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067B1 -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067B1
KR102377067B1 KR1020187031653A KR20187031653A KR102377067B1 KR 102377067 B1 KR102377067 B1 KR 102377067B1 KR 1020187031653 A KR1020187031653 A KR 1020187031653A KR 20187031653 A KR20187031653 A KR 20187031653A KR 102377067 B1 KR102377067 B1 KR 10237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lement
locking
tensioning device
piston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278A (ko
Inventor
알렉산더 슈그
파트릭 배개
라이너 퍼만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0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1Locking mechanisms using positive interengagement, e.g. balls and grooves, for locking in the end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2015/267Manual locking or rel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3Ratchets
    • F16H2007/0855Ratchets comprising a clip member engaging with the rack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 F16H2007/0878Disabling during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1Line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부(10) 내에서 가이드 되고 자신의 외부 둘레 면에 로킹 그루브(11)를 구비하는 인장 피스톤(9)과;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13) 및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14)을 구비하는 로킹 요소(12)로서,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13)에 의해서 로킹 그루브들(11)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와 맞물릴 수 있는, 로킹 요소(12)와;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클램핑 스톱(15)과 슬라이딩 스톱(16);을 가지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설계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수용부(10)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을 구비하고, 이들 축 방향 연장부들은 축 방향으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서 연장되며, 이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 및 인장 피스톤(9)이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14)을 에워싸지 않는다.

Description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본 발명은, 수용부 내에서 가이드 되고 자신의 외부 둘레 면에 로킹 그루브를 구비하는 인장 피스톤과;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 및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을 구비하는 로킹 요소로서,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에 의해서 로킹 그루브들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와 맞물릴 수 있는, 로킹 요소와;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클램핑 스톱과 슬라이딩 스톱;을 가지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압식 인장 장치는 US 2003/0 139 235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간행물에는, 개방된 단부에 있는 노치 및 바닥을 갖는 환상 하우징, 외부 둘레에 복수의 로킹 노치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내부 둘레에 설치된 피스톤, 외부로 밀어내는 힘을 피스톤에 가하는 반동 스프링, 하우징의 내부 둘레와 피스톤의 외부 둘레 사이에 설치된 스톱 링, 가이드 그루브 내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링 요소, 및 링 요소의 반경 방향 팽창을 위한 작동 요소, 스톱 링을 가이드 그루브 내에 고정시킴으로써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인 스톱 링의 후진 동작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톱 링의 전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스톱 링의 외부 직경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갖는 제2 스토퍼를 갖는 체인 텐셔너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스톱 링은 가이드 그루브 내에 고정되어 있다. 단점으로서, 스톱 링을 하우징의 내부 둘레와 피스톤의 외부 둘레 사이에 그리고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 사이에 설치할 수 있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내부 둘레를 복잡하게 가공해야만 한다는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소화된 설계 구조를 갖는 유압식 인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유압식 인장 장치의 인장 피스톤을 리셋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유압식 인장 장치에 의해서 그리고 청구항 10에 따른 방법 단계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그에 따라, 유압식 인장 장치의 수용부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을 구비하며, 이들 축 방향 연장부들은 축 방향으로 클램핑 스톱 평면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슬라이딩 스톱 평면의 영역에 상호 분리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수용부의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 및 인장 피스톤이 로킹 요소를 에워싸지 않는다.
그에 따라, 어떠한 경우든지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 중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 및 인장 피스톤은 로킹 요소의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 중 2개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을 반경 방향으로 에워싸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로킹 요소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이 수용부의 축 방향 연장부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수용부의 내부 둘레의 복잡한 가공이 생략될 수 있다. 특히, 내부 둘레에 배열된 주연부에 걸친 그루브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는 절삭 후가공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 대신에, 예를 들어 수용부와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이 캐스팅 기술로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축 방향 연장부의 하부 면(다시 말해, 인장 피스톤 쪽을 향하는 면)이 수용부의 원통형 공동으로부터 (또는 원통형 공동의 내부 재킷 면의 가상의 연장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특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축 방향 연장부를 캐스팅 기술로 제조하는 것과 관련된 특별한 장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간격은 1 ㎜보다 커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3 ㎜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용부는 예를 들어 개폐식 금형 및 슬라이드에 의해서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장 피스톤이 수용부 내에서 가이드 되고, 수용부와 함께 고압 챔버를 형성한다. 보충 밸브로서 형성되었고 예를 들어 볼 형상 또는 플레이트 형상의 폐쇄 바디를 갖는 체크 밸브를 통해서, 압력하에 있는 유압 수단이 고압 챔버 내부에 도달한다. 스프링을 이용해서 수용부에 대하여 사전 인장된 인장 피스톤에 제어 구동 장치, 특히 체인 구동 장치를 통해 힘이 가해지면, 인장 피스톤이 수용부 내부로 밀려 들어간다. 유압 수단이 누출 갭을 통해 방출됨으로써, 제어 구동 장치의 진동이 감쇠된다. 압력 피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압 챔버 내에 초과압 밸브가 배열될 수 있다.
체인의 충분한 응력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하여, 인장 피스톤이 추가의 실시예에서 한 편으로는 스프링에 의해 수용부에 대하여 인장되어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엔진 시동의 경우에는 큰 힘이 인장 스프링에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인장 피스톤의 과도한 삽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없게 된다. 인장 피스톤의 과도한 삽입을 피하기 위하여, 인장 피스톤은 자신의 외부 둘레 면에 적어도 축 방향 섹션을 따라서 로킹 그루브를 구비한다. 로킹 그루브는 외부 둘레를 따라서 주연부에 걸쳐 배열되어 있고, 인장 피스톤의 인출은 가능하지만 인장 피스톤의 삽입은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킹 그루브들은 각각 2개의 그루브 벽들을 구비하며, 이들 그루브 벽은 로킹 요소에 의해서 한 편으로는 클램핑 스톱과 접촉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슬라이딩 스톱과 접촉될 수 있다. 삽입의 경우에 클램핑 스톱과 접촉될 수 있는 그루브 벽은 슬라이딩 스톱과 접촉될 수 있는 마주 놓인 그루브 벽보다 더 가파르게 진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과도한 삽입이 효과적으로 중단되는데, 그 이유는 로킹 요소가 로킹 그루브와 클램핑 스톱 사이에 형상 결합식으로 접하기 때문이다. 인장 피스톤이 인출되는 경우에는, 로킹 요소가 슬라이딩 스톱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킹 요소는 그루브 벽을 통해 다음 로킹 그루브 내부로 슬라이딩 될 수 있거나 강제적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클램핑 스톱과 슬라이딩 스톱 간의 축 방향 간격은 그루브 폭과 함께 인장 피스톤의 귀환 행정의 크기를 결정한다.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은 추가의 실시예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리지로서 형성될 수 있고, 단부 측에서는 수용부를 향하면서 슬라이딩 스톱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스톱은,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이 각각 T자 부재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로킹 요소의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은 인장 피스톤이 인출될 때에 슬라이딩 스톱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라이딩 스톱은 T자 부재의 후크 형상 확대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클램핑 스톱은 추가의 실시예에서, 수용부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스톱은, 수용부의 종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하는 평면에 비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클램핑 스톱 평면은, 실질적으로 클램핑 스톱과 로킹 요소 사이에 선형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이 된다. 따라서, 클램핑 스톱 평면도 마찬가지로 수용부의 종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클램핑 스톱은, 수용부 개구의 둘레의 일 부분을 따라서 진행하는 챔퍼(chamfer)일 수 있다.
로킹 요소는 예를 들어 와이어로서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로킹 요소가 그루브 벽들 중 일 그루브 벽 위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에는 환상 섹션들의 반경이 확대될 수 있다. 하지만, 로킹 요소는 또한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 중 하나의 반경 방향 확대부의 영역에도 휨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킹 요소는 클램프의 유형에 따라 확대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 중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가 로킹 요소의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 중 하나의 반경 방향 확대부와 인장 피스톤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 중 다른 하나의 반경 방향 확대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축 방향 연장부는 둘러싸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반경 방향 확대부가 총 2개이고 축 방향 연장부가 2개인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 중 정확하게 하나의 축 방향 연장부가 2개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 중 하나의 반경 방향 확대부와 인장 피스톤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 및 로킹 링이 수용부에 대하여 임의의 관계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확하게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 사이에 가상의 연결선이, 수용부와 조립 주변부 사이의 접지 면의 평면에 상응하는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는 수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이 원주 방향으로 로킹 섹션을 에워싸며, 이 경우에는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 중 하나의 환상 섹션이 상기 로킹 섹션의 영역에서 로킹 그루브들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와 맞물릴 수 있으며, 로킹 섹션의 영역에서는 인장 피스톤이 수용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으므로, 로킹 그루브는 외부로부터 접근이 가능하다. 이로써, 로킹 요소는 원주 방향으로 축 방향 연장부들 사이에서 로킹 그루브 내부에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로킹부의 기능 방향이 장착된 상태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연소 기관의 관리가 수월해진다. 더 나아가, 로킹 요소는 인장 장치의 외부에 놓인 부품이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함으로써, 로킹 요소의 조립 및 해체가 간소해진다. 더 나아가서는, 고정 요소가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 중 하나의 환상 섹션을 로킹 섹션의 영역에서 로킹 그루브들 중 하나와 강제로 맞물리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운송 고정이 실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로킹 요소가 이웃하는 로킹 그루브 내로 변위되는 상황이 저지되기 때문이다.
일 개선예에서는, 로킹 요소가 2개의 환상 섹션들 및 2개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을 구비하며, 이 경우 수용부는 2개의 로킹 섹션들을 에워싸는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로킹 요소는 2개의 환상 섹션들에 의해서 로킹 그루브들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의 내부에 맞물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확실한 클램핑이 가능해진다. 더 나아가서는, 로킹 요소의 기하학적인 복잡성도 줄어들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단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만 제공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로킹 요소는 2개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을 구비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수용부가 원통형의 공동을 포함하며, 이 경우에는 인장 피스톤이 원통형 공동에 의해서 가이드 된다. 대안적으로, 수용부는 원통형의 공동 및 원통형 공동 내부에 삽입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이 경우에는 인장 피스톤이 슬리브에 의해서 가이드 된다. 인장 피스톤이 직접 수용부의 원통형 공동 내에서 가이드 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비용적인 장점이 나타난다. 수용부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인장 피스톤을 가이드하기 위한 원통형 공동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통형 공동은 예를 들어 강철로부터 제조된 슬리브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슬리브, 체크 밸브 및 추가의 구성 요소들이 예비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이 축 방향 섹션 내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양측에 협착부를 구비하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 스톱 평면에 슬라이딩 스톱이 형성된다. 이로써, 슬라이딩 스톱은 협착부가 끝나는 장소에 있다. 그에 따라,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T자의 브리지는 슬라이딩 스톱 평면과 클램핑 스톱 평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T자의 지붕은 슬라이딩 스톱 평면을 형성하며, 이 평면으로부터 상기 브리지 쪽을 향하여 슬라이딩 스톱이 돌출한다. T자의 지붕은 원주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T자의 지붕은 원형 섹션을 형성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대안이 캐스팅 기술에 의한 제조 가능성과 관련해서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 중 하나의 반경 방향 확대부가 로킹 요소의 중단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로킹 요소는 주연부에 걸쳐 에워싸이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 요소의 확대는 2개 이상의 원형 섹션들의 탄력적인 팽창으로부터 또는 로킹 요소의 클램프 형상의 휨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거나 두 가지 상황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중단부는 특히 예를 들어 와이어로서 형성된 로킹 요소의 클램프 형상의 휨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경우 휨 영역은 실질적으로 중단부를 구비하는 반경 방향 확대부에 마주 놓여 있는 반경 방향 확대부의 섹션 내에 놓여 있다.
일 개선예에서는, 로킹 요소의 중단부의 영역에서 로킹 요소의 2개의 단부 섹션들이 서로 마주 놓여 있으며, 이 경우 2개 단부 섹션들의 부분 섹션들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고, 반경 방향 외부로 연장되며, 슬라이딩 스톱과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로킹 요소의 중단부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 스톱에 접하는 상황이 보장될 수 있다. 중단부를 구비하지 않는 로킹 요소의 또 다른 반경 방향 확대부가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서는, 로킹 요소의 중단부의 방향으로 작동 섹션들이 부분 섹션들에 연결되며, 이 경우에 작동 섹션들은 마주 놓여 있는 단부 섹션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작동 섹션의 프로파일 및 각도는, 단부들을 함께 가압하는 것이 로킹 요소의 확대를 야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유압식 인장 장치의 인장 피스톤의 수동으로 도입되는 리셋이 가능해진다.
리셋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귀환 행정의 영역에,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슬라이딩 스톱 평면과 클램핑 스톱 평면 사이에 리셋 램프를 구비하는 인장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리셋 램프는 수용부의 축 방향 연장부의 반경 방향 내부로 연장되는 융기부이다. 리셋 램프는,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차단 요소가 슬라이딩 스톱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리셋 램프는 바람직하게 클램핑 스톱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고, 삽입 사면을 형성하면서 슬라이딩 스톱의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유압식 인장 장치의 인장 피스톤을 리셋하기 위한 방법은 청구항 10의 대상이다. 이 방법에 따라, 제1 단계에서는, 차단 요소가 삽입 후에 로킹 요소와 클램핑 스톱 사이에 배열되도록, 차단 요소가 축 방향 영역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 사이에 접선 방향으로 삽입된다. 제2 단계에서는, 인출된 인장 피스톤이 수용부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차단 요소로서는,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 못, 와이어 또는 브래킷이 사용될 수 있다. 장점은, 특별 공구가 반드시 필요치는 않다는 것이다. 차단 요소가 삽입되었고, 인장 피스톤이 수용부의 방향으로 변위된 후에는, 로킹 요소가 더 이상 클램핑 스톱과 접촉될 수 없다. 로킹 그루브와 클램핑 스톱 간의 형상 결합이 방지됨으로써, 로킹 요소는 이웃하는 로킹 그루브 내부로 변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인장 피스톤은 수용부 내부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운송 안전 장치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인장 피스톤의 리셋은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구성 요소의 해체 및 후속적인 조립을 수월하게 한다.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중단부의 영역에 작동 섹션들을 구비하는 로킹 요소를 갖는 실시예가 고려된다. 작동 섹션들이 함께 가압되는 상황은 로킹 요소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서는 로킹 그루브, 로킹 요소와 클램핑 스톱 간에 형상 결합이 피해진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자신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갖춘 연소 기관용 체인 구동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유압식 인장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의 제2 종단면을 도시하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로킹 요소의 대안적인 형상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를 도시하며,
도 7은 차단 요소의 대안적인 형상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를 도시하고,
도 8은 대안적으로 제공된 리셋 램프를 갖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9는 오버헤드 인장 장치로서의 대안적인 형상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는, 자신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갖춘 연소 기관용 유압식 인장 장치(1)를 갖는 체인 구동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체인 구동 장치는 기본적으로, 크랭크 샤프트와 연결된 구동 체인 휠(2); 각각 하나의 캠 샤프트와 연결된 2개의 피동 체인 휠들(3); 및 구동 체인 휠(2)을 피동 체인 휠들(3)과 연결시키는 제어 체인(4);을 포함한다. 제어 체인(4)의 견인 스트랜드(5)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의 구동 토크가 캠 샤프트로 전달된다. 견인 스트랜드(5)에서는, 제어 체인(4)이 가이드 레일(6)에 의해서 가이드 된다.
제어 체인(4)은, 자신의 기능성을 작동 기간에 걸쳐 보장할 수 있기 위하여, 자신의 복귀 스트랜드(7)에서 인장된다. 이 목적을 위해, 유압식 인장 장치(1) 및 인장 암(8)에 의해서 제어 체인(4)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인장 장치(1)은 더 나아가 체인 구동 장치의 감쇠도 보장해준다.
도 2에는, 수용부(10)의 원통형 공동 내에서 가이드 되고 자신의 외부 둘레 면에 로킹 그루브(11)를 구비하는 인장 피스톤(9)을 갖는, 체인 구동 장치의 유압식 인장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환상 섹션들(13) 및 2개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14)을 구비하는 로킹 요소(12)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로킹 요소(12)는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13)에 의해서 로킹 그루브들(11)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와 맞물린다. 클램핑 스톱(15)과 슬라이딩 스톱(16)이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축 방향으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서(도 3 참조)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17)이 연장된다.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17)은 축 방향 섹션 내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양측에 협착부(18)를 구비하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 스톱 평면(33)에서 슬라이딩 스톱(16)이 형성된다.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17)이 원주 방향으로 로킹 섹션(42)을 에워싸며, 이 경우에는 2개의 환상 섹션들(13)이 로킹 섹션(42)의 영역에서 로킹 그루브들(11)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와 맞물릴 수 있다.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17) 및 인장 피스톤(9)은 로킹 요소(12)의 2개의 축 방향 확대부들(14)을 에워싸지 않는다. 인장 장치(1)는, 하우징 내에 있는 개구(20)를 통해 접선 방향으로 로킹 그루브(11) 내부에 맞물리는 운송 고정 와이어(19)와 함께 운송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인장 피스톤(9)은 인출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도 3은, 유압식 인장 장치(1)의 종단면을 보여준다. 본 도면에는, 인장 피스톤(9)이 가이드 되는 원통형 공동(21)을 갖는 수용부(10)가 도시되어 있다. 원통형 공동(21)의 내부 재킷 면 및 인장 피스톤(9)이 고압 챔버(22)를 에워싸며, 밸브 시트(25) 및 볼 형상의 폐쇄 바디(26)를 구비하는 체크 밸브(24) 및 공급 라인(23)을 통해서 상기 고압 챔버에 유압 수단이 공급된다. 고압 챔버(22) 내에는, 단부 측에서 배기 개구(28)를 덮는, 충진 용적(27)을 줄이기 위한 요소가 배열되어 있다. 하지만, 대안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초과압 밸브도 인장 피스톤(9)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인장 피스톤(9)은 스프링(29)에 의해서 인출 방향으로 그리고 이로써 조립 후에는 인장 레일(8)에 대하여 사전 인장된다.
인장 피스톤(9)은 외부 둘레에 로킹 그루브(11)를 구비하며, 이 경우 로킹 요소(12)는 최외곽 로킹 그루브(30) 내부에 맞물린다. 로킹 그루브(11)는 외부 둘레를 따라서 주연부에 걸쳐 배열되어 있고, 인장 피스톤(9)의 인출은 가능하지만 인장 피스톤(9)의 삽입은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킹 그루브(11)는 각각 2개의 그루브 벽들을 구비하며, 이들 그루브 벽들은 로킹 요소(12)에 의해서 한 편으로는 클램핑 스톱(15)과 접촉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슬라이딩 스톱(16)과 접촉될 수 있다. 삽입의 경우에 클램핑 스톱(15)과 접촉될 수 있는 그루브 벽은 슬라이딩 스톱과 접촉될 수 있는 마주 놓인 그루브 벽보다 더 가파르게 진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과도한 삽입이 효과적으로 저지되는데, 그 이유는 로킹 요소(12)가 환상 그루브(30)와 클램핑 스톱(15) 사이에 형상 결합식으로 접하기 때문이다. 인장 피스톤(9)이 인출되는 경우에, 로킹 요소(12)가 슬라이딩 스톱(16)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킹 요소(12)는 그루브 벽을 경유하여 다음 로킹 그루브(30)로 슬라이딩 되거나 강제로 이동될 수 있다. 수용부(10) 내에는, 로킹 그루브들(11)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 내부로 접선 방향으로 맞물리는 고정 와이어(19)를 위한 관통구(41)가 제공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톱(16)이 돌출하는 축 방향 연장부(17)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로킹 요소(12)는 최외곽 로킹 그루브(30)와 맞물려 있고, 축 방향 섹션 내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 있다.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의 축 방향 간격이 인장 피스톤(9)의 귀환 행정(34)을 결정한다. 또한, 체크 밸브(24)를 통해서 고압 챔버(22)에 유압 수단을 공급하는 공급 보어(31)가 도시되어 있다.
유압식 인장 장치(1)의 평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인장 피스톤(9)은 하우징으로서 형성된 수용부(10)의 원통형 공동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로킹 요소(12)가 인장 피스톤(9) 상에 안착한다. 로킹 요소(12)는, 인장 피스톤(9)의 로킹 그루브(11) 내부에 맞물리는 2개의 환상 섹션들(13)을 포함한다. 로킹 요소(12)의 제1 반경 방향 확대부(14a)는 인장 피스톤(9)과 함께 제1 축 방향 연장부(17a)를 에워싼다. 제2 반경 방향 확대부(14b)는 인장 피스톤(9)과 함께 제2 축 방향 연장부(17b)를 에워싼다. 제2 반경 방향 확대부(14b)는 로킹 요소(12)의 중단부(35)를 구비하며, 이 경우 로킹 요소(12)의 중단부(35)의 영역에서는 로킹 요소(12)의 2개의 단부 섹션들(36)이 서로 마주 놓여 있다. 2개 단부 섹션들(36)의 부분 섹션들(40)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반경 방향 외부로 연장되며, 슬라이딩 스톱(16)과 접촉될 수 있다. 로킹 요소(12)의 중단부(35)의 방향으로는, 작동 섹션(37)이 부분 섹션(40)에 이어지며, 이 경우 작동 섹션(37)은 마주 놓여 있는 단부 섹션(36)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에는, 대안적으로 형성된 로킹 요소(12a)를 갖는 유압식 인장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 중 다만 제1 축 방향 연장부(17a)만, 완전히 인출된 인장 피스톤(9)과 로킹 요소(12a)의 2개 반경 방향 확대부들 중 제1 반경 방향 확대부(14a)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2 반경 방향 확대부(14b)는 로킹 요소(12a)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지 않다. 작동 섹션(37)이 없기 때문에, 보조 수단에 의해서 로킹 요소(12a)의 확대를 수월하게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유압식 인장 장치(1)의 인장 피스톤(9)의 리셋은, 제1 단계에서 못(38)으로서 형성된 차단 요소가 축 방향 영역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종축을 중심으로 그려진 원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못이 삽입 후에는 로킹 요소(12a)와 클램핑 스톱(15) 사이에 그리고 축 방향 연장부들(17) 중 하나의 축 방향 연장부와 인장 피스톤(9) 사이에 배열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제2 단계에서는, 인출된 인장 피스톤(9)이 수용부(10)의 방향으로 변위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대안적인 로킹 요소(12a)가 클램핑 스톱(15)과 형상 결합식으로 접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수용부(10)의 방향으로 변위되었고 고정 와이어(19)에 의해서 고정된 인장 피스톤(9)을 갖는 유압식 인장 장치(1)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로킹 요소(12)를 갖는 인장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9)으로서 형성된 대안적인 차단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대안적으로 제공된 리셋 램프(43)를 갖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1)를 보여준다. 클램핑 스톱(15)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공동(21)을 갖는 수용부(10)가 도시되어 있다. 축 방향 연장부(17)는 축 방향으로 수용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 스톱(16)에 의해서 끝난다. 클램핑 스톱 평면(32) 및 슬라이딩 스톱 평면(33)의 축 방향 위치는, 로킹 요소가 이웃 로킹 그루브(11)로 넘어가기 전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장 피스톤의 최대로 가능한 귀환 행정(34)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귀환 행정(34)의 영역에 리셋 램프(43)가 배열되어 있다. 리셋 램프(43)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방향 연장부(17)의 브리지(44)의 반경 방향 내부로 연장되는 융기부이다.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방향 연장부(17)는 지붕(45)에 의해서 끝난다.
이로써, 제1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차단 요소[예컨대 도 6의 참조 부호 (38) 또는 도 7의 참조 부호 (39) 참조]가 축 방향 영역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클램핑 스톱 평면(33) 사이에서 원통형 공동(21)에 대해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장 피스톤(9)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차단 요소는 삽입 후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로킹 요소[예컨대 도 1 내지 도 7의 참조 부호 (12) 및 (12a) 참조]와 클램핑 스톱(15) 사이에 배열된다. 그렇기 때문에, 리셋 램프는, 로킹 요소(12)의 중단부(35) 없이 반경 방향 확대부(14)에 의해서 둘러싸인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 중 하나의 축 방향 연장부에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5의 축 방향 연장부(17a) 참조]. 리셋 램프(43)는, 차단 요소가 슬라이딩 스톱 평면(33)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보장해준다. 더 나아가, 로킹 요소(12)는 차단 요소와 슬라이딩 스톱(16) 사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단계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출된 상태의 인장 피스톤(9)이 수용부(10)의 방향으로 변위된 다음에 운송 고정 와이어(19)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는, 오버헤드 인장 장치로서의 대안적인 형상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인장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인장 피스톤(9)은 수용부(10) 내에서 가이드 되고, 원통형 공동(21)과 함께 고압 챔버(22)를 에워싼다. 고압 챔버(22)에는 공급 라인(23) 및 체크 밸브(24)를 통해서 유압 수단이 공급된다. 배기 개구(46)가, 인장 피스톤(9)에 의해 덮이지 않은 원통형 공동(21)의 영역에 배열됨으로써, 유압식 인장 장치(1)를 중력 방향으로의 인장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압식 인장 장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스톤 헤드에 있는 배기 개구[도 3의 참조 부호 (28) 참조]는 생략된다.
1: 유압식 인장 장치
2: 구동 체인 휠
3: 피동 체인 휠
4: 제어 체인
5: 견인 스트랜드
6: 가이드 레일
7: 복귀 스트랜드
8: 인장 암
9: 인장 피스톤
10: 수용부
11: 로킹 그루브
12: 로킹 요소
12a: 대안적으로 형성된 로킹 요소
13: 환상 섹션
14: 반경 방향 확대부
14a: 제1 반경 방향 확대부
14b: 제2 반경 방향 확대부
15: 클램핑 스톱
16: 슬라이딩 스톱
17: 축 방향 연장부
17a: 제1 축 방향 연장부
17b: 제2 축 방향 연장부
18: 협착부
19: 운송 고정 와이어
20: 개구
21: 원통형 공동
22: 고압 챔버
23: 공급 라인
24: 체크 밸브
25: 밸브 시트
26: 볼 형상의 폐쇄 바디
27: 충진 용적을 줄이기 위한 요소
28: 배기 개구
29: 스프링
30: 최외곽 로킹 그루브
31: 공급 보어
32: 클램핑 스톱 평면
33: 슬라이딩 스톱 평면
34: 클램핑 스톱 평면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의 간격
35: 중단부
36: 단부 섹션
37: 작동 섹션
38: 못
39: 브래킷
40: 부분 섹션
41: 관통구
42: 로킹 섹션
43: 리셋 램프
44: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방향 연장부의 브리지
45: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방향 연장부의 지붕
46: 배기 개구

Claims (10)

  1. 수용부(10) 내에서 가이드 되고 자신의 외부 둘레 면에 로킹 그루브(11)를 구비하는 인장 피스톤(9)과;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13) 및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14)을 구비하는 로킹 요소(12)로서,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13)에 의해서 로킹 그루브들(11)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와 맞물릴 수 있는, 로킹 요소(12)와;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클램핑 스톱(15)과 슬라이딩 스톱(16);을 가지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1)에 있어서,
    수용부(10)는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을 구비하고, 상기 축 방향 연장부들은 축 방향으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서 연장되고, 슬라이딩 스톱 평면의 영역에서 상호 분리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수용부(10)의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 및 인장 피스톤(9)은 로킹 요소(12)를 에워싸지 않고,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은 축 방향 섹션 내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양측에 협착부(18)를 구비하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 스톱 평면(33)에 슬라이딩 스톱(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 중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이 원주 방향으로 로킹 섹션(42)을 에워싸며, 2개 이상의 환상 섹션들(13) 중 하나의 환상 섹션이 로킹 섹션(42)의 영역에서 로킹 그루브들(11) 중 하나의 로킹 그루브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12)는 2개의 환상 섹션들(13) 및 2개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14)을 구비하며, 수용부(10)는 원주 방향으로 2개의 로킹 섹션들(42)을 에워싸는 2개의 축 방향 연장부들(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부(10)는 원통형 공동(21)을 포함하며, 이 경우 인장 피스톤(9)은 원통형 공동(21)에 의해서 가이드 되거나; 수용부(10)는 원통형 공동(21) 및 원통형 공동(21) 내부로 삽입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이 경우 인장 피스톤(9)은 상기 슬리브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14) 중 하나의 반경 방향 확대부가 로킹 요소(12)의 중단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12)의 중단부(35)의 영역에는 로킹 요소(12)의 2개의 단부 섹션들(36)이 서로 마주 놓여 있으며, 2개 단부 섹션들(36)의 부분 섹션들(40)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고, 반경 방향 외부로 연장되며, 슬라이딩 스톱(16)과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12)의 중단부(35)의 방향으로 작동 섹션들(37)이 부분 섹션들(40)에 연결되며, 작동 섹션들(37)은 마주 놓여 있는 단부 섹션(36)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들(17) 중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가 반경 방향으로 로킹 요소(12)의 2개 이상의 반경 방향 확대부들(14) 중 하나의 반경 방향 확대부와 인장 피스톤(9)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압식 인장 장치(1)의 인장 피스톤(9)을 리셋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제1 단계에서는, 차단 요소(38, 39)가 삽입 후에 로킹 요소(12, 12a)와 클램핑 스톱(15) 사이에 배열되도록, 차단 요소(38, 39)가 축 방향 영역에서 클램핑 스톱 평면(32)과 슬라이딩 스톱 평면(33) 사이에 접선 방향으로 삽입되며,
    - 제2 단계에서는, 인출된 인장 피스톤(9)이 수용부(10)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유압식 인장 장치의 인장 피스톤을 리셋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31653A 2016-05-04 2017-05-03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KR102377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7793.7 2016-05-04
DE102016207793.7A DE102016207793A1 (de) 2016-05-04 2016-05-04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PCT/DE2017/100368 WO2017190735A1 (de) 2016-05-04 2017-05-03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278A KR20190004278A (ko) 2019-01-11
KR102377067B1 true KR102377067B1 (ko) 2022-03-22

Family

ID=5899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653A KR102377067B1 (ko) 2016-05-04 2017-05-03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5302B2 (ko)
KR (1) KR102377067B1 (ko)
CN (1) CN109073051B (ko)
DE (1) DE102016207793A1 (ko)
WO (1) WO2017190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9454B2 (ja) * 2016-05-13 2020-03-04 Ntn株式会社 オートテンショナ
DE102018117977A1 (de) * 2018-07-25 2020-01-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DE102022109062A1 (de) * 2022-04-13 2023-10-19 Catensys Germany Gmbh Kettenspan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5259A1 (de) 2010-06-11 2011-12-14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Rastspange
DE102012001074A1 (de) * 2012-01-20 2013-07-25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einem einen Rampenbereich aufweisenden Entriegelung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754A (en) * 1995-06-10 1999-08-03 Ina Walzlager Schaeffler Ohg Tensioner for a power transmitting me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S2191255T3 (es) * 1997-05-08 2003-09-01 Borgwarner Inc Tensor hidraulico con cremallera externa.
US5967921A (en) * 1997-10-09 1999-10-19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chain tensioner with molded plastic body
US6120402A (en) * 1998-09-21 2000-09-19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external rack having backlash restriction
US6244981B1 (en) * 1998-09-21 2001-06-12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awl-style external rack
US6312351B1 (en) * 1998-09-21 2001-11-0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ivotal mount
US6126563A (en) * 1998-09-21 2000-10-03 Borgwarner Inc. Quick purge tensioner with internal piston spring
JP3929679B2 (ja) 2000-06-26 2007-06-1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3202060A (ja) * 2001-11-02 2003-07-18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DE10197231B4 (de) * 2001-12-10 2015-02-19 Ntn Corp. Kettenspannvorrichtung
JP2004138152A (ja) * 2002-10-17 2004-05-13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7571632B2 (en) * 2002-12-10 2009-08-11 Ntn Corporation Chain Tensioner
US20040204272A1 (en) * 2003-03-20 2004-10-14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Hydraulic tensioner
JP2005180544A (ja) * 2003-12-18 2005-07-07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DE602005010648D1 (de) * 2004-10-28 2008-12-11 Ntn Toyo Bearing Co Ltd Kettenspannvorrichtung
JP4677291B2 (ja) * 2005-06-13 2011-04-27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テンショナ
JP4951160B2 (ja) * 2006-06-29 2012-06-13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テンショナ
CN101583811B (zh) * 2007-01-19 2012-05-23 大同工业株式会社 链条张紧装置
CN103291866B (zh) * 2007-07-23 2016-12-28 博格华纳公司 带有棘齿的模块式液压张紧器
JP5244265B2 (ja) * 2008-07-22 2013-07-24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リップタイプテンショナ
JP5291849B2 (ja) * 2008-07-24 2013-09-18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リップタイプテンショナ
JP2010091055A (ja) * 2008-10-09 2010-04-22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10121748A (ja) * 2008-11-21 2010-06-03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4480789B1 (ja) * 2009-07-21 2010-06-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DE102009035923B4 (de) * 2009-08-03 2020-03-12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Rückhaltesystem
JP4938102B2 (ja) * 2010-05-21 2012-05-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5686763B2 (ja) * 2012-04-20 2015-03-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ング式テンショナ
JP6386834B2 (ja) * 2014-08-26 2018-09-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5259A1 (de) 2010-06-11 2011-12-14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Rastspange
DE102012001074A1 (de) * 2012-01-20 2013-07-25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einem einen Rampenbereich aufweisenden Entriegel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3051A (zh) 2018-12-21
DE102016207793A1 (de) 2017-11-09
US20190113112A1 (en) 2019-04-18
KR20190004278A (ko) 2019-01-11
CN109073051B (zh) 2021-10-29
US11125302B2 (en) 2021-09-21
WO2017190735A1 (de)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003B2 (en) Hydraulic tensioning device for a chain drive
KR102377067B1 (ko) 체인 구동 장치용 유압식 인장 장치
US9074657B2 (en) Tensioning system with restoring action
US9664266B2 (en) Cam follower roller device
JPS63115958A (ja) チエーン緊張装置
CN112424504A (zh) 用于链条传动的液压张紧装置
CN103322146A (zh) 具有带斜坡部的释放元件的张紧装置
JPS63115959A (ja) チエーン緊張装置
US20070179001A1 (en) Tensioner for chain or belt drives
EP1197679B1 (en) A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US10082195B2 (en) Linear tensioner
US10443691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chain drive
US10816064B2 (en) Hydraulic tensioning device for a chain drive
US7331891B2 (en)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CN109073054B (zh) 链传动机构的液压张紧装置
US20180119780A1 (en) Tensioning device comprising a locking element for a chain drive
KR20200098665A (ko) 체인 텐셔너 피스톤의 보유
KR102156056B1 (ko) 텐셔너
RU2178847C2 (ru) Гидронатяжитель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натяжения цепи
KR20130065140A (ko)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JP6453056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20220299091A1 (en) Tensioning device with a single securing ring
WO2018101130A1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20180048853A (ko) 고압 펌프
KR100427942B1 (ko) 핀 연결 구조를 가진 인젝터 인슐레이션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