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791B1 -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791B1
KR102378791B1 KR1020210091062A KR20210091062A KR102378791B1 KR 102378791 B1 KR102378791 B1 KR 102378791B1 KR 1020210091062 A KR1020210091062 A KR 1020210091062A KR 20210091062 A KR20210091062 A KR 20210091062A KR 102378791 B1 KR102378791 B1 KR 102378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dhesive film
film layer
melt adhesiv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미숙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을하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을하
Priority to KR102021009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1)과, 상기 원단(10)의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세탁에 의한 퍼커링, 박리 현상이 없어 세탁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Seam-Sealing Tape for cloth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lothing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의 상, 하부면에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을 합포함으로써, 접착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여 세탁에 의한 퍼커링, 박리 현상이 없는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심실링 테이프(seam sealing tape)는 의복 원단의 봉제선 부위에 접착하는 테이프로서 외부로부터 수분이 봉제선의 바늘구멍을 통해 의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통상의 심실링 테이프는 원단층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으로 제조되는 방수필름층 및 상기 방수필름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심실링 테이프는 안감과 겉감 사이의 봉제선 상에 구비된 상태에서 봉제하고, 여기에 열풍을 가해 심실링 테이프의 접착제층이 용융되면서 상기 봉제선에 형성된 바늘구멍을 매워줌으로써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심실링 테이프는 접착성이 부족하여 세탁시 쉽게 박리되며, 원단층, 방수필름층 및 접착제층 간의 신율이 달라 퍼커링(puckering)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심실링 테이프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4767호에는 이형지 상에 핫멜트 접착제층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제조된 내열성수지 필름층이 순차 합지된 심실링테이프 제작용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원단 중 내열성수지 필름층 상에 표면처리제 수지 조성물이 패턴 형상으로 전사코팅된 의류봉제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2730호에는 소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미세 공극이 형성되어 투습성을 갖는 필름층과, 투습성을 갖는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합포되어 제조되는 심실링 테이프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심실링 테이프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수필름층을 사용하여 제조되는바, 이러한 방수필름층은 세탁 등으로 인해 수분과 접촉시 수축 또는 변형이 발생하여 접착된 의류의 안감 등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며, 퍼커링이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KR 10-0944767 B1 KR 10-127273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성을 갖는 원단의 양면에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을 합포함으로써, 접착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여 세탁에 의한 퍼커링, 박리 현상이 없으며,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과, 상기 원단의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어느 하나의 수지조성물 100중량부 및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 0.1~1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50~100nm인 구형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계면활성제와 실리카가 혼합된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500~700℃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 하부면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의 표면은 엠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 하부면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 중 어느 하나에는 이형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방법은, 신축성을 갖는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상부면에 이형지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을 합포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하부면에 이형지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을 합포하는 단계와, 상기 합포된 원단의 하부면에 구비된 이형지를 박리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는, 상기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에 의하면, 접착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세탁에 의한 퍼커링, 박리 현상이 없어 세탁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심실링 테이프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수필름층을 필수로 사용하였는바, 이로 인해 심실링 테이프의 접착성 및 세탁 내구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수 필름층으로 인해 심실링 테이프를 적용한 의류의 촉감 역시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방수 필름층을 포함하지 아니하고, 신축성을 갖는 원단을 기재로 하며, 이의 상, 하부면 모두에 핫멜트형 접착필름층을 합포함으로써, 접착성, 신축성을 개선하며, 세탁 내구성 역시 개선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심실링 테이프는, 도 1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원단(1)과, 상기 원단(1)의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신축성을 갖는 원단(1)은 심실링 테이프의 기재로, 의류의 안감과 동일한 색상의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심실링 테이프의 부착 여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단(1)은 신축성을 갖는다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기재인 원단(1)이 신축성을 갖지 못하면 의류의 굴절된 부위에 심실링 테이프를 접착할 경우 퍼커링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바, 신축성을 갖는 원단(1)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퍼커링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될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는바, 이에 맞춰 기재인 원단(1) 역시 폭방향 신도가 20~35%이고, 길이방향 신도가 15~30%인 것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단(1)은 그 두께는 제한하지 않으나, 의류의 촉감, 내구성 등을 고려할 때 3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1)의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의류의 안감과 겉감과의 접착을 위한 것은 물론, 방수성의 확보를 위한 것이다. 종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기재의 일측에만 형성됨이 일반적이었는바, 이로 인해 필요 이상 두껍게 접착필름층(2)을 형성함으로써, 촉감이 좋지 못하고, 타측의 방수 필름층이 세탁시 쉽게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기재인 원단(1)의 상, 하부면 모두에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적정 두께로 구비함으로써, 심실링 테이프의 접착력을 더욱 개선하면서도, 방수 필름층을 생략하더라도 의류용으로써 충분한 방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이미 충분히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그 두께가 0.001~0.2mm 정도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두께가 0.001mm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없고, 0.2mm를 초과하면 의류의 촉감이 좋지 못해지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는 도 2와 같이, 상기 상, 하측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 중 어느 하나에 이형지가 구비됨으로써, 그 사용 편의성 및 취급성을 높일 수 있는바, 이의 구비 유무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는, 신축성 및 접착력이 우수하고, 의류용으로 충분한 방수성을 가지며, 세탁 내구성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는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나, 잦은 세탁시 심실링 테이프가 박리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그 접착성을 더욱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어느 하나의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 0.1~1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어느 하나의 수지조성물은 일반적인 핫멜트형 접착제 수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50~100nm인 구형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계면활성제와 실리카가 혼합된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500~700℃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여 제조된 것으로, 이러한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현저히 개선된 접착력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50~100nm인 구형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알킬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와 실리카를 1:0.5~1.5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스프레이 코팅기로 2~50nm의 두께로 코팅하여 쉘을 형성한 후, 500~700℃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구멍(pore)이 형성된 나노실리카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1 내지 5일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에 혼합되는 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2~50nm일 수 있다.
또한, 퍼커링(puckering) 현상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1)의 상, 하부면에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의 표면은 엠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면이란, 원단(1)과 접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층(2)의 표면이 엠보 형태를 가지면 심실링 테이프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됨으로써, 신축성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퍼커링 현상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방법은, 도 3에서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원단(1)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1)의 상부면에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1)의 하부면에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하는 단계와, 상기 합포된 원단(1)의 하부면에 구비된 이형지(3)를 박리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축성을 갖는 원단(1)을 준비하는 단계
먼저, 신축성을 갖는 원단(1)을 준비한다.
상기 원단(1)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판덱스 원단일 수 있으며, 폭방향 신도가 20~35%이고, 길이방향 신도가 15~3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단(1)의 상부면에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하는 단계
다음으로,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준비한다. 이러한 접착필름층(2)은 이형지(3)에 핫멜트 접착제를 용융시켜 도포한 후, 필요에 따라 30~50℃에서 12~48시간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는바, 이러한 방법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 0.1~1중량부를 상기 핫멜트 접착제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어느 하나의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충분히 혼합한 후,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앞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1)의 상부면에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한다.
이때, 그 합포방법은 히팅롤러를 통해 열과 압력을 가하여 합포한 후, 냉각하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에 의한다.
상기 원단(1)의 하부면에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원단(1)의 하부면에도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한다.
상기 합포된 원단(1)의 하부면에 구비된 이형지(3)를 박리한 후 권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합포된 원단(1)의 하부면에 구비된 이형지(3)를 박리한 후 권취하고, 필요한 폭으로 절단함으로써, 그 제조를 완료한다.
아울러, 엠보가 형성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를 위해서는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 측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히팅롤러를, 엠보가 형성된 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엠보가 형성된 이형지(3)를 적용함으로써, 이형지가 제거된 표면에 엠보가 형성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는바, 이의 형성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는 각종 아웃도어 의류는 물론, 무봉제형 의류에 적용하여 방수성 및 접착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심실링 테이프가 적용된 의류는, 우수한 방수성 및 접착성, 세탁 내구성을 갖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스판덱스 원단을 준비하고, 이형지에 TPU 수지를 0.1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한 핫멜트형 접착필름을 준비한 후, 상기 스판덱스 원단의 상, 하부면에 핫멜트형 접착필름을 차례로 합포하였다. 이때, 상기 스판덱스 원단은 폭방향 신도가 25%이고, 길이방향 신도가 20% 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핫멜트형 접착필름의 제조시, TPU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의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50∼100nm이고, 표면적이 170±5㎡/g이며, 이산화규소의 함량이 95~98%인 구형 실리카의 표면에 알킬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와 실리카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기로 30nm의 두께로 코팅하여 쉘을 형성한 후, 600℃로 20분간 가열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의 알킬기는 메틸기였으며, 상기 계면활성제에 혼합되는 실리카는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실리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되, 그 입자 크기가 2~30nm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핫멜트 접착필름의 표면이 엠보형태를 갖도록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핫멜트 접착필름의 표면이 엠보형태를 갖도록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어쉘 구조의 나노실리카를 대신하여 입자 크기가 50∼100nm이고, 표면적이 170±5㎡/g이며, 이산화규소의 함량이 95~98%인 구형 실리카나노실리카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폴리우레탄필름에 폴리우레탄 핫멜트 레진을 사용한 심실링 테이프를 구입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시험편에 대한 세탁 전후의 접착강도를 KS T 1028에 의거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탁은 KS K ISO 105-C06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예 1 결과
접착강도(N/20mm) 세탁 전 세탁 3회 후
실시예 1 11 11
실시예 2 14 14
실시예 3 12 12
실시예 4 17 17
실시예 5 12 12
비교예 1 10 9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는 접착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탁 후에도 접착강도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시험편에 대한 내수압을 KS K 0592(직물의 내수도 시험 방법 : 고수압법)에 의거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내수압(psi/2min)
실시예 1 3
실시예 2 3
실시예 3 3
실시예 4 3
실시예 5 3
비교예 1 3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과 모두 유사한 수준의 내수압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원단 2: 핫멜트형 접착필름
3: 이형지

Claims (6)

  1. 신축성을 갖는 원단(1)과,
    상기 원단(1)의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포함하고,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어느 하나의 수지조성물 100중량부 및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 0.1~1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50~100nm인 구형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계면활성제와 실리카가 혼합된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500~700℃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상, 하부면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의 표면은 엠보 형태를 갖고,
    상기 상, 하부면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 중 어느 하나에는 이형지(3)가 구비되며,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그 두께가 0.001~0.2mm 이고,
    상기 원단은 폭방향 신도가 20~35%이고, 길이방향 신도가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신축성을 갖는 원단(1)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1)의 상부면에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1)의 하부면에 이형지(3)가 구비된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을 합포하는 단계와,
    상기 합포된 원단(1)의 하부면에 구비된 이형지(3)를 박리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어느 하나의 수지조성물 100중량부 및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 0.1~1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50~100nm인 구형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계면활성제와 실리카가 혼합된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500~700℃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상, 하부면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의 표면은 엠보 형태를 갖고,
    상기 상, 하부면의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 중 어느 하나에는 이형지(3)가 구비되며,
    상기 핫멜트형 접착필름층(2)은 그 두께가 0.001~0.2mm 이고,
    상기 원단은 폭방향 신도가 20~35%이고, 길이방향 신도가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제조방법.
  6. 제1항의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KR1020210091062A 2021-07-12 2021-07-12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KR10237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62A KR102378791B1 (ko) 2021-07-12 2021-07-12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62A KR102378791B1 (ko) 2021-07-12 2021-07-12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791B1 true KR102378791B1 (ko) 2022-03-30

Family

ID=8094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062A KR102378791B1 (ko) 2021-07-12 2021-07-12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7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231A (ja) * 1994-10-21 1996-05-14 Toyo Cloth Kk 接着シート
KR20090111162A (ko) * 2008-04-21 2009-10-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고무조성물
KR100944767B1 (ko) 2009-04-03 2010-03-03 박민숙 건조감 및 의장성이 우수한 내마모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방수의류 및 의류봉제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272730B1 (ko) 2011-04-18 2013-06-07 주식회사 실론 투습 기능을 갖는 아웃도어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JP2017179195A (ja) * 2016-03-31 2017-10-05 セーレン株式会社 接着シート、接着テープ、繊維基材シート、衣料製品及び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231A (ja) * 1994-10-21 1996-05-14 Toyo Cloth Kk 接着シート
KR20090111162A (ko) * 2008-04-21 2009-10-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코어/쉘 형태의 나노실리카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고무조성물
KR100944767B1 (ko) 2009-04-03 2010-03-03 박민숙 건조감 및 의장성이 우수한 내마모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방수의류 및 의류봉제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272730B1 (ko) 2011-04-18 2013-06-07 주식회사 실론 투습 기능을 갖는 아웃도어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JP2017179195A (ja) * 2016-03-31 2017-10-05 セーレン株式会社 接着シート、接着テープ、繊維基材シート、衣料製品及び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EP1486323B1 (en) Laminated fabric
CZ2007692A3 (cs) Vrstvený výrobek a textilní výrobek vyrobený s jeho použitím
JP2002524303A (ja) 通気性かつ防水性の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157400A1 (ja) 積層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215617A1 (en) Waterproof and breathable microporous thermoplastic laminated fabric
CA2634482A1 (en) Impervious, steam-permeable multi-layer membrane
JPH0380885B2 (ko)
KR102378791B1 (ko)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KR100681388B1 (ko) 실리콘 코팅 이형원단의 제조 방법
KR20200002272A (ko) 투습방수성 아웃도어용 니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349890B1 (ko) 폴리우레탄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2263969B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113462298B (zh) 一种医用手术衣的热熔胶带及其制备方法
KR101152380B1 (ko) 통기성을 가지는 인조가죽의 제조방법
US20020055312A1 (en) Textile composition
JP2023522094A (ja) シームテープ、並びに関連する方法及び製品
TW201917244A (zh) 具自黏透氣不織布製程及其成品
KR102033860B1 (ko)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757409B1 (ko) 통기성을 가진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및 그 합성피혁
JP6509672B2 (ja) 積層布帛、シームテープ及びリペアパッチ、並びに医療用外衣
KR100343792B1 (ko) 통기성 필름의 접착방법
KR100710865B1 (ko) 내수압이 우수한 이중 복합 투습 방수직물의 제조방법
KR20200069984A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6461462B1 (en) Adhesive bo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