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318Y1 - 호스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318Y1
KR200492318Y1 KR2020200000504U KR20200000504U KR200492318Y1 KR 200492318 Y1 KR200492318 Y1 KR 200492318Y1 KR 2020200000504 U KR2020200000504 U KR 2020200000504U KR 20200000504 U KR20200000504 U KR 20200000504U KR 200492318 Y1 KR200492318 Y1 KR 200492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se
coupling
diamet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010U (ko
Inventor
김광중
Original Assignee
김광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중 filed Critical 김광중
Publication of KR20200002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는 고압호스로 제공되는 제1 호스와 제2 호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호스 이탈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바디; 상기 연결부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스 이탈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BREAK AWAY OF HOSE}
본 고안은 호스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압호스는 유압 기기, 워터젯 장치, 에어 그라인더 등의 장치에 유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관으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각종 장치와 고압호스의 연결 또는 고압호스끼리의 연결을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할 호스의 각 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호스 커플링을 결합한 후, 양쪽에 수나사가 형성된 연결 니플을 호스 커플링의 암나사에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압호스는 예를 들면 300kg/cm2 내지 3000kg/cm2의 고압에서 사용되므로, 고압호스를 연결하는 커플링과 연결 니플의 체결력이 견고하더라도, 고압호스를 지나는 유체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고압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부압력에 의해 상호 연결된 고압호스가 분리되는 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원인 외에도, 고압호스를 사용하는 작업 현장 특성상 중장비들이 수시로 지나다니게 되는데, 중장비가 고압호스의 연결부위를 밟고 지나가는 경우, 고압호스의 연결부가 파손되어 상호 연결된 고압호스가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압호스의 사용 중 고압호스가 분리되는 경우, 고압호스로부터 분출되는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고압호스가 요동치거나 작업위치로부터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호스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고압이 인가된 호스가 주변의 작업자를 타격하여 2차적인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589578호 (2016.01.22.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압호스의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호스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호 연결된 고압호스가 분리 또는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호스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압호스로 제공되는 제1 호스와 제2 호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호스 이탈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바디; 상기 연결부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합체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함으써 상기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되, 상기 연결부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호스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커플링; 제2 호스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커플링; 및 상기 제1 커플링과 상기 제2 커플링을 결합하는 연결 니플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홈은 상기 제1 커플링과 상기 제2 커플링과 상기 연결 니플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홈의 경계에는 걸림턱이 제공되며, 상기 걸림턱의 외측은 상기 홈의 소재보다 마모에 강한 소재로 코팅되고, 상기 제1 커플링은 상기 제1 호스와 연결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연결 니플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플링은 상기 제2 호스와 연결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연결 니플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홈은, 상기 제1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1 홈;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2 홈;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연결 니플과 상기 제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3 홈; 상기 제3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4 홈; 상기 제2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5 홈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홈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홈의 직경은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직경은 상기 제1 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4 홈의 직경은 상기 제5 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제1 홈의 직경과 상기 제5 홈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직경과 상기 제4 홈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홈은 대칭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양쪽 단부에는 수나사가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제공되어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와 외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합체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공되고, 합체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제공되는 호스 이탈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는 고압호스의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호 연결된 고압호스가 분리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1 호스와 제2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가 호스의 연결부에 장착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제1 바디를 홈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제1 바디를 홈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제1 호스와 제2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결부(C)는 제1 커플링(C1)과 연결니플(N)과 제2 커플링(C2)을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고압 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호스(H1)와 연결되는 제1 커플링(C1) 및 제2 호스(H2)와 연결되는 제2 커플링(C2)을 연결 니플(N)의 양측에 결합함으로써, 제1 호스(H1)와 제2 호스(H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플링(C1) 및 제2 커플링(C2)의 각 단부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연결 니플(N)의 양 단부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체결을 통해 제1 커플링(C1)과 연결 니플(N)과 제2 커플링(C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호스(H1)와 제2 호스(H2)가 연결 니플(N)에 의해 상호 연결되었을 때, 제1 호스(H1)와 제2 호스(H2)가 유체 또는 기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 니플(N)에는 연결 니플(N)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S)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1)는 상기와 같이 나사 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연결부(C)를 구비하는 바, 고압호스로 제공되는 제1 호스(H1) 및 제2 호스(H2)의 연결 해제를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C1)은, 제1 호스(H1)와 연결되는 제1 부분(P1)과, 연결 니플(N)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C2)은, 제2 호스(H2)와 연결되는 제3 부분(P3)과, 연결 니플(N)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4 부분(P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커플링(C1) 및 제2 커플링(C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부분(P3)과 제4 부분(P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가 연결부에 결합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1)는, 2개 이상의 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C)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 이탈 방지 장치(1)를, 특히 고압 호스의 연결부에 적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고압 호스 외의 다른 종류의 호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적용 가능한 호스 이탈 방지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커플링과 연결 니플을 이용하여 호스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장치를 이용한 호스의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호스 이탈 방지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호스 이탈 방지 장치(1)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와,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에는 연결부(C)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 개의 홈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에는, 제1 홈(11)과, 제2 홈(12)과, 제3 홈(13)과, 제4 홈(14)과, 제5 홈(15)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11)과 제2 홈(12)과 제3 홈(13)과 제4 홈(14)과 제5 홈(15)은 각각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되면, 제1 바디(10)에 형성된 홈과 제2 바디(20)에 형성된 각각의 홈이 결합되어 원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홈(11, 12, 13, 14, 15)의 내부 형상은 반원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각형 형상을 이등분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홈(11)과 제2 홈(12)과 제3 홈(13)과 제4 홈(14)과 제5 홈(15)은 정육각형 형상을 이등분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서로 마주 보는 홈은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2 바디(20)의 복수 개의 홈들도 정육각형 형상을 이등분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합체되면, 내부의 홈들이 정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통상적인 커플링과 니플이 정육각형 형상을 이루므로,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과 연결 니플(N)이 정육각형 형상을 이루는 홈들에 수용되어, 연결부(C)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홈(11)은 제1 호스(H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홈(11)의 직경은 제1 호스(H1)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호스(H1)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홈(12)은 제1 부분(P1)을 적어도 일부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홈(12)의 직경은 제1 부분(P1)의 둘레의 최대값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부분(P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3 홈(13)은, 제2 부분(P2)과 연결 니플(N)과 제4 부분(P4)을 적어도 일부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3 홈(13)의 직경은, 제2 부분(P2)과 연결 니플(N)과 제 4부분(P4)의 둘레 중 최대 값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분(P2)과 연결 니플(N)과 제4 부분(P4) 중 적어도 하나가 제3 홈(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4 홈(14)은 제3 부분(P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4 홈(14)의 직경은 제3 부분(P3)의 둘레의 최대값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부분(P3)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5 홈(15)은 제2 호스(H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5 홈(15)의 직경은 제2 호스(H2)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호스(H2)가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홈들의 직경이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과 연결 니플(N)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됨으로써,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과 연결 니플(N)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C1, C2)과 연결 니플(N)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호스(H1)와 제2 호스(H2)가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제3 홈(13)의 직경은 제2 홈(12)의 직경 및 제4 홈(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12)의 직경은 제1 홈(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4 홈(14)의 직경은 제5 홈(1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홈의 경계에는 걸림턱(16)이 제공될 수 있으며, 걸림턱(16)에 의해 연결부(C)의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3 홈(13)의 직경이 제2 홈(12)의 직경 및 제4 홈(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홈(12)의 직경이 제1 홈(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4 홈(14)의 직경이 제5 홈(1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걸림턱(16)은 단면상 제3 홈(13)을 기준으로 중앙에서 양단부 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16)은 호스(H1, H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룰 수 있고, 이에 의해 연결부(C)의 구성이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의 양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걸림턱이 형성되는 바, 하나의 홈과 그 외측에 형성된 홈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이란 바디(10, 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11)과 제2 홈(12)의 경계에는 제1 걸림턱(16a)이 제공됨으로써, 제1 부분(P1)의 제1 호스(H1) 측 단부가 제1 걸림턱(16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부분(P1)이 제1 호스(H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12)과 제3 홈(13)의 경계에는 제2 걸림턱(16b)이 제공됨으로써, 제2 부분(P2)의 제1 호스(H1) 측 단부가 제2 걸림턱(16b)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분(P2)이 제1 호스(H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5 홈(15)과 제4 홈(14)의 경계에는 제4 걸림턱(16d)이 제공됨으로써, 제3 부분(P3)의 제2 호스(H2) 측 단부가 제4 걸림턱(16d)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부분(P3)이 제2 호스(H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4 홈(14)과 제3 홈(13)의 경계에는 제3 걸림턱(16c)이 제공됨으로써, 제4 부분(P4)의 제2 호스(H2) 측 단부가 제3 걸림턱(16c)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4 부분(P4)이 제2 호스(H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호스(H1)의 직경과 제2 호스(H2)의 직경이 동일할 경우, 제1 홈(11)의 직경과 제5 홈(15)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제2 홈(12)의 직경과 제4 홈(14)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홈의 직경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호스(H1)의 직경이 제2 호스(H2)의 직경보다 큰 경우, 제1 홈(11)의 직경은 제2 홈(12)의 직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홈(11, 12, 13, 14, 15)의 직경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16)의 높이는 1cm 내지 5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cm 내지 4cm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cm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C)의 각각의 구성들이 제1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중앙부를 기준을 양단부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고압 호스(H1, H2)의 연결부(C)의 연결 해제를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이뤄질 수 있다.
제2 바디(20)는 연결부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20)의 홈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바디(10)의 복수 개의 홈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되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서로 마주보는 홈은 대칭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20)에 형성된 각각의 홈들은 상술한 제1 바디(10)의 제1 홈(11)과 제2 홈(12)과 제3 홈(13)과 제4 홈(14)과 제5 홈(15)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바디(10)의 복수 개의 홈과 제2 바디(20)의 복수 개의 홈 각각은 반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되면, 각각의 홈들이 마주보게 제공됨으로써, 원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합체되어, 결합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홈 내부에 연결부(C)가 수용됨으로써, 호스 이탈 방지 장치(1)는 연결부(C)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재(30)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의 양단부에는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재(30)의 내측 홈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을 통해 결합부재(30)에 의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30)에 의해 합체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30)는 연결부(C)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연결부(C)의 연결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30)에 의해 합체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C)와 외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의 이물질들이 연결부(C)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를 분리 후, 호스끼리의 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때, 호스와 연결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합체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연결부(C)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외측 표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합체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연결부(C)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소재는 외부의 충격 또는 중장비의 하중을 결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합체되고 결합부재(30)의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부재(30)에 의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제1 바디(1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4의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홈의 개수에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제1 바디를 홈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에는 3 개의 홈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10')는, 제1 홈(11')과, 제2 홈(12')과, 제3 홈(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11')과 제2 홈(12')과 제3 홈(13')은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홈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바디(10')의 3개의 홈은 각각 연결부(C)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11')은 제1 호스(H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12')은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과 연결 니플(N)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홈(12')의 직경은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과 연결 니플(N)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을 통해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과 연결 니플(N)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홈(13')은 제2 호스(H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홈(11')은 제1 호스(H1)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홈(12')은 제2 호스(H2)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호스(H1) 및 제2 호스(H2)가 홈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호스(H1)의 직경과 제2 호스(H2)의 직경이 동일할 경우, 제1 홈(11')의 직경과 제3 홈(13')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홈(12')의 직경은 제1 홈(11') 및 제3 홈(13')의 직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홈(11', 12', 13')의 각각의 경계에 걸림턱(16')이 제공될 수 있으며, 걸림턱(16')에 의해 연결부(C)의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11')과 제2 홈(12')의 경계에는 제1 걸림턱(16a')이 제공됨으로써, 제1 커플링(C1)의 제1 호스(H1) 측 단부가 제1 걸림턱(16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커플링(C1)이 제1 호스(H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12')과 제3 홈(13')의 경계에는 제2 걸림턱(16b')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커플링(C2)의 제2 호스(H2) 측 단부가 제2 걸림턱(16b')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커플링(C2)이 제2 호스(H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제1 바디(1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돌출돌기가 제공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4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의 제1 바디를 홈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의 제2 홈(12')의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돌기(17'')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돌출돌기(17'')의 개수는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돌기(17'')의 위치는,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과 연결 니플(N)이 제2 홈(12')의 내부에 수용될 때,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사이 또는 제3 부분(P3)과 제 4 부분(P4)의 사이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커플링(C1) 및 제2 커플링(C2)이 돌출돌기(17')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커플링(C1)과 제2 커플링(C2)의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고안의 호스 이탈 방지 장치(1)는 고압호스의 내부압력 또는 고압 호스의 외부환경에 의해 고압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C1, C2)과 연결 니플(N)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C)의 축 방향 이동 및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고압호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C1, C2)과 연결 니플(N)의 결합이 해제되어 연결되어있던 고압호스가 분리되더라도, 고압호스가 요동치며 멀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된 고압호스로 인해 추가로 발생될 수 있는 2차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이탈 방지 장치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호스 이탈 방지 장치
10, 10', 10'': 제1 바디
11, 11': 제1 홈 12, 12': 제2 홈
13, 13': 제3 홈 14: 제4 홈
15: 제5 홈 16, 16': 걸림턱
17'': 돌출돌기 20: 제2 바디
30; 결합부재
H1: 제1 호스 H2: 제2 호스
C: 연결부 C1: 제1 커플링
C2: 제2 커플링 N: 연결 니플
P1: 제1 부분 P2: 제2 부분
P3: 제3 부분 P4: 제4 부분

Claims (1)

  1. 고압호스로 제공되는 제1 호스와 제2 호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호스 이탈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바디;
    상기 연결부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합체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함으써 상기 연결부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되,
    상기 연결부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호스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커플링;
    제2 호스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커플링; 및
    상기 제1 커플링과 상기 제2 커플링을 결합하는 연결 니플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홈은 상기 제1 커플링과 상기 제2 커플링과 상기 연결 니플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홈의 경계에는 걸림턱이 제공되며,
    상기 걸림턱의 외측은 상기 홈의 소재보다 마모에 강한 소재로 코팅되고,
    상기 제1 커플링은 상기 제1 호스와 연결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연결 니플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플링은 상기 제2 호스와 연결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연결 니플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홈은,
    상기 제1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1 홈;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2 홈;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연결 니플과 상기 제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3 홈;
    상기 제3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4 홈;
    상기 제2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제공되는 제5 홈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홈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홈의 직경은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직경은 상기 제1 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4 홈의 직경은 상기 제5 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제1 홈의 직경과 상기 제5 홈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직경과 상기 제4 홈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홈은 대칭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양쪽 단부에는 수나사가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제공되어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와 외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합체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공되고,
    합체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제공되는 호스 이탈 방지 장치.
KR2020200000504U 2019-03-05 2020-02-13 호스 이탈 방지 장치 KR2004923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5363 2019-03-05
KR1020190025363 2019-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10U KR20200002010U (ko) 2020-09-15
KR200492318Y1 true KR200492318Y1 (ko) 2020-09-16

Family

ID=7247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504U KR200492318Y1 (ko) 2019-03-05 2020-02-13 호스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86B1 (ko) * 2021-04-22 2022-03-23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736A (en) 1978-05-01 1980-12-02 Turnbuckle Products Corporation Hose coupling
US5825963A (en) 1995-09-01 1998-10-20 Lucent Technologies Inc. Sub-surface fiber optic splice housing and method of splicing fiber optic cable
US20130257041A1 (en) 2012-03-27 2013-10-03 Ags I-Prop, Llc Tube splicing device
US9482375B2 (en) 2013-03-07 2016-11-01 Zbigniew Robert Paul Hos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pressurized hos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10A (ja) * 1994-02-23 1995-09-05 Nec Eng Ltd コネクタの弛止め装置
KR101589578B1 (ko) 2014-11-10 2016-01-29 장현연 분리방지용 안전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와 배관의 안전연결구조
US11022242B2 (en) * 2015-10-30 2021-06-01 Fujikin Incorpor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pipe connection unit, and connection method of pi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736A (en) 1978-05-01 1980-12-02 Turnbuckle Products Corporation Hose coupling
US5825963A (en) 1995-09-01 1998-10-20 Lucent Technologies Inc. Sub-surface fiber optic splice housing and method of splicing fiber optic cable
US20130257041A1 (en) 2012-03-27 2013-10-03 Ags I-Prop, Llc Tube splicing device
US9482375B2 (en) 2013-03-07 2016-11-01 Zbigniew Robert Paul Hos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pressurized ho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86B1 (ko) * 2021-04-22 2022-03-23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고압 호스용 커플링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10U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491B2 (en) Small handling pole locking assembly
US5597260A (en) Pin retention system
KR100877545B1 (ko) 신속 연결식 커플링
CA2933051C (en) A swivelling joint
US7469933B2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disconnect lock
US20130069366A1 (en) Shear element for a coupling
CA2797176C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BR112017013103B1 (pt) Porca segmentada
KR200492318Y1 (ko) 호스 이탈 방지 장치
KR20180007435A (ko) 소방호스 연결커플링유닛
US9732892B2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a self-resetting retention mechanism
EP3470722B1 (en) Flange assembly
US4955749A (en) Swivel connector
JP2008144959A (ja) 管継手、係合解除工具及び管継手装置
JP5982184B2 (ja) 伸縮可撓継手
KR101231873B1 (ko) 너트 풀림 방지 장치
JP5818855B2 (ja) 管継手
PL206811B1 (pl) Osprzęt rurowy
KR102032903B1 (ko) 이탈방지용 원터치 탈착구조를 갖는 전선관용 연결구
KR20230066637A (ko) 분해 방지 연결 부재 및 분해 방지 연결 어셈블리
AU2023233081B2 (en) Swivelling Joint
KR20200043881A (ko) 에어 커플러 잠금 및 해제 장치
FI128310B (en) Device to reduce cable tension
KR20170003146U (ko) 로프 연결 유닛
JP2006129971A (ja) 消防ホース継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