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560B1 -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5560B1 KR102375560B1 KR1020190089324A KR20190089324A KR102375560B1 KR 102375560 B1 KR102375560 B1 KR 102375560B1 KR 1020190089324 A KR1020190089324 A KR 1020190089324A KR 20190089324 A KR20190089324 A KR 20190089324A KR 102375560 B1 KR102375560 B1 KR 102375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outer case
- support
- door
- lower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 도어의 하측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도어틀의 하부가이드 측으로 개방되는 아웃케이스, 아웃케이스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아웃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가이드 측으로 개방되는 인케이스, 인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가이드를 따라 구름 회전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유닛, 아웃케이스와 하부가이드의 간격에 따라 하부가이드에 대한 인케이스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높이조정부, 및 인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아웃케이스의 개방된 하측의 가장자리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는 지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도어틀의 바닥과 슬라이드 도어 간의 간격에 따라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호차에 있어, 인케이스를 아웃케이스가 받쳐 지지함으로써 구름롤러를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서포트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롤러유닛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고, 서포트핀을 인케이스에 구속된 채 회전되도록 하여 서포트핀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도어틀의 바닥과 슬라이드 도어 간의 간격에 따라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호차에 있어, 인케이스를 아웃케이스가 받쳐 지지함으로써 구름롤러를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서포트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롤러유닛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고, 서포트핀을 인케이스에 구속된 채 회전되도록 하여 서포트핀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틀의 바닥과 슬라이드 도어 간의 간격에 따라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호차에 있어, 인케이스를 아웃케이스가 받쳐 지지함으로써 구름롤러를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서포트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롤러유닛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고, 서포트핀을 인케이스에 구속된 채 회전되도록 하여 서포트핀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창문은 문틀프레임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서 창문프레임이 이동할 수 있게 창문프레임에 형성된 레일홈 내측으로 호차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된 호차는 창문프레임의 레일홈 내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롤러를 축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호차 구성에서 롤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2-16845호(1992.09.17)의 호차륜의 높낮이 조절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97572호(2003.09.13.)의 창문용 호차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호차는 하나의 롤러가 구비된 단열 호차와 두 개의 롤러, 즉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된 복렬호차가 있으며, 단열호차의 경우는 창틀 레일을 타고 구름작용을 하는 롤러와, 롤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케이스에 연결하는 롤러 축과, 롤러 축에 의해 롤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인케이스와, 인케이스가 내장 설치되며 높이조절나사에 의해 롤러의 높이조절이 유도되는 아웃케이스로 구성되며, 아웃케이스의 양 측면에는 높이조절나사에 의해 인 케이스를 밀거나 당김으로서 롤러 축 양 끝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면서 롤러의 높이조절을 유도하는 경사진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는 회전핀이 전적으로 롤러에 대한 케이스(아웃케이스, 인케이스)와 슬라이드 도어의 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회전핀과 케이스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는 회전핀이 파손시 롤러 전체를 교체해야 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케이스를 아웃케이스가 받쳐 지지함으로써 구름롤러를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서포트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롤러유닛의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서포트핀을 인케이스에 구속된 채 회전되도록 하여 서포트핀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는: 슬라이드 도어의 하측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도어틀의 하부가이드 측으로 개방되는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아웃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가이드 측으로 개방되는 인케이스; 상기 인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를 따라 구름 회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유닛;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하부가이드의 간격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에 대한 상기 인케이스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높이조정부; 및 상기 인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아웃케이스의 개방된 하측의 가장자리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는 지지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인케이스에 지지되는 서포트핀; 상기 서포트핀을 축 삽입하고, 상기 인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를 따라 구름 회전 가능한 구름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정부는, 상기 아웃케이스에 삽입된 채 상기 인케이스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인케이스를 상기 아웃케이스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하는 조작스크류; 상기 롤러유닛의 서포트핀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아웃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장방형이 되게 형성되는 버티컬슬롯홀부; 및 상기 조작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케이스를 상기 아웃케이스의 축 방향을 이동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버티컬슬롯홀부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고, 상기 버티컬슬롯홀부의 장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인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는 틸트슬롯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핀은 상기 인케이스의 대응되는 부위를 삽입하여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둘레면에 함몰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케이스는 상기 지지턱부에 접하여 상기 아웃케이스의 축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인케이스를 아웃케이스가 받쳐 지지함으로써 구름롤러를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서포트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롤러유닛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포트핀을 인케이스에 구속된 채 회전되도록 하여 서포트핀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를 슬라이드 도어와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높이 조정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를 슬라이드 도어와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높이 조정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를 슬라이드 도어와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높이 조정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10)용 호차(100)는 슬라이드 도어(10)를 도어틀(20)에 원활히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어틀(20)은, 사각틀 형상일 경우, 상부가이드(22)와 하부가이드(24) 및 사이드서포트빔(26)으로 이루어진다.
사이드서포트빔(26)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부가이드(22)와 하부가이드(24)의 동일측 가장자리 또는 동일측 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한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10)는 도어틀(20) 내측에서 측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도어틀(20)의 내측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슬라이드 도어(10)는 하나의 도어틀(20)의 내측에 한 개 구비될 수도 있고, 한 쌍 구비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이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슬라이드 도어(10)는 호차(100)에 의해 하부가이드(24)를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드 도어(10)와 하부가이드(24)의 간격이 미세하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10)용 호차(100)는 아웃케이스(110), 인케이스(120), 롤러유닛(130), 높이조정부(140) 및 지지턱부(150)를 포함한다.
아웃케이스(110)는 슬라이드 도어(10)의 하측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도어틀(20)의 하부가이드(24)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아웃케이스(110)는 내부응력과 내구성 증대를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인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아웃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가이드(24)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인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내부 양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아웃케이스(110)와 동일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롤러유닛(130)은 인케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고, 하부가이드(24)를 따라 구름 회전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높이조정부(140)는, 도어틀(20)의 내부 하측에 고정 장착된 아웃케이스(110)와 하부가이드(24)의 간격에 따라, 하부가이드(24)에 대한 인케이스(12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한 역할을 한다.
아울러, 지지턱부(150)는 롤러유닛(130)을 눌러 가압하는 인케이스(120)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인케이스(12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아웃케이스(110)의 개방된 하측의 가장자리에서 탄성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지지턱부(150)는 아웃케이스(110)의 양측면에서 내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하 위치 이동되는 인케이스(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지지턱부(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롤러유닛(130)은 서포트핀(132), 베어링부재(134) 및 구름롤러(136)를 포함한다.
서포트핀(132)은 인케이스(120)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그래서, 서포트핀(132)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베어링부재(134)는 서포트핀(132)을 축 삽입하고, 인케이스(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아울러, 구름롤러(136)는 베어링부재(134)를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교체가 용이하다. 즉, 구름롤러(136)는 베어링부재(134)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서포트핀(132)은 인케이스(120)에 접하여 회전이 되지 않은 채, 구름롤러(136)는 하부가이드(24)를 따라 구름 회전하게 된다. 구름롤러(1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서포트핀(132)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인케이스(120)와 접한 부위가 마찰에 의해 마모될 우려가 있다.
한편, 높이조정부(140)는 조작스크류(142), 버티컬슬롯홀부(144) 및 틸트슬롯홀부(146)를 포함한다.
조작스크류(142)는 아웃케이스(110)에 삽입된 채 인케이스(120)와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작스크류(142)의 헤드부(143)가 아웃케이스(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면의 외측에 접한 채, 조작스크류(142)는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인케이스(120)를 아웃케이스(110)의 축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버티컬슬롯홀부(144)는 아웃케이스(110)의 양측에서 아웃케이스(110)의 높이 방향으로 장방형이 되게 형성되고, 인케이스(120)에 연결된 서포트핀(132)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접하여 지지한다. 이에 따라, 서포트핀(132)은 버티컬슬롯홀부(144)에 의해 아웃케이스(110)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된다.
이때, 버티컬슬롯홀부(144)는 서포트핀(132)을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아웃케이스(110)의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틸트슬롯홀부(146)는 조작스크류(142)의 회전에 따라, 인케이스(120)를 아웃케이스(110)의 축 방향을 이동 안내함과 동시에 버티컬슬롯홀부(144)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도록, 버티컬슬롯홀부(144)의 장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인케이스(120)의 양측에 형성된다.
즉, 구름롤러(136)가 하부가이드(24)에 접한 상태로 높이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스크류(142)를 회전시, 인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인케이스(120)는 틸트슬롯홀부(146)에 수용된 서포트핀(132)에 의해 아웃케이스(11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인케이스(1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 아웃케이스(110)는 인케이스(120)의 떠받치는 힘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특히, 아웃케이스(110)는 버티컬슬롯홀부(144)에 수용된 서포트핀(13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인케이스(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 아웃케이스(110)는 인케이스(120)의 하부 이동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수직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스크류(142)를 삽입하는 아웃케이스(110)의 홀의 형상은 대략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아웃케이스(110)는 삽입된 조작스크류(142)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측면을 복층으로 형성한다.
또한, 서포트핀(132)은 인케이스(120)의 대응되는 부위를 삽입하여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둘레면에 함몰홈부(133)를 형성한다. 즉, 인케이스(120)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면을 이루는 측판부재(122)는 대응되는 함몰홈부(133)에 수용됨으로써, 서포트핀(132)은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서포트핀(132)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존에 적용한 이탈방지링이 불필요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조단가가 저감된다.
조작스크류(142)가 인케이스(120)의 일측을 연결 지지한 채, 지지턱부(150)가 인케이스(120)의 타측을 지지함에 따라, 롤러유닛(130)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한 채 도어틀(20)의 하부 내측에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조작스크류(142)가 축 방향으로 인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작스크류(142)는 둘레면에 스냅링(148)을 구비한다. 그리고, 조작스크류(142)는 스냅링(148)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둘레면에 위치설정홈(149)을 함몰 형성한다. 이때, 스냅링(148)은 헤드부(143)와 인접한 인케이스(120)의 측판부재(12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물론, 스냅링(148)은 클립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인케이스(120)는, 서포트핀(132)을 기준으로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아웃케이스(110)에 삽입된 조작스크류(142)에 지지되고, 타측이 아웃케이스(110)의 지지턱부(150)에 지지됨으로써, 서포트핀(132)을 기준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상쇄된다. 그래서, 인케이스(120)는 롤러유닛(130)에 대해 안정적으로 아웃케이스(110)와 도어틀(20)을 지지한다.
한편, 인케이스(120)는 지지턱부(150)에 접하여 아웃케이스(110)의 축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턱(124)을 형성한다.
즉, 인케이스(120)의 걸림턱(124)이 아웃케이스(110)의 지지턱부(150)에 접할 때, 인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서 타측까지 최대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때, 조작스크류(142)는 인케이스(120)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걸림턱(124)이 지지턱부(150)에 걸림으로써, 조작스크류(142)는 인케이스(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걸림턱(1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인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일측까지 최대한 이동시, 인케이스(120)의 이동 방향으로 일측면은 대응되는 아웃케이스(110)의 일측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인케이스(120)는 일측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슬라이드 도어 20: 도어틀
24: 하부가이드 100: 호차
110: 아웃케이스 120: 인케이스
122: 측판부재 124: 걸림턱
130: 롤러유닛 132: 서포트핀
133: 함몰홈부 134: 베어링부재
136: 구름롤러 140: 높이조정부
142: 조작스크류 143: 헤드부
144: 버티컬슬롯홀부 146: 틸트슬롯홀부
148: 스냅링 150: 지지턱부
24: 하부가이드 100: 호차
110: 아웃케이스 120: 인케이스
122: 측판부재 124: 걸림턱
130: 롤러유닛 132: 서포트핀
133: 함몰홈부 134: 베어링부재
136: 구름롤러 140: 높이조정부
142: 조작스크류 143: 헤드부
144: 버티컬슬롯홀부 146: 틸트슬롯홀부
148: 스냅링 150: 지지턱부
Claims (5)
- 슬라이드 도어의 하측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도어틀의 하부가이드 측으로 개방되는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아웃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가이드 측으로 개방되는 인케이스; 상기 인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를 따라 구름 회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유닛;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하부가이드의 간격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에 대한 상기 인케이스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높이조정부; 및 상하 위치 이동되는 상기 인케이스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아웃케이스의 개방된 하측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내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정부는, 상기 아웃케이스에 삽입된 채 상기 인케이스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인케이스를 상기 아웃케이스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하는 조작스크류; 상기 아웃케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아웃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장방형이 되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유닛의 서포트핀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접하여 지지하는 버티컬슬롯홀부; 및 상기 버티컬슬롯홀부의 장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인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케이스를 상기 아웃케이스의 축 방향을 이동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버티컬슬롯홀부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는 틸트슬롯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케이스는 삽입된 상기 조작스크류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측면을 복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핀은 상기 인케이스의 대응되는 부위를 삽입하여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둘레면에 함몰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인케이스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면을 이루는 측판부재가 대응되는 상기 함몰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서포트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조작스크류는 둘레면에 스냅링을 구비하여 상기 인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스냅링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둘레면에 위치설정홈을 함몰 형성하며,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인케이스에 지지되는 서포트핀; 상기 서포트핀을 축 삽입하고, 상기 인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를 따라 구름 회전 가능한 구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인케이스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아웃케이스의 상기 지지턱부에 접할 경우 상기 인케이스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부 타측까지 최대한 이동된 상태이며, 상기 걸림턱이 상기 지지턱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조작스크류는 상기 인케이스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9324A KR102375560B1 (ko) | 2019-07-24 | 2019-07-24 |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9324A KR102375560B1 (ko) | 2019-07-24 | 2019-07-24 |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2137A KR20210012137A (ko) | 2021-02-03 |
KR102375560B1 true KR102375560B1 (ko) | 2022-03-17 |
Family
ID=7457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9324A KR102375560B1 (ko) | 2019-07-24 | 2019-07-24 |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556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9681Y1 (ko) * | 2001-12-27 | 2002-03-22 | 장병오 | 창호용 호차 |
KR200310997Y1 (ko) * | 2003-01-17 | 2003-04-21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슬라이드 도어용 롤러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6600B1 (ko) * | 2010-06-22 | 2012-11-29 | 주식회사 씨쓰리 |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호차 |
KR20130092334A (ko) * | 2012-02-09 | 2013-08-20 |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 창호 호차의 조절나사 조립방법 |
ES2664096T3 (es) * | 2014-01-28 | 2018-04-18 | Terno Scorrevoli S.P.A. Unipersonale | Escuadra de soporte para puertas correderas con ajuste y bloqueo lateral y perfil de metal |
-
2019
- 2019-07-24 KR KR1020190089324A patent/KR1023755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9681Y1 (ko) * | 2001-12-27 | 2002-03-22 | 장병오 | 창호용 호차 |
KR200310997Y1 (ko) * | 2003-01-17 | 2003-04-21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슬라이드 도어용 롤러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2137A (ko) | 2021-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4595B1 (ko) |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 |
JP5913110B2 (ja) | 車両のスライド式開閉体のローラアセンブリ | |
KR102328957B1 (ko) | 슬라이딩 요소용 조절가능한 마운팅 장치 및 슬라이딩 장치 | |
DK1994250T3 (en) | Parallel opening hinge | |
KR100785706B1 (ko) | 창문용 호차 | |
US20090019665A1 (en) | Self-adjusting window roll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JPH10331513A (ja) | 調節機構 | |
US20190226257A1 (en) | Roller centering device for centering a sliding door or window | |
KR20110138807A (ko) |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호차 | |
TWI729555B (zh) | 用於引導滑門的配置以及具有該配置的家具 | |
KR102375560B1 (ko) |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 |
TWI477687B (zh) | 門窗滾子及門窗 | |
KR102136219B1 (ko) |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힌지 어셈블리 | |
JP4827746B2 (ja) | 扉開閉機構 | |
EP2913467A1 (en) | Sliding door upper guide | |
KR20110131118A (ko) | 비평행 유도장치가 있는 슬라이딩 윈도우 어셈블리용 슬라이딩 윈도우 유도장치 | |
KR101975375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KR200489994Y1 (ko) |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 |
KR200188830Y1 (ko) |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 |
KR102458010B1 (ko) |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 |
US20210178628A1 (en) | Table Saw Fence With Tension Adjustment Cam | |
KR100844736B1 (ko) |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세팅 지그 | |
CN220719894U (zh) | 底盘导向结构、箱体和隐形切割机 | |
KR102430088B1 (ko) | 중문용 슬라이딩레일장치 | |
KR200332006Y1 (ko) |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