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925B1 - 편파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편파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925B1
KR102379925B1 KR1020197009423A KR20197009423A KR102379925B1 KR 102379925 B1 KR102379925 B1 KR 102379925B1 KR 1020197009423 A KR1020197009423 A KR 1020197009423A KR 20197009423 A KR20197009423 A KR 20197009423A KR 102379925 B1 KR102379925 B1 KR 10237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flange
channel
fastened state
flan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803A (ko
Inventor
피터 제트. 토로크
Original Assignee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5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65Auxiliary devices for rotating the plane of polarisation
    • H01P1/17Auxiliary devices for rotating the plane of polarisation for producing a continuously rotating polarisation, e.g. circular pol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01P1/042Hollow waveguide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1Manufacturing waveguides or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2Manufacturing hollow wave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Waveguide Connection Structure (AREA)
  • Waveguid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편파기 조립체는 각각의 제1 및 제2 채널부를 갖는 제1 및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미리체결된 상태와 체결 상태 사이에서 굴곡하도록 구성된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구성요소의 플랜지의 제1 플랜지면은 제1 및 제2 채널부의 각각의 에지를 따르는 접촉 영역에서 제2 구성요소의 플랜지의 대향하여 지향하는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하여 제1 및 제2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접촉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에 불균일한 두께 갭을 형성한다. 체결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은 제2 플랜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결합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을 폐쇄한다.

Description

편파기 조립체
관련 출원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2016년 9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83,778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시스템 및 장치용 편파기(polarizer)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상 기반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은 예를 들어 송수신기에 연결된 안테나 급전 혼(feed horn)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송수신기의 송신 및 수신 포트는 하나 이상의 도파로를 포함하는 직교 모드 변환기(OMT) 도파로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이어서, OMT 도파로 디바이스의 도파로는 이어서 편파기 조립체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편파기 조립체의 대향 단부는 급전 혼 안테나에 연결된다.
통상적인 편파기 조립체는 한 쌍의 단일 부분 기하학 구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부분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는 구성요소의 대향 측면들이 "클램쉘(clamshell)" 인클로저(enclosure)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기하학적 구성이 단일 부분이건 다중 부분이건간에, 제1 및 제2 구성요소 사이의 갭이 없는 연속적인 밀봉 비드가 채널에 의한 적절한 신호 처리 성능을 위해 요구된다.
몇몇 편파기 조립체의 경우, 특정 용례에 대한 다양한 약점, 결점 및 단점이 남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편파기 조립체는 기능 채널의 심라인(seam line) 에지에서 구성요소의 플랜지에 대해 상승된 직사각형 비드를 사용해 왔다. 구성요소 플랜지가 함께 체결될 때, 직사각형 비드는 기밀 밀봉부를 생성한다. 그러나, 밀봉부는 특히 단일편 구성으로 제조되는 편파기 조립체와 비교할 때, 최적에 못미치는 신호 처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따라,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에 대한 추가의 기여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성요소의 플랜지면이 대향 구성요소의 플랜지면과 접촉하여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불균일한 두께 갭을 형성하는 편파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성요소들은 체결 상태에서 플랜지면이 서로에 대하여 동일 높이로 되어 구성요소의 채널부의 에지에 기밀 밀봉 비드를 형성하도록 체결됨에 따라 미리체결된 상태와 체결 상태 사이에서 굴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자는 기능 채널 조립체의 심라인 에지에서 구성요소의 플랜지에 대해 상승된 직사각형 비드가 제공되는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편파기 조립체의 조립 중에, 직사각형 비드의 함께 조임이 밀봉 비드에 갭이나 왜곡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편파기 구성요소가 초기에 함께 조립될 때, 상승된 직사각형 비드는 갭을 갖고 서로 맞접하고, 비드의 높이는 비드의 외부 에지 바로 외측에 있는 구성요소 플랜지들 사이에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갭을 폐쇄하기 위해 플랜지가 함께 체결되거나 클램핑됨에 따라, 직사각형 비드가 함께 압축되어 직사각형 비드를 굽힌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직사각형 비드를 함께 압축하는 것은 그 사이에 밀봉부를 생성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플랜지 사이의 갭의 폐쇄가 밀봉 비드의 외부 에지(플랜지측 에지)에 힌지 효과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고, 이와 같이 플랜지 사이의 1차 갭이 폐쇄될 때, 2차 갭이 밀봉 비드의 내부 에지(채널측 에지)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 2차 갭이 심라인 무결성 및 편파기 조립체의 적절한 신호 처리에 유해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편파기 조립체는 제1 채널부 및 제1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1 플랜지면을 갖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채널부 및 제2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2 플랜지면을 갖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채널부는, 제1 및 제2 구성요소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파형을 편파하는 기능을 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미리체결된 상태와 체결 상태 사이에서 굴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랜지면은 제1 및 제2 채널부의 각각의 에지를 따른 접촉 영역에서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여 지향하는 제2 플랜지면에 접촉하여 제1 및 제2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접촉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에 불균일한 두께 갭을 형성하고, 체결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은 제2 플랜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을 폐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의 부가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편파기 조립체는, 중간 체결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의 외부 에지가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이 제1 플랜지면과 제2 플랜지면의 외부 에지 접촉부와 채널 에지 접촉 영역 사이에 형성되게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플랜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경사부가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제2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1 경사부를 가질 수도 있어,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가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하여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에 경사진 갭을 형성하게 되고, 체결 상태에서, 제1 경사부는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2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게 된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약 0.5도 내지 약 3.0도일 수도 있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약 1도일 수도 있다.
제2 플랜지면은 제2 경사부가 제2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제2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제1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가질 수도 있어,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2 경사부의 경사 이격이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두께 갭의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2 경사부의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제1 플랜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체결구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체결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체결구 중심선으로 외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제1 플랜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체결구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체결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제1 채널부의 에지와 체결구 중심선 사이의 위치로 외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에 놓인 평면부로 외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부 경사부가 제1 경사부의 외부 에지로부터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제2 플랜지면을 향해 경사지는 외부 경사부로 외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의 외부 에지는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할 수도 있어, 불균일한 두께 갭이 제2 플랜지면과 제1 플랜지면의 내부 및 외부 에지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약 0.5도 내지 약 3.0도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하학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편파기 조립체는 제1 채널부 및 제1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채널부 및 제2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채널부는, 제1 및 제2 구성요소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파형을 편파하는 기능을 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는 서로 대면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플랜지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플랜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채널부의 에지와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2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1 경사부를 가질 수도 있어,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의 초기 접촉 에지가 제2 플랜지면에 접촉하여 초기 접촉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에 불균일한 갭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미리체결된 상태와 체결 상태 사이에서 굴곡하여, 체결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의 경사부가 제1 플랜지면의 초기 접촉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2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로 결합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의 부가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경사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제2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질 수도 있다.
초기 접촉 에지는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일 수도 있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의 초기 접촉 에지는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할 수도 있고, 체결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의 경사부는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2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로 결합할 수도 있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약 0.5도 내지 약 3.0도일 수도 있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약 1도일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가 채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방식 중 일부를 지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다른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반드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미리조립된 상태에서의 편파기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안테나 시스템의 편파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체결 부재가 없는 미리체결된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는,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체결 부재로 미리체결된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는,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체결 부재로 중간 체결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는,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체결 부재로 체결 상태에서의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파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다수의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이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할 것이고 특정 언어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주의 어떠한 한정도 이에 의해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의 임의의 변경 및 추가 수정,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의 임의의 추가 용례가 본 발명이 관련되는 분야의 통상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10) 및 그 편파기 조립체(12)를 도시하고 있다.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10)은 단지 편파기 조립체(12)의 예시적인 용례이고, 편파기 조립체(12)는 마이크로파 무선 주파수(RF) 신호 정형 및 필터링이 요구되는 임의의 전자 기기 용례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파기 조립체(12)는 제1 및 제2 "클램쉘" 구성요소(20, 22)를 포함하고, 이 클램쉘 구성요소의 각각은 채널부(30, 32) 및 채널부(30, 32)의 대향 측면들 상에 플랜지(40a, 40b, 42a, 42b)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상태에서 채널부(30, 32)는 함께 채널(34)을 형성한다. 채널(34)은 예를 들어 도파로로부터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10)의 급전 혼(64)으로 파형을 편파하는 기능을 한다. 플랜지(40a, 40b)는 각각의 플랜지면(46a, 46b)을 갖고, 플랜지(42a, 42b)는 각각의 플랜지면(48a, 48b)을 갖는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체결된 상태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 상태 사이에서 채널(34)의 심라인에 어떠한 갭도 없이 굴곡하도록 구성된다.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구성요소(20)의 제1 플랜지(40a, 40b) 중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면(46a, 46b)은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각각의 에지를 따라 접촉 영역(50, 52)(도 3a, 도 3b)에서 제2 구성요소(22)의 제2 플랜지(42b, 42a)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여 지향하는 플랜지면(48b, 48a)에 접촉하여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의 외부 에지(70a, 70b, 72a, 72b)를 향해 접촉 영역(50, 52)으로부터 외향으로 플랜지면(46a, 48b)(및/또는 46b, 48a) 사이에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형성한다. 체결 상태(도 6)에서, 플랜지면(46a)은 대향하는 플랜지면(48b)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폐쇄한다. 플랜지(40a, 42b)가 미리체결된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함께 체결됨에 따라, 플랜지면(46a, 48b) 사이의 동일 높이 접촉은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에지에서 기밀 밀봉 비드를 유지한다. 일단 체결 상태에서, 압축된 플랜지(40a, 42b)는 심라인 무결성을 유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10)은 송수신기(74)에 연결된 안테나 급전 혼(64)을 포함한다. 송수신기(74)의 송신 및 수신 포트(76, 78)는 직교 모드 변환기(OMT) 도파로 디바이스(84)에 연결된다. OMT 도파로 디바이스(84)는 하나 이상의 도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OMT 도파로 디바이스(84)의 도파로는 이어서, 편파기 조립체(12)의 일 단부(88)에 연결된다. 편파기 조립체(12)의 대향 단부(90)는 급전 혼 안테나(64)에 연결된다. 편파기 조립체(12)는 타겟 주파수 내의 다수의 발산파 배향의 입력을 편파된 수평 및/또는 수직 파형으로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편파기 조립체(12)의 채널(34) 또는 중앙 통로는 선형 편파 신호를 원형 편파 신호로 및/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다른 구성 및 유형의 편파기 조립체가 또한 고려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임의의 2개의 단편 또는 다른 다중편 무선 주파수(RF) 필터링 디바이스용 비드 밀봉부에 관한 것이라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RF 필터링 디바이스가 편파기 조립체(12)의 견지에서 설명되지만, 편파기 조립체(12)는 단지 본 발명의 하나의 용례이며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편파기, 도파로, 또는 클램쉘 및 비-클램쉘 구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무선 주파수 필터링 조립체의 임의의 다중편 또는 절첩형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편파기 조립체(12)는 아연 다이 캐스트 재료와 같은 금속 또는 금속 코팅된 열가소성 사출 성형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요소(20, 22)는 PC-ABS 열가소성(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으로 제조되고, 세정되고, 이어서 구리층, 예를 들어 약 4 미크론의 층으로 에칭된다. 금속층은 구성요소(20, 22)의 전체 열가소성 표면 상에서 또는 단지 채널부(30, 32)의 내부면과 같은 기능면 상에서 그리고 밀봉 비드 및 플랜지면(46a, 46b, 48a, 48b)에서 에칭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유형의 재료 및 제조 방법이 또한 고려된다.
이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편파기 조립체(12)는 한 쌍의 단일 부분 기하학 구조 구성요소로 구성되는데; 즉,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는 동일한 기하학 구조를 갖는다. 제1 구성요소(20)의 좌측 플랜지(40a) 및 우측 플랜지(40b)는 제2 구성요소(22)가 "클램쉘" 방식에서와 같이, 제1 구성요소(20)에 대하여 채널 축(A-A) 둘레로 180도 플립되고 제1 구성요소(20)에 클램핑될 때 제2 구성요소(22)의 각각의 우측 플랜지(42b) 및 좌측 플랜지(42a)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플랜지(40a, 42a)는 체결구 중심선(116)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보스(100) 및 파일럿 구멍(110)을 각각 갖는다. 우측 플랜지(40b, 42b)는 체결구 중심선(118)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관통 구멍(112)을 각각 갖는다. 우측 플랜지(40b, 42b)의 관통 구멍(112)과 좌측 플랜지(40a, 42a)의 파일럿 구멍(110) 사이의 축방향 및 횡방향 간격은, 제2 구성요소(22)가 제1 구성요소(20) 상에 예를 들어, 미리체결된 상태로 플립될 때, 구멍들(110, 112)이 서로 축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성요소(20, 22)는 그 각각의 체결구 구멍(110, 112)를 포함하는 구성요소(20, 22)를 적절하게 축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향 축방향 단부에 위치결정 핀(124) 및 정합하는 슬립핏(slip fit) 파일럿 구멍(126)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요소(20, 22)의 우측 플랜지(40b, 42b)를 대향하여 지향하는 구성요소(22, 20)의 대응하는 좌측 플랜지(42a, 40a)에 체결하기 위해, 나사산 형성 나사(130)가 관통 구멍(112)을 통해 삽입되고, 이어서 파일럿 구멍(110) 내로 나사 조임되어, 파일럿 구멍(110) 주위로 재료를 변위시켜, 재료가 나사(130)의 나사산 주위로 유동하여 제로핏(zero fit) 간극을 생성하게 된다. 플랜지(40a, 40b, 42a, 42b)는 구성요소(20, 22)를 보강하고 플랜지(40a, 40b, 42a, 42b)의 과도한 굴곡 또는 체결 중에 체결구 중심선(116, 118)의 대향 측면들 상의 플랜지(40a, 40b, 42a, 42b)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구 위치(110, 112)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거싯 또는 리브(136)(도 2)를 구비한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는 단일 부분 기하학적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를 체결 및/또는 클램핑하기 위한 수단은 나사산 형성 나사(130)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20)의 좌측 및 우측 플랜지는 보스 및 파일럿 구멍과 끼워질 수도 있고, 반면에 제2 구성요소(22)의 좌측 및 우측 플랜지는 관통 구멍을 갖고 구성된다. 다른 형태에서, 체결은 플랜지(40a, 40b, 42a, 42b) 내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플랜지(40a, 40b, 42a, 42b)를 따라 볼트 결합 조인트를 형성하는 기계 볼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열 스테이킹(heat staking)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플랜지상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포스트가 대향 플랜지의 대응하는 보스 구멍 내에 삽입되고, 이어서 포스트의 상부에서 재료를 스웨이징하여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를 함께 고정하도록 보스 상에 클램프 다운하는 "리벳" 헤드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외부 클램프, 예를 들어, 바인더 클립이 플랜지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대향하는 구성요소 내의 개구에 결속하여 정합하는 하나의 구성요소 내의 돌출부에 의해 함께 클램핑될 수도 있고, 여기서 돌출부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탭(tab), 플러그(plug), 포스트(post), 너브(nubs), 돌기(protrusions) 중 하나 이상의 형태일 수도 있고, 개구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구멍, 슬롯, 공동, 리세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1 구성요소는 대향하는 제2 구성요소 내의 "나사산 미형성 보스"와 결합하는 나사산 형성 나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의 나사 헤드 반부의 대향 반부 상에 너트를 갖는 제1 구성요소의 구멍을 통과하는 표준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형"인 표준 리벳은, 제1 및 제2 구성요소가 조립될 때 이들 구성요소의 클램핑된 폐쇄를 유지하기 위해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냅 끼워맞춤 탭이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 내의 탭은 제1 구성요소의 제2 구성요소로의 조립 중에 굴곡되고, 일단 조립 위치에서, 제2 구성요소의 개구 내로 스냅백되어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를 조립 위치에 잠금한다. 일 형태에서, 스냅 끼워맞춤 탭은 제1 구성요소의 "스냅 미늘부" 및 대향하여 지향하는 제2 구성요소의 "스냅 미늘부 리셉터클"일 수도 있다. 체결 및/또는 클램핑은 플랜지의 축방향 대향 단부에서의 클램핑 및 플랜지의 축방향 중심부에서의 나사산 형성 나사에 의한 것과 같이, 상기 방법들의 임의의 조합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구성 및 체결 방법이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채용될 수도 있다.
이제,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의 좌측 및 우측 플랜지(40a, 42b) 및 이들이 미리체결된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함께 체결될 때 경험하는 편향의 부가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구성요소(20)의 제1 플랜지(40a)의 제1 플랜지면(46a)은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각각의 에지를 따른 접촉 영역(50, 52)에서 제2 구성요소(22)의 제2 플랜지(42b)의 대향하여 지향하는 제2 플랜지면(48b)에 접촉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면(46a, 48b) 사이에 형성된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접촉 영역(50, 52)으로부터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의 외부 에지(70a, 72b)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한다.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접촉 영역(50, 52)으로부터 이격하여 연장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증가한다. 제2 플랜지(42b)가 제1 플랜지(40a)에 체결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중간 체결 상태에서, 제1 플랜지면(46a)의 외부 에지(140)는 제2 플랜지면(48b)에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60)이 미리체결된 상태에 비해 약간 좁아지고 제2 플랜지면(48b)과 제1 플랜지면(46a)의 외부 에지 접촉부(140)와 채널 에지 접촉 영역(50, 52) 사이에서 연장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체결 상태에서,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폐쇄되고 채널(34)은 밀봉된다.
편파기 조립체(12)의 제1 및 제2 구성요소(20, 22)의 플랜지(40a, 42b)는 미리체결된 상태 및 중간 체결 상태에서 그 사이에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형성할 때 광범위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는 하나의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플랜지면(46a)은 제1 경사부(150)가 제1 채널부(30)의 에지로부터 제1 구성요소(20)의 외부 에지(70a)를 향해 외향 연장함에 따라 제2 플랜지면(48b)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1 경사부(150)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경사부(150)의 경사각(C)은 제1 채널부(30)의 에지에서 내부벽(158)에 수직인 수평 평면(B-B)으로부터 약 1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미리체결된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면(46a)의 내부 에지는 제2 플랜지면(48b)과 접촉하여 제1 플랜지면(46a)의 내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면(46a, 48b) 사이에 경사진 갭(156)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도 3a 및 3b를 다시 참조하면, 제2 플랜지면(48b)은, 제2 경사부(152)가 제2 채널부(32)의 에지로부터 제2 구성요소(22)의 외부 에지(72)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제1 플랜지면(46a)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2 경사부(152)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경사부(152)의 경사각(D)은 제2 채널부(32)의 에지에서 내부벽(168)에 수직인 수평 평면(E-E)으로부터 약 1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미리체결된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랜지면(48b)의 내부 에지는 제1 플랜지면(46a)과 접촉하여 제2 플랜지면(48b)의 내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면(46a, 48b) 사이에 경사진 갭(166)을 형성한다. 따라서,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경사부(150, 152)의 모두의 경사 이격은 제1 및 제2 플랜지면(46a, 48b) 사이의 불균일한 두께 갭(60)의 형성에 기여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경사부(150)는 제1 채널부(30)의 에지로부터 제1 플랜지(40a)의 체결구 중심선(116)까지 외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경사부(150)는 불균일한 두께 갭(60)의 평면부(160)로 연장한다. 평면부(160)는 제1 채널부(30)의 에지에서 내부벽(158)에 수직인 수평 평면(B-B)에 평행하다. 제2 플랜지(42b)는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의 제1 플랜지(40a)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 경사부(152)는 제2 채널부(32)의 에지로부터 제2 플랜지(42b)의 체결구 중심선(118)까지 외향으로 연장한다. 게다가, 제2 경사부(152)는 불균일한 두께 갭(60)의 평면부(162)로 연장한다. 평면부(162)는 제2 채널부(32)의 에지에서 내부벽(168)에 수직인 수평 평면(E-E)에 평행하다. 따라서, 편파기 조립체(12)의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제1 및 제2 경사부(150, 152)의 경사진 갭(156, 166)에 의해 형성된 웨지형 갭, 및 평면부(160, 162)에 의해 형성된 직선형 갭을 갖고, 웨지형 갭의 외부 부분은 직선형 갭의 내부 부분과 동일한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지며, 따라서 웨지형 갭은 직선형 갭으로 전이한다.
도 6에 도시된 체결 상태에서, 제1 경사부(150) 및 제2 경사부(152)는 제1 플랜지면(46a) 및 제2 플랜지면(48b)의 각각의 내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각각의 제2 플랜지면(48b) 및 제1 플랜지면(46a)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폐쇄한다. 그 결과, 각각의 플랜지면(46a, 48b)의 내부 에지는 결합되어 제1 및 제2 채널부(30, 32) 사이의 조인트에서 심라인(170)(도 6의 지면 내로 진행함)을 형성한다.
도 3a 내지 도 6의 편파기 조립체(12)에서, 제1 경사부(150)의 경사각(C)은 제2 경사부(152)의 경사각(D)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도이다. 각도(C, D)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도(C)는 제2 구성요소(22)에 비해 제1 구성요소(20)에서 더 적은 굴곡 및/또는 굴곡력이 필요하거나 요구되는 경우에 각도(D)보다 작을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편파기 조립체(212, 312, 412, 512, 612)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1의 편파기 조립체(212, 312, 412, 512, 612)는 다수의 관점에서 전술된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와 유사하고, 따라서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의 유사한 구조체에 대응하는 구조체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도면 번호가 사용된다. 게다가,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의 상기 설명은 이하에 언급되는 바와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11의 편파기 조립체(212, 312, 412, 512, 612)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편파기 조립체(12, 212, 312, 412, 512, 612)의 양태는 적용 가능하면 서로 치환되거나 서로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본 명세서의 숙독 및 이해시에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편파기 조립체(212)에서, 제1 및 제2 구성요소(220, 222)는 각각의 제1 및 제2 외부 경사부(260, 262)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150)는 제1 채널부(30)의 에지로부터 외부 경사부(260)로 외향으로 연장하고, 이 외부 경사부는 이어서 외부 경사부(260)가 제1 경사부(150)의 외부 에지로부터 제1 구성요소(220)의 외부 에지(70a)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제2 플랜지면(48b)을 향해 경사진다. 유사하게, 제2 경사부(152)는 제2 채널부(32)의 에지로부터 외부 경사부(262)로 외향으로 연장하고, 이 외부 경사부는 이어서, 외부 경사부(262)가 제2 경사부(160)의 외부 에지로부터 제2 구성요소(222)의 외부 에지(72)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제1 플랜지면(46a)을 향해 경사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내부 경사부(150, 152)의 외부 에지는 체결구 중심선(116, 118)이다. 제1 외부 경사부(260)의 경사각(F)은 제1 채널부(30)의 에지에서 내부벽(158)에 수직인 수평 평면(B-B)으로부터 약 1도이고, 제2 외부 경사부(262)의 경사각(G)은 제2 채널부(32)의 에지에서 내부벽(168)에 수직인 수평 평면(E-E)으로부터 약 1도이다. 따라서, 편파기 조립체(12)의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제1 및 제2 내부 경사부(150, 152)의 경사진 갭에 의해 형성된 내부 웨지형 갭, 및 제1 및 제2 외부 경사부(260, 262)의 경사진 갭에 의해 형성된 외부 웨지형 갭을 갖고, 내부 및 외부 웨지형 갭의 더 넓은 부분은 동일한 두께 또는 높이를 가져, 내부 웨지형 갭이 외부 웨지형 갭으로 전이하게 된다. 특정 용례에서, 단지 단일의 외부 경사부, 예를 들어 제1 외부 경사부(260)만이 요구되거나 필요할 수도 있어, 제2 외부 경사부(262)가 생략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에서와 같이, 도 7의 편파기 조립체(212)가 중간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제1 플랜지면(46a)의 외부 에지는 제2 플랜지면(48b)과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60)이 제1 플랜지면(46a)과 제2 플랜지면(48b)의 외부 에지 접촉부와 채널 에지 접촉 영역(50, 52)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유사하게, 도 7의 편파기 조립체(212)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의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플랜지면(46a)은 제2 플랜지면(48b)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폐쇄한다.
도 8의 편파기 조립체(312)는 제1 경사부(150) 및 3개의 평면부(160, 162, 352)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플랜지면(46a)은 경사진 갭을 형성하고 반면에 제2 플랜지면(48b)은 평면형이다. 따라서, 편파기 조립체(312)의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제1 경사부(150)의 경사진 갭과 평면부(352)에 의해 형성된 웨지형 갭, 및 평면부(160, 162)에 의해 형성된 직선형 갭을 갖고, 웨지형 갭의 외부 부분은 직선형 갭의 내부 부분과 동일한 두께 또는 높이를 갖고, 따라서 웨지형 갭은 직선형 갭으로 전이한다.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에서와 같이, 도 8의 편파기 조립체(312)가 중간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제1 플랜지면(46a)의 외부 에지는 제2 플랜지면(48b)과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60) 제1 플랜지면(46a)과 제2 플랜지면(48b)의 외부 에지 접촉부와 채널 에지 접촉 영역(50, 52)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유사하게, 도 8의 편파기 조립체(312)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의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플랜지면(46a)은 제2 플랜지면(48b)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폐쇄한다.
도 9의 편파기 조립체(412)는 제1 및 제2 구성요소(420, 422)를 갖고, 여기서 제1 구성요소(420)는 제1 내부 경사부(150) 및 제1 외부 경사부(460)를 갖고, 제2 구성요소(422)는 제2 내부 평면부(452) 및 제2 외부 평면부(162)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플랜지면(46a)은 플랜지(40a, 42b)의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에서 평면형 제2 플랜지면(48b)과 경사진 갭을 형성한다. 따라서, 편파기 조립체(412)의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제1 경사부(150)의 경사진 갭 및 평면부(452)에 의해 형성된 내부 웨지형 갭, 및 제2 경사부(460)의 경사진 갭 및 평면부(162)에 의해 형성된 외부 웨지형 갭을 갖고, 내부 및 외부 웨지형 갭의 더 넓은 부분은 동일한 두께 또는 높이를 가져, 내부 웨지형 갭이 외부 웨지형 갭으로 전이하게 된다.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에서와 같이, 도 9의 편파기 조립체(412)가 중간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제1 플랜지면(46a)의 외부 에지는 제2 플랜지면(48b)과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60)이 제1 플랜지면(46a)과 제2 플랜지면(48b)의 외부 에지 접촉부와 채널 에지 접촉 영역(50, 52)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유사하게, 도 9의 편파기 조립체(412)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의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플랜지면(46a)은 제2 플랜지면(48b)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폐쇄한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편파기 조립체(512)는 제1 및 제2 구성요소(520, 522)를 갖고, 여기서 제1 구성요소(520)는 제1 경사부(550) 및 제1 평면부(560)를 갖고, 제2 구성요소(522)는 제2 경사부(552) 및 제2 평면부(562)를 갖는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1 내부 경사부(550)는 제1 채널부(30)의 에지로부터 제1 채널부(30)의 에지와 체결구 중심선(116, 118) 사이의 위치(H-H)로 외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1 경사부(550)는 제1 채널부(30)의 에지에서 내부벽(158)에 수직인 수평 평면(B-B)에 평행한 제1 평면부(560)로 연장된다. 제2 플랜지(42b)는 도 10의 실시예에서의 제1 플랜지(40a)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 경사부(552)는 제2 채널부(32)의 에지로부터 제2 채널부(30)의 에지와 체결구 중심선(116, 118) 사이의 위치(H-H)로 외향으로 연장한다. 게다가, 제2 경사부(552)는 제2 채널부(32)의 에지에서 내부벽(168)에 수직인 수평 평면(E-E)에 평행한 평면부(562)로 연장한다. 따라서, 편파기 조립체(512)의 불균일한 두께 갭(60)은 제1 및 제2 경사부(550, 552)의 경사진 갭(556, 566)에 의해 형성된 웨지형 갭, 및 평면부(560, 562)에 의해 형성된 직선형 갭을 갖고, 웨지형 갭의 외부 부분은 직선형 갭의 내부 부분과 동일한 두께 또는 높이를 갖고, 따라서 웨지형 갭은 직선형 갭으로 전이한다.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에서와 같이, 도 10의 편파기 조립체(512)가 중간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제1 플랜지면(46a)의 외부 에지는 제2 플랜지면(48b)과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60) 제1 플랜지면(46a)과 제2 플랜지면(48b)의 외부 에지 접촉부와 채널 에지 접촉 영역(50, 52)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유사하게, 도 10의 편파기 조립체(512)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의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플랜지면(46a)은 제2 플랜지면(48b)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폐쇄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경사부(550, 552)로부터 제1 및 제2 평면부(560, 562)로의 전이부는 체결구 중심선(116, 118)과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에지 사이에 위치된 위치(H-H)에 있다. 전이부의 위치는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에지와 제1 및 제2 플랜지부(40a, 42b)의 외부 에지(70a, 72b)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 구성에서, 제1 및 제2 경사부(550, 552)는 체결구 중심선(116, 118)과 제1 및 제2 플랜지(40a, 42b)의 외부 에지(70a, 72b) 사이에 위치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 평면부(560, 562)로 전이할 수 있다. 전이는 각각의 구성요소(20, 22)의 플랜지(40a, 42b)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부(550)로부터 제1 평면부(560)로의 전이부는 체결구 중심선(116, 118)과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에지 사이에 위치된 위치(H-H)에 있을 수 있고, 반면에 제2 경사부(552)로부터 제2 평면부(562)로의 전이부는 체결구 중심선(116, 118)과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에지 사이에 위치된 위치(H-H) 이외의 위치, 예를 들어 체결구 중심선(116, 118)과 제1 및 제2 플랜지(40a, 42b)의 외부 에지(70a, 72b) 사이에 위치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편파기 조립체(61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편파기 조립체(612)는 미리체결된 상태(도 11에 도시됨)에서, 제1 플랜지면(46a)의 외부 에지(640)가 제2 플랜지면(48b)과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60)이 제2 플랜지면(48b)과 제1 플랜지면(46a)의 내부 및 외부 에지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중간 체결 상태에서, 이어서, 불균일한 갭(60)은 도 11에 도시된 것에 비해 좁아진다. 또한, 도 11의 편파기 조립체(612)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도 3a의 편파기 조립체(12)의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플랜지면(46a)은 제2 플랜지면(48b)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불균일한 두께 갭(60)을 폐쇄한다.
편파기 조립체(12, 212, 312, 412, 512, 612)의 전술된 실시예에서, 경사부의 각도는 약 1도로서 설명되었다. 경사부의 각도는 구성요소(20, 22)의 재료 및 플랜지가 함께 체결될 때 제1 및 제2 채널부(30, 32)의 에지에 기밀 밀봉 비드를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40a, 40b, 42a, 42b)에 의해 유지되도록 요구되는 굴곡의 양에 기초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경사부의 각도는 약 0.5도 내지 약 3.0도일 수도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등가의 변경 및 수정이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숙독 및 이해시에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발생할 것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특히, 전술된 요소(구성요소, 조립체, 디바이스, 조성 등)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하여, 이러한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수단"의 참조를 포함함)는,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 예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구조체와 구조적으로 동등하지는 않더라도, 설명된 요소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즉, 기능적으로 등가인) 임의의 요소에 대응하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이 다수의 예시된 실시예 중 단지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전술되었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임의의 소정의 또는 특정 용례를 위해 요구되거나 유리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편파기 조립체이며,
    제1 채널부 및 상기 제1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1 플랜지면을 갖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채널부 및 상기 제2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2 플랜지면을 갖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채널부는, 상기 제1 및 제2 구성요소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파형을 편파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미리체결된 상태와 체결 상태 사이에서 굴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랜지면은 상기 제1 및 제2 채널부의 각각의 에지를 따른 접촉 영역에서 상기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여 지향하는 제2 플랜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상기 접촉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에 불균일한 두께 갭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은 상기 제2 플랜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어 상기 불균일한 두께 갭을 폐쇄하는, 편파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의 외부 에지가 상기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불균일한 두께 갭이 상기 제1 플랜지면과 상기 제2 플랜지면의 외부 에지 접촉부와 상기 접촉 영역 사이에 형성되게 되는, 편파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경사부가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상기 제2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1 경사부를 가져,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가 상기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에 경사진 갭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상기 제2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로 결합되게 되는, 편파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0.5도 내지 3.0도인, 편파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1도인, 편파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면은 제2 경사부가 제2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2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상기 제1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가져,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 이격이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두께 갭의 형성에 기여하게 되는, 편파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편파기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체결구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체결구 중심선으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편파기 조립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체결구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와 상기 체결구 중심선 사이의 위치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편파기 조립체.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에 놓인 평면부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편파기 조립체.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부 경사부가 상기 제1 경사부의 외부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상기 제2 플랜지면을 향해 경사지는 외부 경사부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편파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의 외부 에지는 상기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하여, 불균일한 두께 갭이 상기 제2 플랜지면과 상기 제1 플랜지면의 내부 및 외부 에지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게 되는, 편파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경사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0.5도 내지 3.0도인, 편파기 조립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하학 구조를 갖는, 편파기 조립체.
  15. 편파기 조립체이며,
    제1 채널부 및 상기 제1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채널부 및 상기 제2 채널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채널부는, 상기 제1 및 제2 구성요소가 체결 상태에 있을 때 파형을 편파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는 서로 대면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플랜지면을 갖고;
    상기 제1 플랜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와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제2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제1 경사부를 가져,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의 초기 접촉 에지가 상기 제2 플랜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초기 접촉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면 사이에 불균일한 갭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미리체결된 상태와 체결 상태 사이에서 굴곡하여,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의 경사부가 상기 제1 플랜지면의 초기 접촉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상기 제2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로 결합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편파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외부 에지를 향해 외향으로 상기 제2 플랜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는, 편파기 조립체.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접촉 에지는 상기 제1 플랜지면의 내부 에지인, 편파기 조립체.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의 초기 접촉 에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상기 제2 플랜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면의 경사부는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상기 제2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로 결합하는, 편파기 조립체.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0.5도 내지 3.0도인, 편파기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1 채널부의 에지에서 내부벽에 수직인 수평 평면으로부터 1도인, 편파기 조립체.
KR1020197009423A 2016-09-06 2017-09-06 편파기 조립체 KR102379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83778P 2016-09-06 2016-09-06
US62/383,778 2016-09-06
PCT/US2017/050176 WO2018048834A1 (en) 2016-09-06 2017-09-06 Polariz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803A KR20190050803A (ko) 2019-05-13
KR102379925B1 true KR102379925B1 (ko) 2022-03-31

Family

ID=5996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423A KR102379925B1 (ko) 2016-09-06 2017-09-06 편파기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65916B2 (ko)
EP (1) EP3482447B1 (ko)
JP (1) JP6929937B2 (ko)
KR (1) KR102379925B1 (ko)
CN (1) CN109661746B (ko)
BR (1) BR112019004003A2 (ko)
CA (1) CA3034017A1 (ko)
MX (1) MX2019002525A (ko)
WO (1) WO201804883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7005A1 (en) 2006-11-17 2008-05-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b polarizer suitable for millimeter band applications
US20080303613A1 (en) 2007-06-07 2008-12-11 Oml, Inc. Waveguide interface for millimeter wave and sub-millimeter wave applications
US20110032057A1 (en) 2009-08-06 2011-02-10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Waveguide and Assembly of Waveguide and Printed Circuit Board
US20140077903A1 (en) * 2012-09-14 2014-03-20 Viasat, Inc. Electromagnetic interface using indirect compression for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8512A (en) * 1954-05-03 1958-10-28 Hewlett Packard Co Apparatus for varying the phase in waveguide systems
JPS5313048U (ko) * 1976-07-15 1978-02-03
JPH0511505U (ja) * 1991-07-17 1993-02-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導波管
JPH05191110A (ja) * 1992-01-09 1993-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円形導波管接続部に生ずる相互変調積抑圧方法並びに該方法に用いるシーリングリング
US6201508B1 (en) 1999-12-13 2001-03-13 Space Systems/Loral, Inc. Injection-molde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CN2562008Y (zh) * 2002-08-15 2003-07-23 李元峰 间隙密封机构
JP2004120044A (ja) * 2002-09-24 200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導波管
JP2004186755A (ja) * 2002-11-29 2004-07-02 Murata Mfg Co Ltd 導波路、高周波回路および高周波回路装置
JP2004266501A (ja) * 2003-02-28 2004-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ルゲート型円偏波器
CN1287484C (zh) 2004-09-24 2006-11-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无缝隙微应力波导接口制造方法
JP4862530B2 (ja) * 2006-07-25 2012-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導波管
WO2009082282A1 (en) 2007-12-20 2009-07-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waveguide transition arrangement
US8079126B2 (en) * 2008-01-25 2011-12-20 Pratt & Whitney Rocketdyne, Inc. Friction stir welded bladder fuel tank
US8680954B2 (en) * 2008-08-29 2014-03-25 Nec Corporation Waveguide, waveguide connection structure and waveguide connection method
US8594587B2 (en) 2010-04-05 2013-11-26 Hughes Network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aveguide transmit-receive isolation, filtering, and circular polarization
JP2013021587A (ja) * 2011-07-13 201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導波管円偏波発生器
US9960468B2 (en) 2012-09-07 2018-05-01 Remec Broadband Wireless Networks, Llc Metalized molded plastic components for millimeter wave electronics and method for manufacture
CN204230388U (zh) 2014-12-11 2015-03-25 四川龙瑞微电子有限公司 波导密封组件
CN105252118A (zh) * 2015-11-20 2016-01-20 辽宁忠旺特种车辆制造有限公司 全承载厢式车后门板焊接工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7005A1 (en) 2006-11-17 2008-05-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b polarizer suitable for millimeter band applications
US20080303613A1 (en) 2007-06-07 2008-12-11 Oml, Inc. Waveguide interface for millimeter wave and sub-millimeter wave applications
US20110032057A1 (en) 2009-08-06 2011-02-10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Waveguide and Assembly of Waveguide and Printed Circuit Board
US20140077903A1 (en) * 2012-09-14 2014-03-20 Viasat, Inc. Electromagnetic interface using indirect compression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02525A (es) 2019-06-06
CN109661746B (zh) 2021-06-11
US20190181522A1 (en) 2019-06-13
EP3482447B1 (en) 2020-01-29
CA3034017A1 (en) 2018-03-15
WO2018048834A1 (en) 2018-03-15
US10665916B2 (en) 2020-05-26
CN109661746A (zh) 2019-04-19
EP3482447A1 (en) 2019-05-15
JP6929937B2 (ja) 2021-09-01
KR20190050803A (ko) 2019-05-13
BR112019004003A2 (pt) 2019-06-04
JP2019532562A (ja)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248B1 (en) Sealing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US5724050A (en) Linear-circular polarizer having tapered polarization structures
US6392508B1 (en) Tuneable waveguide filter and method of design thereof
EP3808998A1 (en) Dual component sealing fastener and coupling assembly including same
KR102379925B1 (ko) 편파기 조립체
WO2017208691A1 (ja) 接地用クリップ
EP3510663B1 (en) Polarizer assembly
CN1816978B (zh) 噪声吸收装置
US20200386253A1 (en)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US2018035128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40056739A1 (en) Waveguide
KR101932139B1 (ko) 조인트 클립이 결합된 프로파일 어셈블리 및 프로파일 어셈블리 결합용 조인트 클립
KR101875584B1 (ko) 클램프 표면 및 고정 수단을 갖는 커넥터, 카운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11746812B2 (en) Dual component sealing fastener and coupling assembly including same
US9228657B2 (en) Sealing element
KR200362304Y1 (ko) 가스관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1242950B1 (ko) 대역폭 조절이 가능한 다중 모드 필터
EP3589848B1 (en) Clipping bushing device of fastener assembly
EP3599668A1 (en) Housing post for an electrical assembly
KR20240053965A (ko) 향상된 커플링 계수를 갖는 인터디지털 구조의 대역저지필터
JPH0511505U (ja) 導波管
JP2019065982A (ja) 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