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11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11B1
KR102201411B1 KR1020200100290A KR20200100290A KR102201411B1 KR 102201411 B1 KR102201411 B1 KR 102201411B1 KR 1020200100290 A KR1020200100290 A KR 1020200100290A KR 20200100290 A KR20200100290 A KR 20200100290A KR 102201411 B1 KR102201411 B1 KR 10220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alcony
rail
window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범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케이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케이
Priority to KR102020010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는 실내와 연결되는 발코니 부; 상기 발코니 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고정창과, 상기 고정창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이동창을 갖는 창호부; 상기 고정창과 상기 이동창을 포함하는 길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발코니부의 외측부 외벽에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반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난간이 형성된 돌출부;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현하여 창호 세정시 주거자가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발코니로부터 돌출부를 돌출시키는 경우 보조 난간을 상방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로프를 돌출부에 걸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돌출부의 하단을 지지하여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balcony railing structure for apartmen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현하여 창호 세정시 주거자가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다수 층으로 건축되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외측은 주거민들이 쉽게 청소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공공주택에 설치되는 발코니외 외측부에는 난간이 설치된다. 난간이 설치됨에 따라 주거민이 난간 외부에 위치되는 창호의 외면을 세척하기는 어렵고 안전 사고의 위험이 높다.
예컨대, 일반 청소 도구로 창호 외측을 청소하는 경우, 추락에 따른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청소업체에 청소용역을 사용하는 경우, 이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고, 자주 창호를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브러시를 두 개 사용하고 두 개의 브러시 사이 중앙에 돌출된 지레 받침점을 두어 지렛대의 원리, 즉 시소가 동작하는 것과 같이 받침점을 중심으로 유리창 청소기 사용시 항상 한쪽의 브러시가 유리창에 닿으면 다른 쪽의 브러시는 유리창에 닿지 않게 되도록 하여 청소기의 진행방향을 양 방향으로 왕복 사용 하여 창호를 청소하도록 하였다.
또한,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갖는 창호의 외면에 일정한 접촉압을 가하여 균일하게 세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외측을 청소하고자 할 때 청소원이 추락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와 청소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들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브러쉬를 사용하여 창호의 외면을 크리닝 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분진 및, 세척 후의 오염수가 하방으로 그대로 낙하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공동 주택의 발코니의 일부를 난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주거민이 직접 창호의 외부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창호의 외면 및 그 주변의 세척을 직접 실시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돌출되는 보조 발코니에서의 추락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안전 설계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05784호(등록일: 2019.12.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현하여 창호 세정시 주거자가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코니로부터 돌출부를 돌출시키는 경우 보조 난간을 상방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로프를 돌출부에 걸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돌출부의 하단을 지지하여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는 실내와 연결되는 발코니 부; 상기 발코니 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고정창과, 상기 고정창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이동창을 갖는 창호부; 상기 고정창과 상기 이동창을 포함하는 길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발코니부의 외측부 외벽에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반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난간이 형성된 돌출부;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동창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초기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창호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창의 이동을 규제하는 락킹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환기 모드 또는 세정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연결되되,
상기 선택기에 의해 상기 환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락킹 장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이동창을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유지하고,
상기 선택기에 의해 상기 세정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락킹 장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이동창을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유지하되,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중량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중량이 기준 중량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가능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반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몸체와,
상기 돌출부 몸체에 형성되는 상기 난간과,
상기 둘출부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하를 따라 층을 이루는 제 1레일 돌기와,
상기 둘출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레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외벽의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일단에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외벽의 외부에 노출되며, 수직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L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 몸체와,
상기 수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레일 돌기들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1레일들과,
상기 수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레일 돌기들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레일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코니 부의 상측벽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 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몸체에는,
하강되는 상기 승강축들 각각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걸림 부재들이 걸려 고정되는 고정 부재들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 몸체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에는 설정된 길이의 안전바가 관통된다. 상기 안전바의 양단은 발코니부의 양측에서의 외벽의 내부에 매설되어 지지된다. 상기 돌출부 몸체는 상기 안전바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발코니 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외벽 중 양측벽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돌출 실린더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돌출 실린더의 단부는 상기 양측벽에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돌출 실린더 각각은 사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신축되는 돌출축을 각각 갖는다. 상기 한 쌍의 돌출 실린더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돌출축 각각을 돌출시킨다.
상기 각각의 돌출축의 단부에는 끼움단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 몸체의 양측부에는 상기 각각의 끼움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부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각각의 돌출 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각각의 돌출축을 돌출시킨다.
이어 상기 각각의 돌출축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끼움단은 상기 각각의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끼움단 및 상기 각각의 끼움홈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돌출부는 한 쌍의 돌출 실린더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는 실내와 연결되는 발코니 부; 상기 발코니 부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코니 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부; 상기 발코니 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발코니 부의 외부를 따라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는 메인 이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난간부는,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지지대들과,
상기 다수의 지지대들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난간과,
상기 회전축에 축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난간 각각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들과,
상기 회전 모터들을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메인 이동부는,
상기 발코니 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부재와,
상기 지지판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 레일과,
상기 돌출 레일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원위치 또는 설정된 위치로 돌출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의 위치는,
상기 다수의 단위 난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해당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구간에 해당되는 단위 난간을 상기 회전 모터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개방시킨 이후에,
상기 돌출부를 돌출시키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 레일과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며, 일정 면적을 갖는 돌출부 몸체와,
상기 돌출부 몸체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승강되는 보조 난간이 설치되되,
상기 보조 난간은,
승강되는 다단의 축을 갖는 실린더들과,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다단의 축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이후에, 상기 실린더들을 구동시켜 상기 다단의 축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승강시킨다.
특히, 상기 발코니 부의 상측벽에는,
끝단에 안전 고리가 형성되는 로프들이 권취되는 권취기들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돌출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신호가 외부에서 입력되면,
상기 권취기들 각각의 상기 로프를 일정 길이로 풀고,
상기 권취기들 각각의 상기 안전 고리는,
상기 돌출부 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걸이들에 걸릴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지지판 부재는,
상기 돌출 레일이 형성되는 상판 부재와,
상기 상판 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판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하판 부재는, 상기 상판 부재와 상기 발코니 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방 이동 레일을 통해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방 이동 레일은,
측방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단위 난간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난간에 대한 선택 신호를 받고,
상기 측방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상판 부재를, 선택된 상기 단위 난간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발코니 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외벽에는,
유압축을 갖는 유압 실린더들이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유압축의 끝단은,
상기 돌출부 몸체의 전단 하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들의 상기 유압축은,
상기 돌출부 몸체가 설정된 위치로 돌출됨에 따라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 몸체의 하단을 일정의 유압을 통해 지지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 몸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줄사다리의 일단이 권취되는 보조 권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 부와 경계되는 실내에는, 상기 실내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상기 화재의 발생에 대한 신호를 받으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설정된 위치로 돌출시키고,
상기 보조 권취부를 사용하여 상기 줄사다리를 풀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현하여 창호 세정시 주거자가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코니로부터 돌출부를 돌출시키는 경우 보조 난간을 상방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로프를 돌출부에 걸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돌출부의 하단을 지지하여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발코니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줄사다리를 하방으로 풀어 일정 높이를 이루는 세대에서는 즉시 대피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고층 세대에서는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구출 전까지 임시 대피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돌출부가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승강축이 하강 전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승강축이 하강 전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를 지지하는 안전바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발코니 부의 양측 외벽에 한 쌍의 돌출 실린더가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난간이 설치되는 돌출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안전 고리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발코니 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 부재에 보조 권취부가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에 실린더들이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돌출부가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승강축이 하강 전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승강축이 하강 전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는 실내와 연결되는 발코니 부(1100)와, 상기 발코니 부(1100)의 단부에 설치되며, 고정창(1210)과, 상기 고정창(1210)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이동창(1220)을 갖는 창호부(1200)와, 상기 고정창(1210)과 상기 이동창(1220)을 포함하는 길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발코니 부(1100)의 외측부 외벽에 설치되는 레일부(1300)와, 상기 레일부(130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반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난간(1420)이 형성된 돌출부(1400)와, 상기 레일부(1300)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14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500)와, 상기 이동부(1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0)는, 상기 돌출부(1400)가 상기 이동창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창호부(1200)는, 상기 제어부(1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창의 이동을 규제하는 락킹 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600)는 환기 모드 또는 세정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기(1610)와 연결된다.
상기 선택기(1610)에 의해 상기 환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0)는 상기 락킹 장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이동창(1220)을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1400)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유지한다.
상기 선택기(1610)에 의해 상기 세정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0)는 상기 락킹 장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이동창(1220)을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1400)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유지하되, 상기 돌출부(1400)에 구비되는 중량 센서(1401)로부터 측정되는 중량이 기준 중량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이동부(1500)의 구동을 가능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400)는 반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몸체(1410)와, 상기 돌출부 몸체(1410)에 형성되는 상기 난간(1420)과, 상기 돌출부 몸체(14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하를 따라 층을 이루는 제 1레일 돌기(1430)과, 상기 둘출부 몸체(14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레일 돌기(144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1300)는, 상기 외벽(1)의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몸체(1310)와, 상기 고정 몸체(1310)의 일단에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외벽(1)의 외부에 노출되며, 수직면(1321)과 수평면(1322)을 이루도록 L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 몸체(1320)와, 상기 수직면(1321)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레일 돌기들(1430)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1레일들(1330)과, 상기 수평면(1322)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레일 돌기들(1440)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레일들(134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코니 부(1100)의 상측벽에는, 가이드 레일(11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10)에는 승강되는 승강축(1210)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1200)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들(1200) 각각의 상기 승강축(1210)의 하단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 부재들(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몸체(1410)에는 하강되는 상기 승강축들(1210) 각각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걸림 부재들(미도시)이 걸려 고정되는 고정 부재들(14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레일부(1200)는 이동창(1220)을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 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리니어 모터 장치는 제어부(1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어부(1600)는 돌출부(1400)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되는 경우 리니어 모터 장치를 사용하여 이동창(1220)을 닫는다. 이에 따라 돌출부(1400)가 이동되는 상태에서 세정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이동창(1220)을 닫아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그리고 세정 작업이 완료되면 별도의 신호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제어부(1600)에 작업완료 신호를 보내면 돌출부(1400)는 초기 위치로 이동되고, 이동창(1220)을 열릴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를 지지하는 안전바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몸체(1410)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안내홀(1402)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1402)에는 설정된 길이의 안전바(1700)가 관통된다. 상기 안전바(1700)의 양단은 발코니 부(1100)의 양측벽에 지지된다.
상기 돌출부 몸체(1410)는 상기 안전바(170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안전바(1700)는 상기 돌출부 몸체(141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돌출부(1400)가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발코니 부의 양측 외벽에 한 쌍의 돌출 실린더가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 부(1100)의 양측에 위치되는 외벽(1) 중 양측벽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돌출 실린더(1800)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돌출 실린더(1800)의 단부는 상기 양측벽에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돌출 실린더(1800) 각각은 사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신축되는 돌출축(1810)을 각각 갖는다. 상기 한 쌍의 돌출 실린더(1800)는 상기 제어부(1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돌출축(1810) 각각을 돌출시킨다.
상기 각각의 돌출축(1810)의 단부에는 끼움단(181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 몸체(1410)의 양측부에는 상기 각각의 끼움단(1811)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14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돌출부(1400)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각각의 돌출 실린더(1800)를 구동시켜 상기 각각의 돌출축(1810)을 돌출시킨다.
이어 상기 각각의 돌출축(1810)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끼움단(1811)은 상기 각각의 끼움홈(1413)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끼움단(1811) 및 상기 각각의 끼움홈(1413)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돌출부(1400)는 한 쌍의 돌출 실린더(1800)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는 실내와 연결되는 발코니 부(100)와, 상기 발코니 부(100)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코니 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부(200)와, 상기 발코니 부(100)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발코니 부(100)의 외부를 따라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300)와, 상기 돌출부(300)가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300)를 이동시키는 메인 이동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난간부(200)는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지지대들(210)과, 상기 다수의 지지대들(210)에 형성되는 회전축(21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난간(220)과, 상기 회전축(211)에 축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 난간(220)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들(230)과, 상기 회전 모터들(230)을 구동시키는 제어기(24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메인 이동부(400)는, 상기 발코니 부(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부재(410)와, 상기 지지판 부재(4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00)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 레일(420)과, 상기 돌출 레일(42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돌출부(300)를 원위치 또는 설정된 위치로 돌출시키는 리니어 모터(430)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위치는, 상기 다수의 단위 난간(220)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기(24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구간에 해당되는 단위 난간(220)을 상기 회전 모터들(23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개방시킨 이후에, 상기 돌출부(300)를 돌출시키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430)를 구동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난간이 설치되는 돌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돌출부(300)는 상기 돌출 레일과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며, 일정 면적을 갖는 돌출부 몸체(310)와, 상기 돌출부 몸체(310)의 외측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승강되는 보조 난간(320)을 갖는다.
상기 보조 난간(320)은, 승강되는 다단의 축(321a)을 갖는 실린더들(321)과, 상기 실린더들(321) 각각의 상기 다단의 축(321a)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대(322)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240)는 상기 돌출부(300)가 돌출된 이후에, 상기 실린더들(321)을 구동시켜 상기 다단의 축(321a)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승강시킨다.
상기 구성을 참조 하면 회전축(211)에 연결된 난간은 외측으로 90도 회전된다. 이에 해당 난간(200)의 폭 만큼 개방된다.
개방되는 축들(321a)을 통해 돌출부(300)는 돌출된다.
돌출된 이후 실린더들(321)의 축들(321a)은 상방으로 다단으로 돌출된다. 상기 축들(321a)의 상단에는 ㄱ 형상의 연결대(322)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대(322) 측단은 90도로 회전되어진 난간(200)의 상단 측단과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200)은 회전축(211)이 90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들 간은 멀어지지 않을 수 있다. 회전축이 원위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상기 연결대(322) 측단과 난간(200)의 상단 측단은 벌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안전 고리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특히,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발코니 부(100)의 상측벽에는 끝단에 안전 고리(111a)가 형성되는 로프들(111)이 권취되는 권취기들(11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240)는 상기 돌출부(300)를 돌출시키기 위한 신호가 외부에서 입력되면, 상기 권취기들(110) 각각의 상기 로프(111)를 일정 길이로 푼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들(110) 각각의 상기 안전 고리(111a)는 상기 돌출부 몸체(3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걸이들(310a)에 걸릴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발코니 부(100)의 상측벽에는 발코니 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이동 레일(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이동 레일(10)에는 상기 권취기들(11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이동 레일(10)과 상기 권취기들(110)의 후단은 레일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권취기들(110)은 제 1이동 레일(10)과 연결되는 제 1리니어 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좌우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 1리니어 모터(11)는 제어기(24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권취기들(110)은 돌출부(300)의 이동 위치에 부합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이동 레일(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발코니 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 하면 상기 지지판 부재(410)는 돌출 레일(420)이 형성되는 상판 부재(410')와, 상기 상판 부재(4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판 부재(410")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 레일(420)은 돌출부 몸체(3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레일홈(301)에 결합된다.
상기 하판 부재(410")는 상기 상판 부재(410')와 상기 발코니 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방 이동 레일(420')을 통해 레일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측방 이동 레일(420')은 상판 부재(410')의 하단에 형성된 제 2레일홈(410a)에 결합된다.
상기 측방 이동 레일(420')은 측방 리니어 모터(44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240)는 외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단위 난간(220)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난간(220)에 대한 선택 신호를 받고, 상기 측방 리니어 모터(440)를 사용하여 상기 상판 부재(410')를 선택된 상기 단위 난간(220)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 하면 상기 발코니 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외벽에는 유압축(510)을 갖는 유압 실린더들(500)이 힌지(H)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들(500) 각각의 상기 유압축(510)의 끝단은 상기 돌출부 몸체(310)의 전단 하단에 힌지(H) 연결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들(500)의 상기 유압축(510)은 상기 돌출부 몸체(310)가 설정된 위치로 돌출됨에 따라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 몸체(310)의 하단을 일정의 유압을 통해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외벽(1)에는 발코니 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이동 레일(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이동 레일(20)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들(500)의 단부가 연결된 힌지(H)가 설치된 블록들(52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이동 레일(20)과 상기 블록들(520)의 후단은 레일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블록들(620)은 제 2이동 레일(20)과 연결되는 제 2리니어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좌우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 2리니어 모터(21)는 제어기(24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들(500)은 돌출부(300)의 이동 위치에 부합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외벽(1)에서 상기 제 2이동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 부재에 보조 권취부가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 하면 상기 돌출부 몸체(31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줄사다리(610)의 일단이 권취되는 보조 권취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발코니 부(100)와 경계되는 실내에는, 상기 실내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15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240)는 상기 화재 감지기(150)로부터 상기 화재의 발생에 대한 신호를 받으면, 상기 돌출부 몸체(310)를 상기 설정된 위치로 돌출시키고, 상기 보조 권취부(600)를 사용하여 상기 줄사다리(610)를 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 몸체(310)에는 대피구(35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몸체(310)에는 상기 대피구(352)를 개폐하는 도어(35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350)는 힌지축(351)을 통해 회전개폐된다. 이에 줄 사다리(610)가 펼쳐지는 경우 주거민은 대피구(352)를 통해 줄사다리(610)를 사용하여 대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피구(352)에는 주거민의 몸체를 감싸 고정하는 릴(미도시)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 부(700)는 하측벽(701)과, 상기 하측벽(701)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상의 측벽(702)과, 상기 한 쌍의 측벽(702)의 상단에 상측벽(703)이 형성된다. 이에 발코니 부(700)의 공간은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발코니 부(700)의 공간에는 돌출 가능한 직사각 틀 형상의 돌출부(800)가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800)는 전당 하단에는 난간(840)이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800)는 하단 몸체(810)와, 상기 하단 몸체(8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702)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단 몸체(820)와, 상기 한 쌍의 측단 몸체(820)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상측벽(703)에 위치되는 상단 몸체(830)를 갖는다.
상기 하단 몸체(810)는 발코니 부(700)의 하측벽(701)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하단 몸체(810)의 양측 하단 및 상기 상단 몸체(830)의 양측 상단에는 기어치(80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기어치(801)는 돌출부(800)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폭 및 길이를 이룬다.
상기 각각의 기어치(801)는 각각의 기어(860)와 기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기어(860)는 그 중심이 기어모터(870)의 구동축(871)과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기어 모터(870)는 제어기(2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이에 상기 각각의 기어(860)는 정역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이에 상기 돌출부(800)는 기어들(86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돌출되도록 전진 또는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후진될 수 있다.
이에 실내에서 작동 버튼(880)을 누르면,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기어(860)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800)를 설정된 돌출 위치로 돌출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에 실린더들이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800)의 상단 몸체(830)의 전단에는 간격을 이루어 승강되는 축(910)을 갖는 실린더들(900)이 설치된다. 상기 축(910)이 하강되는 경우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각각의 축(910)에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고리 부재(92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와 상기 실린더들(900)의 구동은 제어기(240)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하단 몸체(810)의 전단에는 상기 고리 부재들(920)이 걸릴 수 있는 고정링(89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240)는 돌출부(800)가 설정된 돌출 위치로 돌출되면, 상기 실린더들(900)을 사용하여 각각의 축(910)을 하강시킨다. 이때, 하강되는 상기 축(910)에 설치된 고리 부재들(920)은 회전 전 상태를 이루고, 일정 위치로 하강되면, 고리 부재들(920)은 모터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링(890)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린더들(900) 각각의 축(910)이 하강되고, 이 하강되는 축(910)에 설치되는 고리 부재들(920)이 고정링(890)에 걸림으로써, 돌출된 돌출부(800)의 상단 몸체(830) 및 하단 몸체(810)는 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현하여 창호 세정시 주거자가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코니로부터 돌출부를 돌출시키는 경우 보조 난간을 상방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로프를 돌출부에 걸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돌출부의 하단을 지지하여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발코니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줄사다리를 하방으로 풀어 일정 높이를 이루는 세대에서는 즉시 대피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고층 세대에서는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구출 전까지 임시 대피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발코니 부
200 : 난간부
300 : 돌출부
400 : 메인 이동부

Claims (4)

  1. 실내와 연결되는 발코니 부;
    상기 발코니 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고정창과, 상기 고정창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이동창을 갖는 창호부;
    상기 고정창과 상기 이동창을 포함하는 길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발코니부의 외측부 외벽에 설치되는 레일부;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반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난간이 형성된 돌출부;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동창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초기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창호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창의 이동을 규제하는 락킹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환기 모드 또는 세정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연결되되,
    상기 선택기에 의해 상기 환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락킹 장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이동창을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유지하고,
    상기 선택기에 의해 상기 세정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락킹 장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이동창을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유지하되,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중량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중량이 기준 중량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반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몸체와,
    상기 돌출부 몸체에 형성되는 상기 난간과,
    상기 돌출부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하를 따라 층을 이루는 제 1레일 돌기와,
    상기 돌출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레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외벽의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일단에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외벽의 외부에 노출되며, 수직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L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 몸체와,
    상기 수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레일 돌기들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1레일들과,
    상기 수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레일 돌기들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레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 부의 상측벽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 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몸체에는,
    하강되는 상기 승강축들 각각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걸림 부재들이 걸려 고정되는 고정 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KR1020200100290A 2020-08-11 2020-08-11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KR10220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90A KR102201411B1 (ko) 2020-08-11 2020-08-11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90A KR102201411B1 (ko) 2020-08-11 2020-08-11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411B1 true KR102201411B1 (ko) 2021-01-11

Family

ID=7412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290A KR102201411B1 (ko) 2020-08-11 2020-08-11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784B1 (ko) 1996-10-01 1999-07-01 윤종용 이온주입설비의 디스크 밴트 시스템
KR20110003154A (ko) *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20120111681A (ko) * 2011-04-01 2012-10-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784B1 (ko) 1996-10-01 1999-07-01 윤종용 이온주입설비의 디스크 밴트 시스템
KR20110003154A (ko) *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20120111681A (ko) * 2011-04-01 2012-10-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987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20130095472A (ko) 발코니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KR1022014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JP7023010B2 (ja) 建物用の垂直スライド窓
KR101571106B1 (ko) 상하, 좌우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커튼장치
KR100496491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낙하방지장치
KR101266399B1 (ko) 출몰식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CN111021648B (zh) 一种全自动楼阁扶梯设备
JP7066500B2 (ja) 防水扉
KR200381379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196468B1 (ko) 거실 및 베란다겸 발코니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하우스
KR101208474B1 (ko) 바닥매립식 피난 사다리의 설치공법
JP2007119121A (ja) 段差解消機
RU197339U1 (ru) Вертикально-подъемные ворота
KR102167945B1 (ko) 미닫이식 고소 창문구조체용 개폐장치
CN214006980U (zh) 一种具有便于抽拉固定的防火帘
CN217732341U (zh) 一种家用电梯自救装置
CN211900392U (zh) 一种双轨防火卷帘门
KR102380944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지붕이 구비된 복층형 조립식 주택
JPH0215976Y2 (ko)
JP2003336407A (ja) 車庫を備えた建物
JPH0643430Y2 (ja) 建物用窓
JPH08282944A (ja) 家庭用エレベータ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504524B1 (ko)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WO2023218314A1 (en) Multifunction winding stair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