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602B1 -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 Google Patents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602B1
KR102376602B1 KR1020190125618A KR20190125618A KR102376602B1 KR 102376602 B1 KR102376602 B1 KR 102376602B1 KR 1020190125618 A KR1020190125618 A KR 1020190125618A KR 20190125618 A KR20190125618 A KR 20190125618A KR 102376602 B1 KR102376602 B1 KR 10237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hutter
slats
lock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714A (ko
Inventor
남의성
남기호
Original Assignee
(주)진남엔지니어링
남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남엔지니어링, 남의성 filed Critical (주)진남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2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6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38Slats directly connected
    • E06B2009/1544Engaging section has curved articulatio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는, 셔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슬랫에 있어 슬랫 상호간의 틈새를 이중으로 차폐하여 방음, 에너지 단열, 차열, 방화, 내풍압,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셔터 상단의 권취 부피는 최소화하여 원활한 회전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랫; 슬랫 상단의 중심부에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돌출부; 슬랫 하단의 중심부에 오목하게 구비되어 돌출부에 대응되는 요홈부; 슬랫 상단의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며 슬랫의 배면을 향하여 열린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는 걸림고리; 및 슬랫 하단의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며 슬랫의 중심부를 향하여 고리의 끝이 절곡되어 말린 형상으로 구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되, 슬랫의 내부는 단열 및 방음재로 충진되고, 인접한 슬랫 간에 돌출부와 요홈부가 상호 밀착 결합되어 슬랫 간 틈새를 일차로 차폐하며,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상호 밀착 결합되어 슬랫 간 틈새를 이차로 차폐하는 것을 포함하며, 다수의 슬랫이 상하로 연속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중차폐 멀티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Double Shielded, Multi Function Shutter}
본 발명은 이중차폐 멀티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셔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슬랫에 있어 슬랫 상호간의 틈새를 이중으로 차폐하여 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과 단열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셔터 상단의 권취 부피는 최소화하는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는 이중 차폐를 하며 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기존의 셔터 대비 두꺼운 폭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단열재 및 방음재 등 다양한 소재로 충진된 다수의 슬랫이 상하로 연속 배치되는 구조로써, 슬랫의 상단 내측에서 중앙에 가깝게 요홈부가 형성되고 슬랫의 하단 내측에서 중앙에 가깝게 돌출부가 슬랫 상호 간 결합 시 요홈부와 돌출부가 굴곡진 형상으로 밀착 결합되어 슬랫 간 틈새를 일차로 차폐하고, 슬랫의 상단 내측에는 걸림고리가 편심 구비되고 하단 내측에는 걸림턱이 편심 구비되어 셔터의 펼침 시 상기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밀착되어 고리를 걸듯이 결합됨에 따라 슬랫 간 틈새를 이차로 차폐하여, 두꺼운 슬랫 두께에 덧붙여 슬랫 간 틈새를 이중으로 차폐하여 차열, 내풍압, 기밀성, 방음, 방화 및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외부충격에 강하고,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슬랫 상단과 하단 내측에 구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서 셔터의 접힘 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권취 영역의 부피가 최소화 되도록 한 이중차폐 차열, 내풍압, 방음, 단열, 방화등 멀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이중차폐 멀티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는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범 기능, 어떠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내부의 시설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주로 야간에 건물의 외부와 내부의 경계영역에 셔터를 펼쳐서 상기 방범과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주간에는 건물의 내부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셔터를 상단으로 끌어올려 건물 내부 별도로 준비된 공간에 권취하여 보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셔터는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태풍 등으로 인하여 천재지변으로부터 건물 내부의 유입을 차단하고, 화재로 인한 외부의 상승된 열이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혹한이나 혹서기에 외부의 추위 또는 더위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부의 온기나 냉기가 약화되지 않도록 하는 등 안전은 물론 쾌적한 생활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건물 내부에서 특정한 작업을 하기 위한 조용한 환경 조성을 위해 건물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 시설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반대로 건물 내부에서 큰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에 있어 건물 외부로 소음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용도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건물용 셔터는 정면에서 목측 시 상하는 좁고 좌우는 길게 형성된 슬랫(slat)을 단위로 하여 다수의 슬랫이 결합체로써 상하로 길게 늘어뜨린 형태로 펼쳐져 셔터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단으로 끌어올려져 건물 내부 특정한 영역에 슬랫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접혀 보관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셔터는 슬랫의 재질에 따라 금속, 목재,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써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방범 또는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면 금속의 재질로 두껍게 형성하여 제작비용은 증가하되 슬랫 간 결합부위의 틈새를 통해 단열, 방음이 취약하고 접힘을 위해 권취되었을 때 지나치게 큰 부피가 생성되는 등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미적인 효과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슬랫을 다소 연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얇게 제작한 경우에는 방음에 취약하고 단열의 효과가 저하되어 셔터의 설치 목적을 온전히 수행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방음과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소 두꺼운 슬랫을 사용하더라도 권취되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슬랫 사이의 틈새를 통한 소음, 열기의 유출로 인해 기밀, 내풍압, 방화, 방음 및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셔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116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6389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셔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슬랫에 있어 슬랫 상호간의 틈새를 돌출부와 요홈부의 굴곡진 밀착 결합으로 차폐하고, 셔터의 펼침 시 슬랫 상호 간의 결합은 견고하면서도 셔터의 접힘 시 슬랫 상호 간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구비됨과 동시에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슬랫 간의 틈새를 이중으로 차폐하도록 하여, 슬랫 상호 간에 이중으로 차폐하여 방음과 단열, 차열, 방화, 내풍압,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셔터 상단의 권취 부피는 최소화되는 셔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랫; 슬랫 상단의 내측에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요홈부; 슬랫 하단의 내측에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인접한 슬랫의 요홈부에 대응되는 돌출부; 슬랫 상단의 요홈부의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며 슬랫의 배면을 향하여 열린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는 걸림고리; 및 슬랫 하단의 돌출부의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며 슬랫의 중심부를 향하여 고리의 끝이 절곡되어 말린 형상으로 구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되, 슬랫의 내부는 단열 및 방음재로 충진되고, 인접한 슬랫 간에 돌출부와 요홈부가 상호 밀착 결합되어 슬랫 간 틈새를 일차로 차폐하고,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상호 밀착 결합되어 슬랫 간 틈새를 이차로 차폐하는 것을 포함하며, 다수의 슬랫이 상하로 연속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랫의 전면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슬랫이 상단과 하단이 맞닿아 결합될 때 슬랫 간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며, 슬랫의 배면은 중심부를 향해 휘어진 유선형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슬랫이 배면을 마주하며 원형으로 권취될 때 권취 직경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랫은 전면판, 배면판 및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더 포함하되, 전면판은 슬랫의 걸림고리 외측면과 요홈부와 전면과 돌출부 및 걸림턱 내측면을 구성하고, 배면판은 슬랫의 걸림고리 내측면과 배면과 걸림턱 외측면을 구성하며, 전면판과 배면판은 걸림고리와 걸림턱에서 상호 밀착되어 결합되고, 측면판은 전면판과 배면판의 이격으로 형성되는 측면을 밀폐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랫의 상단과 하단에서 인접한 슬랫의 상호간에 밀착되는 접촉 표면을 따라 단열 및 방음 소재의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판은 걸림고리에서 연장되어 슬랫의 상단에서 표면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며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다수의 슬랫이 상호 배면을 마주하며 원형으로 권취될 때 걸림턱이 배면판의 상단 내측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권취 각도를 극대화 하고 권취 직경을 최소화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슬랫이 두껍고, 슬랫 내부에 충진재(세멘트, 실리카울, 흡음재, 폴리우레탄, 석고 등등)를 넣을 수 있는 구조로 각각의 충진재에 따라 그 기능이 여러 형태로 사용되며, 충진재인 세멘트는 1000℃에서 차열 30분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고, 실리카울 혹은 석고 등은 1000℃에서 3시간 방화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고, 흡음재는 방음에 효과가 있고, 폴리우레탄을 넣으면 단열 소재로 충진되어 있으므로 방음 및 단열에 우수하고, 또한 외부충격에 강하므로 태풍 등의 강한 바람에도 견딜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둘째, 슬랫의 중앙부 하단 내측에 위치한 돌출부와 슬랫의 상단 내측에 위치한 요홈부가 슬랫 간 결합 시 굴곡진 형태로 밀착 결합되어 슬랫 틈새를 통한 소음, 열 손실 등을 차단하여 방음 및 에너지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다.
셋째, 슬랫의 상단 내측에 편심 위치한 걸림고리와 슬랫의 하단 내측에 편심위치한 걸림턱이 상호 결합되면서 슬랫 간 견고한 결합과 원활한 회전풀림을 형성함과 동시에 소음과 열기 및 냉기의 이동을 차단하여 차폐성이 우수하다.
넷째, 슬랫이 두껍게 형성된 것에 더불어 돌출부와 요홈부의 결합, 그리고 걸림고리와 걸림턱의 결합으로 슬랫 간 틈새를 이중 차폐하여 방음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나다.
다섯째,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슬랫의 상단과 하단에 편심 위치하고 슬랫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서 셔터가 접혀서 슬랫이 원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때 슬랫의 두께에 비하여 형성하는 부피를 최소화한다.
여섯째, 걸림고리는 반원의 고리모양인데 반해 걸림턱은 걸림고리 대비 중심을 향해 연장 절곡된 형상으로써 고리결합이 풀리지 않는 최적의 결합각도를 이루어 외부충격에도 슬랫 결합이 풀리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를 이루는 슬랫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의 걸림고리와 걸림턱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의 접힘과 풀림을 나타내는 걸림고리와 걸림턱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를 이루는 슬랫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의 걸림고리와 걸림턱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의 접힘과 풀림을 나타내는 걸림고리와 걸림턱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다수의 슬랫(100)이 상하로 연속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슬랫(100)은 전면판(110), 배면판(120), 측면판(130)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슬랫(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0), 요홈부(141), 걸림고리(142) 및 걸림턱(143), 그리고 상단표면부(144), 하단표면부(145), 배면경사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충진재(150)가 포함될 수 있다.
슬랫(100)은 셔터를 구성하는 단일체로써 정면에서 목측 시 가로로 길고 세로 폭이 좁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을 형성한다.
슬랫(100)의 가로 길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시설물, 예컨대 공장, 업소 및 차고와 같은 출입구에 있어 전면 양단의 폭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특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만 그 용도와 설치 장소의 특수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슬랫(100)의 세로 길이는 셔터가 접혀서 상단의 특정 위치에 권취될 때 그 부피를 좌우하므로 설치장소에 마련될 수 있는 케이싱 공간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슬랫(100)의 세로 길이를 너무 길게 하면 권취 시 권취 직경이 너무 커져서 권취 자체가 어렵고 케이싱의 공간이 너무 커지는 단점이 있으며, 세로 길이를 너무 작게 하면 슬랫(100)의 개수가 많아지고 슬랫(100) 간의 틈새 또한 증가하게 되어 단열 및 방음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적정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슬랫(100)은 측면에서 목측 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를 구성하는 슬랫(100)은 일 실시예로써 두께가 5㎝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슬랫이 일반적으로 1㎝ ~ 3㎝인 것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랫(100)은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판(110)과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판(120)이 슬랫(100)의 상단 내측에서 층을 이뤄 고정 결합된 후 각각 연장되어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며 슬랫(100)의 두께만큼 이격되었다가 다시 슬랫(100)의 하단 내측에서 고정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랫(100)은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이 이격되는 영역에 있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통공을 복수의 측면판(130)을 결합하여 막음으로서 슬랫(100)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슬랫(100)의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면 단열재, 방음재 등을 충진하여 단열 및 방음 효과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슬랫(100)은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슬랫(100)의 내부에 방음 및 단열에 우수한 소재를 더욱 많이 충진하여 슬랫(100) 자체가 가지는 방음 및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랫(100)은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두께를 높여 슬랫(100)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덧붙여 내부에 충진재(150)가 많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슬랫(100) 자체가 지니는 강도와 내구성 및 방음,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슬랫(100)은 상하로 연속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셔터를 이루는데, 셔터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결합상태가 유지되면서도 동시에 원활하게 셔터가 접히고 펼치게 할 수 있기 위해 고리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에 있어 슬랫(100)은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고리(142)는 슬랫(100) 상단의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며 측면에서 목측 시 반원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고리(142)는 슬랫(100)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고 슬랫(100)의 상단에 위치하며 돌출된 구조로써 슬랫(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걸림고리(142)는 측면에서 목측 시 반원의 형상으로써 슬랫(100)의 상단 내측에서 중심부를 향하면서 출발하여 상부로 향했다가 배면을 향하여 원을 그리는 형태를 가지며, 슬랫(100)의 배면을 향하여 열려 있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때 걸림고리(142)는 슬랫(100)의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이 층을 이뤄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판(110)이 걸림고리(142)의 외측을 이루고 배면판(120)이 걸림고리(142)의 내측을 이루어 함께 반원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은 걸림고리(142)의 형상을 구성한 후에 각각 전면과 배면을 향해 연장되며 슬랫(100)의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전면판(110)은 걸림고리(142)에서 배면판(120)과 이격된 후 슬랫(100)의 상단과 전면 및 하단을 순서대로 형성한 후에 배면판(120)과 다시 층을 이뤄 결합하게 되는데, 이 하단에서의 결합부분이 걸림턱(143)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43)은 걸림고리(142)와 고리의 결합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써 슬랫(100)의 하단에 위치한다.
걸림턱(143)은 슬랫(100)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부에서 결합되는 슬랫(100)의 걸림고리(142)와 연결되어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고리(142)는 슬랫(1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부에서 결합되는 슬랫(100)의 하단 걸림턱(143)과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걸림턱(143)은 슬랫(100) 하단에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143)은 측면에서 목측 시 걸림고리(142)에 대응되며 유사한 형상이되 고리의 끝 부분이 연장 절곡되어 가상의 원을 형성하며 슬랫(100)의 중심부를 향해 말린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143)은 슬랫(100)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고 슬랫(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슬랫(100)을 상하로 관통했을 때 걸림고리(142)와 만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143)이 슬랫(100)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는 것은 셔터의 감김 시 권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으로 특정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걸림턱(143)은 돌출된 형상이 아니라 슬랫(100) 내부로 침강되는 구조로써 형성되므로 슬랫(100)의 외형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슬랫(100) 간의 결합 시 발생할 수 있는 틈새의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걸림턱(143)은 슬랫(100)의 전면을 향하여 열린 형상으로 구성되어, 슬랫(100)의 배면을 향하여 열려 있는 걸림고리(142)와 상호 반대 방향에서 고리를 걸듯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걸림턱(143)과 걸림고리(142)가 결합된 상태에서 셔터가 접히는 동작을 할 때 슬랫(100) 간에는 배면판(120)의 모서리 부분이 상호 겹쳐지면서 셔터의 접히는 동작이 저해되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 권취 직경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랫(100)의 내측 배면판(120)은 슬랫(100)의 상단과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있어 걸림고리(142)에서 외측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배면판(120)은 걸림고리(142)를 형성한 후 배면을 이루기 위해 상단에서 연장되는 시점에서, 슬랫(100)의 상단과 평행한 상태를 형성한 후 배면으로 직각 절곡되는 것이 아니라 슬랫(100)의 상단보다 낮아지면서 기울어져 배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배면판(120)의 상단 모서리의 내각이 직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완만하게 기울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120)의 기울어진 형상으로써 셔터의 접힘 시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최대한 깊숙하게 고리의 안쪽으로 상호 겹쳐질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하 간에 겹쳐지는 배면판(120)의 모서리를 완만하게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슬랫(100)이 두껍게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셔터의 접힘 시 슬랫(100) 간에 최대한의 폭으로 겹쳐질 수 있도록 되어 다수의 슬랫(100)이 형성하는 권취 직경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랫(100)이 다수 연결되어 셔터를 구성하므로 슬랫(100) 간 틈새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틈새를 통해 소음과 공기가 유출되어 방음 및 단열에 취약한 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를 구성하는 슬랫(100)은 이중으로 차폐하는 구조를 통해 방음 및 단열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랫(100)은 돌출부(140)와 요홈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호 굴곡진 형태로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요홈부(141)는 슬랫(100) 상단의 중심부에 가까운 내측에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공간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슬랫 하단의 중심부에 가까운 내측에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한 각각의 슬랫(100) 간에는 돌출부(140)와 요홈부(141)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와 하부의 슬랫(100)이 결합할 때 상부 슬랫(100)의 하단에 위치한 돌출부(140)와 하부 슬랫(100)의 상단에 위치한 요홈부(141)가 매칭되어 밀착되고, 상부 슬랫(100) 하단과 하부 슬랫(100) 상단이 각각 돌출부(140)와 요홈부(141) 외의 영역에서 매칭되어 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돌출부(140)는 측면에서 목측 시 뒤집어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요홈부(141)는 사다리꼴을 수용하는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랫(100)은 상단과 하단의 내측 표면에 요홈부(141)와 돌출부(140)를 구비하고, 슬랫(100) 간 결합시 돌출부(140)와 요홈부(141)가 밀착하고 그 외 표면이 밀착함에 따라 일차로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기존 발명의 경우에서는 돌출과 요홈의 부위가 없이 평면으로만 결합이 되거나, 혹은 돌출과 요홈의 있더라도 상단과 하단의 일측에 편심되어 측면과 바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차폐가 효과적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고무나 섬모를 이용하여 패킹 처리하는 경우가 있으나 단일층에 메우는 방식으로는 방음 및 단열에 한계가 존재하고 게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패킹이 노후화되면 부스러지는 등 훼손되어 제 기능을 못하는 내구성 문제를 드러내게 된다.
게다가 돌출과 요홈의 영역과 고리를 형성하는 영역이 슬랫의 내부 대부분을 침범하여 형성됨으로써 슬랫 자체가 가지는 단열 및 보온 효과는 물론이고 내구성 및 강도까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와 하부의 슬랫(100) 간 결합이 이뤄질 때, 평면이 우선 접한 후 돌출부(140)와 요홈부(141)가 굴곡진 형태로 벽을 형성하며 재차 접하고 이후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이 다시 접하면서 3단계로 차폐를 하게 되어 방음과 단열에 있어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슬랫(100)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슬랫(100) 내부에 단열재를 충만시킬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돌출부(140)와 요홈부(141)를 슬랫(100)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시킴으로 인하여 두꺼운 슬랫(100)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한 특성이다.
게다가 돌출부(140)와 요홈부(141)를 포함한 슬랫(100)의 상단과 하단의 표면에 패킹 처리를 추가하게 되면 본 발명의 돌출부(140)와 요홈부(141)를 포함한 차폐 기능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상기 돌출부(140)와 요홈부(141)에 의한 일차적인 방음 및 단열 차폐에 이어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에 의한 이차적인 차폐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본 발명의 이중 차폐를 위해 슬랫(100)의 내측면 상단과 하단에 편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걸림고리(142)는 돌출되어 형성되되 슬랫(100)의 상단과 유사한 소정의 높이로써 돌출되어 다수의 슬랫(100)이 결합되었을 때 요홈부(141)와 걸림고리(142)에 의한 틈새 발생을 막고 차폐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143)은 슬랫(100)의 내측 중심부를 향해 침강 형성되되 걸림턱(143)의 높이가 돌출부(140)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슬랫(100) 상단에 구성된 요홈부(141) 및 걸림고리(142)와 결합 시 틈새를 최소화하여 차폐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걸림턱(143)은 슬랫(100) 중심부를 향해 침강되어 오목하게 자리잡은 형태로 구비되므로 걸림턱(143)과 돌출부(140)를 제외한 슬랫(100) 하단의 나머지 영역은 자연스럽게 하부를 향해 오목한 형상을 지니게 된다.
이로 인해 하부에서 슬랫(100)이 결합될 때 하부 슬랫(100)의 상단에 형성된 굴곡진 구조와 걸림고리(142)의 형상에 정확하게 매칭되고 슬랫(100) 간의 틈새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의 접히는 동작 시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슬랫(100)의 내측면 상단과 하단에서 최대한의 각도로 감겨지면서 슬랫(100)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며, 다시 이중차폐 멀티 셔터(10)가 펼쳐져 슬랫(100) 간에 결합이 이뤄질 때는 상술한 요홈부(141)와 돌출부(140) 그리고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이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요홈부(141)와 돌출부(140)에 의한 1차 차폐, 그리고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에 의한 2차 차폐에 의한 이중 차폐로 방음 및 에너지 단열 효과는 물론 기밀성, 내풍압, 방화, 차열 효과가 뛰어난 셔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랫(100)의 전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수의 슬랫(100)이 상하로 연결되고 셔터가 펼쳐진 상태였을 때 슬랫(100) 간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외부로부터의 틈새를 통한 단열 및 방음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슬랫(100)의 배면은 슬랫(100)의 내측 중심부를 향해 휘어진 유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랫(100)의 배면은 상술한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의 원활한 연결과 회전 동작을 위해 슬랫(100)의 상단으로부터 배면으로 이어질 때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연장 형성되는 슬랫(100)의 배면은 평면으로 이뤄지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슬랫(100) 중심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랫(100)의 배면이 유선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슬랫(100)이 권취되어 접히면서 구성하는 권취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가 접혀서 건물 출입구 상단으로 말려 올라갈 때 셔터를 끌어올리는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출입구 상단 특정한 공간에서 다수의 슬랫(100)이 권취되는 데 이때 슬랫(100)의 배면이 원통형의 회전축(160)에 대응되도록 유선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최대한 회전축(160)에 밀착되면서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슬랫(100)의 배면으로 돌출된 구조가 아니라, 슬랫(100)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 또는 침강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랫(100)이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감기더라도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에 의해 권취 직경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요홈부(141)와 돌출부(14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었으므로 다수의 슬랫(100)이 권취되었을 때 슬랫(100) 간 이격되는 거리가 짧고 권취 반경이 작아 최대한 작은 원을 형성하며 밀착하여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슬랫(100)이 겹쳐져 권취 되더라도 전체 슬랫(100)이 원형으로 감긴 부피가 최소화 될 수 있고 이는 건물 내 특정 공간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된다.
이와 같은 슬랫(100) 배면의 형상과 걸림고리(142) 및 걸림턱(143)의 결합 구조는 슬랫(100)의 두께를 크게 할수록 슬랫(100) 자체에 의한 방음 및 단열효과는 우수하지만 건물 내 슬랫(100)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부피가 큰 공간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실행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자 특성이 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슬랫(100)이 원활하게 권취되고 권취 시 그 직경이 최소화됨에 따라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를 끌어올리는 회전축(160)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감되는 장점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전면판(110), 배면판(120) 및 측면판(130)으로 구성됨을 상술한 바 있다.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은 일측에서 상호 밀착 결합되고 각각 연장되어 이격된 후 타측에서 다시 밀착 결합되는 형상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전면판(110)은 슬랫(100)의 걸림고리(142) 외측면과 슬랫(100) 상단 및 요홈부(141)와 슬랫(100)의 전면을 이루고 이어서 슬랫(100) 하단 및 돌출부(140)를 형성한 뒤 걸림턱(143) 내측면을 형성한다.
배면판(120)은 슬랫(100)의 걸림고리(142) 내측면과 슬랫(100)의 배면을 이루면서 슬랫(100) 하단으로 연장되어 걸림턱(143)의 외측면을 구성한다.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은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에서 밀착되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이때 전면판(110)은 상단에서는 걸림고리(142)의 외측면을 구성하되 하단으로 이어진 후에는 걸림턱(143)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특성을 지닌다.
반면 배면판(120)은 상단에서는 걸림고리(142)의 내측면을 구성하되 하단으로 이어진 후에는 걸림턱(143)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은 상호 외측과 내측을 번갈아 결합되면서 상호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판(110)은 배면판(120)의 외측에만 구성되고 배면판(120)은 전면판(110)의 내측에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반복적인 셔터의 접힙과 펼침 동작에 따라 이완되고 약해질 수 있는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결합을 구조적인 특성으로 보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 부분은 지속적으로 접촉면이 변경되면서 많은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이탈 또는 분리를 구조적 특성으로 보완하여 해결한 것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 부분은 상호간의 결합 유지를 위해 어떠한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고리의 휘어진 각도를 차별화하여 고리의 결합이 풀리지 않는 최적의 각도를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 각각의 고리의 각도 및 절곡 형상과 더불어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상하 위치를 번갈아 구성하는 다각적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원활한 셔터의 동작과 내구성 향상의 목적을 모두 달성하는 최상의 효과를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이 별개의 판이 결합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판형을 절곡하여 구성된 것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즉 단일의 평면체로써 슬랫(100)을 구성하는 판재가 걸림고리(142) 부분에서 이중으로 겹치도록 절곡된 후, 일단은 전면판(110)의 형태를 이루며 연장되고 타단은 배면판(120)의 형태를 이루면서 연장된 후 걸림턱(143)에서 만나 층을 이뤄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폐곡선을 이루는 판재를 이용하여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이중으로 층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밀착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형성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에서 추구하는 단열 및 방음 그리고 내구성의 극대화는 물론 설치 장소의 구조적인 문제 및 시설 현황, 그리고 제작과정에서의 경제성 및 기술력 등을 다각도로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랫(100) 마다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이 감싸며 형성하는 내측에 관 형상의 걸림축(170)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축(170)은 내부에 통공이 구비된 관의 형상으로써 길게 형성되며 정면에서 목측 시 슬랫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축(170)은 걸림턱(143)의 내측에 꼭 들어맞는 형상으로 끼어진 채 구비되어, 걸림축(170)을 중심으로 걸림턱(143)과 걸림고리(142)가 둘러싸며 회전을 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축(170)의 양단에는 걸림바퀴(171)가 걸림축(170)에 결합되어 셔터의 이동이 수월해 지도록 할 수 있다.
걸림바퀴(171)는 슬랫(100)의 양단 외측으로 원형의 바퀴가 구비되고, 바퀴의 중앙부에 형성된 봉 형상의 다리가 걸림축(17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추되, 상기 걸림바퀴(171)의 다리는 걸림축(170)의 내측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걸림바퀴(171)는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가 접히거나 펴질 때 슬랫(100) 간에 결합된 걸림턱(143)과 걸림고리(142)가 회전하며 풀림과 접힘을 반복함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슬랫(100)이 기존 슬랫 대비 두껍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회전축(160)에서 셔터를 올리고 내리는 데 에너지가 많이 소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바퀴(171)가 구비되면 셔터가 올라가고 내려오는 데 있어 걸림바퀴(171)가 셔터의 양 사이드에 위치한 가이드를 따라 셔터와 함께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바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적은 힘으로 셔터를 올리고 내릴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두꺼운 슬랫(100)으로 인해 기존 셔터 대비 중량이 높아질 수 있는 바,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이 구조적으로 보완이 된 설계를 지녔다 하더라도 상호 무게로 인한 중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위험이 없다고 단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걸림축(170)이 구비되면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둥 역할을 하게 되어 결합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어 슬랫(100)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슬랫(100)이 전체적으로 흐트러지지 않고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중심축으로써의 기능을 겸하게 되어 고장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차폐 멀티 셔터(10)의 동작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를 구성하는 다수의 슬랫(100)은 전면판(110)과 배면판(120) 및 측면판(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은 각각의 판재로써 걸림고리(142) 및 걸림턱(143)에서 밀착 결합되고 그 외 부분에서 이격되면서 슬랫(1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은 단일의 판재로써 걸림고리(142) 및 걸림턱(143)에서 절곡되어 층을 이뤄 형성된 후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형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면판(110)과 배면판(120)의 측면은 복수의 측면판(130)이 결합되어 슬랫(100)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슬랫(100)의 내부에는 단열 및 방음에 우수한 소재로 충진되어 슬랫(100)의 단열성 및 방음성, 그리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수의 슬랫(100)은 상하로 연결되어 연속으로 배치된 형상으로써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를 구성한다.
이때 슬랫(100)의 상단에는 요홈부(141)와 걸림고리(142)가 형성되고, 슬랫(100)의 하단에는 돌출부(140)와 걸림턱(143)이 구성된다.
돌출부(140)는 슬랫(100) 하단의 내측에서 중심부에 가깝게 슬랫(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측면에서 목측 시 뒤집어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요홈부(141)는 슬랫(100) 상단의 내측에서 중심부에 가깝게 슬랫(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측면에서 목측 시 뒤집어진 사다리꼴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랫(100)이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될 때 상부 슬랫(100)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140)에는 하부 슬랫(100)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부(141)가 정확하게 들어맞으며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부(140)와 요홈부(141)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빗변이 경사진 구조를 가지므로 결합과 분리에 있어 원활하게 이뤄지는 구조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140) 및 요홈부(141)의 양단에 형성된 슬랫(100)의 표면 간에도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슬랫(100)은 돌출부(140)와 요홈부(141)를 중심으로 굴곡진 다수의 면이 벽체와 같은 장애물을 이루면서 슬랫(100) 결합부위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는 일차 차폐 기능을 한다.
또한 슬랫(100)의 상단 내측에는 걸림고리(142)가 편심되어 구비되고, 하단 내측에는 걸림턱(143)이 편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슬랫(100)이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될 때 상부 슬랫(10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43)과 하부 슬랫(10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42)가 상호 고리결합을 이루게 되며 셔터의 접힘과 펼침 시 고리결합은 해제되지 않은 채 고리 회전을 하게 된다.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슬랫(100) 간의 결합을 유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상호 밀착 결합되어 슬랫(100) 간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는 차폐 기능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돌출부(140)와 요홈부(141)의 밀착, 그리고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의 밀착에 의해 슬랫(100) 간의 틈새를 이중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펼쳐져 건물의 출입구 등을 차단하게 될 때 상술한 다수의 슬랫(100)이 상하로 연속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슬랫(100)은 기존의 슬랫(100) 대비 두껍게 구성되고 내부에 단열 및 방음재가 충진되어 있어 슬랫(100) 자체의 단열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게다가 슬랫(100)이 두껍고 내부공간이 채워져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하여 내구성이 좋다.
한편 슬랫(100) 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통해 소음, 열기 및 냉기의 유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랫(100) 간에는 돌출부(140)와 요홈부(141)의 밀착 결합, 그리고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의 밀착 결합으로 이중 차폐하여 방음, 에너지 단열, 차열, 방화, 내풍압, 기밀성 등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중차폐 멀티 셔터(10)가 상단으로 감겨지면서 접혀지게 되면 다수의 슬랫(100)은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을 연결부재로 하여 상호 결합상태는 유지한 채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권취된다.
이때 걸림고리(142)와 걸림턱(143)은 슬랫(100)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할 뿐 슬랫(100)의 배면으로 돌출되지 않아서 슬랫(100)의 권취 시 권취 직경을 크게 하지 않는 방지효과가 있다.
또한 슬랫(100)의 배면판(120)은 회전축(160)에 대응될 수 있도록 슬랫(100)의 중심부를 향해 유선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로써 회전축(160)의 형상에 맞추어 최대한 밀착되어 감길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배면판(120)의 유선형 구조와 걸림고리(142) 및 걸림턱(143)의 구성위치에 의해 이중차폐 멀티 셔터(10)의 접힘 시 권취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슬랫(100)이 두꺼워지면 가질 수 있는 단열 및 방음, 내구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큰 부피의 권취 공간 필요와 슬랫(10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틈새로 인해 단열 및 방음 효과의 저하가 발생함에 따라 그 장점이 퇴색되는 우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중차폐 멀티 셔터(10)는 슬랫(100) 간 이중차폐를 통해 방음, 에너지단열, 차열, 방화, 내풍압, 기밀성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셔터의 권취 시 권취 부피를 최소화하는 구조적 설계로써 슬랫(100)의 두께로 인한 최상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이중차폐 멀티 셔터
100 : 슬랫
110 : 전면판
120 : 배면판
130 : 측면판
140 : 돌출부
141 : 요홈부
142 : 걸림고리
143 : 걸림턱
144 : 상단표면부
145 : 하단표면부
146 : 배면경사부
150 : 충진재(세멘트, 실리카울, 흡음재, 폴리우레탄, 석고보드, 등등)
160 : 회전축
170 : 걸림축
171 : 걸림바퀴

Claims (5)

  1.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랫;
    슬랫 상단의 내측에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요홈부;
    슬랫 하단의 내측에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인접한 슬랫의 요홈부에 대응되는 돌출부;
    슬랫 상단의 요홈부의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며 슬랫의 배면을 향하여 열린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는 걸림고리; 및
    슬랫 하단의 돌출부의 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며 슬랫의 중심부를 향하여 고리의 끝이 절곡되어 말린 형상으로 구성되는 걸림턱;
    슬랫 상단에서 전면으로부터 요홈부 사이에 평면 형성되는 상단표면부; 및
    슬랫 하단에서 전면으로부터 돌출부 사이에 평면 형성되는 하단표면부;를 포함하되,
    요홈부의 폭은 상단표면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돌출부의 폭은 하단표면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걸림고리의 중심은 상단표면부 높이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걸림턱의 중심은 하단표면부 높이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슬랫은 전면판, 배면판 및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더 포함하고,
    전면판은 슬랫의 전면, 상단, 하단을 형성하고, 배면판은 슬랫의 배면을 형성하며, 각각 걸림고리와 걸림턱에서 겹치며 합쳐지되,
    걸림고리는 외측면에 전면판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배면판이 구성되고,
    걸림턱은 외측면에 배면판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전면판이 구성되며,
    배면판은 걸림고리에서 연장되어 슬랫 상단에서 배면으로 이어지는 모서리 내각이 둔각으로 형성되어 완만하게 기울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배면경사부를 포함하고, 배면은 슬랫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진 유선형으로 구성되어,
    셔터의 접힘 시 배면경사부가 걸림턱의 곡면 하부에 걸리지 않고 최대한 배면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접하게 되어 셔터의 권취 직경이 최소화 되고,
    슬랫은,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감싸며 형성하는 내측에 맞춤 형성되는 관 형상의 걸림축; 및
    걸림축의 양단에 결합되며 슬랫 측면 외부로 노출되는 원형의 걸림바퀴;를 더 포함하며,
    걸림축은 걸림고리와 걸림턱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기둥 역할을 하고,
    걸림바퀴는 셔터가 접히거나 펴질 때 슬랫 간에 결합된 걸림턱과 걸림고리가 회전하며 풀림과 접힘을 반복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셔터 양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차폐 멀티 셔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슬랫의 상단과 하단에서 인접한 슬랫의 상호간에 밀착되는 접촉 표면을 따라 단열 및 방음 소재의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중차폐 멀티 셔터.
  5. 삭제
KR1020190125618A 2019-10-10 2019-10-10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KR10237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18A KR102376602B1 (ko) 2019-10-10 2019-10-10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18A KR102376602B1 (ko) 2019-10-10 2019-10-10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14A KR20210042714A (ko) 2021-04-20
KR102376602B1 true KR102376602B1 (ko) 2022-03-21

Family

ID=7574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618A KR102376602B1 (ko) 2019-10-10 2019-10-10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6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544B2 (ja) * 1990-07-17 2001-03-07 東洋シヤッター株式会社 断熱スラット
KR101411604B1 (ko) * 2010-11-09 2014-06-24 장종복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KR101741522B1 (ko) 2015-04-23 2017-05-30 장종복 차열 방화셔터
KR101734128B1 (ko) * 2015-09-23 2017-05-12 주식회사 선우인더스트리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셔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14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8111B2 (ja) 防火性樹脂サッシ
RU2636924C2 (ru) Улучшенная ламель ставня и блок компактного ставня
US11828575B2 (en) Bullet proof barriers
US20130306252A1 (en) Coiling door assembly having guide members with narrow wall gap opening and internal smoke or weather seal
JP6715728B2 (ja) 防火サッシ
KR101085060B1 (ko) 창호 프레임 일체형 단열셔터
KR20130034117A (ko) 알루미늄 폼 패널을 이용한 방폭문
KR102376602B1 (ko) 이중차폐 멀티 셔터(차열, 3시간 방화, 에너지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성)
KR102115829B1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JP4642339B2 (ja) 断熱空間形成部材
ES2904563T3 (es) Cámara anecoica desmontable
KR101855173B1 (ko)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CN112302506B (zh) 一种具有高效隔音的内嵌式防火门
KR20220013883A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KR102124117B1 (ko) 채광 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CN111720026A (zh) 一种防瞬爆装甲防火门
KR20210142944A (ko) 롤업형 내풍압 단열 셔터
CN201013177Y (zh) 防风雨气密防火门
KR102272051B1 (ko) 이종 슬랫 셔터
CN215408313U (zh) 一种隔音防火门
US20220235604A1 (en) Door assembly
JP5357318B2 (ja) 防火性樹脂サッシ
KR102281491B1 (ko) 방폭 기능을 갖는 커튼월 창호
EP3779091B1 (en) A skylight window
EP3795772A1 (en) A skylight window for being installed in a roof of a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