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085B1 -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085B1
KR102379085B1 KR1020210076334A KR20210076334A KR102379085B1 KR 102379085 B1 KR102379085 B1 KR 102379085B1 KR 1020210076334 A KR1020210076334 A KR 1020210076334A KR 20210076334 A KR20210076334 A KR 20210076334A KR 102379085 B1 KR102379085 B1 KR 10237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lift
railing
building
link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영
Original Assignee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76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리프트 난간을 상승하여 난간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은, 건축물에 형성된 설치 공간내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된 창틀의 전면에 이격 배치된 난간; 상기 난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상기 난간으로부터 연장되는 리프트 난간; 상기 난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 난간과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난간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에 포함된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시 제 2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의 반대인 제 3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동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을 접히게 하거나 펼쳐지게 하는 제 1, 2 랙기어;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누름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VERANDA SAFETY RAILING FOR BUILD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길이를 연장하는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외부와의 개방감을 부여하기 위해 외부와 연결되는 베란다가 설치된다.
이러한 베란다는 건축물의 일부 면적을 차지하고 필요성이 크기 않기 때문에 근래에는 실내면적의 활용 면적이 넓어지도록 베란다를 실내의 공간으로 확장하도록 건축된다.
종래의 베란다를 확장할 경우에는 거실창을 개방시에 바로 외부와 연결되어 추락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거실창의 외측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난간을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 난간은 단순히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자의적으로 안전 난간만 넘으면 별도의 추락 방지책이 없어,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이나 걸어다닐 수 있는 유아가 안전 난간을 밟고 올라가 안전 난간을 넘어 추락하는 인명사고가 매년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1490호(2006.03.20 공고)가 있으면, 상기 선행문헌에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난간에서 제 1 방향(예; 난간의 길이방향의 수직)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난간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은, 건축물에 형성된 설치 공간내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된 창틀(예;거실 창틀)의 전면에 이격 배치된 난간; 상기 난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상기 난간으로부터 연장되는 리프트 난간; 상기 난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 난간과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난간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에 포함된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시 제 2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의 반대인 제 3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동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을 접히게 하거나 펼쳐지게 하는 제 1, 2 랙기어;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누름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간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리프트 난간과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 난간의 하측면에는 상기 리프트 난간이 상기 난간으로부터 상승하거나 하강할 경우, 상기 난간의 결합홈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들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복수개의 리트프 바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리프트 난간의 측면에 형성된 롤러홈에서 상기 제 2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의 반대인 제 3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2 롤러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난간의 적어도 일부에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제 1 방향(예; 난간의 길이방향의 수직)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상기 난간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리프트 난간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리프트 난간은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여 창틀(예;거실 창틀)에 포함된 개폐창의 전체 및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인해 어린이들이나 걸어다닐 수 있는 유아들이 개방된 개폐창을 넘어 발생될 수 있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리프트 난간은 개방된 개폐창의 전체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강도나 수상자의 외부 침입을 차단하는 방범창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은 건축물의 베란다에 배치되어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110)으로부터 제 1 방향(①)(예; 난간의 길이방향의 수직, Z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난간(1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은, 난간(110), 리프트 난간(120),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 제 1, 2 랙기어(140, 150) 및 버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건축물(1)에는 창틀(2)을 설치하는 설치 공간(1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창틀(2)은 상기 사각 틀의 형태로서, 상기 건축물(1)의 설치 공간(1b)에 끼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창틀(2)은 개폐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밀폐창(2a)과 환기를 위해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개폐창(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개폐창(2b)은 상기 밀폐창(2a)의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단에 배치되어 밀폐창(2a)의 적어도 어느 한 측단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난간(110)은 상기 설치 공간(1b)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창틀(2)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난간(110)은 상기 창틀(2)에 배치된 밀폐창(2a) 및 개폐창(2b)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난간(110)의 적어도 일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리프트 난간(120)과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개폐창(2b)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결합홈(111)은 후술하는 리프트 난간(120)이 상승할 경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리프트 난간(120)이 하강할 경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난간(110)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창(2b)의 전면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제 1 방향(①)(예; 난간(110)의 길이방향의 수직, Z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상기 난간(110)으로부터 상기 난간(110)의 길이방향의 수직(예;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은 상기 난간(110)의 전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창(2b)의 전면에 이격배치될 수 있고, 상기 리프트 난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은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19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은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는 후술하는 제 1, 2 랙기어(140, 15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는 후술하는 제 1, 2 롤러 부재(170, 18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는 상기 제 1, 2 링크 부재(131, 132)의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링크 부재(131, 13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상기 구동 모터(19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제 1 방향(①)(예; 난간의 길이방향의 수직, Z방향)을 향하여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는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의 적어도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는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의 제 1 링크 부재(13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는 상기 구동 모터(190)에 포함된 기어(191)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는 상기 구동 모터(19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제 2 방향(②)(예; X방향 및 Y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인 제 3 방향(③)(예; X방향 및 Y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가 접히거나 펼쳐질 경우,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도 접히거나 펼쳐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132)도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가 접히거나 펼쳐질 경우,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에 연결된 제 1, 2 롤러 부재(170, 180)가 상기 리프트 난간(120)의 측면에 형성된 롤러홈(122)에서 상기 제 2 방향(②) 또는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인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롤러 부재(170, 180)가 상기 롤러홈(122)에서 상기 제 2 방향(②) 또는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인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상기 제 1, 2 롤러 부재(170, 180)는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시키나 하강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가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의 양일단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의 중심부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유기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리프트 난간(120)의 하측면에는 상기 리프트 난간(120)이 상기 난간(110)으로부터 상승하거나 하강할 경우, 상기 난간(110)의 결합홈(111)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112)들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복수개의 리트프 바(121)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복수개의 리트프 바(121)들이 상기 난간(110)의 복수개의 관통홀(112)들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복수개의 리프트 바(121)들은 상기 리프트 난간(120)의 상승 및 하강을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160)는 상기 구동 모터(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버튼부(160)는 누름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9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승 버튼(161) 및 하강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상승 버튼(161)을 누르면, 상기 구동 모터(19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를 상기 제 2 방향(②) 또는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인 제 3 방향(③)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의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난간(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160)의 상기 하강 버튼(162)을 누르면, 상기 구동 모터(190)가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를 상기 제 2 방향(②) 또는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인 제 3 방향(③)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는 원위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난간(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의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난간(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원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160)는 상기 상승 버튼(161) 또는 상기 하강 버튼(162)을 누름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9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100)은, 난간(110), 리프트 난간(120),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 제 1, 2 랙기어(140, 150) 및 버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난간(1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111)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112)들에 상기 리프트 난간(120)의 하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프트 바(121)들을 결합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바(121)들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12)들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랙기어(140)는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191)의 상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맞물리고, 상기 제 2 랙기어(150)는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191)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맞물릴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191)는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의 일단은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130)들의 제 1 링크 부재(13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의 타일단은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191)와 맞물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의 일단은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의 타일단은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의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의 타일단은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일단은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타일단은 상기 리프트 난간(120)의 측면에 형성된 롤러홈(12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타일단에는 상기 롤러홈(122)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제 1, 2 롤러 부재(170, 180)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이렇게 조립된 난간(110)은 상기 건축물의 설치 공간(1b)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110)은 상기 설치 공간(1b)내에 배치된 창틀(2)(예; 거실 창틀)의 전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난간(110)은 상기 설치 공간(1b)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난간(110)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창틀(2)의 개폐창(2b)의 전면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앞서 도 4와 같이,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개폐창(2b)의 적어도 일부는 차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앞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개폐창(2b)을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연장으로 차단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160)에 포함된 상승 버튼(161)을 누른다. 상기 상승 버튼(161)을 누르면, 상기 상승 버튼(161)은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191)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하는 상기 기어(191)는 상기 제 1 랙기어(140)를 제 3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랙기어(150)를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의 일단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방향(②) 및 상기 제 3 방향(③)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의 타일단은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축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 부재(131)의 타일단은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를 상승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의 일단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축이 회전하여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의 타일단을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링크 부재(133)의 타일단은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일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타일단은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축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타일단이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타일단이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할 경우,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타일단에 배치된 제 1, 2 롤러 부재(170, 180)는 상기 리프트 난간(120)의 측면에 형성된 롤러홈(1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의 제 1, 2 롤러 부재(170, 180)가 상기 롤러홈(1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링크 부재(132)는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191)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는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가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하여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트 난간(120)의 하측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리프트 바(121)들은 상기 난간(110)의 결합홈(111)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112)들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난간(110)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연장으로 상승하여 상기 개폐창(2b)의 전체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승한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상기 개폐창(2b)을 막을 수 있다. 예컨데, 상승된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개방된 상기 개폐창(2b)의 전체를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 난간(120)을 다시 윈위치 시킬 경우, 사용자는 버튼부(160)의 하강 버튼(162)을 누른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190)의 기어(191)는 정방향의 반대인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191)는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를 직선으로 제 2, 3 방향(①, 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2 랙기어(140, 150)는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를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접을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는 펼쳐진 상태에서 접힘과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트 난간(120)도 상기 제 1, 2 및 3 링크 부재(131, 132, 133)가 접힘과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하강하여 상기 난간(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원위치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난간(110)의 적어도 일부에 구동 모터(190)의 구동에 따라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상기 난간(1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리프트 난간(12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리프트 난간(120)은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하여 창틀(2)의 개폐창(2b)의 전체를 차단할 수 있고, 이로인해 어린이들이나 걸어다닐 수 있는 유아들이 개방된 개폐창(2b)을 넘어 발생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리프트 난간(120)이 상기 개폐창(2b)의 전체를 막을 수 있으므로, 강도나 수상자의 침입을 막는 방범창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가
110 : 난간 120 : 리프트 난간
130 : 리프트 링크 부재 140, 150 : 제 1, 2 랙기어
160 : 버튼부 161 : 상승 버튼
162 : 하강 버튼 111 : 결합홈
121 : 리프트 바 170, 180 : 제 1, 2 롤러 부재
190 : 구동 모터 1 : 건축물
2 : 창틀 2a : 밀폐창
2b : 개폐창

Claims (4)

  1.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에 있어서,
    건축물에 형성된 설치 공간내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된 창틀의 전면에 이격 배치된 난간;
    상기 난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상기 난간으로부터 연장되는 리프트 난간;
    상기 난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 난간과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난간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에 포함된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시 제 2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의 반대인 제 3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동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을 접히게 하거나 펼쳐지게 하는 제 1, 2 랙기어;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누름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은 상기 리프트 난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정방향으로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펼쳐질 경우, 상기 리프트 난간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승한 상기 리프트 난간과 함께 상기 창틀에 포함된 개폐창의 전체를 차단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은 상기 구동 모터의 상기 정방향의 반대인 역방향으로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접힐 경우, 상기 리프트 난간을 하강시킴과 아울러 하강한 상기 리프트 난간과 함께 상기 개폐창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 링크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리프트 난간의 측면에 형성된 롤러홈에서 상기 제 2 방향 또는 상기 제 3 방향을 향하여 롤링되어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2 롤러 부재가 배치되는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리프트 난간과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난간의 하측면에는 상기 리프트 난간이 상기 난간으로부터 상승하거나 하강할 경우, 상기 난간의 결합홈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들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복수개의 리트프 바들이 배치되는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4. 삭제
KR1020210076334A 2021-06-11 2021-06-11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KR10237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34A KR102379085B1 (ko) 2021-06-11 2021-06-11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34A KR102379085B1 (ko) 2021-06-11 2021-06-11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085B1 true KR102379085B1 (ko) 2022-03-25

Family

ID=8093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334A KR102379085B1 (ko) 2021-06-11 2021-06-11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0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042A (ko) * 2005-07-25 2007-01-30 문재희 발코니용 높이가변형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042A (ko) * 2005-07-25 2007-01-30 문재희 발코니용 높이가변형 안전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284B1 (ko) 다기능 다목적 기능을 구비하는 방범창문의 개폐 장치
EP1760248A3 (en) Window covering having roll-up shade segments
CN111997202B (zh) 一种盖板折叠打开式机械阁楼装置
US9045908B1 (en) Operable ramp
ITMI20120395U1 (it) Elemento a paravento modulare dotato di un pannello superiore motorizzato
KR102379085B1 (ko)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WO2004109024A1 (en) Balcony that can be folded
JP6486123B2 (ja) 昇降式ホーム安全柵
JP7023010B2 (ja) 建物用の垂直スライド窓
KR102642956B1 (ko) 자동 높이조절용 난간장치
TWI611091B (zh) 天窗式百葉窗簾
KR102196468B1 (ko) 거실 및 베란다겸 발코니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하우스
KR100571099B1 (ko)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KR20230161598A (ko)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KR20070052986A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0354445B1 (ko) 주택의 베란다용 안전창
CN214569950U (zh) 一种用于室内空间优化的升降装置
CN219012401U (zh) 一种用于通风和采光的高位窗
KR102190468B1 (ko)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KR102458610B1 (ko) 수평형 방화셔터
KR102430237B1 (ko) 공동주택 내 주차장의 안전 진출입 장치
KR1022014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KR200300416Y1 (ko)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안내장치
KR20110002272A (ko) 롤 블라인드
CN101012725A (zh) 多功能一体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