(122)으로 나누어서 제작되며, 상기 좌판(121)과 우판(122)의 봉제를 위한 수직중앙선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상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절개된 부분이 최대 절개위치까지는 증가하다가 다시 하단부까지는 감소하도록 절개된 패턴부(120a)가 봉제되고, 양쪽 어깨로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높이에서 상기 앞판(110)보다 신축성이 작고 양쪽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원단(130)이 덧대어져 봉제되는 뒤판(120);을 포함하되;
    착용 후 상기 뒤판(120)과 앞판(110)을 연결하는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a')는 착용 전 상기 옆구리 박음질선(111)이 옆구리선(112)에서 떨어진 거리(a)보다 긴 자세 교정용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110)은 겨드랑이 부분에서 상기 뒤판(120)보다 그 폭이 넓게 구비되고, 허리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 끝단에서는 옆구리선(112)에서 뒤판(120)과 만나게 되는 자세 교정용 의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판(120)의 최대 절개위치는 양쪽 겨드랑이에서 이어지는 양쪽 날개뼈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120a)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 중앙선의 상하단부와 패턴부에 의해 절개된 부분이 유선형을 형성하는 자세 교정용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원단(130)은 상기 뒷판(120)과 면접촉하되, 좌우측에서 상기 뒤판(120)의 좌판(121)과 우판(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하측에서 상기 좌판(121) 및 우판(122) 보다 내측으로 들어가 뒤판(120)과 결합되는 자세 교정용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용 의류는 상기 앞판(110)과 뒤판(120)의 어깨와 겨드랑이에서 연결되는 긴소매(140)가 구비되는 자세 교정용 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소매(140)는 밑단에 강한 탄성력을 갖는 시보리(141)가 봉제결합되는 자세 교정용 의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소매(140)는 밑단에는 소매의 직경을 원 사이즈의 직경보다 더 작은 자세 교정용 의류.
KR1020200045833A 2020-04-16 2020-04-16 자세 교정용 의류 KR10238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833A KR102381107B1 (ko) 2020-04-16 2020-04-16 자세 교정용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833A KR102381107B1 (ko) 2020-04-16 2020-04-16 자세 교정용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03A KR20210128103A (ko) 2021-10-26
KR102381107B1 true KR102381107B1 (ko) 2022-03-30

Family

ID=7826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833A KR102381107B1 (ko) 2020-04-16 2020-04-16 자세 교정용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1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05Y1 (ko) 2002-01-05 2002-06-21 한연희 쉐이프업 다이어트수영복
JP2012233285A (ja) 2011-05-06 2012-11-29 Wacoal Corp 補整機能を有する衣類
JP2018119222A (ja) 2017-01-23 2018-08-02 株式会社ワコール 水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754B1 (ko) 1998-07-20 2001-09-22 김용환 자세 교정용 의복
KR101129008B1 (ko) 2011-06-07 2012-03-23 황태명 어깨 교정 의복
JP5293844B2 (ja) 2012-01-26 2013-09-18 東レ株式会社 衣服
KR200473901Y1 (ko) * 2012-09-13 2014-08-07 김선미 보정속옷
KR101554878B1 (ko) 2013-10-24 2015-09-25 양시훈 자세 교정용 가능성 의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05Y1 (ko) 2002-01-05 2002-06-21 한연희 쉐이프업 다이어트수영복
JP2012233285A (ja) 2011-05-06 2012-11-29 Wacoal Corp 補整機能を有する衣類
JP2018119222A (ja) 2017-01-23 2018-08-02 株式会社ワコール 水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03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564A (en) Undergarment with natural feeling buttock support
WO2017199520A1 (ja) 筒状包帯
BR112016025978B1 (pt) Roupas íntimas, método de produção de uma roupa íntima e método de fabricação pelo menos parcial de uma roupa íntima
JP2007146337A (ja) 衣服
JP6025949B1 (ja) 下着
KR200493255Y1 (ko)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KR102444298B1 (ko) 체간 서포터 및 그것을 구비한 웨어
KR100734557B1 (ko) 팬티
JPH06166901A (ja) パンティーアンダーガーメント
KR100923504B1 (ko) 올인원
KR102381107B1 (ko) 자세 교정용 의류
JP2006144194A (ja) インナー・ウェア
KR101250465B1 (ko) 올인원
JPH03260102A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US4121302A (en) Articles of clothing
JP2005089879A (ja) 伸びる部分を持ったボーン
JP7190776B2 (ja) 下着
KR102416532B1 (ko)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CN217184894U (zh) 一种塑身衣物
CN217136880U (zh) 一种高弹混纺修身九分裤
CN215651832U (zh) 一种改良型背背佳
KR200493256Y1 (ko) 팔 움직임을 개선한 체형 보정용 속옷
JP2014015684A (ja) 筒状経編物からなる衣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214509452U (zh) 一种提臀束裤
JP3967541B2 (ja) 乳房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