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329B1 -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329B1
KR102375329B1 KR1020200055506A KR20200055506A KR102375329B1 KR 102375329 B1 KR102375329 B1 KR 102375329B1 KR 1020200055506 A KR1020200055506 A KR 1020200055506A KR 20200055506 A KR20200055506 A KR 20200055506A KR 102375329 B1 KR102375329 B1 KR 10237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compositio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764A (ko
Inventor
류선숙
박재옥
김희대
오승희
김민영
김민형
주영순
Original Assignee
류선숙
(주)포엠글로벌
주식회사 에스그린에어
주식회사 헥사
박재옥
김희대
오승희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선숙, (주)포엠글로벌, 주식회사 에스그린에어, 주식회사 헥사, 박재옥, 김희대, 오승희, 김민영 filed Critical 류선숙
Priority to KR102020005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3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규조토, 제오라이트, 활성백토, 화산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다공성 광물 200 내지 250 중량부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 1 내지 10 중량부와,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 2 내지 7 중량부와, 소듐실리케이트, 칼슘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아크릴 폴리머 수지, 유기 하이브리드 수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300 내지 400 중량부와, 물 200 내지 250 중량부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면에 도포되는 주 조성물과,
산화티타늄과 은과 동 및 로듐을 포함하는 항균분말 1 내지 5 중량부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Styrene-Acrylic계 폴리머, Styrene-Acrylic Based Co-Polymer 분말,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 고무 라텍스 수지, 해초풀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성 바인더 30 내지 80 중량부와, 상기 항균분말과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고 상기 수용성 바인더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상 7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 조성물이 도포된 건축물의 벽면에 일부 도포되는 보조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를 통해 유해성 물질의 분해 제거 및 유해 미생물의 효율적인 살균을 유도하여 실내의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뿐만 아니라,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래핀과 다공성 광물을 통해 내열성, 내구성, 난연성 및 조습성을 확보하여 더욱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주 조성물과 함께 도포 사용되는 보조 조성물의 친수성금속 촉매 작용을 통한 광수분 이온화를 통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수산기 이온, 초과산화 이온을 통해 주변에 잔존하는 유해세균을 살균하는 동시에, 보조 조성물의 기능성 액상에서 사용되는 피톤치드를 통해 항균성 및 삼림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실내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Antiviral composite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를 통해 유해성 물질의 분해 제거 및 유해 미생물의 효율적인 살균을 유도하여 실내의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뿐만 아니라,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래핀과 다공성 광물을 통해 내열성, 내구성, 난연성 및 조습성을 확보하여 더욱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물을 새로 지었거나 깨끗하게 단장된 집에서 눈이 따끔거리거나, 현기증을 느끼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더 나아가서는 갑자기 호흡이 가빠지고 천식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건축 내장재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 VOC, 탄산가스 등과 같은 유해가스로 인한 발암 가능성까지 대두되고 있는 문제점과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물질(암모니아, 아민류, 황화수소) 및 대기 오염물질(미세먼지, 다이옥신, 중금속) 등도 실내 거주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기준은 실내공기 성분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총량이 16mg/㎥이나, 유럽 및 일본 등 선진국의 기준은 0.4mg/㎥로 국내 아파트 실내 공기 VOC 규제화의 1/4 수준으로 엄격한 기준으로 관리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의 해소를 위한 실내공기정화 규제가 도입되어 아파트도 실내공기 오염도에 따른 등급이 정해져, 이를 법제화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실내에는 환경을 악화시켜 거주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각종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는데, 일 예로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병원성 세균과, 검은곰팡이, 아시퍼질러스 등의 곰팡이와, 인플루엔자, 노로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가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으로 상기와 같은 유해한 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를 통해 유해성 물질의 분해 제거 및 유해 미생물의 효율적인 살균을 유도하여 실내의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뿐만 아니라,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래핀과 다공성 광물을 통해 내열성, 내구성, 난연성 및 조습성을 확보하여 더욱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주 조성물과 함께 도포 사용되는 보조 조성물의 친수성금속 촉매 작용을 통한 광수분 이온화를 통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수산기 이온, 초과산화 이온을 통해 주변에 잔존하는 유해세균을 살균하는 동시에, 보조 조성물의 기능성 액상에서 사용되는 피톤치드를 통해 항균성 및 삼림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실내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은 규조토, 제오라이트, 활성백토, 화산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다공성 광물 200 내지 250 중량부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 1 내지 10 중량부와,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 2 내지 7 중량부와, 소듐실리케이트, 칼슘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아크릴 폴리머 수지, 유기 하이브리드 수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300 내지 400 중량부와, 물 200 내지 250 중량부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면에 도포되는 주 조성물과,
산화티타늄과 은과 동 및 로듐을 포함하는 항균분말 1 내지 5 중량부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Styrene-Acrylic계 폴리머, Styrene-Acrylic Based Co-Polymer 분말,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 고무 라텍스 수지, 해초풀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성 바인더 30 내지 80 중량부와, 상기 항균분말과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고 상기 수용성 바인더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상 7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 조성물이 도포된 건축물의 벽면에 일부 도포되는 보조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 조성물에 첨가되는 기능성 액상은 물과, 액상의 피톤치드와, 피톤치드가 내장된 피톤치드 캡슐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과, 액상의 피톤치드와, 피톤치드 캡슐은 1: 0.01 내지 0.1 : 0.001 내지 0.0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에 의하면,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를 통해 유해성 물질의 분해 제거 및 유해 미생물의 효율적인 살균을 유도하여 실내의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뿐만 아니라,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래핀과 다공성 광물을 통해 내열성, 내구성, 난연성 및 조습성을 확보하여 더욱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주 조성물과 함께 도포 사용되는 보조 조성물의 친수성금속 촉매 작용을 통한 광수분 이온화를 통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수산기 이온, 초과산화 이온을 통해 주변에 잔존하는 유해세균을 살균하는 동시에, 보조 조성물의 기능성 액상에서 사용되는 피톤치드를 통해 항균성 및 삼림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실내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은 주 조성물과, 보조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 조성물은 규조토, 제오라이트, 활성백토, 화산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다공성 광물 200 내지 250 중량부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RGO; reduced graphene oxide) 1 내지 10 중량부와,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 2 내지 7 중량부와, 소듐실리케이트, 칼슘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아크릴 폴리머 수지, 유기 하이브리드 수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300 내지 400 중량부와, 물 200 내지 250 중량부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면에 도포되어 사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주 조성물의 다공성 광물은 주 조성물의 베이스가 되는 조성으로 상기 주 조성물이 건축물의 벽면에 도포 경화되어 형성되는 메인 도막의 내구성, 내수성 및 내화성을 개선하는 목적과 함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다공성 광물의 특성으로 단열, 보온, 방음, 조습성, 결로방지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공성 광물로 규조토는 낮은 열전도율과 높은 용융점, 낮은 열팽창률, 고온에서의 낮은 수축률, 우수한 열충격 저항성 및 고온으로 온도 증가에 따른 강도가 향상되는 등의 특성으로 인해 매우 우수한 단열/보온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오라이트는 공극구조와 고유의 물성 및 기능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복합적 기능을 구비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데, 상세히 살펴보면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3차원 세공(Pore)구조를 통기성의 흡음구조 형성에도 적합하게 적용하여 우수한 방음 효과를 기대하는 수단과, 촉매제 및 이온교환 기능, 항 박테리아 기능을 적용하는 수단과, 3차원 세공(Pore)구조를 이용한 도막의 조습 작용으로 이용하는 수단과, 암모니아 등 생활냄새를 흡착 탈취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올라이트는 결정격자 구조 내에 규소(Si) 원자 및 알루미늄(Al) 원자를 함유하는 물질뿐 아니라, 규소 및 알루미늄에 대한 치환 원소를 함유하는 물질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조성물의 그래핀은 흑연을 뜻하는 그래파이트(graphite)와 화학에서 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분자를 뜻하는 접미사 -ene을 결합해 만든 용어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래핀은 탄소로 이루어진 동소체인 흑연에서 관찰되어진 물질이다. 전자현미경으로 연필심을 확대해 보면 켜켜이 쌓인 얇은 판이 관찰된다. 탄소원자들이 무수히 연결돼 6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수없이 쌓아올린 3차원 구조이다. 그래핀은 여기서 가장 얇게 한 겹을 떼어낸 것이라고 보면 된다. 즉 탄소 원자 한 층으로 되어 있는, 두께 0.35nm의 2차원 평면 형태의 얇은 막 구조이다. 이러한 그래핀 화합물은 3차원으로 쌓이면 흑연, 1차원적으로 말리면 탄소나노튜브, 공 모양이 되면 0차원 구조인 풀러렌(fullerene)이라 한다. 그래핀은 지난 2004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의 연구팀에서 상온에서 처음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상기 그래핀은 열 안정성 및 부착성이 뛰어나고, 내식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면에 도포되는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주 조성물의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ilver-Silica Composite; SSC)는 2~3nm의 은나노 입자를 실리카 입자와 화학적 공유결합을 이루어 항균 및 유해성 VOCs 제거 기능성을 매우 강화시킨 복합체이다.
상기 은나노-실리카 복합체는 일상 온도의 빛이 전혀 없는 조건에서도 촉매 기능을 발휘하여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갖는데, 자외선, 가시광선 등의 빗과 적외선 등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경우 촉매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이러한 현상은 은나노 입자의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 현상에 의한 실리카의 활성화에 기인하며, 이를 '플라즈몬 유발 광촉매 작용(Visible-Light Driven Plasmonic hotocatalysis)'이라고 한다.
통상 은(Ag)은 항균, 살균, 방취, 전자파 차단 기능이 우수하고 650가지 이상의 세균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노사이즈로 분산된 은은 자외선 차단기능과 단열기능이 있으며 높은 전기 전도성으로 정전기 방지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은을 나노사이즈로 제어한다면 상기의 기능 중 항균력은 더욱 극대화되고 염소계열의 살균제보다 수십배 강력하고 인체에는 전혀 무해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전하며 특히 은나노는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극소량만 첨가하여도 은 입자가 나노사이즈로 분산되어 그 효과는 매우 뛰어나 은나노 기술의 효용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나노사이즈로 분산된 은을 나노실버라고 하는데 나노실버의 항균 메카니즘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세균의 -SH, -COOH, -OH등과 강하게 결합해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함으로써 살균하여 인체에는 무해하며 세균을 사멸시키는데 소용되는 시간도 아주 짧을 뿐 아니라 999%의 살균력을 보이고 돌연변이 같은 내성을 지닌 세균이 생길 수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조성물의 접착제는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부착성 및 기계적 강도를 구현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의 바인딩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착제는 수용성으로 사용시에는 물을 첨가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주 조성물이 도포되는 실내에는 유해 물질이나 세균 및 악취가 매우 효과적으로 집진 제거될 수 있어 실내 거주자에게 매우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조성물에 첨가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충진제는 탄화칼슘, 탈크, 마이카, 실리카, 옥, 맥반석 분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주 조성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여 상기 주 조성물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일 예로 실리카(Silica)는 메인 도막의 난연성을 증가시키는 소광제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맥반석은 인체의 건강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조성물은 산화티타늄과 은과 동 및 로듐을 포함하는 항균분말 1 내지 5 중량부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Styrene-Acrylic계 폴리머, Styrene-Acrylic Based Co-Polymer 분말,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 고무 라텍스 수지, 해초풀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성 바인더 30 내지 80 중량부와, 상기 항균분말과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고 상기 수용성 바인더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상 7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기 보조 조성물은 상기 주 조성물이 도포된 건축물의 벽면에 일부 도포되는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조성물에 함유되는 항균분말의 살균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등에서 조사되는 소량의 자외선이 상기 보조 조성물의 보조 도막으로 조사되면, 보조 도막 주변의 산소분자를 산소원자로 분해하여 보조 도막 주변에 다량의 산소분자와 산소원자가 생성되게 하는데, 이때 보조 도막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기 항균분말에서 광촉매인 상기 산화티타늄이 활성화되어 주변에 전자와 정공을 대량 생성하여 다량의 과산화수소(H2O2), 수산기(OH_) 이온, 초과산화(O2 _) 이온 생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은과 동은 광촉매인 상기 산화티타늄의 역활이 극대화되도록 촉매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이온들(과산화수소, 수신기 이온, 초과산화 이온)은 주변의 존재하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병원체)을 공격 살균하게 주변환경을 쾌적하고 인체에 이로운 환경으로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조성물에 함유되는 기능성 액상은 물과, 액상의 피톤치드와, 피톤치드가 내장된 피톤치드 캡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물과, 액상의 피톤치드와, 피톤치드 캡슐은 1: 0.01 내지 0.1 : 0.001 내지 0.0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조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기능성 액상에서 피톤치드나 피톤치드 캡슐의 사용 중량을 감소시키면 피톤치드의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상기 피톤치드나 피톤치드 캡슐의 사용 중량을 증대시키면 피톤치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물의 사용 중량이 줄어들어 상기 수용성 바인더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고가의 피톤치드를 대량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 비율로 효율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톤치드는 비용 및 구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소나무 또는 편백나무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피톤치드 캡슐이 포함된 상기 보조 조성물이 건축물의 벽면에 도포되어 보조 도막이 형성되면, 상기 보조 도막에 형성되는 상기 피톤치드 캡슐이 외부의 충격이나 노화를 통해 순차적으로 터지면서 내부에 수용된 피톤치드를 주변으로 방출함으로 매우 장기간 피톤치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조성물 및 보조 조성물에 첨가되는 천연 안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주 조성물과 보조 조성물의 도포를 통해 형성되는 도막의 색상이 자유롭게 구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천연 안료로는 산화티타늄, 활성탄, 황토, 적토, 납석, 게르마늄 및 질석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이 사용되는 환경이나 여건 등을 고려하여 소포제, 수축저감제, 분산제, 증점제 등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아래의 실시예와 같이 조성 제작한다.
[실시예]
Figure 112020046991555-pat00001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작된 주 조성물과 보조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해가스 탈취, 흡착능, 항균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해가스 탈취 실험
시험편은 10㎝×10㎝의 유리판 위에 주 조성물을 도포하여 메인 도막을 형성한 후, 그 메인 도막의 일부 표면에 보조 조성물을 도포하여 보조 도막을 형성하였다.
시험방법은 5ℓ의 가스백 3개를 준비하고, 그 준비된 가스백에 각각 시험편을 투입한 후에 첫변째 가스백에는 암모니아 3ℓ, 두번째 가스백에는 포름알데히드 3ℓ, 세번째 가스백에는 황화수소 가스를 각각 투입한 상태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탈취 성능을 실험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표 1]
Figure 112020046991555-pat00002
즉, 첫번째 가스백을 살펴보면 암모니아에 대하여, 30분 후 98%, 60분 후 100%의 강력한 탈취 성능이 나타났으며, 두번째 및 세번째 가스백을 살펴보면 포름알데히드 및 황화수소의 경우에 각각 50ppm 수준의 과량의 가스를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포름알데히드는 30분 후 837%, 황화수소는 30분 후 51% 수준의 탁월한 탈취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흡착능 시험
BET-Surface Analyser로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광촉매 도료를 도포후의 흡착, 탈착력을 분석한 결과를 도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등온 흡탈착 곡선에서 흡착 Volume이 매우 크고, 흡착능은 10Å이하의 미세기공이 Max 000032cc/g/Å의 능력을 보였으며, 흡착은 Volume 도 Max 004cc/g으로 Pore Diameter가 100Å까지 흡착 Volume이 매우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탈착 Volume도 매우 크며, 40Å이하의 미세기공이 Max 000028cc/g/Å의 능력을 나타내며 150~500Å의 pore Diameter에서 탈착 능력이 커진 것으로 나타난 것은, 다공성 광물에 포함된 기공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탈착 총 Volume은 Max 0034cc/g으로 pore Diameter 200Å까지 탈착 Volume이 매우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3) 항균성 실험(단위: 개/ml)
상기 시험편을 통해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을 실험한 바, 아래의 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표 2]
Figure 112020046991555-pat00003
즉,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12시간 이후부터 99.9% 이상의 살균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는 바, 이로부터 실내의 공기 중 부유균의 흡착, 살균 작용에 의한 농도 감소 효과가 탁월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은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를 통해 유해성 물질의 분해 제거 및 유해 미생물의 효율적인 살균을 유도하여 실내의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뿐만 아니라, 주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래핀과 다공성 광물을 통해 내열성, 내구성, 난연성 및 조습성을 확보하여 더욱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주 조성물과 함께 도포 사용되는 보조 조성물의 친수성금속 촉매 작용을 통한 광수분 이온화를 통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수산기 이온, 초과산화 이온을 통해 주변에 잔존하는 유해세균을 살균하는 동시에, 보조 조성물의 기능성 액상에서 사용되는 피톤치드를 통해 항균성 및 삼림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실내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Claims (4)

  1. 규조토, 제오라이트, 활성백토, 화산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다공성 광물 200 내지 250 중량부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 1 내지 10 중량부와, 은나노-실리카 복합체(SSC) 2 내지 7 중량부와, 소듐실리케이트, 칼슘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아크릴 폴리머 수지, 유기 하이브리드 수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300 내지 400 중량부와, 물 200 내지 250 중량부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면에 도포되는 주 조성물과,
    산화티타늄과 은과 동 및 로듐을 포함하는 항균분말 1 내지 5 중량부와, EVA계 공중합 폴리머, VC/E/VL계 삼중결합폴리머, Styrene-Acrylic계 폴리머, Styrene-Acrylic Based Co-Polymer 분말,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 고무 라텍스 수지, 해초풀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성 바인더 30 내지 80 중량부와, 상기 항균분말과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고 상기 수용성 바인더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상 7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 조성물이 도포된 건축물의 벽면에 일부 도포되는 보조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 조성물에 첨가되는 기능성 액상은 물과, 액상의 피톤치드와, 피톤치드가 내장된 피톤치드 캡슐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과, 액상의 피톤치드와, 피톤치드 캡슐은 1: 0.01 내지 0.1 : 0.001 내지 0.0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55506A 2020-05-08 2020-05-08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KR10237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06A KR102375329B1 (ko) 2020-05-08 2020-05-08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06A KR102375329B1 (ko) 2020-05-08 2020-05-08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64A KR20210136764A (ko) 2021-11-17
KR102375329B1 true KR102375329B1 (ko) 2022-03-16

Family

ID=7870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06A KR102375329B1 (ko) 2020-05-08 2020-05-08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1505A (zh) * 2023-06-28 2023-09-15 河南心兴化学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耐候、抗菌卷材涂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202B1 (ko) 2011-03-07 2011-08-03 주식회사무영아멕스건축사사무소 항균탈취용 건강도료
KR101292531B1 (ko) * 2012-11-27 2013-08-09 (주)오가닉트리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의 기능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699A (ja) * 1992-06-09 1994-03-01 New Oji Paper Co Ltd フィトンチッドを含有した壁紙
KR100645097B1 (ko) * 2004-11-08 2006-11-15 이현태 피톤치드를 이용한 주택 유해 물질 차단 방법
JP5614709B2 (ja) * 2009-06-26 2014-10-29 Toto株式会社 光触媒塗装体
KR20190041570A (ko) * 2017-10-13 2019-04-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202B1 (ko) 2011-03-07 2011-08-03 주식회사무영아멕스건축사사무소 항균탈취용 건강도료
KR101292531B1 (ko) * 2012-11-27 2013-08-09 (주)오가닉트리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의 기능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64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8301B2 (ja) 天然鉱物膜
CN104310935B (zh) 一种具有呼吸调湿与净化空气功能的天花材料
CN1729022A (zh) 用于除臭的多层碳纳米球
CN105688660B (zh) 以二氧化钛光触媒为基材的空气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75329B1 (ko) 항바이러스 복합 무기질 도료 조성물
CN107325730A (zh) 一种多功能低碳养生涂料
JP2014161730A (ja) 有害物質の吸着、分解、遮断及び脱臭用造成物及びこれの製造方法
CN107737578A (zh) 一种负离子抗菌吸附材料组合物的制备方法
JP2008013734A (ja) 空気活性用の炭素系塗料
KR100985435B1 (ko) 조습과 유해물질 저감기능이 있는 무기질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082012B1 (ko) 항균 및 공기정화용 친환경패널을 구비한 가구
JP5510911B2 (ja) 建造物用複合内装塗材
KR100831846B1 (ko)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건축마감재용 모르타르 조성물
JP4058210B2 (ja) 光触媒部材
JP6584115B2 (ja) 化学物質を吸着・吸収する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25643Y (zh) 空调门
JP2009068324A5 (ko)
JP3375927B2 (ja) 珪質頁岩を利用した調湿消臭材料
KR101675630B1 (ko) 항균성 광촉매, 광촉매 도포 항균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2078756A (zh) 托玛琳复合空气净化过滤器
KR101138230B1 (ko) 기능성 한지시트가 일체화된 상판을 구비한 가구 및 그 제조방법
JP7345995B2 (ja) 酸化チタン組成物、分散液、酸化チタン組成物を表面層に有する部材
JP2006312656A (ja) 建築用塗材組成物、建築用塗材、および建築用塗材組成物の使用方法
CN107754448A (zh) 一种兼具除臭及拦截pm1.0效果的空气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4206099A (ja) 扇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