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911B1 -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911B1
KR102378911B1 KR1020200104628A KR20200104628A KR102378911B1 KR 102378911 B1 KR102378911 B1 KR 102378911B1 KR 1020200104628 A KR1020200104628 A KR 1020200104628A KR 20200104628 A KR20200104628 A KR 20200104628A KR 102378911 B1 KR102378911 B1 KR 10237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nimal
user
service providing
veterinary hos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104A (ko
Inventor
정혜경
박애진
박성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9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종합동물의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예측부, 건강 상태 진단 예측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 접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리스트 생성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고,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전송하는 대기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REHENSIVE ANIMAL SERVICE}
본원은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애완동물을 부양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핵가족화나 1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애완동물 부양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동물의 경우는 인간과 감정 등이 공유되어 깊은 애착관계가 형성되는바 반려동물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반려동물을 뜻하는 '펫(Pet)'과 가족을 의미하는 '패밀리(Family)'가 합쳐진 '펫팸족', 반려동물 관련시장 성장세를 반영한 '펫코노미(Pet+Economy)'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이러한 결과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시장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개와 고양이 이외에도 소동물(기니피그, 햄스터, 종류, 파충류 등) 같은 동물들이 있다. 이들은 소위 특수동물이라고 불린다. 집 근처에 동물병원이 있어도 특수동물 진료를 하지 않아 불편을 겪는다. 위급한 상황에도 병원을 찾아보고 전화해봐야 진료가 가능한지 알아보는 상황이 허다한 것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5396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수동물 전문의와 원격 상담을 통해 빠르게 상담할 수 있고, 특수동물이 위치한 거리 내에 가까운 특수동물병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종합동물의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고, 건강 상태 진단 예측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 접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리스트 생성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고,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전송하는 대기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는, 상기 동물병원 단말과 연계된 동물병원에 기접수된 대기 동물의 수 정보 및 상기 대기 동물 각각의 진료 유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 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부는, 복수의 증상 목록 및 진료 이력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구축된 인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 진료 접수를 요청하고,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상기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접수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종합동물의 유형을 고려하여 차량호출이 가능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교통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교통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호출을 수행하는 차량 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리스트 생성부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동물병원 후기 정보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가 포함된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에 따른 연산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병원 중 의약품 처방 정보를 인증하는 동물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수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동물병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의약품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의약품 처방 정보가 제공된 약국 단말이 위치하는 약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는, 생성된 상기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약 배달 서비스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종합동물의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단계, 건강 상태 진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 접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 진료 접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상기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종합동물의 유형을 고려하여 차량호출이 가능한 교통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호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병원 중 의약품 처방 정보를 인증하는 동물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병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의약품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하여 특수한 동물을 포함하는 종합 동물의 진료가 가능한 동물 병원 정보를 제공하여 특수한 동물을 기르는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특수동물 병원 리스트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픽업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는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의 편의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종합동물 서비스 관리 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서비스 제공 장치(10)라 하기로 한다. 한편, 종합동물 서비스 관리 장치(1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종합동물은 모든 종류의 동물을 통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강아지, 고양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언급되는 특수동물은 거북이, 토끼, 햄스터, 파충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은 반려자(양육자)가 반려(양육)하고 있는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반려동물(종합동물)의 거북이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는 반려동물(종합동물)을 키우는 반려자(양육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서비스 제공 장치(10), 사용자 단말(20), 동물병원 단말(30), 약국 단말(40) 및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외부 서버(미도시)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외부 서버(미도시)는 기상청 및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되, 특수동물 진료가 가능한 종합 동물병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특수동물 진료가 가능한 종합 동물의 전문의와 1:1 상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특수동물의 종류(유형)에 따라 카테고리화하여 커뮤니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가 키우고 있는 특수동물의 진료가 가능한 동물 병원을 우선하여 추천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동물병원 추천 및 제공시 진료 목적, 진료 대기중인 동물의 수 등에 따른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여 대기 현황 정보와 함께 예상 소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동물 병원뿐만 아니라 동물 의약품의 제조가 가능한 약국 리스트, 약국 대기 시간, 약국 선택 가능 및 처방전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동물 병원뿐만 아니라 동물 의약품의 제조가 가능한 약국의 리스트, 약국 대기 시간, 동물병원에서 작성한 처방전 내용을 약국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특수동물의 진료 후 2차 치료, 예방 가능 방법, 재활 치료소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의 선호도, 사는 지역, 동물관련 소비 패턴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종합동물 관련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고, 복수의 종합동물 콘텐츠의 가중치를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 사용자 단말(20), 동물병원 단말(30), 약국 단말(40),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 및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 상호간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 동물병원 단말(30), 약국 단말(40),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 및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원에서의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임의의 사용자(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의 회원)에게 특수동물을 포함하는 종합동물의 치료가 가능한 동물병원 및 약국 정보를 추천 및 제공하고, 종합동물 동반 탑승이 가능한 자동차 정보를 제공하며, 병원, 약국, 차량에 대한 예약 등의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종합동물과 함께 이용 가능한 콘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 동물병원 단말(30), 약국 단말(40),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 및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과 데이터, 콘텐츠, 각종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서버, 단말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 관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20), 동물병원 단말(30), 약국 단말(40),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 및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가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종합동물 관련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종합동물 관련 콘텐츠의 서비스를 링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과 동반 가능한 숙박 업소 예약 콘텐츠 이용 시 구매대행 서비스를 링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 관련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종합동물을 사육(소유)하는 보호자에 해당하는 주체가 보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종합동물 서비스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 종합동물 서비스 관련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종합동물 서비스 관련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복수의 설문 항목을 제공받아 출력하고, 복수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의 입력 정보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병원 단말(30)은 동물병원에 방문한 복수의 종합동물의 식별 정보, 진료 정보 등을 보유하여 통합 관리하고, 소정의 종합동물에 대한 진료 접수 및 진료 예약 절차 등을 처리하기 위해 동물병원 측이 보유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국 단말(40)은 종합동물의 의약품을 취급하는 약국에 방문한 복수의 종합동물의 식별 정보, 진료 정보, 처방전 정보 등을 보유하여 통합 관리하고, 소정의 종합동물에 대한 처방전 접수 절차 등을 처리하기 위해 약국 측이 보유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은 종합동물이 동반 탑승이 가능한 렌터카, 택시 등의 업체가 보유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로 종합동물 관련 자동차 예약 관련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자동차 예약 정보를 제공받고, 차량 호출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종합동물 관련 콘텐츠는, 메인 콘텐츠, 전문의와의 상담 콘텐츠, 병원 찾기 콘텐츠, 지도, 콘텐츠, 커뮤니티 콘텐츠, 마이페이지 콘텐츠, 회원가입 콘텐츠, 숙소 예약 콘텐츠, 여행 용품 키트 판매 콘텐츠, 반려견 유모차 대여 콘텐츠, 여행지 추천 콘텐츠, 차량 예약 콘텐츠, 채팅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전문의와의 상담 콘텐츠는, 자신의 반려동물(종합동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특수전문의 또는 인공지능 특수전문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반려동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특수동물 전문의와의 상담 인터페이스, 게시글 인터페이스, 해당 전문의 병원 위치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찾기 콘텐츠는, 특수동물(종합동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 기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서부터 가까운 거리순으로 나열된 동물병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선택된 동물 병원 전문의와의 상담 인터페이스, 동물병원 진료 시간, 후기, 예약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콘텐츠는, 동물병원 검색(찾기) 인터페이스,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 기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서 동물병원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 인터페이스, 콜 서비스 인터페이스, 지도 안내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콘텐츠는, 종합동물과 관련된 실시간 인기글(게시물)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특수동물 종합키트(예를 들어, 사료, 장난감)와 관련된 사용 후기 인터페이스, 선택한 특수동물에 관한 게시글, 게시글에 관련된 좋아요, 댓글 태그 정보, 스크랩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페이지 콘텐츠는, 자신의 반려동물 정보, 병원 예약 수정 항목, 전문의(수의사)와의 상담 및 콜 서비스 내역 확인 항목, 과거 진료 기록, 내가 쓴 글, 스크랩, 좋아요 보기 항목, 자주가는 병원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가입 콘텐츠는, 반려인 이름(별명), 나이, 연동계정,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의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의 건강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복수의 증상 목록을 포함하는 설문 항목을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증상 목록 항목은, 안구질환, 신경성 질병, 대사성질환, 종 특이적 질병, 근육 및 뼈 질환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 종합동물의 건강 이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복수의 증상 목록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응답인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집되는 건강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집되는 건강상태 정보는, 체온, 혈압, 심박수, 맥박, 심전도, 호흡량, 혈중 농도, 병원 방문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병원 방문 이력은, 반려동물이 방문한 방문 일시 별로 분류(구획)되며, 각각의 병원 방문 이력에는 해당 동물병원 이름, 동물 병원 위치(주소), 영업 여부 정보, 의사 정보, 진료 정보, 처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는 동물의 몸통(예를 들어, 목)에 착용되어,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예로,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는 메인 유닛 및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닛(미도시)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닛(미도시)은 동물을 식별하기 위한 동물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동물의 식별 정보는, 애완동물 등록번호, 소유자 이름, 소유자 연락처, 소유자 주소, 동물명, 모색, 품종, 생년월일, 성별, 중성화 여부, 소유자 단말 식별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미도시)는 메인 유닛(미도시)로부터 확장되고, 양 끝단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메인 유닛(미도시)이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닛(미도시)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LED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LED부(미도시)는 특정 상황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은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할 수 있다. LED부(미도시)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LED부(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미도시)는 동물의 생체 정보에 이상 정보가 포함된 경우, LED부(미도시)에서 제1광원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물의 생체 정보는, 심박수 정보, 호흡량 정보, 혈압 정보, 맥박 정보, 체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생체 정보에 이상 정보에 예를 들어, 최대 심박수 이상의 심박수 정보, 최저 심박수 이하의 심박수 정보 등이 포함된 경우 제1광원(예를 들어, 오렌지 불빛의 광원)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동물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이상정보(예를 들어, 심박수, 호흡량, 생체 온도 등)의 이상이 있을 경우 LED부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빠르게 반려동물을 병원으로 데려가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복수의 센서는, 동물의 생체 정보 및 동물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가속도 센서, G-센서, 3축 가속도 센서, 로드셀, 6축 모션센서, 근전도 센서, 온도 센서, 광학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는, 심박수 정보, 호흡량 정보, 혈압 정보, 맥박 정보, 체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애완동물 등록번호, 소유자 이름, 소유자 연락처, 소유자 주소, 동물명, 모색, 품종, 생년월일, 성별, 중성화 여부, 소유자 단말 식별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는, 동물의 이동거리, 수면주기, 활동량, 운동량, 수면시간, 소모 칼로리 등을 측정(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은 반려동물의 사진, 이름, 반려동물의 종류, 성별, 중성화 여부, 생년월일, 몸무게, 반려동물 품종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한 응답인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반려동물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한 응답으로 이름: 뽀삐, 반려동물 종류: 강아지, 성별: 암컷, 중성화 여부: 예, 생년월일: 2020년 01월 02일, 몸무게: 3kg, 반려동물 품종: 믹스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의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초)으로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집된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ID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 사용자 정보,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의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함으로써,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집되는 상태 정보의 분석 결과 건강 이상 정보가 나타난 경우, 보다 빠르게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에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적용하여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증상 목록 및 진료 이력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구축된 인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에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적용하여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복수의 증상 목록 중 콧물, 기침, 미열에 대응하는 항목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학습 모델에 사용자의 입력 정보인 콧물, 기침, 미열에 대응하는 항목을 적용하여 종합동물(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예를 들어, 감기)를 예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학습모델은 비지도 학습 기반의 군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축된 학습 모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증상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증상에 대응하여 수의사가 진단한 진료 이력 정보의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종합동물의 증상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가 종합동물(반려동물)과 같이 동물병원에 방문하기 이전에 증상을 제공받아 인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수의사가 진단하기 이전에 종합동물(반려동물)의 건강이상 상태를 예측함으로써, 해당 질병에 적합한 수의사 또는 동물병원을 추천할 수 있다.
비지도 학습이란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자체를 분석하거나 군집하면서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군집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정보 및 활동 정보 예측 결과와 복수의 질환 목록 중 어느 하나로 진단한 진단 결과를 군집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비지도 학습을 위한 군집 알고리즘에는 로지스틱 회귀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알고리즘, 의사결정 알고리즘 및 군집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상술한 알고리즘 외에도 Extra Tree알고리즘, XG Boost알고리즘 및 Deep Learning 알고리즘,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SOM(Self-Organizing-Maps) 알고리즘 EM & Canopy 알고리즘과 같은 군집 알고리즘을 통해 비지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Random Forest알고리즘은 수많은 Decision Tree들이 Forest를 구성하여 각각의 예측결과를 하나의 결과변수로 평균화하는 알고리즘이고, SVM알고리즘은 데이터의 분포공간에서 가장 큰 폭의 경계를 구분하여 데이터가 속하는 분류를 판단하는 비확률적 알고리즘이다. Extra Tree알고리즘은 Random forest와 비슷하나 속도가 Random forest에 비해 빠른 알고리즘이며, XGBoost알고리즘은 Random Forest의 Tree는 독립적이라면 XGBoost의 Tree의 결과를 다음 트리에 적용하는 boost방식의 알고리즘이다. Deep Learning 알고리즘은 다층구조의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변수의 패턴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가중치로 조절하며 학습하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전통적인 분류기법으로 대상집단을 거리의 평균값(유사도)을 기준으로 K 개의 군집으로 반복 세분화하는 기법이고, SOM알고리즘은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훈련집합의 입력 패턴을 가중치로 학습하여 군집화하는 기법이다. 또한, EMI & Canopy 알고리즘은 주어진 초기값으로 가능성이 최대인 것부터 반복 과정을 통해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여 군집화 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획득되는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호흡, 맥박, 체온 등) 및 병원 방문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1반려동물의 경우 병원 방문 이력 정보에는 건강 이상에 문제가 없었으나,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획득되는 반려동물의 복수의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양호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2반려동물의 경우 병원 방문 이력 정보에 선천적으로 심장이 약하다는 의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획득되는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 중 심박수 정보의 기준을 달리하여 제2반려동물의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반려동물의 건강 이력 정보 및 현재 건강 상태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학습 모델은 딥 러닝 신경망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체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특수동물 병원 리스트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는,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유형,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물병원의 운영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식별 정보에 포함된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유형 정보를 고려하여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종합동물(반려동물)이 치료 가능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유형 정보로서 거북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거북이가 치료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병원 즉, 거북이를 치료할 수 있는 수의사가 존재하는 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유형 정보만을 고려하여 제1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는, 종합동물(반려동물)을 치료할 수 있는 동물 병원 및 종합동물(반려동물)에 필요한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는 약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는, 동물병원 및 약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유형 정보만을 고려하여 생성된 제1동물병원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됨 범위에 포함된 동물병원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제2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1차적으로,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유형 정보만을 고려하여 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하고, 2차적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차로 1시간 이내에 이동 가능한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동물병원 후기 정보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가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에 따른 연산 결과에 기반하여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은 평점, 좋아요 수, 리뷰 수,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의 정보, 성별, 나이, 사는 곳, 사용자 선호 취향 항목, 종합동물 식별 정보(예를 들어, 종류, 품종, 성향, 성별, 나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평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종합동물 식별 정보에 제1가중치를 부여하고, 사는 곳에 제2가중치를 부여하고,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의 정보에 제3가중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종합동물 식별 정보에 제1가중치를 부여하고, 사는 곳에 제2가중치를 부여하고,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의 정보에 제3가중치를 부여하여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가 가중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항목에 대응하는 동물병원 후기 정보에 점수를 부여하고 총합이 가장 높은 동물병원에 우선하여 3차적으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을 이용한 사용자가 작성한 이용 후기 정보(텍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리뷰 정보(후기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분석하고, 특정 키워드를 도출하여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와 연계된 항목을 수치화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리뷰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로부터 체언(명사)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키워드(단어)의 매칭을 통해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와 관련한 항목을 수치화하고,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기존에 수집된 리뷰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구축된 학습모델에 신규 리뷰 정보(이용 후기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모델은 딥 러닝 신경망 기반으로 구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체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1동물병원에 대한 후기 정보(리뷰 정보)를 분석하여 제1동물병원을 평가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1동물병원에 대한 후기 정보(리뷰 정보)에 기재된 텍스트 분석 결과와 후기 사전에 포함된 키워드(단어)의 매칭을 통해 해당 동물병원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기 사전에는 복수의 좋은 후기 텍스트 및 복수의 나쁜 후기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좋은 후기 텍스트는 좋아요, 또 이용하고 싶어요, 친절해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나쁜 후기는 다신 오고 싶지 않아요. 불친절해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제1동물병원에 게시한 후기 글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좋은 후기 텍스트에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를 연산하고, 점수가 가장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타 사용자가 해당 동물병원을 이용한 이후 남긴 이용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고려하여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신뢰성이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반려동물)의 유형을 기반으로 제1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동물병원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제2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동물병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정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생성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물병원 및 약국 정보 중 예약을 수행할 어느 하나의 동물병원 또는 약국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또는 약국을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동물병원 단말(30) 또는 약국 단말(40)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도 2의 (b)와 같이 지도(맵) 상에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지도(맵) 상에 표시된 동물병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동물병원 단말(30)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 접수 현황 정보는, 동물 병원 단말(30)과 연계된 동물병원에 기접수된 반려동물의 수 정보 및 동물 병원 단말(30)과 연계된 동물병원 대기 반려동물 각각의 진료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진료 유형 정보는, 해당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 질병 이력 정보, 기 방문 이력 정보, 해당 반려동물에 대한 진료 접수 시 제공된 상세 증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의 진료 유형 정보는 후술하는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생성시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거나 생성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에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단말(30)로부터 수신된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이 수신되면, 동물병원 단말(30)로 진료를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진료 희망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진료 희망 시간 및 진료 접수 요청 정보를 동물병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기 반려동물들의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반려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기 반려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의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대기 반려동물로부터 수집된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하고, 나아가 대기 반려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의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딥 러닝(Deep Learning) 등의 인공 지능 기반의 학습을 통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은 복수의 대기자(환자)로부터 수집된 진료 유형 정보를 학습 데이터(학습 파라미터)로 하고, 해당 복수의 대기자(환자) 각각에 대하여 수집된 실제 진료 소요 시간 정보를 라벨(Label) 데이터로 하는 지도 학습 기반의 학습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은 데이터에 대한 명시적인 정답 정보인 라벨(Label)이 주어진 상태에서 학습시키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지도 학습 알고리즘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상 대기 시간은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반려 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기 반려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단말(3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가 수신되면,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료 접수 요청은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 및 상세 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진료 접수 요청은,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집된 건강상태 정보 및 반려동물의 건강 이상 예측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진료 접수 요청을 동물병원 단말(30)로 전송할 때,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기 확보된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기 확보된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를 동물병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진료 접수 요청 시 기 확보된 반려동물의 식별 정보의 동물병원 단말(30)에 대한 전송 여부는 사용자 단말(20)에 인가되는 기존 반려동물 식별 정보 활용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동물병원 단말(3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요청된 진료 접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진료 접수를 처리하고,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단말(30)로부터 사용자의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동물병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가 동물병원에 직접 방문하기 이전에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병원에 실제로 도착하기 전 진료 접수를 원격에서 미리 처리할 수 있는 접수 스마트 오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동물병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의약품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약국 단말(40)은 반려동물을 위한 의약품을 취급하는 약국의 단말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에 가지 않고 복용약 또는 바르는 약 등으로 반려동물의 치료가 가능할 경우, 동물병원 단말(30)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동물병원 단말(30)은 해당 반려동물의 의약품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의약품 처방 정보가 제공된 약국 단말(40)이 위치하는 약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은 배달 업체 단말일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픽업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종합동물의 유형을 고려하여 차량호출이 가능한 교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종합동물의 유형은 종합동물의 종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의 크기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을 대형차, 중형차, 소형차 중 종합동물(반려동물)이 탑승 가능한 차량이 포함되도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동물병원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호출이 가능한 교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로부터 반려동물과 승차 가능한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물병원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호출이 가능한 교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은 택시, 렌터카(예를 들어, 타다)와 같은 교통을 제공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차량을 우선하여 교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반려동물의 유형에 기반하여 차량 호출이 가능한 교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행중인 반려동물이 대형견인 경우, 소형차에 탑승하기 어렵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반려동물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여, 반려동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중형차, 대형차 등의 차량 호출이 가능한 교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동물병원의 위치 정보, 차량 정보, 반려동물 정보를 고려하여 교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반려동물과 함께 승차 가능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자가용이 없어 장거리 이동이 힘들고, 반려견과 동행 시 대중교통 이용 시 사람들의 시선이 부담스러운 사용자, 택시 승차 거부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에게 어려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교통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에 차량 호출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교통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 정보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도착 장소까지의 예상 요금, 결제 수단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로 차량 호출을 요청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50)에서 호출을 승인한 경우, 매칭된 차량이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까지 소요되는 시간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물병원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이동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는, 시간, 거리, 이동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지도를 통해 이동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도착 시각을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예상 도착 시간을 재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변동 가능한 정보를 재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콘텐츠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콘텐츠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숙소 예약 콘텐츠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숙소 예약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20)로 사용자의 여행 취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항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설문 항목은 선호 여행지역, 여행스타일, 선호 숙박시설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행지역에 포함된 설문 항목은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등 한국의 지역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행 스타일 항목은, 조용한, 활동적인, 한가한, 물놀이 등의 복수의 스타일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호 숙박시설 항목은, 호텔, 모텔, 펜션, 리조트 등의 복수의 숙박시설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설문 항목 인터페이스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인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 숙박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복수의 설문 항목 중 선호 여행지역에 포함된 설문 항목 대응하여 서울, 부산, 광주, 제주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여행스타일에 포함된 설문 항목에 대응하여 조용한, 한가한, 여유있는, 휴양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선호 숙박시설에 포함된 설문 항목에 대응하여 호텔, 펜션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인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서울, 부산, 광주, 제주에 있는 숙박시설 중 호텔, 펜션의 업체이되, 조용하고, 여유있는, 한가한, 휴양지 느낌의 숙박시설 정보가 포함되도록 사용자 선호 숙박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 숙박 리스트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최종적인 숙소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및 숙소 이용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구축된 비지도 학습 기반의 패턴 산출 모델에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숙소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비지도 학습이란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자체를 분석하거나 군집하면서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패턴 산출 모델에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사용자 선호 숙소를 예측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와 해당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한 숙소 이용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패턴 산출 모델을 구축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패턴 산출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성향을 가진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숙소 정보를 기반으로 숙소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숙소 이용 후기 정보에 더 기초하여 반려동물 동반 숙박이 가능한 복수의 숙소 정보가 포함된 숙소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숙소를 이용한 사용자가 작성한 숙소 후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리뷰 정보(후기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분석하고, 특정 키워드를 도출하여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와 연계된 항목을 수치화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리뷰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로부터 체언(명사)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키워드(단어)의 매칭을 통해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와 관련한 항목을 수치화하고,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기존에 수집된 리뷰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구축된 학습모델에 신규 리뷰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모델은 딥 러닝 신경망 기반으로 구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체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1숙박 업소에 대한 후기 정보(리뷰 정보)를 분석하여 제1숙박 업소를 평가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1숙박 업소에 대한 후기 정보(리뷰 정보)에 기재된 텍스트 분석 결과와 후기 사전에 포함된 키워드(단어)의 매칭을 통해 해당 숙박 업소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기 사전에는 복수의 좋은 후기 텍스트 및 복수의 나쁜 후기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좋은 후기 텍스트는 좋아요, 또 이용하고 싶어요, 깨끗합니다. 조용합니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나쁜 후기는 다신 오고 싶지 않아요. 벌레가 나옵니다. 시끄러워요. 더러워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제1숙박 업소에 게시한 후기 글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좋은 후기 텍스트에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복수의 숙소 정보를 연산하고, 점수가 가장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숙소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는, 채팅 콘텐츠 및 산책 매칭 예약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는, 반려동물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콘텐츠,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 편의시설 제공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산책 매칭 예약 콘텐츠는, 반려동물의 보호자(사용자)가 직접 산책을 할 수 없는 경우, 반려동물과 산책할 대리인을 매칭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는, 대리인 평가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대리인 평가 콘텐츠는, 반려동물과 산책할 대리인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는, 반려 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간의 상호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에 다운받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은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채팅 콘텐츠 및 산책 매칭 예약 콘텐츠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간에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 반려동물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항목들은 출생지, 출생일, 출생상태, 품종, 체중, 성별, 중성화, 임신 여부, 반려동물 등록번호, 반려 동물의 이름, 보호자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에서 제공한 반려동물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항목들에 기반하여 반려동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리 산책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제1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대리 산책 요청을 수신한 경우, 대리 산책 요청을 선택한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반경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은, 제1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중점으로 100m, 300m, 500m 등의 일정한 반경을 가진 원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정보, 반려동물의 품종, 반려동물의 등록번호, 반려 동물의 이름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보호자(사용자)가 직접 산책할 수 없는 경우, 반려동물과 산책할 대리인을 직접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리 산책 요청을 수신한 경우, 즉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정보가 산책 매칭 예약 콘텐츠인 경우, 복수의 대리 산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리 산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되, 평점(선호도) 점수가 높은 사용자의 정보를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평점(선호도) 점수는 대리인 평가 콘텐츠 항목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평점(선호도) 점수는 해당 대리인에게 대리 산책을 요청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점수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산책 매칭 예약이 성사될 경우, 해당 대리인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부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매칭을 요청한 사용자가 대리인에게 지급을 요청한 리워드를 부여하고, 해당 리워드를 평점(선호도) 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 사용자의 여행취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항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설문 항목은 선호 여행지역, 여행스타일, 선호 숙박시설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행지역에 포함된 설문 항목은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등 한국의 지역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행 스타일 항목은, 조용한, 활동적인, 한가한, 물놀이 등의 복수의 스타일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호 숙박시설 항목은, 호텔, 모텔, 펜션, 리조트 등의 복수의 숙박시설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설문 항목 인터페이스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인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 숙박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복수의 설문 항목 중 선호 여행지역에 포함된 설문 항목 대응하여 서울, 부산, 광주, 제주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여행스타일에 포함된 설문 항목에 대응하여 조용한, 한가한, 여유있는, 휴양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선호 숙박시설에 포함된 설문 항목에 대응하여 호텔, 펜션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인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서울, 부산, 광주, 제주에 있는 숙박시설 중 호텔, 펜션의 업체이되, 조용하고, 여유있는, 한가한, 휴양지 느낌의 숙박시설 정보가 포함되도록 사용자 선호 숙박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 숙박 리스트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최종적인 숙소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는 반려동물 차량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려동물을 강아지(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안전장치(2)에 위치할 수 있는 동물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주행중인 차 안에 반려동물(3)이 반려동물 차량 안전장치(2)에 위치한 경우,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면적 강도(접촉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공받은 면적 강도(접촉 강도)가 일정 값 이하이면, 반려동물(3)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에서 일어났다고(위험한 상황)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위험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제공받은 면적 강도(접촉 강도)가 일정 값 이상이면,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에서 안전하게 앉아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차량의 시트(4)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반려동물(3)과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접촉 정도를 제공받아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위험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목줄(21), 매트부(22) 및 접촉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접촉 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하인 경우, 목줄(21)의 길이를 임계값 이사의 장력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사용자 단말(2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반려동물을 운반할 수 있는 케이지(cag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차량의 시트(4)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트부(22)는 반려동물(3)과 접촉할 수 있다. 매트부(22)는 반려동물(3)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스펀지, 고무, 케이폭 펠트 등 부드러운 소재의 패드에 천이나 플라스틱을 덮은 것일 수 있다. 반려동물(3)은 매트부(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매트부(22)는 반려동물(3)이 활동 및 휴식을 취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매트부(22)의 하측에는 복수의 감지 센서, 복수의 발열부, 복수의 냉각부, 복수의 코일, 복수의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반려동물(3)과 매트부(22)의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반려동물(3)이 매트부(22) 위에 위치하는 경우, 매트부(22)와 접촉되는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반려동물(3)이 매트부(22)에 4발을 지지하고 서 있는 경우, 반려동물(3)의 발바닥과 매트부(22)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매트부(22)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3)과 매트부(22)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3)이 4발을 지지하고 서 있는 경우,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접촉 면적을 10%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반려동물(3)이 매트부(22)에 몸 전체를 위치시키고 배를 깔고 누워있는 경우, 반려동물(3)과 반려동물의 몸의 일부 중 어느 하나와 매트부(22)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매트부(22)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3)과 매트부(22)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매트부(22)의 하측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센서는 무게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복수의 감지센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반려동물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위험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3)이 4발로 지지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2발로 지지하고 엉덩이와 매트부(22)가 접촉되는 경우에서 복수의 감지센서가 보다 많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위험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복수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 영역에 반려동물(3)이 위치하여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복수의 감지 센서는 무게 또는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센서를 활성화하고,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센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반려동물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미도시)는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예를 들어, 19개)를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위험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견주(사용자)가 운전 중인 상황 즉, 반려동물을 케어하지(돌보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 목줄(21)과 연계된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위험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위험 알림 정보가 수신된 경우, 목줄(21)이 임계값 이하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목줄(21)과 연계된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위험 알림 정보가 수신된 경우는, 반려동물(3)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에 서있거나, 벗어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반려동물(3)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 내부에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목줄을 짧게 유지하도록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는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위험 알림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반려동물(3)이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 내부에 안전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목줄(21)을 임계값 이상의 장력으로 여유있게 유지하도록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된 반려동물 차량 안전 장치(2)의 실시예는 일 실시예일뿐, 보다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수신부(11), 생성부(12), 추천 리스트 생성부(13), 대기 정보 제공부(14), 연산부(15), 접수 처리부(16), 교통 리스트 생성부(17), 차량 호출부(18) 및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11)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종합동물의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부(12)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2)는 건강 상태 진단 예측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 접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2)는 복수의 증상 목록 및 진료 이력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구축된 인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에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적용하여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리스트 생성부(13)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리스트 생성부(13)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동물병원 후기 정보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가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리스트 생성부(13)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에 따른 연산 결과에 기반하여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 정보 제공부(14)는 수신부(11)로부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고, 동물병원 단말(30)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20)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15)는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 접수 현황 정보는, 동물병원 단말(30)과 연계된 동물병원에 기 접수된 대기 동물의 수 정보 및 대기 동물 각각의 진료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수 처리부(16)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이 수신되면, 동물병원 단말(30)로 진료 접수를 요청하고, 동물병원 단말(3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가 수신되면,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11)는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동물병원 중 의약품 처방 정보를 인증하는 동물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접수 처리부(16)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동물병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의약품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의약품 처방 정보(처방전)는 수의사가 발행해야 하기 때문에, 수의사 면허번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접수 처리부(16)는 의약품 처방 정보(처방전)는 동물병원(수의사)에서 사용자 입력 및 조합동물의 건강 상태 진단 결과를 고려하여 생성된 정보를 약국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리스트 생성부(17)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종합동물의 유형을 고려하여 차량호출이 가능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호출부(18)는 교통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량 호출부(18)는 차량 호출 정보를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미도시)은 사용자 입력 정보가 포함된 차량 호출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 단말(미도시)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도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19)는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의약품 처방 정보가 제공된 약국 단말이 위치하는 약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19)는 생성된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약 배달 주문 정보는, 약국에서 사용자의 위치까지 소요되는 도착 소요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19)는 약 배달 서비스 단말(미도시)로부터 현재 배달 가능한 인원, 대기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19)는 외부 서버로부터 교통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19)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교통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변화되는 도착 소요 시간 정보를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601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종합동물의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건강 상태 진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 접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동물병원 단말(30)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20)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7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서비스 제공 장치
20: 사용자 단말
30: 동물병원 단말
40: 약국 단말
50: 모빌리티 플랫폼 단말

Claims (12)

  1.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종합동물의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증상 목록에 대응하는 항목을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진료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고, 건강 상태 진단 예측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 접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종합동물의 종류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동물의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제1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동물병원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제2동물병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동물병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리스트 생성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물병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고,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로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전송하는 대기 정보 제공부; 및
    복수의 대기 반려동물로부터 수집된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대기 반려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하여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게시한 후기 글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후기 사전에 포함된 키워드를 매칭하고 가중치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생성되거나, 미리 설정된 복수의 동물병원 후기 평가 항목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가중치에 따른 연산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되며, 상기 후기 평가 항목은 평점, 좋아요 수, 리뷰 수, 리뷰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사는 곳, 사용자 선호 취향 항목 및 종합동물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문의와의 상담 콘텐츠, 병원 찾기 콘텐츠, 숙소 예약 콘텐츠, 반려견 유모차 대여 콘텐츠, 반려견과 동반 가능한 여행지 추천 콘텐츠 및 반려견과 동승 가능한 차량 예약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콘텐츠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콘텐츠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선호도, 거주 지역, 동물 관련 소비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종합동물의 종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종합동물의 유형을 고려하여 상기 종합동물이 탑승 가능한 차량 리스트를 생성하는 교통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교통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호출을 수행하는 차량 호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는,
    상기 동물병원 단말과 연계된 동물병원에 기 접수된 대기 동물의 수 정보 및 상기 대기 동물 각각의 진료 유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 동물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하는 것인,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복수의 증상 목록 및 진료 이력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구축된 인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종합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것인,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 진료 접수를 요청하고,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상기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접수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동물병원 추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병원 중 의약품 처방 정보를 인증하는 동물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수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동물병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의약품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의약품 처방 정보가 제공된 약국 단말이 위치하는 약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를 더포함하되,
    상기 약 배달 주문 정보 생성부는,
    생성된 상기 약 배달 주문 정보를 약 배달 서비스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종합 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04628A 2020-08-20 2020-08-20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7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28A KR102378911B1 (ko) 2020-08-20 2020-08-20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28A KR102378911B1 (ko) 2020-08-20 2020-08-20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04A KR20220023104A (ko) 2022-03-02
KR102378911B1 true KR102378911B1 (ko) 2022-03-24

Family

ID=8081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28A KR102378911B1 (ko) 2020-08-20 2020-08-20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041B1 (ko) * 2022-10-24 2023-05-04 주식회사 배다른삼남매 반려동물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41735B1 (ko) * 2023-08-14 2024-02-27 주식회사 아이엠디티 진단이력 관리 기능을 통한 외래진료 지원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039A (ja) * 2006-04-19 2007-11-01 Tajima:Kk ペットホームドクターサービス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488A (ko) * 2010-10-08 2012-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처방전 전송 방법,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KR101673682B1 (ko) * 2014-10-27 2016-11-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38551B1 (ko) * 2016-01-29 2018-03-14 최규진 휴대단말을 이용한 병원 진료예약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039A (ja) * 2006-04-19 2007-11-01 Tajima:Kk ペットホームドクターサービ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04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335B1 (ko) 반려동물 건강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JP7386166B2 (ja) ペットウェルネス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188128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puts in computing devices therefore
KR20200038628A (ko)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99479B1 (ko)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Ali et al. Multimodal hybrid reasoning methodology for personalized wellbeing services
US20160071432A1 (en) Health and wellness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useful for the practice thereof
KR102378911B1 (ko) 종합동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8780663A (zh) 数字个性化医学平台和系统
KR102304088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서비스방법
CN106204396A (zh) 分布式生态智联养老服务体系
KR102330858B1 (ko) 배변 시트 대변 이미지를 활용한 반려 동물 대변 상태 분석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49687B1 (ko)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147206A (ko) 반려동물 맞춤상품 제공을 위한 문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hiu et al. A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of 3D printing facilities for making dentures: application of type-II fuzzy logic
KR102520829B1 (ko) 반려동물 숙소 및 자동차 예약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sri et al. Toward a smart health: big data analytics and IoT for real-time miscarriage prediction
Benis et al. One digital health intervention for monitoring human and animal welfare in smart cities: Viewpoint and use case
KR102415333B1 (ko) 유기동물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88103A (ko)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agman et al. Carrying their own weight: Dogs perceive changing affordances for reaching
KR20230063274A (ko) 반려동물 출입가능 장소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102602050B1 (ko) 동물 맞춤형 솔루션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2023B1 (ko) 반려동물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40161894A1 (en) Facilitating Early Medical Interven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