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707B1 - 중앙 피벗 영역 - Google Patents

중앙 피벗 영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707B1
KR102378707B1 KR1020207021335A KR20207021335A KR102378707B1 KR 102378707 B1 KR102378707 B1 KR 102378707B1 KR 1020207021335 A KR1020207021335 A KR 1020207021335A KR 20207021335 A KR20207021335 A KR 20207021335A KR 102378707 B1 KR102378707 B1 KR 10237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eadlamp
coupling member
support fram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064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야클
마르틴 훈겐도르퍼
마티아스 마이어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0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광 모듈들 또는 기타 광학 부품들을 설정하기 위해, 설정 장치(3)는, 헤드램프의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축(a1, a2)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광 모듈들 및 광학 부품들이 각각 그 내에 파지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11, 21)들을 공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설정 장치(3)는 액추에이터(31)를 통해 작동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이 기어부는 각각의 관절형 커플링들을 통해 지지 프레임(11, 21)들과 연결된다. 다중쉘 동심 볼 조인트(30) 내에서는 액추에이터(31)의 결합 부재(34) 및 지지 프레임(11, 21)들의 결합 부재(14, 24)들이 동심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1)의 결합 부재(14)는 제1 지지 프레임(11)과 고정되게 연결되는 반면, 나머지 지지 프레임(21)(들)의 경우에는 연계된 결합 부재(24)가 각각의 지지 프레임의 관절형 커플링(29)과 직접적으로, 또는 기어부에 의해 연결된다.

Description

중앙 피벗 영역
본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들 내에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광학 부품이 파지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요컨대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지지 프레임과;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pivoting)시킴으로써 지지 프레임들을 공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각각 관절형 커플링(articulated coupling)을 통해 지지 프레임들과 연결되어 액추에이터를 통해 작동되는 기어부(gearing)를 포함하는 설정 장치(setting device)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설정 가능한 광학 부품들, 특히 헤드램프에서 출사되는 광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는 광학 부품들을 포함하는 차량 헤드램프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잘 공지되어 있다. 광 모듈의 회동성은 예컨대 헤드램프의 조명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수평 회동), 또는 벤딩광(bending light)의 경우 추적하기 위해(수직 회동)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의 광학 부품들은 바람직하게는 광 모듈들이지만, 그러나 (각각) 하나의 광학 부품은 일반적으로 조명 유닛, 레이저 광원 또는 광 모듈 어셈블리와 같은 광 제공 컴포넌트(light-giving component)들로서, 또는 반사경, 렌즈, 또는 렌즈들 및/또는 반사경들의 조합물들과 같은 광 형성 컴포넌트(light-forming component)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라, 도로 사용자들, 차도 상태들, 사람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레이더, 라이다, 적외선 방출기/수신기 등) 및 카메라들 역시도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EP 2 796 320 A1호에는, 2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광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가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광 모듈은 커플링 메커니즘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상호 간에 연결되며, 커플링 메커니즘은 하나의 양측 레버와 2개의 커플링 로드(coupling rod)를 포함하며, 이들 레버 및 커플링 로드는 두 광 모듈의 공동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운동학적 커플링 체인을 형성한다. 추가로, 레버의 베어링 점(bearing point)도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광 모듈에 대한 반작용 없이 제2 광 모듈의 조정을 허용한다.
그러나 공지된 설정 시스템들은 커플링 메커니즘 내에 다수의 컴포넌트를 제공하며, 이는 커플링 메커니즘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보통, 광 모듈들 내지 지지 프레임들이 동일한 정도로 액추에이터를 통해 조정될 수 없음으로써 (2개 또는 그 이상의) 광 모듈들 내지 지지 프레임들의 조정 각도들 간에 소위 각도 오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선된 설정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설정 장치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광학 부품(특히 광 모듈)의 동시 조정을 가능하게 하되, 각도 오류들을 보상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가능성도 달성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헤드램프 내지 설정 장치에 있어서, 기어부가 다중쉘 동심 볼 조인트(multishell concentric ball joint)를 포함하며, 이 볼 조인트 내에서는 액추에이터의 결합 부재, 및 지지 프레임들 중 각각 하나와 연계된 결합 부재들은 동심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지지 프레임의 결합 부재는 제1 지지 프레임과 고정되게 연결되는 반면, 추가 지지 프레임들 내지 이들 각자의 경우 해당 지지 프레임과 연계된 결합 부재가 각각의 지지 프레임의 관절형 커플링과 직접적으로, 또는 기어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헤드램프 내지 설정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설정 장치의 기어부의 노드점(node point) 상에 결합되며, 요컨대 다중쉘 동심 볼 조인트 베어링 상에 결합된다. 노드점 상에는 동시에 동심 결합 부재들을 통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광 모듈 내지 지지 프레임의 작동 메커니즘들이 연결된다. 이렇게, 노드점 상에서는, 조인트 컴포넌트들의 양파껍질 유형의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술적 해결책은 설정 장치의 기어부 내에서 이동 가능한 컴포넌트들의 개수를 감소시키며, 이는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광 모듈(일반적으로 광학 부품)의 달성 가능한 설정의 정확성을 개선한다. 특히 동심 볼 조인트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통해, 액추에이터의 작동 이동이 상기와 같이 조정된 지지 프레임들(광 모듈들)의 조정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점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각도 오류들의 최대로 가능한 생략이 달성된다.
목적에 적합한 개선예에서, 각도 오류들의 방지를 위해, 추가로 유용하게는, 볼 조인트는 제1 지지 프레임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다. 이런 리세스는, 지지 프레임 내에서 파지되는 광학 부품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덮이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의 외면(outside) 상에 제공된다.
추가 지지 프레임들 중 제2 지지 프레임, 또는 대체로 각자의 지지 프레임은, 하부 기어부를 통해, 자신과 각각 연계된 결합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조정 장치를 통해 지지 프레임들의 동시 설정이 달성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의 변위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에 매칭되는 유형으로(경로 크기, 방향) 변환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각도 오류들의 저지를 추가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유형의 하부 기어부는, 이 하부 기어부의 커플링 부품의 베어링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장치의 메커니즘을 통해 다른 지지 프레임(들)에 작용하지 않으면서, 해당하는 지지 프레임의 추가 조정이 달성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하부 기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기어부(coupling gearing)로서, 별도로 개방형 운동학적 체인(open kinematic chain)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쉘 볼 조인트의 유용한 구성에서, 액추에이터의 결합 부재는 볼 조인트의 중심에 배치된 조인트 헤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헤드는 특히 액추에이터의 작동 로드의 단부편(end piece)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조인트 헤드는 상기 작동 로드 상에 예컨대 고정되게 장착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형일 수 있다. 볼 조인트의 작동 신뢰성이 있는 구조를 위해, 특히 볼 조인트의 조립된 상태에서 제1 지지 프레임의 결합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 결합 부재와 함께 조인트 헤드를 에워싸되, 볼 조인트에서부터 조인트 헤드를 빼내는 점은 형상 결합을 통해 저지되는 것인 또 다른 구현예가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들 내에서 파지되는 광학 부품들은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 광 모듈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형성예들 및 장점들과 함께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설정 장치를 포함한 헤드램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안쪽에 파지된 광 모듈들을 포함하여 실시형태의 설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설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설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자명한 사실로서, 여기서 기술되는 실시형태는 설명을 위해 이용될 뿐, 본 발명에 대해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통상의 기술자가 본 명세서를 근거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상기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 있다.
하기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에 대해, 보다 더 간단한 설명 및 도해를 목적으로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이용되는 도면부호들은 오직 특허청구범위의 판독성 및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할 뿐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특징을 갖지는 않아야 한다. 본원의 개시에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 "상부", "위쪽", "아래쪽", "전방", "수평으로", "수직으로"와 같은 공간 위치들의 용어들과 그에 상응하는 명칭들이 이용되는 부분들에서, 이는 오직 본원에 첨부된 도면들에 반영되는 것과 같은 헤드램프의 방향 설정에 관계되며, 그리고 자명한 사실로서, 방향 설정은 헤드램프 내지 그의 컴포넌트들의 실제 장착 위치에서 다른 방향 설정일 수 있지만, 이는 보호범위의 이탈에 대한 근거가 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에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로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가 매우 개략화된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헤드램프(1)는 자동차 헤드램프로서 형성된다. 헤드램프(1)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의 재료(예: 플라스틱) 및 윤곽형상은 각각의 적용에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을 위해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또한, 헤드램프(1)는 복수의-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광 모듈(10, 20)을 포함하며, 이들 광 모듈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 하나의 (설정 가능한) 광학 부품을 나타내며, 그리고 각각 연계된 지지 프레임(11, 21)들 내에 파지되어 있다. 예컨대 제1 광 모듈은 LED 로우빔 모듈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광 모듈(20)은 레이저 하이빔 모듈로서 형성된다. 자연히 광 모듈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유형일 수 있고 특히 다른 광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또 다른 광원 유형(예: 크세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 21)들 각자는 하우징(2)의 안쪽에서 적어도 하나의 회동축(a1, a2)(도 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컨대 수평축을 중심으로하는 피칭(pitching)을 통해, 결과적으로 광 모듈들에 의해 헤드램프 전방에 생성되는 광 패턴들의 조명 범위를 수정하기 위해, 광 모듈들의 기울기가 설정될 수 있다(소위 조명 범위 조절). 설정 장치(3)는 조명 범위 조절을 위해 지지 프레임(11, 21)들 및 그 안쪽에 파지된 광 모듈(10, 20)들을 동시에 설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설정 장치(3)는 예컨대 전기 구동되는 모터의 형태로 액추에이터(31)를 포함하며, 이 액추에이터는 기어부(32)를 작동하고, 이 기어부는 다시금 지지 프레임(11, 21)들에 작용한다.
도 2 ~ 4를 참조하면, 제1 광 모듈(10)은 제1 지지 프레임(11) 내에 파지되고 그 안쪽에 고정된다. 제1 지지 프레임(11)은 예컨대 2개의 베어링 점(12, 13)을 통해 하우징(2) 내에 장착되며, 그리고 베어링 점(12, 13)들을 통해 정의되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축(a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광 모듈(10)의 경동, 특히 기울임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축(a1)과 관련한 위치(기울기)는, 추가로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처럼, 상기 축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11)의 제3 베어링 점, 요컨대 커플링 위치(19)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 광 모듈(20)은 제2 지지 프레임(21) 내에 파지되고 그 안쪽에 고정되며, 예컨대 제1 광 모듈(10)의 아래쪽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예컨대 2개의 베어링 점(이들 중 도면들에는 단지 하나의 베어링 점(22)만이 확인 가능함)에 의해 하우징(2) 내에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 점들은, 제2 지지 프레임(21)이 회동될 수 있는 중심이 되는 바람직하게는 수평축(a2)을 정의한다. 따라서, 제2 광 모듈(20) 역시도 축(a2)을 중심으로 기울어질(경동될) 수 있으며, 축(a2)과 관련한 위치(기울기)는, 추가로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처럼, 지지 프레임(21)의 관절형 커플링(29)의 형태로 조인트 상기 축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커플링 위치(29)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프레임(21)은 제2 광 모듈(20)을 위한 방열판(heat sink)으로서도 이용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제1 지지 프레임(11)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미도시된) 실시 변형예들에서, 제1 지지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 모두는 각각 방열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두 지지 프레임은 냉각 작용 없이 제공된다. 지지 프레임들의 재료는 의도되는 적용에 따라서 선택되며, 예컨대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 재료 또는 경금속이 선택된다.
두 지지 프레임(11, 21)의 기울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액추에이터와 기어부(32)를 포함한 설정 장치(3)가 제공되며, 기어부는 언급한 커플링 위치(19, 29)들에서 각각의 관절형 커플링들을 통해 지지 프레임(11, 21)들과 연결된다.
액추에이터(31)는 예컨대 전기 작동식 선형 모터이다. 액추에이터(31)는 예컨대, 자신의 단부 상에 조인트 헤드(34)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작동 로드(33)를 구동한다. 조인트 헤드(34)는 볼 조인트(30) 내에 맞물려 있으며, 볼 조인트를 통해서는, 하기에 기술되는 것처럼, 액추에이터(31)의 이동 내지 작동 로드(33)의 위치가 제1 지지 프레임(11)을 포함한 기어부(32) 상으로 전달된다. 전기 구동 대신, 다른 해결책들 역시도 목적에 적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압 유형의 구동, 또는 피에조 모터를 통한 구동, 또는 예컨대 핸드휠(handwheel)을 통한 수동 구동 역시도 적합할 수 있다.
볼 조인트(30)는 본 발명에 따라서 기어부(32)의 노드점을 형성하며, 노드점을 통해서는 기어부에 의해, 액추에이터(31)를 통해 인가되는 작동 이동 내지 정확히 말하면 작동 변위는 지지 프레임들의 커플링 위치(19, 29)들의 상응하는 운동학으로 전달된다. 볼 조인트(30)는, 조인트 헤드(34) 외에도, 동심 배치 구조로 지지 프레임(11, 21)과 각각 연계된 결합 부재(14, 24)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지지 프레임(21)과 연결되는 ("제2") 결합 부재(24)는 안쪽 조인트 쉘(inner joint shell)로서 형성되고 L자형 커플링 부품(26)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안쪽 조인트 쉘(24)은 컵 모양의 형태를 보유하며, 그 내면은 볼 쉘 유형의 조인트 표면을 형성하며, 이 조인트 표면은 조인트 헤드(34)의 수용을 위한 볼 소켓을 형성한다. 이로써 안쪽 조인트 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안쪽 조인트 쉘(24)은 자신의 외면 상에 볼 헤드 유형의 조인트 표면을 포함하며, 이 조인트 표면은 안쪽으로 향해 있는 볼 쉘 유형의 조인트 표면과 동심으로 위치한다. 안쪽 조인트 쉘(24)은, 바깥쪽 조인트 쉘로서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11)의 ("제1") 결합 부재(14) 내에 수용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바깥쪽 조인트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안쪽 및 바깥쪽 조인트 연결부는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다중쉘 동심 볼 조인트를 형성한다. 도 4에는, 볼 조인트(30) 내에서 컴포넌트들의 위치를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조인트 쉘(14, 24)들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 결합 부재(14)는 제1 지지 프레임의 커플링 위치(19)에 삽입되고 그곳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견고한 고정을 통해, 볼 조인트(30)의 노드점에서 직접적인 베어링이 형성되며, 이는 각도 오류를 효율적으로 억제한다. 커플링 위치(19)는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 프레임(11)의 외면 상에, 예컨대 제1 지지 프레임의 하면 상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 상의 중심에 리세스로서 형성된다.
목적에 더 적합한 방식으로, 바깥쪽 조인트 쉘(14)은, 작동 로드(33)로 하여금 측면에서부터 내부 챔버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측면 슬롯(15)을 구비한 컵 모양의 윤곽형상을 보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안쪽 조인트 쉘(24)의 컵 모양의 형태에서, 측면 슬롯(25)이 제공될 수 있고, 작동 로드(33)는 상기 측면 슬롯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조인트 쉘(14, 24)들의 두 컵 모양 형태는 예컨대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a3)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동축이다. 조립 과정에서, 두 조인트 쉘(14, 24)은 상기 축(a3)을 따른 이동을 통해 상호 간에 끼워지며, 반면에 앞서 두 슬롯(15, 25)은 서로 겹쳐 정렬되고 볼 헤드(34)가 삽입되며, 그리고 그런 후에 두 조인트 쉘은 볼 조인트(30)의 중심에서 볼 헤드(34)를 에워싸며, 그리고 두 슬롯(15, 25)은 조인트의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겹쳐서 위치하여 윈도우부(44)(window)를 형성하며, 작동 로드(33)는 상기 윈도우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윈도우부(44)는 볼 헤드(34)의 지름보다 더 작다. 따라서, 볼 헤드(34)는, 부품(14, 24, 34)들을 통해 형성되는 볼 조인트(30)에서부터 빼내지지 않도록 형상 결합을 통해 고정된다. 이와 반대로, 액추에이터는 축(a3)에 대해 횡방향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액추에이터의 이동은, 볼 조인트 및 그 안쪽에 결합된 컴포넌트들, 다시 말해 결합 부재(14, 24)들의 운동학적 강제 이동을 야기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제2 결합 부재(24)는 (여기서는 안쪽 조인트 쉘로서) 커플링 부품(26)의 부분이다.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안쪽 조인트 쉘(24)의 수평 이동을 수직 이동으로 변환하며, 그리고 커플링 부재(27)를 통해서는 제2 지지 프레임(21)의 관절형 커플링(29)과 연결된다. 그렇게 하여, 하부 기어부는, 볼 조인트(30), 더 구체적으로는 조인트 쉘(24)의 변위를 관절형 커플링(29)으로 전달하고 이렇게 제2 지지 프레임(21)의 회동 이동으로 변환하는 커플링 메커니즘(28)의 형태로 형성된다. 커플링 부재(27)는 상기 조인트 연결부 상에서 수직 이동 동안 수평 방향으로 커플링 부품(26)과 관절형 커플링(29) 간의 유격(play)을 가능하게 한다.
간소화된 실시 변형예에서, 커플링 부재(27)는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커플링 부품과 일체형일 수 있다. 이는 추가로 기어부 컴포넌트들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 제2 결합 부재(24)는 커플링 부품(26)으로서 제2 지지 프레임의 관절형 커플링(29)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관절형 커플링(29) 상에서 경우에 따라 필요한 유격은 다른 조치들, 예컨대 슬롯 가이드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플링 메커니즘의 컴포넌트(26, 27)들은 예컨대 볼 헤드(34)를 포함한 작동 로드(33)와 동일하게 강재(예: 특수강)로 제조되는 반면, 바깥쪽 조인트 쉘(14)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또한, 기어부(32)는, 도 2 ~ 4에 도시된 것처럼, 커플링 메커니즘(28)을 위한 조정 장치(3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장치(35)는 예컨대 커플링 부품(26)의 조정 가능한 베어링(회전점)(23)을 형성한다. 베어링(23)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것을 통해, 광 모듈(11, 21)들 상호 간의 상대적 설정의 조정이 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조정 장치(35)는, 예컨대 헤드램프(1)의 조립 과정 동안, 핸드휠(36)을 통해 수동으로 설정된다; 자연히 일 변형예에서, 조정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도, 예컨대 액추에이터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조정 장치(35)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며, 그리고 예컨대 본원 출원인의 DE 10 2010 022 847호에 기술된 것처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의도되는 점에 한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광 패턴의 위치의 측면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축들을 중심으로, 예컨대 수직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지지 프레임들의 추가 회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장치들 역시도 제공될 수 있다.
자명한 사실로서, 본 발명은 본원에 제시된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컴포넌트(14, 24, 34)들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쉘 볼 조인트 내에서 자신들의 "양파껍질 유형의" 배치와 관련하여 또 다른 상대적 순서로 배치될 수 있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예컨대 두 조인트 쉘(14, 24)은 상호 간에 교체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1 결합 부재의 조인트 쉘은 제2 결합 부재의 조인트 쉘 내에 위치하며; 그 밖에도 안쪽 조인트 쉘은 연계된 지지 프레임의 커플링 위치와 고정되게 연결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구동부의 결합 부재는 조인트 쉘로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지지 프레임들 중 하나의 지지 프레임의 결합 부재는 중앙 조인트 헤드이다. 또한, 두 광 모듈 내지 지지 프레임의 역할들이 서로 바뀔 수 있다.

Claims (8)

  1. - 하우징(2)과;
    - 상기 하우징 내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들 내에서는 각각의 광학 부품(10, 20)이 파지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11, 21), 요컨대 제1 지지 프레임(11)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지지 프레임(21)과;
    - 하우징(2)에 상대적으로 축(a1, a2)을 중심으로 지지 프레임(11, 21)을 각각 회동시킴으로써 지지 프레임(11, 21)들을 공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장치(3)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로서,
    상기 설정 장치(3)는, 각각 관절형 커플링을 통해 지지 프레임(11, 21)들과 연결되어 액추에이터(31)를 통해 작동되는 기어부(32)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32)는 다중쉘 동심 볼 조인트(30)를 포함하며, 상기 볼 조인트 내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31)의 결합 부재(34), 및 상기 지지 프레임(11, 21)들 중 각각 하나와 연계된 결합 부재(14, 24)들은 동심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1)의 결합 부재(14)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1)과 고정되게 연결되며,
    추가 지지 프레임(21)들 각각의 경우 상기 추가 지지 프레임과 연계된 결합 부재(24)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의 관절형 커플링(29)과 직접적으로, 또는 기어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30)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1)의 리세스(19)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지지 프레임(21)들 각각은, 하부 기어부(28)를 통해, 자신들과 각각 연계된 결합 부재(2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어부(28)는, 상기 하부 기어부의 커플링 부품(26)의 베어링 위치(23)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장치(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어부(28)는 커플링 기어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1)의 결합 부재(34)는 상기 볼 조인트(30)의 중심에 배치된 조인트 헤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30)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1)의 결합 부재(14)는 하나의 추가 결합 부재(24)와 함께 상기 조인트 헤드(34)를 에워싸되, 상기 볼 조인트에서부터 상기 조인트 헤드(34)를 빼내는 점은 형상 결합을 통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품(10, 20)들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 광 모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KR1020207021335A 2017-12-27 2018-11-12 중앙 피벗 영역 KR102378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10716.1A EP3505396B1 (de) 2017-12-27 2017-12-27 Zentralschwenkbereich
EP17210716.1 2017-12-27
PCT/EP2018/080880 WO2019129415A1 (de) 2017-12-27 2018-11-12 Zentralschwenkberei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064A KR20200103064A (ko) 2020-09-01
KR102378707B1 true KR102378707B1 (ko) 2022-03-25

Family

ID=6085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335A KR102378707B1 (ko) 2017-12-27 2018-11-12 중앙 피벗 영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4266B2 (ko)
EP (1) EP3505396B1 (ko)
JP (1) JP6966648B2 (ko)
KR (1) KR102378707B1 (ko)
CN (1) CN111511603B (ko)
WO (1) WO2019129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2959B1 (fr) * 2019-11-13 2022-06-10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d’un véhicule automobile, en particulier un phare avant ou un projecteur de véhicule
CN111649298B (zh) * 2020-05-04 2022-08-16 广州星耀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前照灯调光功能的导向结构
KR20220167307A (ko) * 2020-05-26 2022-12-20 하스코 비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조광 기구, 차량용 램프 모듈, 차량용 램프 및 차량
FR3126359B1 (fr) * 2021-08-31 2023-10-06 Valeo Iluminacion Sa Dispositif de réglage pour transmettre unmouvement d'un ajusteur à un module d'éclairage et dispositiflumineux automobile
FR3128671B3 (fr) * 2021-10-29 2023-10-27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9131A1 (en) 2010-04-27 2011-10-27 Hella Kgaa Hueck & Co. Light modul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0805A (en) * 1988-12-16 1990-12-25 Mag Instrument, Inc. Flashlight holder clamp assembly
JPH10258676A (ja) * 1997-03-21 1998-09-29 Ichikoh Ind Ltd 前照灯における光軸調整装置
JP4694427B2 (ja) * 2006-07-05 2011-06-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KR101274447B1 (ko) * 2007-07-10 2013-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의 에이밍 장치
AT508605B1 (de) 2009-07-15 2012-07-15 Zizala Lichtsysteme Gmbh Verstell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optisch relevanten bauteiles eines fahrzeugscheinwerfers
DE102009033910B4 (de) * 2009-07-20 2020-07-02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AT513440B1 (de) * 2012-10-10 2015-05-15 Zizala Lichtsysteme Gmbh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207285A1 (de) 2013-04-22 2014-10-2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DE102013224334A1 (de) * 2013-11-28 2015-05-2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DE102015110553A1 (de) * 2015-07-01 2017-01-05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9131A1 (en) 2010-04-27 2011-10-27 Hella Kgaa Hueck & Co. Light modul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9415A1 (de) 2019-07-04
JP6966648B2 (ja) 2021-11-17
CN111511603B (zh) 2023-09-05
US11104266B2 (en) 2021-08-31
CN111511603A (zh) 2020-08-07
JP2021508923A (ja) 2021-03-11
EP3505396B1 (de) 2020-04-08
KR20200103064A (ko) 2020-09-01
EP3505396A1 (de) 2019-07-03
US20210221278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707B1 (ko) 중앙 피벗 영역
JP4001827B2 (ja) 車両用の前照灯
CN101162080B (zh) 车辆用灯具
US6550944B2 (en) Vehicle headlamp
US20080198614A1 (en) Vehicular lamp
CN103727478A (zh) 用于机动车的前照灯
JP5107813B2 (ja)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光軸調整システム
US7771063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preferably for motor vehicles
WO2011032057A1 (en) Improved optics for an automated luminaire
EP2163427B1 (en) Vehicle headlamp
US10551037B2 (en) Lighting device and scenographic proj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lighting devices
KR102300342B1 (ko) 제1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차량 헤드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부품을 회동시키기 위한 조정 시스템
US7052165B2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JP2003178609A (ja) 車両用前照灯
CN113423605A (zh) 用于机动车辆前灯的照明设备
US20160047533A1 (en) Optics for an automated luminaire
JP2021506649A5 (ko)
JPH086332Y2 (ja) 車両用投光器
JPH0698483B2 (ja) ろう付および溶接装置
CN214504017U (zh) 一种可调节扫描范围的激光扫描装置
JP2017056828A (ja) 車両用灯具
JP6817038B2 (ja) 車輌用前照灯
JPH0230370Y2 (ko)
JPH036961Y2 (ko)
JP2015015186A (ja) 車輌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