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626B1 -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626B1
KR102375626B1 KR1020200088947A KR20200088947A KR102375626B1 KR 102375626 B1 KR102375626 B1 KR 102375626B1 KR 1020200088947 A KR1020200088947 A KR 1020200088947A KR 20200088947 A KR20200088947 A KR 20200088947A KR 102375626 B1 KR102375626 B1 KR 10237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take line
electric wire
engin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405A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일 filed Critical 박성일
Publication of KR2021001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02M2027/047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with a pulsating magnetic fi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차의 흡기라인에 장착되어 흡기되는 공기의 산소포화도를 증가시키면서 공기의 질을 우수하게 하여 연소효율을 증대토록 한 것으로, 흡기라인에 권선되어진 전선의 일단이 엔진블럭에 연결되어지고, 타단은 차체의 금속판에 연결되어져 헤드블럭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하여 전선의 양단에 전위차가 발생되어 전선에는 미세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지면서 전선의 주위로 전계가 발생되어 발생되는 전계가 흡기라인의 내부로 전달되면서 흡기라인에 흐르는 공기의 산소밀도나 포화도를 증진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A INTAKE DEVIC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가동차의 흡기라인에 장착되어 흡기되는 공기의 산소포화도를 증가시키면서 공기의 질을 우수하게 하여 연소효율을 증대토록 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의 연소는 연료와 흡기공기의 배합에 의하여 효율이 결정되어지는데 이러한 흡기라인에 진공이 걸리게 되거나 또는 흡기라인의 내벽에 각종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서 흡입공기의 양이 원하는 만큼 흡입되지 못하여 가속패달을 밟았을 경우에도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연소율이 떨어져 배기가스도 많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흡기라인에 자력을 이용하여 자력에 의한 산소포화도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러한 자력을 이용할 경우에는 영구자석의 사용이 요구되고 이러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은 주변의 또 다른 전자장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또 다른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영구자석을 흡기라인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부착을 위한 수단이나 장치 등이 요구되어지는데 이러한 수단이나 장치를 흡기라인에 부착 설치할 경우에는 견고하지 못할 경우에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하여 또 다른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장착한 상태에서의 탈리가능성과 장착된 상태에서의 엔린룸의 형태에 따라서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기라인에 전계를 발생토록 하여 흡기라인에서 발생되는 진공 등을 해소함은 물론 산소포화도나 공기의 흐름을 원활토록 하여 흡기률을 우수하게 함으로서 연소효율을 우수하게 함은 물론 이로 인한 배기가스의 저감과 연비도 절감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흡기라인에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전선을 일정간격으로 권취토록 하고 상기 전선에는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름토록 하여 전선에 흐르는 주위로 전게가 발생토록 함으로서 흡기라인에 공기의 산소밀도와 포화도를 증진토록 함은 물론 공기흐름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류의 흐름은 전선의 일단이 자동차의 엔진을 감싸는 외벽 특히 엔진헤드의 하단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어 연결되어 엔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발생되는 전선의 양단에 발생되는 전위차에 의해 전선에 흐르는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운행중에만 전선에 전류의 흐름이 발생토록 함은 물론 이러한 미세전류에 의하여 다른 장비에 손상을 가하지 않토록 하고, 이러한 전선을 차체에 어스토록 함으로서 자동차가 운행중에만 전류의 흐름이 지속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엔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전위차를 자동차의 엔진을 감싸는 외벽 특히 엔진헤드의 하단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에 일단의 전선을 연결토록 하고, 상기 전선이 흡기라인의 외면에 감겨진 상태에서 차체에 연결되어 어스 됨으로서 엔진의 가동시에만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계가 흡기라인의 내부로 전달되면서 흡입되는 공기중의 산소포화도를 증진토록 함은 물론 흡기라인의 내벽에 부착되어진 이물질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항상 신차와 같은 흡기라인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선의 일단을 자동차의 엔진을 감싸는 외벽 특히 엔진헤드의 하단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에 연결토록 하고, 타단은 차체에 어스토록 되는 상태에서 흡기라인에 전선을 감아주기만 함으로서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이러한 감아주는 권선의 량을 적당하게 조절토록 함으로서 배기량에 다른 안정적인 전계를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선의 일단은 차체에 어스되어짐으로 부하가 걸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전류의 흐름에 의한 안정적인 전계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충분한 흡기량의 제공에 의하여 가속패달을 밟았을 경우에 향상 신차와 동일한 주행감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산소의 제공에 의한 연비증강은 물론 배기가스의 배출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선의 일단이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흡기라인에 권선되어지면서 차체에 어스되어진 상태의 일 실시 예.
도2는 본 발명의 전선의 일단이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흡기라인과 배기라인 및 연료라인에 권선되어진 상태에서 차체에 어스되어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권선된 전선에 의한 전계로 인하여 흡기라인의 내벽에 전계가 작동되는 일실시예
도4는 도2의 방식으로 차량에 실제로 설치된 상태의 도면대용사진.
도5는 도1의 방식으로 차량에 실제로 설치된 상태의 도면대용사진.
도6은 본 발명의 전선의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의 연료계통의 흡기라인(10)의 외측으로 긴밀하게 밀착되게 일정한 굵기의 전선(1)을 일정간격으로 권취토록 하고 상기 전선의 일단은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의 금속체(30)에 연결하여 어스토록 되는 구성이다.
이때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20)에는 전선(1)의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구(1a)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나사조임수단(2)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이고, 차체의 금속체(30)에도 전선(1)의 연결구(1a)에 의하여 나사조임수단(2)으로 간단하게 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선(1)을 흡기라인(10)은 물론 배기라인과 연료라인에도 권선토록 할 경우에는 각각의 전선(1)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의 자동차의 엔진을 감싸는 외벽 특히 엔진헤드의 하단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20)과 차체에 나사조임수단(2)으로 각각 연결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동을 켜면 엔진이 작동되면서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한 마찰열에 의하여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20)과 차체에 어스되어진 전선(1)의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되어 이로 인하여 전선(1)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류가 흐르게 되는 전선(1)의 주위로는 일정방향으로 전계가 발생되면서 이러한 전선(1)이 권취되어진 흡기라인(10)의 내부에 전계가 전달되면서 흡기라인(10)의 내공간을 흐르는 공기의 결합을 파괴하여 공기중의 산소포화도나 산소밀도를 증가토록 하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흡기라인(10)에 흡입되는 공기의 산소량이 증대되면서 흡기가 우수하게 이루어져 연소시 필요한 공기의 비율을 적정하게 유지하게 되면서 연소효율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연소효율의 향상은 결국 연비를 우수하게 하고, 동시에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되면서 배기가스의 발생도 저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계는 엔진이 가동될 경우에만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돌출되는 돌축에 전선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어, 엔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위차에 의한 전선(1)에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차량이 운행중에만 발생됨으로 자동차의 또 다른 전자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선(1)은 7가닥이상이 꼬인것을 사용한 것이고, 만일 6가닥 이하로 꼬인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가속패달을 밟았을 경우에 부드러움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선(1)의 가닥수가 7가닥 이상일 경우에는 더욱더 우수한 효과가 증진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선(1)은 흡기라인(10)의 길이에 따라서 권선수가 달라지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흡기라인(10)의 길이가 100㎜~200㎜의 범위일 경우에 1.5회로 권선토록 하고, 100㎜이하일 경우에는 1회 권선토록 하며, 200~300㎜일 경우에는 2회 권선토록 함으로서 가속패달을 밟았을 경우에 가장 부드러움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흡기라인(10)의 직경이 100mm이상일 경우에는 전선(1)의 직경을 최대 6㎜의 것을 사용하고, 100mm이하일 경우에는 최대 4~5mm의 것을 사용함으로서 가장 우수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권수에서 차량의 배기량에 따라서 전선(1)의 직경이 달라지는 것이고, 배기량 기준으로 800~1000cc일 경우에 전선의 직경이 2.5㎜의 것을 사용토록 하고, 1500~2000cc일 경우에는 최대 4㎜의 것을 사용하고, 2000~3000cc미만일 경우에는 최대 4~6㎜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가장 우수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선(1)은 피복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능하면 전계의 통과가 가능한 피복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선(1)을 권선토록 할 경우에 엔진에서 미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블로우바이가스)를 그냥 외부로 배출 시켜버리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것을 차량의 흡기라인으로 다시 넣어서 엔진으로 보내서 태워버리기 위한 블로우바이가스호스에도 권선토록 함으로서 오일캐치탱크가 필요없이도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엔진 연소효율이 높을려면 연료+공기만 필요한데, 여기에 완전연소에 필요가 없는 가스(블로우바이 가스)가 들어가면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블로우바이가스호스에도 본 발명의 전선(1)을 권선토록할 경우에는 연소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흡기라인(10)으로 블로우바이가스를 다시 넣을 경우에 중간에 오일캐치탱크가 장착될 경우에는 오일캐치탱크에서 엔진에서 블로우바이가스가 나오는 라인과 흡기라인(10)에 연결된 라인 중간에 연결되어 있어 블로우바이가스를 모아주는 역활을 하게 되어 더욱더 우수한 연소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디젤엔진에서 블로우바이가스를 적정량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EGR 장치 내에서 배기가스가 흡기 다기관 내로 유입되는 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EGR밸브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밸브는 엔진이 어떤 특정 조건(워밍업 전과 아이들 상태 이외)에 이르렀을 때 열리게 되어 배기가스 중의 일부분을 다시 흡기라인을 통하여 흡기 매니폴드로 유입되도록 하여 재연소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생성을 억제하게 되는데 이러한 밸브의 오동작이 발생될 경우에는 엔진에 문제점을 유발하게 될 수 있지만 본원발명에서 전선을 권선토록 할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EGR밸브를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도 연소효율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젤엔진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솔린 엔진일 경우에도 적용가능한 것이고, 단지 전선의 굵기가 디젤보다는 가느다란 것을 사용할 경우에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1:전선
10:흡기라인
20:돌축
30:차체금속체

Claims (5)

  1. 전선의 권선은 자동차의 흡기라인(10)의 길이가 100㎜~200㎜의 범위일 경우에 전선의 권선을 1.5회로 하고, 100㎜이하일 경우에는 1회로 하며, 200~300㎜일 경우에는 2회로 하고,
    전선의 굵기는 상기 흡기라인(10)의 직경이 100mm이상일 경우에는 6㎜의 것을 사용하고, 100mm이하일 경우에는 4~5mm의 것을 사용하며,
    상기 전선은 전계가 통과 가능한 피복전선을 사용토록 하고, 상기 전선의 일단은 연결구에 의하여 조임수단으로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에 연결되고, 흡기라인에 권선된 타단은 차체의 금속체(30)에 연결구에 의하여 조임수단으로 연결하여 어스토록 되고,
    상기 전선은 7가닥이상 꼬인것을 사용하게 되는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흡기라인과 블로우바이가스호스와 배기라인은 물론 연료라인에도 권선토록 할 경우에 각각의 전선의 일단은 엔진을 감싸는 외벽의 엔진헤드가 위치되는 하단의 외벽에 노출되는 돌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각각 어스되어지게 연결되면서 권선토록 되는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
  5. 삭제
KR1020200088947A 2019-07-17 2020-07-17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 KR102375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63 2019-07-17
KR20190086663 2019-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405A KR20210010405A (ko) 2021-01-27
KR102375626B1 true KR102375626B1 (ko) 2022-03-18

Family

ID=7423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947A KR102375626B1 (ko) 2019-07-17 2020-07-17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6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748A (ja) 2002-04-09 2003-10-24 Progress:Kk 燃料改質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改質方法
JP2009293577A (ja) * 2008-06-09 2009-12-17 Eco Move:Kk 燃焼効率改善装置
EP3366910A1 (fr) 2017-02-24 2018-08-29 Jean Marc Allemeersch Dispositif pour la reduction de la consomm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952A (ja) * 2002-03-29 2004-01-08 Toshiba Mach Co Ltd リニアモータと、リニアモータを用いた電動射出成形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748A (ja) 2002-04-09 2003-10-24 Progress:Kk 燃料改質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改質方法
JP2009293577A (ja) * 2008-06-09 2009-12-17 Eco Move:Kk 燃焼効率改善装置
EP3366910A1 (fr) 2017-02-24 2018-08-29 Jean Marc Allemeersch Dispositif pour la reduction de la consomm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04007952 A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405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8847A (en) Combustion device for IC engine
US8037859B2 (en) Intake manifold
US5107800A (en) Suction apparatus for engine
EP1382811A4 (en) EXHAUST EMISSIONS CONTROL
US3924588A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KR102375626B1 (ko) 자동차 흡기를 우수하게 하여 연료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장치
JPH09203357A (ja)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および吸気装置
US5797365A (en) Intake port device for an engine of a vehicle
JP2006077583A (ja) エンジンのエアバイパス構造
US20140048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Vehicle Performance
JP2006328980A (ja) 排気ターボ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CN1928350A (zh) 燃料喷射装置
JP2001140710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6070984B2 (ja) 内燃機関の上部の構造
KR100928640B1 (ko) 연료분사펌프의 컨트롤 랙 진동방지장치
RU2244843C2 (ru)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345511Y1 (ko) 차량용 에어 인테이크 호스
CN204024817U (zh) 具有线束安装结构的组合阀盖
KR19980040214U (ko) 자동차 엔진의 출력 감소구조
JPH07103082A (ja) エンジン構造
CN202039961U (zh) 发动机缸盖及包括其的设备
WO2001051799A1 (en) A device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JP2014013020A (ja) 内燃機関
KR100305929B1 (ko) 자동차의크랭크케이스환기장치
JPS58165556A (ja) 空冷式内燃機関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