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741B1 -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741B1
KR102376741B1 KR1020140184622A KR20140184622A KR102376741B1 KR 102376741 B1 KR102376741 B1 KR 102376741B1 KR 1020140184622 A KR1020140184622 A KR 1020140184622A KR 20140184622 A KR20140184622 A KR 20140184622A KR 102376741 B1 KR102376741 B1 KR 10237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agnet
rotor
support memb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199A (ko
Inventor
김영관
인병렬
김덕진
김광수
박종진
방명배
윤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29,4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91090B2/en
Priority to EP15170735.3A priority patent/EP2955817B1/en
Publication of KR2015014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은 로터의 내부를 지나는 내부채널을 갖도록 구성된다. 내부채널을 통해 접착제가 유동하여 로터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로터의 구조를 개선한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가전제품이다.
상기 모터는 진공청소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 압력을 낮추는 것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한 흡입력은 흡입수단을 통해 청소면의 먼지등의 이물질을 외부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집진장치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모터는 전기에너지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기계로서, 스테이터와 로터를 구비한다. 로터는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자기장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한다.
모터는 로터를 회전시켜,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흡입팬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구성들은 하나의 모듈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모터와 모터를 고정시키는 구성과, 흡입팬등의 구성이 서로의 공간을 간섭하게 되어 청소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어 문제가 된다.
이와 선행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201444호(2000.07.18.)가 있습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로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키고, 로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터어셈블리는 로터수용부를 갖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로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샤프트; 상기 로터샤프트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넷으로서, 상기 로터샤프트와 상기 마그넷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마그넷결합채널을 갖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에 상기 로터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부재로서, 상기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는 접착채널을 갖는 보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넷결합채널은, 접착제가 유동하도록 상기 로터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마그넷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로터축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보조부재; 상기 로터축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보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로터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채널과 상기 마그넷결합채널은, 상기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사이, 상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사이에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채널은, 상기 제 1 보조부재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1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사이를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채널; 상기 마그넷 결합채널에 의해 상기 제 1 채널과 연통하며, 상기 제 2 보조부재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2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사이를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은 각각 복수의 제 1 채널과, 복수의 제 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채널과 상기 복수의 제 2 채널은,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보조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채널; 상기 유입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보조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향해 형성되는 제 1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보조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제 2 유동채널; 상기 제 2 보조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제 2 유동채널과 연통되는 유출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는 상기 로터샤프트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입채널과 상기 유출채널은, 상기 로터샤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로터샤프트와 이격되어, 각각 상기 제 1 보조부재와 상기 제 2 보조부재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결합채널은, 상기 로터샤프트와 상기 마그넷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로터샤프트에서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과 타측면사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마그넷과 마주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접착채널을 유동하는 접착제가 상기 로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누출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누출방지홈은,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채널과 제 2 채널의 외곽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누출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은, 각각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채널과, 복수의 제 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홈은,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채널과 상기 복수의 제 2 채널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내측누출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마그넷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그넷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로터샤프트와, 중앙에 상기 로터샤프트가 지나는 마그넷과, 중앙에 상기 로터샤프트가 지나며 상기 마그넷의 상하로 배치되고 접착제가 이동하는 접착채널이 구비된 한 쌍의 보조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접착채널을 통해 접착제가 유동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를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보조부재는,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보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채널은, 상기 제 1 보조부재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1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사이를 지나도록 마련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마그넷결합채널;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2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사이를 지나도록 마련되는 제 2 채널;을 포함하고, 접착제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지나면서 상기 한 쌍의 보조부재와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보조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채널; 상기 유입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보조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향해 형성되는 제 1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보조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제 2 유동채널; 상기 제 2 보조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제 2 유동채널과 연통되는 유출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터어셈블리는 로터수용부를 갖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로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샤프트; 상기 로터샤프트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터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에 상기 로터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밸런서; 상기 로터샤프트, 상기 마그넷, 상기 밸런서를 접착하는 접착제가, 상기 로터샤프트와 상기 마그넷과 상기 밸런서사이를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내부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채널은, 접착제가 상기 밸런서와 상기 마그넷을 지나도록 마련되는 접착채널;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를 지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결합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밸런서는, 상기 로터축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밸런서; 상기 로터축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은 로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로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착제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채널 구조를 통해 로터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일부구성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모터의 배치관계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자기장흐름에 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분해사시도.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서포트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와 임펠러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관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2a, 2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모터의 배치관계에 관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자기장흐름에 관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성능에 관한 그래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에 관한 도면.
도 29, 3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터모듈에 관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방안착하우징에 대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후방안착하우징에 대한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안착하우징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41a, 41b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3a, 43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4a, 44b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7a, 47b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8a, 48b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49a, 49b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
도 51a, 51b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보조부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일부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스틱형 청소기(1)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청소기(1)는 스틱본체(10)와, 흡입부(20)와, 청소기본체(30)를 포함한다.
스틱본체(10)는 청소기본체(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틱본체(10)에는 컨트롤부(12)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청소기(1)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흡입부(20)는 청소기본체(30)의 하부에 마련되어, 피청소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흡입부(20)는 피청소면과 접촉하여, 모터어셈블리(100)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먼지나 오물을 청소기본체(3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청소기본체(30)는, 그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어셈블리(100)와, 먼지통(40)을 포함한다. 모터어셈블리(100)는 청소기본체(30)의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먼지통(40)은 모터어셈블리(100)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흡입부(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모터어셈블리(100)는 청소기본체(30)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모터어셈블리(100)는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0)와, 모터(170)가 하우징(102)내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안착하우징(142)과, 모터(170)의 로터축(172a)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임펠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2)은 제 1 하우징(110)과, 제 1 하우징(110)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제 2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은 로터축(172a)의 축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은 모터(17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흡입구(111)가 마련되고, 제 2 하우징(120)은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121)가 마련된다. 제 2 하우징(120)은 제 1 하우징(110)의 배면에서 제 1 하우징(110)과 결합하므로, 하우징(102)의 전방에는 공기흡입구(111)가 마련되고, 후방에는 공기배출구(12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흡입구(111)와 공기배출구(121)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하우징(110)와 제 2 하우징(120)이 결합하여, 공기흡입구(111)로부터 공기배출구(121)로 이어지는 공기유로(113)를 형성하며, 내부에 모터(170) 또는 임펠러(130)등이 배치되는 내부공간(127)을 형성하게 된다.
공기유로(113)는 모듈유로(113a)와, 모듈외부유로(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30)에 의해 모터어셈블리(100)에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흡입된 공기가 공기유로(113)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인슐레이터(190)의 유로가이드부(194)에 의해 모터모듈(140) 내부로 유입되는 모듈유로(113a)와, 모터모듈(140)의 외부와 하우징(102)의 내측 사이를 지나는 모듈외부유로(113b)를 유동할 수 있다. 모듈유로(113a)를 지나는 흡입공기는 모터모듈(140)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모듈유로(113a)를 지나는 흡입공기와 모듈외부유로(113b)를 지나는 흡입공기는 회로기판(196)을 지나면서 회로기판(196)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제 1 하우징(110)은 쉬라우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112)는 이후 설명하는 임펠러(130) 또는 디퓨저부(122)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모터(170)에 의해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쉬라우드(112)는 공기흡입구(111)로부터 모터(170)에 의한 흡입공기의 진행방향을 따라 유로가 넓게 형성되도록, 로터축(172a)의 축방향에 대해 쉬라우드(112)가 형성하는 공간이 넓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쉬라우드(112)는 공기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하우징(102)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며, 임펠러(13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의 공기흡입구(111)의 내측에는 임펠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130)는 로터축(172a)과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130)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132)가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130)는 로터(17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임펠러(130)의 복수의 날개(132) 회전반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임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로터축(172a)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로터축(172a)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130)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임펠러(130)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임펠러(130)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은 디퓨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부(122)는 임펠러(1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된다. 임펠러(130)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곽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디퓨저부(122)는 임펠러(130)에 대해 방사상의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임펠러(130)의 복수의 날개(132)에 대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부(122)는 복수의 리브(123, 124)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의 리브(123, 124)는 복수의 날개(132)에 대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그 이격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23, 124)는 임펠러(1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디퓨저부(122)와, 제 1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쉬라우드(112)가 디퓨저유로(125)를 형성하게 되어 임펠러(1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리브(123, 124)는 제 1 리브(123)와 제 2 리브(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브(123)는 임펠러(130)에 의한 공기유동의 하류측 단부와 동일평면상에 마련되고, 제 2 리브(124)는 제 1 리브(123)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하우징(102)의 내부에서 로터축(172a)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되도록, 로터축(172a)방향으로 일정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모터모듈(140)이 마련될 수 있다. 모터모듈(140)은 모터(170)가 하나의 모듈로서 하우징(102)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모터모듈(140)은 모터(170)와, 안착하우징(14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하우징(142)은 전방안착하우징(150)과, 모터(170)를 사이에 두고 전방안착하우징(150)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후방안착하우징(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150)은 하우징(10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하우징(120)의 중앙에는 전방안착하우징(150)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홀 형상의 안착홀(126)이 형성되며, 전방안착하우징(150)은 안착홀(126)에 결합될 수 있다. 끼움결합될 수도 있으며 결합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전방안착하우징(150)은 전방안착하우징몸체(151)와, 임펠러안착부(153)와, 전방안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몸체(151)는 대략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바와같이 제 2 하우징(120)의 홀형상의 안착홀(126)에 결합되도록 안착홀(126)의 형상에 대응되는 몸체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안착부(153)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151)의 전면에서 임펠러(13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안착부(153)의 전방에는 로터축(172a)에 결합된 임펠러(130)가 회동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임펠러(130) 배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154)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151)의 배면에서 모터(17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154)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터(172)의 중심이 임펠러(130)의 회전중심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스테이터(180)를 안착 및 고정시키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15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151)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전방안착하우징몸체(151)와 모터(170)가 일정간격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방안착부(15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터(180)가 제 1 방향(w1)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전방안착부(154)는 스테이터(180)의 각 단부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160)은 전방안착하우징(15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전방안착하우징(150)과 사이에 모터(17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방안착하우징(160)은 후방안착하우징몸체(161)와 후방안착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몸체(161)는 스테이터(18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스테이터(1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안착부(16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터(18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후방안착부(164)는 스테이터(180)의 각 단부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150)과 후방안착하우징(160)은 결합을 위해 각각 나사홀(151b, 161b)을 가져, 나사(14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하우징(150)과 후방안착하우징(160)의 내부에 모터(170)가 고정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전방안착하우징(150)과 후방안착하우징(160)의 중심에는 로터축(172a)이 지날 수 있도록 각각 전방관통홀(151a)과, 후방관통홀(161a)이 마련된다. 전방관통홀(151a)과 후방관통홀(161a)에는 로터축(172a)의 회전을 위해 각각 전방베어링(173a)과 후방베어링(173b)이 배치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150)은 전방안착돌기(156)와, 전방안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부(154)는 전방안착하우징(150)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모터(170)의 일측면이 안착하도록 마련된다. 스테이터(180)가 전방안착부(154)에 안착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로터(172)와 임펠러(130), 디퓨저부(12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전방관통홀(151a)은 복수의 전방안착부(154)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안착돌기(156)는 전방안착부(154)의 둘레를 따라 전방안착하우징(150)의 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그 내측면으로 모터(17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돌기(156)는 모터어셈블리(100)가 동작시 모터(170)가 로터축(172a)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자세하게는 전방안착부(154)에 모터(170)의 전면이 안착되고, 전방안착돌기(156)의 전방돌기안착면(156a)에 모터(170)의 측면이 안착되게 된다. 전방안착돌기(156)에는 모터(170)가 전방안착부(154)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이를 안내하는 전방가이드면(156b)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가이드면(156b)은 전방안착돌기(156)의 단부에 마련되어 그 내측으로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돌기안착면(156a)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150)의 몸체는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안착돌기(156)는 네 개가 형성되어 전방안착하우징(150)의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후방안착하우징(160)은 후방안착돌기(166)와, 후방안착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안착부(164)는 후방안착하우징(160)의 내측에 마련되어, 모터(170)의 타측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스테이터(180)가 후방안착부(164)에 안착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로터(172)와 임펠러(130), 디퓨저부(12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후방관통홀(161a)은 복수의 후방안착부(164)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안착돌기(166)는 후방안착부(164)의 둘레를 따라 후방안착하우징(160)의 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그 내측면으로 모터(17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후방안착돌기(166)는 전방안착돌기(156)와 함께, 모터어셈블리(100)가 동작시 모터(170)가 로터축(172a)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모터(170)와 후방안착돌기(166)의 결합시, 모터(170)가 후방안착부(164)에 안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후방안착돌기(166)의 내부에는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면(167b)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후방안착부(164)에 모터(170)의 후면이 안착되고, 후방안착돌기(166)의 후방돌기안착면(167a)에 모터(170)의 측면이 안착되게 된다. 후방안착돌기(166)에는 모터(170)가 후방안착부(164)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이를 안내하는 후방가이드면(167b)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가이드면(167b)은 후방안착돌기(166)의 단부에 마련되어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돌기안착면(167a)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160)의 몸체는 이후 설명하는 스테이터(18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스테이터(180)의 길이방향인 제 1 방향(w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안착돌기(166)는 네 개가 형성되어 전방안착하우징(150)의 전방안착돌기(156)와 대응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160)에는 마그넷센서(144)가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센서(144)는 로터(172)의 마그넷과 동일축상에 마련되어, 로터(172)의 회전에 따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회로기판(196)의 위치센서(미도시)에 전달하게 되고, 이를 통한 로터(172)의 위치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마그넷센서(144)는 센서브라켓(146)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196)의 위치센서(미도시)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센서브라켓(146)은 일단은 후방안착하우징(160)의 배면에 마련되는 센서안착부(168)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회로기판(196)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터(172)에 직접 위치센서가 위치시키지 않고 마그넷센서(144)를 배치함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추가를 통해 로터(172)의 위치제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전방안착하우징(150)과 후방안착하우징(160)은 결합을 위해 각각 나사홀(151b, 161b)을 가져, 나사(14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전방안착부(154)에 각각 하나씩, 네 개의 후방안착부(164)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나사(148)가 후방안착부(164)의 나사홀(161b)을 관통하여 대응되는 전방안착부(154)의 나사홀(151b)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안착하우징(150)과 후방안착하우징(160)은 네 개의 나사(148)로 각각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모터(170)는 로터(172)와, 스테이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172)는 스테이터(180)의 중심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스테이터(180)는 로터(172)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된다.
스테이터(180)는 스테이터바디(182), 인슐레이터(190), 코일(19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바디(182)는 한 쌍이 마련되며, 로터(17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제 1 방향(w1)으로 배치된다. 즉, 스테이터바디(182)는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는 길이방향인 제 1 방향(w1)으로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로터(172)를 중심으로 스테이터(180)가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스테이터(180)가 로터(172)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되는 길이가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제 2 방향(w2)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테이터(180)의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되는 길이를 L1이라하고, 제 2 방향(w2)으로 형성되는 길이를 L2라 할 때, L1은 L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180)가 타방향보다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테이터(180)의 일방향 외측으로의 공간보다 타방향 외측으로의 공간이 넓게 된다. 그러므로 해당공간을 지나는 유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모터의 냉각 및 모터어셈블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스테이터(180)가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됨에 따라, 로터(172)를 중심으로 스테이터(18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배치영역(188)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치영역(188)은 스테이터(18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한 부분인, 스테이터(18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배치영역(188)은 스테이터(180)와 동일평면상에 마련되는 영역으로서, 모터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127)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된다. 배치영역(188)은 대략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배치영역(188)에는 모터어셈블리(100)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캐패시터(198)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영역(188)은 스테이터(180)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캐패시터(198)도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치영역(188)마다 각각 둘씩 모두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캐패시터(198)는 전압을 평탄화시키거나, 리플(ripple)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의 중앙부에는 로터(172)를 수용하기 위한 로터수용부(187a)가 형성된다. 스테이터바디(182)는 프레스 가공된 철판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바디(182)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터코어(18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코어(184)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호간에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는 각각 나란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둘의 스테이터코어(184)를 갖고, 로터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코어(184)는 센터코어(185)와, 센터코어(185)의 측부에 마련되는 사이드코어(186)를 포함한다.
센터코어(185)는 로터(172)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센터코어(185)사이에는 로터(172)가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수용부(187a)를 형성한다. 사이드코어(186)는 센터코어(185)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센터코어(185)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의 스테이터코어(184)와, 다른 하나의 스테이터바디(182)의 스테이터코어(184)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테이터코어(184)들은 상호 마주보도록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의 스테이터코어(184)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상에는 다른 하나의 스테이터바디(182)의 스테이터코어(184)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터코어(185)의 양측에 마련되는 사이드코어(186)는 마주보는 어느하나의 스테이터(180)의 한 쌍의 사이드코어(186)와, 이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스테이터(180)의 한 쌍의 사이드코어(186)는 상호 간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마주보는 사이드코어(186)들에서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186a)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돌기(186a)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86b)이 형성될 수 있다.
센터코어(185)와 사이드코어(186)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코일(195)을 스테이터(180)에 권선시, 권선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스테이터코어(184)사이에 스테이터슬롯(187b)이 형성된다. 스테이터코어(184)들에 코일(195)이 권선됨에 따라 스테이터슬롯(187b)들에는 코일(195)이 수용된다. 로터(172)와 인접한 스테이터코어(184)들의 내측 단부에는 스테이터코어(184)들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된 확장코어부(185a)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로터(172)측을 향하는 센터코어(185)의 내측 단부에는 센터코어(185)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로터(17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확장코어부(185a)가 형성된다. 확장코어부(185a)의 내면과 로터(172)의 외면사이에는 로터(172)의 회전을 위한 공극(185b)이 형성된다.
인슐레이터(19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스테이터(18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스테이터코어(184)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인슐레이터(190)는 스테이터바디(182)의 일면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인슐레이터바디(191)와, 인슐레이터바디(191)에서 센터코어(185)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센터코어지지부(192)와, 센터코어지지부(192)에서 반경방향 내측에서 돌출되는 코일가이드부(193)를 포함한다.
코일(195)은 인슐레이터(190)가 스테이터바디(182)와 결합된 상태에서 센터코어(185)와, 센터코어지지부(192)에 걸쳐 권선된다. 사이드코어(186)와, 사이드코어(186)를 감싸는 인슐레이터(190)에 걸쳐 권선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터코어(185)와, 센터코어지지부(192)에 권선되는 부분만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일(195)가 센터코어(185)에 권선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나, 출력밀도와 용이한 제어를 위해 센터코어(185)뿐만 아니라 한 쌍의 사이드코어(186)에도 코일(195)이 권선되어 3상의 극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인슐레이터(190)는 유로가이드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가이드부(194)는 스테이터(180)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공기유로(113)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임펠러(130)에 의해 하우징(102)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모터모듈(140) 내부를 지나게 함으로서, 모듈유로(113a)를 형성하게 된다. 즉 공기유로(113)는 유로가이드부(194)에 의해 모듈유로(113a)와 모듈외부유로(113b)로 구획된다.
인슐레이터(190)는 바디결합부(191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결합부(191a)는 인슐레이터바디(191)의 일측에 마련되며, 모터(170)에 권선되는 코일(195)을 회로기판(196)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바디결합부(191a)는 모터(170)와 회로기판(196)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로기판(196)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모터의 배치관계에 관한 도면이다.
모터(170)의 하부에는 모터(170)로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도록 회로기판(196)이 마련될 수 있다. 회로기판(196)의 일면에는 회로소자가 배치되는 실장영역(197)이 마련될 수 있다. 실장영역(197)에는 발열소자, 캐패시터(198)등과 같은 회로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모터(170)는 회로기판(196)으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전달받아야하고, 또한 모터(170)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회로기판(196)의 발열을 제거할 수 있어, 회로기판(196)은 모터(1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회로소자와 모터(170)가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이 많아지게 되어 모터어셈블리(100)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170)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동일평면상에 배치영역(188)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일방향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180)의 양 측부는 모터어셈블리(100)의 다른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여유공간인 배치영역(188)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2)이 대략 원통형상을 갖거나, 임펠러(130)가 원형으로 마련되므로, 배치영역(188)은 일정간격의 호를 갖는 반원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로기판(196)에 실장영역(197)에는 모터(170)의 배치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모터(170)의 배치영역(188)에 전기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패시터(198)가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전기소자에 경우에도 배치영역(188)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모터(170)와 회로기판(196)을 더욱 가깝게 배치할 수 있어서 하우징(102)내부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자기장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스테이터(180)는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가 상호 마주하도록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로터(172)의 주위에서 한 쌍의 센터코어(185)의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코어부(185a)는 그 내면에 마련되는 곡면의 중심이 상호간에 어긋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확장코어부(185a)가 로터(172)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데, 어느 하나의 확장코어부(185a)의 내면중심과, 다른 하나의 확장코어부(185a)의 내면중심이 상호간에 어긋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172)를 감싸는 한 쌍의 확장코어부(185a)에서 상호 다른 크기와 방향의 전자기적 영향을 주어 로터(172)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0은 스테이터(182)와 로터(172)를 지나는 전자기적 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스테이터(180)와 로터(172)를 지나는 전자기적 흐름은 로터(172)의 회전에 의한 극성의 변화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코어(186)중 어느 하나와 센터코어(185)간에 형성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100)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는 마주보는 사이드코어(186)간의 결합을 통해 하나의 스테이터(180)로 결합하게 된다. 스테이터(180)에는 전기적절연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인슐레이터(190)에 의해 덮이게 된다.
도 6a, 6b를 참고하면, 인슐레이터(190)에 결합된 한 쌍의 스테이터(180)에 형성된 로터수용부(187a)에 확장코어부(185a)와 공극(185b)을 형성하며 로터(172)가 삽입되고, 이를 안착하우징(142)이 하나의 모듈로서 고정시키게 된다.
자세하게는 전방안착하우징(150)의 전방안착부(154)와 후방안착하우징(160)의 후방안착부(164)에 각각 모터(170)의 일면과 타면이 안착되며, 안착돌기에 모터(170)의 측면이 안착된다.
또한 안착하우징(142)에 모터(170)가 안착 및 결합시에도 로터(172)와 스테이터(180)의 동심이 일치하도록, 로터축(172a)은 안착하우징(142)의 관통홀을 관통하게 된다.
전방안착하우징(150)과 후방안착하우징(160)은 상호간에 나사(148)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터(170)와 안착하우징(142)이 하나의 모듈로서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모터모듈(140)은 제 2 하우징(120)의 안착홀(126)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방안착하우징(150)의 몸체결합부(152)가 제 2 하우징(120)의 안착홀(126)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모듈(140)의 전방에는 로터축(172a)에 임펠러(130)가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방안착하우징(150)의 임펠러안착부(153)에 임펠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의 전방에는 제 1 하우징(1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쉬라우드(112)가 마련되어, 임펠러(130), 디퓨저와 함께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모터모듈(140)의 후방에는 모터(170)의 배치영역(188)에 캐패시터(198)가 배치되고, 모터(170)와 전기소자가 간섭되지 않도록 회로기판(196)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인슐레이터(190)에 결합되는 회로결합부에 의해 회로기판(196)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모터(170)에 마련되는 코일(195)이 회로기판(196)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모터모듈(140)이 하우징(102)과 회로기판(196)과 결합되면서 모터어셈블리(100)가 조립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로터(172)는 스테이터(180)의 로터수용부(187a)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172)는 로터수용부(187a)에서 스테이터(180)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터(172)는 로터샤프트(172b), 마그넷(173)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샤프트(172b)는 로터축(17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로터샤프트(172b)의 일단부에는 임펠러(130)가 결합되어 로터(17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로터샤프트(172b)는 봉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로터샤프트(172b)는 스테이터(180)의 확장코어부(185a)와 사이에 공극(185b)을 형성하며 회동할 수 있다.
마그넷(173)은 로터샤프트(172b)가 지나도록 마련된다. 즉, 로터샤프트(172b)의 주위를 따라 배치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마그넷(173)의 형상 및 배치방법에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넷(173)이 환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환형의 중심에 로터샤프트(172b)가 지나도록 마련된다.
로터(172)는 서포트부재(174)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174)는 마그넷(173)과 인접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서포트부재(174)는 마그넷(173)에 로터축(172a)방향으로 인접배치 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174)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마그넷(173)의 로터축(172a)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174)는 밸런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마그넷(173)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밸런서가 마련되어, 로터(172)의 회전에 따른 편심을 보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174)는 로터샤프트(172b)가 지나도록 마련된다. 즉 로터샤프트(172b)의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174)의 형상 및 배치방법에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포트부재(174)가 환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환형의 중심에 로터샤프트(172b)가 지나도록 마련된다.
서포트부재(174)는 로터축(172a)방향을 따라 마그넷(173)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재(174a)와, 로터축(172a)방향을 따라 마그넷(173)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서포트부재(174b)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174)는 밸런서인 것을 포함하므로, 제 1 서포트부재(174a)는 제 1 밸런서와 동일하고, 제 2 서포트부재(174b)는 제 2 밸런서와 동일하다.
로터(172)는 마그넷커버(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커버(176)는 마그넷(17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로터(172)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마그넷(173)이 비산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마그넷커버(176)는 마그넷(17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마그넷(173)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마그넷커버(176)은 마그넷(173)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는 재질이면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탄소섬유가 적용될 수 있다. 탄소섬유재질의 마그넷커버(176)를 마그넷(17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롤링공정한 뒤 경화시켜, 빠른회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마그넷(173)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마그넷커버(176)를 마그넷(173)에 직접 롤링하여도 되고, 환봉형태의 지그에 마그넷커버(176)를 감아 경화시킨 상태에서 이를 마그넷(173)의 외주면에 씌울 수도 있다. 마그넷커버(176)와 마그넷(173) 사이에는 접착제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서포트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단면도이다.
로터(172)는 로터샤프트(172b), 서포트부재(174), 마그넷(173)등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내부채널(177)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채널(177)은 접착채널(178)과 마그넷결합채널(179)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채널(178)은 서포트부재(174)에 포함될 수 있고, 마그넷결합채널(179)은 마그넷(173)에 포함될 수 있다.
접착채널(178)과 마그넷결합채널(179)은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채널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채널상에서 접착제가 유동하게 함으로서 각 구성을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접착채널(178)과 마그넷결합채널(179)은 로터(172)의 복수의 세부적인 구성의 접착을 위해 절곡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착채널(178)과 마그넷결합채널(179)은 서포트부재(174)와, 마그넷(173)과, 로터샤프트(172b)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연통되되, 절곡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결합채널(179)은 로터샤프트(172b)와 마그넷(173)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마그넷결합채널(179)은 로터샤프트(172b)의 외주면과 마그넷(173)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마그넷결합채널(179)은 접착제가 유동할 수 있도록 환형의 유로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결합채널(179)에 접착제가 채워진 뒤 응고되면서, 마그넷(173)과 로터샤프트(172b)가 접착될 수 있다.
마그넷결합채널(179)은 로터샤프트(172b)와 마그넷(173)사이에 형성되되, 로터샤프트(172b)에서 마그넷(173)의 일측면과 타측면사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마그넷(173)과 로터샤프트(172b)를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필요한 부분에만 도포하도록 할 수 있어,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접착채널(178)은 서포트부재(174)와 마그넷(173)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가능하게 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접착채널(178)은 서포트부재(174)에 마련된다.
서포트부재(174)에는 채널로 접착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174aa)와 유출구(174bb)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74aa)는 제 1 서포트부재(174a)의 외면에 마련되며, 유출구(174bb)는 제 2 서포트부재(174b)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74aa)와 유출구(174bb)의 수와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 채널(178a)과 제 2 채널(178b)의 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접착채널(178)은 제 1 서포트부재(174a)에 마련되는 제 1 채널(178a)과, 제 2 서포트부재(174b)에 마련되는 제 2 채널(17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채널(178a)은 제 1 서포트부재(174a)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제 1 서포트부재(174a)와 마그넷(173)의 일측면사이를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1 서포트부재(174a)와, 제 1 서포트부재(174a)와 마주하는 마그넷(173)의 일측면사이를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 1 채널(178a)의 일단은 제 1 서포트부재(174a)의 유입구(174aa)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채널(178a)의 타단은 마그넷결합채널(179)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채널(178a)은 하나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 1 채널(178a)이 복수개가 마련되는 경우 그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가 균일하게 채널내부로 유입되도록 로터축(172a)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제 1 채널(178a)이 세 개가 마련되며, 로터축(172a)을 중심으로 각각 120도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제 1 채널(178a)은 유입채널(178aa)과 제 1 유동채널(178ab)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채널(178aa)은 유입구(174aa)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유입채널(178aa)은 제 1 서포트부재(174a)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유동채널(178ab)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유동채널(178ab)은 유입채널(178aa)로 유입된 접착제를 마그넷결합채널(179)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제 1 유동채널(178ab)의 일단은 유입채널(178aa)의 단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타단은 마그넷결합채널(179)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유동채널(178ab)은 마그넷(173)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제 1 서포트부재(174a)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유동채널(178ab)은 유입채널(178aa)의 단부로부터 마그넷결합채널(179)에 이르기까지, 로터축(172a)의 원심방향을 향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유동채널(178ab)의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서포트부재(174a)의 내면에 형성되는 예를 들었으나, 마그넷(173)에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유입구(174aa)는 로터샤프트(172b)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구(174aa)와 연통하는 유입채널(178aa)은 로터축(172a)과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착제의 유동저항이 적어지기 위해서는 접착제가 이동하는 유로의 길이를 짧게 하여야하고, 이와 상반되게 마그넷(173)과 제 1 서포트부재(174a)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유로의 길이가 길어야 한다. 그러므로 유입구(174aa)를 로터샤프트(172b)로부터 이격배치시키고, 유입구(174aa)와 제 1 유동채널(178ab)사이에 형성되는 유입채널(178aa)의 유로를 짧게 하도록 로터축(172a)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 1 서포트부재(174a)를 관통하도록 형성시켜, 제 1 유동채널(178ab)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최대한 길게 할 수 있다.
제 2 채널(178b)은 제 2 서포트부재(174b)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제 2 서포트부재(174b)와 마그넷(173)의 타측면사이를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서포트부재(174b)와, 제 2 서포트부재(174b)와 마주하는 마그넷(173)의 타측면사이를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 2 채널(178b)의 일단은 제 2 서포트부재(174b)의 유출구(174bb)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채널(178b)의 타단은 마그넷결합채널(179)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채널(178b)은 하나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 2 채널(178b)이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경우 그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가 균일하게 내부채널(177)로 유입되도록 로터축(172a)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제 2 채널(178b)이 세 개가 마련되며, 로터축(172a)을 중심으로 각각 120도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제 2 채널(178b)의 배치는 제 1 채널(178a)과 대응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 2 채널(178b)은 유출채널(178ba)과 제 2 유동채널(178bb)을 포함할 수 있다.
유출채널(178ba)은 유출구(174bb)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유출채널(178ba)은 제 2 서포트부재(174b)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유동채널(178bb)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유동채널(178bb)은 제 1 채널(178a)과 마그넷결합채널(179)을 지난 접착제를 유출채널(178ba)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제 2 유동채널(178bb)의 일단은 유출채널(178ba)의 단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타단은 마그넷결합채널(179)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유동채널(178bb)은 마그넷(173)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제 2 서포트부재(174b)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유동채널(178bb)은 마그넷결합채널(179)로부터 유출채널(178ba)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로터축(172a)의 반경방향을 향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유동채널(178bb)의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서포트부재(174b)의 내면에 형성되는 예를 들었으나, 마그넷(173)에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유출구(174bb)는 로터샤프트(172b)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유출구(174bb)와 연통하는 유출채널(178ba)은 로터축(172a)과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착제의 유동저항이 적어지기 위해서는 접착제가 이동하는 유로의 길이를 짧게하여야하고, 이와 상반되게 마그넷(173)과 제 2 서포트부재(174b)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유로의 길이가 길어야 한다. 그러므로 유출구(174bb)를 로터샤프트(172b)로부터 이격배치시키고, 유출구(174bb)와 제 2 유동채널(178bb)사이에 형성되는 유출채널(178ba)의 유로를 짧게 하도록 로터축(172a)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 2 서포트부재(174b)를 관통하도록 형성시켜, 제 2 유동채널(178bb)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최대한 길게 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174)는 누출방지홈(175)을 포함할 수 있다.
누출방지홈(175)은 채널을 유동하는 접착제가 로터(17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누출방지홈(175)은 접착제가 고일 수 있도록 마련되어, 서포트부재(174)와 마그넷(173)의 접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누출방지홈(175)은 채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채널을 유동하는 접착제가 채널로부터 누출되는 경우 누출방지홈(175)으로 고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누출방지홈(175)은 서포트부재(174)와 마그넷(173)이 접촉하는 접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접착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마그넷(173)과 면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누출방지홈(175)은 인접한 접착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한 공간에 접착제가 고일 수 있도록 하여 서포트부재(174)와 마그넷(173)의 접착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접착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출방지홈(175)은 내측누출방지홈(175a)과 외측누출방지홈(175b)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누출방지홈(175a)은 복수개의 제 1 채널(178a)과 제 2 채널(178b)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서포트부재(174a)에서 복수의 제 1 유동채널(178ab)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서포트부재(174b)에서도 복수의 제 2 유동채널(178bb)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누출방지홈(175a)은 로터축(172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호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누출방지홈(175a)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마그넷(173)과 서포트부재(174)를 접촉시킴에 따라, 로터(172)가 빠른속도로 회전하여도 양 구성이 분해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측누출방지홈(175a)은 접착부에서 접착채널(178)보다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부에는 제 1 유동채널(178ab) 또는 제 2 유동채널(178bb)이 형성되는 데, 유동채널보다 로터축(172a)을 중심으로 외곽에 배치되어, 채널로부터 누출되는 접착제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누출방지홈(175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착제 누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도록 접착부에서 환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측누출방지홈(175a)에는 환형의 링이 마련될 수 있다. 환형의 링은 외측누출방지홈(175a)에 배치되어 보조부재(174)와 마그넷(173)사이를 통해, 접착제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는 로터(172)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터샤프트(172b)에 마그넷(173)과, 마그넷(17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 쌍의 서포트부재(174)를 결합한다.
한 쌍의 서포트부재(174)에는 각각 유입구(174aa)와 유출구(174bb)가 마련되고, 이는 내부채널(177)로 연결되어 있어 접착제가 유동하도록 마련된다.
유입구(174aa)로 접착제를 유입시키면, 접착제는 유입채널(178aa)을 지나 제 1 서포트부재(174a)와 마그넷(173)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유동채널(178ab)을 흐르게 된다.
제 1 유동채널(178ab)을 지나는 접착제는 마그넷(173)과 로터샤프트(172b)사이에 형성되는 마그넷결합채널(179)을 지나게 되고, 마그넷(173)과 제 2 서포트부재(174b)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유동채널(178bb)로 안내된다.
제 2 유동채널(178bb)을 지나는 접착제는 유출채널(178ba)을 지나 유출구(174b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내부채널(177)에는 접착제가 차게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접착제가 경화되어, 각 구성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내부채널(177)을 지나는 접착제가 내부채널(177)로부터 누출되는 경우에는 누출방지홈(175)에 고이도록 마련되어, 마그넷(173)과 서포트부재(174)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와 임펠러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임펠러(130)는 로터샤프트(172b)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130)는 임펠러몸체(131)와, 샤프트결합부(133), 복수의 날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몸체(131)는 로터축(172a)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임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로터축(172a)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로터축(172a)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날개(132)는 임펠러몸체(131)에 마련되어, 임펠러몸체(131)와 함께 회전하여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날개(132)는 임펠러몸체(13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임펠러몸체(131)의 배면에는 로터(172)가 배치되고, 임펠러몸체(131)의 전면에 복수의 날개(132)가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샤프트결합부(133)는 임펠러몸체(131)에 마련되어, 로터샤프트(172b)가 임펠러몸체(1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샤프트결합부(133)에는 로터샤프트(17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삽입공(133a)이 형성된다.
샤프트결합부(133)는 로터샤프트(172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샤프트결합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결합면(134)이 형성하는 샤프트결합부(133)의 내경은 로터샤프트(172b)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로터샤프트(172b)가 샤프트결합부(133)에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로터샤프트(172b)가 샤프트결합부(133)에 결합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샤프트(172b)가 샤프트결합부(133)에 압입됨으로서, 임펠러(130)와 로터샤프트(172b)가 일체로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200) 및 이를 갖는 청소기(51)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관한 도면, 도 1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51)는 제 1 실시예의 청소기(51)와는 달리 캐니스터형 청소기(51)가 적용된다. 제 1 실시예에서의 청소기(51)와 제 2 실시예에서의 청소기(51)의 종류는 다르게 적용되나, 설명의 편의상 이를 구분한 것이며 제 1 실시예서와 같은 스틱형 청소기(51)에 제 2 실시예에서의 모터어셈블리(200)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은 캐니스터형 청소기(51)에 제 1 실시예에서의 모터어셈블리(200)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청소기(51)는 흡입부(60)와, 청소기본체(62)를 포함한다.
청소기본체(62)와 흡입부(60) 사이에는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흡입부(6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70)와 연결관(72)을 통해 연결되고, 연결호스(70)와 연결관(72)사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74)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호스(70)는 신축성이 있는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단은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74)에 연결되어, 흡입부(60)가 본체를 중심으로 일정반경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연결관(72)은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단이 흡입부(6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7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74)를 잡고 흡입부(60)를 이동시켜 바닥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청소기본체(62)의 전방에는 연결호스(70)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청소기본체(62)는, 그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어셈블리(200)와, 먼지통(80)을 포함한다. 모터어셈블리(200)는 청소기본체(62)의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먼지통(80)은 모터어셈블리(200)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흡입부(6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1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모터어셈블리(200)는 청소기본체(62)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모터어셈블리(200)는 하우징(202)과, 하우징(202)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70)와, 모터(270)가 하우징(202)내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안착하우징(242)과, 모터(270)의 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임펠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2)은 제 1 하우징(210)과, 제 1 하우징(210)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제 2 하우징(220)과, 제 2 하우징(220)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 3 하우징(228)을 포함한다. 하우징(202)은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은 로터축(272a)의 축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은 모터(27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202)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흡입구(211)가 마련되고, 제 3 하우징(228)은 하우징(20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229)가 마련된다.
제 1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모터(270)로 흡입되는 공기가 공기흡입구(211)로 흡입되지 않고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로차단리브(214)가 마련된다. 유로차단리브(214)는 공기흡입구(211)의 외부에 마련되며, 제 1 하우징(2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유로차단리브(214)는 공기흡입구(211)를 중심으로 제 1 하우징(210)의 상면에서 동심원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3 하우징(228)은, 제 1 하우징(2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20)의 배면에서 제 2 하우징(220)과 결합하므로, 하우징(202)의 전방에는 공기흡입구(211)가 마련되고, 후방에는 공기배출구(229)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흡입구(211)와 공기배출구(229)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 제 3 하우징(228)이 결합하여, 공기흡입구(211)로부터 공기배출구(229)로 이어지는 공기유로(213)를 형성하며, 내부에 모터(270) 또는 임펠러(230)등이 배치되는 내부공간(227)을 형성하게 된다.
공기유로(213)는 모듈유로(213a)와, 모듈외부유로(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30)에 의해 모터어셈블리(200)에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흡입된 공기가 공기유로(213)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하우징(20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모터모듈(240) 내부로 유입되는 모듈유로(213a)와, 모터모듈(240)의 외부와 하우징(202)의 내측 사이를 지나는 모듈외부유로(213b)를 유동할 수 있다. 모듈유로(213a)를 지나는 흡입공기는 모터모듈(240)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모듈유로(213a)를 지나는 흡입공기와 모듈외부유로(213b)를 지나는 흡입공기는 회로기판(298)을 지나면서 회로기판(298)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제 1 하우징(210)은 쉬라우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212)는 이후 설명하는 임펠러(230) 또는 디퓨저부(222)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모터(270)에 의해 하우징(2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쉬라우드(212)는 공기흡입구(211)로부터 모터(270)에 의한 흡입공기의 진행방향을 따라 유로가 넓게 형성되도록, 로터축(272a)의 축방향에 대해 쉬라우드(212)가 형성하는 공간이 넓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쉬라우드(212)는 공기흡입구(2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하우징(202)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며, 임펠러(23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의 공기흡입구(211)의 내측에는 임펠러(230)가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30)는 로터축(272a)과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230)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232)가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30)는 로터(27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임펠러(230)의 복수의 날개(232) 회전반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임펠러(230)의 회전에 따라 로터축(272a)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로터축(272a)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230)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임펠러(230)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제 2 하우징(220)은 디퓨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부(222)는 임펠러(2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된다. 임펠러(230)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곽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디퓨저부(222)는 임펠러(230)에 대해 방사상의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임펠러(230)의 복수의 날개(232)에 대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부(222)는 복수의 리브(223, 224)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의 리브(223, 224)는 복수의 날개(232)에 대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그 이격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23, 224)는 임펠러(2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디퓨저부(222)와, 제 1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쉬라우드(212)가 디퓨저유로(225)를 형성하게 되어 임펠러(2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리브(223, 224)는 제 1 리브(223)와 제 2 리브(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브(223)는 임펠러(230)에 의한 공기유동의 하류측 단부와 동일평면상에 마련되고, 제 2 리브(224)는 제 1 리브(223)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하우징(202)의 내부에서 로터축(272a)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되도록, 로터축(272a)방향으로 일정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02)의 내부에는 모터모듈(240)이 마련될 수 있다. 모터모듈(240)은 모터(270)가 하나의 모듈로서 하우징(202)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모터모듈(240)은 모터(270)와, 안착하우징(24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하우징(242)은 전방안착하우징(250)과, 모터(270)를 사이에 두고 전방안착하우징(250)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후방안착하우징(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250)은 하우징(20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하우징(220)의 중앙에는 전방안착하우징(250)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홀형상의 안착홀(226)이 형성되며, 전방안착하우징(250)은 안착홀(226)에 결합될 수 있다. 끼움결합될 수도 있으며 결합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전방안착하우징(250)은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와, 임펠러안착부(253)와, 전방안착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는 대략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20)의 홀형상의 안착홀(226)에 결합되도록 안착홀(226)의 형상가 대응되는 몸체결합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안착부(253)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의 전면에서 임펠러(23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안착부(253)의 전방에는 로터축(272a)에 결합된 임펠러(230)가 회동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임펠러(230) 배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254)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의 후면에서 모터(27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254)에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터(272)의 중심이 임펠러(230)의 회전중심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스테이터(280)가 안착 및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25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와 모터(270)가 일정간격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방안착부(25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터(280)가 제 1 방향(w1)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전방안착부(254)는 스테이터(280)의 각 단부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260)은 전방안착하우징(25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전방안착하우징(250)과 사이에 모터(27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방안착하우징(260)은 후방안착하우징몸체(261)와 후방안착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몸체(261)는 스테이터(28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스테이터(280)의 길이방향인 제 1 방향(w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250)과 후방안착하우징(260)은 결합을 위해 각각 나사홀(251b, 261b)을 가지며, 나사(24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하우징(250)과 후방안착하우징(260)의 내부에 모터(270)가 고정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2a, 2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전방안착하우징(250)과 후방안착하우징(260)의 중심에는 로터축(272a)이 지날 수 있도록 각각 전방관통홀(251a)과, 후방관통홀(261a)이 마련된다. 전방관통홀(251a)과 후방관통홀(261a)에는 로터축(272a)의 회전을 위해 각각 전방베어링(273a)과 후방베어링(273b)이 배치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250)은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와, 전방안착부(254)와, 전방보조안착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는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방안착부(254)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모터(270)의 일측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안착부(254)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280)가 전방안착부(254)에 안착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로터(272)와 임펠러(230), 디퓨저부(22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전방관통홀(251a)은 복수의 전방안착부(254)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보조안착부(255)는 전방안착하우징(250)의 내측으로 마련된다.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모터(270)는 보조스테이터(287)를 더 포함하는 데, 보조스테이터(287)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모터(270)의 중앙부분인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보조안착부(255)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보조스테이터(287)가 한 쌍이 마련되므로, 전방보조안착부(255)도 이에 대응되어 한 쌍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전방안착돌기(256)는 스테이터(28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모터어셈블리(200)가 동작시 모터(270)가 로터축(272a)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안착돌기(256)는 그 내측면으로 보조스테이터(287)를 감쌀 수 있도록 전방안착하우징몸체(251)로부터 전방보조안착부(255)보다 더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돌기(256)는 전방보조안착부(255)와 함께 보조스테이터(287)에 대응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보조스테이터(287)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안착부(254)와 전방보조안착부(255)에 모터(270)의 전면이 안착되고, 전방안착돌기(256)의 전방돌기안착면(256a)에 모터(270)의 측면이 안착되게 된다. 전방안착돌기(256)에는 모터(270)가 전방안착부(254)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이를 안내하는 전방가이드면(256b)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가이드면(256b)은 전방안착돌기(256)의 단부에 마련되어 그 내측으로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돌기안착면(256a)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260)은 후방안착하우징몸체(261)와 후방안착돌기(266)와, 후방안착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몸체(261)는 스테이터(28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스테이터(2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안착돌기(266)는 후방안착하우징몸체(26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스테이터(28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방안착돌기(266)는 전방안착돌기(256)와 함께, 모터어셈블리(200)가 동작시 모터(270)가 로터축(272a)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안착돌기(266)는 제 1 후방안착돌기(266a)와, 제 2 후방안착돌기(26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후방안착돌기(266a)는 스테이터(280)의 길이방향인 제 1 방향(w1)의 단부를 고정시키며, 제 2 후방안착돌기(266b)는 제 1 방향(w1)에 수직한 제 2 방향(w2)의 단부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후방안착돌기(266a)에는 메인스테이터(281)의 단부가 고정되고, 제 2 후방안착돌기(266b)에는 보조스테이터(287)가 고정된다.
후방안착부(264)는 제 1 후방안착돌기(266a)와 제 2 후방안착돌기(266b)의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모터(270)의 타측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후방안착부(264)는 제 1 후방안착돌기(266a)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 후방안착부(264a)와, 제 2 후방안착돌기(266b)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후방안착부(264b)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안착돌기(266)는 제 1 후방안착부(264a)와, 제 2 후방안착부(264b)에 모터(270)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이를 안내하도록, 돌기의 내측을 향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면(267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후방안착부(264)에 모터(270)의 후면이 안착되고, 후방안착돌기(266)의 후방돌기안착면(267a)에 모터(270)의 측면이 안착되게 된다. 후방안착돌기(266)에는 모터(270)가 후방안착부(264)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이를 안내하는 후방가이드면(267b)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가이드면(267b)는 후방안착돌기(266)의 단부에 마련되어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돌기안착면(267a)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260)의 몸체는 이후 설명하는 스테이터(28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스테이터(2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안착돌기(266)는 네 개가 형성되어 전방안착하우징(250)의 전방안착돌기(256)와 엇갈리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전방안착돌기(256)와 후방안착돌기(266)는 상호간에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모터(27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260)에는 마그넷센서(244)가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센서(244)는 로터(272)의 마그넷(245)과 동일선상에 마련되어, 로터(272)의 회전에 따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회로기판(298)의 위치센서(미도시)에 전달하게 되고, 이를 통한 로터(272)의 위치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마그넷센서(244)는 센서브라켓(246)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298)의 위치센서(미도시)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센서브라켓(246)은 일단은 후방안착하우징(260)의 배면에 마련되는 센서안착부(268)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회로기판(298)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터(272)에 직접 위치센서가 위치하지 않고 마그넷센서(244)를 배치하는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추가를 통해 로터(272)의 위치제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전방안착하우징(250)과 후방안착하우징(260)은 결합을 위해 각각 나사홀(251b, 261b)을 가져, 나사(24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전방보조안착부(255)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제 2 후방안착부(264b)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나사(248)가 제 2 후방안착부(264b)의 나사홀(261b)을 관통하여 대응되는 전방보조안착부(255)의 나사홀(251b)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안착하우징(250)과 후방안착하우징(260)은 두 개의 나사(248)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모터(270)는 로터(272)와, 스테이터(28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272)는 스테이터(280)의 중심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스테이터(280)는 로터(272)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된다.
스테이터(280)는 메인스테이터(281)와 보조스테이터(287)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281)는 메인스테이터바디(282)와, 메인스테이터바디(282)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스테이터코어(28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바디(282)는 한 쌍이 마련되며, 로터(27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제 1 방향(w1)으로 배치된다. 즉, 한 쌍의 메인스테이터바디(282)는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스테이터바디(282)는 길이방향인 제 1 방향(w1)으로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로터(272)를 중심으로 메인스테이터(281)가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스테이터(281)가 로터(272)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되는 길이가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제 2 방향(w2)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테이터(280)의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되는 길이를 L1이라하고, 제 2 방향(w2)으로 형성되는 길이를 L2라 할 때, L1은 L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코어(283)는 센터코어(284)와, 센터코어(284)의 측부에 마련되는 사이드코어(285)를 포함한다.
센터코어(284)는 로터(272)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센터코어(284)사이에는 로터(272)가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수용부(291)를 형성한다. 사이드코어(285)는 센터코어(284)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 센터코어(284)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센터코어(284)와 사이드코어(285)들사이에는 스테이터슬롯(283a)이 형성된다. 센터코어(284)에 코일(299)이 권선됨에 따라 스테이터슬롯(283a)들에는 코일(299)이 수용된다. 로터(272)와 인접한 센터코어(284)의 내측 단부에는 센터코어(284)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된 메인확장코어부(284a)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로터(272)측을 향하는 센터코어(284)의 내측 단부에는 센터코어(284)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로터(27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확장코어부(284a)가 형성된다. 메인확장코어부(284a)의 내면과 로터(272)의 외면사이에는 로터(272)의 회전을 위한 공극(284b)이 형성된다.
보조스테이터(287)는 메인스테이터(281)와 함께 로터(272)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스테이터(287)는 로터(27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일방향과 수직한 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스테이터(287)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메인스테이터바디(282) 사이에서 로터(27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스테이터(287)는 보조스테이터바디(288)와, 보조스테이터바디(288)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코어(28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코어(289)는 로터(27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센터코어(284)보다 짧게 형성되고 일방향과 수직한 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코어(289)사이에는 로터(272)가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수용부(291)를 형성한다. 즉 한 쌍의 센터코어(284)와 한 쌍의 보조코어(289)사이에 로터수용부(291)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272)와 인접한 보조코어(289)의 내측단부에는 보조코어(289)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된 보조확장코어부(289a)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로터(272)측을 향하는 보조코어(289)의 내측 단부에는 보조코어(289)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로터(27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확장코어부(289a)가 형성된다. 보조확장코어부(289a)의 내면과 로터(272)의 외면사이에는 로터(272)의 회전을 위한 공극(284b)이 형성된다.
메인스테이터(281)와 보조스테이터(287)는 프레스 가공된 철판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281)는 사이드코어(285)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메인결합부(28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281)는 사이드코어(285)의 단부에 마련되어 외측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메인결합부(28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결합부(286)는 보조스테이터(287)와 결합시에 결합부위의 강도를 높이고, 안착하우징(242)에 모터(27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즉, 메인결합부(286)는 보조스테이터(287)와 결합함으로서 인접한 메인스테이터(281)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메인스테이터(281)와 보조스테이터(287)의 결합부위에 대한 강도를 높이고, 전방보조안착부(255)와 제 2 후방안착부(264b)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메인결합부(286)에는 보조스테이터(287)에 결합되도록 결합홈(286b)이 형성되고, 보조스테이터(287)에는 결합돌기(288a)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보조스테이터(287)는 마주보는 한 쌍의 메인결합부(286)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메인결합부(286)에 마련되는 결합홈(286b)과 보조스테이터(287)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288a)의 결합에 의해 메인스테이터(281)와 보조스테이터(287)가 결합될 수 있다.
보조스테이터(287)는 접촉플랜지(290)와 고정홈(288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플랜지(290)는 보조스테이터바디(288)로부터 양측에 배치되는 메인스테이터(281)를 향하여 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메인결합부(28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결합부(286)는 그 내측에 접촉플랜지(290)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마련되는 결합면(286a)을 포함하며, 접촉플랜지(290)는 결합면(286a)에 대응되도록 볼록하게 마련되는 플랜지안착면(290a)을 포함한다. 결합면(286a)과 플랜지안착면(290a)은 각각 오목하고, 볼록한 면으로 예를 들었으나, 양 구성의 접촉을 위해 면접촉을 하도록 마련되면 무방하다. 결합면(286a)과 플랜지안착면(290a)은, 일방향과 타방향에 대해 일정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서, 보조스테이터(287)가 메인스테이터(28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접촉플랜지(290)가 메인결합부(286)의 내측에 안착됨으로서 보조스테이터(287)가 메인결합부(286)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고정홈(288b)은 보조스테이터바디(288)에서 외곽방향단부에 마련되며, 보조스테이터바디(288)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고정홈(288b)에는 전방안착하우징(250)과 후방안착하우징(260)과의 결합시 배치되는 나사(248)의 측면이 위치하게 되며, 나사(248)의 측면이 고정홈(288b)에 안착되어 보조스테이터(287)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인슐레이터(294)는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스테이터(28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센터코어(284)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인슐레이터(294)는 스테이터(280)바디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인슐레이터바디(295)와, 인슐레이터바디(295)에서 센터코어(284)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센터코어지지부(296)와, 센터코어지지부(296)에서 반경방향 내측에서 돌출되는 코일가이드부(297)를 포함한다.
인슐레이터(294)는 바디결합부(295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결합부(295a)는 인슐레이터바디(295)의 일측에 마련되며, 모터(270)에 권선되는 코일(299)을 회로기판(298)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바디결합부(295a)는 모터(270)와 회로기판(298)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로기판(298)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코일(299)은 인슐레이터(294)가 스테이터(280)바디와 결합된 상태에서 센터코어(284)와, 센터코어지지부(296)에 걸쳐 권선된다. 사이드코어(285)와, 사이드코어(285)를 감싸는 인슐레이터(294)에 걸쳐 권선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터코어(284)와, 센터코어지지부(296)에 권선되는 부분만 설명한다.
인슐레이터(294)는 코어보강부(295b)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보강부(295b)는 스테이터(280)의 외측에 마련되어 스테이터(280)를 상하로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어보강부(295b)는 사이드코어(285)의 외측에 마련되어, 사이드코어(285)를 상하로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스테이터(280)는 프레스가공된 철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므로, 코어보강부(295b)가 상하로 지지함으로서, 스테이터(28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유로가이드부의 구성이 생략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스테이터(280)가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됨에 따라, 로터(272)를 중심으로 스테이터(28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배치영역(29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치영역(292)은 스테이터(28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한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배치영역(292)은 스테이터(280)와 동일평면상에 마련되는 영역으로서, 모터어셈블리(200)의 내부공간(227)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된다. 배치영역(292)은 대략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배치영역(292)에는 모터어셈블리(200)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캐패시터(298b)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영역(292)은 스테이터(280)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캐패시터(298b)도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치영역(292)마다 각각 둘씩 모두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캐패시터(298b)는 전압을 평탄화시키거나, 리플(ripple)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도 24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모터의 배치관계에 관한 도면이다.
모터(270)의 하부에는 모터(270)로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도록 회로기판(298)이 마련될 수 있다. 회로기판(298)의 일면에는 회로소자가 배치되는 실장영역(298a)이 마련될 수 있다. 실장영역(298a)에는 발열소자, 캐패시터(298b)등과 같은 회로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모터(270)는 회로기판(298)으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전달받아야하고, 또한 모터(270)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회로기판(298)의 발열을 제거할 수 있어, 회로기판(298)은 모터(2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회로소자와 모터(270)가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이 많아지게 되어 모터어셈블리(200)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270)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동일평면상에 배치영역(29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일방향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280)의 양 측부는 모터어셈블리(200)의 다른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여유공간인 배치영역(292)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2)이 대략 원통형상을 갖거나, 임펠러(230)가 원형으로 마련되므로, 배치영역(292)은 일정간격의 호를 갖는 반원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로기판(298)의 실장영역(298a)에는 전기소자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전기소자는 모터(270)의 배치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모터(270)의 배치영역(292)과 중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패시터(298b)가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전기소자에 경우에도 배치영역(29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모터(270)와 회로기판(298)을 더욱 가깝게 배치할 수 있어서 하우징(202)내부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자기장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스테이터(280)는 로터(27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로터(272)의 주위에서 로터(272)의 외면과 공극(284b)을 형성하는 한 쌍의 메인확장코어부(284a)와 한 쌍의 보조확장코어부(289a)는 각각 그 내면에 마련되는 곡면의 중심이 상호간에 어긋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메인확장코어부(284a)와 한 쌍의 보조확장코어부(289a)가 각각 로터(272)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데, 어느 하나의 메인확장코어부(284a) 또는 어느 하나의 보조확장코어부(289a)의 내면중심과, 다른하나의 메인확장코어부(284a) 또는 다른 하나의 보조확장코어부(289a)의 내면중심이 각각 상호간에 어긋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272)를 감싸는 한 쌍의 메인확장코어부(284a) 또는 한 쌍의 보조확장코어부(289a)에서 각각 상호 다른 크기와 방향의 전자기적 영향을 주어 로터(272)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스테이터바디(282, 288)은 스테이터의 결합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방향확인홈(282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스테이터바디(282)에 적용되는 것을 일례로 든다. 방향확인홈(282a)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스테이터바디(282)의 좌우방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어느 일측에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메인확장코어부 (284a)또는 어느 하나의 보조확장코어부(289a)의 내면중심과, 다른 하나의 메인확장코어부(284a) 또는 다른 하나의 보조확장코어부(289a)의 내면중심은 각각 상호간에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즉, 메인확장코어부(284a) 또는 보조확장코어부(289a)의 어느 일단이 어느 타단보다 로터로부터 가깝게 형성된다.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282, 288)를 결합시, 좌우방향을 구분하지 않고 결합하여, 메인확장코어부(284a) 또는 보조확장코어부(289a)에서 로터로부터 가까운 일단이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로터(272)의 초기회전에 필요한 기동토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각 스테이터바디(282, 288)에 마련되는 방향확인홈(282a)이 로터(27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한쌍의 스테이터바디(282, 288)를 결합하여 로터의 초기회전에 필요한 기동토크의 발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방향확인홈(282a)은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6은 스테이터(280)와 로터(272)에 형성되는 자기장형성에 관한 도면이다.
모터(270)에 전류가 공급되어, 스테이터(280)와 로터(272)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자기장은 로터(272)의 회전에 의한 극성의 변화에 의해 스테이터(280)와 로터(272)에 형성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200)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을 참고하면, 한 쌍의 메인스테이터바디(282)는 한 쌍의 보조스테이터(287)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즉 한 쌍의 메인스테이터바디(282)에서 마주보는 사이드코어(285)사이에 각각 하나씩에 보조스테이터(287)가 배치 및 결합되어, 스테이터(280)가 형성된다.
스테이터(280)에는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인슐레이터(294)에 의해 덮이게 된다.
도 22a, 22b를 참고하면 인슐레이터(294)에 결합된 스테이터(280)에 형성된 로터수용부(291)에 확장코어부와 공극(284b)을 형성하며 로터(272)가 삽입되고, 이 모터(270)를 안착하우징(242)이 하나의 모듈로서 고정시키게 된다.
자세하게는 전방안착하우징(250)의 전방안착부(254), 전방보조안착부(255)와 후방안착하우징(260)의 후방안착부(264)에 각각 모터(270)의 일면과 타면이 안착되며, 전방안착돌기(256)와 후방안착돌기(266)에 모터(270)의 측면이 안착된다.
또한 안착하우징(242)에 모터(270)가 안착 및 결합시에도 로터(272)와 스테이터(280)의 동심이 일치하도록, 로터축(272a)은 안착하우징(242)의 관통홀을 관통하게 된다.
전방안착하우징(250)과 후방안착하우징(260)은 상호간에 나사(248)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터(270)와 안착하우징(242)이 모터모듈(240)로서 마련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모터모듈(240)은 제 2 하우징(220)의 안착홀(226)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방안착하우징(250)의 몸체결합부(252)가 제 2 하우징(220)의 안착홀(226)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모듈(240)의 전방에는 로터축(272a)에 임펠러(230)가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방안착하우징(250)의 임펠러안착부(253)에 임펠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20)의 전방에는 제 1 하우징(2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의 내측면에는 쉬라우드(212)가 마련되어, 임펠러(230), 디퓨저와 함께 하우징(202)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모터모듈(240)의 후방에는 모터(270)의 배치영역(292)에 캐패시터(298b)가 배치되고, 모터(270)와 전기소자가 간섭되지 않도록 회로기판(298)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인슐레이터(294)에 결합되는 회로결합부에 의해 회로기판(298)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모터(270)에 마련되는 코일(299)이 회로기판(298)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모터모듈(240)이 하우징(202)과 회로기판(298)과 결합되면서 모터어셈블리(200)가 조립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성능에 관한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역기전력의 위상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역기전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점선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스테이터바디(182)를 갖는 모터(170)에 대한 역기전력을 나타내고, 실선은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테이터(280)가 메인스테이터(281)와 보조스테이터(287)를 갖는 모터에 대한 역기전력을 나타낸다.
보조스테이터(287)를 갖는 경우에는 보조스테이터(287)가 없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모터(170)와는 달리 역기전력이 증대되어, 용량증대가 쉬워지게 된다. 용량 증대가 쉬워지므로, 스테이터의 적층의 증대없이 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스테이터의 크기를 크게하지 않아도 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모터(27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는 다른 형상의 스테이터(380)를 갖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 스테이터(380)의 형상과 결합구성을 달리한다.
모터(370)는 메인스테이터(381)와 보조스테이터(387)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스테이터(387)는 보조스테이터바디(388)와, 보조스테이터바디(388)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코어(38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스테이터바디(388)는 결합부위의 강도보강을 위해 인접한 메인스테이터(381)의 사이드코어(385)보다 폭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보조스테이터바디(388)의 내면에 대해 외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코어(389)는 로터(37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센터코어(384)보다 짧게 형성되고 일방향과 수직한 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코어(389)사이에는 로터(372)가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수용부(391)를 형성한다. 즉 한 쌍의 센터코어(384)와 한 쌍의 보조코어(389)사이에 로터수용부(391)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372)와 인접한 보조코어(389)의 내측단부에는 보조코어(389)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된 보조확장코어부(389a)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로터(372)측을 향하는 보조코어(389)의 내측 단부에는 보조코어(389)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로터(37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확장코어부(389a)가 형성된다. 보조확장코어부(389a)의 내면과 로터(372)의 외면사이에는 로터(372)의 회전을 위한 공극(384b)이 형성된다.
보조스테이터(387)는 에어배리어(Air b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배리어는 자기장의 흐름에 대해 큰 저항을 갖도록 마련되어, 자기장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게된다. 이를 통해 자기장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배리어는 보조스테이터바디(388)에서 홀형상으로, 보조코어(389)보다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381)는 사이드코어(385)의 단부에 마련되며, 보조스테이터(387)에 결합되도록 결합홈(386b)이 형성될 수 있고, 보조스테이터(387)에는 결합돌기(388a)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381)와 보조스테이터(387)는 결합돌기(388a)가 결합홈(386b)에 삽입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메인스테이터바디(382), 메인스테이터코어(383), 메인확장코어부(384a), 스테이터슬롯(383a), 메인결합부(386), 배치영역(392)는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터(470)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9, 30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터모듈에 관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방안착하우징에 대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후방안착하우징에 대한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안착하우징의 배치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는 다른 형상의 스테이터(480)를 갖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는 스테이터(480)의 형상과 안착하우징(442)의 결합구성을 달리한다.
보조스테이터(487)는 보조스테이터바디(488)와, 보조스테이터바디(488)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코어(48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스테이터바디(488)는 메인스테이터(481)의 사이드코어(485)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이드코어(485)의 외측면과 보조스테이터바디(488)의 외측면이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3 실시예에서의 스테이터(480)와는 달리 스테이터(48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어 배치영역(492)을 동일한 하우징내에서 제 2, 3 실시예에서의 스테이터(480)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보조코어(489)는 로터(47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센터코어(484)보다 짧게 형성되고 일방향과 수직한 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코어(489)사이에는 로터(472)가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수용부(491)를 형성한다. 즉 한 쌍의 센터코어(484)와 한 쌍의 보조코어(489)사이에 로터수용부(491)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472)와 인접한 보조코어(489)의 내측단부에는 보조코어(489)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된 보조확장코어부(489a)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로터(472)측을 향하는 보조코어(489)의 내측 단부에는 보조코어(489)의 폭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로터(47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확장코어부(489a)가 형성된다. 보조확장코어부(489a)의 내면과 로터(472)의 외면사이에는 로터(472)의 회전을 위한 공극(484b)이 형성된다.
메인스테이터(481)는 사이드코어(485)의 단부에 마련되며, 보조스테이터(487)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보조스테이터(487)에는 결합홈(488a)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스테이터(481)와 보조스테이터(487)는 결합돌기가 결합홈(488a)에 삽입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480)는 안착하우징(44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450)은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와, 전방안착부(454), 전방보조안착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는 대략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안착부(454)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의 후면에서 모터(47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454)에는 스테이터(480)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터(472)의 중심이 임펠러의 회전중심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스테이터(480)가 안착 및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454)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모터(470)의 일측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안착부(454)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전방안착부(45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와 모터(470)가 일정간격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방안착부(45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터(48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전방안착부(454)는 스테이터(480)의 각 단부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전방보조안착부(455)는 전방안착하우징(450)의 내측으로 마련된다. 전방보조안착부(455)는 보조스테이터(487)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모터(470)의 중앙부분인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보조안착부(455)는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보조스테이터(487)가 한 쌍이 마련되므로, 전방보조안착부(455)도 이에 대응되어 한 쌍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전방안착하우징(450)은 전방안착돌기(45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안착돌기(456)는 스테이터(48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모터(470)어셈블리의 동작 중 스테이터(48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안착돌기(456)는 그 내측면으로 메인스테이터(481)를 감쌀 수 있도록 전방안착하우징몸체(451)로부터 전방안착부(454)보다 더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돌기(456)는 전방보조안착부(455)와 함께 메인스테이터(481)에 대응되어 마련될 수 잇으며, 자세하게는 메인스테이터(481)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돌기(456)는 모터(470)의 측면이 안착되는 전방돌기안착면(456a)과, 전방돌기안착면(456a)으로부터 연장되며 모터(47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그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가이드면(456b)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460)은 전방안착하우징(45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전방안착하우징(450)과 사이에 모터(47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방안착하우징(460)은 후방안착하우징몸체(461)와 후방안착부(464)와, 후방안착돌기(466)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안착하우징몸체(461)는 스테이터(48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스테이터(4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안착부(464)는 후방안착하우징몸체(461)의 전면에 모터(47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부(454)에는 스테이터(48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터(472)의 중심이 임펠러의 중심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스테이터(480)가 안착 및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후방안착부(464)는 후방안착하우징몸체(461)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모터(470)의 타측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후방안착부(46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안착하우징몸체(461)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후방안착하우징몸체(461)와 모터(47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후방안착부(46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터(48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후방안착부(464)는 스테이터(480)의 각 단부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보조안착부(465)는 후방안착하우징(460)의 내측으로 마련된다. 후방보조안착부(465)는 보조스테이터(487)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모터(470)의 중앙부분인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방보조안착부(465)는 후방안착하우징몸체(46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보조스테이터(487)가 한 쌍이 마련되므로, 후방보조안착부(465)도 이에 대응되어 한 쌍이 마련되도도록 형성된다.
후방안착돌기(466)는 후방안착부(464)의 둘레를 따라 후방안착하우징(460)의 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그 내측면으로 모터(47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모터(470)와 후방안착돌기(466)의 결합시, 모터(470)가 후방안착부(464)에 안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후방안착돌기(466)의 내부에는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면(467b)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후방안착부(464)에 모터(470)의 후면이 안착되고, 후방안착돌기(466)의 후방돌기안착면(467a)에 모터(470)의 측면이 안착되게 된다. 후방안착돌기(466)에는 모터(470)가 후방안착부(464)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이를 안내하는 후방가이드면(467b)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가이드면(467b)는 후방안착돌기(466)의 단부에 마련되어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돌기안착면(467a)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방안착하우징(450)과 후방안착하우징(460)은 결합을 위해 각각 나사홀(451b, 461b)을 가지며, 나사(44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안착하우징(450)과 후방안착하우징(460)의 중심에는 로터축(472a)이 지날 수 있도록 각각 전방관통홀(451a)과, 후방관통홀(461a)이 마련된다.
도면에서 설명하지 않은 메인스테이터바디(482), 메인스테이터코어(483), 메인확장코어부(484a)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그넷커버(776)의 구성을 달리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제 1 실시예에서 마그넷커버(776)는 마그넷(77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롤링공정을 한 뒤 경화공정을 통해, 마그넷(773)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넷커버(776)는 리본형상의 커버바디(776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바디는 마그넷(773)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바디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마그넷(773)의 외주면을 감싸는 마그넷커버(776)가 된다. 커버바디는 마그넷(773)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감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그넷(773)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커버바디는 마그넷(773)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감기도록 마련될 수 있고, 환봉형태의 지그에 커버바디를 감아 경화시킨 상태에서 마그넷커버(776)를 제작하고, 이를 마그넷(773)의 외주면에 씌우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마그넷커버(776)와 마그넷(773) 사이에는 접착제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임펠러(830)와 로터샤프트(8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임펠러(830)는 임펠러몸체(831)와, 복수의 날개(832)와, 샤프트결합부(833)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833)는 샤프트결합면(834)과 구배결합면(835)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결합면(834)은 로터샤프트(872b)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샤프트결합면(834)에는 로터샤프트(872b)가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배결합면(835)은 샤프트결합면(834)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구배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로터샤프트(87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배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구배결합면(835)은 샤프트결합부(833)의 내주면에 적어도 일부 형성되며, 샤프트결합부(833)의 내주면에서 로터샤프트(872b)의 삽입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된다. 로터샤프트(872b)의 외주면과 구배결합면(835)의 사이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872b)는, 샤프트결합면(834)에는 압입되어 결합되고, 구배결합면(835)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833)와 결합한다.
설명하지 않은 샤프트삽입공(833a)은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임펠러(930)와 로터샤프트(9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임펠러(930)는 임펠러몸체(931)와, 복수의 날개(932)와, 샤프트결합부(933)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933)는 변형방지유닛(936)과, 구배결합면(935)을 포함한다.
변형방지유닛(936)은 로터샤프트(972b)가 샤프트결합부(933)에 결합시 샤프트결합부(933)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로터샤프트(972b)가 샤프트결합부(933)에 압입되려면, 로터샤프트(972b)의 외주면과 샤프트결합부(933)의 내주면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형성되는 데, 이로 인해 압입시 샤프트결합부(933)의 내주면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변형방지유닛(936)은 샤프트결합부(933)의 내주면을 따라 임펠러(930)와 함께 인서트사출되어, 임펠러(9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방지유닛(936)은 샤프트결합부(933)에서 로터샤프트(972b)가 삽입되는 샤프트결합부(933)의 일단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변형방지유닛(936)은 로터샤프트(972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변형방지면(936a)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방지면(936a)에는 로터샤프트(972b)가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변형방지유닛(936)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로터샤프트(972b)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금속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배결합면(935)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972b)는, 변형방지유닛(936)의 변형방지면(936a)에 압입되어 결합되고, 구배결합면(935)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933)와 결합한다.
설명하지 않은 샤프트삽입공(933a)과 샤프트결합면(934)은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9 실시예와, 임펠러(1030)와 로터샤프트(10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임펠러(1030)는 임펠러몸체(1031)와, 복수의 날개(1032)와, 샤프트결합부(1033)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1033)는 변형방지유닛(103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변형방지유닛(1036)이 샤프트결합부(1033)의 내주면을 따라 전영역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변형방지유닛(1036)은 샤프트결합부(1033)에서 로터샤프트(1072b)가 삽입되는 샤프트결합부(1033)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변형방지유닛(1036)은 로터샤프트(1072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변형방지면(1036a)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방지면(1036a)에는 로터샤프트(1072b)가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072b)는, 변형방지유닛(1036)의 변형방지면(1036a)에 압입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033)와 결합한다.
설명하지 않은 샤프트삽입공(1033a)은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8 실시예와, 임펠러(1130)와 로터샤프트(11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임펠러(1130)는 임펠러몸체(1131)와, 복수의 날개(1132)와, 샤프트결합부(1133)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1133)는 변형방지유닛(1136)을 포함한다.
변형방지유닛(1136)은 변형방지면(1136a)과 변형방지구배면(1136b)을 포함한다.
변형방지면(1136a)은 로터샤프트(1172b)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로터샤프트(1172b)가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변형방지구배면(1136b)은 변형방지면(1136a)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구배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로터샤프트(117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배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변형방지구배면(1136b)은 변형방지유닛(1136)의 내주면에 적어도 일부 형성되며, 변형방지유닛(1136)의 내주면에서 로터샤프트(1172b)의 삽입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된다. 로터샤프트(1172b)의 외주면과 변형방지구배면(1136b)의 사이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172b)는, 변형방지면(1136a)에는 압입되어 결합되고, 변형방지구배면(1136b)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133)와 결합한다.
설명하지 않은 샤프트삽입공(1133a)은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임펠러(1230)와 로터샤프트(12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로터샤프트(1272b)는 샤프트결합부(1233)의 샤프트결합면(1234)에 대응되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널링(knurling)공정이 된 슬립방지부(1272ba)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샤프트(1272b)가 샤프트결합부(1233)에 압입됨에 따라, 슬립방지부(1272ba)는 샤프트결합면(1234)에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설명하지 않은 샤프트삽입공(1233a)은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1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임펠러(1330)와 로터샤프트(13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1a, 41b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1372b)는 나사돌기부(1372ba)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돌기부(1372ba)는 로터샤프트(1372b)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을 갖도록 마련된다. 나사돌기부(1372ba)는 임펠러(1330)로 삽입되는 방향인 로터샤프트(1372b)의 일단에 마련된다. 나사돌기부(1372ba)는 이후 설명하는 나사홈부(1337)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나사홈부(1337)와 나사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사돌기부(1372ba)는 인접한 로터샤프트(1372b)의 외주면보다 외경이 작도록, 인접한 로터샤프트(1372b)의 외주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샤프트삽입공(1333a)은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임펠러(1330)는 임펠러몸체(1331)와, 복수의 날개(1332)와, 샤프트결합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결합부(1333)는 샤프트결합면(1334)과, 나사홈부를 포함한다.
나사홈부(1337)는 나사돌기부(1372b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나사돌기부(1372ba)의 나사산이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나사홈부(1337)는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333)의 내주면보다 내경이 작도록,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333)의 내주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터샤프트(1372b)는 나사돌기부(1372ba)와 인접한 단차진 면인 샤프트단차면(1372bb)을 포함할 수 있고, 임펠러(1330)는 나사홈부(1337)와 인접한 단차진 면인 임펠러단차면(1338)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샤프트(1372b)가 임펠러(1330)에 결합됨에 따라 샤프트단차면(1372bb)과 임펠러(1330)단차면은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단차면(1372bb)과 임펠러(1330)단차면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어, 로터샤프트(1372b)와 임펠러(1330)를 로터축(1372a)방향으로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372b)는, 샤프트결합면(1334)은 압입되어 결합되고, 나사돌기부(1372ba)가 나사홈부(1337)에 나사결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333)와 결합한다. 또한 샤프트단차면(1372bb)과 임펠러단차면(1338)사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하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1 실시예와, 임펠러(1430)와 로터샤프트(14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1472b)는 나사돌기부(1472ba)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430)는 임펠러몸체(1431)와, 복수의 날개(1432)와, 샤프트결합부(1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결합부(1433)는 샤프트결합면(1434)과, 너트유닛(1439)을 포함한다.
너트유닛(1439)은 나사돌기부(1472b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나사돌기부(1472ba)의 나사산이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너트유닛(1439)은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433)의 내주면보다 내경이 작도록,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433)의 내주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너트유닛(1439)은 나사돌기부(1472ba)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홈 형상을 갖고, 그 내주면에 형성되는 너트결합부(1439a)를 포함한다. 너트결합부(1439a)는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433)의 내주면보다 내경이 작도록,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433)의 내주면과 단차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너트유닛(1439)은 임펠러(1430)의 전면에서 임펠러(143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로터샤프트(1472b)와 단순 나사결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너트유닛(1439)의 배면(1439b)과 로터샤프트(1472b)의 샤프트단차면(1472bb)은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너트유닛(1439)의 배면(1439b)과 샤프트단차면(1472bb)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어, 로터샤프트(1472b)와 임펠러(1430)를 로터축(1472a)방향으로도 결합시킬 수 있게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472b)는, 샤프트결합면(1434)은 압입되어 결합되고, 너트유닛(1439)의 너트결합부(1439a)에 나사돌기부(1472ba)가 나사결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433)와 결합한다. 또한 샤프트단차면(1472bb)과 너트유닛(1439)의 배면(1439b)사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하는 제 13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임펠러(1530)와 로터샤프트(15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3a, 43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1572b)는 제 1 샤프트(1572ba)와, 제 1 샤프트(1572ba)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 샤프트(1572bb)를 포함한다.
제 2 샤프트(1572bb)는 제 1 샤프트(1572ba)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1572bb)는 제 1 샤프트(1572ba)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샤프트(1572bb)는 제 1 샤프트(1572ba)의 단부에서, 제 1 샤프트(1572ba)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530)는 임펠러몸체(1531)와, 샤프트결합부(1533)와 복수의 날개(1532)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1533)는 제 1 샤프트결합면(1534a)과, 제 2 샤프트결합면(1534b)을 포함한다.
제 1 샤프트결합면(1534a)은 제 1 샤프트(1572ba)가 결합 및 안착되며, 제 2 샤프트결합면(1534b)에는 제 2 샤프트(1572bb)가 결합 및 안착된다. 제 2 샤프트결합면(1534b)은 제 1 샤프트(1572ba)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샤프트(1572bb)가 안착되므로, 제 1 샤프트결합면(1534a)보다 내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터샤프트(1572b)는 제 1 샤프트(1572ba)와 제 2 샤프트(1572bb)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진 면인 샤프트단차면(1572bc)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530)는 제 1 샤프트결합면(1534a)과 제 2 샤프트결합면(1534b)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진 면인 임펠러단차면(1538)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샤프트(1572b)를 샤프트결합부(1533)에 압입하는 경우, 샤프트단차면(1572bc)과 임펠러단차면(1538)은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어 로터샤프트(1572b)와 임펠러(1530)를 로터축(1572a)방향으로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572b)는, 제 1 샤프트(1572ba)와 제 2 샤프트(1572bb)가 각각 제 1 샤프트결합면(1534a)과 제 2 샤프트결합면(1534b)에 압입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533)에 결합된다. 또한 샤프트단차면(1572bc)과 임펠러단차면(1538) 사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하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5 실시예와, 임펠러(1630)와 로터샤프트(16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4a, 44b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1672b)는 제 1 샤프트(1672ba)와 제 2 샤프트(1672bb)를 포함한다. 제 1 샤프트(1672ba)와 제 2 샤프트(1672bb)사이에는 샤프트단차면(1672bc)이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630)는 임펠러몸체(1631)와 샤프트결합부(1633)와 복수의 날개(1632)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1633)는 제 1 샤프트결합면(1634a)과, 제 2 샤프트결합면(1634b)을 포함한다. 제 1 샤프트결합면(1634a)과 제 2 샤프트결합면(1634b)사이에는 임펠러단차면(1638)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결합부(1633)는 제 2 샤프트결합면(1634b)의 단부에 마련되는 샤프트커버(1639)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커버(1639)는 로터샤프트(1672b)의 단부를 가로막도록 마련되며, 로터샤프트(1672b)와 샤프트결합부(1633)사이에 주입되는 접착제가 고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샤프트커버(1639)는 배출공(1639a)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공(1639a)은 로터샤프트(1672b)가 임펠러(1630)에 결합함으로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임펠러(1630)의 외부공간이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배출공(1639a)은 로터샤프트(1672b)를 샤프트결합부(1633)로 압입시에 내부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내부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샤프트결합부(1633)와 로터샤프트(1672b)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샤프트결합부(1633)와 로터샤프트(1672b)사이에 접착제가 주입되는 경우, 내부공기를 빼낼수 있어 접착제의 접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배출공(1639a)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커버(1639)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제 15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5 실시예와, 임펠러(1730)와 로터샤프트(17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1772b)는 제 1 샤프트(1772ba)와, 제 1 샤프트(1772ba)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 샤프트(1772bb)를 포함한다.
제 2 샤프트(1772bb)는 제 1 샤프트(1772ba)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1772bb)는 제 1 샤프트(1772ba)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샤프트(1772bb)는 제 1 샤프트(1772ba)의 단부에서, 제 1 샤프트(1772ba)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터샤프트(1772b)는 제 1 샤프트(1772ba)와 제 2 샤프트(1772bb)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진 면인 샤프트단차면(1772bc)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730)는 임펠러몸체(1731)와, 샤프트결합부(1733)와 복수의 날개(1732)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1733)는 로터샤프트(1772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샤프트결합면(1734)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결합면(1734)에는 로터샤프트(1772b)가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로터샤프트(1772b)의 제 1 샤프트(1772ba)가 압입되도록 마련된다.
제 2 샤프트(1772bb)와 샤프트결합면(1734)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772b)는, 제 1 샤프트(1772ba)가 샤프트결합면(1734)에 압입되어 결합되고, 제 2 샤프트(1772bb)와 샤프트결합면(1734)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733)와 결합할 수 있다.
이하는 제 16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14 실시예와, 임펠러(1830)와 로터샤프트(18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1872b)는 제 1 샤프트(1872ba)와, 제 1 샤프트(1872ba)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 샤프트(1872bb)와, 제 2 샤프트(1872bb)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3 샤프트(1872bc)를 포함한다.
제 3 샤프트(1872bc)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후 설명하는 너트유닛(1839)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임펠러(1830)는 임펠러몸체(1831)와, 샤프트결합부(1833)와 복수의 날개(1832)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1833)는 샤프트결합면(1834)과, 너트유닛(1839)을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면(1834)에는 로터샤프트(1872b)가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로터샤프트(1872b)의 제 1 샤프트(1872ba)가 압입되도록 마련된다. 제 2 샤프트(1872bb)와 샤프트결합면(1834)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너트유닛(1839)은 제 3 샤프트(1872bc)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제 3 샤프트 (1872bc)외주면의 나사산이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너트유닛(1839)은 제 3 샤프트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홈 형상을 갖고, 그 내주면에 형성되는 너트결합부(1839a)를 포함한다. 너트결합부(1839a)는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833)의 내주면보다 내경이 작도록, 인접한 샤프트결합부(1833)의 내주면과 단차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너트유닛(1839)은 임펠러(1830)의 전면에서 임펠러(183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로터샤프트(1872b)와 단순 나사결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872b)는, 제 1 샤프트(1872ba)가 샤프트결합면(1834)에 압입되어 결합되고, 제 2 샤프트(1872bb)와 샤프트결합면(1834)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제 3 샤프트(1872bc)가 너트유닛(1839)에 나사결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833)와 결합할 수 있다.
이하는 제 17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5 실시예와, 임펠러(1930)와 로터샤프트(19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7a, 47b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1972b)는 제 1 샤프트(1972ba)와, 제 1 샤프트(1972ba)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 샤프트(1972bb)를 포함한다. 제 2 샤프트(1972bb)는 제 1 샤프트(1972ba)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1972bb)는 제 1 샤프트(1972ba)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샤프트(1972bb)는 제 1 샤프트(1972ba)의 단부에서, 제 1 샤프트(1972ba)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터샤프트(1972b)는 제 1 샤프트(1972ba)와 제 2 샤프트(1972bb)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진 면인 샤프트단차면(1972b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7 실시예에서의 로터샤프트(1772b)와는 달리, 제 2 샤프트(1972bb)는 제 1 샤프트(1972ba)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샤프트(1972bb)의 양단에 제 1 샤프트(1972ba)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1930)는 임펠러몸체(1931)와, 샤프트결합부(1933)와 복수의 날개(1932)를 포함한다.
샤프트결합부(1933)는 로터샤프트(1972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샤프트결합면(1934)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결합면(1934)이 형성하는 샤프트결합부(1933)의 내경은 로터샤프트(1972b)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로터샤프트(1972b)가 샤프트결합부(1933)에 압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로터샤프트(1972b)의 제 1 샤프트(1972ba)가 압입되도록 마련된다.
제 2 샤프트(1972bb)와 샤프트결합면(1934)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1972bb)와 샤프트결합면(1934)사이에 주입되는 접착제는 샤프트단차면(1972bc)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샤프트(1972b)는, 제 1 샤프트(1972ba)가 샤프트결합면(1934)에 압입되어 결합되고, 제 2 샤프트(1972bb)와 샤프트결합면(1934)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서, 샤프트결합부(1933)와 결합할 수 있다.
이하는 제 18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임펠러(2030)와 로터샤프트(20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8a, 48b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임펠러(2030)와 로터샤프트(2072b)는 일체로 사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임펠러(2030)의 사출시 로터샤프트(2072b)가 일체로 사출될 수 있도록, 로터샤프트(2072b)를 인서트하여 사출할 수 있다.
임펠러(2030)는 임펠러몸체(2031)와, 샤프트결합부(2033), 복수의 날개(2032)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샤프트(2072b)는 샤프트결합부(2033)와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임펠러(2030)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슬립방지홈(2072b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슬립방지홈(2072ba)은 로터샤프트(2072b)의 외주면에서 로터축(2072a)방향을 따라 홈형상으로 마련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2030)와 로터샤프트(2072b)가 일체로 사출되므로, 임펠러(2030)의 샤프트결합부(2033)는 복수의 슬립방지홈(2072b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볼록한 돌기를 갖는 내주면의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면(20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제 19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8 실시예와, 임펠러(2030)와 로터샤프트(2072b)의 결합부분의 구조를 달리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9a, 49b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로터샤프트와 임펠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로터샤프트(2072b)는 그 단부에 마련되는 누출방지플랜지(2072b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출방지플랜지(2072bb)는 인접한 로터샤프트(2072b)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며, 로터샤프트(2072b)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030)와 로터샤프트(2072b)의 사출시,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로터샤프트(2072b)의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데, 공정과정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접착제가 임펠러(2030)의 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누출방지플랜지(2072bb)는 로터샤프트(2072b)의 단부에서 플랜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슬립방지홈(2072ba)과 함께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슬립방지홈(2072ba)과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누출방지플랜지(2072bb)는 외부로 누출되는 접착제가 고이도록, 그 내측면에 마련되며 로터샤프트(2072b)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누출방지홈(2072bc)을 포함할 수 있다. 누출방지홈(2072bc)은, 로터샤프트(2072b)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로터샤프트(2072b)를 중심으로 환형의 홈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립방지홈(2072ba)과 누출방지플랜지(2072bb)가 함께 구성되나, 두 구성중에 어느 하나만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제 20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 도 51a, 51b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보조부재의 사시도이다.
로터(2172)는 서포트부재(2174)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2174)는 마그넷(173)과 인접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서포트부재(2174)는 마그넷(173)에 로터축(172a)방향으로 인접배치 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2174)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마그넷(173)의 로터축(172a)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2174)는 밸런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마그넷(173)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밸런서가 마련되어, 로터(2172)의 회전에 따른 편심을 보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2174)는 내부서포트부재(2174c)와, 외부서포트부재(2174d)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서포트부재(2174c)와 외부서포트부재(2174d)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내부서포트부재(2174c)와 외부서포트부재(2174d)는 동일한 동심원을 갖도록 마련되며, 내부서포트부재(2174c)와 외부서포트부재(2174d)의 결합으로 유입구(174aa), 유출구(174bb), 내부채널(177)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내부서포트부재(2174c)와 외부서포트부재(2174d) 중 어느 하나는 돌출형성되는 조립돌기(2174ca)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조립돌기(2174ca)에 대응되는 조립홈(2174d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서포트부재(2174c)가 조립돌기(2174ca)를 포함하고, 외부서포트부재(2174d)에 조립홈(2174da)이 형성되어, 내부서포트부재(2174c)와 외부서포트부재(2174d)를 결합시 양 구성을 원주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유입구(174aa), 유출구(174bb), 내부채널(177)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는 독립적인 실시예가 아니고, 각 실시예의 구성간에 호환이 가능한 실시예이므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청소기 10 : 스틱본체
20 : 흡입부 30 : 청소기본체
40 : 먼지통
100 : 모터어셈블리 102 : 하우징
110 : 제 1 하우징 111 : 공기흡입구
120 : 제 2 하우징 121 : 공기배출구
130 : 임펠러 140 : 모터모듈
142 : 안착하우징 150 : 전방안착하우징
154 : 전방안착부 156 : 전방안착돌기
160 : 후방안착하우징 164 : 후방안착부
166 : 후방안착돌기 170 : 모터
172 : 로터 180 : 스테이터
188 : 배치영역 190 : 인슐레이터
195 : 코일 196 : 회로기판
197 : 실장영자

Claims (18)

  1. 로터수용부를 갖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로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샤프트;
    상기 로터샤프트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넷으로서, 상기 로터샤프트와 상기 마그넷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마그넷결합채널을 갖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에 상기 로터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서포트부재로서, 상기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유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는 접착채널을 갖는 서포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로터축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재;
    상기 로터축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서포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채널은,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사이를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제 1 채널;
    상기 마그넷 결합채널에 의해 상기 제 1 채널과 연통하며, 상기 제 2 서포트부재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2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사이를 유동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제 2 서포트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결합채널은,
    접착제가 유동하도록 상기 로터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마그넷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로터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채널과 상기 마그넷결합채널은,
    상기 로터샤프트의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사이,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사이에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은 각각 복수의 제 1 채널과, 복수의 제 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채널과 상기 복수의 제 2 채널은,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채널;
    상기 유입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향해 형성되는 제 1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서포트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제 2 유동채널;
    상기 유출구와 상기 제 2 유동채널과 연통되는 유출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입채널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출채널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는 상기 로터샤프트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채널과 상기 유출채널은,
    상기 로터샤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로터샤프트와 이격되어, 각각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와 상기 제 2 서포트부재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결합채널은,
    상기 로터샤프트와 상기 마그넷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로터샤프트에서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과 타측면사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마그넷과 마주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접착채널을 유동하는 접착제가 상기 로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누출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홈은,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채널과 제 2 채널의 외곽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누출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은,
    각각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채널과, 복수의 제 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홈은,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채널과 상기 복수의 제 2 채널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내측누출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마그넷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그넷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
  16. 로터샤프트와, 중앙에 상기 로터샤프트가 지나는 마그넷과, 중앙에 상기 로터샤프트가 지나며 상기 마그넷의 상하로 배치되고 접착제가 이동하는 접착채널이 구비된 한 쌍의 서포트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접착채널을 통해 접착제가 유동하여,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를 접착하며,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재는,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서포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채널은,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사이를 지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마그넷결합채널;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어, 접착제가 상기 제 2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사이를 지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제 2 서포트부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포함하고,
    접착제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지나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재와 상기 마그넷과, 상기 로터샤프트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채널이 접착제가 균일하게 상기 마그넷결합채널 내부로 유입되도록 로터축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채널;
    상기 유입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서포트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향해 형성되는 제 1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마그넷결합채널과 연통되며, 상기 마그넷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서포트부재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제 2 유동채널;
    상기 유출구와 상기 제 2 유동채널과 연통되는 유출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입채널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출채널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20140184622A 2014-06-05 2014-12-19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37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29,466 US10291090B2 (en) 2014-06-05 2015-06-03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EP15170735.3A EP2955817B1 (en) 2014-06-05 2015-06-04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8328 2014-06-05
KR1020140068328 2014-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99A KR20150140199A (ko) 2015-12-15
KR102376741B1 true KR102376741B1 (ko) 2022-03-22

Family

ID=5502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622A KR102376741B1 (ko) 2014-06-05 2014-12-19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7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444A (ja) * 1998-12-28 2000-07-18 Toshiba Corp 永久磁石形回転電機
JP2002010545A (ja) 2000-06-23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永久磁石回転子
JP2005304287A (ja) 2004-03-18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89A (ja) * 1993-07-15 1995-01-31 Fuji Electric Co Ltd 永久磁石付回転子
KR970060632A (ko) * 1996-01-30 1997-08-12 이형도 모타용 로터의 마그네트와 축의 접착구조
GB201014074D0 (en) * 2010-08-24 2010-10-06 Dyson Technology Ltd Ro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444A (ja) * 1998-12-28 2000-07-18 Toshiba Corp 永久磁石形回転電機
JP2002010545A (ja) 2000-06-23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永久磁石回転子
JP2005304287A (ja) 2004-03-18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99A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312B1 (ko) 모터어셈블리
KR102210012B1 (ko)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
EP2961038B1 (en) Vacuum cleaner with motor assembly
EP2955817B1 (en)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717126B2 (en) Motor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222372B1 (ko)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
JP5685414B2 (ja) ポンプ装置
US20090079292A1 (en) Interphase insulating sheet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phase insulating sheet, and electric compressor
KR102482007B1 (ko)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376741B1 (ko) 모터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JP6581361B2 (ja)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掃除機
CN107407277A (zh) 泵设备
JP2015015840A (ja) ポンプ
CN114320937B (zh) 泵装置
CN219243895U (zh) 一种热交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