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852B1 -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 Google Patents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852B1
KR102377852B1 KR1020210078296A KR20210078296A KR102377852B1 KR 102377852 B1 KR102377852 B1 KR 102377852B1 KR 1020210078296 A KR1020210078296 A KR 1020210078296A KR 20210078296 A KR20210078296 A KR 20210078296A KR 102377852 B1 KR102377852 B1 KR 102377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line
skin layer
user
w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피에이인터네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이인터네셔널 filed Critical (주)피에이인터네셔널
Priority to KR102021007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852B1/ko
Priority to PCT/KR2022/008482 priority patent/WO20222653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33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하고, 가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두상 및 이마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라인부를 포함하는 스킨층; 상기 스킨층에 제1방향으로 식재되며 복수개의 제1모발을 포함하는 제1모발부; 및 상기 스킨층에 제2방향으로 식재되며 복수개의 제2모발을 포함하는 제2모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발부와 제2모발부는 상기 라인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되며, 상기 스킨층의 라인부가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PARTIAL WIGS FOR HAIRLINE}
본 발명은 잔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탈모, 흉터, 화상 등으로 인해 두피가 드러난 부위를 보완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탈모를 감추기 위한 용도에만 한정하지 않고 머리에 볼륨감을 주거나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장식용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가발은 사용자의 머리 형태로 된 외부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가발 캡과 상기 가발 캡에 부착된 다수의 모발을 포함한다. 상기 가발 캡은 주로 망사로 형성되고, 가발에는 똑딱이, 핀 등과 같은 고정부가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가발 및 시중에 판매되는 가발은 사용자의 머리 전체에 덮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주로 탈모 전체 부위를 가리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쉽게 구분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앞머리로 이마를 가리는 스타일 밖에는 연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앞머리나 뒷머리가 부자연스럽게 연출되어 상대방이 가발임을 쉽게 눈치채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 머리를 부분적으로 연출하고 싶은 경우에는 이에 적합한 가발이 없어서 머리 전체를 덮는 통가발을 사용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이마와 모발부의 경계선에 잔머리를 풍성하게 연출하고 싶은 경우, 통가발에 식재되는 앞머리 쪽의 모발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통가발에 식재되는 앞머리 쪽 모발은 전체 모발의 두께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되고, 뒷머리 모발을 지지하기 때문에, 잔머리와 같은 두께가 얇은 모발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고, 원하는 스타일로 연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연출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는 부분 가발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8097호(2012.03.29.)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스러운 가르마 스타일과 잔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두께의 스킨층에 의해 착용감이 우수하고, 자연스러운 두피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부분적인 탈모 부위를 보완할 수 있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마, 뒷목, 귀 주변과 두피 사이의 모발이 시작되는 경계선, 귀 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인 구렛나룻이 위치하는 부위, 목 뒷부분의 움푹 들어간 지점에서부터 그 아랫 목 부분의 모발인 네이프 잔머리가 위치하는 부위에 탈부착될 수 있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두상 및 이마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라인부를 포함하는 스킨층; 상기 스킨층에 제1방향으로 식재되며 복수개의 제1모발을 포함하는 제1모발부; 및 상기 스킨층에 제2방향으로 식재되며 복수개의 제2모발을 포함하는 제2모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발부와 제2모발부는 상기 라인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되며, 상기 스킨층의 라인부가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모발부와 제2모발부는 상기 라인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식재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발부의 평균 길이는 제2모발부의 평균 길이보다 짧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모발부의 평균 두께는 제2모발부의 평균 두께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0.2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의 길이가 대략 35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스킨층 하부면에 점착 테이프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스킨층 하부면에 점착액을 도포하여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자연스러운 가르마 스타일과 잔머리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얇은 두께의 스킨층에 의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자연스러운 두피 색상을 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두상 및 이마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사용자의 부분적인 탈모 부위를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모발을 한 가닥씩 뽑아 올리는 무매듭 특수공법에 의해, 모발이 식재된 부분이 통풍력을 극대화하여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실제 사진(a) 및 평면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 변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삼각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일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진 막대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진 막대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부분 가발의 실제 사진이다.
도 15는 도 14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일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18은 도 16의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머리(두피) 전체를 덮는 통가발과는 다르게, 사용자 헤어라인의 일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잔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으며, 가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두상 및 이마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헤어라인"은 사용자의 이마, 뒷목, 귀 주변과 두피 사이의 모발이 시작되는 경계선, 귀 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인 구렛나룻이 위치하는 부위, 목 뒷부분의 움푹 들어간 지점에서부터 그 아랫 목 부분의 모발인 네이프 잔머리가 위치하는 부위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두상 및 모발 상태에 따라 헤어라인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이마와 모발 사이의 경계면, 귀 측면 피부와 모발 사이의 경계면, 뒷목과 모발 사이의 경계면, 구렛나룻이 위치하는 부위, 네이프 잔머리가 위치하는 부위 등에 탈부착 가능한 부분 가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잔머리"는 사용자의 모발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모발의 두께가 얇고 길이가 짧은 모발을 의미하고, 주로 헤어라인에 위치하는 모발을 의미한다. 잔머리의 사전적 의미로는 머리에서 몇 오라기 빠져나온 짧고 가는 머리카락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모발"이란 가발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모발을 의미한다. 또한 "인조 모발"이란 인모(사람의 모발) 또는 인조모, 가모(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인조 모발)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모발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인조 모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인모로 만들어진 가발이 권리 범위에서 배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실제 사진(a) 및 평면도(b)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라인부(A)를 포함하는 스킨층(10), 상기 스킨층(10)에 제1방향으로 식재되는 제1모발부(20), 및 상기 스킨층(10)에 제2방향으로 식재되는 제2모발부(30)를 포함한다. 제1모발부(20)는 잔머리를 연출하기 위한 용도로 식재되고, 제2모발부(30)는 사용자의 모발에 함께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모발에 연결되어 뒷머리로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다.
스킨층(10)은 인체의 피부조직과 유사한 촉감과 유사한 색상을 갖는 투명한 소재일 수 있으며,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특히 스킨층(10)은 기존의 두꺼운 인조 스킨의 두께의 1/10 정도 두께를 갖는 초극박의 스킨층으로, 사용자 피부에 부착되었을 때 완벽한 이마 라인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층(10)은 인체공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피부와 완벽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층(10)은 기존의 투박한 망사 가발과는 달리 자연스러운 투명감으로 사용자의 피부 톤을 완벽하게 재현하여 자연스러운 헤어라인을 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스킨층(10)은 고강도, 고탄력 특수 재질의 신소재로 제작되어 피부 및 두피와의 자연스러운 흡착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착된 부분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착용감이 뛰어나며 기존 가발 제품에서 불가능했던 올백 스타일, 스포츠형 스타일까지 다양한 스타일로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스킨층(10)은 우레탄계 수지, 카보네이트 수지, 에틸렌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되거나, 또는 초극세사 특수망으로 형성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 및 신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초극세사 특수망은 굵기가 0.1 데니어 이하인 실로 제작된 망을 가리킨다. 초극세사 특수망은 탁월한 통풍성을 보장하며, 사용자의 두상 형상을 기억하며 착용 시에 뛰어난 착용감을 부여한다. 초극세사 소재를 사용한 스킨층은 고강도 소재로서 내구성이 우수하며, 두피와 피부 색상의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고 적은 모발과 짧은 모발의 헤어 스타일까지도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수지 재질 또는 초극세사 재질의 스킨층(10)은 우수한 유연성과 신축성에 의해, 굴곡진 헤어라인에 인접한 이마에 탈부착될 때 실제 피부가 당기는 문제가 없으며, 실제 피부에 대한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굴곡진 헤어라인 부분에 최대한 자연스러움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스킨층(10)은 실리콘계 수지로 제작되어 방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스킨층(10)의 형상은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기존의 통가발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킨층(10)의 가장 긴 변의 길이가 대략 35c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30c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5cm, 10 ~ 20cm 일 수 있다.
스킨층(10)의 길이가 35cm 이하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잔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두상 및 이마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킨층(10)은 나노 두께와 같은 초극박의 두께를 가진다. 스킨층(10)의 두께는 0.2c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 0.2c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0.1cm일 수 있다.
스킨층(10)의 두께가 0.2cm 이하를 만족함으로써, 피부에 부착되었을 때 완벽한 이마 라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피부와 완벽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스러운 투명감으로 사용자의 피부 톤을 완벽하게 재현하여 자연스러운 헤어라인과 잔머리를 연출할 수 있으며,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스킨층(1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피부에 부착할 때 이물감이 크거나 자연스러움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스킨층(1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피부에 부착했을 때 스킨층의 가장자리가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킨층(10)은 최대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킨층(10)의 모양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킨층(10)은 타원형, 삼각형, 한 변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삼각형, 막대형, 굴곡진 막대형 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굴곡진"은 사용자의 두상이나 이마형태에 따라 "u"자 형태이거나, 스킨층의 양 끝단이 중심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오므려진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타원형의 스킨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며, 후술할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스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10) 하부면에 점착 테이프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스킨층(10) 하부면에 점착액을 도포하여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될 수 있다.
점착 테이프와 점착액 각각은 우레탄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 성분들은 신축성 및 점착력이 우수하여 인체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제 피부에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에 대한 독성이 적은 이점이 있다.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 각각은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인 천연모발,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인조모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모발부(20)는 복수개의 제1모발을 가리키며, 제1모발부(20)는 복수개의 제1모발을 포함한다.
제2모발부(30)는 복수개의 제2모발을 가리키며, 제2모발부(30)는 복수개의 제2모발을 포함한다.
스킨층(10)에 식재되는 제1모발과 제2모발은 두피 색상과 일치하는 컬러로 한 가닥씩 뽑아 올려 식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모발과 제2모발이 식재된 스킨층(10)을 사용자 피부에 부착했을 때 자연스럽게 두피 색상이 연출되며,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자연스러운 가르마 스타일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발을 한 가닥씩 뽑아 올리는 무매듭 특수공법은 모발이 식재된 부분이 통풍력을 극대화하여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스킨층(10)에 식재되는 제1모발부(20) 및 제2모발부(30)는 두께와 길이, 식재되는 방향 및 영역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모발부(20)는 사용자의 잔머리를 나타내기 위한 모발이다.
제1모발부(2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앞머리에 해당하는 모발의 두께 보다는 두께가 얇은 모발을 포함한다.
제2모발부(30)는 사용자의 모발과 함께 연결되어 자연스럽게 뒷머리로 연출될 수 있다. 제2모발부(30)는 사용자의 헤어 스타일에 따라 사용자의 모발과 함께 묶일 수도 있다.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는 스킨층(10)의 라인부(A)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부(A)는 실제로 표시된 선이 있는 것이 아니다. 라인부(A)는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를 양쪽으로 갈랐을 때 자연스럽게 생기는 금 또는 빈 공간이다. 라인부(A)는 "-", "V"또는 "∪"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모발부(20)가 식재되는 영역을 제1영역이라 하고, 제2모발부(30)가 식재되는 영역을 제2영역이라고 할 때, 제1영역의 면적은 제2영역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1모발부(20)는 M 라인의 비워진 부분을 보강하거나, 이마 쪽의 헤어라인, 구렛나룻이 위치하는 라인 또는/및 뒷 목의 네이프 라인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동안으로 보여질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제1모발부(20)는 사용자의 얼굴에 인접하게 내려오는 잔머리 역할로, 비교적 밀도가 낮다.
제2모발부(30)는 사용자의 뒷머리와 함께 섞여 뒷머리로 연출되기 때문에 스킨층(10)의 경계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경계 부분은 스킨층(10)의 테두리 라인, 즉 가장자리 라인을 가리킨다.
제2모발부(30)는 사용자의 뒷머리와 섞여 자연스럽게 연출되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밀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모발부(20)의 밀도는 제2모발부(30)의 밀도보다 낮다.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가 라인부(A)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됨으로써, 제2모발부(30)가 사용자의 모발과 함께 뒷머리로 연출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인부(A)가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머리와 부분 가발 간의 경계선이 쉽게 식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는 라인부(A)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식재될 수 있다. 제1모발부(20)의 제1방향과 제2모발부(30)의 제2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라는 것은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에 포함된 단일 가닥들이 이루는 각도가 10° 이상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5 ~ 185°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160°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다른 방향으로 이해되는 각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잔머리를 연출하기 위한 제1모발부(20)의 평균 길이는 제2모발부(30)의 평균 길이보다 짧은 것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모발의 평균 길이는 복수개의 제2모발의 평균 길이보다 짧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발부(20)의 길이는 0.5 ~ 10cm 일 수 있고, 1 ~ 7cm, 2 ~ 5cm일 수 있다. 제1모발부(20)의 길이가 0.5 ~ 10cm를 만족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할 수 있다.
반대로 제1모발부(20)의 길이가 0.5 ~ 10cm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잔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하기에 불충분할 수 있고, 제2모발부(30)와 구별이 어려워 원하는 스타일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제2모발부(30)의 길이는 7cm 이상일 수 있고, 7 ~ 20cm, 10 ~ 20cm, 13 ~ 28cm 일 수 있다. 제2모발부(30)의 길이가 7cm 이상을 만족함으로써, 사용자의 뒷머리와 자연스럽게 섞여 가발 착용의 부자연스러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모발부에 웨이브를 연출하여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1모발을 포함하는 제1모발부(20)의 평균 두께는 복수개의 제2모발을 포함하는 제2모발부(30)의 평균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모발부(20)의 평균 두께는 대략 40㎛ 이하일 수 있고, 1 ~ 35㎛, 3 ~ 30㎛, 5 ~ 25㎛, 10 ~ 20㎛ 일 수 있다.
제1모발부(20)의 평균 두께가 40㎛ 이하를 만족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할 수 있다.
반대로 제1모발부(20)의 평균 두께가 40㎛를 초과하는 경우, 잔머리를 연출하기 보다는 앞머리, 뒷머리 등의 굵은 모발을 연출하게 되므로 육안으로 봤을 때 헤어라인 쪽의 모발이 부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다.
제2모발부(30)의 두께는 대략 40㎛ 이상일 수 있고, 43 ~ 100㎛, 45 ~ 95㎛, 50 ~ 90㎛, 50 ~ 85㎛일 수 있다.
제2모발부(30)의 두께가 대략 40㎛ 이상을 만족함으로써, 제2모발부가 사용자의 뒷머리와 함께 섞여 뒷머리로 연출되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자유롭게 탈부착되어 원하는 부위에서 잔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은 복수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헤어라인 중 가발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좌우 대칭으로 자연스럽게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M자 탈모 부위에도 본 발명의 부분 가발을 부착할 수 있어 콤플렉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똑딱이, 핀과 같이 고정부재 없이 점착 테이프, 점착액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원형 스킨층을 사용자 이마의 헤어라인에 부착함으로써, M 라인의 탈모를 커버할 수 있고, 사용자 고유의 모발과 구분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가 라인부(A)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됨으로써, 제2모발부(30)가 사용자의 모발과 함께 뒷머리로 연출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인부(A)가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스킨층이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와 부분 가발 간의 경계선이 쉽게 식별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 3의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삼각형 스킨층에서 제2모발부의 방향을 바꾸어 앞머리 또는 옆머리의 볼륨감을 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발부의 방향은 제1모발부와 동일한 방향 또는 제1모발부 방향을 기준으로 약 0 ~ 60°로 경사진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모발부의 방향을 바꾸게 되면, 식재된 매듭 부분이 스킨층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므로 볼륨감을 연출할 수 있다. 볼률감이 연출된 부분 가발을 사용자 이마의 M자 라인에 부착하면 사용자 고유의 모발과 구분되지 않고 탈모 부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제2모발부의 길이가 20cm 이상 되도록 제작하여 올백(all-back) 머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올백은 가르마를 타지 않고 전부 뒤로 빗어 넘기는 형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 변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삼각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연장된 삼각형은 한 변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삼각형을 의미한다. 연장된 삼각형의 스킨층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한 변, 즉 일방향으로 연장된 표면에 제1모발부(20)가 식재되고, 제1모발부(20)가 식재되지 않은 영역에 제2모발부(30)가 고밀도로 식재될 수 있다. 제2모발부(30)의 방향은 제1모발부와 동일한 방향 또는 제1모발부 방향을 기준으로 약 0 ~ 60°로 경사진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모발부의 방향을 바꾸어 볼률감이 연출된 부분 가발을 사용자 이마의 M자 라인에 부착하면 사용자 고유의 모발과 구분되지 않고 탈모 부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제2모발부의 길이가 20cm 이상 되도록 제작하여 올백(all-back) 머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올백은 가르마를 타지 않고 전부 뒤로 빗어 넘기는 형태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함으로써, 이마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계란형 이마라인의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M자 라인에서 비어있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일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가 라인부(A)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된다. 제2모발부의 방향을 바꾸어 볼률감이 연출된 부분 가발을 사용자 이마의 중심부터 좌/우 방향 또는 귀 방향의 안쪽까지 부착하면 사용자 고유의 모발과 구분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잔머리를 연출할 수 있다.
제2모발부의 길이가 20cm 이상 되도록 제작하여 올백(all-back) 머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올백은 가르마를 타지 않고 전부 뒤로 빗어 넘기는 형태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부분 가발을 앞머리 중심부터 좌/우 방향 또는 귀 방향의 안쪽까지 부착함으로써, 이마 높이를 낮출 수 있고, M자 라인의 탈모 부위도 커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진 막대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는 라인부(A)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된다. 굴곡진 막대형 스킨층은 귀 옆의 지점부터 반대쪽 귀 옆의 지점까지의 헤어라인 전체에 부착되어 이마라인 및 관자놀이 지점까지 커버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굴곡진 막대 형상에 2개의 돌출부를 도시하였으나, 돌출부 없이 굴곡진 막대형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돌출부는 사용자의 탈모 부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부분 가발을 귀 옆의 지점부터 반대쪽 귀 옆의 지점까지의 헤어라인 전체에 부착함으로써, 이마라인 및 관자놀이 지점까지 커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된 제2모발부(30)의 방향을 제1모발부(20)의 방향쪽으로 조정하여 볼륨감 있는 옆머리를 연출할 수 있다. 이때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제2모발부(30)의 방향은 제1모발부(20)의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진 막대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부분 가발의 실제 사진이다.
도 15는 도 14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부분 가발은 이마에 해당하는 헤어라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굴곡진 막대형 스킨층은 사용자 이마에 해당하는 헤어라인에 완벽하게 밀착되며, 기존의 투박한 망사 가발과는 달리 자연스러운 투명감으로 사용자의 피부 톤을 완벽하게 재현하여 자연스러운 앞머리와 볼륨감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일자형) 스킨층을 이용한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부분 가발을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했을 때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도 16에 도시된 막대형(일자형)은 마주보는 변 중에서 길이가 긴 2개 변의 형상이 곡선일 수 있다. 여기서 곡선은 막대의 양 끝단에서 중점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을 가리킨다. 막대형 스킨층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이마의 헤어라인, 뒷목의 네이프 등과 같은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8은 도 16의 부분 가발에서 모발의 방향을 변형시킨 평면도이다.
제1모발부(20)와 제2모발부(30)가 라인부(A)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된다. 제2모발부의 방향을 바꾸어 볼률감이 연출된 부분 가발을 사용자 이마의 헤어라인, 네이프 라인에 부착하면 사용자 고유의 모발과 구분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잔머리, 옆머리, 앞머리를 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스킨층
20 : 제1모발부
30 : 제2모발부
A : 라인부

Claims (8)

  1. 라인부를 포함하는 스킨층;
    상기 스킨층에 제1방향으로 식재되며 복수개의 제1모발을 포함하는 제1모발부; 및
    상기 스킨층에 제2방향으로 식재되며 복수개의 제2모발을 포함하는 제2모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발부와 제2모발부는 상기 라인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식재되며,
    상기 스킨층의 라인부가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배치되고,
    상기 스킨층은 우레탄계 수지, 카보네이트 수지, 에틸렌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거나, 굵기가 0.1데니어 이하인 실로 제작된 망을 포함하며,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0.2cm 이하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발부와 제2모발부는 상기 라인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식재되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발부의 평균 길이는 제2모발부의 평균 길이보다 짧은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발부의 평균 두께는 제2모발부의 평균 두께보다 작은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길이가 35cm 이하인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타원형 스킨층, 삼각형 스킨층 또는 막대형 스킨층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하부면에 점착 테이프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스킨층 하부면에 점착액을 도포하여 사용자의 헤어라인에 부착되는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KR1020210078296A 2021-06-16 2021-06-16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KR102377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296A KR102377852B1 (ko) 2021-06-16 2021-06-16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PCT/KR2022/008482 WO2022265396A1 (ko) 2021-06-16 2022-06-15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296A KR102377852B1 (ko) 2021-06-16 2021-06-16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852B1 true KR102377852B1 (ko) 2022-03-23

Family

ID=8096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296A KR102377852B1 (ko) 2021-06-16 2021-06-16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7852B1 (ko)
WO (1) WO20222653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96A1 (ko) * 2021-06-16 2022-12-22 (주)피에이인터네셔널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KR102486075B1 (ko) * 2022-07-19 2023-01-09 이동우 인조모 증착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모 증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482A (ja) * 2007-04-27 2008-11-13 Artnature Co Ltd かつら
KR101128097B1 (ko) 2009-08-18 2012-03-29 김영휴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JP2016188441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取付具、かつら、及び、増毛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985U (ja) * 2007-02-21 2007-05-31 佐藤 英男 脱毛者用ヘアバンド付かつら
KR200439264Y1 (ko) * 2007-03-26 2008-03-28 신후불 가변식 가발
KR102377852B1 (ko) * 2021-06-16 2022-03-23 (주)피에이인터네셔널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482A (ja) * 2007-04-27 2008-11-13 Artnature Co Ltd かつら
KR101128097B1 (ko) 2009-08-18 2012-03-29 김영휴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JP2016188441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取付具、かつら、及び、増毛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96A1 (ko) * 2021-06-16 2022-12-22 (주)피에이인터네셔널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KR102486075B1 (ko) * 2022-07-19 2023-01-09 이동우 인조모 증착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모 증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396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852B1 (ko)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KR20000020930A (ko) 길이조절수단이 부착된 가발
KR20010098362A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KR100844139B1 (ko) 서로 다른 길이의 줄(날개형 식모라인)을 이용하는부분가발
JPH03206108A (ja) かつら
TWI445508B (zh) 假髮
KR102066238B1 (ko) 가발
JPH09268413A (ja) 増毛装具
KR101378989B1 (ko) 방사형으로 결합된 체결부재를 이용한 앞머리용 패션가발 제조 방법
KR100361376B1 (ko) 가발의 모근판 테두리 가공방법
JP2018003213A (ja) 部分ウィッグ及びその使用方法
JPH11323646A (ja) 分け目自在かつら
JP4131552B2 (ja) カツラ
JP2024521470A (ja) ヘアライン用の部分かつら
KR20110018807A (ko)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KR20130001419A (ko) 부분 가발
KR102486075B1 (ko) 인조모 증착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모 증착방법
JP2000303239A (ja) 頭飾方法及び頭飾品
JPH07229009A (ja) 部分かつら及びこれらを組み合わせたかつら
JPH02264006A (ja) ヘアーピース及びそのヘアーピースを用いたヘアーメイク方法
JP2002115115A (ja) 自毛活用型かつら及び自毛活用型かつらの製造方法
JP2001003216A (ja) 自毛活用型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JP6296402B2 (ja) アップバング用かつら
KR20190143641A (ko) 앞 트임을 포함하는 부분 가발
CN110664037B (zh) 一种假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