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598A -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598A
KR20230161598A KR1020220061161A KR20220061161A KR20230161598A KR 20230161598 A KR20230161598 A KR 20230161598A KR 1020220061161 A KR1020220061161 A KR 1020220061161A KR 20220061161 A KR20220061161 A KR 20220061161A KR 20230161598 A KR20230161598 A KR 2023016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elevating
operating
gear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복남
나동혁
나동원
전영모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598A/ko
Publication of KR2023016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복수의 승강부재로 이루어진 승강수단과,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승강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승강부재는 서로 기어 치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Lifting Working Device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은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동력 없이 작업자가 필요한 높이로 승강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정확하게 높이 조절되며, 안전한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해서는 고소 작업대가 필요하다. 외부전기 또는 배터리에 의한 모터의 동력으로 하거나 엔진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승강식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으며, 차량 등에 탑재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승강 구조에서 일명 자바라 구조로 접철되는 승강 수단이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좌우 양측에 승강 수단이 구비되어 승강되는 구조가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바라 구조는 서로 크로스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048536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이 간편하며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복수의 승강부재로 이루어진 승강수단과,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승강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승강부재는 서로 기어 치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승강수단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는 회전하면서 승강수단을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승강수단을 이루는 상부의 승강부재의 상단은 상부부재의 하부에서 작동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측방부재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인 상부가이드공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의 승강부재의 하단은 하부부재의 상부에서 작동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측방부재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인 하부가이드공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는 승강구동부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본체와,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부재나 하부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 승강수단의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본체가 회전하여 작동부재를 통하여 승강부재로 외력이 전달되어 승강부재가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외측으로 밀려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강수단은 작동본체의 주위로 방사상의 위치에 등간격으로 3개 또는 4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브라켓공이 형성된 기어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브라켓은 서로 이웃하여 기어 치합으로 구비되는 승강부재의 결합부에 양측 승강부재의 기어축이 각각 브라켓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슬라이더는 하부에 제1안내돌기가 구비되며 상단이 작동본체에 결합된 상부슬라이드부재와, 기어결합부가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하부안내홈이 형성된 하부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와 하부슬라이드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중간안내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중간안내돌기가 구비된 중간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결합부에는 인접한 승강부재의 기어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어결합공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하여 결합되는 양측의 기어축이 기어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는 센터에서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승강 수단이 승강되는 구조이므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승강 수단이 대칭되므로 상하 운동시 균형이 이루어지며, 구조물에 비대칭에 의한 불균형 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승강부재가 서로 기어 치합되는 구조로 자바라 구조에 비하여 승강부재의 개수가 반으로 줄어들어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는 상부부재가 하강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1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에 구비되는 상부슬라이더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0며, 도 2는 상부부재가 하강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1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에 구비되는 상부슬라이더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가로 및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100)는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와, 승강수단(130)과, 상부슬라이더(210)와, 하부슬라이더(220)와, 승강구동부(140)와, 작동부(190)와, 동력전달부(160)와, 지지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식 작업대(100)는 하부에 휠(180)이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휠(180)이 구비되지 않고 차량에 탑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부재(11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부재(110)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상기 판상의 상부부재(110)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100-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난간(100-2)에는 출입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110)는 제1상부부재(113)와, 제2상부부재(115)와, 상부측방부재(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부부재(113)와 제2상부부재(115)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부재(115)는 제1상부부재(11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상부부재(113)와 제2상부부재(115)는 상하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부재(113)와 제2상부부재(115) 사이에는 승강구동부(140)와 동력전달부(160)가 설치되고, 상기 제2상부부재(115)의 하부로 작동부(190)가 설치된다. 상기 난간(100-2)은 제1상부부재(113)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측방부재(117)는 상기 제2상부부재(115)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측방부재(117)는 상부부재(1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상부측방부재(117)는 단면이 '┏┓'인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길이를 가지는 2개의 판상이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측방부재(117)는 상단이 제2상부부재(115)의 하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상부측방부재(117)는 승강수단(13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승강수단(130)이 3개면 상부측방부재(117)도 3개 구비되고, 승강수단(130)이 4개면 상부측방부재(117)도 4개 구비된다.
상기 하부부재(120)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부재(12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부재(120)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상기 하부부재(120)는 제1하부부재(123)와 하부측방부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부부재(123)는 상기 상부부재(110)와 나란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측방부재(125)는 상기 제1하부부재(123)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측방부재(125)는 하부부재(1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하부측방부재(125)는 상기 상부측방부재(117)와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하부측방부재(125)는 단면이 '┗┛'인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길이를 가지는 2개의 판상이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방부재(125)는 하단이 제1하부부재(123)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부측방부재(125)는 승강수단(13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승강수단(130)이 3개면 하부측방부재(125)도 3개 구비되고, 승강수단(130)이 4개면 하부측방부재(125)도 4개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상기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상기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 사이에서 작동부(190)의 작동본체(191) 주위로 방사상의 위치에 등간격으로 3개 또는 4개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상하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승강부재(131)와 기어브라켓(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131)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하로 연결된 복수의 승강부재(131)에는 상하로 이웃하는 단부에 기어(1311)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1311)는 승강부재(131)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하로 이웃하는 승강부재(131)는 서로 기어 치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웃하는 승강부재(131)의 기어(1311)가 치합하는 부분에는 양측 승강부재(131)의 기어축(1312)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기어브라켓(133)이 구비된다.
상기 기어브라켓(133)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ㄷ'자 형태인 기어브라켓(133) 내에는 상기 기어(1311)가 위치한다. 상기 기어브라켓(133)에는 기어브라켓(133)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브라켓공(1331)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1311)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기어축(1312)이 구비되고, 상기 기어브라켓(133)은 서로 이웃하여 기어(1311) 치합으로 구비되는 승강부재(131)의 결합부에 양측 승강부재(131)의 기어축(1312)이 각각 브라켓공(13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기어브라켓(133)이 기어(1311)가 서로 치합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하 작동 중 기어 치합이 유지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자바라 구조는 2개의 승강부재(131)가 회전 가능하게 서로 크로스 결합되고, 또한 복수의 크로스 쌍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나,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부재(131)는 이웃하는 승강부재(131)와 기어 치합하는 구조로 자바라 구조에 비하여 승강부재(131)의 개수가 ½로 줄어들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기어 치합으로 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작동 안정성도 향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130)은 작동부(190)의 작동본체(191)의 회전축(19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도 3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이며 120도 간격으로 3개 구비될 수도 있고, 180도 간격으로 2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회전축(193)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작동본체(191)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수단(130)이 신축되는 구조이므로 하중이 작동본체(191)의 회전축(193)을 중심으로 평형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승강수단(130)의 신축으로 상부부재(110)가 승강될 때 신축시키기 위하여 부여되는 하중에 의하여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높은 안정성이 확보된다. 좌우 전후로 하중이나 승강수단(130)에 의한 지지력이 균등하게 작용하여 평형을 이룰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승강부재(131)는 상부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는 상기 상부측방부재(117)에 연결된다. 상기 승강수단(130)을 이루는 상단의 승강부재(131, 제1승강부재라 함)의 상단에는 상부부재(110)의 하면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롤러(137)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137) 양측으로 롤러축(132)이 돌출된다. 상기 상부부재(110)에는 상기 롤러축(13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가이드공(111)이 회전축(193)을 중심으로 나란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공(111)은 상부측방부재(117)의 폭 방향 양측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부재(131)의 상단은 상기 상부부재(110)에 형성된 장공인 상부가이드공(111)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롤러(137)는 상기 제2상부부재(115)의 하면에 구름 접촉한다.
상기 상부부재(110)에는 상기 승강부재(131)에 결합되는 승강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스프링은 일측 단부가 회전축(193)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타측은 롤러(137)의 축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스프링의 일측은 롤러(137)가 구비된 단부에 브라켓(138)이 구비되고, 브라켓(138)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스프링에 의하여 승강부재(131)의 상단이 회전축(193) 쪽으로 당겨진다. 승강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상승시킬 때 승강스프링의 작용으로 승강이 용이해지고, 하강할 때 승강스프링의 작용으로 하강이 부드럽게 되고 빠른 승강이 억제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위치하는 승강부재(131)는 하부부재(120)에 구비되는 하부측방부재(125)에 연결된다. 상기 승강수단(130)을 이루는 하단의 승강부재(131, 제2승강부재라 함)의 하단에는 하부부재(120)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롤러(136)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136) 양측으로 롤러축(134)이 돌출된다. 상기 하부부재(120)에는 상기 롤러축(13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가이드공(121)이 하부부재(12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이격되어 나란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부가이드공(121)은 하부측방부재(125)의 폭 방향 양측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승강부재(131)의 하단은 상기 하부부재(120)에 형성된 장공인 하부가이드공(121)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롤러(136)는 제1하부부재(123)의 상면에 구름 접촉한다.
상기 하부부재(120)에는 상기 제2승강부재(131)에 결합되는 승강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스프링은 일측 단부가 제1하부부재(123)의 중심부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타측은 롤러(136)의 롤러축(134)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스프링의 일측은 롤러(136)가 구비된 단부에 브라켓이 구비되고, 브라켓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승강스프링에 의하여 제2승강부재(131)의 하단이 하부부재(120)의 중심부 쪽으로 당겨진다. 상기 승강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상승시킬 때 승강스프링의 작용으로 승강이 용이해지고, 하강할 때 승강스프링의 작용으로 하강이 부드럽게 되고 빠른 승강이 억제된다.
상기 승강스프링에 의하여 승강수단(130)에 신장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므로 더 많은 외력이 필요한 상승시에 승강스프링력이 더해져 상승이 용이하게 되며, 하강시에는 승강스프링이 신장하면서 하강 운동을 억제하므로 하강이 안정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슬라이더(210)는 작동부(190)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더(210)는 복수의 승강수단(1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슬라이더(210)는 승강수단(130)이 승강하면 상부슬라이더(210)도 함께 신축한다. 상기 상부슬라이더(210)는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하부슬라이드부재(215)와, 중간슬라이드부재(213)와, 기어결합부(2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에는 하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안내돌기(2111)가 구비되고, 상단에 판상인 작동본체결합부(2113)가 구비되어 작동본체결합부(2113)가 작동본체(191)에 결합되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상기 작동본체(19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단면이 원형으로,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에 대하여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215)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215)에는 하부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하부안내돌기(2153)가 구비되고, 내면에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반경 방향 내향 오목한 하부안내홈(2151)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는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하부슬라이드부재(21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는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하부슬라이드부재(215) 사이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는 도 7에서와 같이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에는 하부에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중간안내돌기(2133)가 구비되고, 내면에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반경 방향 내향 오목한 중간안내홈(2131)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안내돌기(2133)는 하부슬라이드부재(215)의 상부에 하부안내홈(2151)에 의해 형성된 하향하는 턱부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의 하부로 위치하는 중간슬라이드부재(213)의 중간안내돌기(2133)는 중간슬라이드부재(213)의 상부에 중간안내홈(2131)에 의해 형성된 하향하는 턱부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작동본체(191)와 함께 회전하므로, 상부슬라이드부재(211)의 하부로 위치하는 중간슬라이드부재(213)의 중간안내홈(2131)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의 제1안내돌기(2111)는 중간슬라이드부재(213)의 상부에 중간안내홈(2131)에 의해 형성된 하향하는 턱부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어결합부(219)는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215)에 구비된다. 상기 기어결합부(219)는 하부슬라이드부재(21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기어결합부(219)에는 인접한 승강부재(131)의 기어축(131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어결합공(2191)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하여 결합되는 양측의 기어축(1312)이 기어결합공(219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더(210)는 상부부재(110)가 하강하면 중간안내돌기(2133)가 하부안내홈(2151)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제1안내돌기(2111)가 중간안내홈(2131)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중간슬라이드부재(213)와 하부슬라이드부재(215)의 상단은 작동본체결합부(2113)에 접하게 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작동본체(191)와 함께 회전하므로 중간슬라이드부재(213)의 내경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에 대하여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중간슬라이드부재(213)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상부슬라이더(210)는 상부부재(110)가 하강하면 중간안내돌기(2133)가 하부안내홈(2151)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중간안내돌기(2133)가 중간안내홈(2131)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제1안내돌기(2111)가 중간안내홈(2131)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중간슬라이드부재(213)와 하부슬라이드부재(215)의 상단은 작동본체결합부(2113)에 접하게 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작동본체(191)와 함께 회전하므로 상부로 위치하는 중간슬라이드부재(213)의 내경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213)에 대하여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슬라이더(210)가 구비됨으로써 승강수단(130)의 내측에서 기어축(1312)에 결합되어 신축하므로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부슬라이더(210)와 하부슬라이더(220)가 구비된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하부부재(120)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상기 상부슬라이더(210)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복수의 승강수단(1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상기 상부슬라이더(210)와 상하 대칭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더(220)에서 상부슬라이드부재(211)는 하부슬라이더(220)에서 하부슬라이드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되고, 상기 상부슬라이더(220)에서 하부슬라이드부재(215)는 하부슬라이더(220)에서 상부슬라이드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승강수단(130)이 승강하면 하부슬라이더(220)도 함께 신축한다.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하부슬라이드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와, 중간슬라이드부재와, 기어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에는 상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안내돌기가 구비된다. 작동부(190)가 하부부재(12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에는 하단에 판상인 작동본체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본체결합부가 작동본체(19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는 단면이 원형으로,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하부슬라이드부재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에는 상부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안내돌기가 구비되고, 내면에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반경 방향 내향 오목한 상부안내홈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는 도 1에서와 같이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에는 하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중간안내돌기가 구비되고, 내면에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반경 방향 내향 오목한 중간안내홈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안내돌기는 상부슬라이드부재의 하부에 상부안내홈에 의해 형성된 상향하는 턱부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의 상부로 위치하는 중간슬라이드부재의 중간안내돌기는 중간슬라이드부재의 하부에 중간안내홈에 의해 형성된 상향하는 턱부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작동부(190)가 하부부재(120)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슬라이드부재는 작동본체(191)와 함께 회전하므로, 하부슬라이드부재의 상부로 위치하는 중간슬라이드부재의 중간안내홈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의 제1안내돌기는 중간슬라이드부재의 하부에 중간안내홈에 의해 형성된 상향하는 턱부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어결합부는 상부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된다. 상기 기어결합부는 상부슬라이드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기어결합부에는 인접한 승강부재(131)의 기어축(131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어결합공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하여 결합되는 양측의 기어축(1312)이 기어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상부부재(110)가 하강하면 중간안내돌기가 상부안내홈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제1안내돌기가 중간안내홈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중간슬라이드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의 하단은 하부부재(120) 또는 작동본체결합부에 접하게 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는 작동본체(191)와 함께 회전하므로 중간슬라이드부재의 내경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하부슬라이드부재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중간슬라이드부재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부슬라이더(220)는 상부부재(110)가 하강하면 중간안내돌기가 상부안내홈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중간안내돌기가 중간안내홈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제1안내돌기가 중간안내홈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중간슬라이드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의 하단은 하부부재(120) 또는 작동본체결합부에 접하게 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재는 작동본체(191)와 함께 회전하므로 상부로 위치하는 중간슬라이드부재의 내경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하부슬라이드부재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슬라이더(220)가 구비됨으로써 승강수단(130)의 내측에서 기어축(1312)에 결합되어 신축하므로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상기 상부부재(110)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상하로 이격된 제1상부부재(113)와 제2상부부재(11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상부부재(11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상기 상부부재(110)에 설치되는 중공의 구동부케이싱(141)과,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웜(도시하지 않음)과 웜휠(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은 상기 상부부재(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웜의 웜축은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웜축(147)은 구동부케이싱(141)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웜축(147)은 동력전달부(160)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동력전달부(160)의 전달부출력축(165)에 구비된 연결부재(167)에 결합된다. 상기 웜축(147)은 상기 연결부재(167)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웜축(147)에는 동력전달부(160) 대신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웜휠의 축은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웜휠의 축은 출력축이 된다. 상기 웜휠의 축은 하향 돌출되어 작동부(190)의 작동본체(191)에 결합된다. 상기 웜휠의 축은 작동본체(191)의 회전축(19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작동본체(191)의 회전축(193)이 된다.
상기 작동부(190)는 상기 승강구동부(140)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승강수단(130)을 작동시킨다. 상기 작동부(190)는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수단(130)을 신축시킨다. 상기 작동부(190)는 상기 웜휠의 축에 결합되어 웜휠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웜휠의 축이 작동부(190)의 회전축(193)이 된다. 상기 회전축(193)은 상기 제2상부부재(115)를 지나 하향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90)는 상기 웜휠의 축에 결합된 회전축(193)과, 작동본체(191)와, 작동부재(1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상기 상부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상기 승강구동부(140)의 웜휠(145)의 축에 결합되어 승강구동부(14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93)을 가지며 상기 상부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제2상부부재(115)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상기 상부측방부재(117) 사이에서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상기 작동본체(191)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 승강수단(130)의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19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부재(1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19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1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191)에 힌지부(197)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1승강부재(131)의 롤러축(132)에 결합된 브라켓(138)에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 승강수단(130)의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본체(191)가 회전하여 작동부재(195)를 통하여 승강부재(131)로 외력이 전달되어 제1승강부재(131)가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외측으로 밀려 신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본체(19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37, 136)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부재(110)가 하강하고, 작동본체(19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37, 136)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부재(110)가 승강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60)는 상부부재(110)의 상하로 이격된 제1상부부재(113)와 제2상부부재(1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60)는 제1상부부재(113)와 제2상부부재(115) 사이의 공간에 승강구동부(14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60)는 상기 승강구동부(140)의 웜축(147)에 연결부재(167)로 연결되어 웜축(147)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60)는 상기 상부부재(110)에 설치되는 전달부케이싱(161)과 상기 전달부케이싱(16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어부(162; 예, 베벨기어 쌍)를 포함한다.
기어부(162)의 입력축인 전달부입력축(163)은 상부부재(1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출력축인 전달부출력축(165)은 연결부재(167)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67)의 일측은 상기 전달부출력축(16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웜축(147)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부입력축(163)에 도 2에 도시한 핸들바(100-1)를 결합시켜 핸들(도시하지 않음)을 돌리면, 연결부재(167)를 통하여 승강구동부(140)가 구동되고 작동부(190)의 회전 운동으로 외력이 승강수단(130)으로 전달되어 승강수단(130)이 신축된다.
상기 승강구동부(140)와 작동부(190)는 상기 하부부재(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40)와 작동부(190)가 하부부재(12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160) 대신 모터가 상기 승강구동부(140)를 구동한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하부부재(12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190)는 승강구동부(140)의 상부로 설치된다. 상기 하부부재(120)에는 상기 승강구동부(140)의 상부로 판상의 판재가 더 구비되어 작동부(190)는 판재의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상하로 이격된 하부부재(120)와 판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하부부재(12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상기 하부부재(120)에 설치되는 중공의 구동부케이싱(141)과,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웜(도시하지 않음)과 웜휠(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은 상기 하부부재(1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웜의 웜축은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웜축(147)은 구동부케이싱(141)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웜축(147)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웜휠의 축은 상기 구동부케이싱(141)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웜휠의 축은 출력축이 된다. 상기 웜휠의 축은 상향 돌출되어 작동부(190)의 작동본체(191)에 결합된다. 상기 웜휠의 축은 작동본체(191)의 회전축(19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작동본체(191)의 회전축(193)이 된다.
상기 작동부(190)는 상기 승강구동부(140)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승강수단(130)을 작동시킨다. 상기 작동부(190)는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수단(130)을 신축시킨다. 상기 작동부(190)는 상기 웜휠의 축에 결합되어 웜휠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웜휠의 축이 회전축(193)이 된다. 상기 회전축(193)은 상기 판재를 지나 상향 돌출된다.
상기 작동부(190)는 상기 웜휠의 축에 결합된 회전축(193)과, 작동본체(191)와, 작동부재(1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상기 하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상기 승강구동부(140)의 웜휠(145)의 축에 결합되어 승강구동부(14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93)을 가지며 상기 하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판재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작동본체(191)는 상기 하부측방부재(125) 사이에서 상기 하부부재(120)의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상기 작동본체(191)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 승강수단(130)의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19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부재(1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19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191)에 힌지부(197)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승강부재(131)의 롤러축(134)에 결합된 브라켓에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95)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 승강수단(130)의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본체(191)가 회전하여 작동부재(195)를 통하여 승강부재(131)로 외력이 전달되어 제2승강부재(131)가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외측으로 밀려 신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하부부재(120)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복수개이며 하부부재(120)의 각 모서리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하향 오목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7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부재(171)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171)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이다. 상기 받침부재(17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부(170)에 체결되며, 상기 받침부재(171)가 풀림 및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며 받침부재(171)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승강식 작업대(100)에는 일측으로 발판(1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101)은 상기 상부부재(110)의 일측에 난간(100-2) 외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발판(101)은 난간(100-2)에 출입구가 형성된 쪽으로 위치된다.
상기 발판(101)은 상부부재(110)로부터 하향 연장된 판상인 수직부(1013)와, 상기 수직부(1013)의 하단에 힌지로 연결된 판상인 수평부(1011)와, 상기 수평부(1011)와 수직부(1013)의 폭 방향 양측에서 일측이 수평부(10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직부(1013)에 연결된 사이드부(10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부(1015)는 2개의 바(bar)로 이루어지며, 2개의 바는 일측 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각각 수평부(1011)와 수직부(1013)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발판(101)은 수평부(1011), 수직부(1013), 사이드부(1015)의 각 연결부가 힌지로 연결되어 발판(101)을 사용할 때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평부(1011)를 상향 회전시켜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100: 승강식 작업대
110: 상부부재 120: 하부부재
130: 승강수단 140: 승강구동부
160: 동력전달부 170: 지지부
180: 휠 190: 작동부
210: 상부슬라이더 220: 하부슬라이더

Claims (6)

  1. 상부부재(110)와,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부부재(120)와, 상기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며 복수의 승강부재(131)로 이루어진 승강수단(130)과, 상기 상부부재(110) 또는 하부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승강구동부(140)와, 상기 승강구동부(140)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승강수단(130)을 작동시키는 작동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승강부재(131)는 서로 기어 치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30)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190)는 회전하면서 승강수단(130)을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30)을 이루는 상부의 승강부재(131)의 상단은 상부부재(110)의 하부에서 작동부(19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측방부재(117)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인 상부가이드공(111)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의 승강부재(131)의 하단은 하부부재(120)의 상부에서 작동부(19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측방부재(125)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인 하부가이드공(121)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190)는 승강구동부(14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93)을 가지며 상부부재(110) 또는 하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본체(191)와, 일단은 상기 작동본체(19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부재(110)나 하부부재(1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부재(195)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재(195)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 승강수단(130)의 승강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본체(191)가 회전하여 작동부재(195)를 통하여 승강부재(131)로 외력이 전달되어 승강부재(131)가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외측으로 밀려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30)은 작동본체(191)의 주위로 방사상의 위치에 등간격으로 3개 또는 4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100).
  5. 제1 항에 있어서, 브라켓공(1331)이 형성된 기어브라켓(1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브라켓(133)은 서로 이웃하여 기어(1311) 치합으로 구비되는 승강부재(131)의 결합부에 양측 승강부재(131)의 기어축(1312)이 각각 브라켓공(13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100).
  6. 제3 항에 있어서, 상부슬라이더(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슬라이더(210)는 하부에 제1안내돌기(2111)가 구비되며 상단이 작동본체(191)에 결합된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기어결합부(219)가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하부안내홈(2151)이 형성된 하부슬라이드부재(215)와, 상기 상부슬라이드부재(211)와 하부슬라이드부재(215) 사이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중간안내홈(2131)이 형성되고 하부에 중간안내돌기(2133)가 구비된 중간슬라이드부재(213)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결합부(219)에는 인접한 승강부재(131)의 기어축(131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어결합공(2191)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하여 결합되는 양측의 기어축(1312)이 기어결합공(219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100).
KR1020220061161A 2022-05-19 2022-05-19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KR20230161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161A KR20230161598A (ko) 2022-05-19 2022-05-19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161A KR20230161598A (ko) 2022-05-19 2022-05-19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598A true KR20230161598A (ko) 2023-11-28

Family

ID=8895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161A KR20230161598A (ko) 2022-05-19 2022-05-19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5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536A (ko) 2008-10-31 2010-05-11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536A (ko) 2008-10-31 2010-05-11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426B1 (en) Dual-mast self-elevating platform construction
JP4723538B2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US7581714B2 (en) Device for handling a structure that is being lifted or lowered
WO2021249389A1 (zh) 升降装置及抹灰设备
EP0256015B1 (en) Tray loader apparatus
ES2966104T3 (es) Cabina de ascensor con plataforma de trabajo plegable
JPS582160B2 (ja) リフトソウチ
KR20230161598A (ko)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승강식 작업대
EP1889806B1 (en) Load hoist for confined spaces
JP2017128918A (ja) 昇降扉構造
KR20230161599A (ko) 승강식 작업대
JP6469439B2 (ja) ホーム柵
JP3833204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301653B2 (ja)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KR102379085B1 (ko) 건축물용 베란다 안전 난간
JP2004182362A (ja) エレベータ
US11993485B2 (en) Lifting device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and method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JP3833203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15112674A (ja) 昇降ガイド、昇降装置、これを備えた搬送装置
KR100337379B1 (ko)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CN115259029B (zh) 一种新型建筑施工现场升降装置
WO1993004973A1 (en) Balancing device for raising a boom assembly and a method of retrofitting a balancing device
RU2390490C2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ничен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KR20120109904A (ko) 리프터
KR102017536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