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687B1 -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687B1
KR102149687B1 KR1020190073888A KR20190073888A KR102149687B1 KR 102149687 B1 KR102149687 B1 KR 102149687B1 KR 1020190073888 A KR1020190073888 A KR 1020190073888A KR 20190073888 A KR20190073888 A KR 20190073888A KR 102149687 B1 KR102149687 B1 KR 10214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ice
product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림
Original Assignee
김남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림 filed Critical 김남림
Priority to KR102019007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리 서버가 반려동물 산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 리스트에 기초하여 설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종합 스코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SERVER FOR SHARING INFORMATION ON PET-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방식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점점 문명화되면서, 도시인들의 생활 패턴은 주로 현대화된 도시 내에서만 영위되어 사람들이 동물을 접할 기회가 많이 줄어들었다. 이에, 인간 생활의 도시화, 핵가족화, 노령화 등으로 초래되는 인간의 소외감을 해소하는 동물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과거에는 사람에게 귀여움을 받고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에서 애완동물이라는 명칭이 자주 쓰였다. 그러나 동물이 장난감 같은 존재가 아니라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반려자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반려동물이라고 주로 불리고 있다.
반려동물에는 개, 고양이, 햄스터 등의 포유류와 앵무새, 카나리아 등의 조류, 금붕어, 열대어 등의 어류, 이구아나, 카멜레온 등의 파충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최근에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그에 따라 반려동물 대한 경험이 적은 반려인들은 자신의 반려동물의 상태에 알맞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기가 어려운 점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나이, 견종, 질병, 성격,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등에 따라서 맞춤형 사료, 의류가 필요하며 병원을 선택할 때에도 해당 반려동물이 가지고 있는 증상에 대해 전문성을 가지는 병원을 선택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반려인들이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보를 획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경험이 적은 반려인들은 자신의 반려동물을 위한 상품 /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항목을 중점으로 보아야 하는지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반려견의 사료를 선택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사료의 브랜드가 어느 국적의 브랜드인지, 제조국가는 어느 나라인지, 어떠한 등급이 매겨져 있는지, 입자크기는 어떠한지, 입자의 단단하기는 어느 정도 인지, 특별히 고려해야할 성분이 있는지, 급여 대상은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 리콜이력이 있는지, 관련 인증을 획득하였는지, 어워드 수상 경력이 존재하는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반려인은 이와 같이 많은 항목 중 어떠한 항목에 중점을 두고 상품을 선택하여야 하는지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자신의 반려동물과 동일한 종이면서 유사한 상황인 반려동물을 돌보는 반려인들이 어떠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도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최근에 반려동물 관련 산업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수입되는 브랜드의 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관련 산업에 뛰어드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또한 증가하여 관련 상품의 종류가 계속해서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더해, 상품 및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아이디어 상품이나 플랫폼 서비스들도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 내에서, 반려인들은 다양화된 니즈와 선택지 속에서 정보 비대칭에 시달리고 있으며, 그로 인해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사건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포털이나 SNS 등을 통해 이러한 사건 사고 관련 뉴스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신속하게 공유되며, 그에 따라 반려인들이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주체에 대해 가지는 우려와 불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반려인들이 자신이 돌보는 반려동물의 특성 및 상황에 알맞은 상품/서비스의 선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7630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반려동물 정보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들이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경우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하는 항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르면, 관리 서버의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 리스트에 기초하여 설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종합 스코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또는 종류를 우선적으로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나이 또는 종류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에 대한 추천 항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류 항목 우선 순위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종합 스코어 계산은, 상기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기초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종합 스코어의 계산에 기초가 되는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행동 반경, 선호 급여 식사 형태 또는 양육 관심순위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종합 스코어 계산 과정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반영함에 있어, 설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기초로 하여 설문 정보가 상기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합 스코어 계산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분류 항목과 설문 항목이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처 링크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또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인포그래픽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포그래픽에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수치 및 상기 평가 수치 내에서 타 사용자들의 반려동물 정보 입력에 따라 그룹핑되는 특성별 그룹의 위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포그래픽의 생성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기계 학습에 의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수행되며, 상기 빅데이터는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들간의 정보 일치 정도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팔로잉이 추천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팔로잉 정보를 입력받고, 팔로잉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팔로잉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상품 정보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상품 정보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 리스트에 기초하여 설문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 정보 관리부; 및 사용자가 선택한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종합 스코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종합 스코어 산출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버에 입력한 반려동물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반려동물에 알맞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에 대해 많이 조회한 세부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분류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경우 중점적으로 보아야 하는 항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토대로 종합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특정 대분류에 대한 소분류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사용자에게 설문 항목 리스트를 제공하여 설문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사용자에게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포그래픽의 한 형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생성되는 인포그래픽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자'라 함은 반려동물을 돌보는 반려인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 관련 산업에서 판매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돌보는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과 관련하여 판매되는 상품은, 사료, 의류, 식기 등과 같은 유형의 상품뿐 아니라, 반려동물과 관련된 영화, 다큐멘터리, 관련 영상, 전자책, 웹툰과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전자적으로 제공되는 무형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과 관련하여 판매되거나 제공되는 서비스는, 반려동물 전용 놀이터, 펜션, 동반 카페, 동반 식당, 애견카페, 고양이 카페 등 반려동물이 입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반려동물이 입장할 수 있는 공간에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한 정보들을 분석하고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동물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때에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동물 정보와 기타 정보들 기반으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통합 스코어를 계산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제어부, 통신 모듈, 저장부(예: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또는 알고리즘 연산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며, 웹 브라우저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관리 서버(100)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디스플레이부)을 통해 표시할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C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입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는 루트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한 것일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무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상에서 유료로 등록된 반려동물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가격을 지불하여야 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사는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수익 창출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 상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는 광고의 게재 기간에 따른 광고비를 광고주로부터 받을 수도 있지만, 광고가 노출되는 빈도수, 광고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광고주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웹 페이지로 링크되는 횟수 등을 기반으로 하여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를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예: 명령어, 루틴 또는 인스트럭션 등)들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의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프로그램에 저장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선택에 대한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 등을 입력받는 과정은, 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예: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선택에 대한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 등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관리 서버(100)와 별도로 존재하는 서버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요한 각종 외부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300)를 통해 반려동물과 관련된 각종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10) 내에서 동작하는 각 주체들이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등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 상품 정보 관리부(120), 설문 정보 관리부(130), 사용자 정보 관리부(140),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 인포그래픽 생성부(160), 팔로잉 관리부(170), 통신부(180), 저장부(185)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가 관리하는 반려동물의 정보는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반려동물 정보 항목을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의 6개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항목의 분류와 항목의 개수는 이와 같은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려동물 나이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반려동물의 생년월일을 입력하거나 반려동물의 출생년도를 입력하면, 관리 서버(100)가 이와 같은 정보를 토대로 나이를 계산할 수 있다.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종류는 개, 고양이, 뱀, 앵무새 등과 같이 1차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반려동물의 종류가 개로 분류되는 경우 포메라니안, 시베리안 허스키, 프렌치 불독, 골든 리트리버와 같이 세부 품종에 따라 2차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반려동물의 질병 관련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질병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질환 정보와,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현재 보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보유할 가능성이 높은 고민 질환 정보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등록하는 질병 정보의 예시로는, 눈물, 쓸개골 탈구, 비만, 신장질환, 종양, 발작, 피부가려움, 디스크, 허약, 발습진, 안구질환, 노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또는 종류를 우선적으로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나이 또는 종류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에 대한 추천 항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이와 같은 추천 항목을 통해 자신이 돌보는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동물 정보를 바탕으로 고민 질환 정보를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신체 특성 등을 입력하면 이를 토대로 발병 확률이 높은 질환들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및 성격 특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신체 스펙 정보는 반려동물의 키, 길이, 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신체 특성 정보는 다리가 긴편인지 짧은편인지, 허리가 긴편이지 짧은 편인지, 통통한지 날씬한지, 목이 굵은지 아니면 긴편인지, 몸통이 두꺼운지, 어깨각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성격 특징 정보는 반려동물이 사교적인지, 흥분을 잘하는지, 느긋한지, 게으른지, 차분한지, 겁이 많은지, 민감하고 예민한지, 공격적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관리부(120)가 관리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는 다양한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브랜드 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각종 상품 서비스를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고리의 분류는 대분류/소분류와 같은 분류 체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대분류의 카테고리를 특화 전문 쇼핑몰, 식사와 간식, 의류와 액세서리, 라이프 스타일, 반려견 놀이터, 외식 및 숙박, 도움 서비스, 특화 병원, 4차 산업기술 및 아이디어 제품, 플랫폼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식사와 간식에 대해서는 사료 제품, 화식, 생식, 전용 정육점, 수제간식, 수입간식, 개인조리 간식 등의 소분류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대분류의 카테고리를 식사, 케어, 인도어, 아웃도어, 환경, 놀이터, 회복 보조기구, 이동 수단, 패션, 아트, 플랫폼 서비스, 방문 서비스, 이별 준비, 테크상품, 컨텐츠, 교육, 전용 공간, 동반 가능 공간 등의 대분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대분류를 소분류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다양한 대분류 항목 중 사료 제품이라는 항목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대분류 항목에 포함되는 소분류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분류 항목의 예시를 들어보면, 사료 제품에 대한 소분류 항목은 브랜드 국적, 제조 국가, 등급, 급여대상, 입자크기, 단단한 정도, 특이사항, 고려성분, 리콜이력, 인증 획득 여부, 어워드 수상 여부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사료 제품이라는 대분류 항목 내에 포함되는 소분류 항목들에 대한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관리하고, 그에 따라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사료 제품이라는 대분류 항목 내에 포함되는 소분류 항목들 중 급여대상, 입자크기, 단단한 정도, 고려성분을 각각 순서대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의 제1 순위 내지 제4 순위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사료 제품이라는 대분류 항목을 선택한 경우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따라 소분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관리부(120)가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따라 항목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소분류의 항목들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표시될 때에 분류 항목 우선 순위가 높은 항목들이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표시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분류의 항목들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되는 경우 분류 항목 우선 순위가 높은 항목이 좌측에 표시될 수 있으며, 소분류의 항목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표시되는 경우 분류 항목 우선 순위가 높은 항목이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따라 분류 항목을 나타내는 텍스트의 색상, 텍스트 배경 색상, 텍스트의 크기, 텍스트의 폰트 등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항목이 보다 가시성이 높은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간 또는 임의의 시간 가격을 두고 수행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가 관리하는 분류 항목 우선 순위는 관리 서버(100)를 관리하는 주체에 의해 설정되어 고정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분류 항목 우선 순위는 사용자들이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10)을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대분류에서 사료 제품이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대분류에 포함된 소분류 항목이 브랜드 국적, 제조 국가, 등급, 급여대상, 입자크기, 단단한 정도, 특이사항, 고려성분, 리콜이력, 인증 획득 여부, 어워드 수상 여부와 같이 나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소분류 항목 각각을 선택하여 선택된 소분류 항목에 따라 정렬되거나 그룹핑된 상태의 상품/서비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소분류 항목을 선택하여 선택된 소분류 항목에 따라 정렬되거나 그룹핑된 상태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분류 항목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소분류 항목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소분류 항목에 대한 카운팅 수치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정보 관리부(120)가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게 되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상품/서비스에 대해서 살펴볼 때에 어떠한 항목에 대해 중요성을 두고 고려하는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품 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처 링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구매하고 싶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바로 접근할 수 있게 되며, 관리 서버(100)의 관리자는 이러한 기능을 판매처에 제공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설문 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설문 정보 관리부(130)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설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 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사료 제품을 선택하였을 때에 사료와 관련 있는 항목들인 기호성, 변냄새, 품질, 알러지 반응 등의 설문 항목에 대한 설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설문 항목에 대한 선호 / 비선호 정보를 수치화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설문 정보 관리부(130)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 항목은, 전술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분류 항목 우선 순위가 높은 항목과 연관되는 설문 항목이 선택될 수 있으며,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설문 항목이 표시되는 순서, 방식이 결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40)는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반려인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관리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아이디 / 패스워드와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용자 정보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성별, 활동 반경, 선호하는 급여 식사 형태, 양육 관심순위 항목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육 관심순위 항목의 경우 사용자는 먹거리, 패션, 간병, 실내생활, 야외활동, 동반 가능 장소, 건강지식, 위생 등으로 분류된 세부 항목들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한 항목들에 대한 순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종합 스코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3가지 영역의 데이터를 토대로 종합 스코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상품 정보 관리부(12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관리하는 반려동물 정보 영역, 제2 영역은 상품 정보 관리부(120)가 관리하는 반려동물 관련 상품/서비스들의 기본 정보 영역, 제3 영역은 설문 정보 관리부(130)가 관리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 영역일 수 있다.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상기 3가지 영역에 추가하여, 제4 영역인 사용자 정보 정보 영역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할 수도 있다.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종합 스코어 계산 과정에서, 상품 정보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되는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료라는 대분류에 속하는 특정 제품에 대한 종합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해당 대분류 아래 속하는 세부 분류들의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각 항목이 종합 스코어 산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분류 항목 우선 순위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종합 스코어는 실시간 또는 임의의 시간 간격을 두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료라는 대분류에 속하는 세부 분류들은 브랜드 국적, 제조 국가, 등급, 급여대상, 입자크기, 단단한 정도, 특이사항, 고려성분, 리콜이력, 인증 획득 여부, 어워드 수상 여부와 같이 나열될 수 있으며, 이 중 사용자들이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이 '입자크기'라면,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입자크기' 항목이 가지는 비중을 크게 하여 종합 스코어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종합 스코어 계산 과정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반영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분류 항목과 설문 항목이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이를 기초로 종합 스코어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상품 정보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되는 반려동물 관련 상품/서비스들의 각 분류 항목들이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사용자에게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설문 정보 관리부(130)에 의해 관리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항목에 대한 결과가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후,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각 항목의 비중을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할 수 있다.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종합 스코어 계산 과정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반영함에 있어, 설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기초로 하여 설문 정보가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관리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반려동물의 정보를 입력하고, 반려동물의 사진/동영상 등을 등록하고, 상품/서비스에 대한 리뷰를 상세히 입력하고, 커뮤니티에서 게시물을 등록시키는 등의 활동을 통해 신뢰도를 쌓을 수 있다.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이와 같이 계산된 신뢰도를 기초로 하여, 특정 사용자가 입력한 설문 정보가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신뢰도가 낮은 사용자가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입력한 설문 정보는 타 사용자가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종합 스코어 점수에 미치는 영향이 낮게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는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기초로 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설문 정보가 종합 스코어에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설문을 입력하거나, 경쟁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설문을 입력하여 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종합 스코어를 조작하려는 시도의 효율을 낮출 수 있다.
인포그래픽 생성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각 상품/서비스에 대한 인포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다.
인포그래픽 생성부(160)는 인포그래픽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수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평가 수치 내에서 타 사용자들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포그래픽 생성부(160)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도출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인포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다. 빅데이터는 관리 서버(100)에 의해 수집되고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 반려동물 정보,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수집된 설문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포그래픽 생성부(160)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와 같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포그래픽 생성부(160)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타 사용자들이 입력한 설문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항목에 대한 설문 결과가 종합된 형태의 인포그래픽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들이 입력하는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을 복수의 특성별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 정보에 기초하는 경우 관리 서버(100)는 눈물, 피부 질병을 가진 반려견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신장 결석을 가지고 있거나 나이가 든 노견에 대한 반려견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이외의 견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룹핑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때에 표시되는 인포그래픽 내에서 표시되는 평가 수치의 특정 위치와 연관되어 표시될 수 있다.
팔로잉 관리부(170)는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1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과 유사한 타 사용자를 팔로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팔로잉 관리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들간의 정보 일치 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일치 정도를 토대로 팔로잉이 추천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팔로잉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돌보는 반려동물과 유사한 종류의 반려동물을 돌보는 사용자가 어떠한 상품 및 서비스를 선택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팔로잉 관리부(170)는 사용자에게 팔로잉이 추천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리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팔로잉 신청을 수행하면, 사용자로부터 팔로잉 정보를 입력받아 팔로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팔로잉 관리부(170)는 팔로잉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팔로잉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팔로잉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자신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또는 자신의 반려동물이 사용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품/서비스에 대한 후기 정보, 상품/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 등을 입력하는 경우 업데이트 소식을 팔로잉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통신부(180)는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 및 외부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80)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85)는 관리 서버(100)의 각종 구성부 내에서 수집되고, 생성되고, 운용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저장부(185)에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들에 대한 항목 정보, 기본 정보, 설문 항목, 설문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85)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 상품 정보 관리부(120), 설문 정보 관리부(130), 사용자 정보 관리부(140),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 인포그래픽 생성부(160), 팔로잉 관리부(170), 통신부(180) 및 저장부(185)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 상품 정보 관리부(120), 설문 정보 관리부(130), 사용자 정보 관리부(140),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 인포그래픽 생성부(160), 팔로잉 관리부(170), 통신부(180) 및 저장부(185)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110), 상품 정보 관리부(120), 설문 정보 관리부(130), 사용자 정보 관리부(140), 종합 스코어 산출부(150), 인포그래픽 생성부(160), 팔로잉 관리부(170) 및 통신부(180)는 제어부(190)를 기능적으로 분류한 구성이므로 하나의 제어부(190)로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토대로 종합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의 각 수행 단계는 서로 순서가 전환되어 진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성격 특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1).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분류의 상품 /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관리 서버(100)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분류 항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03). 분류 항목 우선 순위는 관리 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들이 분류 항목을 선택한 빈도수에 의해 변화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설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05).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제공되는 설문 항목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설문 항목의 종류는 전술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00)는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한 사용자에게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종합 스코어 정보 및 인포그래픽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반려동물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할 수 있다(S307). 종합 스코어의 계산에는 이와 같이 다양한 항목들이 반영될 수 있으며, 각 항목의 반영 비율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307 단계에서는 종합 스코어 계산에 있어 사용자 정보가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반려동물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설문 정보에 더불어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 상품 또한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인포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다(S309).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포그래픽은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S307 및 S309 단계를 통해 계산되고 생성된 종합 스코어 정보 및 인포그래픽을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11). S311 단계에서 제공되는 인포그래픽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들이 입력한 설문 정보를 그래프 또는 차트 등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대분류 내의 세부 분류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의 순위 정보가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가 특정 대분류에 대한 소분류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신이 관심있는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의 대분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샴푸/린스에 해당하는 대분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대분류에 대한 소분류 항목들의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분류에 대한 소분류 항목들의 목록을 제공함에 있어, 해당 대분류에 대해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분류 항목 우선 순위가 높은 항목을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가장 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브랜드 국적' 항목이 분류 항목 우선 순위가 제일 높은 항목일 수 있으며, 가장 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용기 재질' 항목이 류 항목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항목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함에 있어, 분류 항목을 표시하는 텍스트의 크기 및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류 항목 우선 순위가 상위권인 4가지 항목을 나타내는 텍스트의 크기와 색상이 변경된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에게 설문 항목 리스트를 제공하여 설문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제품에 대한 설문 조사 문항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각 문항에 대한 점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설문 조사 문항의 종류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대분류 / 소분류 항목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에게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특정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에 관리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어 표시되는 정보가 나타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이미지와 함께 해당 상품에 대한 세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들이 입력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처 링크 정보를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에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인포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인포그래픽에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수치 및 타 사용자들의 반려동물 정보 입력에 따라 그룹핑되는 특성별 그룹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 화면의 하단 상에 인포그래픽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확대 화면은 도 7에 표시되어 있다.
도 6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는 종합 스코어 정보뿐 아니라, 종합 스코어 정보 또는 특정 상품/서비스에 대한 복수 사용자들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계산된 순위별 상품/서비스 순위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분류에 대한 상품/서비스들을 종합 스코어 순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며, 세부 분류를 선택하여 자신이 선택한 세부 분류에 대한 설문 결과 점수 순으로 상품/서비스들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순위별 상품/서비스 표시는 그래프, 차트 등이 인포그래픽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가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포그래픽의 한 형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상품에 대한 인포그래픽이 표시되어 있다. 인포그래픽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평가 수치가 긍정(Positive) 및 부정(Negative) 수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특정 상품들에 대한 타 사용자의 평가들의 개수가 인포그래픽의 두께 형태로 나타나 있다.
도 7에 나타난 인포그래픽에는 특정 상품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평가 수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평가 수치 내에서 사용자들의 반려동물 정보 입력에 따라 그룹핑되는 특성별 그룹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 7의 인포그래픽을 살펴보면, 눈물, 피부 질병을 가진 반려견의 견주들이 긍정적인 평가 수치 쪽에 분포되어 있으며, 1살 이하의 어린 강아지(퍼피)의 견주들은 다소 긍정적인 평가 수치쪽에 분포되어 있고, 신장 결석을 가진 반려견의 견주들은 부정적인 평가 수치 쪽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공되는 인포그래픽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일반적인 특성뿐 아니라, 어떠한 특징을 가진 반려동물의 주인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긍정적/부정적으로 평가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에서 생성되는 인포그래픽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설문 항목에 대해 입력한 정보가 표시된 인포그래픽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인포그래픽은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항목 각각에 대한 설문 결과가 종합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8에서는 특정 사료 제품에 대한 설문 항목들인, '알러지반응', '품질', '변냄새' 및 '기호성'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설문 결과가 종합되어 수치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분류 항목 선택에 따라 상이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인포그래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세부 항목으로는 '나이', '견종', '질병, '무게'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항목과 관련성 높은 설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견종'에서 특정 견종을 선택한 경우 해당 견종을 양육하는 사용자들이 중요시하는 항목에 대한 설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있는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음에 있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에 대해 고려할 때에 중요하게 살펴야 하는 항목에 대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으며, 자신의 반려동물 정보에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정보 및 종합 스코어 등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반려동물 산업 정보 공유 시스템
100: 관리 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외부 서버

Claims (13)

  1. 관리 서버가 반려동물 산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 리스트에 기초하여 설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종합 스코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또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인포그래픽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들간의 정보 일치 정도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팔로잉이 추천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팔로잉 정보를 입력받고, 팔로잉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팔로잉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 항목 우선 순위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설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기초로 하여 설문 정보가 상기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뢰도는 사용자의 반려동물 정보 입력, 반려동물 사진 또는 동영상 등록,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리뷰 입력 또는 커뮤니티 게시물 등록을 통해 상승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종합 스코어의 계산은 상기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기초로 하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분류 항목과 설문 항목이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행되며,
    상기 종합 스코어의 계산에 기초가 되는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행동 반경, 선호 급여 식사 형태 또는 양육 관심순위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인포그래픽에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수치 및 상기 평가 수치 내에서 타 사용자들의 반려동물 정보 입력에 따라 그룹핑되는 특성별 그룹의 위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또는 종류를 우선적으로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나이 또는 종류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에 대한 추천 항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의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처 링크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그래픽의 생성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기계 학습에 의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수행되며,
    상기 빅데이터는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반려동물 산업 정보 제공 방법.
  12. 삭제
  13. 반려동물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분류 항목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분류 항목들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상품 정보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 리스트에 기초하여 설문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 정보 관리부;
    사용자가 선택한 반려동물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종합 스코어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종합 스코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종합 스코어 산출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또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인포그래픽을 생성하는 인포그래픽 생성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려동물 정보,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들간의 정보 일치 정도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팔로잉이 추천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팔로잉 정보를 입력받고, 팔로잉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팔로잉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팔로잉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 항목 우선 순위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종합 스코어 산출부는,
    설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기초로 하여 설문 정보가 상기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조절하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분류 항목과 설문 항목이 종합 스코어 계산에 반영되는 비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이와 같은 입력 정보 및 상기 분류 항목 우선 순위를 기초로 상기 종합 스코어의 계산을 수행하며,
    상기 신뢰도는 사용자의 반려동물 정보 입력, 반려동물 사진 또는 동영상 등록,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리뷰 입력 또는 커뮤니티 게시물 등록을 통해 상승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종합 스코어의 계산에 기초가 되는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행동 반경, 선호 급여 식사 형태 또는 양육 관심순위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인포그래픽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인포그래픽에는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수치 및 상기 평가 수치 내에서 타 사용자들의 반려동물 정보 입력에 따라 그룹핑되는 특성별 그룹의 위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반려동물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종류,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려동물 정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또는 종류를 우선적으로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나이 또는 종류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 신체 스펙, 신체 특성 또는 성격 특징에 대한 추천 항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별로 설정된 설문 항목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별로 복수의 사용자들의 선택한 분류 항목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KR1020190073888A 2019-06-21 2019-06-21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4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88A KR102149687B1 (ko) 2019-06-21 2019-06-21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88A KR102149687B1 (ko) 2019-06-21 2019-06-21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687B1 true KR102149687B1 (ko) 2020-08-31

Family

ID=7223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888A KR102149687B1 (ko) 2019-06-21 2019-06-21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6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371B1 (ko) * 2020-10-07 2020-12-03 정대환 다중 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20631B1 (ko) * 2021-11-04 2022-07-13 서명교 맞춤형 애완 동물 플랫폼 생성 방법
KR102422223B1 (ko) 2021-08-04 2022-07-15 서명균 반려동물 케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72933B1 (ko) * 2022-11-14 2023-08-31 주식회사 반려생활 머신러닝 기반 반려동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71A (ko) * 2001-03-22 2001-07-13 김경원 인터넷 상에서 샘플제공에 의한 소비자 설문조사방법
KR20090081957A (ko) * 2008-01-25 2009-07-29 이경빈 온라인 여행상품 가격비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7079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80107630A (ko) 2017-03-22 2018-10-02 장재원 반려동물 용품 선택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71A (ko) * 2001-03-22 2001-07-13 김경원 인터넷 상에서 샘플제공에 의한 소비자 설문조사방법
KR20090081957A (ko) * 2008-01-25 2009-07-29 이경빈 온라인 여행상품 가격비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7079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80107630A (ko) 2017-03-22 2018-10-02 장재원 반려동물 용품 선택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371B1 (ko) * 2020-10-07 2020-12-03 정대환 다중 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22223B1 (ko) 2021-08-04 2022-07-15 서명균 반려동물 케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020897A (ko) 2021-08-04 2023-02-13 서명균 전자등록증에 기반한 반려동물 케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20631B1 (ko) * 2021-11-04 2022-07-13 서명교 맞춤형 애완 동물 플랫폼 생성 방법
KR20230065146A (ko) * 2021-11-04 2023-05-11 서명교 애완 동물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83643B1 (ko) * 2021-11-04 2023-10-04 서명교 애완 동물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72933B1 (ko) * 2022-11-14 2023-08-31 주식회사 반려생활 머신러닝 기반 반려동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687B1 (ko) 반려동물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Gupta et al. Market access, production diversity, and diet diversity: evidence from India
Akaguri Fee-free public or low-fee private basic education in rural Ghana: how does the cost influence the choice of the poor?
Swait et al. The role of the scale parameter in the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multinomial logit models
Fiebig et al. The generalized multinomial logit model: accounting for scale and coefficient heterogeneity
Kawarazuka et al. Adapting to a new urbanizing environment: gendered strategies of Hanoi’s street food vendors
Halimani et al. Opportunities for conservation and utilisation of local pig breeds in low-input production systems in Zimbabwe and South Africa
Stevano The limits of instrumentalism: Informal work and gendered cycles of food insecurity in Mozambique
KR102068820B1 (ko) 온라인 마켓 상에서 상품의 등록 및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Reese et al. No dog left behind: A hedonic pricing model for animal shelters
Kiprop et al. Factors influencing marketing channel choices for improved indigenous chicken farmers: insights from Baringo, Kenya
De Bruyn et al. How transaction costs influence cattle marketing decisions in the northern communal areas of Namibia
KR20210147206A (ko) 반려동물 맞춤상품 제공을 위한 문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22255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llection and aggregation
Paul et al. Online dog sale advertisements indicate popularity of welfare-compromised breeds
Khojasteh Unplanned food access: Contribution of immigrant food entrepreneurs to community wellbeing in a suburban township
KR20200038396A (ko) 머신 러닝과 웹 크롤링 기반의 지능형 사료 추천 및 평가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Arnett et al. Re-examining market structures: Resource-Advantage theory and the market offering ecosystem perspective
Singh et al.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to dairy farmers in Jammu and Kashmir: Developing a web module
Nugroho et al. Smallholders’ perceptions of policies for preserving the traditional Ongole cattle breed of Indonesia
Ojango et al. Assessing actors in rural markets of sheep and goats in the Nyando Basin of Western Kenya: a key to improving productivity from smallholder farms
Hobbs et al. Analysis of consumer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in pet food: Implications for marketing and brand strategy
Morckel Patronage and access to a legacy city farmers’ market: A case study of the relocation of the Flint, Michigan, market
Joo et al. How much are you willing to pay when you travel with a pet? Evidence from a choice experiment
Simula Pastoralism 100 ways: navigating different market arrangements in Sardi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