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986B1 -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86B1
KR102377986B1 KR1020210052600A KR20210052600A KR102377986B1 KR 102377986 B1 KR102377986 B1 KR 102377986B1 KR 1020210052600 A KR1020210052600 A KR 1020210052600A KR 20210052600 A KR20210052600 A KR 20210052600A KR 102377986 B1 KR102377986 B1 KR 10237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se
body parts
pressure
connection part
hos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석
Original Assignee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제작된 몸체부를 통해 고압 호스 연결부 및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와 연결된 고압 호스의 단부 전체를 감싸고, 각 고압 호스의 단부가 내측에서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압 호스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예기치 못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각 고압 호스가 고압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A COUPLING STRUCTURE FOR HIGH PRESSURE HOSE}
본 발명은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몸체부를 통해 고압 호스 연결부 및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와 연결된 고압 호스의 단부 전체를 감싸고, 각 고압 호스의 단부가 내측에서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압 호스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예기치 못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각 고압 호스가 고압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호스는 유체를 고압으로 공급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농업용수의 공급 및 물, 약제, 비료 등의 고압 분사를 위해서 농업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넓은 면적의 농지나 비닐하우스, 잔디밭, 골프장 등에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스프링클러(sprinkler)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스프링클러의 특성상, 고압으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고압 호스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때, 고압 호스의 길이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각 고압 호스의 단부를 서로 금속재의 연결부를 통해 연결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압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 압력은 매우 크기 때문에, 자칫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혹은 고압 호스의 단부와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볼트가 풀림으로써 고압 호스가 연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고압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작업자가 크게 다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공개실용신안 20-2013-0003511과 같이 한 쌍의 링 부재를 고압 호스의 링 단부에 위치시키고, 각 링 부재를 다수의 지지대를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유체 압력을 분산시켜 호스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된 상태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경우 각 링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얇은 지지대가 모두 지탱하여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링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대가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경우 링 부재 간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면서 고압 호스가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5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체형으로 제작된 몸체부를 통해 고압 호스 연결부 및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와 연결된 고압 호스의 단부 전체를 감싸고, 각 고압 호스의 단부가 내측에서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압 호스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예기치 못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각 고압 호스가 고압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는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고압 호스 연결부(1)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조임 고정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외측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임 고정부(130)가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조여지는 경우,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1)에 의해 연결된 제1 고압 호스(1a) 및 제2 고압 호스(1b)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고압 호스(1a)의 단부와 상기 제2 고압 호스(1b)의 단부가 각각 걸림 결합되기 위한 제1 걸림 턱(111, 121) 및 제2 걸림 턱(112, 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는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되, 결합면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결합면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상에는 내측에 수용된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 홀(110a, 120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을 감싸는 하나 이상의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형으로 제작된 제1 및 제2 몸체부를 통해 고압 호스 연결부 및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와 연결된 고압 호스의 단부 전체를 견고하게 감쌀 수 있으며, 고압 호스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예기치 못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각 고압 호스가 고압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몸체부에 형성된 노출 홀을 통해 외부에서 고압 호스 연결부의 연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누수 상태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를 감싸는 충격 보호용 밴드를 통해 몸체부가 바닥면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찍히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이때 충격 보호용 밴드의 경우 필요에 따라 몸체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든 새제품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압 호스 연결부(1)에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몸체부(120)에 고압 호스용 연결부(1)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에 결합되는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조임 고정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고압 호스 연결부(1)에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2 몸체부(120)에 고압 호스용 연결부(1)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는 크게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와 조임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에는 고압 호스 연결부(1) 및 고압 호스 연결부(1)에 연결된 제1 고압 호스(1a)와 제2 고압 호스(1b)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 공간은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외측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됨은 물론, 고압 호스 연결부(1)에 연결된 제1 고압 호스(1a) 및 제2 고압 호스(1b)의 각 단부와도 상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외측 형상에 상응하다는 의미는, 고압 호스 연결부(1),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가 이격되지 않고 정확히 밀착되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는 고압 호스 연결부(1),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가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내의 수용 공간에 완벽하게 밀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각각의 내측면에는 제1 고압 호스(1a)의 단부와 제2 고압 호스(1b)의 단부가 각각 걸림 결합되기 위한 제1 걸림 턱(111, 121)과 제2 걸림 턱(112, 122)이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는 금속재질의 너트 형상의 연결부재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 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걸림 턱(111, 121)에 제1 고압 호스(1a)의 단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제1 고압 호스(1a)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몸체부(11, 120)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 걸림 턱(112, 122)에 제2 고압 호스(1b)의 단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제2 고압 호스(1b)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 사이에는 고압 호스 연결부(1)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는 물론 고압 호스 연결부(1)가 절대 이탈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고압 호스 연결부(1)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는 제1 고압 호스 연결부(1)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압 호스의 분리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는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되, 결합면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결합면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는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외측을 감싸 커버하지만, 고압 호스 연결부(1)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서로 결합될 시 결합 영역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격 간격이 형성된 이유는, 후술되는 조임 고정부(130)에 의해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가 조여지는 경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조임 고정부(130)의 조임력에 의해 점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사이에 수용된 고압 호스 연결부(1),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고정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일측에는 내측에 수용된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 홀(110a, 120a)이 각각 형성된다.
노출 홀(110a, 120a)은 내측에 수용된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일부 영역이 외부에서 시인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현재 고압 호스 연결부(1)와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 간의 연결 상태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에는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을 감싸는 하나 이상의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가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에 결합되는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는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밴드 결합홀(110b, 120b)을 통해 일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밴드 결합홀(110b, 120b)은 단부가 뚫린 상태이기 때문에,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에 의해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는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으며,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100)가 바닥에 놓여지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가 모두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는 테프론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결합면에는, 서로 겹쳐진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어긋하지 않도록 하는 돌기(114, 124)와, 이에 상응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 홈(115, 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부(110)의 결합면에 돌기(114)가 위치될 경우, 이에 대향하는 제2 몸체부(120)의 결합면에는 돌기 홈(125)이 위치되고, 제1 몸체부(110)의 결합면에 돌기 홈(115)이 위치될 경우, 이에 대향하는 제2 몸체부(120)의 결합면에는 돌기(125)가 위치되는 것이다.
조임 고정부(130)는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조임 고정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조임 고정부(130)는 고리 형상을 가지면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볼트 결합되어 조여지게 된다.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는 나사선(110c, 120c)이 형성되는데, 이에 상응하도록 조임 고정부(130)의 내측면에도 나사선(13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 고정부(130)가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서 나사선(110c, 120c)에 볼트 결합되어 조여짐에 따라,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는 더욱 견고히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나사선(110c, 120c)에는 절개부(110d, 120d)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10d, 120d)에 의해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는 갈라진 상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조임 고정부(130)에 의해 조여지는 경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는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욱 조여지게 되고, 이는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와 더욱 밀착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만약,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 수용 공간에 고압 호스 연결부(1)와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 외경보다 수용 공간의 내경이 큰 경우에는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가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원발명은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직경 변경용 구조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경 변경용 구조체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각각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 수용 공간과 정확하게 일치되는 외경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 외경보다 수용 공간의 내경이 큰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직경 변경용 구조체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가 걸림 결합되기 위한 걸림 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직경 변경용 구조체 자체가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고압 호스 연결부 1a: 제1 고압 호스
1b: 제2 고압 호스
110: 제1 몸체부
110a: 노출 홀
110b: 밴드 결합홀
110c: 나사선
110d: 절개부
111: 제1 걸림 턱
112: 제2 걸림 턱
113: 충격 보호용 밴드
114: 돌기
115: 돌기 홈
120: 제2 몸체부
120a: 노출 홀
120b: 밴드 결합홀
120c: 나사선
120d: 절개부
121: 제1 걸림 턱
122: 제2 걸림 턱
123: 충격 보호용 밴드
124: 돌기
125: 돌기 홈
130: 조임 고정부
130a: 나사선

Claims (3)

  1.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고압 호스 연결부(1)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조임 고정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외측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임 고정부(130)가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조여지는 경우,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1)에 의해 연결된 제1 고압 호스(1a) 및 제2 고압 호스(1b)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고압 호스(1a)의 단부와 상기 제2 고압 호스(1b)의 단부가 각각 걸림 결합되기 위한 제1 걸림 턱(111, 121) 및 제2 걸림 턱(112, 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는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되, 결합면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결합면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 상에는 내측에 수용된 상기 고압 호스 연결부(1)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 홀(110a, 120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을 감싸는 하나 이상의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밴드 결합홀(110b, 120b)을 통해 일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 보호용 밴드(113, 123)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테프론 재질로 적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결합면에는, 서로 겹쳐진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가 어긋하지 않도록 하는 돌기(114, 124)와, 이에 상응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 홈(115, 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나사선(110c, 120c)에는 절개부(110d, 120d)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 외경보다 수용 공간의 내경이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외경이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내측 수용 공간에 대응되며, 내측에 제1 및 제2 고압 호스(1a, 1b)의 단부에 걸림 결합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되는 직경 변경용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10052600A 2021-04-22 2021-04-22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KR102377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00A KR102377986B1 (ko) 2021-04-22 2021-04-22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00A KR102377986B1 (ko) 2021-04-22 2021-04-22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986B1 true KR102377986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600A KR102377986B1 (ko) 2021-04-22 2021-04-22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9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594U (ko) * 1986-10-23 1988-05-09
KR960000444U (ko) * 1994-06-09 1996-01-17 식기 살균건조기의 슬라이드식 개폐문
KR20130003511U (ko)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압호스용 투-링 클램프
US20130257041A1 (en) * 2012-03-27 2013-10-03 Ags I-Prop, Llc Tube splicing device
US9482375B2 (en) * 2013-03-07 2016-11-01 Zbigniew Robert Paul Hos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pressurized hoses
KR200492318Y1 (ko) * 2019-03-05 2020-09-16 김광중 호스 이탈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594U (ko) * 1986-10-23 1988-05-09
KR960000444U (ko) * 1994-06-09 1996-01-17 식기 살균건조기의 슬라이드식 개폐문
KR20130003511U (ko)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압호스용 투-링 클램프
US20130257041A1 (en) * 2012-03-27 2013-10-03 Ags I-Prop, Llc Tube splicing device
US9482375B2 (en) * 2013-03-07 2016-11-01 Zbigniew Robert Paul Hos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pressurized hoses
KR200492318Y1 (ko) * 2019-03-05 2020-09-16 김광중 호스 이탈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31681B2 (en) Coupling for explosion-proof connection of two electric line ends
KR20100037192A (ko) 밸브 고정장치
KR102377986B1 (ko)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US20180224032A1 (en) Termination for Sheathed Tubing with Leak Containment and Detection Provisions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RU2006111269A (ru) Базовый компонент защитного корпуса и элемент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этого компонента
KR102338036B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튜브 방수 구조체
KR101636798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KR101231873B1 (ko) 너트 풀림 방지 장치
US20170110224A1 (en) Cable fixator
KR10081467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06563B1 (ko) 폴리에틸렌 이음관
KR20160027601A (ko) 수목용 지지장치
ITMI20102206A1 (it)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di tubi di derivazione ad un tubo principale in impianti di irrigazione
EA201100477A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и защитное кольцо для него
KR101346839B1 (ko) 클램프
CN111430974B (zh) 具有保护盖的防水连接器
JP2018110623A (ja) 消防用媒介金具及び消防用器具
KR200443934Y1 (ko) 배선관용 커넥터
KR101783973B1 (ko) 광케이블 접속지점 보호용 접속 슬리브
KR200494271Y1 (ko) 튜브 고정 소켓
KR102327589B1 (ko) 회전커버를 구비하는 배전 케이블 연결커플러
KR20130040077A (ko) 호스 연결장치
KR102181354B1 (ko) 조립형 파이프장치
KR102286154B1 (ko) 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