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167B1 -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167B1
KR102377167B1 KR1020220006437A KR20220006437A KR102377167B1 KR 102377167 B1 KR102377167 B1 KR 102377167B1 KR 1020220006437 A KR1020220006437 A KR 1020220006437A KR 20220006437 A KR20220006437 A KR 20220006437A KR 102377167 B1 KR102377167 B1 KR 10237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runfelsia
cosmetic composition
leaves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주) 메이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주) 메이크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22000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파라고무나무의 잎 추출물을 0.1 ~ 3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 배합하지 않고 파라고무나무의 잎의 추출물을 활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채 피부 보습,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Hevea brasiliensis leafs}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흔히 파라고무나무(Hevea brasiliensis)는 대극과 (family Euphorbiaceae)에 속하는 나무로서 한때 고무 생산량의 95%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낸 다음 흘러나오는 유액을 받아 응고 처리하여 탄성 고무의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종자에는 다량의 지방유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을 짜서 건성유로 사용하고 남은 찌꺼기는 가축 사료로 쓰였다.
근래에는 영국에 의해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등 동남아 지역에서 다량 생산하고 있다.
파라고무나무는 천연고무의 주요 원료인 라텍스(latex)를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현재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거의 유일한 천연고무 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파라고무나무의 즙액에서 고무 성분(라텍스)을 침전시킨 상층액을 감압 농축하면 L-이노시톨의 모노메틸에테르인 퀘브라키톨(quebrachitol)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파라고무나무나 이의 즙액인 퀘브라킬톨의 활용에 관한 기술로 "파라고무나무 열매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5231호, 특허문헌 1)에서는 파라고무나무 열매로부터 얻은 정제유와 염기성물질 및 알콜을 혼합시켜 바이오디젤을 수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이노시톨 니아시네이트의 이성질체 및 용도"(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5343호, 특허문헌 2)에는 이노시톨 또는 이노시톨 유도체로 형성된 에스테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합물를 활용하여 질병의 치료에 활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노시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4196호, 특허문헌 3)에는 이노시톨과 당류가 결합된 이노시톨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특허문헌 3에서는 미오-이노시톨을 출발물질로 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을 뿐이다.
또, "효모 아미노산, 베타인, 타우린 및 이노시톨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902호, 특허문헌 4)에는 피부 보습 조절을 위해 이노시톨 외에 베타인, 타우린, 효모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의 경우 유효성분을 인위적으로 컨트롤해야 하므로 그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45231 (2010.05.03) KR 10-2010-0015343 (2010.02.12) KR 10-0814196 (2008.03.10) KR 10-2009-0022902 (2009.03.04)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 배합하지 않고 파라고무나무의 잎의 추출물을 활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채 피부 보습,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파라고무나무의 잎 추출물을 0.1 ~ 3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은, 파라고무나무의 잎을 분쇄한 후,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고무 성분을 응고시킨 다음 응고된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수득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된 상등액을 여과 처리하여 액상추출물을 수득하는 여과단계와;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농축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산성 용액은 초산용액과 젖산용액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키토산을 첨가 및 용해시킨 혼합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브룬펠시아 잎을 수득한 다음 세절하여 음건한 다음 건조된 브룬펠시아 잎을 준비한 후, 상기 브룬펠시아 잎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환류 추출한 후 여과 처리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브룬펠시아 수출물을 수득한 후, 상기 분말상의 추출물과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브룬펠시아 꽃을 수득한 다음 브룬펠시아 꽃, 소금, 식초를 1 : 2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개월동안 발효시키고, 고형물을 분리한 상등액만을 수득하여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을 분리단계에서 수득한 상등액 중량의 1/5 중량배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 배합하지 않고 파라고무나무의 잎의 추출물을 활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채 피부 보습,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파라고무나무의 잎 추출물을 0.1 ~ 3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은, 파라고무나무의 잎을 분쇄한 후,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고무 성분을 응고시킨 다음 응고된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수득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된 상등액을 여과 처리하여 액상추출물을 수득하는 여과단계와;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농축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산성 용액은 초산용액과 젖산용액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키토산을 첨가 및 용해시킨 혼합 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서, 브룬펠시아 잎을 수득한 다음 세절하여 음건한 다음 건조된 브룬펠시아 잎을 준비한 후, 상기 브룬펠시아 잎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환류 추출한 후 여과 처리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브룬펠시아 수출물을 수득한 후, 상기 분말상의 추출물과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할 수도 있다.
아울러, 브룬펠시아 꽃을 수득한 다음 브룬펠시아 꽃, 소금, 식초를 1 : 2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개월동안 발효시키고, 고형물을 분리한 상등액만을 수득하여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을 분리단계에서 수득한 상등액 중량의 1/5 중량배 첨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파라고무나무의 잎을 분쇄한 후, 중량 기준 2% 농도의 초산 용액을 준비하여 상기 분쇄물 중량의 3배수 첨가하여 응고시킨 다음 응고된 수지(라텍스)를 포함하는 고형물을 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수득하였다.
이 상등액을 250 메쉬 및 0.5 ㎛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액상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와 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로부터 건조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v/v) 초산용액과, 1%(v/v) 젖산용액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에 키토산을 1%(w/v)가 되게 용해시켜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초산 용액을 혼합 용액으로 대체하였다.
브룬펠시아(Brunfelcia uniflora)는 가지과의 상록 소관목으로 브라질이 원산지이고, 꽃과 향기가 아름다워 마나카 또는 파라과이 쟈스민 등으로 불린다.
브룬펠시아 속에는 벤젠, 테르펜, 알칼로이드, 락톤 등의 성분이 들어 있으며, 특히 뿌리에는 쿠마린과 알칼로이드, 리그난 등이 함유되어 있다.
브룬펠시아는 통증을 완하시켜주고 소변 배설을 촉진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브룬펠시아를 활용하여 화장료 원료로 사용한 사례는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브룬펠시아 잎을 수득한 다음 세절하여 음건한 다음 건조된 브룬펠시아 잎 100g을 준비하고, 70%(V/V) 에탄올 1L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 (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50℃이하에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 건조하여 브룬펠시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실시예 1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과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과 브룬펠시아 추출물을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과 브룬펠시아 추출물을 4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파라고무나무 처리시 발생한 상등액에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을 첨가하였다.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의 제조는 브룬펠시아 꽃을 수득한 다음 브룬펠시아 꽃, 소금, 식초를 1 : 2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개월동안 발효시키고, 고형물을 분리한 상등액만을 수득하여 제조하였다.
더하여, 상기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은 상등액 중량의 1/5 배 첨가하였다.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브룬펠시아 꽃, 소금, 식초를 1 : 1 : 3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브룬펠시아 꽃, 소금, 식초를 1 : 3 : 3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은 상등액 중량의 1/4 배 첨가하였다.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은 상등액 중량의 1/6 배 첨가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인도고무나무의 잎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대만 고무나무(팬다 고무나무)의 잎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벵갈 고무나무의 잎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에 대해 크로마토그라피 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성분의 함량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주요 성분 분석>
구분 Inositols Proteins Sugars Free amino acid Ascorbic acid Nitrogeneous bases Glutathione
실시예1 2.38 1.10 0.40 0.13 0.03 0.06 0.02
실시예2 2.40 1.12 0.41 0.14 0.06 0.06 0.03
실시예3 2.78 1.13 0.40 0.15 0.05 0.07 0.02
실시예4 2.39 1.09 0.39 0.13 0.03 0.05 0.02
실시예5 2.37 1.08 0.38 0.12 0.03 0.06 0.02
실시예6 2.84 1.31 0.45 0.17 0.05 0.06 0.03
실시예7 2.40 1.12 0.41 0.13 0.02 0.05 0.03
실시예8 2.42 1.13 0.42 0.14 0.03 0.06 0.02
실시예9 2.39 1.14 0.41 0.13 0.03 0.06 0.02
실시예10 2.40 1.14 0.42 0.14 0.04 0.06 0.03
비교예1 0.56 0.23 0.12 0.05 0.02 0.05 0.03
비교예2 0.42 0.31 0.43 0.06 0.01 0.04 0.02
비교예3 0.45 0.42 0.25 0.02 0.01 0.02 0.04
(단위 : 중량%)
상기 표 1을 보면 실시예 1,2와 비교예들 사이에 이노시톨 함량이 큰 차이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더하여, 퀘브라키톨에는 이노시톨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표의 이노시톨 함량을 통해 퀘브라키톨의 함량을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래 표 2에 조성의 크림 형태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에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8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은 화장료 전체 조성의 1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원료 조성(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
베타글루칸 5
카보머 0.1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스쿠알란 4
세테아릴 알코올 6
폴리옥시에틸렌알콜에스테르 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추출물 1
프로필렌글리콜 5
합계 100
그런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의 피부 보습, 미백 효과, 피부 진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각각 5명씩 일주일 동안(1일 2번 아침, 저녁으로) 사용하도록 한 후, 10점 척도법(1: 대단히 나쁘다 --> 10:대단히 좋다)으로 평가한 다음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구분 피부 보습 미백 효과 피부 진정 효과
실시예1 7.9±0.63 8.3±0.88 8.1±0.74
실시예2 8.2±0.72 8.3±0.4 8.3±0.24
실시예3 8.8±0.45 8.1±0.3 8.1±0.25
실시예4 8.0±0.12 8.2±0.34 7.9±0.15
실시예5 8.1±0.64 8.3±0.28 8.2±0.66
실시예6 9.3±0.14 9.25±0.33 9.4±0.57
실시예7 8.3±0.76 7.9±0.91 8.2±0.81
실시예8 8.2±0.53 8.3±0.32 8.1±0.41
실시예9 8.4±0.45 8.1±0.43 8.3±0.75
실시예10 8.3±0.24 8.2±0.36 8.2±0.82
비교예1 6.2±0.52 6.1±0.24 5.2±0.34
비교예2 6.4±0.87 6.5±0.55 5.8±0.21
비교예3 6.6±0.48 6.6±0.81 5.3±0.44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실시예들은 비교예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피부 보습, 미백, 피부 진정 효과를 비롯하여 전체적인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실험예 2와 같이 크림형의 화장료를 제조한 후, 각 화장료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15~3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5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제품을 0.1g씩 가하여 인체 상박부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 이내에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48시간 후)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반응 없음
± 미약한 양성 반응 (홍반)
+ 양성 반응 (홍반)
++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구분 - ± + ++ +++
실시예1 15 0 0 0 0
실시예2 15 0 0 0 0
실시예3 15 0 0 0 0
실시예4 15 0 0 0 0
실시예5 15 0 0 0 0
실시예6 15 0 0 0 0
실시예7 15 0 0 0 0
실시예8 15 0 0 0 0
실시예9 15 0 0 0 0
실시예10 15 0 0 0 0
비교예1 11 2 1 1 0
비교예2 13 2 0 0 0
비교예3 13 1 1 0 0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실시예의 경우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염증유발관련 효소 (hyaluronidase) 활성 억제효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염증유발효소인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는 히아루론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염증 유발하는 효소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Kakegawa Y: Japanese J. of Inflammation, 4, 437-438, 1984)을 응용해 항염증 효과를 판정하였다.
시료 100㎕와 히아루로니디아제 용액 (type Ⅳ-S, Sigma, 400U/㎖) 50㎕를 넣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활성화용액 (compound 48/80 CaCl2ㆍ2H2O, Sigma, 0.1㎎/㎖)을 100㎕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용액(0.4㎎/㎖)을 250㎕ 넣고 37℃에서 40분간 반응시키고, 0.4N NaOH 100㎕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켰다. 포타슘보레이트 용액을 100㎕ 첨가하여 95℃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ρ-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용액을 3㎖ 넣고 다시 2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발색시켰다. 58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히아루로니디아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히아루로니디아제의 활성 저해율(%)은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 값은 히아루로니디아제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수학식 1>
히아로로니다아제의 활성 저해율(%) = [(A-B)/A] ×100
A: 시료(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효소활성
B: 시료(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를 첨가한 웰의 효소활성
구분 히아루로니디아제 활성 저해효과 (IC50)
실시예1 0.36%
실시예2 0.35%
실시예3 0.37%
실시예4 0.35%
실시예5 0.34%
실시예6 0.43%
실시예7 0.37%
실시예8 0.38%
실시예9 0.37%
실시예10 0.36%
비교예1 0.24%
비교예2 0.25%
비교예3 0.27%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의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5),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의 IC50값이 0.36%로 나타나 비교예들에 비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수분량 측정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래 표 6에 조성의 에센스 형태의 화장료를 제조하여 피부 수분량 측정 실험을 하였다.
원료명 함량
(단위:중량%)
Moist PM(1.0) 2.0
Butylene Glycol 3.0
1,2-Hexanediol 2.0
Carbomer 0.3
Tromethamine 0.05
실시예 또는 비교예 3
water 잔량
총합 100
22~24℃, 상대습도 5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78명(평균연령 29.5세)을 대상으로 각각 6명씩 13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각 그룹마다 눈가를 중심으로 얼굴 전체에 하루 2회 6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Skicon-200(IBS Co. Japan)을 이용하여, 도포 전, 후에 볼 부위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보습효과의 지속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각 시험그룹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개선도는 다음 수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식 3]
Figure 112022005661185-pat00001
  시험전 도포 6주 후 개선도 (%)
실시예 1 630 765 21.43
실시예 2 625 779 24.64
실시예 3 630 824 30.79
실시예 4 628 764 21.66
실시예 5 631 766 21.40
실시예 6 630 865 37.31
실시예 7 626 772 23.32
실시예 8 631 770 22.03
실시예 9 632 735 16.30
실시예 10 629 791 25.76
비교예 1 630 663 5.24
비교예 2 632 675 6.80
비교예 3 625 691 10.56
상기 표에 따르면, 비교예들은 개선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들은 개선도가 비교예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피부 탄력 효과 실험
상기 실험예 5와 같이 에센스를 제조한 후 피부 탄력효과를 실험하였다. 온도 22~24℃, 상대습도 5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78명(평균연령 29.5세)을 13 그룹으로 나누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8에 Cutometer SEM 575의 각 시험 그룹별 평균값인 △R5값[R5(12주)-R5(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5 값은 실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워지면 보다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개선도는 하기 수식 4에 의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8에 나타내었다.
[수식 4]
개선도(%) = ( △R5 / 도포전 ) X 100
피부탄력도 측정실험결과(12주)
구분 도포전 도포후 피부탄력증강효과(△R5) 개선도(%)
실시예 1 0.74 0.98 0.24 32.43
실시예 2 0.72 1.02 0.3 41.67
실시예 3 0.73 1.04 0.31 42.47
실시예 4 0.75 0.98 0.23 30.67
실시예 5 0.74 0.97 0.23 31.08
실시예 6 0.74 1.21 0.47 63.51
실시예 7 0.75 1 0.25 33.33
실시예 8 0.73 0.99 0.26 35.62
실시예 9 0.75 1.01 0.26 34.67
실시예 10 0.74 1.02 0.28 37.84
비교예 1 0.74 0.84 0.1 13.51
비교예 2 0.72 0.85 0.13 18.06
비교예 3 0.75 0.81 0.06 8
상기 표에 따르면, 실시예들은 비교예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피부 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주름 개선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한 후,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지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40 ~ 6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세안 후 1회 눈가 피부에 도포하여 주름 깊이를 측정하였다.
주름 깊이 측정장비에 장착된 카메라를 세안한 눈가 피부에 초점을 맞춘 후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한 값으로 주름의 깊이를 계측하여 초기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측정위치를 지정하여 화장수를 도포한 후 10분 경과한 다음 주름 깊이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초기 주름 깊이를 '0'으로 두고 주름 깊이 감소율(%)로 측정하여 평가기준을 정하고, 측정 대상의 평균 값을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주름깊이 감소율(%)
실시예 1 11.1
실시예 2 11.7
실시예 3 13.2
실시예 4 11.2
실시예 5 12.1
실시예 6 15.2
실시예 7 10.9
실시예 8 11.2
실시예 9 12.4
실시예 10 11.7
비교예 1 3.4
비교예 2 4.2
비교예 3 2.5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즉각적인 주름 깊이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파라고무나무의 잎을 분쇄한 후,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고무 성분을 응고시킨 다음 응고된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수득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된 상등액을 여과 처리하여 액상추출물을 수득하는 여과단계와;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농축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산성 용액은 초산용액과 젖산용액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키토산을 첨가 및 용해시킨 혼합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브룬펠시아 잎을 수득한 다음 세절하여 음건한 다음 건조된 브룬펠시아 잎을 준비한 후, 상기 브룬펠시아 잎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환류 추출한 후 여과 처리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브룬펠시아 수출물을 수득한 후,
    상기 분말상의 추출물과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브룬펠시아 꽃을 수득한 다음 브룬펠시아 꽃, 소금, 식초를 1 : 2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개월동안 발효시키고, 고형물을 분리한 상등액만을 수득하여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브룬펠시아 꽃 발효액을 분리단계에서 수득한 상등액 중량의 1/5 중량배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006437A 2022-01-17 2022-01-17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7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37A KR102377167B1 (ko) 2022-01-17 2022-01-17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37A KR102377167B1 (ko) 2022-01-17 2022-01-17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167B1 true KR102377167B1 (ko) 2022-03-23

Family

ID=8096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437A KR102377167B1 (ko) 2022-01-17 2022-01-17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1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96B1 (ko) 2004-03-25 2008-03-17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시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CN101204362A (zh) * 2006-12-21 2008-06-25 泰国卓越生命科学中心 含有源自天然橡胶胶乳提取物的皮肤美白成分
US20080279885A1 (en) * 2005-10-27 2008-11-13 Pele Nova Biotechnologia S.A. Topical Formulation Containing Latex of Fraction Thereof, and Cosmetic Treatment Method
KR20090022902A (ko) 2007-08-31 2009-03-04 (주)아모레퍼시픽 효모 아미노산, 베타인, 타우린 및 이노시톨을 함유하는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5343A (ko) 2007-03-01 2010-02-12 컨커스 헬스 사이언스 엘엘씨 이노시톨 니아시네이트의 이성질체 및 그 용도
KR20100045231A (ko) 2008-10-23 2010-05-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파라고무나무 열매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20180020573A (ko) * 2016-08-18 2018-02-28 (주)진셀팜 팬다 고무나무 및 스킨답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96B1 (ko) 2004-03-25 2008-03-17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시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US20080279885A1 (en) * 2005-10-27 2008-11-13 Pele Nova Biotechnologia S.A. Topical Formulation Containing Latex of Fraction Thereof, and Cosmetic Treatment Method
CN101204362A (zh) * 2006-12-21 2008-06-25 泰国卓越生命科学中心 含有源自天然橡胶胶乳提取物的皮肤美白成分
KR20100015343A (ko) 2007-03-01 2010-02-12 컨커스 헬스 사이언스 엘엘씨 이노시톨 니아시네이트의 이성질체 및 그 용도
KR20090022902A (ko) 2007-08-31 2009-03-04 (주)아모레퍼시픽 효모 아미노산, 베타인, 타우린 및 이노시톨을 함유하는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5231A (ko) 2008-10-23 2010-05-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파라고무나무 열매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20180020573A (ko) * 2016-08-18 2018-02-28 (주)진셀팜 팬다 고무나무 및 스킨답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745B1 (ko) 전구-콜라겐 또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합성의 자극 방법
KR100997441B1 (ko)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고순도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1992009262A1 (fr) Utilisation de saponines de medicago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notamment dermatologiques favorisant le renouvellement de l&#39;epiderme, stimulant la repousse des cheveux, ou retardant leur chute
CN108272862B (zh) 一种蒲地蓝口腔喷雾剂及其制备方法
KR102147833B1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0288A (ko) 흑효모로 발효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8361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CN108704021A (zh) 用于皮肤过敏及皮肤屏障受损的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054793B1 (ko)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1142977B1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2377167B1 (ko) 파라고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16763675A (zh) 具有舒缓修护抗皱的功效组合物及其应用
JPS5916814A (ja) 口腔用組成物
JP2020063225A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2303815B1 (ko) 치아씨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