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687A -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1687A KR20200141687A KR1020190068525A KR20190068525A KR20200141687A KR 20200141687 A KR20200141687 A KR 20200141687A KR 1020190068525 A KR1020190068525 A KR 1020190068525A KR 20190068525 A KR20190068525 A KR 20190068525A KR 20200141687 A KR20200141687 A KR 202001416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recognition
- wake
- signal
- mobile terminal
- accesso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0238558 Eucarid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618 wa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2015/088—Word spot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시그널(wake-up signal)을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voice recognition accessory);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인식하고, 인식된 웨이크-업 시그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쉽게 소지할 수 있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모바일 폰에서 떨어진 거리에서 호출어를 입력받도록 구성됨으로써, 호출어의 인식률을 높이고 모바일 폰의 AI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음성 명령의 인식률도 높일 수 있으므로, AI 비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소 떨어진 거리에서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호출어를 직접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애플(Apple)의 아이폰이나 삼성의 갤럭시(Galaxy)폰은 시리나 빅스비와 같은 호출어를 이용하여 AI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가 시리나 빅스비라는 호출어를 발음하면 애플이나 갤럭시의 AI 비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모바일 폰에서 주변의 음성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호출어를 인식해야 하므로, 인식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모바일 폰에서 다소 떨어진 거리에 있는 경우, 다소 떨어진 거리에서 호출어를 발음하기 때문에 호출어의 인식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소 떨어진 거리에서는 구체적인 음성 명령에 대한 인식률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의 움직임과 활동 영역을 좀 더 넓힌 상태에서도 원활한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시그널(wake-up signal)을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voice recognition accessory);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인식하고, 인식된 웨이크-업 시그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해당 서비스 별로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상기 모바일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성 인식 액세서리(voice recognition accessory)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가 상기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시그널(wake-up signa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가 상기 생성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모바일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실시간 수신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인식하고, 인식된 웨이크-업 시그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서비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해당 서비스 별로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가 상기 생성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모바일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쉽게 소지할 수 있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모바일 폰에서 떨어진 거리에서 호출어를 입력받도록 구성됨으로써, 호출어의 인식률을 높이고 모바일 폰의 AI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음성 명령의 인식률도 높일 수 있으므로, AI 비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소 떨어진 거리에서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호출어를 직접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음성 인식 액세서리(voice recognition accessory)(110), 모바일 단말(120),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120)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를 이용하여 음성 입력을 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10)을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호출어 외에 기타 음성 명령도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음성 인식률을 높이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편리하게 소정 공간 내에서 움직이면서 AI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는 모바일 단말(120)과 블루투스 연결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소지하거나 신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걸이 타입이나 밴드(band) 타입과 같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는 사용자의 호출어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며, 그 호출어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시그널(wake-up signal)을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12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는 모바일 단말(120)과 블루투스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시그널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11), AEC(acoustic echo cancellation) 처리 모듈(112), 음성 인식 모듈(113), 호출어 검출 모듈(114), 호출어 데이터베이스(115), 블루투스 통신 모듈(116), 호출어 입력/저장 모듈(11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폰(111)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에는 호출어나 음성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AEC 처리 모듈(112)은 마이크로폰(111)에서 입력된 음성에서 잡음과 에코를 제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13)은 AEC 처리 모듈(112)에서 출력된 음성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모듈(113)은 음성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13)에서 사용자의 음성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그 다음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어 검출 모듈(114)은 음성 인식 모듈(113)에서 인식된 음성에서 키워드 스폿팅(keyword spott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호출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어 검출 모듈(114)은 음성 인식 모듈(113)에서 사용자의 음성으로 인식된 경우에 호출어 검출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출어 검출 모듈(114)은 호출어 데이터베이스(115)에 미리 저장된 호출어를 참조하여 호출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어 데이터베이스(115)에는 AI 비서 어플리케이션이나 기타 다른 어플리케이션(10)을 웨이크-업(wake-up)하기 위한 호출어가 미리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16)은 모바일 단말(12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16)은 호출어 검출 모듈(114)에서 검출된 호출어를 실시간으로 모바일 단말(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 모듈(113)은 호출어 검출 모듈(114)에서 호출어가 검출된 이후에 음성 명령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명령 대기 모드에서 인식되는 음성은 음성 명령으로 인지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16)은 음성 인식 모듈(113)에서 인식된 음성 명령을 모바일 단말(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블루투스 통신 모듈(116)은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새로 입력되어 설정된 호출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어 입력/저장 모듈(117)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116)에서 수신되는 호출어를 호출어 데이터베이스(115)에 입력하여 갱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여 인식하고, 그 웨이크-업 시그널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1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나 모바일 단말(120)은 AI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10)마다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 호출어 인식 모듈(122),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123),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24), 음성 명령 전달 모듈(125), 이동 통신 모듈(126), 마이크로폰(127), 음성 인식 모듈(128), 호출어 입력/저장 제어 모듈(129)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은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은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로부터 호출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어 인식 모듈(122)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에서 수신된 호출어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어 인식 모듈(122)은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123)에 미리 저장된 호출어-어플리케이션의 대응쌍을 참조하여 호출어가 어느 어플리케이션(10)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어인지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123)에는 호출어-어플리케이션의 대응쌍이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사의 아이폰의 AI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시리'라는 호출어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삼성의 갤럭시폰의 AI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빅스비'라는 호출어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24)은 호출어 인식 모듈(122)에서 인식된 호출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10)을 웨이크-업(wake-up)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명령 전달 모듈(125)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24)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10)이 실행된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1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해당 어플리케이션(10)에 전달하여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을 통해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은 그 어플리케이션(10)의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 어플리케이션(10)은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이동 통신 모듈(126)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이 특정 검색 명령인 경우 그 검색 명령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7)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마이크로폰(127)은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10)을 웨이크-업하기 위한 호출어를 직접 지정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28)은 마이크로폰(127)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은 호출어가 될 수 있다.
호출어 입력/저장 제어 모듈(129)은 음성 인식 모듈(128)에서 인식된 호출어를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123)에 입력하여 갱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0)마다 호출어를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시리'나 '빅스비'와 같은 기존의 호출어도 사용자가 변경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만 알고 있어야 하는 특정 호출어를 새로 저장하거나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잠금 설정 모듈(미도시)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10)을 잠금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설정이 된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가 호출한 경우에만 웨이크-업되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잠금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은 패턴 입력이나 비밀번호 입력, 지문 입력에 의해 잠금 해제되지 않고, 사용자의 음성 지문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호출어에 의해서만 해당 어플리케이션(10)이 잠금 해제되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의 음성 지문은 물론 사용자의 호출어라는 이중의 보안 설정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호출어 입력/저장 제어 모듈(129)은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대응쌍에서 호출어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을 통해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에서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호출어를 수신하여 호출어 데이터베이스(115)에 갱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모바일 단말(12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1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10)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성 인식 액세서리(voice recognition accessory)(110)가 사용자의 호출어를 인식한다(S101).
다음으로,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가 인식된 호출어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시그널(wake-up signal)을 생성한다(S102).
다음으로,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가 생성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모바일 단말(120)로 실시간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120)이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한다(S103).
이때, 음성 인식 액세서리(110)와 모바일 단말(120)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120)이 실시간 수신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인식하고, 인식된 웨이크-업 시그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10)을 동작시킨다(S104).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모바일 단말(120)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한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120)로 제공한다(S105).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0) 및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해당 서비스 별로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음성 인식 액세서리
111: 마이크로폰
112: AEC 처리 모듈
113: 음성 인식 모듈
114: 호출어 검출 모듈
115: 호출어 데이터베이스
116: 블루투스 통신 모듈
117: 호출어 입력/저장 모듈
120: 모바일 단말
121: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2: 호출어 인식 모듈
123: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124: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125: 음성 명령 전달 모듈
126: 이동 통신 모듈
127: 마이크로폰
128: 음성 인식 모듈
129: 호출어 입력/저장 제어 모듈
130: 서비스 제공 서버
111: 마이크로폰
112: AEC 처리 모듈
113: 음성 인식 모듈
114: 호출어 검출 모듈
115: 호출어 데이터베이스
116: 블루투스 통신 모듈
117: 호출어 입력/저장 모듈
120: 모바일 단말
121: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2: 호출어 인식 모듈
123: 호출어-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124: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125: 음성 명령 전달 모듈
126: 이동 통신 모듈
127: 마이크로폰
128: 음성 인식 모듈
129: 호출어 입력/저장 제어 모듈
130: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6)
- 사용자의 호출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호출어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시그널(wake-up signal)을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voice recognition accessory);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인식하고, 인식된 웨이크-업 시그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해당 서비스 별로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상기 모바일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음성 인식 액세서리(voice recognition accessory)가 사용자의 호출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가 상기 인식된 호출어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시그널(wake-up signa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가 상기 생성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모바일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실시간 수신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인식하고, 인식된 웨이크-업 시그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서비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해당 서비스 별로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가 상기 생성된 웨이크-업 시그널을 모바일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음성 인식 액세서리로부터 웨이크-업 시그널을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525A KR20200141687A (ko) | 2019-06-11 | 2019-06-11 |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US17/418,841 US20220059079A1 (en) | 2019-06-11 | 2019-10-14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accessory |
PCT/KR2019/013433 WO2020251116A1 (ko) | 2019-06-11 | 2019-10-14 |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525A KR20200141687A (ko) | 2019-06-11 | 2019-06-11 |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1687A true KR20200141687A (ko) | 2020-12-21 |
Family
ID=7378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8525A KR20200141687A (ko) | 2019-06-11 | 2019-06-11 |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059079A1 (ko) |
KR (1) | KR20200141687A (ko) |
WO (1) | WO202025111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4869A (ko) * | 2021-01-19 | 2022-07-26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음성인식 기반 차량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2339A (ko) | 2013-02-12 | 2014-08-22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선호 기능의 연결 정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호출 방법 및 단말기 |
KR101560448B1 (ko) | 2013-07-24 | 2015-10-16 | 한국과학기술원 | 스크린 록 환경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을 위한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27008A1 (en) * | 2014-08-21 | 2016-02-25 | Paumax Oy |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with external accessory |
KR20160068090A (ko) * | 2014-12-04 | 2016-06-15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웨이크업 신호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상기 통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
US10685656B2 (en) * | 2016-08-31 | 2020-06-16 | Bose Corporation | Accessing multiple virtual personal assistants (VPA) from a single device |
KR102068182B1 (ko) * | 2017-04-21 | 2020-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성 인식 장치, 및 음성 인식 시스템 |
KR102375800B1 (ko) * | 2017-04-28 | 2022-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KR102374620B1 (ko) * | 2017-06-20 | 2022-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
WO2019102066A1 (en) * | 2017-11-23 | 2019-05-31 | Mikko Vaananen | Mobile secretary cloud application |
US20210329369A1 (en) * | 2018-11-14 | 2021-10-21 | Orfeo Soundworks Corporation | Earset having utterer voice restoration function |
CN110225184A (zh) * | 2019-05-09 | 2019-09-10 | 张桂芳 | 一种智能家居用多功能音耳机 |
-
2019
- 2019-06-11 KR KR1020190068525A patent/KR20200141687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9-10-14 WO PCT/KR2019/013433 patent/WO202025111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0-14 US US17/418,841 patent/US20220059079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2339A (ko) | 2013-02-12 | 2014-08-22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선호 기능의 연결 정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호출 방법 및 단말기 |
KR101560448B1 (ko) | 2013-07-24 | 2015-10-16 | 한국과학기술원 | 스크린 록 환경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을 위한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4869A (ko) * | 2021-01-19 | 2022-07-26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음성인식 기반 차량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059079A1 (en) | 2022-02-24 |
WO2020251116A1 (ko) | 2020-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11624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인식 제어 방법 | |
US9824685B2 (en) | Handsfree device with continuous keyword recognition | |
CN107919138B (zh) | 一种语音中的情绪处理方法及移动终端 | |
KR20190042918A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2006007465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free voice-activated devices | |
RU2735363C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вука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 |
KR20170033722A (ko) | 사용자의 발화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음성 대화 관리 장치 | |
CN103095911A (zh) | 一种通过语音唤醒寻找手机的方法及系统 | |
KR102421824B1 (ko) |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950015199A (ko) |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 |
KR102592769B1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326272B1 (ko) | 외부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00052638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 |
KR102060775B1 (ko) |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KR102374054B1 (ko) | 음성 인식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 |
CN110175016A (zh) | 启动语音助理的方法及具有语音助理的电子装置 | |
JP2019175453A (ja) | ユーザ音声入力の処理を含む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並びに電子装置 | |
US1066680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voice recognition and information searching based on talkgroup activities | |
CN118784769A (zh) | 响应用户语音执行包括呼叫的任务的电子装置及操作方法 | |
KR102692775B1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210042520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20200141687A (ko) | 음성 인식 액세서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US11056106B2 (en) | Voice interac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KR20170051994A (ko) | 음성인식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 방법 | |
CN108806675B (zh) | 语音输入输出装置、无线连接方法、语音对话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