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620B1 -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620B1
KR102374620B1 KR1020170078043A KR20170078043A KR102374620B1 KR 102374620 B1 KR102374620 B1 KR 102374620B1 KR 1020170078043 A KR1020170078043 A KR 1020170078043A KR 20170078043 A KR20170078043 A KR 20170078043A KR 102374620 B1 KR102374620 B1 KR 10237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control circuit
vo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017A (ko
Inventor
김도길
박동규
심인석
임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6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거나 상기 귀 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노출된 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버튼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지 않는 제1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는 제2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및 상기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Device and system for voice recognitio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음성 인식을 활성화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전자 장치에 적용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예: 버튼식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을 통한 입력)뿐만 아니라, 음성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 발화를 입력으로 획득하여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헤드 셋 장치 등의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헤드 셋 장치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헤드 셋 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발화를 인식하고, 사용자 발화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헤드 셋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음성 인식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헤드 셋 장치의 음성 인식 활성화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헤드 셋 장치는 음성 인식 활성화를 위해 일정 시간 이상의 입력을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로 음성 인식 커맨드를 전송하고, 음성 인식 커맨드를 전송한 후 음성 채널을 연결 하므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음성 채널을 연결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헤드 셋 장치가 음성 입력 수신을 개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편리한 조작으로 헤드 셋 장치가 사용자 발화가 끝나는 시점을 사용자 단말로 알릴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거나 상기 귀 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노출된 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버튼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지 않는 제1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는 제2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및 상기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는,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이어폰; 상기 본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이어폰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물리식 또는 터치 감응식(touch-sensitive) 버튼;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어폰,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버튼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upon receiving),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1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음성 인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제2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장치 및 상기 헤드셋 장치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음성 제어 시스템은 상기 헤드셋 장치는, 사용자 입력 수신이 수신되면 제1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헤드셋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2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헤드셋 장치로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이 전송된 후, 상기 헤드셋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호간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헤드셋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미리 실행시켜 음성 인식 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음성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음성 채널이 연결되기 전에 획득된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따른 헤드 셋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헤드 셋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입력에 따른 헤드 셋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헤드 셋 장치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나타낸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나타낸다.
도 1a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는 하우징(110a), 스피커(120), 마이크로폰(130), 입력 모듈(140), 무선 통신 회로(150), 메모리(160) 및 제어 회로(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어 셋 장치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a)은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거나 귀 안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120)는 하우징(110a)의 제1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제1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130)은 하우징(110a)의 제2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제2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40)은 하우징(110a)의 제3 부분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제어 회로는 하우징(11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하우징(110a)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하우징(110a)은 사용자의 양쪽 귀 각각에 부착되거나 양쪽 귀 각각의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하우징(110a)은 서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하우징(110a)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마이크로폰(130)은 케이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헤드 셋 장치(100)가 2개의 하우징(110a)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하우징(110a) 중 1개의 하우징(110a)만 마이크로폰(130), 입력 모듈(140), 무선 통신 회로(150), 메모리(160) 및 제어 회로(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는 1개의 하우징(110a)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b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는 본체(main body)(110b), 스피커(120), 마이크로폰(130), 입력 모듈(140), 무선 통신 회로(150), 메모리(160) 및 제어 회로(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어 셋 장치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b)은 사용자의 목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120)는 이어폰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스피커(120)는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130)은 본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 예에 따라 마이크로폰(130)은 스피커(120) 또는 스피커(120)가 연결된 케이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40)은 본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모듈(140)은 스피커(120)가 연결된 케이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제어 회로는 본체(110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a) 또는 본체(110b)는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되도록 헤드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20)는 제어 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170)의 제어에 의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30)은 제어 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리를 획득 할 수 있다.
입력 모듈(140)은 제어 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40)은 물리식 버튼 또는 터치 감응식(touch-sensitive)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150)는 제어 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150)는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 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헤드 셋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연관된 명령, 정보,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60)는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된 음성 입력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60)는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 신호의 전송을 트리거(trigger)하기 위한 미리 정의된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오디오 연결이 수립이 완료됨을 알리기 위한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 등의 형태로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모리(160)는, 실행 시에, 제어 회로(170)가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예를 들어, 펌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임베드(embed)될 수 있다.
제어 회로(170)는 스피커(120), 마이크로폰(130), 입력 모듈(140), 무선 통신 회로(150) 및 메모리(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70)는 헤드 셋 장치(100)에서 제어 회로(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하우징(210), 스피커(220), 마이크로폰(230), 무선 통신 회로(240), 메모리(250), 디스플레이(260) 및 제어 회로(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헤드 셋 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 또는 내장되는 몸체일 수 있다.
스피커(220)는 제어 회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270)의 제어에 의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220)는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30)은 제어 회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리를 획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230)은 하우징의 제2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240)는 제어 회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헤드 셋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240)는 블루투스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제어 회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연관된 명령, 정보,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50)는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획득된 음성 입력 또는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헤드 셋 장치(100)와의 오디오 연결이 수립이 완료됨을 알리는 음성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모리(250)는, 실행 시에, 제어 회로(270)가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예를 들어, 펌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임베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50)는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60)는 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회로(270)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스피커(220), 마이크로폰(230), 무선 통신 회로(240), 메모리(250) 및 디스플레이(2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7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어 회로(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하는 처리 회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도 2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2의 설명에서, 헤드 셋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에 의해 제어되고,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201 전, 헤드 셋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동작 201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입력 모듈(14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40)이 물리식 버튼인 경우, 제어 회로(170)는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리식 버튼이 눌린(pressed) 상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상태이고, 상기 물리식 버튼이 릴리즈된(released) 상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40)은 터치 감응식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감응식 버튼에 객체가 터치된 상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상태이고, 상기 터치 타입에 객체가 터치되지 않은 상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폰(1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203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즉시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신호는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지 않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신호는 제1 AT 커맨드(attention comman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AT 커맨드는 커스텀(custom) AT 커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T 커맨드는 'AT+Com_Name=App_Name, 1'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스텀 AT 커맨드는 헤드 셋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조사에서 생성한 커맨드 일 수 있고, 커스텀 AT 커맨드는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는 일반 AT 커맨드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스텀 AT 커맨드는 제조사가 생성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T+Com_Name=App_Name, 1' 커맨드에서 Com_Name 및 App_Name은 제조사가 생성한 필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om_name은 제조사의 이름이고, App_name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신호가 포함하는 커맨드는 사용자 단말(200)이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70)는 커맨드 채널인 제1 채널을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맨드 채널은 예약된 타임 슬롯을 사용하지 않고 패킷을 교환하는 링크인 ACL(a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동작 205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제1 커맨드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맨드가 'AT+Com_name=App_Name, 1' 커맨드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하고, 음성 인식을 준비할 수 있다.
동작 207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2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40)이 물리식 버튼인 경우, 버튼이 눌린 직후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1 신호를 전송하고, 버튼이 눌린 상태로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신호는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신호는 제2 AT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AT 커맨드는 'AT+BVRA=1'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T+BVRA=1' 커맨드는 음성 인식 활성화를 위한 커맨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신호가 포함하는 커맨드는 사용자 단말(200)이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음성 인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인식을 활성화하는 것은 헤드 셋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신호는 헤드 셋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70)는 커맨드 채널인 제1 채널을 통해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09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2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회로(240)를 통해 헤드 셋 장치(100)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이 음성 인식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11에서, 응답이 전송된 후,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 및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간의 오디오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 및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을 통해 오디오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채널은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은 주기적으로 예약된 타임슬롯을 통해 패킷을 교환하는 링크인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채널은 음성 채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 입력을 제2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음성 입력을 획득하기 위해 마이크로폰(1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기 전 또는 제2 신호를 전송하기 전 또는 제1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마이크로폰(1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따른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1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마이크로폰(130)을 활성화하고, 음성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지속될 수 있고, 지속되는 사용자 입력은 종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의 동작 301 내지 동작 311은 도 3의 동작 201 내지 동작 211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201 내지 동작 211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301 내지 동작 3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301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동작 303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제1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09에서, 제2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헤드 셋 장치(100)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11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 및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 간의 오디오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 및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1 구간에서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전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폰(130)이 활성화되는 경우, 제1 구간은 헤드 셋 장치(100)의 마이크로폰(130)이 활성화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오디오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1 신호를 전송한 후, 오디오 연결이 수립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상기 시간 동안 헤드 셋 장치는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가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획득하고 메모리(250)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되기 전의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1 구간에서 수신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성 입력을 제2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부터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2 구간에서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제2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은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구간에 해당하므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3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신호는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지 않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신호는 제3 AT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AT 커맨드는 AT 커스텀 커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AT 커맨드는 'AT+Com_name=App_Name, 2'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70)는 커맨드 채널인 제1 채널을 통해 제3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신호는 제2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입력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제3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음성 입력의 수신이 종료된 것으로 결정하고, 동작 315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가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 신호일 수 있다.
동작 315에서, 제3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신호는 음성 입력이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음성 입력 수신을 중단하고,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이 음성 입력 수신을 중단하고 음성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을 개시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3은 생략되고 동작 311 후 동작 315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2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입력 중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의 묵음 구간을 감지하면,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제3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사용자 단말(200) 및 헤드 셋 장치(100)간의 오디오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이 오디오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일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2 신호가 수신되거나 묵음 구간이 감지되어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오디오 연결을 해제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연결이 해제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200)은 헤드 셋 장치(100)간의 오디오 연결을 다시 수립하지 않고 새로운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가 제1 구간의 음성 입력 및 제2 구간의 음성 입력 모두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무선 통신 회로(24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수신된 제1 구간의 음성 입력 및 제2 구간의 음성 입력을 합치고, 합쳐진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구간의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의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획득하고 제2 구간의 음성 입력을 무선 통신 회로(2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수신된 음성 입력 및 무선 통신 회로(24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입력 모두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구간에서 수신되고 저장된 음성 입력이 있는 경우, 저장된 음성 입력과 제2 구간에서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합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합쳐진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구간의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의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획득하여 메모리(250)에 저장하고,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제1 구간의 음성 입력 및 제2 구간의 음성 입력 모두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음성 입력과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 구간의 음성 입력을 상호 보완(예: 노이즈 제거 또는 잘린 부분 보완 등)하고, 보완된 제1 구간의 음성 입력과 수신된 제2 구간의 음성 입력을 합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합쳐진 음성 입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수신된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구간의 음성 입력 및 제2 구간의 음성 입력을 조합하고, 조합된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응답은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가 수행할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은 사용자 단말(200)이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스테이트들(states)의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음성 입력이 “오늘 찍은 사진 엄마에게 메시지 보내줘” 인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응답은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가 갤러리 앱을 실행하여 오늘 찍은 사진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진을 메시지 앱을 이용하여 엄마에게 보내는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스테이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헤드 셋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헤드 셋 장치(100)가 도 4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4의 설명에서, 헤드 셋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1 전, 헤드 셋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동작 401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입력 모듈(14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은 지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1은 전술된 동작 201 또는 동작 301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1 또는 동작 301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40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마이크로폰(130)을 활성화하고,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폰(1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음성 입력은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동작 405 내지 동작 423를 수행하는 중에도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 또는 마이크로폰(130)이 활성화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1 구간에서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5은 전술된 동작 203 또는 동작 303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3 또는 동작 303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405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미리 지정된 시간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시간이 0.5초이고 물리식 버튼이 0.5초 넘게 눌리는 경우,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미리 지정된 시간이상 지속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미리 지정된 시간이상 지속되는 경우, 동작 409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2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9는 전술된 동작 207 또는 동작 307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7 또는 동작 307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409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411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1은 전술된 동작 209 또는 동작 309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9 또는 동작 309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4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413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수신된 응답이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신호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예: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을 헤드 셋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신호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의 제어 회로는 에러 결과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을 헤드 셋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하는 경우, 수신된 응답은 OK 결과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거나 수신된 응답이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동작 415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성 입력을 파기할 수 있다.
수신된 응답이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동작 417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오디오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미리 지정된 소리 신호를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하여 오디오 연결이 수립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7는 전술된 동작 211 또는 동작 311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11 또는 동작 311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417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419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수신된 음성 입력을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성 입력을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부터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2 구간에서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21에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입력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21에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면, 동작 423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3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신호는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지 않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신호는 제3 AT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AT 커맨드는 커스텀 AT 커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AT 커맨드는 'AT+Com_name=App_Name, 2'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신호가 포함하는 커맨드는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입력이 종료됨을 인식하고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70)는 커맨드 채널인 제1 채널을 통해 제3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된 동작 401 내지 동작 423 중 일부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3는 동작 401 전에 수행되거나, 동작 407와 동작 409 사이에서 수행되거나, 동작 413과 동작 417 사이에서 수행되거나, 동작 417 후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입력에 따른 헤드 셋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헤드 셋 장치(100)가 도 5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5의 설명에서, 헤드 셋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01 전, 헤드 셋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동작 501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미리 정의된 음성 입력을 포함하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동작 501 전 마이크로폰(1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정의된 음성 입력은 헤드 셋 장치(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메모리(160)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음성 입력(예: “빅스비(bixby)”)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미리 정의된 음성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03은 전술된 동작 203, 동작 303 또는 동작 405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3, 동작 303 또는 동작 405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50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미리 정의된 음성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1 구간에서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2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05는 전술된 동작 207 또는 동작 307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7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409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07은 전술된 동작 209, 동작 309 또는 동작 411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9, 동작 309 또는 동작 411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507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509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수신된 응답이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09는 동작 413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413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509에도 적용될 수 있다.
수신된 응답이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동작 511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성 입력을 파기할 수 있다.
수신된 응답이 OK 결과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동작 513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오디오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13은 동작 417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417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513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입력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수신된 음성 입력을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미리 정의된 음성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1 구간에서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성 입력을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부터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2 구간에서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셋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외부 서버(3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이하에서는 도 1의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도 6a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6a의 설명에서, 헤드 셋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에 의해 제어되고,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동작이 설명되기에 앞서, 도 6b를 참조하여 외부 서버(300)가 설명된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외부 서버(300)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310),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NLU) 모듈(320), 패스 플래너(path planner) 모듈(330), 대화 매니저(dialogue manager)(DM) 모듈(340),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or)(NLG) 모듈(350) 또는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peech)(TTS) 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의 자연어 이해 모듈(320) 또는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할 수 있다. 패스 룰은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action)(또는, 오퍼레이션(operation))에 대한 정보 또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스 룰은 앱의 동작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스 룰은 사용자 단말(200)의 상태들(또는,스테이트들(states))의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모듈(310)은 발화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음향(acoustic) 모델 및 언어(language)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델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어 모델은 단위 음소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발화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모델 및 언어 모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atabase)(ASR DB)(310a)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문법적 분석(syntactic analyze) 또는 의미적 분석(semantic analyze)을 수행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문법적 분석은 사용자 입력을 문법적 단위(예: 단어, 구, 형태소 등)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가 어떤 문법적인 요소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의미적 분석은 의미(semantic) 매칭, 룰(rule) 매칭, 포뮬러(formula) 매칭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이 어느 도메인(domain), 의도(intent) 또는 상기 의도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도메인(domain), 의도(intend) 및 상기 의도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로 나누어진 매칭 규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도메인(예: 알람)은 복수의 의도(예: 알람 설정, 알람 해제 등)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의도는 복수의 파라미터(예: 시간, 반복 횟수, 알람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룰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필수 요소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규칙은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database)(NLU DB)(320a)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형태소, 구 등의 언어적 특징(예: 문법적 요소)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단어의 의미를 도메인 및 의도에 매칭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각각의 도메인 및 의도에 사용자 입력에서 추출된 단어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 지를 계산하여 사용자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상기 의도를 파악하는데 기초가 된 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언어적 특징이 저장된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32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개인화 언어 모델(personal language model)(PLM)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개인화된 정보(예: 연락처 리스트, 음악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개인화 언어 모델은, 예를 들어,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뿐만 아니라 자동 음성 인식 모듈(310)도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된 개인화 언어 모델을 참고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앱에서 수행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상기 결정된 동작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에 의해 생성된 패스 룰은 실행될 앱,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패스 플래너 모듈(33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상기 수신된 패스 룰 셋에 매핑하여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될 앱 및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을 사용자 입력의 의도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배열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30)를 통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path rule database)(PR DB)(330a)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데이터베이스(331)의 패스 룰 셋에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생성된 복수의 패스 룰 중 적어도 하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상기 복수의 패스 룰 최적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발화에 기초하여 일부 동작만이 특정된 경우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패스 룰 중 하나의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요청으로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나의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예를 들어, 사용자 발화에 기초하여 일부 동작만이 특정된 경우 자연어 이해 모듈(3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복수의 패스 룰 중 적어도 하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자연어 이해 모듈(320)로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하는 패스 룰 셋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셋의 복수의 패스 룰은 패스 플래너 모듈(330)에 연결된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31)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예: OS 정보, 앱 정보)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을 자연어 이해 모듈(3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된 테이블은, 예를 들어, 도메인 또는 도메인의 버전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패스 룰 셋에서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하여 자연어 이해 모듈(3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사용자 단말(200) 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에 매칭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하여 자연어 이해 모듈(3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사용자 의도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사용자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 및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을 결정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30)은 자연어 이해 모듈(320)에서 생성된 패스 룰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된 패스 룰 셋에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된 테이블에는 복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 셋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 셋은 각 패스 룰을 수행하는 장치의 종류, 버전, 타입, 또는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40)은 자연어 이해 모듈(320)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매니저 모듈(340)은 파라미터의 정보가 충분하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화 매니저 모듈(340)는 자연어 이해 모듈(320)에서 파악된 파라미터가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40)는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매니저 모듈(340)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40)은 컨텐츠 제공(content provide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은 자연어 이해 모듈(320)에서 파악된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수행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40)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생성 모듈(NLG)(350)은 지정된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자연어 발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추가 입력에 대한 정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의 완료를 안내하는 정보 또는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안내하는 정보(예: 사용자 입력에 대한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되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거나,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360)로 송신되어 음성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360)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360)은 자연어 생성 모듈(350)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음성 형태의 정보를 스피커(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0), 패스 플래너 모듈(330) 및 대화 매니저 모듈(340)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0), 패스 플래너 모듈(330) 및 대화 매니저 모듈(340)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응답(예: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응답은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패스 룰을 수신하고, 패스 룰에 따라 앱을 선택하고, 선택된 앱에서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의 동작이 실행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200)은 동작의 실행에 따른 실행 상태 화면을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실행 상태 화면은, 예를 들어, 동작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일 수 있다. 실행 상태 화면은, 다른 예를 들어, 동작의 실행이 정지된 상태(예: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에서 복수의 동작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실행된 복수의 동작 각각의 실행에 따른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실행된 복수의 동작의 실행에 따른 복수의 결과 화면 중 일부만을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여, 헤드 셋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외부 서버(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01 전, 헤드 셋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동작 601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이 종료되면, 음성 입력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 획득된 음성 입력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음성 입력은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가 가수 A의 노래 B를 재생하는 것이고 음성 입력은 '가수 A의 노래를 재생해줘'인 경우, 음성 입력은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인 '가수 A' 및 '노래 B' 중 '가수 A'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03은 전술된 동작 203, 동작 303 또는 동작 405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3, 동작 303 또는 동작 405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405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백그라운드 모드로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오디오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제1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제1 신호를 전송한 후, 스피커(12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여 음성 인식 프로그램이 실행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스피커(22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여 음성 인식 프로그램이 실행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05는 전술된 동작 205 또는 동작 305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5 또는 동작 3053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605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07은 전술된 동작 207, 동작 307 또는 동작 409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7, 동작 307 또는 동작 409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607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2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헤드 셋 장치(100)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09는 전술된 동작 209, 동작 309 또는 동작 411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09, 동작 309 또는 동작 411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609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611에서, 헤드 셋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오디오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는 것은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11은 전술된 동작 211, 동작 311 또는 동작 417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211, 동작 311 또는 동작 417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6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스피커(120, 22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여 오디오 연결이 수립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미리 지정된 소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미리 지정된 화면을 표시하여 오디오 연결이 수립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동작 613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성 입력을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13은 전술된 동작 419에 대응될 수 있고, 동작 419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61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종료되면, 제3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3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 입력의 수신이 종료됨을 인식하고 오디오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이 제1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음성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수신된 음성 입력 및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 모두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획득된 음성 입력이 메모리(250)에 저장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6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음성 입력과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합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합쳐진 음성 입력을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음성 입력과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 구간의 음성 입력을 상호 보완(예: 노이즈 제거 또는 잘린 부분 보완 등)하고, 보완된 제1 구간의 음성 입력과 수신된 제2 구간의 음성 입력을 합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합쳐진 음성 입력을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17에서, 외부 서버(300)는 음성 입력에 기반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300)는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패스 룰은 사용자 단말(200)이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0)의 스테이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19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패스 룰에 따른 태스크 중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스테이트들의 시퀀스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이 '가수 A의 노래를 재생해줘'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수 A의 노래를 검색하고, 가수 A의 노래를 재생하는 태스크 중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수 A의 노래를 검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입력이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 전부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스테이트들의 시퀀스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21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가 스테이트들의 시퀀스의 일부를 수행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수행된 스테이트들의 시퀀스 일부 수행으로부터 야기된 사용자 단말(200)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스테이트들의 시퀀스 일부 수행 후,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상태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3에서, 외부 서버(300)는 부족한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300)가 전송한 메시지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는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 중 나머지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이 '가수 A의 노래를 재생해줘'인 경우, 부족한 파라미터인 '노래의 제목 '을 수신하기 위해 메시지는 '가수 A의 어떤 노래를 재생할까요' 일 수 있다.
동작 62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메시지를 헤드 셋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가 수신한 메시지가 텍스트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텍스트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시지를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헤드 셋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가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헤드 셋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7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수신된 메시지를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셋 장치(100)는 '가수 A의 어떤 노래를 재생할까요?' 라는 메시지를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동작 629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마이크로폰(130)을 통해 음성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입력은 태스크 전부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613에서 전송된 음성 입력이 노래 제목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동작 629에서 획득되는 음성 입력은 노래 제목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은 노래 제목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노래 B를 재생해줘' 일 수 있다.
동작 631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셋 장치(100)의 제어 회로(170)는 획득된 음성 입력을 음성 채널(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33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동작 631에서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35에서, 외부 서버(300)는 음성 입력에 기반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300)는 동작 633에서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노래 B'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0)의 스테이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37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패스 룰에 따른 태스크 중 나머지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스테이트들의 시퀀스의 나머지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회로(270)는 가수 A의 노래를 검색하는 동작까지 수행된 상태에서 노래 B를 검색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헤드 셋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이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도 7a 내지 도 7c는 전술된 동작 601 내지 동작 627에서 음성 입력이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 중 일부만을 포함할 때, 사용자 단말(200)이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서, 도 7a는 사용자 단말(200)이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중에 표시하는 화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 601 및 동작 603 후, 사용자 단말(200)은 동작 605 내지 동작 613을 수행하는 중 도 7a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도 7a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며 헤드 셋 장치(100)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음성 입력을 획득하는 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 및 마이크로폰(130)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Listening”(711)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음성 입력을 획득하는 중임을 표시하고, 마이크로폰(130)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오브젝트(712)를 실선으로 표시하여 마이크로폰(130)이 활성화됨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OO의 노래를 재생해줘”라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서, 도 7b는 사용자 단말(200)이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패스 룰을 수신하기까지 표시하는 화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동작 615 및 동작 617를 수행하는 중 도 7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OO의 노래를 재생해줘”라는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도 7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획득된 음성 입력에 해당하는 텍스트, 음성 입력을 처리 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 및 마이크로폰(130)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OO의 노래를 재생해줘”(721)이라는 음성 입력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OK, Hold on”(722)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음성 입력을 처리 중임을 표시하고, 마이크로폰(130)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오브젝트(712)를 점선으로 표시하여 마이크로폰(130)이 비활성화됨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7c는 사용자 단말(200)이 패스 룰에 따른 태스크 중 일부를 수행한 후 표시하는 화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동작 619 내지 동작 623 후, 도 7c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c의 화면은 동작의 실행에 따른 실행 상태 화면이고,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아서 동작의 실행이 정지된 상태의 화면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누락된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및 마이크로폰(130)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OO의 노래를 재생해줘”라는 음성 입력은 노래의 제목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누락된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OO의 어떤 노래를 들려드릴까요”(731)라는 메시지 및 마이크로폰(130)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오브젝트(732)를 실선으로 표시하여 마이크로폰(130)이 활성화됨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도 7c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며 동작 625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 62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OO의 어떤 노래를 들려드릴까요”라는 음성 데이터를 헤드 셋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동작 627에서 헤드 셋 장치(100)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헤드 셋 장치(100)는 동작 629에서 “노래 B를 재생해줘”라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동작 631에서 수시된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동작 629와 동작 631을 동시에 수행되어 헤드 셋 장치(100)는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동작 633에서 수신된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고, 동작 635에서 외부 서버(300)로부터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패스 룰에 따라 노래 B를 재생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800) 내의 전자 장치(801)의 블록도 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랩탑 PC(, 데스크톱 PC,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예: 전자 책 리더기 또는 MP3 플레이어), 휴대용 의료 기기(예: 심박, 혈당, 혈압, 또는 체온 측정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 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장치, 오디오 액세서리 장치(예: 스피커, 헤드폰, 또는 헤드 셋),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예: 차량/선박/비행기 용 블랙박스(black box)),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예: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OS(point of sales) 기기,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또는 가스 계측 기기),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예: 전구,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 조절기, 또는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예를 들면, 개인의 생체 정보(예: 심박 또는 혈당)의 측정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의 경우처럼, 복수의 장치들의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환경(800)에서 전자 장치(801)(예: 사용자 단말(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898)을 통하여 전자 장치(802)(예: 헤드 셋 장치(100))와 통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899)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예: 외부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을 통하여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버스(810), 프로세서(820)(예: 제어 회로(270)), 메모리(830), 입력 장치(850)(예: 마이크 또는 마우스), 표시 장치(860), 오디오 모듈(870), 센서 모듈(876), 인터페이스(877), 햅틱 모듈(879), 카메라 모듈(880), 전력 관리 모듈(888), 및 배터리(889), 통신 모듈(890), 및 가입자 식별 모듈(89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8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860) 또는 카메라 모듈(88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810)는, 구성요소들(820-89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카메라의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20)는 SoC(system on chip) 또는 SiP(system in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820)에 연결된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 모듈(89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832)에 로드 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83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30)(예: 메모리(250))는, 휘발성 메모리(8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83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예: DRAM, SRAM, 또는 SDRAM)로 구성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834)는, 예를 들면,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TPROM(one time P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 휘발성 메모리(834)는, 전자 장치(80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그 안에 배치된 내장 메모리(836), 또는 필요 시에만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의 외장 메모리(838)로 구성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838)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838)는 유선(예: 케이블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무선(예: Bluetooth)을 통하여 전자 장치(8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예를 들어, 프로그램(84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예를 들면, 커널(841), 라이브러리(843),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8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interchangeably "어플리케이션")(847)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보드로 연결되거나, 표시 장치(860)를 통해 가상 키보드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860)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감지할 수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interchangeably "for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회로 또는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870)은, 입력 장치(850)(예: 마이크로폰(23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801)에 포함된 출력 장치(미 도시)(예: 스피커 또는 리시버), 또는 전자 장치(801)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헤드 셋 장치(100), 전자 장치(802)(예: 무선 스피커 또는 무선 헤드폰) 또는 전자 장치(806)(예: 유선 스피커 또는 유선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고도, 습도, 또는 밝기)를 계측 또는 감지하여, 그 계측 또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예: 홍채 센서, 지문 센서, 또는 HRM(heartbeat rate monitoring) 센서, 후각(electronic nose) 센서,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 또는 프로세서(820)와는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876)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820)를 깨우지 않고 별도의 프로세서의 작동에 의하여 센서 모듈(876)의 동작 또는 상태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D-sub(D-subminiatur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전자 장치(801)와 전자 장치(806)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878)는, 예를 들면,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햅틱 모듈(879)은 사용자에게 촉각 또는 운동 감각과 관련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렌즈(예: 광각 렌즈 및 망원 렌즈, 또는 전면 렌즈 및 후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예: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전자 장치(801)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예를 들면, 1차 전지,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재충전되어, 상기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802), 제2 외부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 간의 통신 채널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90)은 무선 통신 모듈(892)(예: 무선 통신 회로(240)) 또는 유선 통신 모듈(894)을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898)(예: 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899)(예: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NSS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Li-Fi(light fidelity),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radio frequency), 또는 BAN(body area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892)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896)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892)은 프로세서(820)(예: AP)와 별개인 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CP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820)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820)를 대신하여, 또는 프로세서(820)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820)과 함께,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들(810-896)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892)은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894)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898)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802)간의 무선으로 직접 연결을 통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 할 수 있는 Wi-Fi 다이렉트 또는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899)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804)간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예: LAN(local area network)나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또는 텔레폰(telephon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명령 또는 상기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808)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8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802, 804) 각각은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804), 또는 서버(808)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802, 804), 또는 서버(808))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804), 또는 서버(808))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 8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8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거나 상기 귀 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을 통해 노출되거나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노출된 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버튼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지 않는 제1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는 제2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1 구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2 구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실시간으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제1 AT 커맨드(attention command)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AT 커맨드는 커스텀(custom) AT 커맨드인,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제2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AT 커맨드는 'AT+BVRA=1' 커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커맨드 채널이고, 상기 제2 채널은 오디오 스트리밍 채널인,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기 전, 상기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기 전, 상기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기 전, 상기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오디오 연결을 수립한 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이 활성화된 시점부터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연결을 수립한 후, 상기 저장된 음성 입력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헤드 셋 장치에 있어서,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이어폰;
    상기 본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이어폰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물리식 또는 터치 감응식(touch-sensitive) 버튼;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어폰,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버튼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upon receiving),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1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음성 인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제2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1 구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2 구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실시간으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헤드 셋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오디오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는 제3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헤드 셋 장치.
  17. 헤드셋 장치 및 상기 헤드셋 장치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음성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장치는, 사용자 입력 수신이 수신되면 제1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헤드셋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2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헤드셋 장치로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이 전송된 후, 상기 헤드셋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호간 음성 채널을 통한 오디오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헤드셋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1 구간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제2 구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입력을 실시간으로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시스템.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오디오 연결이 수립된 시점까지 음성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음성 입력 및 상기 헤드 셋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한 태스크를 상기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시스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은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 중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음성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테이트들의 시퀀스(sequence)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이트들의 시퀀스의 일부를 수행하고, 상기 스테이트들의 시퀀스의 일부 수행으로부터 야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 중 나머지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상기 헤드셋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헤드셋 장치는, 상기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시스템.
KR1020170078043A 2017-06-20 2017-06-20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37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43A KR102374620B1 (ko) 2017-06-20 2017-06-20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43A KR102374620B1 (ko) 2017-06-20 2017-06-20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17A KR20180138017A (ko) 2018-12-28
KR102374620B1 true KR102374620B1 (ko) 2022-03-16

Family

ID=6500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43A KR102374620B1 (ko) 2017-06-20 2017-06-20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687A (ko)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오투오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2639A1 (en) 2019-12-05 2021-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operation based on user speech in multi device environ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14667B1 (ko) * 2020-01-30 2021-02-10 주식회사 이엠텍 무선 제어를 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
KR20220017332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30112361A (ko) * 2022-01-20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80709A1 (ko) * 2022-10-14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신호에 기반하여 실행가능한 객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143A (ja) * 2009-04-24 2009-09-17 Panasonic Corp 携帯端末の音声認識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289B1 (ko) * 2014-04-01 2018-12-27 애플 인크. 링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663113B1 (ko) * 2015-01-13 2016-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6969B1 (ko) * 2015-09-24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143A (ja) * 2009-04-24 2009-09-17 Panasonic Corp 携帯端末の音声認識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17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947B1 (ko)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670302B2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606789B1 (ko) 복수의 음성 인식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74620B1 (ko)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371313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89625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39819B1 (ko)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자연어 표현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16782B1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90019509A1 (en) Vo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508677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69083B1 (ko)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91298B1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170764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KR102388539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90009101A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
US202003268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s
US11915700B2 (en) Device for processing user voice input
KR20190109916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EP3635533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194545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after partial landing
US2018028588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using utterance
KR102345883B1 (ko) 그래픽 표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KR20190113130A (ko) 사용자 음성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
KR20200017293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26123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