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613B1 -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613B1
KR102374613B1 KR1020210166150A KR20210166150A KR102374613B1 KR 102374613 B1 KR102374613 B1 KR 102374613B1 KR 1020210166150 A KR1020210166150 A KR 1020210166150A KR 20210166150 A KR20210166150 A KR 20210166150A KR 102374613 B1 KR102374613 B1 KR 102374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discharge path
heat exchang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김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국 filed Critical 김병국
Priority to KR102021016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3/00Appliances or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F28G1/00 - F28G11/00; Combinations of appliances or processes covered by groups F28G1/00 - F28G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3/00Rotary appliances
    • F28G3/04Rotary appliances having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스팀분사 및 고압의 에어분사에 의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열판의 이물질과 스케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라인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판(1)이 이송되면서 세정액분사부(21) 및 스팀분사부(22)에 의해 상기 열판(1)에 세정액 및 고압의 증기를 각각 분사하여 상기 열판(1)을 세척하는 세척유닛(20)과, 상기 세척유닛(20)으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을 회수하는 회수유닛(25)과, 상기 세척유닛(20)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1)에 잔존한 이물질을 회전브러쉬부(31)에 의해 제거하는 청소유닛(30) 및, 상기 청소유닛(30)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1)이 에어분사부(41)에 의해 건조되는 건조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부(41)는 에어공급장치(5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공급관(60)으로 이동되어 에어공급관(60)에 연결된 에어유입부(100)로 유입되어 에어압력을 균등하게 조절한 에어를 에어유도부(200)로 이동시켜 에어노즐부(300)의 노즐라인(301)을 통해 에어를 열판(1)에 분사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APPARATUS FOR STEAM CLEANING OF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압의 스팀분사 및 고압의 에어분사에 의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열판의 이물질과 스케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사무 또는 주거환경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와 공장 등의 산업환경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열교환기이다.
이러한 열교환기에는 단면이 지그재그 또는 물결 모양의 열판이 다수가 내장돼 있으며, 이 열교환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열판에 이물질이 쌓이는데, 사무 또는 주거환경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열판에는 먼지 같은 이물질 또는 스케일 등이 대부분이라서 열판을 청소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산업환경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열판에는 가스와 산업용 오일이 기화되거나 분진 형태로 공기 중에 떠다니다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판에 먼지와 함께 들러붙어 열판이 오염된다. 이때, 오염된 열판에는 산업용 폐기물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어 있어서 여러 번의 세척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때 상기 세척과정에서 열판에 달라붙은 폐기물은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제거하며, 즉 화학약품 용액에 열판을 일정시긴 담가서 열판에 달라붙은 폐기물을 제거한다.
이렇게 폐기물이 제거된 후에는 열판에 화학약품의 잔여물이 있기 때문에 이를 세척하여 제거하며, 즉 열판에 잔존하는 화학약품을 제거할 때에는 수세미 또는 브러시로 사람이 수작업으로 닦기 때문에 열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열판의 외면에는 부식방지 또는 곰팡이 등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지제가 코팅돼 있는 데 화학약품 제거과정에서 방지제가 벗겨지거나 열판을 바닥에 방치한 상태로 세척하여 열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 열판의 화학약품은 모두 수작업으로 제거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열판의 화학약품을 제거하는 장치나 특허가 전무한 상태임에 따라 화학약품 제거과정에서 인체에 화학약품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수작업으로 화학약품을 제거하기 때문에 세척 후에도 열판에 화학약품의 잔여물이 남을 수 있고, 이를 그대로 사용하면 호흡기 등의 집단질병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6536호(포터블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6548호(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판에 잔존하는 세정액과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열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판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라인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판이 이송되면서 세정액분사부 및 스팀분사부에 의해 상기 열판에 세정액 및 고압의 증기를 각각 분사하여 상기 열판을 세척하는 세척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으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을 회수하는 회수유닛(25)과, 상기 세척유닛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에 잔존한 이물질을 회전브러쉬부에 의해 제거하는 청소유닛 및, 상기 청소유닛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이 에어분사부에 의해 건조되는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공급관으로 이동되어 에어공급관에 연결된 에어유입부로 유입되어 에어압력을 균등하게 조절한 에어를 에어유도부로 이동시켜 에어노즐부의 노즐라인을 통해 에어를 열판에 분사하는 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에어분사부는 에어유입부와 에어유도부 및 에어노즐부로 구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어유입부는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공급관을 통해 에어유입부로 유입되며,
상기 에어유입부는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외측의 원통형 커버관과 상기 커버관의 내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축설된 내측의 원통형 공압조절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압조절관은 상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절개되어 공압조절관 내부의 제1유로로 연통된 제1배출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1배출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커버관은 공압조절관의 제1배출로의 위치에 대응된 하부 중앙에서 가로길이로 절개되어 커버관의 제2유로로 연통된 제2배출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압조절관의 외주와 커버관의 내주 사이에 원주형의 흐름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에어유도부는 상부 중앙에 하부 중앙으로 관통된 가로길이의 유도로가 형성되면서 에어유도부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유도로는 커버관의 제2배출로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커버관의 하면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도록 에어유도부 상부에 밀착형상부를 형성하면서 커버관의 제2배출로에 연통되도록 밀착형상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유도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로는 하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에어노즐부는 수직단면형태에서 하향으로 갈수록 첨예형을 가지면서 에어유도부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유도로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 중앙에서 하부 중앙으로 관통된 가로길이의 노즐라인을 형성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공압조절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유로의 중앙을 기준으로 제1유로에 3개의 균등한 조절공간이 밀폐 구획되도록 3개의 제1, 2, 3격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로에 위치한 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양측의 제1, 2격판에 각각 제1배출로의 위치에 대응되면서 조절공간으로 연통되도록 절개된 가로길이의 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격판은 제1배출로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배출로가 위치한 상측 조절공간을 제외한 양측의 조절공간으로 에어가 각각 개별 공급되도록 에어공급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격판과 제3격판 사이의 조절공간 그리고 제2격판과 제3격판 사이의 조절공간으로 에어가 개별 공급되도록하나의 에어공급관을 통해 에어가 이동되어 오다가 에어공급관 일측에 연결된 분할관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며,
상기 분할관 내부에는 구분된 한 쌍의 유로가 형성되어 일단의 유로가 제1격판과 제3격판 사이의 조절공간 그리고 제2격판과 제3격판 사이의 조절공간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면서 타단은 에어공급관에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공압조절관의 제1배출로에 마주한 커버관의 내주 일면에 하향 돌출된 가로길이의 조절곡면부가 형성하되, 상기 조절곡면부 중앙은 수직단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태를 가지면서 커버관 내부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를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조절곡면부의 돌출면 중앙에 내측으로 수직 요입된 조절로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로의 폭이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거나 동일한 폭을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공압조절관의 제1배출로가 중앙에 위치한 공압조절관 상측 반구면의 위치에 대응된 커버관의 내측이 상향으로 더 연장된 오목형상부가 형성하면서 오목형상부와 공압조절관의 상측 반구면 사이에 확장공간이 형성하되, 상기 제1배출로에 대응된 오목형상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형태를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공압조절관의 상측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배출로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공압조절관의 상측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배출로에서 일측 제1배출로가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임에 반해 타측의 제1배출로는 일측의 제1배출로의 형태에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판 세척이 용이하도록 열판에 잔존하는 세정액분사 및 고압의 스팀분사로 세정하면서 잔존하는 세정액을 고압의 스팀분사로 완전하게 제거함과 아울러 세정된 열판에 잔존하는 세정액과 수분 등을 공기로 분사하여 제거와 함께 열판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서 에어분사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서 에어분사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서 에어분사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서 에어분사부의 에어유입부 내부 구조도(a)와 조절곡면부가 형성된 에어유입부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서 확장공간이 형성된 커버관을 가진 에어유입부의 단면도(a)와 공압조절관 내부에 유도봉이 설치된 에어유입부의 단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에서 제4격판이 형성된 에어유입부의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라인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판(1)이 이송되면서 세정액분사부(21) 및 스팀분사부(22)에 의해 상기 열판(1)에 세정액 및 고압의 증기를 각각 분사하여 상기 열판(1)을 세척하는 세척유닛(20)과, 상기 세척유닛(20)으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을 회수하는 회수유닛(25)과, 상기 세척유닛(20)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1)에 잔존한 이물질을 회전브러쉬부(31)에 의해 제거하는 청소유닛(30) 및, 상기 청소유닛(30)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1)이 에어분사부(41)에 의해 건조되는 건조유닛(40)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41)는 에어공급장치(5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공급관(60)으로 이동되어 에어공급관(60)에 연결된 에어유입부(100)로 유입되어 에어압력을 균등하게 조절한 에어를 에어유도부(200)로 이동시켜 에어노즐부(300)의 노즐라인(301)을 통해 에어를 열판(1)에 분사하는 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10, 이하, ‘세정장치’라 칭함.)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세정장치(10)를 구성하는 세척유닛(20)은 이송라인을 거쳐 이동된 열교환기의 열판(1)으로 세정액과 고압스팀을 분사하여 열판(1)에 묻은 이물질 등을 초벌로 제거 및 불림을 통해 열판에 고착된 이물질을 분리하게 되며, 이때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분사부(21)를 거친 후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부(22)를 거져 수행하며, 또한 상기 세정액분사부(21) 없이 고압의 스팀만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스팀분사부(22)만이 세척유닛(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의 열판(1)을 이송하는 이송라인(미도시)은 세척유닛(20), 청소유닛(30) 및 건조유닛(40)을 걸쳐 무한 궤도형태로 권회되어 열판(1)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벨트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청소유닛(30)은 세척유닛(20)의 스팀분사부(22)를 거친 열판(1)에 잔존한 이물질을 완전치 제거하고자 회전브러쉬부(31)를 거치게 되며, 상기 회전브러쉬부(31)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브러쉬(미도시)에 의해 열판(1)에 잔존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유닛(40)은 청소유닛(30)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1)에 잔존 이물질을 제거 및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해 슬릿형의 에어분사부(41)가 설치되어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분사부(41)는 에어유입부(100)와 에어유도부(200) 및 에어노즐부(300)로 구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어유입부(100)는 에어공급장치(5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공급관(60)을 통해 에어유입부(100)로 유입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00)는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외측의 원통형 커버관(110)과 상기 커버관(110)의 내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축설된 내측의 원통형 공압조절관(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압조절관(120)은 상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절개되어 공압조절관(120) 내부의 제1유로(121)로 연통된 제1배출로(122)가 형성되되, 상기 제1배출로(122)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커버관(110)은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의 위치에 대응된 하부 중앙에서 가로길이로 절개되어 커버관(110)의 제2유로(111)로 연통된 제2배출로(112)가 형성되며,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외주와 커버관(110)의 내주 사이에 원주형의 흐름공간(113)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버관(110) 내부의 제2유로(111) 중앙으로 공압조절관(120)이 삽입되며, 이때 커버관(110) 타측면을 밀폐하면서 커버관(110)의 타측면에 위치한 공압조절관(120)의 타측면도 함께 밀폐되도록 밀폐소켓(400)이 설치되며, 상기 커버관(110)의 일측면에는 공압조절관(120) 외주의 흐름공간(113)을 밀폐하면서 공압조절관(120) 외주면에 실링되도록 연결소켓(50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소켓(500)이 설치된 커버관(110)의 일측에서 공압조절관(120) 일측 일부가 외부로 돌출 연장되며, 연장된 공압조절관(120)의 일측면에 에어공급관(60)이 연결되어 제1유로(121)로 연통된 형태를 가지어 에어를 공압조절관(120)의 제1유로(121)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에어공급관(60)을 통해 이동된 에어는 공압조절관(120)을 통해 제1유로(121)로 이동되면서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되어 커버관(110)과 공압조절관(120) 사이의 흐름공간(113)으로 이동되며, 이때 제1배출로(122)를 기준으로 양측의 흐름공간(113)을 따라 에어가 균등하게 분산되어 이동되면서 커버관(110)의 제2배출로(112)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가 공압조절관(120)의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가로길이의 절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공압조절관(120) 제1유로(121)로 유입된 에어가 공압조절관(120) 제1유로(121)의 타측으로 갈수록 공압이 증가됨에 따라 이를 감압하여 제1배출로(122)로 일정한 공압을 가진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도부(200)는 상부 중앙에 하부 중앙으로 관통된 가로길이의 유도로(201)가 형성되면서 에어유도부(2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유도로(201)는 커버관(110)의 제2배출로(11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며, 그리고 상기 유도로(201)는 하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커버관(110)의 하면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도록 에어유도부(200) 상부에 밀착형상부(202)를 형성하면서 커버관(110)의 제2배출로(112)에 연통되도록 밀착형상부(202) 중앙에 가로길이로 유도로(20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로(112)로 배출된 에어는 유도로(201)를 통해 가압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노즐부(300)는 수직단면형태에서 하향으로 갈수록 첨예형을 가지면서 에어유도부(2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유도로(201)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 중앙에서 하부 중앙으로 관통된 가로길이의 노즐라인(301)을 형성한다.
상기 에어유도부(2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유도로(201)의 폭에 대응되거나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 노즐라인(301)을 형성하여 에어유도부(200)의 유도로(201)를 통과한 에어는 에어노즐부(300)의 노즐라인(301)을 통해 하향 분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분사부(41)는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에어노즐부(300)의 노즐라인(301)이 열판(1)의 폭에 비례한 길이 또는 더 큰 길이로 형성되어 열판(1)이 이송라인을 따라 이동시 열판(1) 전체면을 에어 분사하여 이물질 제거 및 건조가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유로(1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제1유로(121)에 3개의 균등한 조절공간(131)이 밀폐 구획되도록 3개의 제1, 2, 3격판(130a)(130b)(130c)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로(122)에 위치한 조절공간(131)을 형성하는 양측의 제1, 2격판(130a)(130b)에 각각 제1배출로(122)의 위치에 대응되면서 조절공간(131)으로 연통되도록 절개된 가로길이의 이동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제3격판(130c)은 제1배출로(122)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배출로(122)가 위치한 상측 조절공간(131)을 제외한 양측의 조절공간(131)으로 에어가 각각 개별 공급되도록 에어공급관(6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유로(121)에 가로길이로 형성된 제1, 2, 3격판(130a)(130b)(130c)은 각각 판재형태로서 각각의 일측단이 제1유로(121) 중앙에 상호 연결되면서 각각의 타측단은 공압조절관(120)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공압조절관(120) 내부에 3개의 균등한 공간면적을 가진 조절공간(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에 위치한 조절공간(131)을 형성하도록 양측에 제1격판(130a)과 제2격판(130b)이 위치하면서 제3격판(130c)은 제1배출로(122)에 마주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에 상기 제1, 2, 3격판(130a)(130b)(130c)으로 구획된 조절공간(131)은 개별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로(122)가 위치한 조절공간(131)에 형성된 제1, 2격판(130a)(130b) 중앙에 가로길이로 절개된 이동로(132)가 조절공간(131)과 연통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이동로(132)는 제1배출로(122)의 위치에 대응된 제1, 2격판(130a)(130b) 중앙에 이동로(132)가 가로길이로 형성되며, 즉 제1배출로(122)의 일단 및 타단이 이동로(132)의 일단 및 타단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며, 상기 이동로(132)는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2격판(130a)(130b)에 형성된 동일치수 및 형태를 가진 이동로가 상술한 점진적 폭 커짐형태의 이동로(132)를 가질 수 있지만, 동일 폭을 가진 이동로(132)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소켓(400)에 의해 커버관(110) 및 공압조절관(120) 타측면을 밀폐시키면서 연결소켓(500)에 의해 흐름공간(113)을 밀폐하게 되며, 이때 공압조절관(120)의 일측면도 밀폐된 구조를 가지면서 밀폐된 일측면 내측에 제1, 2, 3격판(130a)(130b)(130c)의 일단이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제1, 2, 3격판(130a)(130b)(130c)의 타단도 공압조절관(120)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밀폐소켓(400)의 내측에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일측면을 밀폐하도록 별도의 밀폐판(미도시)이 설치되거나 밀폐소켓(400)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연결소켓(5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격판(130a)과 제3격판(130b) 사이의 조절공간(131) 그리고 제2격판(130b)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공압조절관(120)의 일측면에 상기 조절공간(131)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에어공급관(60)이 연계되어 조절공간(131)과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공급관(60)으로 이동되는 에어는 하나의 에어공급관(60)을 통해 이동되어 오다가 에어공급관(60) 일측면에 연결된 분할관(61)을 통해 각각의 조절공간(131)으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분할관(61) 내부에는 구분된 한 쌍의 유로(61-1)가 형성되어 일단의 유로(61-1)가 제1격판(130a)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 그리고 제2격판(130b)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면서 타단은 에어공급관(60)에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격판(130a)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 그리고 제2격판(130b)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에 에어공급장치(50)에 연결된 각각의 에어공급관(61)이 개별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에어공급관(60)으로 통해 이동된 에어는 제3격판(130c)을 기준으로 양측 조절공간(131)에 개별 공급되어 이동로(132)를 통해 제1배출로(122)가 형성된 조절공간(131)으로 이동되면서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되어 흐름공간(113)을 통해 커버관의 제2배출로(112)로 배출되는 이동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에 마주한 커버관(110)의 내주 일면에 하향 돌출된 가로길이의 조절곡면부(140)가 형성하되, 상기 조절곡면부(140) 중앙은 수직단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태를 가지면서 커버관(110) 내부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조절곡면부(140)는 돌출면 중앙이 제1배출로(122)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가 균등한 면접분포를 가지도록 하면서 제1배출로(122)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를 가지며,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의 공압을 균등한 압력을 가지어 커버관(110)의 제2배출로(1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압이 1차적으로 조절됨과 동시에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조절곡면부(140)에 면접되며, 이때 제1배출로(122)로 배출되는 에어의 접촉면적을 다르게 하도록 형성된 조절곡면부(140)의 돌출면에 접촉하여 다시 2차적인 공압을 조절하여 흐름공간(113)을 따라 제2배출로(112)를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조절곡면부(140)의 단면적 변화 형상과는 달리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된 가로길이의 조절곡면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곡면부(140)의 돌출면 중앙에 내측으로 수직 요입된 조절로(141)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로(141)의 폭이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거나 동일한 폭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가 중앙에 위치한 공압조절관(120) 상측 반구면의 위치에 대응된 커버관(110)의 내측이 상향으로 더 연장된 오목형상부(114)가 형성하면서 오목형상부(114)와 공압조절관(120)의 상측 반구면 사이에 확장공간(115)이 형성하되, 상기 제1배출로(122)에 대응된 오목형상부(11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형태를 가지며, 상기 확장공간(115)이 형성되어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된 에어의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에어가 가진 공압을 균등한 공압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상측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배출로(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확장공간(115)에 유입되어 체류하면서 공압을 조절하면서 흐름공간(113)으로 통해 커버관(110)의 제2배출로(112)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상측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배출로(122)에서 일측 제1배출로(122)가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임에 반해 타측의 제1배출로(122)는 일측의 제1배출로(122)의 형태에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타측의 제1배출로(122)는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이며, 대칭된 각각의 제1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확장공간(115)을 통해 흐름공간(113)으로 이동되면서 제2배출로(112)에 유입시 양측 흐름공간(113)을 통해 이동된 서로 다른 공압을 가진 에어가 충돌하면서 제2배출로(112)로 진입하면서 균등한 공압을 가진 에어로 전환되어 제2배출로(112)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공압조절관(120)에 형성된 이격된 한 쌍의 제1배출로(122)는 상술한 모든 형태의 에어유입부(1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된 일예로 제1격판(130a)과 제2격판(130b) 사이의 조절공간(131)에 위치한 공압조절관(120)의 외주면에 조절공간(131)으로 연통된 제1배출로(122)가 형성하되,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외주면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균등한 제1배출로(122)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1, 2, 3격판(130a)(130b)(130c)이 설치되 않고,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길이로 제1유로(121)의 중앙에 유도봉(150)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봉(150)은 동일 직경을 가지거나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유도봉(150)의 직경이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상기 타측은 밀폐소켓(400)이 위치한 방향으로서 에어공급관(60)을 통해 제1유로(121)로 유입된 에어가 타측으로 진입되면서 압력이 가중됨에 따라 가중된 에어의 압력을 유도봉(150)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면서 유도봉(150)의 내주면과 공압조절관(12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면적이 점진적으로 커져 압력을 감소시키게 되며, 이때 공압조절관(120) 내부이 에어가 균일한 압력을 가지어 제1배출로(122)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양측 제1배출로(122) 사이의 공압조절관(120) 상측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수직으로 연장된 타단의 양측으로 대칭형태의 곡면부(161)가 형성되면서 공압조절관(120)의 상측 중앙에 대응된 오목형상부(114)의 중앙에 곡면부(161) 상측면이 밀착되어 확장공간(115)을 이등분으로 구획하는 제4격판(160)이 설치되며, 상기 곡면부(161)는 밀착된 위치의 오목형성부 면(面)에 대응된 형태를 가지어 긴밀히 밀착구조를 가짐과 더불어 에어의 충돌부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4격판(160)은 공압조절관(120)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길이로 배치되어 확장공간(115)을 이등분으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공압조절관(120)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배출로(122) 중 일측 제1배출로(122)를 통과한 에어는 일측 제1배출로(122)가 위치한 제4격판(160)에 의해 구획된 일측 확장공간(115)으로 유입되며, 타측 제1배출로(122)를 통과한 에어는 제4격판(160)에 의해 구획된 타측 확장공간(115)으로 유입된다.
이는, 상기 확장공간(115)을 제4격판(160)으로 구획함으로서 각각의 제1배출로(122)를 통과한 에어가 제4격판(160)에 의해 협소한 공간에 체류하는 동안 에어의 공기압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제2배출로(112)를 통해 공기압의 흐름으로 신속하게 이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4격판(160)은 제1, 2, 3격판(130a)(130b)(130c)이 설치된 공압조절관(120)을 구비한 에어유입부(1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세정장치 10 세척유닛 20 청소유닛 30
건조유닛 40 에어분사부 41 에어공급장치 50
에어공급관 60 분할관 61 에어유입부 100
커버관 110 제2배출로 112 흐름공간 113
오목형상부 114 확장공간 115 공압조절관 120
제1유로 121 제1배출로 122 제1격판 130a
제2격판 130b 제3격판 130c 조절공간 131
이동로 132 조절곡면부 140 조절로 141
유도봉 150 제4격판 160 에어유도부 200
에어노즐부 300

Claims (10)

  1. 이송라인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판(1)이 이송되면서 세정액분사부(21) 및 스팀분사부(22)에 의해 상기 열판(1)에 세정액 및 고압의 증기를 각각 분사하여 상기 열판(1)을 세척하는 세척유닛(20)과, 상기 세척유닛(20)으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을 회수하는 회수유닛(25)과, 상기 세척유닛(20)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1)에 잔존한 이물질을 회전브러쉬부(31)에 의해 제거하는 청소유닛(30) 및, 상기 청소유닛(30)을 거친 열교환기의 열판(1)이 에어분사부(41)에 의해 건조되는 건조유닛(40)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41)는 에어유입부(100)와 에어유도부(200) 및 에어노즐부(300)로 구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면서 에어공급장치(5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공급관(60)으로 이동되어 에어공급관(60)에 연결된 에어유입부(100)로 유입되어 에어압력을 균등하게 조절한 에어를 에어유도부(200)로 이동시켜 에어노즐부(300)의 노즐라인(301)을 통해 에어를 열판(1)에 분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어유입부(100)는 에어공급장치(5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공급관(60)을 통해 에어유입부(100)로 유입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00)는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외측의 원통형 커버관(110)과 상기 커버관(110)의 내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축설된 내측의 원통형 공압조절관(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압조절관(120)은 상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절개되어 공압조절관(120) 내부의 제1유로(121)로 연통된 제1배출로(122)가 형성되되,
    상기 제1배출로(122)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커버관(110)은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의 위치에 대응된 하부 중앙에서 가로길이로 절개되어 커버관(110)의 제2유로(111)로 연통된 제2배출로(112)가 형성되며,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외주와 커버관(110)의 내주 사이에 원주형의 흐름공간(11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도부(200)는 상부 중앙에 하부 중앙으로 관통된 가로길이의 유도로(201)가 형성되면서 에어유도부(2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유도로(201)는 커버관(110)의 제2배출로(11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커버관(110)의 하면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도록 에어유도부(200) 상부에 밀착형상부(202)를 형성하면서 커버관(110)의 제2배출로(112)에 연통되도록 밀착형상부(202) 중앙에 가로길이로 유도로(201)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로(201)는 하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부(300)는 수직단면형태에서 하향으로 갈수록 첨예형을 가지면서 에어유도부(2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유도로(201)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 중앙에서 하부 중앙으로 관통된 가로길이의 노즐라인(301)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유로(1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제1유로(121)에 3개의 균등한 조절공간(131)이 밀폐 구획되도록 3개의 제1, 2, 3격판(130a)(130b)(130c)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로(122)에 위치한 조절공간(131)을 형성하는 양측의 제1, 2격판(130a)(130b)에 각각 제1배출로(122)의 위치에 대응되면서 조절공간(131)으로 연통되도록 절개된 가로길이의 이동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제3격판(130c)은 제1배출로(122)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배출로(122)가 위치한 상측 조절공간(131)을 제외한 양측의 조절공간(131)으로 에어가 각각 개별 공급되도록 에어공급관(6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판(130a)과 제3격판(130b) 사이의 조절공간(131) 그리고 제2격판(130b)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으로 에어가 개별 공급되도록하나의 에어공급관(60)을 통해 에어가 이동되어 오다가 에어공급관(60) 일측에 연결된 분할관(61)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며,
    상기 분할관(61) 내부에는 구분된 한 쌍의 유로(61-1)가 형성되어 일단의 유로(61-1)가 제1격판(130a)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 그리고 제2격판(130b)과 제3격판(130c) 사이의 조절공간(131)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면서 타단은 에어공급관(60)에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에 마주한 커버관(110)의 내주 일면에 하향 돌출된 가로길이의 조절곡면부(140)가 형성하되, 상기 조절곡면부(140) 중앙은 수직단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태를 가지면서 커버관(110) 내부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조절곡면부(140)의 돌출면 중앙에 내측으로 수직 요입된 조절로(141)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로(141)의 폭이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거나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제1배출로(122)가 중앙에 위치한 공압조절관(120) 상측 반구면의 위치에 대응된 커버관(110)의 내측이 상향으로 더 연장된 오목형상부(114)가 형성하면서 오목형상부(114)와 공압조절관(120)의 상측 반구면 사이에 확장공간(115)이 형성하되, 상기 제1배출로(122)에 대응된 오목형상부(11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10. 제1항, 제5항, 제7항, 제9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상측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배출로(122)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공압조절관(120)의 상측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배출로(122)에서 일측 제1배출로(122)가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임에 반해 타측의 제1배출로(122)는 일측의 제1배출로(122)의 형태에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KR1020210166150A 2021-11-26 2021-11-26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KR10237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50A KR102374613B1 (ko) 2021-11-26 2021-11-26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50A KR102374613B1 (ko) 2021-11-26 2021-11-26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613B1 true KR102374613B1 (ko) 2022-03-16

Family

ID=8093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150A KR102374613B1 (ko) 2021-11-26 2021-11-26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6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404A (ja) * 1992-02-21 1993-09-07 Koresawa Tekkosho:Kk 高圧ノズル
JPH09217162A (ja) * 1996-02-13 1997-08-19 Sumitomo Metal Ind Ltd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KR20130007343A (ko) * 2011-07-01 201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선형 노즐과 이의 박막 증착 장치
KR101746536B1 (ko) 2016-06-07 2017-06-13 주식회사 오원이엔지 포터블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KR101746548B1 (ko) 2015-12-07 2017-06-13 주식회사 오원이엔지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404A (ja) * 1992-02-21 1993-09-07 Koresawa Tekkosho:Kk 高圧ノズル
JPH09217162A (ja) * 1996-02-13 1997-08-19 Sumitomo Metal Ind Ltd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KR20130007343A (ko) * 2011-07-01 201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선형 노즐과 이의 박막 증착 장치
KR101746548B1 (ko) 2015-12-07 2017-06-13 주식회사 오원이엔지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KR101746536B1 (ko) 2016-06-07 2017-06-13 주식회사 오원이엔지 포터블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4514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anesthesia and respiratory equipment
KR102374613B1 (ko) 열교환기 스팀 세정장치
CN109843448B (zh) 喷嘴腔室的结构
US20150360972A1 (en) An evaporator for treating water
EP3112007B1 (en) Wash hood for abatement equipment and method of washing
CN206701796U (zh) 一种医疗器械清洗烘干装置
US20080196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Process Trays
KR20100051564A (ko) 열 이용 시스템용 열 교환 유닛
DE2521828A1 (de) Verfahren und anlage zum abreinigen von filtereinsaetzen fuer gasfilter
US20220040790A1 (en) Foreign substance co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ing same
JP4588910B2 (ja) 排気循環路を備えた水溶性塗料の塗装ブース
JPS62119544A (ja) 前被覆した印刷版のクリヤリング装置
JPH01260291A (ja) 直交流式冷却塔
KR102277136B1 (ko) 오일 신속조절 롤러 및 제어장치
KR20200084152A (ko) 반도체 부품용 세정장치
EP1050681A1 (en) Trap device and trap system
KR101069187B1 (ko) 폐열 회수기를 이용한 물 및 공기 예열장치에 대한 폐 가스 이동통로의 이물질 제거장치
JPH04501892A (ja) 材料ウェブ特に織物ウェブ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09228694B (zh) 单通道打印机烘干出料系统
EP3371536A1 (en) Spray drying system including an improved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of cleaning the system
DK201570712A1 (en) Spray drying system including an improved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of cleaning the system
KR200167023Y1 (ko)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JP3918493B2 (ja) 洗浄装置
KR20230001608A (ko) 기판 세정장치
JPS5918636B2 (ja) 熱交換器装置の操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