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099B1 -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 Google Patents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099B1
KR100571099B1 KR1020030101262A KR20030101262A KR100571099B1 KR 100571099 B1 KR100571099 B1 KR 100571099B1 KR 1020030101262 A KR1020030101262 A KR 1020030101262A KR 20030101262 A KR20030101262 A KR 20030101262A KR 100571099 B1 KR100571099 B1 KR 10057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lift
fixed
whee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9296A (ko
Inventor
정이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03010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0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28Folding railings for flat roof edge, e.g. to hide the railings from view when not in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부분에 안전망을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프트(10)가 하부에 있거나 또는 상부에 있을 때 펼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리프트(10)가 상부로 이동할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안전망(30)이 접히게 되는데 이때 리프트(10)의 일측에 고정된 경사부재(23)의 경사면(21)이 이동조정수단(40)의 바퀴(41)에 접촉되면서 경사면(21)을 따라 바퀴(41)가 올라가게 되므로 이동조정수단(40)의 제1이동부(44)를 밀게되어 제2이동부(43)를 통하여 중심축(46)에 고정된 조정축(45)이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정축(45) 끝단부에 고정된 안전망(30)의 작동축(32)이 이동하면서 가이드레일바퀴(31)가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이동하므로 안전망(30)이 접혀지게 되는 한편, 리프트(10)가 통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원리에 의해 다시 안전망(30)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안전망, 리프트, 낙하물, 바퀴, 기계식, 전자식

Description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A lift safety-net structure double use a machine or a motor}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망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조정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조정수단이 리프트에 의해 동작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리프트 20:수직지지대
21,22:경사면 23:경사부재
30:안전망 31:가이드레일바퀴
32:작동축 33:경첩
40:이동조정수단 41,42:바퀴
60:가이드레일
본 발명은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프트부분에 안전망을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공사장에는 안전망을 병렬로 설치하여 공사중인 건물로부터 낙하할 수 있는 물건(또는 인부)이 공사장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망에 있어서는, 공사중인 건물쪽에는 모두 안전망을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인부들을 싣고 왕래하는 리프트의 하부에는 이러한 안전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리프트로부터 인부들이 떨어지는 등의 사고 발생시 인부들을 보호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리프트의 하부에 안전망이 설치되어 있다가 리프트가 상하로 이동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안전망이 접혀져 리프트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리프트가 이동한 후에는 다시 안전망이 원래의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를 통하여 리프트가 이동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가 지나갈 때에는 접혀지고 지나간 후에는 다시 펴지도록 접철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가진 안전망과, 상기 수직지지 대쪽의 리프트 일측에 고정되며 상하 양측으로 경사면을 가진 경사부재와, 상기 안전망의 일측에 조정축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조정축의 타측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반되게 동작하는 제1,제2이동부를 가지며, 상기 제1이동부의 끝단에는 상기 리프트 이동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가진 이동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망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안전망 이동조정수단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리프트와 이동수단의 상호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0)가 수직지지대(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의 일측에 경사면(21)(22)을 가진 경사부재(23)가 고정되고,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소정위치에는 안전망(30)이 설치되며, 상기 안전망(30)의 일측에는 이 안전망(30)을 조정하기 위한 이동조정수단(40)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안전망(30)은 경첩(33)을 중심으로 접히도록 구성되며, 하부에는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레일바퀴(31)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이동조정수단(40)의 조정축(45)과 연결되는 작동축(32)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조정수단(40)은 양측으로 상기 바퀴(41)(42)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41)(42)에 각각 제1이동부(44)(48), 제2이동부(43)(47)가 설치되며, 상기 제2이 동부(43)(47)의 중심에는 중심축(46)이 고정되며 이 중심축(46)에 조정축(45)이 상기 제1, 제2이동부와 상반되게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단, 도면중 미설명 부호 44A, 48A는 직선 베어링, 43A, 47A는 베어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전망(30)은 리프트(10)가 지나 다니는 수직지지대(2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0)가 하부에 있거나 또는 상부에 있을 때 펼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만일, 리프트(10)가 이동할 경우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안전망(30)의 하부에 있던 리프트(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할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안전망(30)이 접히게 된다.
이는 리프트(10)가 이동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0)의 일측에 고정된 경사부재(23)의 경사면(21)이 이동조정수단(40)의 바퀴(41)에 접촉 된다.
따라서, 경사면(21)을 따라 바퀴(41)가 올라가면서 이동조정수단(40)의 제1이동부(44)를 화살표방향으로 밀게되므로 제2이동부(43)를 통하여 중심축(46)에 고정된 조정축(45)이 도 3에서 볼 때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정축(45)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 조정축(45) 끝단부에 고정된 안전망(30)하부의 작동축(32)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바퀴(31)가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이동하므로 안전망(30)이 접혀지게 되며, 상기 작동축(32)에는 고정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다.
즉, 리프트(10)가 수직지지대(20)를 따라 이동하여 안전망(30)부근에 오게 되면 자동적으로 이동조정수단(40)이 동작하여 안전망(30)이 접혀지도록 조정하므로 리프트(10)가 안전망(30)옆부분을 통과하면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리프트(10)가 안전망(30)부근을 지나가게 되면, 반대편 경사면(21)을 따라 바퀴(41)(42)가 내려오므로 이번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조정수단(40)이 동작하여 조정축(45)이 도 4에서 볼 때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조정축(45)과 연결된 안전망(30)이 다시 펼쳐져 안전망(30)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식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전기가 오프될 경우 기계식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리프트가 안전망부근에 도착하면 자동적으로 안전망이 접혀졌다가 리프트가 지나가면 다시 안전망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리프트로부터 물건이 낙하하거나 혹 인부들이 떨어질 경우에도 안전망을 통하여 안전하게 막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직지지대를 통하여 리프트가 이동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가 지나갈 때에는 접혀지고 지나간 후에는 다시 펴지도록 경첩을 중심으로 접철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부에 는 작동축과 가이드레일바퀴가 설치된 안전망과,
    상기 수직지지대쪽의 리프트 일측에 고정되며 상하 양측으로 경사면을 가진 경사부재와,
    상기 안전망의 작동축에 조정축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조정축의 타측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반되게 동작하는 제1,제2이동부를 가지며, 상기 제1이동부의 끝단에는 상기 리프트 이동시 경사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가진 이동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KR1020030101262A 2003-12-31 2003-12-31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KR10057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262A KR100571099B1 (ko) 2003-12-31 2003-12-31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262A KR100571099B1 (ko) 2003-12-31 2003-12-31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296A KR20050069296A (ko) 2005-07-05
KR100571099B1 true KR100571099B1 (ko) 2006-04-24

Family

ID=3725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262A KR100571099B1 (ko) 2003-12-31 2003-12-31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80B1 (ko) * 2005-07-12 2007-06-18 이정호 안전망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승강기 안전 장치
CN103276914B (zh) * 2013-06-13 2015-09-30 安徽四建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内含钢管的安全防护棚盖
CN111576900A (zh) * 2020-04-23 2020-08-25 张达芬 一种用于建筑施工的安全防护装置
CN112185060B (zh) * 2020-09-29 2022-03-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塔上作业的限高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296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1280A (en) Bi-elevational platform lift
CN101137571B (zh) 电梯检查安全装置
KR101326794B1 (ko) 고소작업대용 대차
JP2005170572A (ja) 昇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昇降ベッド
KR100571099B1 (ko) 기계식/전동식 겸용 리프트 안전망 구조
JP2009143676A (ja) 転倒防止装置
JP4576283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2164305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0197360Y1 (ko)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JPH01281281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さく
KR200175450Y1 (ko) 차량 차단기
JP6724111B2 (ja) 屋上用目地カバー装置
JPH04292386A (ja) 油圧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柵
JPH06146760A (ja) 折り畳み式梯子
KR100561709B1 (ko) 교량 상판 하부받침장치 안전점검시설
KR200197361Y1 (ko) 이중교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JP5180532B2 (ja) 伸縮門扉
JP2019194048A (ja) ホームドア
JPH0423912Y2 (ko)
KR102523780B1 (ko)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접이식 계단 난간
JP5962474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柵
JP2587769B2 (ja) 車両用点検作業装置
KR100342235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고소작업대
JPS61286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