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023Y1 -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023Y1
KR200167023Y1 KR2019970009920U KR19970009920U KR200167023Y1 KR 200167023 Y1 KR200167023 Y1 KR 200167023Y1 KR 2019970009920 U KR2019970009920 U KR 2019970009920U KR 19970009920 U KR19970009920 U KR 19970009920U KR 200167023 Y1 KR200167023 Y1 KR 200167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aste heat
heat exchanger
heat mediu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089U (ko
Inventor
홍성호
전재석
Original Assignee
홍성호
동력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호, 동력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성호
Priority to KR2019970009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023Y1/ko
Publication of KR970050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4Distribu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10)의 본체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열매체를 공급, 송출하는 입구(11) 및 출구(12)와; 상기 입구(11), 출구(12)에 연결되며 하부 길이방향에 소정직경의 다수개의 연결공(21)이 형성된 열매체 통로부재(20)와; 상기 연결공(21)에 끼움 가능하게 일측면에 복수대의 연결편(31)이 형성되고, 그 타측 길이방향에 소정간격으로 제1고정공(3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1격판(33)이 소정간격지게 설치된 제1열매체유도관(30)과; 상기 제1열매체유도관(30)하부에 이격설치되며 일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제2고정공(4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2격판(43)이 소정간격지게 설치된 제2열매체유도관(40)과; 상기 제1고정공(32) 및 제2고정공(42)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열매체를 통과하기 위한 소정길이의 열교환 파이프(50)로 구성된 것인바, 원통형의 열교환 파이프의 양단부를 열간융착으로 고정하여 폐열이 통과되는 열교환 파이프측을 간결하게 설치하므로써, 분진증착에 의한 폐열의 차단을 완화하고, 공기 또는 물의 누출(leak)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접으로 인한 돌출 만곡부를 최소화하므로써 가공된 부위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게 되어 와류발생을 적게하여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열전달효율의 상승 및 팬 또는 펌프의 효율을 높여 동력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본 고안은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업용 또는 산업용으로 열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거나 과정에서 실사용온도에서 이용된 후 그대로 방출되는 폐열을 열교환기측에 보내 재생시키는 공정에 있어, 열교환장치에 효율적으로 열을 용이하게 통과시켜 열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필요한 열에너지를 확보하여 에너지 자원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장치는 이상온도를 열매체로서 열교환하여 난방장치에 열에너지를 공급시켜주는 장치로 사용되는바, 산업발전에 따라 사용하고 남는 열을 재생 사용하는 목적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폐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기에서 필요한 열매체를 적정온도로 상승시켜 폐열을 효율적으로 재활용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폐열은 열을 가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공기중에 발산되는 열은 블로어 팬을 이용하여 에어덕트내로 통과시켜 폐열을 흡입시키고, 이 폐열은 다시 상기 블로어 팬에 의해 열교환장치측으로 송풍되어져 열교환장치내에 흐르는 열매체 온도를 설정 온도로 상승시켜 폐열을 대체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열교환장치내에는 첨부도 1a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둘레에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핀(1a)이 일체로 다수개 형성된 열매체 흐름관(1)이 횡으로 설치되는 연결통로관(1b)에 다수개 배열 설치되거나,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길이방향으로 열매체가 흐르는 공간부(2a)가 소정간격지게 형성된 열매체 흐름관(2)이 횡방향으로 다수개 용접작업에 의해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매체 흐름관(1)(2)는 열교환기내에 여러개 수직으로 배열설치되며, 상기 열매체 흐름관(2)은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형태에서의 용접부(3) 상.하측으로는 공기통로(2b)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열매체 흐름관(1)(2)는 열매체를 냉각시키는 것과는 달리 될 수 있는 한 열이 집열될 수 있도록 열교환기내에 수직으로 약 15-20mm정도의 공간을 두고 상호 엇갈리는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방출되는 폐열을 블로어 팬(도면에서 생략함)으로 상기 열매체 흐름관 (1)(2)측으로 송풍시킬 경우 폐열은 상기 열매체 흐름관(1)의 핀(1a) 사이로 통과되면서 열매체 흐름관(1)내의 열매체의 온도상승을 돕는다.
또한, 열매체 흐름관(2)일 경우는 송풍되는 폐열이 공기통로(2b)를 통과하면서 열매체 흐름관(2)내에 흐르는 열매체의 온도상승을 돕는다.
도 1c는 종래 열교환 장치의 열매체 흐름관(1)의 단부와 연결통로관(1b)의 결합상태 및 열매체의 와류형성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써 종래에는 열매체 흐름관(1)의 단부를 연결통로관(1b)의 고정공에 소정깊이 인입한 후 열매체 흐름관(1)의 외주면과 연결통로관(1b)의 고정공 연부 사이에 용접봉을 용융시켜 용접하므로서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용접부가 형성된다.
화살표는 열매체의 흠름이 상기 매끄럽지 못한 용접부와 각이 진 열매체 흐름관(1)의 단부로 인한 와류형성을 얘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매체 흐름관(1)(2)의 핀(1a)사이 및 공기통로(2b)측으로 폐열을 유도시킴에 있어 초기상태에서는 열교환기의 열상승 효율을 향상시키나 차츰 시간이 진행되는 경우에서는 폐열에 다량 포함된 각종분진이 특히,상기 열매체 흐름관(1)의 핀(1a)의 외측면에 증착되어 폐열의 통과를 억제시키고, 상기 열매체 흐름관(2)의 공기통로(2b)에 다량 유입되어 증착되어 폐열을 차단하는 역효과로 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2b)를 형성시키는 용접부(3)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할 경우 열매체의 흐름에 와류형성이 커지고, 와류형성이 커질수록 압력손실이 커져 팬 또는 펌프의 용량을 키워야 하기 때문에 동력비가 높아지고, 열매체가 공기 대 공기인 경우에는 매끄럽지 못한 용접부에 분진의 증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어 폐열에 대한 열교환기의 열매체 온도 상승효과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열교환기측에 설치되는 열매체 통로를 형상 및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송풍되는 폐열에 포함되는 분진의 증착을 완화하여 순환되는 열매체에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열매체의 흐름내에 와류형성을 최소화시켜 압력손실을 작게하여 동력비를 낮출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대기로 방출되는 폐열을 송풍시켜 열교환기내에 순환되는 열매체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본체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열매체를 공급, 송출하는 입구 및 출구와; 상기 입구 및 출구에 연결되며 하부 길이방향에 소정직경의 다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된 열매체 통로부재와; 상기 연결공에 끼움 가능하게 일측면에 복수대의 연결편이 형성되고, 그 타측 길이방향에 소정간격으로 제1고정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1격판이 소정간격지게 설치된 제1열매체유도관과; 상기 제1열매체유도관에 수직으로 이격설치되며 일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제2고정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2격판이 소정간격지게 설치된 제2열매체유도관과; 상기 제1고정공 및 제2고정공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열매체를 통과하기 위한 소정길이의 열교환 파이프로 설치된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대기로 방출되는 폐열을 송풍시켜 열교환기내에 순환되는 열매체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본체 상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정렬되어 관통형성되고 고정공열 사이의 소정위치에 각각 소정간격져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플래트 바를 일체로 갖는 제 1고정플레이트와; 본체 하부에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2고정플레이트와; 폐열공기유입구가 폐열공기공급경로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연통되게 고정설치되는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고정플레이트의 고정공에 고정설치되어 열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의 내측 상면 소정위치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제 1고정플레이트상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 1a도 및 제 1b도는 종래 열교환장치에 적용되는 히팅파이프를 일부분 도시한 확대도.
제 1c도는 종래 열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열매체 흐름관의 단부와 연결통로관의 고정공의 결합상태 및 열매체의 와류발생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대 물의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대 물의 열교환장치의 측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대 물의 열교환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대 물의 열매체 파이프를 도시한 정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열매체 파이프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 7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대 공기의 열교환장치의 측단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트의 결합상태 및 열매체의 와류형성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열교환기 11 : 입구
12 : 출구 20 : 열매체 통로부재
21 : 연결공 30 : 제1열매체유도관
31 : 연결편 32 : 제2고정공
33 : 제1격판 40 : 제1열매체유도관
42 : 제2고정공 43 : 제1격판
50, 103 : 열교환 파이프 101: 제 1고정플레이트
102: 제 1고정플레이트 104: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 파이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열교환 파이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산업상 1차 에너지로 이용된 다음 대기로 방출되는 폐열을 열교환기(10)측에 송풍시켜 열교환기(10)로부터 순환되는 열매체 온도를 상승시킬수 있는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에 있어, 프레임으로 조합되어 사각형체를 이루는 열교환기(10)의 본체 상부에 열매체를 공급, 송출하기 위한 입구(11) 및 출구(12)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입구(11) 및 출구(12) 일측으로는 사각형체로 하부 길이방향에 소정직경의 다수개의 연결공(21)이 형성된 열매체 통로부재(2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공(21)에 끼움 가능하게 일측면에 복수대의 연결편(31)이 형성되고, 그 타측 길이방향에 소정간격으로 제1고정공(32)이 형성되며, 제1고정공(32)의 소정간격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소정넓이의 제1격판(33)이 구획된 제1열매체유도관(30)과, 상기 제1열매체유도관(30)의 하측방향으로는 일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제2고정공(4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2격판(43)이 소정간격지게 설치된 제2열매체유도관(40)이 이격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공(32) 및 제2고정공(42)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열매체를 통과하기 위한 소정길이의 열교환 파이프(50)가 다수개 배열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파이프(50)의 양단부측은 폐열에 포함된 분진의 증착을 고려하여 상기 제1열매체유도관(30)의 제1고정공(32) 및 제2열매체유도관(40)의 제2고정공(42)에 소정깊이 인입되는 상태에서 열간융착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교환기(10)의 상측 입구(11)로부터 일정량의 열매체가 유입되면, 열매체는 상기 입구(11)의 하측에 연결된 열매체 통로부재(20)의 연결공(21)에 연결 설치된 제 1열매체유도관의 연결편(31)을 통과하며, 상기 제1열매체유도관(30)의 하측방향에 형성된 제1고정공(32)과 제2열매체유도관(40)의 하측방향에 형성된 제2고정공(42)에 연결된 열교환 파이프(50)를 통해 순환되어 상기 열매체가 유입되는 입구(11)의 타측에 설치된 또 하나의 열매체 통로부재(20)를 거쳐 출구(12)측을 통해 미도시된 난방장치로 보내져 필요에 의해 난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매체가 제1열매체유도관(30) 및 제2열매체유도관(40)을 통해 열교환 파이프(50)로 순환됨에 있어, 상기 파이프(50)는 제1열매체유도관(30) 및 제2열매체유도관(40)내에 설치된 제1격판(33), 제2격판(43)을 각각 통과하여 상하 순차적으로 순환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산업상 이용하고 난 폐열은 별도로 구비되는 송풍수단에 의해 열교환기(10)의 전면측 즉, 첨부된 도2의 정면측에서부터 송풍되어 열교환 파이프(50) 사이를 통과하면서 폐열을 파이프(50) 외면에 열전달 시켜주는데, 이때 상기 열교환 파이프(50)내에 유입되어 흐르고 있는 열매체가 설정온도 이하일때에는 폐열의 일정온도에 따른 영향을 받게되며, 특히 열매체가 시수되는 과정에서는 소정의 온도로 상승시켜 순환상태 및 열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폐열이 열교환 파이프(50) 사이를 통과되는 상태에서는 열교환 파이프(50)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어, 분진이 포함된 폐열이 송풍되더라도 열교환 파이프(50)의 외표면으로부터 미끄려져 들어가는 상태에서 열전달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 파이프(50)의 양단부는 상기 열교환 파이프(50)는 제1열매체유도관(30) 및 제2열매체유도관(40)의 제1고정공(32)과 제2고정공(42)에 열간융착으로 고정되어 있어, 기존의 용접부에 비해 고정부위가 간결하게 처리되어 있어 폐열에 포함된 분진 등의 적층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류의 현저한 감소로 인한 압력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열교환기(10)는 열매체로써 물을 사용하였을 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즉, 폐열은 공기이고, 열교환 파이프(50)을 통하여 순환하면서 상기 열교환 파이프(50)의 외측으로 흐르는 폐열공기과 열교환하는 열매체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7은 열매체로써 공기를 사용하였을 때 유용한 구조를 갖는 공기대 공기 열교환방식인 열교환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 1 및 제 2고정플레이트(101, 102)가 각각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고정플레이트(101, 102)는 각각 다수개의 고정공(101a, 102a)와 플래트 바(flat bar)(101b, 102b)를 일체로 갖고 각각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대향되게 고정설치되며, 제 2고정플레이트(102)의 내부 공동은 배수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배기관(도시되지 않음)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고정플레이트(101, 102)의 고정공(101a, 102a)에는 각각 열교환 파이프(103)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설치되며, 이때 상기 고정공(101a, 102a)의 내주면과 열교환 파이프(103)의 양단부 외주면은 열에 의해 열융착시켜 용접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이물질이 용접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열교환 파이프(103)는 외주면이 고른 파이프를 사용한다.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101)의 상측에는 폐열공기곱급플레이트(104)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104)는 하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서 일측면 소정위치에 폐열공기공급경로(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폐열공기를 유입하는 폐열공기유입구(104a)를 일체로 갖고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101)의 상측을 덮도록 고정설치되며, 내측 상면 소정위치에는 다수개의 노즐(105)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노즐(105)은 열교환 파이프(103)을 통과하는 폐열공기중에 혼합되어 있는 지분 또는 분진이 열교환 파이프의 끝단에 축적되어 파이프의 입구가 좁아지거나 또는 막혀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수압으로 물을 제 1고정플레이트(101)상에 분사시켜 축적된 지분 또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개수는 4개가 바람직하며, 상기 4개의 노즐(105)만으로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101)의 면적 물을 확실히 분사시켜 축적된 지분 또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공기 대 공기 방식의 열교환기는 상기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104)의 폐열공기유입구(104a)를 통하여 공기가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104)내로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101)의 고정공(101a)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열교환 파이프(103)를 따라 흐러가고, 상기 본체(100)의 통로 즉 열교환 파이프(103)의 외측에는 여과된 차가운기가 열교환 파이프(103)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흐르게되므로 열교환 파이프(103)내를 흐르는 폐열공기는 폐열공기와 열교환하여 소정온도 상승하여 예정된 경로를 통하여 흘러가고 열을 빼았긴 폐열은 열교환 파이프(103)와 연통되게 연결된 폐열배기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노즐(105)은 주기적으로 물을 제 1고정플레이트(101)상에 분사하여 폐열공기중에 혼합된 지분 또는 분진이 열교환 파이프(103)의 끝단에 축적되는 것을 완화하면서도 물분사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교환 파이프(103)를 통과하는 폐열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분진의 증착에 따른 폐열이 통과되는 통로의 차단됨을 방지할 수 있어 송풍되는 폐열의 온도를 유지한 채 열전달하여 열교환 파이프(50, 103)내의 열매체(물 또는 공기)의 온도를 즉시 상승시켜 보일러등에 공급되는 물이나 공정중에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를 폐열의 온도로써 미리 예열지켜 주므로써 물 또는 공기를 예열하기 위한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는 상기 개략적으로 기술한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 장치(10, 100)에 적용되는 열교환 파이프의 결합상태 및 열매체 흐름의 와류형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명료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 장치(10, 100)는 열교환 파이프(50, 103)와 제 1열매체관(30) 및 제 2열매체유도관(40)의 제 1 및 제 2고정공(32, 42) 또는 제 1 및 제 2고정플레이트(101, 102)의 고정공(101a, 102a)의 결합은 열교환 파이프(50, 103)의 단부를 고정공(32, 42; 10a, 102a)에 각각 소정깊이 인입한후 열에 의한 열간융착으로 고정결합되기 때문에 열매체의 흐름시 와류형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압력손실이 최소화되므로써 동력비가 절감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열교환 장치(10)와 같은 공기 대 물의 열교환 방식인 경우에는 펌프(도시되지 않음)의 용량을 크게하지 않아도 되며, 열교환장치(100)와 같은 공기 대 공기의 열교환 방식인 경우에는 폐열공기을 송풍하기 위한 팬(도시되지 않음)의 용량을 크게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동일용량의 열교환기 일 때 동력비를 기존 보다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열교환기측에 설치되는 열매체(물 또는 공기)의 통로를 원통형의 파이프로 설치하고, 파이프의 양단부의 고정을 용재를 이용한 용접작업이 아닌 열간융착으로 폐열이 통과되는 열교환 파이프측을 간결하고 매끄럽게 설치하므로써, 분진증착에 의한 폐열의 차단을 최소화하여 열교환기의 열교환 파이프내로 순환되는 열매체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와류형성을 현저히 작게 하므로써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열교환 장치의 동력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대기로 방출되는 폐열을 송풍시켜 열교환기(10)내에 순환되는 열매체를 물로 하는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는 본체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열매체를 공급, 송출하는 입구(11) 및 출구(12)와; 상기 입구(11) 및 출구(12)에 연결되며 하부 길이방향에 소정직경의 다수개의 연결공(21)이 형성된 열매체 통로부재(20)와; 상기 연결공(21)에 끼움 가능하게 일측면에 복수대의 연결편(31)이 형성되고, 그 타측 길이방향에 소정간격으로 제1고정공(3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1격판(33)이 소정간격지게 설치된 제1열매체유도관(30)과; 상기 제1열매체유도관(30)에 수직으로 이격설치되며 일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제2고정공(4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2격판(43)이 소정간격지게 설치된 제2열매체유도관(40)과; 상기 제1고정공(32) 및 제2고정공(42)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열매체를 통과하기 위한 소정길이의 열교환 파이프(5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파이프(50)의 양단부는 상기 제1열매체유도관(30)의 제1고정공(32) 및 제2열매체유도관(40)의 제2고정공(42)에 소정깊이 인입되어 열간융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3. 대기로 방출되는 폐열을 송풍시켜 열교환기내에 순환되는 열매체를 공기로 하는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본체 상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공(101a)이 정렬되어 관통형성되고 고정공(101a)열 사이의 소정위치에 각각 소정간격져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플래트 바(101b)를 일체로 갖는 제 1고정플레이트(101)와; 본체(100) 하부에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10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2고정플레이트(102)와; 페열공기유입구(104a)가 폐열공기공급경로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101)의 상측에 연통되게 고정설치되는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104)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고정플레이트의 고정공(102a)에 고정설치되어 폐열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열교환 파이프(103)와; 상기 폐열공기공급플레이트(104)의 내측 상면 소정위치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제 1고정플레이트(101)상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파이프(103)의 양단부는 상기 제 1고정플레이트(101) 및 제 2고정플레이트(102)의 고정공(101a, 102a)에 소정깊이 인입되어 열간융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KR2019970009920U 1997-05-06 1997-05-06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KR200167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20U KR200167023Y1 (ko) 1997-05-06 1997-05-06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20U KR200167023Y1 (ko) 1997-05-06 1997-05-06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089U KR970050089U (ko) 1997-08-12
KR200167023Y1 true KR200167023Y1 (ko) 2000-01-15

Family

ID=1950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920U KR200167023Y1 (ko) 1997-05-06 1997-05-06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79B1 (ko) 2010-12-24 2012-10-17 주식회사 두비컴퓨팅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의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142B1 (ko) * 2015-11-24 2016-10-24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다단 분리 열교환방식의 건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79B1 (ko) 2010-12-24 2012-10-17 주식회사 두비컴퓨팅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089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6136C (en) Heat exchanger
WO2018036236A1 (zh) 离心式鼓风横流开式冷却塔
KR101384209B1 (ko) 열회수보일러
JP2005503279A (ja) 石膏プラスタボードを乾燥させるための装置
KR200167023Y1 (ko)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US4440698A (en) Apparatus for ensuring heat exchange between a gas flow and a heat exchanger
KR20190127037A (ko) 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 방식의 건조 시스템
EP3112007A1 (en) Wash hood for abatement equipment and method of washing
KR100650383B1 (ko) 폐열 보일러
FI98405B (fi) Leijukattilan arinarakenne
KR100242226B1 (ko)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고체입자 순환유동층 열교환기
KR100473083B1 (ko)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0270764B1 (ko) 리플로우납땜방법및이리플로우납땜방법을이용한리플로우납땜장치
CN217031977U (zh) 矿热炉用立式换热锅炉
FI102563B (fi) Leijukattilan arinarakenne
KR20130073889A (ko) 모듈식의 전열관 열교환기
CN211311510U (zh) 一种电炉炼钢烟气处理系统
CN211953822U (zh) 一种废气余热回收装置、设备及系统
CN209431910U (zh) 一种高效冷却塔
CN111102870A (zh) 一种废气余热回收系统及使用方法
FI124032B1 (fi) Leijukattila ja sen arinaelementti
JPH09318005A (ja) ボイラ設備
CN210241553U (zh) 一种气流保护均流结构以及循环流化床锅炉
KR200382409Y1 (ko) 폐열 보일러
JP2019045003A (ja) 熱回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