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860B1 -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860B1
KR102033860B1 KR1020180157628A KR20180157628A KR102033860B1 KR 102033860 B1 KR102033860 B1 KR 102033860B1 KR 1020180157628 A KR1020180157628 A KR 1020180157628A KR 20180157628 A KR20180157628 A KR 20180157628A KR 102033860 B1 KR102033860 B1 KR 10203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film
waterproof
double do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훈
차진섭
Original Assignee
(주)브리즈텍스
주식회사 실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리즈텍스, 주식회사 실론 filed Critical (주)브리즈텍스
Priority to KR102018015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60B1/ko
Priority to PCT/KR2019/016815 priority patent/WO2020116871A1/ko
Priority to EP19893592.6A priority patent/EP3892459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32B37/1292Application of adhesive selectively, e.g. in stripes, in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도트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원단에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에 적용되어 방수성 및 방풍성이 우수하고, 상기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having a double-dot-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아웃도어 의류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에 사용되는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직물 등 원단 기재의 일측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부착함으로서 아웃도어 의류용 기능성 원단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웃도어 의류는 대부분 투습방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류 내부의 땀 등의 수증기는 외부로 통과시켜 배출하고, 외부의 비 등의 수분은 의류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게 하는 투습방수성 필름을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의류에 부착함으로써, 비나 눈에 젖지 않고(waterproof) 땀은 배출시켜(breathable) 착용자의 체온조절을 돕고, 쾌적감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투습방수성 필름은 그 구조 내부에 굴곡성있는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방수성 및 방풍성이 저하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투습방수 원단은 방수, 방풍 기능보다는 투습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활동량이 증가하여 땀을 흘리는 경우에도 인체와 환경 간의 매개체로서 작용하여 열과 수분 등의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몸에서 나는 열과 땀을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기능은 우수하나, 상대적으로 방수성 및 방풍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착용자의 보온 기능이 함께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투습방수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아웃도어 의류는 보온성이 극히 떨어지게 되어 동절기에는 여러 겹의 의류를 겹쳐 입거나 원단 자체를 두텁게 하여 제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착용이 불편할 뿐더러 신축성이 저하되고, 아웃도어 의류의 제작 과정이 번거롭고 고비용의 생산비를 지출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아웃도어 의류의 착용시 활동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경량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투습방수 원단을 이용하여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경량화된 제품의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3437호(2017. 06. 08.)에는 직물 기저층; 및 상기 직물 기저층의 일면에 형성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기능층으로 이루어진 방풍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기능성 직물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4119호호(2010. 03. 05.)에는 안감원단층과; 상기 안감원단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전기방사에 의하여 제조되며, 그 평균직경이 100~2000nm임과 아울러 공극 평균직경이 0.5~5μm인 복수의 나노섬유사가 부직포 형태로 제조된 나노섬유 방수층과; 상기 나노섬유 방수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표면원단층;으로 구성되는 방수 원단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방수성 및 방풍성 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단은 원단 기재와 방수층의 접착시 사용하는 액상 접착제가 불균일한 도포 분포를 갖게 되어 접착력이 떨어지고, 액상 접착제가 직물층에 스며들게 되어 불규칙한 접착 상태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단 기재에 접착된 방수층의 박리 내구성이나 마모 내구성이 불량하고,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표면에 도트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원단 기재에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에 적용되어 방수성 및 방풍성이 우수하고, 보온성이 우수한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방수필름층(5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7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베이스층(25); 및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포함하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2중 도트층(60)으로 형성되며, 상기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내수압은 5,000 ~ 20,000 mmH2O이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프린트층(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EVA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층(25)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PVC 수지, EVA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2중 도트층(60)은 1 ~ 300 개/cm2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수필름층(50)의 두께는 5 μm ~ 300 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수성 원단은 원단 기재; 및 상기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은, 하부에 이형층(70)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베이스층(25)을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스캐터링하는 제 3 단계; 상기 베이스층(25) 상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 이외의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제 4 단계; 상기 베이스층(25) 상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열고착하여 핫멜트 접착층(30)을 형성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25) 및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냉각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평판 프레스 혹은 롤러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원단 기재에 열접착함으로써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봉제 공정시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방수성 및 방풍성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아웃도어용 의류의 제조 단계를 축소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원단을 합포하여 접착하는 방식 대비 친환경적이며, 또한 아웃도어 의류의 디자인 완성도를 높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외부로부터의 바람이나 물의 유입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이를 이용한 아웃도어 의류의 보온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뛰어난 충격흡수성을 갖는 등산복, 스키복 및 점퍼 등과 같은 다양한 스포츠 및 아웃도어 의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상부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도포공정에서 사용되는 상부 스크린 롤(120)의 모식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상부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도포공정에서 사용되는 상부 스크린 롤(120)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아웃도어 의류 등의 제조시 원단 기재에 접착함으로써, 상기 원단 기재에 방수성 및 방풍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층(5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7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베이스층(25); 및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층(25)의 상부에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2중 도트층(60)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저층을 이루는 방수필름층(50)이 필요하다. 상기 방수필름층(50)은 아웃도어 의류를 제조하기 위하여 원단 기재에 접착되어 상기 원단 기재에 방수성과 방풍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방수필름층(50)으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으로 제조되는 박막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필름층(50)의 두께는 5 μm ~ 300 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수필름층(50)의 두께가 5 μm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되는 아웃도어 의류의 경량성과 유연성은 우수하나, 상기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취급성 및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또한 방수필름층(50)의 두께가 300 μm 를 초과하게 되면 방수성 필름(100)을 적용한 아웃도어 의류의 촉감과 유연성이 불량하게 되고, 의류 제품의 경량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방수필름층(50)으로서는, 예컨대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필름층(50)을 사용하면, 제조되는 아웃도어 의류에 방수성과 방풍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옷 등과 같이 강한 방수성이 요구되는 의류에는 KS K 0591(직물의 내수도 시험방법 - 저수압법)으로 측정되는 내수압이 5,000 ~ 20,000 mmH2O를 갖는 방수필름층(5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이형층(70)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이형층(70)은 점착 성분 또는 접착 성분에 잘 붙지 않는 이른바 이형성을 갖는 필름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에 부착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을 보호하며 먼지 또는 이물 등에 의한 방수필름층(50)의 오염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의류의 제조가 완료되면 쉽게 박리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베이스층(2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25)은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를 이용하여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 공정시 상기 방수필름층(50)의 다른 원단과의 접착을 방지하고, 중력에 의한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공정성을 개선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층(25)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층(2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이 형성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방수필름층(50)을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원단 기재에 접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용융하여 원단 기재에 열접착하게 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물이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불휘발성, 불연성,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resin)를 사용하여, 열을 가하여 용융함으로써 액상으로 피착제에 도포된 후, 냉각 및 고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용융형 접착제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25)과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구비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은 2중 도트층(6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형성되는 2중 도트층(60)의 밀도는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상부 평면도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중 도트층(60)의 형성 밀도는 상기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표면의 1 cm2의 내부에 형성되는 2중 도트층(60)의 개수 즉, 단위 밀도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2중 도트층(60)의 단위 밀도는 1 ~ 300 개/ cm2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접착 특성의 측면에서 특히 30 ~ 220 개/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중 도트층(60)의 형성 밀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인치(inch) 길이의 선상에 일렬로 형성된 2중 도트층(60)의 개수 즉 선형 밀도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2중 도트층(60)의 선형 밀도는 7 ~ 50 개/인치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3 ~ 45 개/인치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단위 밀도 및 선형 밀도의 범위에서 2중 도트층(60)이 형성되면,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접착력이 가장 우수하게 형성됨으로서,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박리 내구성 및 마모 내구성이 우수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일측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에 무늬를 부여하는 프린트층(1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린트층(10)은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표면에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안감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웃도어 의류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제고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이후에 원단 기재에 열접착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방수성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에서 제 1 단계는 하부에 이형층(70)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에 이형층(70)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크린 롤(120)과 하부 롤(200)의 사이로 투입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 2 단계로서,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베이스층(25)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먼저, 회전하는 상부 스크린 롤(120)을 이용하여 베이스 수지를 용융하여 도트 형상으로 전사함으로써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베이스층(25)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단계는 특히 상부 스크린 롤(120)에서 베이스 수지를 용융한 후에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닥터 블레이드(150)를 통해서 상기 투습방수용 멤브레인(50)의 상부에 베이스 수지의 용융물을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여 베이스층(2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단계는 상부 스크린 롤(120)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을 이용하여 베이스 수지를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원단의 촉감과 드레이프(drape)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은 도 5와 같이 상기 베이스 수지가 용융되어 용출되는 유출공(15)이 1㎠당 30 ∼ 180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출공(15)의 직경은 350 ∼ 7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층(25)의 형성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을 통해 베이스 수지를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도포하여, 베이스층(2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베이스 수지의 양은 10 내지 30 g/㎡인 것이 바람직한데, 도포되는 베이스 수지의 30 g/m2 를 초과하게 되면 원단의 텍스처가 지나치게 경질화 되어 촉감이 저하되고, 10 g/m2 미만인 경우에는 결합강도가 불충분하여 세탁을 견디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방수필름층(50)과 원단 기재 간의 접착력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25)의 전사 속도는 분당 20 ∼ 30 미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수지의 용융 점도는 7,000 ∼ 45,000 cps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층(25)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수지를 적절한 온도를 가하여 용융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이후에는 제 3 단계로서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스캐터링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층(25)은 베이스 수지에 적당한 온도를 가하여 용융한 용융물로서,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에 의해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된다.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제 2 단계에서 도트 형상으로 전사된 베이스 수지의 용융물이 냉각되어 고화되기 전에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베이스층(25)의 상부로 스캐터링하게 된다.
즉, 호퍼(160)에 충진된 80 ~ 200 ㎛의 입자 크기를 갖는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스캐터링 롤(250)에 의해 상기 베이스층(25)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으로 공급하고, 이때 진동 브러시(251)가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로 스케터링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는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파우더 형상으로 스캐터링되어 아직 고화되지 않은 베이스층(25)의 상부에 안착함으로써 도트 형상의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형성한다.
이후에는 상기 베이스층(25) 상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 이외에 방수필름층(50) 상부 등에 스캐터링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석션장치(300)에 의해 석션함으로써 제거하는 제 4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베이스층(25)을 형성하는 베이스 수지는 도트 형상으로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전사된 후 고화되기 전 상태이므로, 상기 베이스층(25)에 스캐터링되어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는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부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층(25)에 안착하지 못하고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 등으로 낙하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는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석션장치(30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표면에서 제거된다.
그 다음으로는 베이스층(25)에 안착되지 못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가 제거된 방수필름층(50)이 텐터(350)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형성된 2중 도트층(60) 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상기 베이스층(25)과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30)을 열고착하는 제 5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텐터(350)의 온도 조건은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온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세팅되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는 용융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7 ~ 30 g/m2로 형성되는 것이 이후에 원단 기재에 열접착된 후 접착력이 가장 우수하게 형성됨으로서, 방수필름층(50)의 박리 내구성 및 마모 내구성이 우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이 7 g/m2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상기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가 원단 기재에 접착된 후 충분한 세탁 내구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봉제부분의 바늘 구멍을 완전하게 밀봉이 어렵게 됨으로써 방수성 및 방풍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이 30 g/m2을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원단 기재와 접착시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제조되는 의류의 촉감과 유연성이 불량하게 된다 .
상기와 같이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베이스층(25)을 도트 형상으로 전사한 후,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도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2중 도트층(60)의 형성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를 완료한 후에는 상기 베이스층(25)과 핫멜트 접착제층(30)으로 구성되는 2중 도트층(60)을 냉각하는 제 6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제 6 단계는 냉각롤(400)을 이용하여 상기 2중 도트층(60)을 냉각함으로써 이후에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단계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층(10)은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에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안감이 불필요하게 되며, 또한 아웃도어 의류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제고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프린트층(10)은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형성되며, 통상의 인쇄 방법 즉, 솔벤트 인쇄, 라텍스 인쇄, 토너 인쇄, 전사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프린트층(10)은 색상과 디자인을 나타내는 염료 외에 빛, 온도, 열, 물 등에 반응하는 다양한 염료들이 혼합되어 다양한 디자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린트층(10)은 날염용 잉크에 감온염료, 감광염료, 축광파우더, 자외선 차단제, 발수발유방수제, 광택제, 수성난연 페인트, 글래스비드, 광택제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의 사용에 의해 빛, 열, 자외선, 물 등의 외부 조건에 대해 특정 디자인 패턴이 보이거나 숨겨지게 되므로 디자인적인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 완료된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의류제조용 원단 기재에 열접착함으로써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봉제 과정에서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아웃도어용 의류의 제조 단계가 축소되고,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친환경적이며, 아웃도어 의류의 디자인 완성도를 높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70 : 이형층
50 : 방수필름층
120 : 상부 스크린 롤
200 : 하부 롤
150 : 닥터 블레이드
25 : 베이스층
251 : 진동 브러시
35 :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
160 : 호퍼
250 : 스케터링 롤
30 : 핫멜트 접착제층
300 : 석션장치
350 : 텐터
400 : 냉각롤

Claims (11)

  1. 원단 기재에 부착되어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로서,
    두께가 5 μm ~ 300 μm인 방수필름층(5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7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베이스층(25); 및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포함하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7 ~ 30 g/m2 으로 형성됨으로써 2중 도트층(60)으로 형성되며, 상기 2중 도트층(60)의 단위밀도는 30 ~ 220 개/cm2이고, 선형밀도는 7 ~ 40 개/inc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내수압은 5,000 ~ 20,000 mmH2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프린트층(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EVA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25)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PVC 수지, EVA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필름층(5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7. 삭제
  8. 삭제
  9. 원단 기재; 및
    상기 원단 기재의 일측에 열접착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를 포함하는 방수성 원단.
  10. 하부에 이형층(70)이 형성된 두께가 5 μm ~ 300 μm인 방수필름층(5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베이스층(25)을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베이스층(25)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스캐터링하는 제 3 단계;
    상기 베이스층(25) 상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 이외의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제 4 단계;
    상기 베이스층(25) 상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35)를 열고착하여 도트 형상으로 핫멜트 접착층(30)을 형성하여 2중 도트층(60)을 형성하되, 상기 2중 도트층(60)의 단위밀도는 30 ~ 220 개/cm2이고, 선형밀도는 7 ~ 40 개/inch 이며, 도포양은 7 ~ 30 g/m2으로 형성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25) 및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냉각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2중 도트층(60)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

KR1020180157628A 2018-12-07 2018-12-07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03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628A KR102033860B1 (ko) 2018-12-07 2018-12-07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9/016815 WO2020116871A1 (ko) 2018-12-07 2019-11-30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EP19893592.6A EP3892459A4 (en) 2018-12-07 2019-11-30 HEAT-SEALABLE WATERPROOF FILM STRUCTURE WITH COLON LAYER AND METHOD OF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628A KR102033860B1 (ko) 2018-12-07 2018-12-07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860B1 true KR102033860B1 (ko) 2019-10-17

Family

ID=6842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628A KR102033860B1 (ko) 2018-12-07 2018-12-07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92459A4 (ko)
KR (1) KR102033860B1 (ko)
WO (1) WO20201168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71A1 (ko) * 2018-12-07 2020-06-11 주식회사 브리즈텍스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205A (ko) * 2011-06-20 2012-12-28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9489B1 (ko) * 2014-02-20 2014-10-13 박진원 투습 및 발열이 가능한 보온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15013391A (ja) * 2013-07-03 2015-01-22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洗濯耐久性に優れたウイルスバリア性積層布帛
KR101500681B1 (ko) * 2013-10-02 2015-03-09 (주)득금티앤씨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119A (ko) 2008-08-25 2010-03-05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나노섬유를 이용한 방수원단
KR101733437B1 (ko) 2015-06-04 2017-05-08 안도근 기능성 직물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8779B1 (ko) * 2018-10-31 2019-10-31 (주)브리즈텍스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2033860B1 (ko) * 2018-12-07 2019-10-17 (주)브리즈텍스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205A (ko) * 2011-06-20 2012-12-28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13391A (ja) * 2013-07-03 2015-01-22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洗濯耐久性に優れたウイルスバリア性積層布帛
KR101500681B1 (ko) * 2013-10-02 2015-03-09 (주)득금티앤씨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KR101449489B1 (ko) * 2014-02-20 2014-10-13 박진원 투습 및 발열이 가능한 보온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71A1 (ko) * 2018-12-07 2020-06-11 주식회사 브리즈텍스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871A1 (ko) 2020-06-11
EP3892459A1 (en) 2021-10-13
EP3892459A4 (en)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7994B2 (ja) 繊維製品
JP5028047B2 (ja) 防風性、防水透湿性に優れる積層シート、それを用いた生地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2016124010A1 (zh) 一种复合胶涂覆机构及利用其实现花式反光材料的制备方法
KR102064101B1 (ko)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38779B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JP5179231B2 (ja) ランニングシューズ
KR102064092B1 (ko) 열접착이 가능한 아웃도어 의류용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033860B1 (ko) 2중 도트층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671B1 (ko) 투습방수 기능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TWI379930B (en)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048229B2 (ja) 防水透湿性繊維製品用積層体
TW201815559A (zh) 包覆羽絨材護膜結構及其製造方法
KR102263969B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WO2020116870A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079467B1 (ko)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03862B1 (ko) 금속판 도트를 이용한 냉감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감 원단
JP6422115B2 (ja) 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767863U (zh) 雨衣面料
JP2004155113A (ja) 保温・保冷性素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および衣服
CN107650477A (zh) 一种采用纤维材料制作而成的耐火布料
JPH0516168Y2 (ko)
JP3190772U (ja) 繊維製品用の微発熱フィルム体
CN108928071A (zh) 亲肤型防水保暖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