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895B1 -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895B1
KR102376895B1 KR1020170135762A KR20170135762A KR102376895B1 KR 102376895 B1 KR102376895 B1 KR 102376895B1 KR 1020170135762 A KR1020170135762 A KR 1020170135762A KR 20170135762 A KR20170135762 A KR 20170135762A KR 102376895 B1 KR102376895 B1 KR 10237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mmunication
receiving module
module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782A (ko
Inventor
박성규
박소희
유진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8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구역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밀폐 구역을 형성하는 금속체(15)에 탈부착 가능하고, 환경 인자를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모듈(20); 상기 센서모듈(20)과 이격된 위치에서 금속체(15) 상으로 통신과 전력전송을 구현하는 수신모듈(40); 및 상기 수신모듈(40)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밀폐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입출력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선박의 협소하고 밀폐된 구역에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한 구성을 부가하여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므로 인명 손상의 우려를 경감하면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System for monitoring closed area environment}
본 발명은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한으로 작업자들의 감시와 관리가 곤란한 밀폐 구역에 금속체 매개로 전달되는 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적절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 등에서 밀폐 구역내 작업자는 출입전 안전관리조직에게 작업승인을 요청하여 받아야 한다. 안전관리조직은 출입하고자 하는 밀폐 구역에 방문하여 구역내 가스 및 산소농도 측정기를 내려 측정한 뒤 위험이 없으면 작업을 승인한다. 이때 로프에 센서를 매달아 깊이별로 내려서 측정하는 방식은 구성이 간단하고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측정하므로 정확하다.
다만 출입전 측정후 작업중엔 측정이 어려워 작업중 환경이 변하는 경우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고, 작업승인요청이 많은 경우 작업승인이 지연되어 작업이 지연될 수 있으며, 밀폐 구역은 외부와 통신이 제한되므로 원격의 관리자가 밀폐 구역내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와 같은 특허문헌들이 알려져 있다.
전자는 환경 모니터링이 어려운 장소에 블록몸체, 산소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 온도센서, 유량센서, 스마트센서제어모듈로 구성됨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기존의 산업기기 내부공간 및 밀폐공간에 호환시켜 실시간으로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원격지의 데이터 관리서버와 유무선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는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벽에 장착되며 금속 벽의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표면파인 표면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송신부; 및 금속 벽으로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어 금속 벽의 표면을 따라 전달되는 표면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이에, 표면장(evanescent field)으로 무선전력 또는 데이터 전송하여 전송효율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선박과 같이 보편적으로 협소하면서 밀폐된 구역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더불어 작업의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선의 여지가 크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02614호 "환경 모니터링용 스마트센서모듈" (공개일자 : 2012.11.19.)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14857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 (공개일자 : 2017.02.08.)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협소하고 밀폐된 구역에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한 구성을 부가하여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는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 구역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밀폐 구역을 형성하는 금속체에 탈부착 가능하고, 환경 인자를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이격된 위치에서 금속체 상으로 통신과 전력전송을 구현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밀폐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입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센서모듈은 승강용 로프의 결속을 단속하는 전자후크, 금속체에 인가되는 자력을 단속하는 매그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센서모듈은 가스센서, IR센서, 조도센서로 환경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 메인화면, 메뉴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 EMPaCT 안테나, NFC 안테나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수신모듈은 IR센서, 조도센서로 환경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 메인화면, 메뉴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 EMPaCT 안테나, NFC 안테나, LTE/Wifi 안테나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표시부는 메인화면에서 검출 물리량, 통신 상태, 전원 상태를 출력하고, 메뉴화면에서 화면밝기, 네트워크, 전원, ID, 시간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메인서버와 DB를 통하여 수신모듈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모듈에 대한 개별데이터를 구분하여 입출력하고, 상기 개별데이터는 표면장(evanescent field)에 의한 통신 및 충전 상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협소하고 밀폐된 구역에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한 구성을 부가하여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므로 인명 손상의 우려를 경감하면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수신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메뉴설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밀폐 구역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하여 제안한다. 선박과 같이 보편적으로 협소하면서 밀폐된 구역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밀폐 구역(10)의 모니터링 대상은 유해 가스, 온습도 등의 환경 요소(물리량)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의 작업과 관련된 물리량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인자를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모듈(20)이 밀폐 구역을 형성하는 금속체(15)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선박의 경우 밀폐 구역(10)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금속체(15)로 구성된다. 특히 밀폐 구역(10)의 금속체(15)는 요철이 없는 평탄한 구조가 선호된다. 센서모듈(20)은 밀폐 구역(10)에 탈부착이 용이하면서 부착된 상태로 물리량을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센서모듈(20)은 승강용 로프(21)의 결속을 단속하는 전자후크(23), 금속체(15)에 인가되는 자력을 단속하는 매그스위치(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로프(21)를 항시 센서모듈(20)에 걸어 지지해야 하는 방식이지만, 본 발명은 일시적으로 로프(21)를 사용하고 매그스위치(25)로 부착력을 유지한다. 전자후크(23)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가 전자석에 인가되면 후크를 개방하여 로프(21)의 분리를 유발한다. 매그스위치(25)는 사용자가 수동적 조작으로 자력을 온오프하므로 별도의 에너지(전력) 소모를 배제한다.
물론, 도시에는 생략하나 매그스위치(25) 대신에 별도의 전자석을 사용하여 탈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센서모듈(20)은 가스센서, IR센서, 조도센서로 환경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32); 메인화면, 메뉴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35); EMPaCT 안테나, NFC 안테나로 통신하는 통신부(38);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모듈(20)은 입력부(31), 검출부(32), 전원부(33), 표시부(35), 통신부(38) 등으로 구성된다. 가스센서는 작업자에 유해한 가스를 검출하는 것으로 경박단소한 반도체 방식을 택한다. IR센서는 인체를 감지하는 외에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조도센서는 밝기를 검출하여 표시부(35)의 출력 조절에 활용된다. 표시부(35)의 메인화면과 메뉴화면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EMPaCT(Evanescent Mode Power-transf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안테나는 표면장(evanescent field)을 발생시켜 무선전력 또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NFC 안테나는 센서모듈(20) 및 후술하는 수신모듈(40) 간의 신속한 통신을 수행한다. 이외에 입력부(31)는 다수의 입력 키를 포함하고, 전원부(33)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표시부(35)는 스피커(36)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모듈(40)이 상기 센서모듈(20)과 이격된 위치에서 금속체(15) 상으로 통신과 전력전송을 구현한다. 수신모듈(40)은 밀폐 구역(10)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전술한 전자후크(23)와 매그스위치(25)는 불필요하다. 수신모듈(40)은 다수의 센서모듈(20)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과 전력전송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수신모듈(40)은 IR센서, 조도센서로 환경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42); 메인화면, 메뉴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45); EMPaCT 안테나, NFC 안테나, LTE/Wifi 안테나로 통신하는 통신부(48);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모듈(40)은 입력부(41), 검출부(42), 전원부(43), 표시부(45), 통신부(48) 등으로 구성된다. 검출부(42)의 IR센서, 조도센서 부분은 전술한 센서모듈(20)과 동일하고, 가스 센서는 배제된다. 표시부(45)의 메인화면과 메뉴화면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통신부(48)의 EMPaCT 안테나와 NFC 안테나 부분은 전술한 센서모듈(20)과 동일하고, 제어수단(5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Wifi안테나가 추가된다. 이외에 입력부(41)는 다수의 입력 키를 포함하고, 전원부(43)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표시부(35)(45)는 메인화면에서 검출 물리량, 통신 상태, 전원 상태를 출력하고, 메뉴화면에서 화면밝기, 네트워크, 전원, ID, 시간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한다. 도 6(a)는 센서모듈(20)의 표시부(35)에 대한 메인화면과 메뉴화면으로서, 메인화면에 측정 시간, 산소 농도량, EMPaCT 통신 및 충전 상태, 배터리 잔량 등을 예시하고, 메뉴화면에서 백라이트 설정, 전력소모 설정, 이름 설정, 시간 설정을 예시한다. 도 6(b)는 수신모듈(40)의 표시부(45)에 대한 메인화면과 메뉴화면으로서, 메인화면에 측정 시간, 각 센서모듈(20)의 산소 농도량, EMPaCT 통신 및 충전 상태, 배터리 잔량 등을 예시하고, 메뉴화면에서 서버 설정, 네트워크 설정, 이름 설정, 시간 설정을 예시한다.
한편, 도 5(a)에서 센서모듈(20)의 설정 메뉴 구성은 백라이트 사용 활성화 설정, 에너지(전력) 절감 활성화 설정, 시리얼 번호 확인, 센싱 주기 설정, 경고음 활성화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서 수신모듈(40)의 설정 메뉴 구성은 데이터 전달 서버 설정, 통신 설정, 전력 전송 설정, 센서 추가 설정, 백라이트 사용 활성화 설정, 시리얼 번호 확인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50)이 상기 수신모듈(40)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밀폐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입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센서모듈(20)이 수신모듈(40)에 연결되고, 수신모듈(40)은 미들서버, 메인서버(52), DB(55)를 개재하여 작업자 및 관리자의 단말기(PC, 스마트폰 등)에 연결된다. 미들서버는 유무선 통신을 매개하여 메인서버(52)의 연산 부담을 경감한다. 메인서버(52)와 DB(55)는 로컬의 수신모듈(40)이 수집한 값을 저장하고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50)은 메인서버(52)와 DB(55)를 통하여 수신모듈(40)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모듈(20)에 대한 개별데이터를 구분하여 입출력하고, 상기 개별데이터는 표면장(evanescent field)에 의한 통신 및 충전 상태를 포함한다. 도 4에서 각각의 센서모듈(20)은 관련 수신모듈(40)인 수신기 ID를 저장하면서 이름, 가스명, 센싱값, 센터배터리량, 충전중 여부, 수신기와의 신호 감도, 센서 Health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수신모듈(40)은 각각의 센서모듈(20)에 대응하는 정보를 관리한다. 특히, 금속체(15) 통신을 이용한 전력 전송은 센서모듈(20)과 수신모듈(40)의 배터리 교체를 위한 작업자의 유지 보수를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요소이다.
작용의 일예에 있어서, 로프(21)를 이용하여 밀폐 구역(10) 내부로 복수의 센서모듈(20)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고, 자력의 온(on) 상태로 유지된 매그스위치(25)로 금속체(15)인 벽면에 센서모듈(20)을 부착하고, 밀폐 구역 입구에 대기하는 수신모듈(40)에서 금속체(15)의 표면파를 이용하여 전달된 센서모듈(20)의 측정값을 수집하고, 각각의 센서모듈(20)에서 수집된 정보는 메인서버(52)를 통하여 DB(55)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안전관리 조직(요원)은 현장에 매번 방문하지 않아도 실시간에 가깝게 밀폐 구역(10) 내의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작업과 관련된 승인을 원격으로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밀폐 구역 15: 금속체
20: 센서모듈 21: 로프
23: 전자후크 25: 매그스위치
31: 입력부 32: 검출부
33: 전원부 35: 표시부
36: 스피커 38: 통신부
40: 수신모듈 41: 입력부
42: 검출부 43: 전원부
45: 표시부 48: 통신부
50: 제어수단 52: 메인서버
55: DB

Claims (6)

  1. 선박의 밀폐 구역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밀폐 구역을 형성하는 금속체(15)에 탈부착 가능하고, 환경 인자를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모듈(20);
    상기 센서모듈(20)과 이격된 위치에서 금속체(15) 상으로 통신과 전력전송을 구현하는 수신모듈(40); 및
    상기 수신모듈(40)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밀폐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입출력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모듈(20)은 승강용 로프(21)의 결속을 단속하는 전자후크(23), 금속체(15)에 인가되는 자력을 단속하는 매그스위치(25)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모듈(20)은 가스센서, IR센서, 조도센서로 환경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32); 메인화면, 메뉴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35); EMPaCT 안테나, NFC 안테나로 통신하는 통신부(38);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모듈(40)은 IR센서, 조도센서로 환경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42); 메인화면, 메뉴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45); EMPaCT 안테나, NFC 안테나, LTE/Wifi 안테나로 통신하는 통신부(48);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메인서버(52)와 DB(55)를 통하여 수신모듈(40)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모듈(20)에 대한 개별데이터를 구분하여 입출력하고, 상기 개별데이터는 표면장(evanescent field)에 의한 통신 및 충전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5)(45)는 메인화면에서 검출 물리량, 통신 상태, 전원 상태를 출력하고, 메뉴화면에서 화면밝기, 네트워크, 전원, ID, 시간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6. 삭제
KR1020170135762A 2017-10-19 2017-10-19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7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62A KR102376895B1 (ko) 2017-10-19 2017-10-19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62A KR102376895B1 (ko) 2017-10-19 2017-10-19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82A KR20190043782A (ko) 2019-04-29
KR102376895B1 true KR102376895B1 (ko) 2022-03-22

Family

ID=6628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762A KR102376895B1 (ko) 2017-10-19 2017-10-19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858B1 (ko) * 2019-11-28 2020-02-28 (주)휴컨 밀폐공간 저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042A (ja) * 2005-01-21 2006-08-03 Tateyama Kagaku Kogyo Kk センサ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52B1 (ko) * 2009-06-18 2011-06-15 주식회사 인팩 백바이어스 타입의 캠 샤프트 홀센서를 이용한 무접점 스탑램프스위치
KR200464746Y1 (ko) * 2011-03-15 2013-01-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결속부재 고정 장치
KR101202614B1 (ko) 2012-08-17 2012-11-19 제이씨에이몬트롤 주식회사 환경 모니터링용 스마트센서모듈
KR200482033Y1 (ko) * 2015-03-25 2016-12-20 손영찬 센서를 이용한 등신대 디스플레이 및 그 등신대의 통신시스템
KR101810737B1 (ko) 2015-07-31 2017-12-19 울산과학기술원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042A (ja) * 2005-01-21 2006-08-03 Tateyama Kagaku Kogyo Kk センサ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82A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119B1 (ko)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CN207611468U (zh) 一种用户区域人员检测的安全电子围栏系统
CN203552412U (zh) 一种便携式癫痫发作检测报警装置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US11276292B2 (en) Recording activity detection
CN110220589A (zh) 一种噪音在线检测装置及系统
CN106094902A (zh) 多功能智能水流量测控装置
US20130326089A1 (en) Autonomous systems for remote control of handheld devices
KR102376895B1 (ko)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44174A (ko) 가스 검출 장치
CN105847445A (zh) 无人机用环境综合监测系统
WO2017193652A1 (zh) 一种智能终端
GB2511069A (en) Sensing device
KR102098816B1 (ko)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CN104548459B (zh) 基于多模网关的智能消火栓水压实时监控和使用调度方法
US20180301013A1 (en) Monitorning systems and methods
CN203480350U (zh) 一种无线温湿度测控系统
CN107942825A (zh) 一种基于NB‑IoT网络的智能温湿度计
CN208008325U (zh) 一种塔机用智能吊钩系统
KR20200128487A (ko) 드론을 이용한 구조물 손상 감지 시스템
CN206483230U (zh) 一种智能净水机系统
JP4836462B2 (ja) 省エネ支援システム
KR20200069882A (ko) 드론을 이용한 구조물 손상 감지 시스템
CN110673522A (zh) 用于地铁的施工装置
Singh et al. XBee and Internet of Robotic Things based worker safety in construction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