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532B1 -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 Google Patents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532B1
KR102416532B1 KR1020220042764A KR20220042764A KR102416532B1 KR 102416532 B1 KR102416532 B1 KR 102416532B1 KR 1020220042764 A KR1020220042764 A KR 1020220042764A KR 20220042764 A KR20220042764 A KR 20220042764A KR 102416532 B1 KR102416532 B1 KR 102416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sewn
plate
back plate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수
Original Assignee
임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수 filed Critical 임용수
Priority to KR102022004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제공한다. 상기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있어서 그 상의는, 상단이 아암홀의 일부가 되는 앞판과 상기 앞판의 안감; 상기 앞판에 대응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좌측 안감 및 상기 뒷판의 우측 안감;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연결하며, 상단이 아암홀의 다른 일부가 되는 옆판과 상기 옆판의 안감; 상기 뒷판의 좌측 안감 및 상기 뒷판의 우측 안감에 각각 봉제되어 연결되며, 착용자의 상부 척추라인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신축부; 및 일측이 상기 옆판의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뒷판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옆구리에 배치되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SUIT WITH ELASTICITY ADAPTING TO MOVEMENT AND BODY SHAPE}
본 발명은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동작을 편안하게 하고 신체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신축함으로써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관한 것이다.
슈트(suit)는 상하의를 같은 소재로 만든 한 벌의 양복을 의미한다. 양복은 직장이나 행사 및 모임 등의 공식적인 자리에서 많이 착용되며, 비지니스 웨어로서 유니폼 같은 의류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양복 상의는 신체의 모양에 맞는 외피와, 외피를 안에서 받치는 한편 신체나 다른 옷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내피를 포함하며, 외피와 내피는 봉제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양복 상의는 봉제결합될 수 있는, 앞판, 뒷판 및 옆판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에 각각 안감이 구비된다.
양복은 착용자의 신체에 맞아서 그 몸매가 어느 정도 드러나게 하면서도 착용자가 움직이기에 편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양복은 스포츠 의류와 같은 신축성을 가지지는 못하므로, 양복을 착용한 채로 등을 구부리거나, 몸통을 비틀거나, 팔을 회전시키거나, 쭈그리고 않거나, 의자에 앉는 등의 동작시에 등, 가슴, 옆구리, 팔과 어깨, 대퇴부와 엉덩이, 복부 등에 큰 저항감과 압박을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더 나아가 양복의 일부의 봉제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젊은 남성들의 체형이 서구적으로 변화되고, 자신의 외모를 슬림하게 표현하길 원함에 따라 몸에 피트되는(fitting) 슬림 슈트 스타일이 유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신체 동작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신체부위에서 더욱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활동성 제약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양복에 착용자의 동작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 제시된 예들은 단순히 어깨나 무릎 등 동작이 빈번한 부위에 신축부를 봉제하여 일부 신축성을 부여한 것에 불과한 것들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신체 각부위의 동작시에 충분한 편안함을 제공하기에 부족하며, 특히 슬림핏 양복의 활동성 확보에 불충분하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형이 변화하고, 신체의 부피가 증감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과거에는 알맞았던 양복이 현재에는 착용이 불편하게 되거나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종래의 양복들은 대응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8224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등, 허리, 팔, 다리, 몸통 등 신체의 동작을 편안하게 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체형과 신체의 부피의 변화에 대응하여 부피적응성 내지 부피팽창성을 구현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제공한다. 상기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있어서 그 상의는, 상단이 아암홀(armhole)의 일부가 되는 앞판과 상기 앞판의 안감; 상기 앞판에 대응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좌측 안감 및 상기 뒷판의 우측 안감;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연결하며, 상단이 아암홀의 다른 일부가 되는 옆판과 상기 옆판의 안감; 상기 뒷판의 좌측 안감 및 상기 뒷판의 우측 안감에 각각 봉제되어 연결되며, 착용자의 상부 척추라인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신축부; 및 일측이 상기 옆판의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뒷판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옆구리에 배치되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신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옆판과 상기 뒷판이 연결되는 봉제선중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절개선을 형성하며, 상기 옆판에는 상기 옆판의 외면에서 상기 뒷판의 외면 위로 연장되어 상기 절개선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상기 제2 신축부가 신장시에 상기 절개선에서 상기 옆판과 상기 뒷판이 서로 이격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2 신축부가 외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상의는 일측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옆판의 안감에 봉제되어 상기 앞판의 안감과 상기 옆판의 안감을 연결하는 제3 신축부; 및 삼각 형상을 가지고, 일변이 착용자의 가슴에 대응하는 상기 앞판에 봉제되고, 나머지 두변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4 신축부; 및 상기 뒷판의 안감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뒷판 중 좌측 부분에 겹쳐져 제1 봉제선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뒷판 중 우측 부분에 겹쳐져 제2 봉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봉제선 및 상기 제2 봉제선 사이의 뒷판 부분보다 짧은 좌우폭을 가져서, 상기 뒷판에 신축 여유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5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부에 대응하며 역삼각 형상을 가지고, 일측이 상기 앞판에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6 신축부; 일측이 상기 앞판의 아암홀 라인을 따라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7 신축부; 일측이 상기 뒷판의 아암홀 라인을 따라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뒷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8 신축부; 및 상기 양복 상의의 팔 및 팔의 안감의 팔꿈치에 구비되며, 일측은 팔의 내면에 봉제되고, 타측은 팔의 안감에 봉제된 팔꿈치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바지는, 허리부터 발목단까지 연장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며 양측 다리 사이의 내측 봉제선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봉제선을 형성하는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허리측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허리 안감; 상단이 상기 허리 안감에 봉재되고 하단이 상기 전면부에 봉재된 무릎 신축부; 및 상기 외측 봉제선과 상기 허리 안감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전면부측에서 상기 허리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후면부에 봉제되는 제9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9 신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봉제선의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추가의 절개선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후면부의 외면 위로 연장되어 상기 추가의 절개선을 커버하는 추가의 커버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상기 제9 신축부가 신장시에 상기 추가의 절개선에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가 서로 이격될 때, 상기 추가의 커버부가 상기 제9 신축부가 외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 부위별로 대응할 수 있는 신축부들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등, 허리, 팔, 다리, 몸통 등 신체의 동작을 편안하게 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체형의 변화와 몸무게 증감으로 인한 신체의 부피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복 내부 공간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한 부피적응성 내지 부피팽창성을 구현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제조하는 공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제조과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상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신축부와 다른 부재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상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신축부와 다른 부재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복의 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실제로 제조하는 공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제조과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상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이하,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착용자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부를 가진다. 예를 들어,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착용자가 등이 굽는 동작, 팔을 회전시키는 동작 등을 할 때, 큰 저항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착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복부측이 신축되어 복부가 압박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착용자의 가슴둘레가 커서 가슴쪽에 불편감이 느껴지는 경우, 대응하는 부분이 신축되어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착용자의 동작의 편안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체형이나 동작에 적응하여 대응하는 부분이 신축됨으로써, 활동성을 증가시키고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일종의 부피팽창 형태를 구현할 수 있어서, 슬림핏의 양복 상의를 착용하더라도 신체에 적응하여 신축하므로 착용자에게 좋은 느낌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형에 더욱 알맞은 핏(fitting)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있어서, 그 상의(100)는 앞판(10), 뒷판(30), 옆판(50), 앞판의 안감(20), 뒷판의 안감(40), 옆판의 안감(60), 제1 신축부(110) 및 제2 신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앞판(10)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앞판(10)의 상단은 아암홀(5)의 일부가 되도록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뒷판(30)은 앞판(10)에 대응하며, 뒷판(30)의 상단은 어깨선과 목선을 형성할 수 있다. 옆판(50)은 앞판(10)과 뒷판(30)에 각각 봉제되어 연결되며, 옆판(50)의 상단에도 앞판(10)의 상단의 아암홀 라인과 이어져 아암홀의 다른 일부를 이루는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앞판의 안감(20), 뒷판의 안감(40) 및 옆판의 안감(60)은 각각 앞판(10), 뒷판(30) 및 옆판(50)에 내면에 봉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뒷판의 안감(40)은 뒷판(30)의 상단의 어깨 라인을 따라 봉제될 수 있다. 뒷판의 안감(40)은 뒷판(30) 중에서 상측에 위치한다. 뒷판의 안감(40)은 착용자의 척추라인을 기준으로 뒷판의 좌측 안감 및 뒷판의 우측 안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신축부와 다른 부재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1 신축부(110)는 탄성이 우수한 소재로서, 고탄성 섬유 또는 비섬유 소재도 채택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1 신축부(110)는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탄성메쉬(elastic mesh)와 같은 신축 섬유소재, 파워 네트(power net),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사,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후술되는 신축부들도 마찬가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들은 양복 착용자가 움직일 때 신축부가 늘어나서 착용자가 섬유의 저항감이 크게 감소된 상태로 동작을 할 수 있다.
제1 신축부(110)는, 도 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판의 좌측 안감 및 뒷판의 우측 안감에 각각 봉제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상부 척추라인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봉제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축부(110)는 뒷판의 좌측 안감 및 뒷판의 우측 안감에 각각 맞닿도록 봉제(112)될 수 있다. 한편, 제1 신축부(110)는 뒷판(30)에 봉제되지 않을 수 있다(도 4의 상측 그림 참조). 이와 다르게, 제1 신축부(110)의 중앙선이 뒷판(30)에 봉제(114)될 수도 있다(도 4의 가운데 그림 참조).
너무 타이트하게 핏이 맞는 양복의 경우, 착용자가 등을 굽히는 동작시 및 가슴둘레가 큰 체형은 큰 압박감을 느껴서 동작이 불편한 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등을 굽히는 동작시에 제1 신축부(110)가 이에 적응하여 신장되며, 등을 펴면 다시 원상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떨어지는 뒷판(30)에 의한 직접적 압박이 완화되며, 착용자는 제1 신축부(110)로 인해 등을 굽히는 등의 동작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부분의 핏은 맞는데, 가슴둘레가 큰 경우 제1 신축부(110)가 좌우 늘어남이 가능하므로 착용감이 더 좋아질 수 있다.
제2 신축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옆구리, 더욱 구체적으로는 후방측 옆구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신축부(120)의 중심은 제1 신축부(110)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신축부(120)는 일측이 옆판의 안감(60)에 봉제되고, 타측이 뒷판(30)에 봉제될 수 있다(도 5의 상측 그림 참조). 따라서, 착용자의 가슴 내지 몸통을 회전시키거나 뒤틀 때, 제2 신축부(120)가 신장 및 수축됨으로써 뒷판(30)이나 옆판(50)의 저항감을 줄이고 부드럽게 동작을 할 수 있다(도 5의 가운데 그림 참조). 또한, 제2 신축부(120)로 인해 체형에 더욱 적합한 핏팅(fitting)을 할 수 있다.
한편, 제2 신축부(120)에 대응하여 옆판(50)과 뒷판(30)이 연결되는 봉제선중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옆판(50)과 뒷판(30)이 봉제되어 연결될 때, 절개선이 될 부분에서는 봉제가 생략되어 제조공정 중에 자연스럽게 이러한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옆판(50)에는 옆판(50)의 외면에서 뒷판(30)의 외면 위로 연장되어 절개선을 커버하는 커버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제2 신축부(120)가 신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선에서 옆판(50)과 뒷판(3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55)가 제2 신축부(120)가 외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도 5의 가운데 및 하측 그림 참조). 물론 커버부(55)의 생략도 가능하다.
제2 신축부(120)는 고탄력 재질로서 착용자가 보통의 동작시에는 절개선이 벌어지지 않는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급격한 동작이나 일시적 과도한 힘이 양복에 걸리는 경우, 제2 신축부(120)의 신장, 절개선의 벌어짐(9)으로 과도한 동작에도 편안하게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양복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제3 신축부(130) 및 제4 신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축부(130)는 일측이 앞판의 안감(20)에 봉제되고, 타측이 옆판의 안감(60)에 봉제되어 앞판의 안감(20)과 옆판의 안감(60)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신축부(130)는 옆판의 안감(6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착용자의 몸통의 사이즈에 따라 제3 신축부(130)가 신장 수축하여 더 좋은 핏을 형성할 수 있고 동작시에 더욱 편안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3 신축부(130)는 전방측 옆구리에 위치하여 가슴부터 복부까지 모두에 대응하여 신축할 수 있다.
제4 신축부(140)는 삼각 형상을 가지고, 제4 신축부(140)의 일변이 착용자의 가슴에 대응하는 앞판(10)에 봉제될 수 있다. 제4 신축부(140)의 나머지 두변이 앞판의 안감(20)에 봉제될 수 있다. 제4 신축부(140)는 체형이나 몸무게의 증감에 따른 부피증감에 적응하여 앞판(10)을 착용자에 더욱 잘 피팅되도록 하고, 착용자의 가슴측에 압박감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그 상의(1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등, 옆구리, 팔, 가슴, 복부 등 신체 각부위에서 착용자의 체형이나 동작에 적응하여 신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이나 활동이 편해지고 체형에 더욱 적합하게 핏팅될 수 있다.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은 더 나아가 체형변화나 몸무게 증감에 따른 착용자의 신체의 부피증감에도 적응하여 부피적응성도 함께 가진다. 따라서, 몸무게의 변화에 따라 약간의 몸의 부피가 증가해도 착용시 불편하거나 핏이 망가지는 기존의 양복에 비해서 현저히 우수한 핏과 동작의 편안함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체형 및 부피 변화에도 적응하여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의 상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신축부와 다른 부재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있어서, 그 상의(100)는, 제5 신축부(150), 제6 신축부(160), 제7 신축부(170) 및 제8 신축부(180)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5 신축부(150)는 뒷판의 안감(40)의 하측에 배치되며, 뒷판(30)에 직접 봉제될 수 있다. 제5 신축부(150)의 일측이 뒷판(30) 중 좌측 부분에 겹쳐져 제1 봉제선(154)이 형성되고, 타측이 뒷판(30) 중 우측 부분에 겹쳐져 제2 봉제선(15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봉제선(154) 및 제2 봉제선(156) 사이의 길이에 있어서, 제5 신축부(150)는 뒷판(30) 부분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상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신축부(150)에 대응하는 뒷판(30)에 주름(신축 여유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신축부(150)가 신장되는 경우 뒷판(30)의 주름이 펴지면서 제5 신축부(150)의 신장을 수용할 수 있다.
제6 신축부(160)는 착용자의 복부에 대응하며 역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일변이 대응하고, 아래로 이동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6 신축부(160)의 일측이 앞판(10)에 봉제되고 타측이 앞판의 안감(20)에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제6 신축부(160)는 옆판(50)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6 신축부(160)가 역삼각 형태로 배치되므로 착용자의 대략 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6 신축부(160)의 신장의 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양복 상의(100)의 앞단추를 체결하고 의자에 앉는 경우나 쪼그리고 않는 경우, 복부에 압박이 증가하고 앞단추에 부하가 크게 걸릴 수가 있다. 제6 신축부(160)는 복부측에서 부피증가를 수용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편안함을 제공하고 양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 각 신축부는 양복의 외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상태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외부에서 보이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복 상의(100)의 팔은 아암홀에서 앞판(10), 뒷판(30) 및 옆판(50)과 연결될 수 있다. 착용자의 팔운동으로 인해 아암홀측에서 각도나 휨 등의 운동이 활발하며, 제7 신축부(170) 및 제8 신축부(180)는 이에 적응하여 신축함으로써, 팔동작을 더욱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제7 신축부(170)는 일측이 앞판(10)의 아암홀 라인을 따라 봉제되고, 타측이 앞판의 안감(20)에 봉제될 수 있다. 제8 신축부(180)는 일측이 뒷판(30)의 아암홀 라인을 따라 봉제되고, 타측이 뒷판의 안감(40)에 봉제될 수 있다. 제7 신축부(170)와 제8 신축부(180)는 서로 별개로 신축할 수 있어서 보다 자유로운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양복 상의(100)의 팔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팔꿈치 신축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팔꿈치 신축부(190)는 팔의 안감에 맞닿도록 봉제될 수 있다. 또는, 팔꿈치 신축부(190)의 일측은 팔의 내면에 봉제되고, 타측은 팔의 안감에 봉제될 수도 있다. 팔꿈치 신축부(190)로 인해 팔의 굽힘 동작이 더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복의 바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있어서, 그 바지(300)는, 전면부(310), 후면부(330), 허리 안감(340), 제9 신축부(350) 및 무릎 신축부(370)를 포함한다.
전면부(310)는 바지(300)의 허리부터 발목단까지 전면을 형성한다. 후면부(330)는 전면부(310)와 연결되며, 전면부(310)와 후면부(330)의 연결에 의해 바지(300)통이 형성되며, 양측 다리 사이측 내측 봉제선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봉제선이 형성될 수 있다.
허리 안감(340)은 전면부(310)와 후면부(330)의 허리측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9 신축부(350)는 외측 봉제선과 허리 안감(34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전면부(310)측에서 허리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후면부(330)에 봉제될 수 있다. 제9 신축부(350)에 대응하여 외측 봉제선의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추가의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부(310)에는 후면부(330)의 외면 위로 연장되어 추가의 절개선을 커버하는 추가의 커버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제9 신축부(350)가 신장시에 추가의 절개선에서 전면부(310)와 후면부(330)가 서로 이격될 때, 추가의 커버부(315)가 제9 신축부(350)가 외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쭈그리고 앉는 경우, 대퇴부나 엉덩이측에 하중이 크게 가해져서 봉제선이 파손되는 위험을 제9 신축부(350)로 인해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 및 도 9에서 설명된 이러한 커버부(55,315)를 생략하고, 통상의 활동시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는 절개부에서 벌어지지 않을 정도의 고탄성 소재를 신축부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체의 다양한 동작에 편리하도록 신축부가 신축할 수 있고, 체형이나 몸의 부피변화에도 신축성에 의한 부피팽창등으로 적응하는 양복(양복의 상의(100) 및 바지(30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상의
10 : 앞판
20 : 앞판의 안감
30 : 뒷판
40 : 뒷판의 안감
50 : 옆판
60 : 옆판의 안감
110 : 제1 신축부
120 : 제2 신축부
130 : 제3 신축부
140 : 제4 신축부
150 : 제5 신축부
160 : 제6 신축부
170 : 제7 신축부
180 : 제8 신축부
190 : 팔꿈치 신축부
300 : 바지
310 : 전면부
330 : 후면부
340 : 허리 안감

Claims (5)

  1.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에 있어서 그 상의는,
    상단이 아암홀의 일부가 되는 앞판과 상기 앞판의 안감;
    상기 앞판에 대응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좌측 안감 및 상기 뒷판의 우측 안감;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연결하며, 상단이 아암홀의 다른 일부가 되는 옆판과 상기 옆판의 안감;
    상기 뒷판의 좌측 안감 및 상기 뒷판의 우측 안감에 각각 봉제되어 연결되며, 착용자의 상부 척추라인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신축부; 및
    일측이 상기 옆판의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뒷판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옆구리에 배치되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신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옆판과 상기 뒷판이 연결되는 봉제선중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절개선을 형성하며,
    상기 옆판에는 상기 옆판의 외면에서 상기 뒷판의 외면 위로 연장되어 상기 절개선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상기 제2 신축부가 신장시에 상기 절개선에서 상기 옆판과 상기 뒷판이 서로 이격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2 신축부가 외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옆판의 안감에 봉제되어 상기 앞판의 안감과 상기 옆판의 안감을 연결하는 제3 신축부;
    삼각 형상을 가지고, 일변이 착용자의 가슴에 대응하는 상기 앞판에 봉제되고, 나머지 두변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4 신축부; 및
    상기 뒷판의 안감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뒷판 중 좌측 부분에 겹쳐져 제1 봉제선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뒷판 중 우측 부분에 겹쳐져 제2 봉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봉제선 및 상기 제2 봉제선 사이의 뒷판 부분보다 짧은 좌우폭을 가져서, 상기 뒷판에 신축 여유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5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부에 대응하며 역삼각 형상을 가지고, 일측이 상기 앞판에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6 신축부;
    일측이 상기 앞판의 아암홀 라인을 따라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앞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7 신축부;
    일측이 상기 뒷판의 아암홀 라인을 따라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뒷판의 안감에 봉제된 제8 신축부; 및
    상기 양복 상의의 팔 및 팔의 안감의 팔꿈치에 구비되며, 일측은 팔의 내면에 봉제되고, 타측은 팔의 안감에 봉제된 팔꿈치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양복의 바지는,
    허리부터 발목단까지 연장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며 양측 다리 사이측 내측 봉제선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봉제선을 형성하는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허리측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허리 안감;
    상단이 상기 허리 안감에 봉재되고 하단이 상기 전면부에 봉재된 무릎 신축부; 및
    상기 외측 봉제선과 상기 허리 안감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전면부측에서 상기 허리 안감에 봉제되고, 타측이 상기 후면부에 봉제되는 제9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9 신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봉제선의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추가의 절개선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후면부의 외면 위로 연장되어 상기 추가의 절개선을 커버하는 추가의 커버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상기 제9 신축부가 신장시에 상기 추가의 절개선에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가 서로 이격될 때, 상기 추가의 커버부가 상기 제9 신축부가 외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KR1020220042764A 2022-04-06 2022-04-06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KR102416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764A KR102416532B1 (ko) 2022-04-06 2022-04-06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764A KR102416532B1 (ko) 2022-04-06 2022-04-06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532B1 true KR102416532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764A KR102416532B1 (ko) 2022-04-06 2022-04-06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5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8B1 (ko)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슈트 상의
KR102153493B1 (ko) * 2020-06-25 2020-09-08 유병순 상의 슈트
JP2021011640A (ja) * 2019-07-04 2021-02-04 一般社団法人Lgb.T 衣類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8B1 (ko)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슈트 상의
JP2021011640A (ja) * 2019-07-04 2021-02-04 一般社団法人Lgb.T 衣類
KR102153493B1 (ko) * 2020-06-25 2020-09-08 유병순 상의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58402A (ja) 衣 服
KR200493255Y1 (ko)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WO2020077158A1 (en) Garment
KR100923504B1 (ko) 올인원
KR102416532B1 (ko)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JP4629441B2 (ja) 改善された快適性をもつモーターサイクリスト用衣服
JP2875521B2 (ja) ボディシェイパー
WO1998032347A1 (fr) Vetements pour regulariser la forme des fesses
US20210346188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KR101250465B1 (ko) 올인원
KR101898275B1 (ko) 유니폼
KR102461091B1 (ko)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JP3213134U (ja) 作業ズボン
KR101027396B1 (ko) 올인원
JP3234346U (ja) 上着
JP5129601B2 (ja) リフォーム用ファンデーション
JPH07207502A (ja) 婦人用ショーツ
KR200493256Y1 (ko) 팔 움직임을 개선한 체형 보정용 속옷
JP6697814B1 (ja) カップを備える運動用女性下着
KR200494545Y1 (ko) 속옷 일체형 의류
KR102381107B1 (ko) 자세 교정용 의류
KR102604189B1 (ko) 민소매 셔츠
KR200494103Y1 (ko) 남성용 팬티
KR102678407B1 (ko) 레깅스 올인원
KR200462576Y1 (ko) 임산부용 바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