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510B1 - 보조 제트 흡인 혈전 제거 카테터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제트 흡인 혈전 제거 카테터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10B1
KR102374510B1 KR1020197034164A KR20197034164A KR102374510B1 KR 102374510 B1 KR102374510 B1 KR 102374510B1 KR 1020197034164 A KR1020197034164 A KR 1020197034164A KR 20197034164 A KR20197034164 A KR 20197034164A KR 102374510 B1 KR102374510 B1 KR 10237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atheter
auxiliary jet
opening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712A (ko
Inventor
다케시 모기
마이클 케이. 루크
사토시 나미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1Multiple separate lum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3Fluid jet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37Fluid jet cutting instruments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inner organs or blood vessels, e.g. for atherec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61B2017/2203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eccen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8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 introduction of a substance
    • A61B2017/2208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 introduction of a substance stone- or thrombus-dissol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7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side-by-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9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a strain relief at the proximal end, e.g.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20Flow characteristics having means for promoting or enhancing the flow, actively or passive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흡인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이 흡인 카테터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는 카테터 본체, 및 이 카테터 본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lumen)을 포함한다. 흡인 루멘은 흡인 카테터의 원위 부분에 위치되는 흡인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카테터는 흡인 루멘의 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보조 제트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요소는 보조 제트 채널을 가질 수 있다. 흡인 루멘에 흡입이 가해지면, 보조 제트 요소는, 보조 제트 요소에 인접하는 카테터 본체 외부의 위치로부터 보조 제트 요소를 통해 혈액을 흡인 루멘 안으로 끌어 들이도록 될 수 있고, 또한 흡인 루멘에서의 혈전 또는 방해물을 분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제트 흡인 혈전 제거 카테터 및 이의 사용 방법
본 출원은 "보조 제트 흡인 혈전 제거 카테터 및 이의 사용 방법(ASSISTIVE JET ASPIRATION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 OF USING SAME)"이라는 명칭으로 2017년 5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62/510,193으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미국 특허 출원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여기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우선권의 이익은 비한정적으로 35 U.S.C.§119(e)를 포함하는 적절한 법률적 근거 하에서 주장된다.
본 개시는 흡인 카테터(aspiration cathe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혈전(thrombus) 및/또는 색전(emboli)의 흡인을 개선하기 위해 보조 제트 요소를 갖는 흡인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병(blood clot)이라고도 하는 혈전이 혈관 벽에 부착될 수 있고 건강한 혈관을 통해 흐르는 혈액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급성 심근경색증("AMI")이 혈액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극단적인 상태의 일 예이다. 혈전 흡인은 ST-분절-상승 심근경색(STEMI)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 시술이다. 혈전 제거술은 환자의 혈관 구조로부터 혈병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을 말한다.
흡인 카테터가 사용되어 혈전 제거 시술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의사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며, 또한 유효성에 대한 많은 제한을 지니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흡인 카테터는 주로 꼬임, 흐름 단면적 면에서의 흡인력 및 전달성과 같은 특정한 설계 문제를 극복하는데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현재 이용 가능한 흡인 카테터는 1세대 카테터의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고 농도의 혈전을 포함하는 혈전에 의한 막힘)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흡인 카테터에서는, 외과 의사가 제거하고자 하는 혈전으로 흡인 개구가 막히기 쉽다. 많은 경우에, 혈전이 흡인 루멘의 직경 보다 커서 이러한 막힘이 생기게 된다. 고 농도의 혈전은 흡인 카테터를 막을 위험이 더 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의사는 어떤 환자에 대해서는 6F(6 French) 및 7F(7 French) 가이드 적합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이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로 인해, 흡인력이 제한될 수 있고 또한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 또는 물체로 막힐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혈관 막힘이 심각한 경우에 종래의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여 흡인이 활성화되면, 유체 흐름은 일반적으로 주로 방해물의 근위측으로부터 들어오고, 카테터는 혈관의 근위측으로부터 그 차단물 쪽으로 전진된다. 어떤 경우에는, 이는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대해 하류에 있을 것이다.
큰 조각 또는 부피의 혈전이 종래의 흡인 카테터의 흡인 개구 쪽으로 끌려들어가면, 흡인 루멘 안으로 들어가는 주 흐름이 흡인 개구의 근위측으로부터 오게 될 것인데, 왜냐하면, 흡인 개구의 원위 단부 또는 원위측으로부터의 흐름이 일반적으로 파열된 플라크(plaque) 내부의 혈전에 의해 방해될 것이기 때문이다. 플라크에 의해 생기는 수축부는 흡인 루멘의 단부에 대해 원위에서의 혈액 흐름을 수축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대해 근위에 있는 혈액으로부터 더 큰 흐름 속도가 나타나게 된다. 추가로, 혈전이 흡인 개구를 덮고 수축시키기에 충분히 크고 밀집하면, 흡인 카테터에서의 방해물이 흡인 개구를 통과하는 모든 흡인을 끝내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히 제한할 수 있다.
흡인 시술 동안에 흡인 루멘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흡인 시술 동안에 혈전을 효과적으로 또한 신뢰적으로 제거하는데에 중요하다. 추가적으로, 흡인 개구 및/또는 흡인 카테터가 막힐 가능성을 상당히 줄여주거나 없애는 것 또한 흡인 시술 동안에 혈전을 효과적으로 또한 신뢰적으로 제거하는데에 중요하다. 다시 말해, 혈전이 흡인 루멘을 막아 흡인 루멘이 차단되는 위험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며, 그 차단의 결과, 흡인 루멘을 통과하는 유체 흐름이 완전히 중단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히 중단될 것이다.
막힌 흡인 카테터의 부정적인 영향은 흡인 시술 단독의 유효성을 능가한다. 막힌 흡인 카테터는 환자에게 다른 상당한 의학적 영향을 미치거나 상당한 의학적 위험을 줄 수 있다. 카테터가 막히면, 의사는 일반적으로 흡인 카테터를 가이드 카테터로부터 밖으로 후퇴시켜 흡인 카테터의 막힌 부분(즉, 흡인 개구)에 접근하여 흡인 카테터로부터 방해물을 제거한다. 이 단계는 불편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색전을 발생시키고 결국에는 허혈성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다. 가이드 카테터가 통과할 때 흡인 카테터의 원위 개구에 있는 막힌 혈전이 그 가이드 카테터의 선단에 의해 절단되면 색전이 발생될 수 있다. 혈전이 카테터에서의 방해물로 인해 흡인 카테터에 의해 단지 부분적으로만 흡인되면, 혈전의 나머지 부분(즉, 흡인되지 않는 혈전의 일부분)이 카테터에 의해 절단될 수 있고/있거나 색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혈전 색전은 뇌 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허혈성 뇌졸중 및/또는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막힐 위험이 더 낮은 흡인 카테터가 환자에 대한 시술의 전체 위험을 줄여줄 것이다.
종래의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면, 의사는 일반적으로 모니터를 보고, 카테터나 시린지(syringe)를 보지 않기 때문에 막힌 카테터를 뚫는 방법을 가장 잘 알지는 못할 수 있다. 심지어 의사는 카테터 시스템이 막혔음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사는 그것이 혈전을 효과적으로 흡인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흡인 동안에 막힘의 위험을 줄임으로써, 의사는 시술 동안에 혈전을 제거하는데에 더 많은 시간을 쓸 것이다. 추가로, 막힌 흡인 루멘을 뚫는 시간 소모적이고 위험한 과정을 없애면, 시술이 더 시간 효율적으로 되고 또한 환자에게 더 안전하게 될 것이다.
현재 이용 가능한 일부 흡인 카테터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나온 식염수 유체 흐름을 혈전에 보낼 수 있는 작용 식염수 제트와 같은 추가적인 기구 또는 구성품을 갖는다. 하지만, 식염수 파워 흐름 구성품과 같은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품 또는 기구는 이러한 시스템에 상당한 복잡성을 더하고 또한 흡인 시술을 까다롭게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품 또는 기구는 카테터의 가요성과 전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작용 흐름 시스템은 더 강직한 루멘 또는 카테터 본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카테터 시스템의 전체적인 가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작용 흐름 시스템은 식염수 흐름의 공급을 위한 강직한 관 또는 루멘을 가질 수 있어, 카테터가 덜 가요적이고 또한 구불구불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잠재적으로 덜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 또는 구성품의 추가는 또한 시스템의 가격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는 카테터 시스템의 허용 가능성 또는 실현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추가로, 어떤 의사는 혈전을 제거하기 위해 현재 페킹(pecking) 동작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는 혈전의 흡인 동안에 반복적으로 카테터를 안으로 밀고 밖으로 당기는 것이다. 이 동작은 카테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혈전을 분해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기술은 조작자 편차를 야기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서로 다른 의사들이 동일한 운동 속도, 동일한 변위 등을 따라 이 기술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개시된 개선된 흡인 카테터로, 의사는 페킹 동작 기술에 덜 의존하거나 덜 사용할 것인데, 왜냐하면,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막힘의 위험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더라도 막힘의 위험을 상당히 낮춰주기 때문이다. 감소된 막힘 위험으로 혈전을 제거하는데에 효과적인 흡인 카테터를 제공하여, 즉 개선된 실시 형태를 사용하여, 이 조작자 편차를 줄임으로써, 흡인 혈전 제거 시술의 일관성 및 잠재적으로 유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 주어져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시스템의 흡인 루멘이 사용 중에 막히는 경우 또는 위험을 줄여준다. 그러므로, 여기에 주어져 있는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환자 안전과 흡인 유효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는 혁신적인 점을 가지며, 이의 어떤 하나도 바람직한 특성에 필수적이거나 유일하게 책임 있는 것은 아니다. 청구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유리한 특징 중의 일부를 이제 요약할 것이다.
본 개시의 어떤 실시 형태는 흡인 루멘에서의 방해물을 자동적으로 제거하고/제거하거나 흡인하도록 되어 있는 흡인 카테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카테터의 어떤 실시 형태는, 카테터가 흡인 시술에 사용될 때 막히지 않거나 종래의 흡인 카테터보다 막힐 가능성이 상당히 더 작도록 구성된다. 흡인 시술은 ST-분절-상승 심근경색(STEMI)에 대한 시술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 형태는, 몸의 관상 동맥, 신경 혈관, 폐, 정맥 및 말초 용례 또는 영역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몸의 적절한 영역에 있는 혈전 또는 덩어리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일부 실시 형태는, 원위 단부에서 "보조 제트(assistive jet)"라고 하는 특징부를 갖는 새로운 세대의 흡인 카테터에 대한 것이며, 이 보조 제트는 혈전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흡인 루멘에 대한 방해물 제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 중의 어떤 것도 다음과 같은 구성의 구성품, 특징부 또는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또는 그의 어떤 조합이라도 가질 수 있다.
구성 1: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외벽을 갖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를 통해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카테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상기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lumen);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인 루멘과 연통하는 흡인 개구를 갖는 원위 선단; 및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인 루멘과 연통하는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보조 제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 루멘에 흡입이 가해지고 또한 흡인 루멘이 보조 제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방해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히면,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상기 흡인 루멘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통해 유체(비한정적으로, 혈액 및/또는 식염수와 같은 다른 유체일 수 있음)를 끌어 들여, 그 유체의 보조 제트 흐름을 보조 제트 입구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루멘에서의 방해물 쪽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구성 2: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대략 2mm 내지 대략 10mm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3: 구성 1 또는 구성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window)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대략 20% 미만(또는 대략 10%)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4: 구성 1 내지 구성 3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대략 1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5: 구성 1 내지 구성 4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와 연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에워싸인 루멘을 제공하고, 상기 에워싸인 루멘은 보조 제트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에워싸인 루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보조 제트 출구 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6: 구성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5mm 내지 대략 50mm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7: 구성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출구 개구는 상기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대략 5mm 원위와,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대략 5mm 근위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8: 구성 1 내지 구성 7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상기 흡인 개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9: 구성 1 내지 구성 8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적어도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0: 구성 1 내지 구성 9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원위 단부가 상기 흡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1: 구성 1 내지 구성 10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인 개구는 카테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각져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2: 구성 1 내지 구성 11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인 카테터는 3 French, 4 French 또는 5 French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의 대략 20% 내지 대략 50%인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을 갖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3: 구성 1 내지 구성 12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인 카테터는 6 French 이상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적의 대략 10% 내지 대략 40%인 단면 크기를 갖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4: 흡인 키트(kit)로서, 구성 1 내지 구성 13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따른 흡인 카테터 및 시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는 흡인 루멘과 연통하고 또한 상기 흡인 루멘에 대한 흡입원을 제공하는, 흡인 키트.
구성 15: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외벽을 갖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를 통해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카테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상기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인 루멘과 연통하는 흡인 개구를 갖는 원위 선단; 및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인 루멘의 내부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채널과 연통하는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트 채널은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보조 제트 출구 개구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인 루멘이 보조 제트 출구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루멘에서의 혈전 또는 다른 덩어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있고, 또한 흡인 루멘의 근위 단부에 흡입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흡인 루멘 외부의 위치로부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통해 유체를 끌어 들여, 그 유체의 보조 제트 흐름을 보조 제트 채널을 통해 상기 흡인 루멘에서의 방해물 쪽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상기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는 이러한 유체 흐름이 흡인 루멘을 막고 있는 혈전 덩어리 또는 다른 덩어리를 침식시키거나 분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6: 구성 15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이 막혀 있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2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7: 구성 15 또는 구성 16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는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5mm 내지 대략 50mm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8: 구성 15 내지 구성 17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출구 개구는 상기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대략 5mm 원위와,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대략 10mm 근위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19: 구성 15 내지 구성 18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적어도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20: 구성 1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원위 단부가 상기 흡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21: 구성 15 내지 구성 20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인 개구는 카테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각져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구성 22: 흡인 키트로서, 구성 15 내지 구성 12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흡인 카테터 및 시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는 흡인 루멘과 연통하고 또한 상기 흡인 루멘에 대한 흡입원을 제공하는, 흡인 키트.
구성 23: 흡인 카테터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내면과 외면을 갖는 외벽을 갖는 내측 카테터 본체;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내면과 외면을 갖는 외벽을 갖는 외측 카테터 본체로서,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의 외벽의 외면이 상기 외측 카테터 본체의 외벽의 내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외측 카테터 본체는 내측 카테터 본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를 통해 내측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내측 카테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내측 카테터 본체의 상기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 및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인 루멘과 연통하는 흡인 개구를 갖는 원위 선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 카테터는 상기 내측 카테터의 외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내측 개구 및 상기 외측 카테터의 외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외측 개구를 가지며,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는, 상기 내측 개구와 외측 개구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정렬되는 제1 위치와, 내측 카테터의 내측 개구가 외측 카테터의 외벽에 의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덮이도록 상기 내측 개구와 외측 개구가 서로 정렬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외측 카테터 본체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카테터에 흡입이 가해질 때, 또한 내측 카테터 본체의 내측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루멘의 일부분이 방해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혀 있을 때, 상기 카테터는 외측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부터 내측 개구와 외측 개구를 통해 유체 흐름을 상기 흡인 루멘 안으로 끌어 들이며,
상기 흡인 카테터는, 이러한 유체 흐름이 방해물의 제거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인 카테터.
구성 24: 구성 23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대략 2mm 내지 대략 10mm에 위치되는, 흡인 카테터.
구성 25: 구성 23 또는 구성 24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는, 흡인 창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대략 2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흡인 카테터.
구성 26: 구성 23 내지 구성 25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는, 흡인 창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대략 1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흡인 카테터.
구성 27: 구성 23 내지 구성 26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상기 내측 카테터의 내측 개구와 연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에워싸인 루멘을 제공하고, 상기 에워싸인 루멘은 내측 개구로부터 상기 에워싸인 루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보조 제트 출구 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인 카테터.
구성 28: 구성 27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5mm 내지 대략 50mm 사이에 위치되는, 흡인 카테터.
구성 29: 구성 27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출구 개구는 상기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대략 5mm 원위와,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대략 5mm 근위 사이에 위치되는, 흡인 카테터.
구성 30: 구성 23 내지 구성 29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적어도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는, 흡인 카테터.
구성 31: 구성 3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원위 단부가 상기 흡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카테터
구성 32: 구성 23 내지 구성 31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인 카테터는 3 French, 4 French 또는 5 French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내측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적의 대략 20% 내지 대략 50%인 단면적을 갖는, 흡인 카테터.
구성 33: 구성 23 내지 구성 32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카테터는 6 French 이상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내측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적의 대략 10% 내지 대략 40%인 단면적을 갖는, 흡인 카테터.
구성 34: 흡인 키트로서, 구성 23 내지 구성 33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따른 흡인 카테터 및 시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는 흡인 루멘과 연통하고 또한 상기 흡인 루멘에 대한 흡입원을 제공하는, 흡인 키트.
구성 35: 혈관으로부터 혈전 덩어리를 흡인하는 방법으로서,
카테터 본체를 갖는 흡인 카테터를 혈관 안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흡인 카테터에 흡입을 가하는 단계;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카테터 본체의 개구를 통해 유체 흐름을 끌어 들이는 단계; 및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여 또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와 접촉해 위치되어 있는 혈전을 상기 개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 흐름에 의해 분해하여. 흡인 카테터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더 작은 혈전 조각으로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으로부터 혈전 덩어리를 흡인하는 방법.
본 개시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로부터 더 충분히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개시에 따른 단지 몇 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됨을 이해하여,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본 개시를 추가적으로 구체적으로 또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오버-더-와이어(over-the-wire) 구성의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도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카테터의 일부분을 루프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5 - 5 선을 따라 취한,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 - 6 선을 따라 취한,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로, 혈전 덩어리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로, 혈전 덩어리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9는 신속 교환 구성인 흡인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도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카테터의 일부분을 루프로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13 - 13 선을 따라 취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14 - 14 선을 따라 취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15 - 15 선을 따라 취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로, 혈전 덩어리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로, 혈전 덩어리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18은 흡인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도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카테터의 일부분을 루프로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22 - 22 선을 따라 취한,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23 - 23 선을 따라 취한,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로, 혈전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25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로, 혈전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26은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29 - 29 선을 따라 취한,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30 - 30 선을 따라 취한,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를 확대한 것으로, 혈전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32는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오버-더-와이어 구성인,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나타나 있는 흡인 카테터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5에 나타나 있는 흡인 카테터의 원위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5에 나타나 있는 흡인 카테터의 원위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39 - 39 선을 따라 취한,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40 - 40 선을 따라 취한,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로, 혈전 덩어리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42는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로, 혈전 덩어리의 흡인을 도시한다.
도 43은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카테터 본체 단면 구성을 도시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시스템, 구성품, 방법의 실시 형태 및 어셈블리 및 제조의 상세 사항이 여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여러 실시 형태, 실시예, 및 도시가 아래에 개시되지만, 여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 형태, 실시예 및 도시를 넘어 확장되고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용도 및 명백한 변형예와 그의 등가물, 또한 실시 형태, 특징 및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의 상세 사항과 여기에 개시된 다른 실시 형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여기에 개시된 모든 실시 형태의 설명은, 새로운 실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여기에 명백히 설명된 특징, 구성품 및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여기에 개시된 다른 실시 형태의 특징, 구성품 및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그 새로운 실시 형태 모두는 본 개시의 일부분으로서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본 발명의 어떤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사용된다고 해서 어떤 제한된 또는 한정적인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개의 신규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의 특징만이 그의 바람직한 특성에 책임 있거나 여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에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단지 참조를 위해 특정한 용어가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래서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컨대, "위쪽" 및 "아래쪽"과 같은 용어는, 참조하는 도면에서의 방향 또는 조작 가능 위치에서 실시 형태의 배향에 대한 방향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앞", "뒤", "좌측", "우측", "후방" 및 "측면"과 같은 용어는, 논의중인 구성품 또는 요소를 설명하는 문장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면 명백하게 되는 일관적이되 임의의 기준 프레임 내에서 구성품 또는 요소의 일부분의 배향 및/또는 위치를 설명한다. 더욱이,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는 개별적인 구성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된 단어, 그의 파생어 및 유사한 취지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는 현재 이용 가능한 흡인 카테터의 중요한 단점 또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 단점 또는 문제는 혈전에 의한 카테터의 흡인 루멘의 막힘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카테터는 그 혈전을 제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논의하는 바와 같이, 여기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일부 또는 모든 실시 형태는 현재 이용 가능한 흡인 카테터에 대해 어떤 범위의 성능 및 유용성 이점을 준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는, 흡인 루멘의 원위 부분 내에 있는 또는 그에 인접해 있는 또는 그 근처에 있는 혈전을 분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체 흐름을 환자의 혈류로부터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식염수 또는 다른 적절한 유체가 목표 부위 근처에서 환자의 혈관에 제공될 수 있고, 혈액, 식염수 및/또는 다른 유체는 보조 제트 요소를 통해 끌려 들어와 혈전을 분해하거나 침식시키게 된다. 보조 제트의 이러한 추가는 혈전을 더 작은 조각 또는 덩어리로 분해하여 흡인되는 혈전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흡인 루멘이 막힐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더 큰 혈전 덩어리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더 큰 혈전 조각 또는 덩어리가 카테터의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된다.
예컨대,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는,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끌어 내어 환자의 혈관에서 나온 혈액 흐름을 혈전에 보내어 그 혈전을 침식 및/또는 분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보조 제트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들)는,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유체 흐름(예컨대, 혈액)을 끌어 내어 그 유체를 흡인 카테터의 개구 쪽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는 임의의 보조 제트 채널 부분 또는 구성품, 보조 제트 개구 부분 또는 구성품 및/또는 다른 부분, 구성품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제트 요소를 통한 보조 제트는, 흡인 카테터의 개구와 접촉하여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혈전을 침식시키거나 분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루멘의 개구 근처에 위치하여 카테터 본체를 통과하는 개구, 카테터 본체의 외부의 환자 혈류와 연통하는 제1 또는 입구 개구와, 흡인 루멘의 개구에 인접하는 제2 또는 출구 개구를 갖는 별도의 흐름 채널, 또는 환자 혈류로부터 혈액 흐름을 흡인 루멘의 개구 쪽으로 또는 그 개구에 보내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부분 또는 부분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채널을 가질 수 있음)의 개구는 선택적으로 개방 및/또는 폐쇄 가능하여, 의사가 보조 제트 요소의 조작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는 카테터 본체에 있는 보조 제트 채널과 보조 제트 개구(예컨대, 구멍)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카테터 본체는, 흡인 흐름 루멘의 개구에 대해 원위에서 카테터 본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흡인 흐름 개구에 추가로 흡인 흐름 루멘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는 유체 또는 혈액 흐름은 흡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보조 제트 채널을 통해 흐를 수 있으며, 그래서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는 유체 또는 혈액 흐름은, 흡인 개구와 접촉하여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에 보내질 수 있다. 이리하여, 혈전을 자르고 분해하여 혈전을 흡인 루멘을 통해 제거하는 보조 제트의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의 개구 또는 채널(또는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개구 또는 다른 보조 제트 요소)은 흡인 개구에 대해 근위에 있는 위치로부터 (흡인 개구가 예컨대 경사져 있다면) 흡인 개구의 원위 가장자리에 인접하거나 이 가장자리에 대해 바로 근위에 또는 원위에 있고/있거나 흡인 개구 내부에 있는 위치까지 흐름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원위(distal)라는 용어는 흡인 카테터의 원위 선단보다 흡인 카테터의 손잡이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 또는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흡인 루멘에서 흡인이 활성화되면, 흐름은 복수의 방향에서 흡인 루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완전히 방해 받지 않는다면, 흐름은 흡인 루멘 개구를 통해 흡인 루멘에 들어갈 수 있다. 흐름은 또한 보조 제트 채널을 통해 와서 보조 제트 채널의 단부 근처에 있는 임의의 혈전의 단편을 분해하거나 자를 수 있으며, 그래서 이러한 분열된 혈전은 흡인 루멘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조각 또는 크기로 분해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카테터 본체가 개별적인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가지면, 보조 제트 채널 또는 채널은 흡인 루멘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조 제트 채널 또는 채널은 흡인 루멘과 비교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 중의 어떤 것도 신속 교환형 및 오버-더-와이어형 카테터 모두와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오늘날 사용되는 카테터 용례의 대부분이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사용되지만, 이들 설계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갖거나 갖지 않는 카테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어떤 실시 형태도 가이드 와이어 루멘 및 주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고, 주 흡인 루멘은 카테터 본체의 근위 단부에 있는 허브 부분으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는 흡인 개구까지 연장되어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카테터 본체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키고 또는 신속 교환 구성에서처럼, 카테터 본체의 일부분만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카테터 본체의 단지 원위 15cm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는 또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갖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어떤 실시 형태도 흡인 개구 근처에서 하나 이상의 측면 구멍(위에서 보조 제트 개구라고 함)을 가질 수 있고, 이 측면 구멍은 보조 제트 또는 혈액의 흐름을 흡인 개구 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채널에 대한 보조 제트 개구의 가능한 이점은, 보조 제트 개구가 흡인 채널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보조 제트 개구는 보조 제트 채널보다 더 낮은 압력 손실을 줄 수 있다. 그리하여,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흡인 개구를 통과하는 흐름이 혈전에 의해 제한될 때, 흡인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의 이점은, 보조 제트 채널은 이 채널의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만 허용할 것이므로 보조 제트의 흐름 경로를 제한하여 보조 제트의 흐름 방향을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7F 및 8F 크기의 가이드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6F 가이드 카테터 또는 6F 적합 흡인 카테터보다 훨씬 더 큰 흡입력을 가지며 또한 혈전 덩어리를 훨씬 더 잘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7F 및 8F는 급성 심근경색증("AMI")이 있는 어떤 관상 동맥에는 너무 클 수 있다. 6F 또는 그 보다 작은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흡인 카테터 시스템이다. 그러나, 적어도 어떤 종래의 6F 흡인 카테터는 혈전 제거에 있어 대체로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주어져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의 전단 기구에 의해, 더 작은 6F 크기의 카테터는 더 큰 7F 또는 8F 흡인 카테터의 혈전 제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은, 4F 및 5F 크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6F 크기보다 작은 카테터, 또는 7F 또는 8F 이상의 크기를 포함하는 6F 크기보다 큰 카테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장치의 어떤 실시 형태는, 카테터 시스템의 가요성 및/또는 조향성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가요성 카테터 본체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강성적이고/강성적이거나 금속 또는 다른 강성적인(rigid) 또는 반강성적인(semi-rigid)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흡인 카테터 또는 장치의 실시 형태는 생체 검사 시술을 수행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카테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강성적인 또는 반강성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장치의 실시 형태는 구불구불한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할 수 있다. 추가로,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장치의 어떤 실시 형태도 코일 또는 코일 보강 부분 또는 편조물을 갖는 카테터 본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비한정적으로, 카테터 본체의 원위 부분(카테터 본체의 단부에 가장 가까운 부분)은 코일 및/또는 편조 보강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코일 및/또는 편조 보강된 카테터 본체에 통합된 보조 제트 구성품 또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는 보조 제트 요소(들)에 대해 근위에 있는 카테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따라 코일 및/또는 편조 보강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 중의 어떤 실시 형태도, 급성 심근경색증("AMI")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어떤 범위의 질환을 치료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도 다리(심부 정맥 혈전증), 폐, 뇌, 및/또는 심장(정맥 혈전증)과 같은, 혈병을 가질 수 있는 몸의 다른 부분에도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도 혈류 내부에만 아닌 몸에 존재하는 어떠한 단단하지 않은 덩어리를 제거하는데에 적합할 수 있다.
여기에 주어진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은 사용하기가 더 쉽고 또한 알려져 있는 또는 전형적인 혈전 제거 시술에 익숙한 의사에 대한 추가적인 훈련을 거의 또는 전혀 요구하지 않는다. 이리하여, 혈전 제거 시스템의 안전 및 효율이 개선될 수 있고, 또한 더 복잡하거나 능동적인 흐름 시스템과 비교하여, 여기에 주어진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사용하는 전체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흡인 카테터가 막히면, 흡인 루멘 내부에 있지만 아직 시린지에 도달하지 않은 혈전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대부분의 경우에 시린지 쪽으로 가는 것을 멈추게 될 것인데, 왜냐하면, 막힌 상태는 흡입 압력을 해제시키거나 크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막힘으로 인해,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 내부에 위치하는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가 흡인 루멘으로부터 다시 환자의 혈관 구조 또는 해부학적 구조 안으로 들어가 그 환자에게 상당한 위험을 줄 수 있다.
대조적으로, 크고 및/또는 고 농도의 혈전이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의 흡인 개구 또는 흡인 루멘에 끌려 접촉할 때, 흡인 개구 또는 루멘의 막힌 부분을 우회하는 유체 흐름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보조 제트 채널 또는 개구의 유체 흐름 능력으로 인해 적어도 최소량의 흡인 흐름이 흡인 루멘에 유지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그리고 중요하게도, 보조 제트 채널 또는 개구로부터의 이 유체 흐름은 이러한 혈전을 자르고/자르거나 분해하는 작용을 할 수 있고, 그리하여 종래의 흡인 카테터를 막히게 할 크고 및/또는 고 농도의 혈전이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의해 흡인될 수 있다. 이로써, 흡인 루멘 내의 혈전 또는 부스러기가 환자의 혈관 구조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혀 있을 때에도 색전병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유체 흐름 경로는, 흡인 루멘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조 제트 채널 또는 루멘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는 유체 또는 혈액 흐름은 흡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보조 제트 채널을 통해 흐를 수 있고, 그래서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는 유체 또는 혈액 흐름은, 흡인 개구와 접촉하여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에 보내질 수 있다. 이리하여, 혈전을 자르거나 분해하는 보조 제트의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 흡인 루멘, 흡인 개구 및/또는 보조 제트 요소(들)는, 흡인 루멘에서 흡입이 일어나고, 흡인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에 영향을 주는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의 방해가 없으면, 흡인 루멘 안으로 흐르는 유체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보조 제트 요소(들)를 통과하는 흐름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상태에서, 흡인 개구를 통해 흐르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인 루멘 개구에 방해물이 주어져 있지 않으면, 보조 제트 요소(들)는 효과적으로 비활성화될 것이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는, 혈전 또는 다른 덩어리가 흡인 개구에 더 가까워지게 이동함에 따라, 흡인 개구에 대한 혈전의 근접성으로 인해 그 흡인 개구를 통과하는 혈액 흐름이 방해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흡인 루멘 개구를 통과하는 흐름에 대한 방해물은 보조 제트 요소를 "활성화(activate)"시켜 유체 흐름을 흡인 루멘 개구 쪽으로 보낼 수 있다.
이들 구성에서, 흡인 루멘을 통해 흡입이 일어나고 흡인 루멘이 개방되어 있으면(즉, 방해 받지 않거나 막혀 있지 않으면), 혈액, 혈전 및 다른 부스러기의 흐름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보조 제트 요소가 아닌 흡인 개구를 통해 전진할 것이다. 이 상황에서 보조 제트 요소는 본질적으로 비활성화될 것이다.
추가로,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유체 흐름 경로는, 흡인 카테터의 원위 영역에 위치하는 보조 제트 개구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보조 제트 개구는 카테터 본체의 측벽 또는 흡인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제트 개구는, 반경 방향으로 카테터 본체의 벽을 통과해 형성된 둥근 개구, 난자형(ovular) 개구,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형상의 개구일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도 카테터 본체에 형성되는 단일의 보조 흐름 입구 개구 또는 복수의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단일의 개구는 임의의 원하는 반경 방향 위치, 예컨대, 카테터 본체의 바닥 부분 근처, 카테터 본체의 측면 근처, 카테터 본체의 정상부 근처 또는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배향을 위해, 흡인 루멘 개구가 각져 있거나 경사져 있거나 또는 다른 식으로 길게 되어 있으면, 카테터 본체의 정상부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개구가 반경 방향으로 흡인 루멘의 최원위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도록, 흡인 루멘의 최원위 부분은 카테터 본체의 바닥에 있을 수 있다. 이 배향에서 루멘의 바닥을 6시 방향 위치라고 하고, 정상부는 12시 방향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 입구 요소 또는 개구는 대략 7시 방향 위치, 3시 및/또는 9시 방향 위치(들), 12시 방향 위치 또는 이들 위치의 임의의 조합된 위치 또는 그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요소를 갖는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 입구 개구는 예컨대 대략 7시 방향 위치, 3시 및/또는 9시 방향 위치, 12시 방향 위치, 또는 이들 위치의 임의의 조합된 위치 또는 그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보조 제트 개구는 대략 12시 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보조 제트 개구는 각각 대략 5시 방향 위치와 6시 방향 위치 사이 및 6시 방향 위치와 7시 방향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는 2개의 보조 제트 요소를 가질 수 있고, 제1 보조 제트 요소 또는 개구는 5시 방향 위치와 6시 방향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보조 제트 요소 또는 개구는 각각 대략 6시 방향 위치와 7시 방향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에서도, 보조 제트 개구는 보조 제트를 임의의 원하는 방향(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여)으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보조 제트 개구를 갖는 실시 형태에서, 제1 보조 제트 개구는 흐름을 근위 방향으로(즉, 카테터의 근위 단부 쪽으로) 보낼 수 있다. 제2 보조 제트 개구는 흐름을 반경 내측 방향 또는 원위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방향 전환 또는 흐름 방향 요소가, 보조 제트 요소 개구에 인접해 흡인 루멘 내부에 위치되어, 루멘을 통과하여 보조 제트를 흡인 개구 쪽으로 보낼 수 있고, 그래서 보조 제트는 흡인 개구에 인접해 있는 또는 그와 접촉하는 혈전 쪽으로 보내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방향 전환 또는 흐름 방향 요소는, 보조 제트 개구에 인접하여 또는 그의 측면에 위치하여 흡인 루멘의 내면으로부터 짧은 거리로 돌출해 있는 탭(tab) 또는 돌출부일 수 있다. 방향 전환 또는 흐름 방향 요소는 보조 제트 개구를 통과하는 보조 제트의 속도를 상당히 방해하지 않도록 각도로 위치되거나 또는 만곡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어떠한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도 복수의 보조 제트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보조 제트 개구 각각은 서로 다른 단면 크기 또는 직경을 갖는다. 예컨대, 제1 보조 제트 개구는 제1 단면 크기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조 제트 개구는 제2 단면 크기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2 단면 크기 또는 직경은 제1 단면 크기 또는 직경 보다 크거나 작으며 또는 같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는 제3 보조 제트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제3 보조 제트 개구는, 제1 및/또는 제2 단면 크기 또는 직경 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작은 제3 단면 크기 또는 직경을 갖는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의 보조 제트 개구 또는 원위 개구는 흡인 개구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흡인 개구가 경사져 있는 실시 형태를 비한정적으로 포함하여,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의 보조 제트 개구 또는 원위 개구는 흡인 개구의 정상 부분 또는 하측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정상 부분은 흡인 개구의 하측 부분과 비교하여 흡인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대해 더 근위에, 또는 카테터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또는 다른 원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은 작을 수 있고, 보조 제트 채널을 통해 흐르는 적혈구에 의해 막힐 수 있다. 그러므로, 보조 제트 개구 및 채널은 혈액이 제한 없이 그 개구 또는 채널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추가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혈액 및 혈소판이 루멘의 표면에 부착되어 그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을 느리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조 제트 채널 및 흡인 루멘을 포함하여, 흡인 카테터 내부의 임의의 채널 또는 루멘은 PTFE, 실리콘 또는 유사한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은 루멘을 박리시키고 또한 그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을 방해하고 또한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 면적을 감소시키는 위험을 줄 수 있다. 개발된 여러 가지 새로운 재료는 폴리머 자체에서 첨가제를 갖거나 폴리머의 표면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질된 첨가 재료의 예는, Interface Biologics's Bio Flo (또는 Endexo) (http://www.interfacebiologics.com/) 및 Wyss Institute's Tethered-Liquid Perfluorocarbon surface treatment (https://wyss.harvard.edu/bioinspired-coating-for-medical-devices-repels-blood-and-bacteria/)를 포함한다. 이들 재료 중의 어떤 것도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의 루멘을 코팅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관상 동맥 플라크의 경우에, 병변(lesion)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3mm 내지 3cm이다. 흡인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전체 병변 길이를 통해 밀려 들어가, 파열된 플라크 내부의 혈전을 제거한다. 보조 제트 입구 개구는 이 사용 동안에 병변 외부에 위치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병변의 위치는 관상 동맥 안으로 5cm 내지 15cm 깊이일 수 있고, 이들 위치가 도달되면 이상적으로 가이드 카테터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에 대한 입구 개구는 흡인 개구의 원위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6cm 내지 대략 7cm이거나, 또는 흡인 개구의 원위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4cm 내지 대략 5cm일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 및 선단의 길이는 대략 5mm 내지 대략 12mm 일 수 있으며 및/또는 보조 제트 요소의 입구 개구는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3cm 내지 대략 4.5cm 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 또는 보조 제트 개구에서 나온 보조 제트는 혈전의 근위측에 보내질 수 있다. 혈전의 근위측은 흡인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혈전의 측이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보조 제트 채널 또는 보조 제트 개구에서 나온 보조 제트가 혈전의 근위측에 보내지면, 그 혈전의 근위측이 잘리거나 분해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잘린 또는 분해된 혈전 조각의 용이한 흡인이 촉진되는데, 왜냐하면, 잘린 또는 분해된 혈전은 흡인 루멘을 통과하는 흡인 흐름에 직접 노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또한, 어떠한 잘린 또는 분해된 혈전 조각이 환자의 혈관 구조 안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보조 제트 입구 개구 또는 구멍의 형상 및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의 입구 구멍 또는 개구는 흡인 루멘 개구 위치의 주위에서 흡인 바닥에서 둥근 형상, 삼각 형상, 타원 형상, 길이 방향 슬릿 또는 원주 방향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카테터 본체의 약화를 피하기 위해 구멍은 어떤 치수에서도 대략 3mm 미만일 수 있다. 카테터 본체가 약화되면 카테터 본체의 꼬임이 일어날 수 있다. 둥글지 않은 기하학적 구조는, 달라 붙은 혈전에 부딪히는 보조 제트의 상호 작용 면적 및 부피/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0.3mm 내지 0.6mm 직경 구멍의 보조 제트 개구 크기가 최선의 기계적 무결성을 증진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또한 바닥 구멍을 통과하는 흐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대략 0.3mm 크기가 약간 더 우수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정상부에서의 흐름 속도는 0.6mm의 흐름 속도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흡인력이 더 크게 됨을 의미한다. 정상 및 바닥 제트는 함께 작용하여 정상적인 상태에서, 즉 막힘 전에 루멘 안으로의 더 양호한 흡입 및 더 높은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 대해, 흡인 루멘이 막힌 상태에 있는 있을 때, 0.6mm 크기의 경우에 구멍에서 나오는 흐름은 0.3mm 크기의 경우 보다 더 넓고 더 강하게 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개구 크기가 0.6mm 보다 클 때 이 흐름 패턴은 변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는 각진 또는 경사진 원위 선단을 가질 수 있다. 각도는 대략 30도, 또는 대략 20도 내지 대략 40도 이상, 또는 대략 10도 이하(5도 만큼 작은) 내지 대략 50도 이상일 수 있다. 각진 구성에서, 카테터 선단의 단부는, 이 선단의 일부분만이 각져 있거나 경사져 있도록, 절두되어 있거나 무디어져 있으며/있거나 둥글게 될 수 있다. 예컨대, 흡인 개구는 카테터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5도 내지 45도인 복수의 각도 및 만곡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요소에 대한 개구는 흡인 개구 또는 창(window)의 임의의 원하는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카테터의 일 단부는 곧은 절단부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갖는 흡인 카테터의 설계(예컨대, 여기에서 개시된 신속 교환 구성)에 대해, 0.014 인치 가이드 와이어 적합 흡인 카테터가 대략 0.0165 인치의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가질 수 있다. 관상 동맥용으로 적합한 실시 형태는 대략 0.014 인치 와이어 시스템에 맞는 크기의 루멘을 가질 수 있다. 하측 팔다리용의 경우에, 0.014 인치 및 0.018 인치 가이드 와이어 적합 시스템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0.018 인치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직경은 대략 0.0205 인치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100)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이 카테터 시스템은 흡입원(102)(Vaclok 30cc 시린지, Penumbra(TM) 펌프와 같은 펌프 시스템 등일 수 있음), 시스템(100)을 통과하는 유체의 흡입 및 흐름을 제어하는 스탑코크(stopcock) 또는 밸브(104), 및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110)(여기에서는 보조 제트 카테터 및 단지 흡인 카테터라고도 함)를 갖는다.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110)는 원위 단부(114)와 근위 단부(116)를 갖는 카테터 본체(112)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 또는 허브(120)가 카테터 본체의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스트레인 완화 요소(예컨대, 도 1에 나타나 있는 스트레인 완화 요소(117))가 카테터 본체에 위치될 수 있다. 스트레인 완화 요소는 허브에 대해 원위에 위치되어, 그 영역에서 카테터 본체에 생기는 스트레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허브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100)의 Y 커넥터 및/또는 다른 구성품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Y 커넥터는 가이드 와이어를 위한, 예컨대 오버-더-와이어 구성의 실시 형태를 위한 흡인 루멘의 밀봉된 출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카테터 본체는 허브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허브(120)를 사용하여 카테터 본체(112)를 회전시키고 또한 다른 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100)의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112)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4는 각각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112)의 상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5 - 5 선을 따라 취한,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11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6 - 6 선을 따라 취한,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110)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112)는 흡인 개구(130) 및 이 흡인 개구(130)와 연통하고 카테터 본체(112)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13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를 흡인 창(window)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12)는, 유체(예컨대, 혈액)의 흐름 또는 제트를 흡인 개구에 인접한 흡인 루멘 안으로 보내도록 구성된 보조 제트 요소(134)를 또한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요소(134)는, 원하는 반경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 위치에서 카테터 본체(112)를 통과해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입구 개구(140)(여기에서 보조 제트 입구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보조 입구 흐름 개구는 흡인 개구(130)의 최근위 부분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반대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리하여 가장 최적의 유체 흐름이 흡인 개구(130)에 있을 수 있는 혈전 쪽으로 제공되어 그 혈전을 침식시키거나 분해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가 환자의 혈관 또는 통로를 통해 전진될 때 조직에 대한 천공 및/또는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원위 선단은 부드럽거나 가요적이고 비외상성(atraumatic)일 수 있다.
흡인 개구(130)는 라운딩된 가장자리를 갖는 만곡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 만곡된 프로파일은 카테터 본체(112)의 흡인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130)는 평평한, 각져 있는 또는 경사진 프로파일, 또는 심지어는 정사각형 단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인 개구(130)는 적절한 각도(A1)를 규정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각도(A1)는 대략 20°일 수 있고 또는 대략 10°내지 대략 30°일 수 있다. 추가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의 길이(L3)는 대략 6mm일 수 있고 또는 대략 5mm 이하 내지 대략 8mm 이상일 수 있다. 최원위 선단(114)은 조직에 대한 외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마찬가지로 라운딩되거나 무디어질 수 있다.
도 1 및 6을 참조하면, 흡인 카테터(110)의 어떤 실시 형태는 대략 90cm 내지 대략 170cm의 길이(L1)를 가질 수 있고, 이 길이는 대부분의 반경 방향 및 대퇴부 접근 부위에 대해 대부분의 신경, 관상 동맥, 혈관 및/또는 말초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용례의 경우에 카테터의 길이는 이들 값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112)의 원위 부분의 길이(L2)는 대략 7.4mm 이상일 수 있고, 원위 부분은 보강되지 않은 카테터 본체(112)의 영역(즉, 카테터 본체가 편조(braid) 또는 코일 보강물을 갖지 않는 곳)으로서 정의된다. 7mm 길이의 흡인 개구(130), 및 0.3mm 직경(D1)을 갖는 보조 제트 입구(140)의 경우, 근위 편조 부분은 원위 단부(114)에 7.4mm 만큼 가까울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편조 또는 코일 보강물은 용례의 필요에 맞게 7.4mm에 대해 근위인 지점에서 끝날 수 있다. 근위 부분은 보강을 위해 편조물 및/또는 코일(150)을 가질 수 있다. 근위 부분은 원위 부분의 최근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근위 단부(116) 끝까지 카테터 본체(112)의 길이의 나머지를 연장할 수 있다.
흡인 개구(130)에 대한 보조 제트 입구(140)의 위치는, 흡인 개구(130)에 고착되어 있는 혈전을 분해하거나 침식하기 위해 필요한 유체의 흐름 또는 제트를 제공하는 보조 제트 요소의 유효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트 입구(140)가 너무 윈위에 있으면, 흡인 개구(130)를 막은 혈전에 의해 보조 제트 개구(140)가 또한 막힐 위험이 있다. 보조 제트 입구(140)가 너무 근위에 있으면, 유체의 충분한 제트 또는 흐름을 흡인 개구(130)에 있는 혈전에 보내는 보조 제트 입구(140)의 능력이 약화되어 보조 제트 요소(134)의 유효성이 감소된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140)는, 보조 제트 입구(140)의 축 중심선이 흡인 개구(130)의 최근위 단부로부터 대략 1mm, 또는 대략 -2mm 내지 대략 10mm(음수는 개구의 축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원위에 있음을 나타냄), 또는 대략 1mm 내지 대략 3mm이고/이거나 이들 범위 내의 임의의 값인 거리(L4)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140)는, 보조 제트 입구(140)의 중심선이 최근위 단부에 대해 원위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입구(140)가 혈전에 의해 막히거나 덮이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입구(140)를 통과하는 흐름의 혈전에 대한 충격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140)는 흡인 루멘(132)의 직경(D2)의 대략 1/3(33%) 또는 3 Fr(즉, French 크기) 적합 카테터의 경우에는 대략 10% 내지 대략 15% 또는 흡인 루멘(132)의 직경의 대략 25% 내지 대략 45%인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입구(140)의 직경이 흡인 루멘에 비해 너무 크면, 보조 제트 입구(140)는, 흡인 개구(130)가 막혀 있지 않을 때에도 최적인 또는 요망되는 흐름을 주변 유체로부터 더 많이 끌어들일 수 있다. 동일한 조건이, 보조 제트 입구(140)가 흡인 개구(130)에 너무 가까이 위치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흐름 입구(140)는 둥근 형상, 길게 늘여진 형상, 난자형,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에 고착되어 있는 혈전 쪽으로 향하는 추가적인 흐름 또는 제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카테터 본체를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 또는 입구를 가질 수 있다. 구멍의 수, 구멍의 위치 및 구멍의 직경은 대체로 제거될 혈전의 종류에 달려 있다. 구멍의 수는, 흡인 개구(130)를 통과하는 흡입 또는 흐름의 양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혈전의 효과적인 침식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되어야 한다. 카테터 본체에 있는 흡인 흐름 입구가 너무 많거나 흡인 흐름 입구의 직경이 너무 크면, 너무 큰 압력 강하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압력 강하는 보조 제트 요소의 유효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기본적으로, 보조 제트 입구 각각을 통과하는 흐름이 혈전을 크게 침식시키기에는 너무 약할 수 있다. 비한정적으로, 보조 제트 입구는 대략 3시 방향 및 9시 방향 또는 대략 3시 방향, 6시 방향 및 9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루멘(130)의 직경(D2)(도 6 참조)은 특정한 용례의 용도 및 크기 제약에 맞는 어떤 적절한 값이라도 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는, 4.2 Fr 가이드 쉬스(guide sheath)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1.22mm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입구 직경은 대략 0.26mm이고, 이는 대략 0.49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6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2.16mm이고, 이는 대략 2.7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입구 직경은 대략 0.62mm이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8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2.82mm이고, 이는 대략 4.97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입구 직경은 대략 0.84mm이다.
추가적으로, 보조 제트 입구에 대한 직경 값이 언급되어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이 실시 형태와 모든 다른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입구는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원형 형상을 갖는 실시 형태의 경우, 비원형 보조 제트 입구의 크기는 등가 단면적 및/또는 크기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제트 입구의 직경에 대해 이 설명에서 기재되어 있는 값들 중의 어떤 값도, 언급된 값 보다 20% 작은 값에서부터 언급된 값 보다 20% 큰 값까지 또는 언급된 값 보다 10% 작은 값에서부터 언급된 값 보다 10% 큰 값까지의 범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6 Fr 적합 흡인 카테터에 대해, 보조 제트 입구의 직경은 대략 0.496mm 내지 대략 0.744mm 또는 대략 0.558mm 내지 대략 0.682mm 일 수 있고, 각 실시 형태의 다른 값이 그에 따라 조절되어 이러한 실시 형태의 최적의 핏트(fit) 및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형태도 흡인 개구(130) 또는 보조 제트 입구(140) 근처에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밴드 또는 마커를 가질 수 있고, 그래서 의사가 형광 투시 하에서 이들 부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러한 밴드 또는 마커와 조합하여, 카테터(110)의 특정 부분은 형광 투시 하에서 이러한 부분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112)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112)의 흡인 개구(130)에 대해 원위에 또는 상류에 위치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흡인 개구(1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혈전 등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보조 제트 입구(140)를 통과하는 혈액의 흐름(흐름 화살표로 나타나 있음)이 상당히 감소되어, 흡인 루멘(132)을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흡인 개구(130)를 통과할 것이다. 가이드 와이어(G)는 흡인 시술 동안에 흡인 루멘(132) 내에 유지될 수 있고, 또는 흡인 시술을 수행하기 전에 흡인 루멘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빼내질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112)의 흡인 개구(130)와 접촉해 위치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하고, 혈전(T)은 흡인 개구(130)를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단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흡인 개구(1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로이므로, 유체 또는 혈액이 보조 제트 입구(140)를 통해 끌어 들여져 흡인 루멘(13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보조 제트 입구(140)는, 이 보조 제트 입구를 통과하는 흐름을 혈전을 향해 또는 혈전 쪽으로 최적으로 보내거나 가하여 혈전(T)을 분해하거나 침식시키도록 크기 결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제트 입구(140)를 통과하는 혈액의 제트 또는 흐름은 결국 혈전(T)을 혈전(T)이 흡인 루멘(132)을 통해 흡인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해할 수 있고, 그리하여, 흡인 개구(130)를 통과하는 흐름을 다시 한번 재개할 수 있다.
도 9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200)의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이 실시 형태는 신속 교환 구성이다. 카테터(200)의 어떤 실시 형태도, 새로운 실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카테터 시스템(200)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여기에 개시된 다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의 다른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여기에 개시된 다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는, 다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카테터 시스템(200)에 대해 여기에서 설명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효율성을 위해, 카테터 시스템(200)과 카테터 시스템(100) 사이에 공통적인 구성품과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0, 11 및 12는 각각 도 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200)의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212)의 측면도, 상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13 - 13 선을 따라 취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2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14 - 14 선을 따라 취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212)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15 - 15 선을 따라 취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200)은 흡입원(202)(Vaclok 30cc 시린지, Penumbra(TM) 펌프와 같은 펌프 시스템 등일 수 있음), 시스템(200)을 통과하는 유체의 흡입 및 흐름을 제어하는 스탑코크 또는 밸브(204), 및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210)(여기에서는 보조 제트 카테터 및 단지 흡인 카테터라고도 함)를 가질 수 있고,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원위 단부(214)와 근위 단부(216)를 갖는 카테터 본체(212)를 갖는다. 손잡이(220)가 카테터 본체의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246)이, 흡인 카테터 본체(212)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246)은 카테터 본체(212)의 원위 단부(214)에 있는 제1 개구(247) 및 제1 개구에 대해 근위에 있는 제2 개구(249)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은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212)는 흡인 개구(230) 및 이 흡인 개구(230)와 연통하고 카테터 본체(212)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23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212)는, 흡인 개구에 인접하여 유체(예컨대, 혈액)의 흐름 또는 제트를 흡인 루멘 안으로 보내도록 구성된 보조 제트 요소(234)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이 보조 제트 요소(234)는, 임의의 원하는 반경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 위치에서 카테터 본체(212)를 통과해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입구 개구(240)(여기에서 단순히 보조 제트 입구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가 직립 위치에 있으면 보조 입구 흐름 개구는 측면 또는 측벽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246)은 하향 위치 또는 수직 방향 최하측 위치에 있게 된다. 이리하여, 가장 최적의 유체 흐름이 흡인 창 또는 개구(230)에 있을 수 있는 혈전 쪽으로 제공되어 그 혈전을 침식시키거나 분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제트 개구(240)는 카테터 본체(212)에서 임의의 원하는 반경 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카테터 본체(112)와 유사하게, 카테터 본체(212)는 근위 부분과 원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카테터 본체(212)의 근위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카테터 본체(112)의 근위 부분과 유사하게 보강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 사항은 효율성을 위해 여기에서 생략한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가 환자의 혈관 또는 통로를 통해 전진될 때 조직에 대한 천공 및/또는 부상의 위험을 줄이도록, 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을 포함하는 원위 선단은 부드럽거나 가요적이고 비외상성으로 설계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246)은, 카테터 본체(212)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보조 제트 입구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을 피하기 위해 카테터 본체(212)의 일측을 통과하도록 최적으로 위치된다.
흡인 개구(130)와 유사하게, 흡인 개구(230)는 라운딩된 가장자리를 갖는 만곡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 만곡된 프로파일은 카테터 본체(212)의 흡인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230)는 평평한, 각져 있는 또는 경사진 프로파일, 또는 심지어는 정사각형 단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은 제외하고). 카테터 본체(212)의 길이는, 흡인 개구(230)에 대해 원위에 있는 카테터 본체(212)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의 일부분을 포함하거나 배제하여, 카테터 본체(11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 있다.
흡인 개구(230)에 대한 보조 제트 입구(240)의 위치는, 흡인 개구(230)에 고착되어 있는 혈전을 분해하거나 침식하기 위해 필요한 유체의 흐름 또는 제트를 제공하는 보조 제트 요소의 유효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240)는, 보조 제트 입구(240)의 중심선이 흡인 개구(230)의 최근위 단부로부터 대략 1mm, 또는 대략 0mm 내지 대략 5mm, 또는 대략 1mm 내지 대략 3mm인 거리(L4)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240)는, 보조 제트 입구(240)의 중심선이 최근위 단부에 대해 원위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입구(240)가 혈전에 의해 막히거나 덮이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입구(240)를 통과하는 흐름의 혈전에 대한 충격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240)는 흡인 루멘(232)의 직경의 대략 1/3(33%) 또는 3Fr 적합 카테터의 경우에는 대략 10% 내지 대략 15% 또는 흡인 루멘(232)의 직경의 대략 25% 내지 대략 45%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흐름 입구(240)는 둥근 형상, 길게 늘여진 형상, 난자형,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에 고착되어 있는 혈전 쪽으로 향하는 추가적인 흐름 또는 제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카테터 본체를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 또는 입구를 가질 수 있다. 비한정적으로, 보조 제트 입구는 대략 3시 방향 및 9시 방향 또는 대략 3시 방향, 6시 방향 및 9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루멘의 직경(D4)(도 15 참조)은 특정한 용례의 용도 및 크기 제약에 맞는 어떤 적절한 값이라도 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는, 4.2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1.22mm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입구 직경은 대략 0.11mm이고, 이는 대략 0.086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6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2.16mm이고, 이는 대략 1.65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입구 직경은 대략 0.483mm이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8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2.82mm이고, 이는 대략 3.16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입구 직경은 대략 0.669mm 일 수 있다. 앞의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조 제트 입구에 대한 직경 값이 언급되어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이 실시 형태와 모든 다른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입구는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원형 형상을 갖는 실시 형태의 경우, 비원형 보조 제트 입구의 크기는 등가 단면적 및/또는 크기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제트 입구의 직경에 대해 이 설명에서 기재되어 있는 값들 중의 어떤 값도, 언급된 값 보다 20% 작은 값에서부터 언급된 값 보다 20% 큰 값까지 또는 언급된 값 보다 10% 작은 값에서부터 언급된 값 보다 10% 큰 값까지의 범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6 Fr 적합 흡인 카테터에 대해, 보조 제트 입구의 직경은 대략 0.386mm 내지 대략 0.580mm 또는 대략 0.435mm 내지 대략 0.531mm 일 수 있고, 각 실시 형태의 다른 값이 그에 따라 조절되어 이러한 실시 형태의 최적의 핏트 및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형태도 흡인 개구(230) 또는 보조 제트 입구(240) 근처에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밴드 또는 마커(260)를 가질 수 있고, 그래서 의사가 형광 투시 하에서 이들 부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러한 밴드 또는 마커와 조합하여, 카테터(210)의 특정 부분은 형광 투시 하에서 이러한 부분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와이어 채널(248)의 길이(L5)(도 14에 나타나 있음)는 대략 15cm, 또는 대략 10cm 내지 대략 15cm, 또는 대략 5cm 내지 대략 15cm 일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직경(D5)은 0.014 인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대략 0.016 인치일 수 있다. 더 큰 시스템, 예컨대 0.018 인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14 Fr 보다 큰 카테터를 갖는 시스템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직경(D5)은 대략 0.020 인치일 수 있다. 0.035 인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18 Fr 보다 큰 카테터를 갖는 시스템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직경(D5)은 대략 0.037 인치일 수 있다.
도 16은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212)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210)의 흡인 개구(230)에 대해 원위에 또는 상류에 위치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흡인 개구(2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혈전 등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보조 제트 입구(240)를 통과하는 혈액의 흐름(도 16에서 흐름 화살표로 나타나 있음)이 크게 감소되어, 흡인 루멘(232)을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흡인 개구(230)를 통과할 것이다.
도 17은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212)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212)의 흡인 개구(230)와 접촉해 위치하여 흡인 개구(230)를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단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 개구(2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로이므로, 유체 또는 혈액이 보조 제트 입구(240)를 통해 끌어들여져 흡인 루멘(23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보조 제트 입구(240)는, 이 보조 제트 입구를 통과하는 흐름을 혈전을 향해 또는 혈전 쪽으로 최적으로 보내거나 가하여 혈전(T)을 분해하거나 침식시키도록 크기 결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제트 입구(240)를 통과하는 혈액의 제트 또는 흐름은 결국 혈전(T)을 혈전(T)이 흡인 루멘(232)을 통해 흡인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해할 수 있고, 그리하여, 흡인 개구(230)를 통과하는 흐름을 다시 한번 재개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G)는 흡인 시술 동안에 흡인 루멘(232) 내에 유지될 수 있고, 또는 흡인 시술을 수행하기 전에 흡인 루멘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빼내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개구에 인접해 있거나 이를 막고 있는 혈전 쪽으로 유체의 제트를 보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조 제트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 제트 채널은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개구는 제2 개구와 비교하여 카테터 본체의 근위 단부에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는 혈관 내의 유체 흐름과 직접 접촉하도록 또는 그에 직접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는 카테터 본체의 외벽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혈액은 제1 개구 안으로 직접 흐르고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며 그리고 제2 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된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제1 개구를 입구 개구 또는 구멍이라고 할 수 있고 제2 개구를 출구 개구 또는 구멍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채널의 단면 형상은 둥글거나, 정사각형이거나 난자형이거나 또는 길게 늘여진 형상 등일 수 있다. 이상적으로, 형상은 길이를 따라 길게 늘여진 형상이고 구멍을 0.5 내지 3mm 연장시키고, 그래서 혈액이 더 작은 속도와 에너지 손실로 채널 안으로 흐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은 대략 길게 늘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은 흡인 루멘의 내면에서 내장형 또는 일체형의 보조 제트 채널 또는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은 흡인 개구의 최근위 부분 또는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가 테이퍼져 있거나 경사져 있을 때, 보조 제트 채널은, 카테터 시스템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흡인 개구의 일부분에 인접하여 또는 대략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더 큰 혈전 덩어리가, 흡인 루멘의 단면 크기 보다 큰 크기를 갖는 카테터의 원위 단부 안으로 끌려 들어가 혈전 덩어리가 흡인 개구 또는 흡인 루멘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없으면(그래서, 흡인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막히게 하거나 방해할 수 있음), 혈액이 여전히 보조 제트 채널을 통해 흡인 루멘 안으로 끌려 들어갈 수 있고, 이로써 혈전을 분해할 수 있는 유체의 제트가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은, 채널의 원위 개구가 카테터 시스템의 원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흡인 개구의 일부분에 인접하여 또는 대략 인접하여 위치되거나 또는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와 원위 가장자리 사이의 어느 곳에서나 위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제트 채널의 제2 개구(또는 출구) 밖으로 나가 흡인 루멘 안으로 흐르는 혈액은, 흡인 개구에 인접하거나 그에 접촉해 있는 덩어리에 힘을 가할 수 있고, 이 힘이 혈전을 흡인 개구 및/또는 흡인 루멘을 통과할 수 있는 더 작은 조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혈전이 흡인 개구 및/또는 보조 제트 채널의 단부에 있는 개구를 덮고 있을 때에도, 보조 제트 채널은 흡인 개구 및/또는 이 흡인 개구와 접촉하거나 그에 인접하거나 또는 그 근처에 있는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에 보내지는 혈액 흐름을 환자의 혈관 구조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고, 그 혈액 흐름은 혈전을 연속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은, 흡인 루멘의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의 대략 10% 또는 흡인 루멘의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의 대략 5% 내지 대략 25% 이상, 또는 대략 10% 내지 대략 15%인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제트 채널은 위에 기재된 크기보다 큰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하지만, 보조 제트 채널에 의해 혈전에 가해지는 전단력의 유효성은 보조 제트 채널의 더 큰 단면 크기로 인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의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은 대략 0.2mm2 보다 클 수 있다.
추가로, 비교적 더 작은 카테터 크기(예컨대, 3 Fr 내지 5 Fr)를 갖는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 개구(보조 제트 개구, 보조 채널, 신축자재형(telescopic) 구성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을 위한)는 흡인 루멘의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의 대략 20% 내지 대략 50% 또는 대략 25% 내지 대략 35%인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더 큰 카테터 크기(예컨대, 6 Fr 이상)를 갖는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입구 개구(보조 제트 개구, 보조 채널, 신축자재형 구성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을 위한)는 흡인 루멘의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의 대략 10% 내지 대략 40% 또는 대략 20% 내지 대략 40%인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4.2 Fr 적합 흡인 카테터(즉, 4.2 Fr 가이드 쉬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에서, 이 카테터는 대략 1.22mm 이하의 외경을 가질 수 있고, 보조 제트 채널의 단면적은 대략 0.003mm2일 수 있고, 흡인 루멘의 단면적은 대략 0.03mm2일 수 있는데, 하지만 카테터의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는 단면적은 그 보다 클 수 있다. 6F 적합 흡인 카테터(관상 동맥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이 카테터는 대략 2.16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고, 보조 제트 채널의 단면적은 대략 0.09mm2일 수 있으며 또한 흡인 루멘의 단면적은 대략 0.83mm2일 수 있다. 8F 적합 흡인 카테터에 대해서는, 이 카테터는 대략 2.82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고, 보조 제트 채널의 단면적은 대략 0.18mm2일 수 있으며 또한 흡인 루멘의 단면적은 대략 1.65mm2일 수 있다.
보조 제트 채널의 단면적에 대해 이 설명에서 기재된 값들 중의 어떤 값도. 언급된 값 보다 20% 작은 값에서부터 언급된 값 보다 20% 큰 값까지 또는 언급된 값 보다 10% 작은 값에서부터 언급된 값 보다 10% 큰 값까지의 범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6Fr 적합 흡인 카테터에 대해서, 보조 제트 채널의 단면적은 대략 0.0024mm2 내지 대략 0.0036mm2 또는 대략 0.0027mm2 내지 대략 0.0033mm2일 수 있고, 각 실시 형태의 다른 값은 그에 따라 조절되어 이러한 실시 형태의 최적의 핏트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여기에 개시된 이 실시 형태 및 모든 다른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채널은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의 흐름 채널은, 다양한 적절한 또는 원하는 형상(예컨대, 원형 또는 비원형(길게 늘여진 형상, 만곡되어 길게 늘여진 형상, 난자형, 직사각형 등을 포함하여)), 크기 및 기하학적 구조 중의 어떤 것으로도 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채널의 크기는 변할 수 있지만, 적절한 혈액 흐름이 허용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입구 개구가 혈전에 의해 막힐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입구는 목표 병변(lesion)의 외부에 있도록 흡인 개구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위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입구가 흡인 개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어떤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 흐름 속도와 양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작은 용례에서, 보조 제트 요소의 크기는, 혈액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고 보조 제트 요소를 통해 흐르거나 또는 적혈구를 자름이 없이 보조 제트 요소를 통해 흐르는 것을 보장하도록 적절해야 한다. 보조 제트 요소가 너무 작으면, 그 보조 제트 요소를 통과하는 혈액의 흐름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7F 시스템을 사용하는, 관상 동맥 외의 다른 용례에서,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의 직경은 (비한정적으로) 대략 0.012 인치 내지 대략 0.025 인치 또는 대략 0.010 인치 내지 대략 0.031 인치일 수 있다. 8F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의 직경은 (비한정적으로) 대략 0.010 인치 내지 대략 0.028 인치 이상 또는 대략 0.014 인치 내지 대략 0.028 인치일 수 있다. 9F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의 직경은 (비한정적으로) 대략 0.010 인치 내지 대략 0.032 인치 이상 또는 대략 0.014 인치 내지 대략 0.032 인치일 수 있다. 5F 시스템에서,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의 직경은 (비한정적으로) 대략 0.011 인치 내지 대략 0.015 인치 또는 이용 가능한 루멘 직경 또는 크기의 대략 30% 내지 40%일 수 있다.
도 18은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 시스템(300)의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이 실시 형태는 신속 교환 구성이다. 카테터(300)의 어떤 실시 형태도, 새로운 실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카테터 시스템(300)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여기에 개시된 다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의 다른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여기에 개시된 다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는, 다른 카테터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카테터 시스템(300)에 대해 여기에서 설명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효율성을 위해, 카테터 시스템(300)과 카테터 시스템(100) 또는 카테터 시스템(200) 사이에 공통적인 구성품과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9, 20 및 21은 각각 도 18에 나타나 있는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 시스템(300)의 실시 형태의 보조 채널 카테터 본체(312)의 측면도, 상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22 - 22 선을 따라 취한, 보조 채널 카테터 본체(312)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23 - 23 선을 따라 취한, 보조 채널 카테터 본체(312)의 단면도이다.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 시스템(300)은 흡입원(302)(Vaclok 30cc 시린지, Penumbra(TM) 펌프와 같은 펌프 시스템 등일 수 있음), 시스템(300)을 통과하는 유체의 흡입 및 흐름을 제어하는 스탑코크 또는 밸브(304), 및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310)(여기에서는 보조 채널 카테터 및 단지 흡인 카테터라고도 함)를 가질 수 있고,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는, 원위 단부(314)와 근위 단부(316)를 갖는 카테터 본체(312)를 갖는다. 손잡이 또는 허브(320)가 카테터 본체의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346)은 카테터 본체(312)의 원위 단부(314)에 있는 제1 개구(347) 및 제1 개구에 대해 근위에 있는 제2 개구(349)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채널(348)은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312)는 흡인 창 또는 개구(330), 및 흡인 개구(330)와 연통하고 카테터 본체(312)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33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312)는, 흡인 개구에 인접하여 유체(예컨대, 혈액)의 흐름 또는 제트를 흡인 루멘 안으로 보내도록 구성된 보조 제트 요소(334)를 가질 수 있다. 이 보조 제트 요소(334)는, 원하는 반경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 위치에서 카테터 본체(312)를 통과해 형성되어 있는 보조 채널 입구 또는 채널 개구(340)(여기에서 보조 채널 입구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가 직립 위치에 있으면 보조 입구 흐름 개구는 정상 벽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346)은 하향 위치 또는 수직 방향 최하측 위치에 있으며, 그래서 보조 흐름 요소(334)가 흡인 개구(330)의 근위 가장자리에 가장 가깝게 된다. 이는, 흡인 개구(330)에 있을 수 있는 혈전 쪽으로 가장 최적의 유체 흐름을 제공하여 그 혈전을 침식시키거나 분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채널 개구(340)는 카테터 본체(312)에서 임의의 원하는 반경 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카테터 본체(112)와 유사하게, 카테터 본체(312)는 근위 부분과 원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카테터 본체(312)의 근위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카테터 본체(112)의 근위 부분과 유사하게 보강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 사항 및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른 카테터 본체의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카테터 본체의 다른 특징 또는 특성은 효율성을 위해 여기에서 생략하지만, 이들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가 환자의 혈관 또는 통로를 통해 전진될 때 조직에 대한 천공 및/또는 부상의 위험을 줄이도록, 가이드 와이어 채널(348)을 포함하는 원위 선단은 부드럽거나 가요적이고 비외상성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346)은, 카테터 본체(312)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34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보조 채널 입구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348)을 피하기 위해 카테터 본체(312)의 일측을 통과하도록 최적으로 위치된다.
흡인 개구(130)와 유사하게, 흡인 개구(330)는 아치형, 포물형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의 만곡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카테터의 밀어넣기 성능을 개선하고 조직에 대한 외상 또는 다른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장자리는 라운딩될 수 있다. 흡인 개구의 프로파일은 카테터 본체(312)의 흡인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330)는 평평한, 각져 있는 또는 경사진 프로파일, 또는 심지어는 정사각형 단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가이드 와이어 채널(348)은 제외하고). 카테터 본체(312)의 길이는, 흡인 개구(330)에 대해 원위에 있는 카테터 본체(312)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348)의 일부분을 포함하거나 배제하여, 카테터 본체(11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 있다.
흡인 개구(330)에 대한 보조 채널 입구(340)의 위치는, 흡인 개구(330)에 고착되어 있는 혈전을 분해하거나 침식시키기 위해 필요한 유체의 흐름 또는 제트를 제공하는 보조 제트 요소의 유효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채널 입구(340)는, 흡인 개구(330)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보조 채널 입구(340)의 더 가까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L5)가 대략 5mm 내지 대략 100mm 또는 대략 20mm 내지 대략 60mm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거리(L5)는 보조 제트 채널(342)과 보조 제트 채널 루멘(344)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나타낸다. 관상 동맥에 사용되는 경우, 채널(342)의 길이(L5로 나타나 있음)는 대략 30mm 내지 대략 50mm 일 수 있다.
보조 채널 입구(340)는 플라크,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 또는 병변 근처의 조직에 의해 막히거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카테터 본체(312)의 원위 단부(314)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지만 가이드 카테터의 단부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카테터 본체(312)의 원위 단부(314)에 충분히 가깝도록 위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더 짧은 보조 제트 채널은 더 긴 보조 제트 채널보다 더 작은 저항을 보일 것이고 또한 더 작은 압력 손실을 가질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채널 입구(340)는 보조 제트 채널 직경 또는 크기의 직경 또는 크기(면적 면에서 정의될 수 있음)와 대략 일치하는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채널 입구(340)는 흡인 루멘(332)의 직경의 대략 1/3(33%)인, 또는 3Fr 적합 카테터의 경우에는 대략 10% 내지 대략 15%, 또는 흡인 루멘(332)의 직경의 대략 25% 내지 대략 45%인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흐름 입구(340)는 둥근 형상, 길게 늘여진 형상, 난자형,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채널 입구(340)는 대략 0.5mm 내지 대략 3mm, 또는 대략 1mm 내지 대략 2mm인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342)의 루멘(344)은 흡인 루멘(332)의 직경 또는 단면 크기의 대략 25%, 또는 흡인 루멘(332)의 직경 또는 단면 크기의 대략 10% 내지 대략 40%인 직경 또는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342)의 루멘(344)은, 대략 0.04mm2 또는 대략 0.02mm2 내지 대략 0.3mm2 인 단면적을 갖는다. 예컨대, 4.2 Fr의 경우.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루멘(332)의 직경(D7)(도 22 참조)은 특정한 용례의 용도 및 크기 제약에 맞는 어떤 적절한 값이라도 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는, 4.2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1.22mm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채널 면적은 대략 0.02mm2 이고, 이는 대략 0.22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6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2.16mm이고, 이는 대략 1.48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제트 채널 단면적은 대략 0.16mm2 이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8 Fr 가이드 쉬스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쉬스로 최적으로 기능하는(즉, 주변의 유체 등으로부터 흐름을 끌어들이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최대 외경은 대략 2.82mm이고, 이는 대략 2.74mm2의 단면적을 갖는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적절한 보조 채널 입구 면적은 대략 0.30mm2 이다. 앞의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변할 수 있다.
유량은 보조 제트 채널의 크기 또는 루멘 크기에 대한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루멘의 크기는 점성 혈액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고 이는 다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채널은 너무 작아서는 안 된다. 추가적으로, 채널 루멘을 통과하는 너무 느린 흐름이 또한 보조 제트 요소의 유효성을 또한 저해할 수 있는데, 느린 흐름은 혈전을 효과적으로 침식시키거나 분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채널(및 흡인 루멘 자체)은 환자로부터 혈액을 너무 빨리 빼낼 정도로(그러면 저체온증이 유발될 수 있음) 커서는 안 된다. Penumbra(TM) 펌프와 같은 펌프 시스템이 흡인에 사용되는 경우에 저체온증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을 위한 입구 개구(340)의 크기 또는 직경은 보조 제트 채널 직경 또는 크기의 직경 또는 크기(면적 면에서 정의될 수 있음)와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에 고착되어 있는 혈전 쪽으로 향하는 추가의 흐름 또는 제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카테터 본체를 통과하는 복수의 채널 및 입구를 가질 수 있다. 비한정적으로, 보조 제트 채널 및 입구는 대략 3시 방향 및 9시 방향 또는 대략 3시 방향, 6시 방향 및 9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제트 채널에 대해 근위에서, 흡인 루멘은 원위 부분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카테터 실시 형태에서도, 카테터 본체의 벽은 대략 0.003 인치 내지 대략 0.005 인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내벽은 대략 0.003 인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외벽은 대략 0.005 인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채널에 인접하는 외벽 두께는 대략 0.003 인치일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형태도 흡인 개구(330) 또는 보조 채널 입구(340) 근처에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밴드 또는 마커(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그래서 의사가 형광 투시 하에서 이들 부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러한 밴드 또는 마커와 조합하여, 카테터(310)의 특정 부분은 형광 투시 하에서 이러한 부분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와이어 채널(348)의 길이는 대략 15cm, 또는 대략 10cm 내지 대략 15cm, 또는 대략 5cm 내지 대략 15cm 일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직경(D5)은 0.014 인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대략 0.016 인치일 수 있다. 더 큰 시스템, 예컨대 0.018 인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14 Fr 보다 큰 카테터를 갖는 시스템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직경(D5)은 대략 0.020 인치일 수 있다. 0.035 인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18 Fr 보다 큰 카테터를 갖는 시스템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직경(D5)은 대략 0.037 인치일 수 있다.
도 24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312)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310)의 흡인 개구(330)에 대해 원위에 또는 상류에 위치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흡인 개구(3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혈전 등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보조 채널 입구(340)를 통과하는 혈액의 흐름(도 16에서 흐름 화살표로 나타나 있음)이 크게 감소되어, 흡인 루멘(332)을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흡인 개구(330)를 통과할 것이다.
도 25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312)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312)의 흡인 개구(330)와 접촉해 위치하여 흡인 개구(330)를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단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 개구(3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로이므로, 유체 또는 혈액이 보조 채널 입구(340)를 통해 끌어 들여져 보조 제트 채널(342)을 통해 흐르며 보조 제트 출구(345) 밖으로 나가 혈전으로 갈 수 있다. 채널(342)을 통과하는 이러한 흐름은 흡인 루멘(332)에 의해 흡인될 수 있다. 보조 채널 입구(340)는, 보조 제트 입구를 통과하는 흐름을 혈전을 향해 또는 혈전 쪽으로 최적으로 보내거나 가하여 혈전(T)을 분해하거나 침식시키도록 크기 결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채널 입구(340)를 통과하는 혈액의 제트 또는 흐름은 결국 혈전(T)을 혈전(T)이 흡인 루멘(332)을 통해 흡인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해할 수 있고, 그리하여, 흡인 개구(330)를 통과하는 흐름을 다시 한번 재개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도 흡인 루멘에 의해 지지되거나 그 루멘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흐름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이 있는 경우에, 채널은 흡인 루멘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을 갖는 실시 형태는 흡인을 통해 혈전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유효성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을 갖는 실시 형태는, 종래에 이용 가능한 흡인 카테터보다 혈전 제거 효과가 더 클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요소(보조 제트 채널 또는 단지 보조 제트 개구를 포함할 수 있음)를 가짐으로써, 혈전의 분해 및 제거에 시너지 효과가 생길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흐름은 함께 작용하여, 흡인 개구에 있는 혈전을 매우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을 갖는 실시 형태에서, 입구는 동일한 축방향 지점 또는 영역에서 정렬될 수 있고 또는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엇갈리게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인 카테터 선단이 (가이드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지나) 관상 동맥 안으로 5cm 내지 15cm 깊이에 있는 상태에서 흡인이 행해지는 경우, 보조 제트 입구 구멍은 선단으로부터 5cm 내에 위치되어, 구멍이 혈액에 노출되어 흐름을 공급하고 가이드 카테터 내부에 숨겨지지 않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설계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신축자재형의 보조 제트 흐름 설계로서 실행될 수 있고, 그래서, 여기에 개시된 다른 특징과 조합하여,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의 신축자재형의 보조 제트 카테터 시스템의 특징, 구성품, 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카테터의 내면과 카테터 본체의 외면 사이의 틈이 너무 작으면, 예컨대 대략 0.003 인치 보다 작으면, 흐름이 방해될 수 있다. 추가로, 입구 개구가 카테터의 곡부에 위치되면 입구 구멍은 가이드 카테터의 벽에 눌려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는 흐름을 방해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그로 인해 가이드 카테터 및 카테터 본체가 서로에 눌리게 됨).
대안적으로, 보조 제트 채널을 갖는 어떤 실시 형태에서, 채널은 항상 채널의 입구의 위치가 아닌 채널의 단부의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유출 지점을 가질 것이기 때문에, 입구 개구는 관통 구멍의 보조 제트 설계와 비교하여 카테터 본체의 더 큰 거리 또는 범위에 걸쳐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채널을 위한 입구 개구는 관통 구멍 보조 제트 설계와 비교하여 흡인 창으로부터 상당히 더 멀리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카테터와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사이의 틈이 임계량 보다 크면 가이드 카테터 내부에 있는 흡인 카테터의 일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임계량은 대략 0.003 인치 보다 클 수 있다.
추가로, 여기에 개시된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 시스템(300)의 어떤 실시 형태 또는 변화예도 오버-더-와이어 카테터 구성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이는 비한정적으로 가이드 와이어 채널을 생략하고 그에 따라 카테터 본체의 단면을 조절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리하여, 흡인 루멘 및/또는 보조 제트 채널은 카테터 본체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킴이 없이 더 큰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채널 제트를 갖는 오버-더-와이어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의 한 실시 형태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채널 출구는 상이한 각도의 개구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보조 제트 채널의 출구 개구는, 혈전을 흡인 루멘으로부터 밀어냄이 없이 출구 개구 앞의 혈전에 대한 전단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략 45°의 하향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보조 제트 채널의 출구 개구는 곧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출구 개구의 45°각도는 출구가 혈전에 의해 막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의 출구 개구는 90°의 하향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이 각도는 막힘의 위험을 더 최소화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출구 개구의 형상 및 배향은, 혈전의 일부분이 이미 루멘 내부에 있을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제트 채널의 출구 개구는 135°각도 또는 90°를 넘는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각도는 혈전을 안으로 미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흡인 개구에 인접해 또는 그와 접촉하여 위치되는 혈전에 대한 큰 전단 효과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출구는 흡인 개구의 근위 단부로부터 뒤로 물러나 있어(대략 0.5 내지 2mm) 막힘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출구 또는 유출 개구를 뒤로 너무 멀리 물리면, 흐름 속도 및 혈전에 대한 보조 제트의 전단력이 과도하게 줄어들 수 있다. 도 33은 오버-더-와이어 구성의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470)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로, 이 카테터는 카테터 본체(472), 보조 제트 채널(474) 및 흡인 루멘(476)을 갖는다. 도 33을 참조하면, 보조 제트 채널(474)의 원위 단부(477)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472)의 특징적 부분의 크기와 상세 사항에 따라, 대략 2mm, 또는 대략 0.5mm 이하 내지 대략 3mm 이상, 또는 대략 0.5mm 내지 대략 1.5mm 일 수 있는 거리(도 33에서 L6로 나타나 있음)로 흡인 창(478)의 근위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근위 방향으로 뒤로 물러나 있을 수 있다.
도 34는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 구성의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480)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로, 이 카테터는 카테터 본체(482)와 보조 제트 채널(484) 및 흡인 루멘(486)을 갖는다. 도 34를 참조하면, 보조 제트 채널(484)의 원위 단부(487)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482)의 특징적 부분의 크기와 상세 사항에 따라, 대략 2mm, 또는 대략 0.5mm 이하 내지 대략 3mm 이상, 또는 대략 0.5mm 내지 대략 1.5mm 일 수 있는 거리(도 34에서 L7로 나타나 있음)로 흡인 창(488)의 근위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근위 방향으로 뒤로 물러나 있을 수 있다.
도 26은 오버-더-와이어 구성의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410)의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흡인 카테터(410)의 어떤 실시 형태도, 새로운 실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흡인 카테터(410)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여기에 개시된 다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의 다른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비한정적으로 이는, 여기에 개시된 또는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특징적 부분 또는 구성품을 추가하여 보조 채널 흡인 카테터(410)는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여기에 개시된 다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는, 다른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흡인 카테터(410)에 대해 여기에서 설명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흡인 카테터(410)의 실시 형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흡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 및/또는 그의 구성품과 함께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효율성을 위해, 흡인 카테터(410)의 실시 형태와 흡인 카테터(310)의 실시 형태 및/또는 여기에 개시된 다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 사이에 공통적인 구성품과 특징 그리고 흡인 카테터(410)의 실시 형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구성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27 및 28은 각각 도 26에 나타나 있는 보조 채널 카테터 본체(412)의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29 - 29 선을 따라 취한,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412)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30 - 30 선을 따라 취한, 도 19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어떤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412)는 흡인 창 또는 개구(430), 및 흡인 개구(430)와 연통하고 카테터 본체(412)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432)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카테터 실시 형태(410)는 오버-더-와이어 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 본체(412)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432)의 크기는 보조 카테터 실시 형태(310)의 흡인 루멘(332)보다 클 수 있고, 이는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 시술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 흡인 루멘(432)의 크기는, 흡인 루멘(432)의 원위 부분에 형성되는 보조 제트 채널(442)의 크기를 제외하고는, 위에서 개시된 보조 제트 카테터(110)의 실시 형태의 흡인 루멘(132)과 일반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442)의 길이, 직경, 및 다른 크기는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채널(342) 또는 다른 보조 제트 채널과 일반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412)는, 흡인 개구에 인접하여 유체(예컨대, 혈액)의 흐름 또는 제트를 흡인 루멘 안으로 보내도록 구성된 보조 제트 요소(434)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요소(434)는, 원하는 반경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 위치에서 카테터 본체(412)를 통해 형성되어 있는 보조 채널 입구 또는 채널 개구(440)(여기에서 단지 보조 채널 입구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가 직립 위치에 있으면 보조 입구 흐름 개구는 정상 벽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그래서 보조 흐름 요소(434)는 흡인 개구(430)의 근위 가장자리에 가장 가깝게 된다. 대안적으로, 보조 채널 개구(440)는 카테터 본체(412)에서 임의의 원하는 반경 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개구(430)는 평평하지만 각진 프로파일, 아치형, 포물형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의 만곡된 프로파일, 정사각형 프로파일 등을 가질 수 있다. 카테터의 밀어넣기 성능을 개선하고 조직에 대한 외상 또는 다른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장자리는 라운딩될 수 있다. 카테터 본체(412)의 길이는, 카테터 본체(112)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여기에 개시된 다른 카테터 본체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보조 제트 요소(434)의 어떤 실시 형태도 보조 제트 채널(442)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방향 전환기 또는 커버 요소(447)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전환기 요소(447)는, 보조 제트 채널(442)과 접촉할 수 있는 혈전 또는 다른 부스러기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차단 또는 폐색으로부터 보조 채널 루멘(444)의 개구(445)를 차단하거나 보호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보조 채널 루멘(442)의 개구(445)가 흡인 중에 막히는 가능성이 줄어든다. 추가로, 방향 전환기 요소(447)는 제트 채널 루멘(444)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제트 또는 흐름을 하향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비한정적으로, 방향 전환기 요소(447)는, 제트 채널 루멘(444)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략 45°또는 제트 채널 루멘(444)에 대해 대략 30°내지 대략 60°또는 대략 15°내지 대략 90°이상의 각도로 제트 채널 루멘(444)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제트 또는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2는 흡인 카테터(460)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며, 이 흡인 카테터는 보조 제트 채널(464)을 갖는 카테터 본체(462), 및 제트 채널 루멘(464)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제트 또는 흐름을 더 큰 하향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방향 전환기 요소(467)를 갖는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방향 전환기 요소(467)는, 제트 채널 루멘(444)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략 90°또는 제트 채널 루멘(464)에 대해 대략 60°내지 대략 90°이상 또는 대략 75°내지 대략 90°의 각도로 제트 채널 루멘(464)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제트 또는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트 채널 루멘(444)의 원위 단부 및 방향 전환기 요소(447)는 흡인 개구(430)의 최근위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여기에 개시된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채널(442)의 모두 또는 일부분은, 제트 채널 루멘(444)의 원위 단부 및 방향 전환기 요소(447)가 흡인 루멘(432) 내부에 대략 1mm 내지 대략 5mm 만큼 뒤로 물러나 있도록, 뒤로 물러나 있을 수 있다.
도 31은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412)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412)의 흡인 개구(430)와 접촉해 위치하여 흡인 개구(430)를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단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 개구(4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로이므로, 유체 또는 혈액은, 보조 채널 입구(440)를 통해 끌려 들어와 보조 제트 채널(442)의 루멘(444)을 통해 흐르고, 방향 전환기 요소(447)에 의해 아래쪽으로 방향 전환되어, 보조 제트 출구(445) 밖으로 나가게 된다. 채널(442)을 통과하는 이러한 흐름은 흡인 루멘(432)에 의해 흡인될 수 있다. 방향 전환기 요소(447)는 보조 제트 채널(442)의 루멘(444)이 혈전(T)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추가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흐름 또는 제트를 하향 각도로 주면, 혈전(T)에 대한 보조 제트의 전단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35는 오버-더-와이어 구성의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510)의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흡인 카테터(510)의 어떤 실시 형태도, 새로운 실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흡인 카테터(510)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여기에 개시된 다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의 다른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여기에 개시된 다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는, 다른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흡인 카테터(510)에 대해 여기에서 설명된 특징, 구성품, 재료, 치수 및/또는 다른 상세 사항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다. 효율성을 위해, 흡인 카테터(510)와 여기에 개시된 다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 사이에 공통적인 구성품과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흡인 카테터(510)의 실시 형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흡인 카테터 시스템 실시 형태 및/또는 그의 구성품과 함께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효율성을 위해, 흡인 카테터(510)의 실시 형태와 흡인 카테터(310)의 실시 형태 및/또는 여기에 개시된 다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 사이에 공통적인 구성품과 특징적 부분 그리고 흡인 카테터(510)의 실시 형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구성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36, 37 및 38은 각각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510)의 사시도,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39 - 39 선을 따라 취한,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510)의 단면도이고, 도 40은 도 38의 40 - 40 선을 따라 취한,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510)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이다.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510)(여기에서 보조 제트 카테터 및 단지 흡인 카테터라고도 함)는 원위 단부(514)와 근위 단부(516)를 갖는 제1 또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를 가질 수 있다. 제1 손잡이(520)가 제1 카테터 본체(512)의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흡인 카테터(510)는 또한 원위 단부(515)와 근위 단부(517)를 갖는 제2 또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테터 본체(513)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의 내경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근위 단부에서 제2 손잡이(521)를 가질 수 있다. 흡인 카테터(510)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내측 카테터 본체(513)의 근위 단부(517)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의 근위 단부(516)에 대해 근위에서 연장될 것이며, 그래서 외과 의사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 및 제1 손잡이(520)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손잡이(521)를 잡고 제1 손잡이(520)와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손잡이(521)를 전진시키거나 빼내어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 운동에 의해 내측 카테터(513)가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동시에 전진되거나 빼내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어떤 실시 형태에서, 제1 또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는 원위 단부에 있는 흡인 개구(530), 및 이 흡인 개구(530)와 연통하고 외측 카테터 본체(512)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1 흡인 루멘(532)을 가질 수 있다. 제2 또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는 원위 단부에 있는 흡인 개구(531), 및 이 흡인 개구(531)와 연통하고 카테터 본체(513)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2 흡인 루멘(533)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카테터 본체(512)의 길이는 여기에 개시된 다른 카테터 본체 실시 형태와 일반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내측 카테터 본체(513)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보다 길 수 있고, 그래서 내측 카테터 본체(513)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의 근위 단부를 넘어 근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또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는 유체와 혈전을 흡인하고 또한 제2 또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테터 본체(512, 513)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의 외면과 외측 카테터 본체(512)의 내면 사이의 틈을 최소화하고 또한 공간을 최대화하며 또한 내측 및 외측 카테터 본체(512, 513) 사이에서의 혈액 또는 유체 흐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 카테터 본체(512, 513)는, 이들 카테터 본체 사이의 틈이 대략 0.0015 인치 내지 대략 0.003 인치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제1 및/또는 제2 카테터 본체(512, 513)는 카테터 본체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인덱싱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및/또는 제2 카테터 본체(512, 513)의 어떤 실시 형태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의 원위 단부(515)가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전진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는 멈춤부 또는 다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리하여, 제2 카테터 본체(513)가 전진되어 멈춤부 또는 축방향 한계에 도달했을 때, 제1 및 제2 카테터 본체(512, 513)를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조 제트 요소(534)의 개구(540, 541)의 정렬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내측 카테터 본체(513)가 원위 방향으로 제1 위치까지 전진되면(내측 카테터 본체(513)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가능한 한 멀리 원위 방향으로 전진됨), 보조 제트 요소(534)는 개방 또는 활성화 상태에 있게 될 것이며, 이 상태는 도 40 및 42에 나타나 있다.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빼내면, 보조 제트 요소(534)는 폐쇄 상태(도 41에 나타나 있음)로 움직일 수 있다. 흡인 카테터(510)의 어떤 실시 형태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일어나는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한 내측 카테터 본체(513)의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 또는 다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대략 5mm 내지 대략 10mm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 제트 요소(534)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체(예컨대, 혈액)의 흐름 또는 제트를 흡인 개구에 인접하는 흡인 루멘 안으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제트 요소(534)는, 임의의 원하는 반경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 위치에서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통해 형성되어 있는 보조 채널 입구 또는 채널 개구(540)(여기에서 단지 보조 채널 입구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카테터 본체와 외측 카테터 본체를 갖는 다른 실시 형태는 채널을 갖지 않는 보조 제트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 본체(513)가 직립 위치에 있으면 보조 입구 흐름 개구(540)는 정상 벽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그래서 보조 흐름 요소(534)가 흡인 개구(530)의 근위 가장자리에 가장 가깝게 된다. 대안적으로, 보조 채널 개구(540)는 카테터 본체(513)에서 임의의 원하는 반경 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로, 도 40 및 4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541)가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형성될 수 있고, 내측 카테터 본체(513)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그 개구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540)와 정렬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있는 개구(541)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에 있는 개구(540)와 동일한 크기이거나 그 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대략 10% 내지 20% 더 큼). 개구(540, 541)는 원형, 난자형, 길게 늘여진 형상 또는 임의의 원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사용자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제1 위치로 전진시켜 보조 제트 요소(534)를 활성화시키고 또한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제2 위치 또는 임의의 위치(이 위치에서 개구(540, 541)는 정렬에서 벗어나고 외측 카테터 본체(512)가 본질적으로 개구(540)를 밀봉함)로 빼내거나 끌어 당겨, 보조 제트 요소(534)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보조 제트 요소(53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카테터(510)는, 사용자가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외측 카테터 본체(512)에 대해 회전시켜 개구(540, 541)를 정렬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보조 제트 요소(534)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1은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510)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510)의 흡인 개구(530)에 대해 원위에 또는 상류에 위치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흡인 개구(5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혈전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를 받지 않는다. 사용자는 보조 제트 요소(534)를 활성화시키지 않았고, 그래서 보조 제트 요소(534)를 통해 흐르는 혈액 또는 유체는 거의 또는 전혀 없다. 흡인 루멘(533)을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은 흡인 개구(530)를 통과하게 된다.
도 42는 도 35에 나타나 있는 보조 제트 카테터(510)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로, 보조 제트 카테터 본체(512)의 흡인 개구(530)와 접촉해 위치하여 흡인 개구(530)를 통과하는 흐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단하는 혈전(T) 덩어리를 흡인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 개구(5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로로 된다. 사용자가 카테터(510)에 흡입을 가함에 따라,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제1 위치로 전진시켜 보조 제트 요소(534)가 활성화되면, 유체 또는 혈액은 보조 채널 입구(540, 541)를 통해 끌려 들어와 보조 제트 채널(542)의 루멘(544)을 통해 흐르고 보조 제트 출구(545) 밖으로 나가 혈전으로 가게 된다. 채널(542)을 통과하는 이러한 흐름은 혈전(T)을 분해할 수 있고, 내측 카테터 본체(513)에 형성되어 있는 흡인 루멘(533)에 의해 흡인될 수 있다.
보조 채널 입구(540)는, 보조 제트 입구를 통과하는 흐름을 혈전을 향해 또는 혈전 쪽으로 최적으로 보내거나 가하여 혈전(T)을 분해 또는 침식시키도록 크기 결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채널 입구(540)를 통과하는 혈액의 제트 또는 흐름은 결국 혈전(T)을 혈전(T)이 흡인 루멘(533)을 통해 흡인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해할 수 있고, 그리하여 흡인 개구(530)를 통과하는 흐름을 다시 한번 재개할 수 있다. 일단 이것이 달성되면, 사용자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제2 위치로 빼내어 보조 제트 요소(534)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물론, 어떤 실시 형태에서, 비활성화는, 내측 카테터 본체(513)를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래서 보조 흐름 요소(534)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카테터 본체(510)의 조작은 전술한 바와 반대이거나 다르게 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도 흡인 루멘에 의해 지지되거나 그 루멘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흐름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이 있는 경우에, 채널은 흡인 루멘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을 갖는 실시 형태는 흡인을 통해 혈전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유효성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을 갖는 실시 형태는, 종래에 이용 가능한 흡인 카테터보다 혈전 제거 효과가 더 클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요소(보조 제트 채널 또는 단지 보조 제트 개구를 포함할 수 있음)를 가짐으로써, 혈전의 분해 및 제거에 시너지 효과가 생길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제트 흐름은 함께 작용하여, 흡인 개구에 있는 혈전을 매우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루멘 내부에 복수의 보조 제트 채널이 있으면, 흡인 루멘의 흐름 면적이 수축되거나 좁아질 수 있고, 그래서 벤튜리 효과라고 하는 유체 역학적 이점이 생길 수 있다. 이 벤튜리 효과는 흡인 루멘의 수축부를 통과하는 혈액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켜, 흡인 개구에서 분해되는 혈전에 가해지는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루멘은 또한 보조 제트 개구에 인접하는 수축부를 가질 수 있다. 흡인 루멘의 수축부는, 수축부에 대해 근위에 있는 흡인 루멘의 비수축부의 단면적 보다 대략 30% 작은, 또는 수축부에 대해 근위에 있는 흡인 루멘의 비수축부의 단면적 보다 대략 35% 내지 대략 50%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카테터 본체를 통과하는 보조 제트 개구의 입구 프로파일은 각져 있을 수 있어, 보조 제트가 수직 배향에 대해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개구의 입구 프로파일은, 보조 제트가 수직 배향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즉, 카테터 본체의 근위 단부 쪽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개구의 입구 프로파일은, 보조 제트가 수직 배향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즉,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 쪽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보조 제트가 곧게 흡인 루멘 안으로(수직 배향에 평행하게) 들어 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인 루멘의 수축부는 수축부를 통과하는 유체 및 부스러기의 흐름 속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높은 속도의 유량은 혈전에 가해지는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래서 보조 제트로부터 흡인 루멘에서의 혈전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개구(들)의 위치 및/또는 크기와 수축부의 크기는, 흡인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을 과도하게 감소시킴이 없이 수축부를 통과하는 최적의 흡입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측면 구멍의 각도 및 상대 위치는, 벤튜리 효과를 최적화하고 또한 혈전에 대한 전단 효과를 최적화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수축부는 흡인 카테터 본체의 더 두꺼운 벽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인 루멘의 수축부에 인접하는 벽 부분은 테이퍼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테이퍼는 근위 방향보다 원위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측면 구멍은 수축부의 선두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수축부는 테이퍼형 프로파일 또는 이중 테이퍼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어떤 수축부도 중간 부분, 흡인 루멘을 통과하는 흐름 방향에 대해 상류에 또는 중간 부분에 대해 원위에 있는 선두(leading) 부분, 및 중간 부분과 선두 부분의 하류에 또는 그에 대해 근위에 있는 후미(trailing)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중간 부분의 돌출부의 길이 또는 두께는 선두 부분 또는 후미 부분보다 클 수 있고, 그래서 중간 부분은 선두 부분 또는 후미 부분보다 흡인 루멘에서의 흐름 안으로 더 많이 들어가 있게 된다.
수축부의 선두 및/또는 후미 부분은, 그의 길이를 따라 각진, 테이퍼진 또는 만곡된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길이는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 길이를 따른 것임) 또는 길이를 따라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선두 부분은 그의 길이를 따라 제1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후미 부분은 그의 길이를 따라 제2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형상 또는 프로파일은 제1 형상 또는 프로파일과 다르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선두 가장자리의 표면은 대략 35도 또는 대략 30도 내지 대략 40도 또는 대략 20도 이하 내지 대략 45도 이상의 배향을 갖는 카테터 본체의 외벽에 대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후미 가장자리의 표면은 대략 25도 또는 대략 20도 내지 대략 30도 또는 대략 15도 이하 내지 대략 35도 이상의 배향을 갖는 카테터 본체의 외벽에 대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선두 부분의 각도 배향 또는 피치는 후미 부분의 각도 배향 또는 피치보다 클 수 있다. 각 부분의 길이는 선두 부분과 후미 부분의 길이가 다를 수 있도록 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어떤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에서도,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흡인 루멘에 비대칭적으로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축부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어떤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도 흡인 루멘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 또는 흡인 루멘의 양측에 형성되는 2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보조 제트 개구는 수축부의 선두 가장자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루멘에 형성되는 수축부는 흡인 루멘의 내주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대칭적이거나 균일할 수 있고, 또는 흡인 루멘의 내면의 원주의 일부분에만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별개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보조 제트 요소는 카테터 본체의 다른 특징적 부분 모두 또는 그의 일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카테터 본체의 다른 구성품 또는 특징적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어떤 카테터 본체 실시 형태도 근위 부분 또는 섹션(사용자에게 더 가까움) 및 원위 부분 또는 섹션(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있음)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카테터 본체 실시 형태에서도, 원위 부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Pebax,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다른 적절한 압출 가능한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폴리머를 포함하여 어떤 적절한 재료라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루멘 또는 채널이 필요한 경우, 카테터의 이러한 부분은 다중 루멘 압출 관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떤 실시 형태에서, 근위 부분은 편조 또는 코일 보강된 폴리머 적층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작은 카테터에 대해서는, 편조 두께는 대략 0.0007 인치일 수 있다. 6 Fr 카테터에 대해서는, 편조 또는 코일은 대략 0.001 인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더 큰 카테터에 대해서는, 편조 또는 코일은 대략 0.002 인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편조 또는 코일 보강물은 근위 부분 끝까지 또는 심지어 보조 제트 요소의 입구 개구에 대해 바로 근위에 있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의 구성품 중의 어떤 것도, 통상적으로 흡인 카테터에 사용되거나 또는 흡인 카테터를 만드는데에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흐름 채널 내에서의 혈구 부착을 감소시키거나 없애고 또는 흐름 채널을 통과하는 혈액, 혈전 및 다른 부스러기 또는 물체의 유량을 개선시키기 위해 카테터의 루멘 또는 채널을 코팅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의 구성품 중의 어떤 것도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나일론, 폴리우레탄, Pebax, HDPE, PE, 폴리올레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열가소성 폴리머, 및/또는 스테인레스강, 니티놀 등과 같은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강 금속 와이어는 보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는 강직성, 가요성 및 꼬임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머 층 내부에 매립되는 편조 메쉬 또는 코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편조는 대략 15 내지 대략 30의 PIC 번수(count)를 사용하여 메쉬로 형성되는 대략 0.001 인치, 대략 0.0015 인치 또는 대략 0.002 인치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와이어는 보조 제트 채널이 위치되는 원위 부분에서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와이어 코일은 보조 제트 채널에 대해 근위에서 1 내지 2mm의 겹침이 있거나 없는 와이어 편조물로 전환될 수 있다. 원위 단부에서 카테터의 보조 제트 채널 부분에 있는 제한된 벽 공간이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 코일의 사용에 의해, 더 양호한 가요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이 원위 단부에서 흡인 루멘 및 보조 제트 흐름 채널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그리고 대안적으로, RadelTM, DacronTM 및 KevlarTM와 같은 폴리머 섬유가 또한 보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카테터 실시 형태는, 임의의 종류의 신경 시술, 혈관 시술, 대동맥 시술, 대퇴부 시술, 말초 시술 등을 포함하여 어떤 특정한 용례의 필요에도 적합하도록 크기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신경 시술의 경우, 4 Fr 가이드 카테터, 5 Fr 가이드 카테터 및 6 Fr 가이드 카테터에 사용될 수 있는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의 대략적인 외경은 각각 1.22mm, 1.42mm, 및 1.75mm 일 수 있고, 하지만 이것들 보다 약간 더 크거나 약간 더 작은 흡인 카테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대퇴부 시술의 경우, 4 Fr 가이드 카테터, 5 Fr 가이드 카테터, 6 Fr 가이드 카테터, 7 Fr 가이드 카테터 및 8 Fr 가이드 카테터에 사용될 수 있는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의 대략적인 외경은 각각 1.22mm, 1.42mm, 1.75mm, 2.01mm, 및 2.24mm 일 수 있고, 하지만 이것들 보다 약간 더 크거나 약간 더 작은 흡인 카테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혈관 시술의 경우, 6 Fr 가이드 카테터, 7 Fr 가이드 카테터, 8 Fr 가이드 카테터, 9 Fr 가이드 카테터 및 10 Fr 가이드 카테터에 사용될 수 있는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의 대략적인 외경은 각각 1.75mm, 2.01mm, 2.24mm, 2.44mm 및 2.73mm 일 수 있고, 하지만 이것들 보다 약간 더 크거나 약간 더 작은 흡인 카테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대동맥 시술의 경우, 14 Fr 가이드 카테터에 사용될 수 있는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의 대략적인 외경은 4.39mm 일 수 있고, 하지만 이 보다 약간 더 크거나 약간 더 작은 흡인 카테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말초 시술의 경우, 3 Fr 쉬스, 5 Fr 쉬스, 6 Fr 쉬스, 7 Fr 쉬스, 8 Fr 쉬스, 9 Fr 쉬스 및 10 Fr 쉬스에 사용될 수 있는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의 실시 형태의 대략적인 외경은 각각 0.91mm, 1.88mm, 2.16mm, 2.49mm, 2.82mm, 2.44mm, 및 2.74mm 일 수 있고, 하지만 이것들 보다 약간 더 크거나 약간 더 작은 흡인 카테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 형태도 원위 선단을 가질 수 있고, 이 원위 선단은 텅스텐 함유 수지를 갖거나 갖지 않는 폴리우레탄 폴리머 또는 나일론 폴리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 선단은 선단 위치의 x-선 하에서 사용자에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텅스텐 함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근위 축은 밀기를 위한 강직한 단부를 제공하기 위해 Grilamid L25를 사용할 수 있다. 카테터 본체의 중간 부분은 Pebax 72D, Pebax 70D, Pebax 63D, Pebax 55D로 전환될 수 있고, 또한 원위 단부의 약 10 ∼ 15cm를 포함할 수 있는 원위 단부의 연질 부분을 위해 Pebax 40D 및 35D를 가질 수 있다. 카테터가 하측 팔다리 혈관 구조와 같은 다른 부위에 사용되는 경우, 더 강직한 원위 단부를 얻기 위해 40D 또는 35D Pebax 대신에 더 강직한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 나일론, 폴리우레탄, Pebax, HDPE, PE, 폴리올레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역시 유효한 구성을 갖는 금속 관에서 행해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 중의 어떤 것은 STEMI 환자 및 다른 흡인 시술을 위한 경피적 관상 동맥 중재술(PCI)의 일부분으로서 관상 동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종래의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 관상 동맥 심장마비 상황에서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은 일반적으로 몇 분을 필요로 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관상 동맥 심장마비 상황에서 혈전을 흡인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양은 더 짧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환자에게 큰 건강 및 안전의 이점을 줄 수 있다.
흡인 시술이 수행될 때, 일반적으로 도입기 또는 가이드 쉬스를 사용하여, 여기에 개시된 카테터 실시 형태를 원하는 위치로 안내한다. 가이드 쉬스는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요소의 입구 개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제트 요소의 하나 이상의 개구가 가이드 쉬스의 원위 단부에 대해 원위에 위치되도록 흡인 카테터는 가이드 쉬스의 원위 단부를 충분히 멀리 지나 전진되어야 한다. 많은 시술에서 가이드 쉬스가 사용되기 때문에, 흡인 카테터의 크기는 그 가이드 쉬스의 내경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흡인 카테터의 크기는 가이드 쉬스 내부의 적절한 틈새 및 끼워맞춤을 보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 중의 어떤 것도 오버-더-와이어 구성 또는 신속 교환 구성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버-더-와이어 구성의 경우, 가이드 와이어가 환자의 혈관 구조 또는 혈관 안으로 전진된 후에, 환자의 몸 외부에서 가이드 와이어의 근위 단부를 카테터 본체의 흡인 루멘에 통과시켜 카테터를 가이드 와이어 위에서 전진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이드 와이어는 흡입원을 간섭하지 않도록 측면 포트 밖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신속 교환 카테터 구성의 경우, 가이드 와이어를 신속 교환 카테터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에 통과시켜 카테터를 가이드 와이어 위에서 전진시킬 수 있다. 카테터 본체의 비슷한 외경에 대해서는, 오버-더-와이어 구성은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의 유사한 신속 교환 구성과 비교하여 더 큰 흡인 루멘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실시 형태에서, 흡인 시술이 시작되기 전에 가이드 와이어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빼내질 수 있어, 가이드 와이어는 흡인을 간섭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43은 여기에 개시된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카테터 본체 단면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700)의 실시 형태는 오버-더-와이어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용으로 수정될 수 있다. 카테터 본체(700)는 보조 제트 루멘(702) 및 흡인 루멘(704)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루멘(702)은 반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카테터 본체(700)의 단면적의 대략 20% 또는 대략 10% 내지 대략 3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710)의 실시 형태는 오버-더-와이어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용으로 수정될 수 있다. 카테터 본체(710)는 보조 제트 루멘(712) 및 흡인 루멘(714)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루멘(712)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카테터 본체(710)의 단면적의 대략 10% 또는 대략 5% 내지 대략 2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720)의 실시 형태는 오버-더-와이어용 또는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720)는 하나 이상의 보조 제트 루멘(722)(각기 만곡되어 길게 늘여진 형상을 가짐), 흡인 루멘(724), 및 가이드 와이어 루멘(726)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루멘(722)은 함께 카테터 본체(720)의 단면적의 대략 10% 또는 대략 5% 내지 대략 2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730)의 실시 형태는 카테터 본체(710)와 동일한 특성 또는 특징을 가질 수 있고,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730)는 보조 제트 루멘(732), 흡인 루멘(734), 및 가이드 와이어 루멘(736)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루멘(732)은 반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카테터 본체(730)의 단면적의 대략 20% 또는 대략 10% 내지 대략 3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740)의 실시 형태는 카테터 본체(730)와 동일한 특성 또는 특징을 가질 수 있고, 신속 교환 가이드 와이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740)는 보조 제트 루멘(742), 흡인 루멘(744), 및 가이드 와이어 루멘(746)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제트 루멘(742)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카테터 본체(740)의 단면적의 대략 10% 또는 대략 5% 내지 대략 2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카테터 실시 형태 중의 어떤 것도 조기 단계 혈전형 물질이 있는 많은 해부학적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카테터 실시 형태는 카테터 본체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큰(예컨대, 수 밀리미터 더 큰) 혈관에 적합할 수 있다. 예컨대, 관상 동맥은 대부분 대략 2mm 내지 대략 6mm이고, 대략 1.73mm의 외경을 갖는 흡인 카테터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의 보조 제트 요소에 필요한 유체를 제공하기 위해 혈액이 흐르도록 대략 0.27mm 내지 대략 4.27mm의 공간이 카테터 본체의 외면과 혈관 벽의 내면 사이에 제공될 것이다. 유사하게, 무릎 위의 경우에, 혈관은 일반적으로 대략 7mm 내지 8mm의 내경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테터는 대략 1.4mm의 외경을 가져, 혈액 흐름을 위한 대략 5.6mm의 공간을 남기게 된다. 카테터가 접근하는 신경 혈관의 내경 또는 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2mm 내지 3mm이고, 이러한 혈관에 사용되는 카테터는 보통 약 1mm이다.
이하는 여기에 개시된 흡인 카테터 실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 시술의 비한정적인 예이다. 6F 흡인 카테터는 이 용례에 사용될 수 있다. 흡인 카테터는 0.014" 가이드 와이어에 로딩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가이드 카테터 안으로 천천히 삽입된다. 의사는 적합한 크기의 도입기 쉬스를 사용하여 가이드 카테터를 반경 방향(좌측 또는 우측, 하지만 대개는 우측) 입구 지점 또는 공통 대퇴부 위치에서 삽입할 수 있다. 선단이 가이드 카테터의 선단에 도달했음을 의사가 알 수 있도록 흡인 카테터는 근위 축에서 마킹을 가질 수 있다. 카테터는 또한 허브 단부에 있는 진공 시린지에 연결될 수 있다. 진단 촬상 또는 혈관 촬영도(angiogram)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한다.
의사 또는 의료 실행자는 카테터를 병변에 대해 근위에 두고, 그 카테터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 시린지를 활성화시킨다. 그런 다음 흡인 카테터를 와이어 위에서 천천히 병변 안으로 전진시키고 그런 다음에 밖으로 천천히 후퇴시킨다. 이 동작은 전체 시간 동안 수회에 걸쳐 또는 파열된 플라크 내부의 혈전이 제거될 때까지 와이어 위에서 카테터로 반복될 수 있다. 의사는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여 대조 염료를 주입하여 병변 뒤의 부분을 진단할 수 있다. 완료되면, 의사는 가이드 와이어 및 가이드 카테터를 제자리에 계속 두고 흡인 카테터를 밖으로 천천히 당길 수 있다.
특정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단지 예로서 주어진 것이고 보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사실, 여기에서 설명된 신규한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 및 시스템의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어떤 실시 형태에서 도시 및/또는 개시되어 있는 공정에서 취해진 실제 단계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단계와는 다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전술한 단계들 중의 어떤 것은 제거될 수 있고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출원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의 등가물은 보호 범위 및 정신에 포함되는 이러한 형태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위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 형태의 특징 및 특성은 상이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적인 실시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그 추가적인 실시 형태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특정한 실시 형태 및 적용예를 제공하지만, 여기에 나타나 있는 특징 및 이점 모두를 제공하는 것은 아닌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다른 실시 형태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 또는 미래에 추가될 청구 범위를 참조해서만 규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특정한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적용예를 포함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는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 형태를 넘어, 여기에 나타나 있는 특징 및 이점 모두를 제공하는 것은 아닌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 및/또는 용도 및 그의 명백한 변형예와 등가물까지 확장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특정한 개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여기에 주어져 있는 또는 미래에 주어질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다른 언급이 없으면, 대략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값의 ±10%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 형태에 대해 많은 변화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의 요소는 다른 허용 가능한 실시예 중에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모든 이러한 수정 및 변화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고 또한 이하의 청구 범위로 보호된다. 더욱이, 여기에서 설명된 단계 중의 어떤 것도 동시에 수행되거나 여기에서의 순서를 갖는 단계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명백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 형태의 특징 및 특성은 상이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적인 실시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그 추가적인 실시 형태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할 수 있다",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등과 같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조건적인 언어는, 다른 구체적인 언급이 없거나 사용되는 문맥 내에서 다르게 이해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특정한 실시 형태는 특정한 특징, 요소 및/또는 상태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 형태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적인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 요소 및/또는 상태가 어떻든지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를 위해 요구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는, 저자의 입력 또는 알려주기가 있거나 없든, 이들 특징, 요소 및/또는 상태가 특정한 실시 형태에 포함되거나 그 실시 형태에서 수행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논리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을 암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다음과 같은 용어가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단수 표현은, 다른 명확한 언급이 없으면, 복수 지시 대상도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하나의 물품을 언급할 때 이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한다. "하나"라는 용어는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을 말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어떤 양의 일부 또는 전부의 선택에도 적용된다. "복수"라는 용어는 둘 이상의 물품을 말한다.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는, 양, 치수, 크기, 조성, 파라미터, 형상 및 다른 특성은 정확할 필요는 없고 허용 공차, 변환 인자, 반올림, 측정 오차 등 및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인자를 반영하면서, 필요에 따라 근사화되며 그리고/또는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실질적으로"으로 하는 용어는, 언급된 특성, 파라미터 또는 값은 정확하게 얻어질 필요는 없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예컨대 공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 한계 및 다른 인자를 포함하는 편차 또는 변화가 특성이 제공하고자 하는 효과를 배제하지 않는 양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수치적 데이터는 어떤 범위 형태로 표현되거나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범위 형태는 단지 편의 및 간략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따라서 범위의 한계로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수치 값뿐만 아니라, 마치 각 수치 값 및 부분 범위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그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개별적인 수치 값 또는 부분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례를 들면, "약 1 내지 5"라는 수치 범위는, 약 1 내지 약 5의 명시적으로 기재된 수치 값뿐만 아니라, 나타나 있는 범위에 포함되는 개별적인 값과 부분 범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수치 범위에는, 2, 3 및 4와 같은 개별 값 및 "약 1 내지 약 3", 약 2 내지 약 4" 및 "약 3 내지 약 5", "1 내지 3", "2 내지 4", "3 내지 5" 등과 같은 부분 범위가 포함된다. 이 동일한 원리는 단지 하나의 수치 값이 언급되어 있는 범위(예컨대, "약 1 보다 큰")에도 적용되고 또한 설명되고 있는 범위 또는 특징의 범위에 상관 없이 적용된다. 복수의 항목이 편의상 공통의 리스트에 주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리스트는 마치 그 리스트의 각 구성 요소가 서로 별개인 고유의 구성 요소로서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것처럼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리스트의 개별적인 구성 요소는, 반대되는 지시가 없다면, 공통의 그룹에 나타나 있다는 것에만 근거해서 동일한 리스트의 다른 구성 요소의 사실상 등가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및"과 "또는"이라는 용어가 항목의 리스트와 관련해서 사용되는 경우, 열거된 항목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열거된 항목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넓게 해석된다. "대안적으로"라는 용어는, 문맥상 다른 명확한 지시가 없으면, 2개 이상의 대안 중의 하나의 선택을 말하는 것으로, 선택을 그 열거된 대안에만 또는 동시에 열거된 대안 중의 하나에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5)

  1.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외벽을 갖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를 통해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카테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상기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lumen);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인 루멘과 연통하는 흡인 개구를 갖는 원위 선단; 및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흡인 루멘 내에 배치되는 보조 제트 요소로서, 상기 외벽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외벽의 표면에 개구하며, 상기 흡인 루멘의 흡인 개구보다도 근위 단부측에 배치된 보조 제트 입구 개구와,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보다도 원위 단부측에 있으며, 상기 흡인 개구를 향하여 배치된 보조 제트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보조 제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 루멘에 흡입이 가해지고 또한 흡인 루멘이 보조 제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방해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히면,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상기 흡인 루멘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통해 유체를 끌어 들여, 그 유체의 보조 제트 흐름을 보조 제트 입구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루멘에서의 방해물 쪽으로 상기 보조 제트 출구 개구를 통하여 보내도록 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2mm 내지 10mm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window)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2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1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와 연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에워싸인 루멘을 제공하고, 상기 에워싸인 루멘은 보조 제트 입구 개구로부터 보조 제트 출구 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5mm 내지 50mm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출구 개구는 상기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5mm 원위와,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5mm 근위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요소는 상기 흡인 개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적어도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원위 단부가 상기 흡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인 개구는 카테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각져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3 French, 4 French 또는 5 French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의 20% 내지 50%인 단면 크기 또는 단면적을 갖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6 French 이상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적의 10% 내지 40%인 단면 크기를 갖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4. 흡인 키트(kit)로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및 시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는 흡인 루멘과 연통하고 또한 상기 흡인 루멘에 대한 흡입원을 제공하는, 흡인 키트.
  15.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외벽을 갖는 카테터 본체;
    상기 카테터 본체를 통해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카테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상기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인 루멘과 연통하는 흡인 개구를 갖는 원위 선단; 및
    상기 카테터 본체의 외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인 루멘의 내부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채널과 연통하는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트 채널은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보조 제트 출구 개구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인 루멘이 보조 제트 출구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루멘에서의 혈전 또는 다른 덩어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있고, 또한 흡인 루멘의 근위 단부에 흡입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흡인 루멘 외부의 위치로부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를 통해 유체를 끌어 들여, 그 유체의 보조 제트 흐름을 보조 제트 채널을 통해 상기 흡인 루멘에서의 방해물 쪽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는, 보조 제트 채널을 통과하는 이러한 유체 흐름이 흡인 루멘을 막고 있는 혈전 덩어리 또는 다른 덩어리를 침식시키거나 분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보조 제트 요소는, 흡인 창이 막혀 있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2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입구 개구는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5mm 내지 50mm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8.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출구 개구는 상기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5mm 원위와,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10mm 근위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19.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적어도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원위 단부가 상기 흡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21.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흡인 개구는 카테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각져 있는,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22. 흡인 키트로서,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따른 보조 제트 흡인 카테터, 및 시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는 흡인 루멘과 연통하고 또한 상기 흡인 루멘에 대한 흡입원을 제공하는, 흡인 키트.
  23. 흡인 카테터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내면과 외면을 갖는 외벽을 갖는 내측 카테터 본체;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내면과 외면을 갖는 외벽을 갖는 외측 카테터 본체로서,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의 외벽의 외면이 상기 외측 카테터 본체의 외벽의 내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외측 카테터 본체는 내측 카테터 본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를 통해 내측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내측 카테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내측 카테터 본체의 상기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인 루멘; 및
    상기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인 루멘과 연통하는 흡인 개구를 갖는 원위 선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 카테터는 상기 내측 카테터의 외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내측 개구 및 상기 외측 카테터의 외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외측 개구를 가지며,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는, 상기 내측 개구와 외측 개구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정렬되는 제1 위치와, 내측 카테터의 내측 개구가 외측 카테터의 외벽에 의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덮이도록 상기 내측 개구와 외측 개구가 서로 정렬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외측 카테터 본체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내측 카테터 본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카테터에 흡입이 가해질 때, 또한 내측 카테터 본체의 내측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루멘의 일부분이 방해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혀 있을 때, 상기 카테터는 외측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부터 내측 개구와 외측 개구를 통해 유체 흐름을 상기 흡인 루멘 안으로 끌어 들이며,
    상기 흡인 카테터는, 이러한 유체 흐름이 방해물의 제거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카테터의 내측 개구와 연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에워싸인 루멘을 제공하고, 상기 에워싸인 루멘은 내측 개구로부터 상기 에워싸인 루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보조 제트 출구 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보조 제트 요소를 더 포함하는, 흡인 카테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2mm 내지 10mm에 위치되는, 흡인 카테터.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는, 흡인 창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2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흡인 카테터.
  26.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는, 흡인 창을 통과하는 흐름이 방해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을 때 흡인 루멘을 통해 흡인되는 총 흐름의 부피의 10% 미만을 끌어 들이도록 크기 결정되고 구성되어 있는, 흡인 카테터.
  27. 삭제
  28.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의 축방향 중심선이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로부터 5mm 내지 50mm 사이에 위치되는, 흡인 카테터.
  29.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트 출구 개구는 상기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5mm 원위와, 흡인 개구의 근위 가장자리에 대해 5mm 근위 사이에 위치되는, 흡인 카테터.
  30.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적어도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 본체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는, 흡인 카테터.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원위 단부가 상기 흡인 개구에 대해 원위에 있는, 흡인 카테터.
  32.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흡인 카테터는 3 French, 4 French 또는 5 French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내측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적의 20% 내지 50%인 단면적을 갖는, 흡인 카테터.
  33.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흡인 카테터는 6 French 이상 크기의 카테터이고, 상기 내측 개구는 상기 흡인 루멘의 단면적의 10% 내지 40%인 단면적을 갖는, 흡인 카테터.
  34. 흡인 키트로서,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따른 흡인 카테터, 및 시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는 흡인 루멘과 연통하고 또한 상기 흡인 루멘에 대한 흡입원을 제공하는, 흡인 키트.
  35. 삭제
KR1020197034164A 2017-05-23 2018-05-23 보조 제트 흡인 혈전 제거 카테터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374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0193P 2017-05-23 2017-05-23
US62/510,193 2017-05-23
PCT/IB2018/000783 WO2018215840A1 (en) 2017-05-23 2018-05-23 Assistive jet aspiration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 of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712A KR20190141712A (ko) 2019-12-24
KR102374510B1 true KR102374510B1 (ko) 2022-03-15

Family

ID=6325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164A KR102374510B1 (ko) 2017-05-23 2018-05-23 보조 제트 흡인 혈전 제거 카테터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80338770A1 (ko)
EP (1) EP3634265A1 (ko)
JP (1) JP6938681B2 (ko)
KR (1) KR102374510B1 (ko)
CN (1) CN110650695B (ko)
WO (1) WO2018215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0737B1 (en) 2007-02-05 2020-04-01 Boston Scientific Limited Thrombectomy apparatus
US9510854B2 (en) 2008-10-13 2016-12-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rombectomy catheter with control box having pressure/vacuum valve for synchronous aspiration and fluid irrigation
JP6437517B2 (ja) 2013-03-15 2018-12-12 インセラ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ク. 血管治療装置及び方法
WO2017142874A2 (en) 2016-02-16 2017-08-24 Insera Therapeutics, Inc. Aspiration devices and anchored flow diverting devices
US9883877B2 (en) 2014-05-19 2018-02-06 Walk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blood and thrombotic material
US10561440B2 (en) 2015-09-03 2020-02-18 Vesate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medical devices
US10492805B2 (en) 2016-04-06 2019-12-03 Walk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hrombolysis and delivery of an agent
US11224458B2 (en) 2017-04-10 2022-01-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Hydrodynamic vortex aspiration catheter
CN111031943A (zh) 2017-04-10 2020-04-17 密歇根大学董事会 流体动力涡旋抽吸导管
USD847864S1 (en) 2018-01-22 2019-05-07 Insera Therapeutics, Inc. Pump
US11395665B2 (en) 2018-05-01 2022-07-26 Incept, Ll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obstructive material, from an intravascular site
WO2019212984A1 (en) 2018-05-01 2019-11-07 Imperative Car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obstructive material from an intravascular site
US11471582B2 (en) 2018-07-06 2022-10-18 Incept, Llc Vacuum transfer tool for extendable catheter
US11678905B2 (en) 2018-07-19 2023-06-20 Walk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blood and thrombotic material
US11439799B2 (en) 2019-12-18 2022-09-13 Imperative Care, Inc. Split dilator aspiration system
CN113365687A (zh) 2019-12-18 2021-09-07 因普瑞缇夫护理公司 治疗静脉血栓栓塞疾病的方法和系统
US11633272B2 (en) 2019-12-18 2023-04-25 Imperative Care, Inc. Manually rotatable thrombus engagement tool
CN114246637A (zh) * 2020-11-05 2022-03-29 玮铭医疗器械(上海)有限公司 一种颅内血栓抽吸导管装置
EP4243708A1 (en) * 2020-11-13 2023-09-20 Microvention, Inc. Distal aspiration catheter and method
CN112401972B (zh) * 2020-11-18 2022-11-11 江苏金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导管外部水膜除栓装置
EP4319660A1 (en) 2021-04-07 2024-02-14 Expanse Technology Partners, LLC Aspiration catheter
CN113116517A (zh) * 2021-04-20 2021-07-16 广州迪光医学科技有限公司 消融抽吸激光导管
US11679194B2 (en) 2021-04-27 2023-06-20 Contego Medical, Inc. Thrombus aspi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lood loss
EP4362828A2 (en) * 2021-06-28 2024-05-08 Inquis Medical,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emoval of obstructive material
WO2023147460A1 (en) * 2022-01-27 2023-08-03 Contego Medical, Inc. Thrombectomy and aspir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US11911054B2 (en) 2022-03-22 2024-02-27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Neuroaspiration catheter for thrombectomy
CN114796817B (zh) * 2022-05-26 2023-03-24 惠州市顺美医疗科技有限公司 超软颅内支持导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5463A (ja) 2004-05-27 2008-05-15 ルーメン バイオメディカル,インク. 塞栓フィルタ搬出システム
US20100204712A1 (en) * 2009-02-11 2010-08-12 Mark Mallaby Neurovascular microcatheter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13514869A (ja) 2009-12-21 2013-05-02 アシス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栓除去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150282821A1 (en) * 2014-04-08 2015-10-08 Incuvat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thrombosi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22876A1 (en) * 1997-03-06 1998-09-11 Percusurge, Inc. Intravascular aspiration system
US6849068B1 (en) * 1997-03-06 2005-02-01 Medtronic Ave, Inc. Aspiration catheter
US20020188167A1 (en) * 2001-06-06 2002-12-12 Anthony Viole Multilumen catheter for minimizing limb ischemia
JP4584708B2 (ja) * 2002-06-11 2010-11-24 シーエムエス サージカ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効率的な体腔の排出装置
US8480636B2 (en) * 2006-05-17 2013-07-09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Catheter with aspiration passageway
US9254144B2 (en) * 2007-03-30 2016-02-09 Covidien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thrombectomy system
CN102319097A (zh) * 2011-08-04 2012-01-18 东莞永胜医疗制品有限公司 血栓抽吸导管及其使用方法
JP5575281B2 (ja) * 2012-01-26 2014-08-20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血栓摘出カテーテ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5463A (ja) 2004-05-27 2008-05-15 ルーメン バイオメディカル,インク. 塞栓フィルタ搬出システム
US20100204712A1 (en) * 2009-02-11 2010-08-12 Mark Mallaby Neurovascular microcatheter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13514869A (ja) 2009-12-21 2013-05-02 アシス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栓除去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150282821A1 (en) * 2014-04-08 2015-10-08 Incuvat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thrombo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712A (ko) 2019-12-24
CN110650695B (zh) 2023-05-12
WO2018215840A1 (en) 2018-11-29
US20210361305A1 (en) 2021-11-25
JP2020519405A (ja) 2020-07-02
JP6938681B2 (ja) 2021-09-22
US20180338770A1 (en) 2018-11-29
EP3634265A1 (en) 2020-04-15
CN110650695A (zh)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510B1 (ko) 보조 제트 흡인 혈전 제거 카테터 및 이의 사용 방법
CN109152586B (zh) 使用于导管的附属装置
JP6408517B2 (ja)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組立体
US7316678B2 (en) Catheter with associated extension lumen
US8597261B2 (en) Ureteral access sheath
US8353858B2 (en) Rapid exchange fluid jet catheter and method
CA2609966C (en) Aspiration catheter
EP2913012B1 (en) Atherectomy device
US20100204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ischemic stroke
JP2013533772A (ja) オーバザワイヤ型バルバロトーム
US9554822B2 (en) Thrombectomy catheter with aspiration and guidewire lumens defining an asymmetrical taper and cutting edge with offset tip
US20090093829A1 (en) Chronic total occlusion (CTO) removal device
EP4051139B1 (en) Catheter for aspiration, fragmentation and removal of removable material from hollow bodies
AU2015290019A1 (en) EUS guided access device
US20230200840A1 (en) Deployable dynamic stent and adjustable cutting jet device
US20200376249A1 (en) Flushing catheter
JP5936093B2 (ja) ダブルルーメンダイレータ
EP432287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obstructive material from body lumens
US11452841B2 (en) Aspiration catheter system
CN115334983A (zh) 水射流手术装置
TWM483091U (zh) 外套管及引流灌洗套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