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854B1 -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854B1
KR102380854B1 KR1020200081899A KR20200081899A KR102380854B1 KR 102380854 B1 KR102380854 B1 KR 102380854B1 KR 1020200081899 A KR1020200081899 A KR 1020200081899A KR 20200081899 A KR20200081899 A KR 20200081899A KR 102380854 B1 KR102380854 B1 KR 10238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wing
dyeing
hook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4279A (ko
Inventor
홍석일
심재윤
이희동
안우형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8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8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침염 공정에서 염색기에 원단을 투입할 때 염색기 내부로 원단을 자동 투입하고 투입된 원단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자동으로 재봉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는, 내부에 원통 형상의 염색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원단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원단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원단이 다시 원단투입구로 배출되도록 내부를 통과하는 원단의 회전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배스부; 원단이 투입되는 가이드배스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원단을 통과시키면서 염색을 수행하는 염액노즐부; 원단투입구로 투입된 원단을 견인하여 회전 이송시킴으로써, 원단이 염액노즐부와 가이드배스부의 내부를 통과된 후 다시 원단투입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단이송부; 및 본체부와 결합되고, 가이드배스부를 통과하여 원단투입구로 배출된 원단의 일단과 원단투입구 외측에 위치하는 원단의 타단을 재봉시키는 자동재봉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APPARATUS FOR DYEING THAT AUTOMATICALLY INSERTS FABRIC AND PERFORMS SEWING AND METHOD FOR DYE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염 공정에서 염색기에 원단을 투입할 때 염색기 내부로 원단을 자동 투입하고 투입된 원단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자동으로 재봉 가능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침염공장에서 사용되는 염색기로써 상압용 윈치(winch) 염색기와 고압용 래피드(rapid) 염색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염색기들을 이용하면서, 염색공정에 따라 염료, 조제의 투입과 승온, 유지, 냉각 등 온도 컨트롤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그만큼 생산 효율이 증가하고 작업자에 의한 불량 및 염색사고가 줄어들고 있다. 또한, 염색 진행과정을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염색불량이 적고 재현성이 우수한 염색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첨단 스마트 염색기도 있다.
염색공정에 사용되는 염색기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자동화가 적용되어 발전해 왔으나, 아직까지 자동화가 안된 공정이 있는데, 그것은 염색기에 원단을 넣고 빼는 공정이다. 특히, 염색기에 원단을 넣고 원단의 앞부분을 찾아 원단의 뒷부분과 재봉기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작업은, 현재 모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원단을 넣는 작업은 소형염색기에 비해 대용량 염색기가 어려운데 특히 대용량 염색기(1,000kg급 염색기)의 경우 투입 원단의 길이가 길고 염색기 내부가 크고 깊어 원단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투입된 원단의 앞부분을 찾아 끌어 올릴 때 염색기에 빠지거나 혹은 회전하는 릴에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원단을 투입하는 공정과 원단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재봉기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공정은 모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자동으로 원단을 투입하고 원단 앞부분과 뒷부분 재봉기를 통해 연결이 가능한 가능한 표준화된 장치와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4541호(발명의 명칭: 염색기용 직물토출정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기)에서는, 는 염색조의 내부로부터 직물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직물의 적재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직물 출입구를 통하여 배출된 직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직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와; 일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제1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직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여, 염색조로부터 배출되는 직물을 적재용기에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으며, 깔끔하게 정단이 되고, 인출이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454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 장치에 원단을 투입하는 공정과 원단 투입 후 원단의 양 측을 재봉하는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의 재봉 부위를 용이하게 찾아 원단 배출이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원통 형상의 염색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원단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원단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원단이 다시 상기 원단투입구로 배출되도록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단의 회전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배스부; 상기 원단이 투입되는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원단을 통과시키면서 염색을 수행하는 염액노즐부; 상기 원단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원단을 견인하여 회전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원단이 상기 염액노즐부와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부를 통과된 후 다시 상기 원단투입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단이송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배스부를 통과하여 상기 원단투입구로 배출된 상기 원단의 일단과 상기 원단투입구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단의 타단을 재봉시키는 자동재봉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는, 상기 원단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원단을 이송시키는 이송후크, 및 상기 이송후크로부터 상기 원단의 일단을 전달 받아 상기 원단을 이송시켜 상기 원단의 일단이 상기 원단투입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리프팅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스부는,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이송후크와 결합하고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후크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이송후크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제어하여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을 제어하는 후크와인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후크와인더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를 수행하는 제1보빈,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를 수행하는 제2보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는, 상기 리프팅후크와 결합하고 상기 리프팅후크를 회전 운동 시키는 리프팅후크구동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후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단을 통과시켜 가이드하는 원단가이드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봉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원단의 일단과 타단에 대한 재봉을 수행하는 자동재봉기, 일단이 상기 자동재봉기와 결합하여 상기 자동재봉기를 지지하는 재봉기지지체, 및 상기 재봉기지지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재봉기지지체의 길이 또는 회동각을 가변시켜 상기 자동재봉기를 3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재봉기구동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봉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단에 대한 재봉을 수행하는 재봉바늘,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봉바늘과 결합하고 상기 재봉바늘을 재봉 운동시키는 바늘구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봉기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재봉기지지체와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을 직선 이동시키는 하우징구동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늘구동기와 결합하고 상기 바늘구동기를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기구동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투입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원단의 일단과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원단의 일단과 타단에 대한 재봉 수행 시 받침 기능을 수행하는 재봉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원단투입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원단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배출부는, 상기 원단투입구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 받아 이송시키는 원단배출릴, 상기 원단배출릴과 결합하여 상기 원단배출릴을 회전시키는 배출릴모터, 일단은 상기 배출릴모터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배출릴모터를 지지하는 배출부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일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단과 접촉하여 회전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원단을 회전 이송시키는 회전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염색 전인 상기 원단의 일단이 상기 이송후크와 결합되고,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원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투입되는 제1단계;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후크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원단이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부를 따라 회전 운동하는 제2단계;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이 종료되고 상기 리프팅후크가 작동되어 상기 원단의 일단이 상기 원단투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제3단계;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단의 타단과 상기 원단의 일단이 재봉되어 연결되는 제4단계;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원단에 대한 반복 회전 운동이 수행되어 상기 원단이 염색되는 제5단계; 및 상기 원단의 재봉 부위가 재봉 해체되고, 상기 원단이 배출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염색 장치에 원단의 일부를 투입 고정시킨 다음 자동으로 원단을 회전시켜 양 단을 제외한 원단의 나머지가 자동으로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게 하여, 원단 투입 공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원단 투입 후 노출된 원단의 양 단이 자동으로 재봉되도록 함으로써, 재봉 공정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원단의 재봉 부위를 신속하게 찾아 재봉 부위 해체 후 원단을 배출시킬 수 있어, 원단 배출 및 적재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색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단이송부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릴과 염액노즐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와 후크레일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후크의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후크의 작동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재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재봉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센서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색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색 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색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5는, 본체부(500)의 측면 방향 내부 구조에 대한 것이고, 도 6은, 원단투입구(510)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에 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단이송부에 대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릴(550)과 염액노즐부(610)에 대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8의 (a)는 회전릴(550)에 대한 것이고, 도 8의 (b)는 염색노줄부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110)와 후크레일(320)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9의 (a)는 대각선 방향에서의 모식도이고, 도 9의 (b)는 측면 방향에서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후크(120)의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0의 (a)는 리프팅후크(120)의 평면도이고, 도 10의 (b)는 리프팅후크(12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후크(120)의 작동에 대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11의 (a)는, 리프팅후크(120)와 원단(10)의 접촉 전 상태에 대한 것이고, 도 11의 (b)는, 리프팅후크(120)와 원단(10)의 접촉 전 상태에 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색 장치는, 내부에 원통 형상의 염색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원단투입구(510)를 구비하는 본체부(500); 본체부(50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원단투입구(510)를 통해 투입된 원단(10)이 다시 원단투입구(510)로 배출되도록 내부를 통과하는 원단(10)의 회전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배스부(300); 원단(10)이 투입되는 가이드배스부(3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원단(10)을 통과시키면서 염색을 수행하는 염액노즐부(610); 원단투입구(510)로 투입된 원단(10)을 견인하여 회전 이송시킴으로써, 원단(10)이 염액노즐부(610)와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를 통과된 후 다시 원단투입구(510)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단이송부; 및 본체부(500)와 결합되고, 가이드배스부(300)를 통과하여 원단투입구(510)로 배출된 원단(10)의 일단과 원단투입구(510) 외측에 위치하는 원단(10)의 타단을 재봉시키는 자동재봉부(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색 장치는, 본체부(500)와 결합하고 본체부(500) 내부에 충진된 염액을 순환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염액순환펌프(620), 일단이 본체부(500)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염액순환펌프(620)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염액에 유로를 제공하는 순환유로부(630), 순환유로부(630)와 결합되고 순환유로부(630)를 따라 유동하는 염액을 통과시켜 선택적으로 가열시키는 열교환기(640) 및, 본체부(500) 및 외부의 염액탱크와 연결되고 본체부(5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염액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염액공급제어기(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단투입구(510)의 개폐를 수행하는 덮개인 투입구개폐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00)의 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단(10)은 본체부(500)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원단(10)에 대한 염색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500)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이와 같은 본체부(500)의 측면 개방구는 측면개폐부(57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측면개폐부(570)를 열어 본체부(500)의 내부 작동 점검, 보수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작업 수행 후 측면개폐부(570)를 닫아 본체부(500)의 측면 개방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배스부(300)는 본체부(500)의 내측면을 따라 곡면을 구비하며 형성되는 외측벽체(311) 및, 외측벽체(31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외측벽체(3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체(3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벽체(311)와 내측벽체(312) 사이에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공간을 원단(10)이 통과하면서 원단(10)의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원단(10)과 인접한 외측벽체(311)와 내측벽체(312)의 외측면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원단(10)과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배스부는 회전하는 원단(10)의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체부(500) 내부의 최외측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500)의 내부에는 염액이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벽체(311)와 내측벽체(312)는 매쉬망(330)(mesh net)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매쉬망(330)에 의해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운동하는 원단(10)이 구속될 수 있고,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공간으로 염액이 투입되어 원단(10)과 염액의 접촉됨으로써 원단(10)에 대한 염색이 수행될 수 있다.
원단(10)이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공간을 따라 회전 운동하면서 투입되는 경우에는 원단이송부의 이송후크(110)와 회전릴(550)로부터 힘을 전달 받고, 원단(10)의 양 단이 재봉되어 원단(10)이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공간을 따라 반복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회전릴(550)로부터 힘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및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이송부는, 원단(10)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원단(10)을 이송시키는 이송후크(110), 및 이송후크(110)로부터 원단(10)의 일단을 전달 받아 원단(10)을 이송시켜 원단(10)의 일단이 원단투입구(5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리프팅후크(1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배스부(300)는, 가이드배스부(30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이송후크(110)와 결합하고 이송후크(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후크레일(3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단순히 표현된 도면으로써, 원단이송부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 등은 생략되어 있다.
후크레일(320)은, 가이드배스부(300)의 외측벽체(3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도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벽체(311)에 T자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후크(110)가 원단투입구(510)에 인접하여 위치 가능하도록 외측벽체(311)는 원단투입구(5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송후크(110)는, 후크레일(320)에 결합되는 레일결합체(111), 레일결합체(111)와 결합되고 갈고리(112a)(hook)를 구비하는 후크체(1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서, 점선으로 된 이송후크(110)는 원단(10)을 전달 받은 후 이동된 이송후크(110)를 나타낼 수 있다. 후크체(112)는 구 형상의 바디에 갈고리(112a)가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갈고리(112a)의 첨단이 후크체(112)의 바디를 향해 형성되고, 갈고리(112a)의 하부는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갈고리(112a)에 걸리지 않은 원단(10)은 갈고리(112a)의 하부 곡면만 접촉하게 되고, 원단(10) 투입 후 이송후크(11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원단(10)이 반복 회전 운동하여 염색되는 경우 등에 원단(10)의 이송은 이송후크(110)에 의해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원단이송부는, 와이어에 의해 이송후크(110)와 연결되고 와이어를 제어하여 이송후크(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후크와인더(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후크와인더(130)는, 와이어의 일단과 결합하고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를 수행하는 제1보빈(131), 및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를 수행하는 제2보빈(13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와인더(130)는 제1보빈(1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제2보빈(13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서, 실선의 이송후크(100)는 이송후크(100)가 원단을 이송하기 전 위치를 나타내고, 점선의 이송후크(100)는 이송후크(100)가 원단을 이송한 후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점선의 와이어는 이송후크(100)가 원단을 이송하기 전의 각 와이어를 나타내고, 실선의 와이어는 이송후크(100)가 원단을 이송한 후의 각 와이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송후크(110)와 제1보빈(131) 및 제2보빈(132)은 와이어인 제1와이어(151)와 제2와이어(1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51)의 일단은 레일결합체(111)의 일측과 결합되고, 제1와이어(151)의 타단은 제1보빈(13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와이어(152)의 일단은 레일결합체(111)의 타측과 결합되고, 제2와이어(152)의 타단은 제2보빈(132)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빈(131)이 제1와이어(151)를 권취하고 제2보빈(132)이 제2와이어(152)를 권취 해제하는 경우, 이송후크(110)는 원단투입구(510)로부터 원단가이드링(530)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빈(131)이 제1와이어(151)를 권취 해제하고 제2보빈(132)이 제2와이어(152)를 권취하는 경우, 이송후크(110)는 원단가이드링(530)으로부터 원단투입구(510)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원단이송부는, 리프팅후크(120)와 결합하고 리프팅후크(120)를 회전 운동 시키는 리프팅후크구동기(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색 장치는, 가이드배스부(300)의 타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리프팅후크(12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10)을 통과시켜 가이드하는 원단가이드링(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단가이드링(530)에 인접하여 원단(10)의 일단 위치를 감지하여 이송후크(110)의 이동 종료를 감지하는 센서인 후크센서(16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프팅후크(120)는, 일단이 꺽여진 판재로써 휘어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후크(12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이송후크(110)가 통과할 수 있는 타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후크(120)의 타공부에 의해 리프팅후크(120)의 일단은 절단되나 리프팅후크(120)의 타단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후크(120)의 일단이 꺽기게 형성되어 이송후크(110)로부터 원단(10)을 전달 받는 때에 원단(10)이 꺽임 부위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프팅후크(120)는 리프팅가이드(170)에 의해 지지되고, 리프팅후크구동기(140)에 의해 리프팅후크(120)가 작동하는 경우, 리프팅후크(120)는 리프팅가이드(170)에 의해 가이드되고, 리프팅후크(120)의 일단이 원단가이드링(530)을 통과하여 원단투입구(51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리프팅후크(120)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후크(120)의 일단이 원단(10)의 일단에 걸리면서 결합되면서 이송후크(110)와 원단(10)의 일단이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후크(120)의 일단이 원단가이드링(530)을 통과하여 원단투입구(5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단(10)의 일단이 원단투입구(51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후크구동기(140)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리프팅후크(120)가 작동될 수 있다.
리프팅후크구동기(140)는 피니언(pinion) 기어인 리프팅기어(141)를 구비하고, 리프팅후크(120)에는 랙(rack) 기어가 형성되어, 리프팅기어(141)와 리프팅후크(120)의 랙 기어 결합에 의해 리프팅후크구동기(140)와 리프팅후크(120)가 결합되고, 리프팅기어(141)의 회전에 의해 리프팅후크(120)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센서(160)에 의해 원단(10)의 일단 위치가 감지된 후 원단(10)의 일단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경우, 후크센서(160)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는 통합제어부(700)는 원단(10)의 회전 운동을 위한 이송후크(110)의 이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리프팅후크구동기(14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리프팅후크(12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색 장치는, 가이드배스부(300)의 일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원단(10)과 접촉하여 회전을 수행함으로써 원단(10)을 회전 이송시키는 회전릴(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단(10)이 원단투입구(510)로 투입된 후 이송후크(110)에 의해 회전 운동 수행 시, 원단(10)은 회전릴(550)과 접촉하게 되고, 회전하는 회전릴(550)로부터 원단(10)으로 힘이 전달되어 원단(10)의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하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단(10)의 양 측이 재봉된 후 원단(10)이 본체부(500) 내부에서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공간을 따라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회전릴(550)은 지속적으로 원단(10)에 힘을 제공하여 원단(10)이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릴(550)은, 본체부(500)의 외측면에 설치된 모터인 회전릴모터(560)와 연결되어, 회전릴모터(56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릴(550)은, 양 측에 원판 형상의 제1회전판(551)과 제2회전판(55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판(551)과 제2회전판(552) 사이에는 원단(10)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5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판(551)과 제2회전판(552)은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바(553)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배스부(300)의 일단에는 염액노즐부(610)가 형성되어, 염액노즐부(610)는 내측을 통과하는 원단(10)에 고압으로 염액을 분사하여 원단(10)의 염색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염액노즐부(610)는 원단(10)의 통과 방향을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염액노즐부(610)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611)이 형성될 수 있다. 염액순환펌프(620)에 의해 순환되는 염액이 분사노즐(611)을 통해 원단(10)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액노즐부(610)는 순환유로부(6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611)을 통해 분사되는 염액은, 원단(10)이 회전 운동하는 방향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분사되어, 원단(10)과 염액 간의 접촉률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회전 운동하는 원단(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릴(550)에 의한 힘뿐만 아니라 분사노즐(611)의 분사 압력에 의해 원단(10)이 이송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재봉부(20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재봉부(200)의 측면도이다.
자동재봉부(200)는, 본체부(500)의 외측에서 이동하면서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에 대한 재봉을 수행하는 자동재봉기(210), 일단이 자동재봉기(210)와 결합하여 자동재봉기(210)를 지지하는 재봉기지지체(220), 및 재봉기지지체(220)의 타단과 결합하고 재봉기지지체(220)의 길이 또는 회동각을 가변시켜 자동재봉기(210)를 3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재봉기구동체(230),를 구비할 수 있다.
재봉기구동체(230)는 본체부(50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재봉기구동체(230)의 작동에 의해 자동재봉기(210)가 원단(10)의 재봉 부위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염색 장치는, 원단투입구(510)로부터 배출되는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을 지지하고,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에 대한 재봉 수행 시 받침 기능을 수행하는 재봉받침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봉받침부(540)는,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이 재봉되도록 받침면을 제공하는 재봉받침체(541)와, 본체부(50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재봉받침체(541)와 결합되어 재봉받침체(541)를 이동시키는 재봉받침구동기(5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송후크(110)와 회전릴(550) 등에 의해 원단(10)이 회전 운동을 수행하여 본체부(500)의 내부로 투입된 후 본체부(500)의 내부를 통과한 원단(10)의 일단이 원단투입구(510)를 통해 배출되는 시간에 맞추어 재봉받침체(541)가 이동함으로써 받침면의 면적이 증대되고,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이 재봉받침체(541) 상에 겹치게 위치함으로써, 원단(10)이 재봉 준비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재봉기구동체(230)에 의한 재봉기지지체(220)의 구동으로 자동재봉기(210)가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이 겹쳐진 재봉 부위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재봉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재봉기(210)는, 하우징(211), 하우징(211)의 내부에 위치하여 원단(10)에 대한 재봉을 수행하는 재봉바늘(212), 및 하우징(211)의 내부에 위치하여 재봉바늘(212)과 결합하고 재봉바늘(212)을 재봉 운동시키는 바늘구동기(21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재봉기(210)는, 일측이 하우징(211)과 결합하고 타측이 재봉기지지체(220)와 결합하며 하우징(211)을 직선 이동시키는 하우징구동체(215), 및 하우징(211)의 내부에 위치하여 바늘구동기(214)와 결합하고 바늘구동기(214)를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기구동체(2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1)의 하부에는 재봉바늘(212)이 통과될 수 있는 직사각형의 홀인 바늘이동홀(2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재봉바늘(212)로 재봉실(213a)을 공급하는 실공급체(2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1)의 하부에는 원단(10)과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인 원단감지센서(217)가 형성될 수 있다. 원단감지센서(217)에는 거리 센서와 접촉 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원단감지센서(217)에 의해 하우징(211)의 하부면과 원단(10)의 근접 또는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재봉기(210)에 의한 재봉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원단감지센서(217)에 의해 자동재봉기(210)가 재봉 부위에 위치하는지를 통합제어부(700)에서 판단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700)는, 원단감지센서(217)로부터 실시간으로 자동재봉기(210)의 안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하우징구동체(215)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하우징(211)이 재봉 부위에 안착되도록 하우징(211)의 위치 조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구동체(215)는 피니언 기어인 하우징구동기어(215a)를 구비하고 하우징(211)은 랙 기어인 하우징랙기어(211c)를 구비하여, 각각의 기어가 서로 기어 결합되며, 하우징구동체(215)의 하우징구동기어(215a)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211)의 직선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1)에는 레일 형상의 하우징레일(211b)이 형성되고, 하우징구동체(215)의 하부에는 하우징레일(211b)과 결합되는 레일홈(215b)이 형성되고, 하우징레일(211b)과 레일홈(215b)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211)이 하우징구동체(2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하우징(211)이 가이드되어 직선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1)의 측면에는 손잡이(218)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18)를 파지하고 수동으로 자동재봉기(210)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11)이 재봉 부위에 안착되는 경우, 바늘구동기(214)에 의해 재봉바늘(212)이 왕복 운동을 수행하고 구동기구동체(216)에 의해 바늘구동기(214)가 이동하면서 재봉바늘(212)이 바늘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재봉 부위에 대한 재봉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센서부(660)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재봉이 수행되는 경우, 재봉 부위와 인접한 원단(10)의 일 부위에는 사전에 위치센서부(66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센서부(660)는, 위치에 대한 신호를 방출하는 위치센서(661) 및, 원단(10)에 재봉되어 연결되는 연결홀(663)을 구비하고 위치센서(661)를 염액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위치센서(661)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서케이스(6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단(10)의 재봉 부위가 재봉된 다음 원단(10)이 본체부(500) 내부에서 가이드배스부(300)를 따라 반복적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면서 염색 완료된 경우에는, 본체부(500)의 내부로부터 원단(10) 전체를 배출할 수 있다. 원단(10) 전체의 배출을 위해서는 먼저 재봉 부위에 대한 재봉 해체(재봉 실의 제거)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원단(10)의 재봉 부위를 다시 원단투입구(51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봉 부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단(10)의 재봉 부위가 원단투입구(51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원단(10)의 회전 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통합제어부(700)는 위치센서부(660)로부터 재봉 부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위치센서부(660)가 원단투입구(51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원단(10)의 회전 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색 장치는, 본체부(500)와 결합되고, 원단투입구(510)로부터 배출되는 원단(10)을 권취하는 원단배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단배출부(400)는, 원단투입구(510)로부터 원단(10)을 전달 받아 이송시키는 원단배출릴(410), 원단배출릴(410)과 결합하여 원단배출릴(410)을 회전시키는 배출릴모터(420), 일단은 배출릴모터(420)와 결합하고 타단은 본체부(500)와 결합하며 배출릴모터(420)를 지지하는 배출부지지체(4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원단배출부(400)는, 원단배출릴(410)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원단배출릴(4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10)의 염액 비산을 방지하는 벽체인 비산방지체(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단(10)에 대한 염색이 완료되어 본체부(500)의 내부에서 원단(10)이 배출되는 경우, 원단(10)의 일단 상에 위치하는 원단(10)의 타단을 원단배출릴(410)로 이동시켜 원단(10)이 원단배출릴(410)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단배출릴(410)이 배출릴모터(4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단(10)이 이송되어 본체부(500)의 내부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원단배출부(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단적재부(800)로 다시 적재될 수 있다.
원단적재부(800)는, 박스 형태의 적재함(810)과 적재함(8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적재함(810)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휠(82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원단(10)에 대한 염색 수행 전 단계에서는, 원단적재부(800)에는 염색 수행 전의 원단(10)이 적재되고, 원단적재부(800)를 원단배출부(400)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원단(10)의 일단을 이송후크(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원단(10)은 염색 전과 후에 동일한 원단적재부(800)에 적재될 수 있는 것이다.
원단배출릴(410)은 회전릴(550)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원단배출릴(410)은, 회전릴(550)의 제1회전판(551)과 제2회전판(552)에 대응되는 제1배출회전판(411)과 제2배출회전판(412) 및, 복수 개의 연결바(553)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413)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500)의 외측면에는 후크와인더(130)에 제어신호를 보내 후크와인더(130)를 제어 가능한 후크컨트롤러(580)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후크컨트롤러(580)를 조작하여 이송후크(110)의 이동에 의해 원단(10)이 본체부(50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500)의 외부에는 원단이송부, 자동재봉부(200), 후크컨트롤러(580), 염액순환펌프(620), 염액공급제어기(650), 회전릴모터(560) 등의 각 구성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합제어부(700)가 형성될 수 있다. 통합제어부(700)에는, 현재 염색 공정 상태에 대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10), 각 구성에 대한 제어신호를 변경시키는 조작기기(72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기기(720)를 조작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 각각의 공정 모드에 대한 수치 수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색 장치를 포함하는 염색 공정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염색 장치를 이용한 염색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단계에서, 염색 전인 원단(10)의 일단이 이송후크(110)와 결합되고, 이송후크(110)의 이동에 의해 원단(10)이 본체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염색 전의 원단(10)이 적재된 원단적재부(800)를 원단배출부(400)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원단(10)의 일단을 이송후크(110)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제2단계에서, 이송후크(110)가 후크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단(10)이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를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원단(10)의 일단은 염액노즐부(610)를 먼저 통과한 후 가이드배스부(30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염액노즐부(610)로부터 원단(10)으로 염액이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후크(110)가 후크레일(320)을 따라 계속 이동하면서 원단(10)이 가이드배스부(300)를 따라 계속 회전 운동을 수행하고, 이송후크(110)와 원단(10)의 일단이 원단가이드링(530)에 인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3단계에서, 이송후크(110)의 이동이 종료되고 리프팅후크(120)가 작동되어 원단(10)의 일단이 원단투입구(5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송후크(110)가 가이드배스부(3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까지 이동되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이에 따라, 원단(10)의 일단도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후크센서(160)가 이와 같은 원단(10)의 일단의 일시적인 정지를 감지하면, 상기와 같이 리프팅후크(120)가 작동되고, 리프팅후크(120)가 타공부로 이송후크(110)를 통과시키면서 이송후크(110)로부터 원단(10)의 일단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그 후, 리프팅후크(120)가 계속 작동함으로써, 원단(10)의 일단이 원단투입구(5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후크(1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이송후크(110)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 때, 재봉받침체(541)는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받침면이 증대될 수 있다.
제4단계에서, 본체부(5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단(10)의 타단과 원단(10)의 일단이 재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원단투입구(510)로 배출된 원단(10)의 일단은 재봉받침체(541) 상에 위치하게 되고, 본체부(500)의 외측에 위치하던 원단(10)의 타단은 원단(10)의 일단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이 재봉받침체(541) 상에 위치하기 위하여 원단(10)의 타단은 본체부(500)의 내부로 투입되지 않고 본체부(5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단(10)의 일단과 타단이 위치되는 경우, 자동재봉기(210)가 원단(10)의 재봉 부위로 이동한 후, 재봉 부위에 대한 재봉이 수행될 수 있다.
제5단계에서, 본체부(500)의 내부에서 원단(10)에 대한 반복 회전 운동이 수행되어 원단(10)이 염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재봉이 완료된 원단(10) 전체를 본체부(500)의 내부로 투입시키고, 투입구개??부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릴(550)의 작동에 의해 원단(10)이 가이드배스부(300)를 따라 반복 회전 운동을 수행하면서 원단(10)에 대한 염색이 수행될 수 있다.
제6단계에서, 원단(10)의 재봉 부위가 재봉 해체되고, 원단(10)이 배출될 수 있다. 제5단계 이 후 소정이 시간이 도과되어 원단(10)에 대한 염색이 종료된 경우, 위치센서부(660)의 정보에 의해 원단(10)의 재봉 부위가 원단투입구(51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원단(10)의 잔여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투입구개폐부(520)를 열어 재봉 부위를 배출시켜 재봉 해제를 수행한 다음, 원단(10)의 일단을 원단배출릴(4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단배출릴(410)이 회전하여 원단(10)이 이송됨으로써, 본체부(500)로부터 배출된 원단(10)이 원단적재부(800)로 전달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상기된 본 발명의 염색 장치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원단
110 : 이송후크 111 : 레일결합체 112 : 후크체
112a : 갈고리 120 : 리프팅후크 130 : 후크와인더
131 : 제1보빈 132 : 제2보빈 140 : 리프팅후크구동기
141 : 리프팅기어 151 : 제1와이어 152 : 제2와이어
160 : 후크센서 170 : 리프팅가이드
200 : 자동재봉부 210 : 자동재봉기 211 : 하우징
211a : 바늘이동홀 211b : 하우징레일 211c : 하우징렉기어
212 : 재봉바늘 213 : 실공급체 213a : 재봉실
214 : 바늘구동기 215 : 하우징구동체 215a : 하우징구동기어
215b : 레일홈 216 : 구동기구동체 217 : 원단감지센서
218 : 손잡이 220 : 재봉기지지체 230 : 재봉기구동체
300 : 가이드배스부 311 : 외측벽체 312 : 내측벽체
320 : 후크레일 330 : 매쉬망
400 : 원단배출부 410 : 원단배출릴 411 : 제1배출회전판
412 : 제2배출회전판 413 : 지지바 420 : 배출릴모터
430 : 배출부지지체 440 : 비산방지체
500 : 본체부 510 : 원단투입구 520 : 투입구개폐부
530 : 원단가이드링 540 : 재봉받침부 541 : 재봉받침체
542 : 재봉받침구동기 550 : 회전릴 551 : 제1회전판
552 : 제2회전판 553 : 연결바 560 : 회전릴모터
570 : 측면개폐부 580 : 후크컨트롤러
610 : 염액노즐부 611 : 분사노즐 620 : 염액순환펌프
630 : 순환유로부 640 : 열교환기 650 : 염액공급제어기
660 : 위치센서부 661 : 위치센서 662 : 센서케이스
663 : 연결홀
700 : 통합제어부 710 : 디스플레이 720 : 조작기기
800 : 원단적재부 810 : 적재함 820 : 휠

Claims (16)

  1. 내부에 원통 형상의 염색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원단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원단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원단이 다시 상기 원단투입구로 배출되도록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단의 회전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배스부;
    상기 원단이 투입되는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원단을 통과시키면서 염색을 수행하는 염액노즐부;
    상기 원단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원단을 견인하여 회전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원단이 상기 염액노즐부와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부를 통과된 후 다시 상기 원단투입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단이송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배스부를 통과하여 상기 원단투입구로 배출된 상기 원단의 일단과 상기 원단투입구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단의 타단을 재봉시키는 자동재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이송부는, 상기 원단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원단을 이송시키는 이송후크, 및 상기 이송후크로부터 상기 원단의 일단을 전달 받아 상기 원단을 이송시켜 상기 원단의 일단이 상기 원단투입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리프팅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스부는,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이송후크와 결합하고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후크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이송후크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제어하여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을 제어하는 후크와인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크와인더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를 수행하는 제1보빈,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를 수행하는 제2보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는, 상기 리프팅후크와 결합하고 상기 리프팅후크를 회전 운동 시키는 리프팅후크구동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후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단을 통과시켜 가이드하는 원단가이드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봉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원단의 일단과 타단에 대한 재봉을 수행하는 자동재봉기,
    일단이 상기 자동재봉기와 결합하여 상기 자동재봉기를 지지하는 재봉기지지체, 및
    상기 재봉기지지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재봉기지지체의 길이 또는 회동각을 가변시켜 상기 자동재봉기를 3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재봉기구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봉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단에 대한 재봉을 수행하는 재봉바늘,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봉바늘과 결합하고 상기 재봉바늘을 재봉 운동시키는 바늘구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봉기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재봉기지지체와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을 직선 이동시키는 하우징구동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늘구동기와 결합하고 상기 바늘구동기를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기구동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투입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원단의 일단과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원단의 일단과 타단에 대한 재봉 수행 시 받침 기능을 수행하는 재봉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원단투입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원단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원단배출부는,
    상기 원단투입구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 받아 이송시키는 원단배출릴,
    상기 원단배출릴과 결합하여 상기 원단배출릴을 회전시키는 배출릴모터,
    일단은 상기 배출릴모터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배출릴모터를 지지하는 배출부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일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단과 접촉하여 회전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원단을 회전 이송시키는 회전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15.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4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공정 시스템.
  16. 청구항 3의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를 이용한 염색 방법에 있어서,
    염색 전인 상기 원단의 일단이 상기 이송후크와 결합되고,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원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투입되는 제1단계;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후크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원단이 상기 가이드배스부의 내부를 따라 회전 운동하는 제2단계;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이 종료되고 상기 리프팅후크가 작동되어 상기 원단의 일단이 상기 원단투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제3단계;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단의 타단과 상기 원단의 일단이 재봉되어 연결되는 제4단계;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원단에 대한 반복 회전 운동이 수행되어 상기 원단이 염색되는 제5단계; 및
    상기 원단의 재봉 부위가 재봉 해체되고, 상기 원단이 배출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방법.
KR1020200081899A 2020-07-03 2020-07-03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KR10238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99A KR102380854B1 (ko) 2020-07-03 2020-07-03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99A KR102380854B1 (ko) 2020-07-03 2020-07-03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79A KR20220004279A (ko) 2022-01-11
KR102380854B1 true KR102380854B1 (ko) 2022-04-01

Family

ID=7935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99A KR102380854B1 (ko) 2020-07-03 2020-07-03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5355A (zh) * 2023-03-02 2023-05-23 立信染整机械(广东)有限公司 染布机自动化出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41B1 (ko) 2009-03-16 2010-03-03 양형학 염색기용 직물토출정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944Y1 (ko) * 1998-11-23 2001-01-15 이봉식 염색준비용 원단 롤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41B1 (ko) 2009-03-16 2010-03-03 양형학 염색기용 직물토출정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79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7719B2 (ja) 綾巻きパッケージを製作する繊維機械の作業部
US3429113A (en) Two-for-one twisting machine
KR102380854B1 (ko) 자동 원단 투입과 재봉을 위한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US20230331511A1 (en) Yarn handling system
TWI568904B (zh) 用於染色紗線捲筒及/或捲繞於包裝體上之紡織纖維的機器及方法
JP6780770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KR102445494B1 (ko) 자동 원단 꼬임 방지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JP2535337B2 (ja) 糸掛方法および糸掛装置
US53560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ackage yarn end
EP1602764B1 (en) Basket, machine and plant for dyeing textile materials
JP2017193435A (ja) 糸処理装置
JP6841710B2 (ja) 糸降ろし装置及び紡糸引取設備
CN112936486B (zh) 一种真空低温木皮漂白染色系统
ITMI950996A1 (it) Dispositivo per trasportare bobine cariche di filo in corrispondenza di una macchina tessile e per asportare bobine scariche da
KR20180044395A (ko) 스트랜드형 직물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KR101458531B1 (ko)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JPH09132862A (ja) 取外し可能な処理槽と固定端末装置とを有する特に繊維用の処理機械
CN1443890A (zh) 用于对纺织原料进行染色的料桶和方法
KR102369836B1 (ko) 염색효율이 향상된 염색기
TW201905270A (zh) 編織沉積一移動紡織材料股線的設備
KR200274779Y1 (ko) 염색기
JP2013249170A (ja) 糸継装置の液体充填方法、及びこれを採用した糸巻取機
TWI647353B (zh) 縫線潤滑裝置與潤滑縫線的方法
JP2584991Y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給糸処理装置
KR200284079Y1 (ko) 염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