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27B1 -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원전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원전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27B1
KR102374327B1 KR1020200124347A KR20200124347A KR102374327B1 KR 102374327 B1 KR102374327 B1 KR 102374327B1 KR 1020200124347 A KR1020200124347 A KR 1020200124347A KR 20200124347 A KR20200124347 A KR 20200124347A KR 102374327 B1 KR102374327 B1 KR 10237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facility
module
sourc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015A (ko
Inventor
김형철
노재희
오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엔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엔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1004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공간 사이버 도메인에 n개의 선원항 설비 요소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관리하는 캐드 모듈; 설비 요소에 속성 값을 입력하는 속성 관리 모듈; 사이버 도메인 상에 적어도 n개의 측정점 좌표를 설정하고 사이버 도메인에 표시하며, 측정점에 대하여 측정치를 입력하는 측정점 관리 모듈; 사이버 도메인 상에서 선원항 설비 요소를 단순 기하 도형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기하 도형 생성 모듈; 측정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선원항 설비 요소를 대체한 단순 기하 도형에 대하여 선원항 함수식의 공간 적분을 수행하여 각 선원항 설비 요소의 기여 인자를 구하는 적분 모듈; 및 선원항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를 미지수로 하고 각각의 기여 인자로 가중 합산하여 각 측정점의 측정치로 등치한 수식의 세트에 대한 역해를 구하여 미지수의 해를 구하는 해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원의 직접적인 분석 없이도 방사선 조사시 측정되는 선량율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원 설비의 방사능 세기를 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원전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시스템 {A 3D System for Estimating Radioactivity of Equipment Elements and Representing Radiation Maps in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원전 설비의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사선량율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방사선원의 방사능 강도를 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종사자 및 출입자의 방사선 안전을 위하여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방사선 피폭 관리를 수행한다. 원자로가 가동되면 일부 설비는 방사화 또는 오염되어 방사선을 발산하는 방사선원이 된다. 특히, 원전 해체 시에는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 관리를 위해 방사선 조사를 할 뿐 아니라, 해체 대상이 되는 설비의 방사능 준위에 따라 분류 및 구분하여 처리 처분하여야 하므로 방사선원 설비의 방사능 강도 또는 세기, 즉 방사능 농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설비의 방사능은 그 설비에 대하여 시편을 채집하여 실험적으로 분석하거나 스메어(smear) 조사 또는 설비 표면에서 표면 선량율 측정을 수행하여 평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 및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며, 특히 인접한 다수의 방사성 설비의 방사능 준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차폐 작업 등이 추가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시간과 방사선 안전 및 비용 상의 부담이 과중하게 된다.
중국 공개특허 제109325282호는 원자로 해체를 위한 3차원 방사선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자로 해체를 위하여 각 방사성 설비의 정확한 선원항을 형성하고, 방사성 설비의 방사선 준위를 계산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설정하고, 이 수학 모델의 방사선 준위 계산에 의하여 방사선장을 계산하고 설비 해체에 따라 3차원 공간에 동적으로 방사선장을 계산하여 가시화 하는 기술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이 공개특허는 원전 해체 시에 3차원 공간에서 방사선장 계산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나, 이를 위하여 먼저 필요로 되는 방사선원의 방사능 세기는 단지 사전에 주어진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즉, 3차원 모델에서 방사선원(radiation source)이 먼저 특정되어 그 정보를 입력하고 나서 작업 공간의 선량율(dose rate)을 평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Radiation Survey)시 측정되는 선량율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3차원 공간에서 방사선원 역문제(Inverse Problem) 모델을 이용하여 설비의 방사능 강도를 산정하고 방사선 맵을 표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 시스템은 사이버 공간 도메인에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선원항 설비 요소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표출하고 관리하는 캐드 모듈; 설비 요소에 속성 값을 입력하는 속성 관리 모듈; 사이버 도메인 상에 적어도 n개의 측정점 좌표를 설정하고 사이버 도메인에 표시하며, 측정점에 대하여 측정치를 입력하는 측정점 관리 모듈; 사이버 도메인 상에서 선원항 설비 요소를 단순 기하 도형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기하 도형 생성 모듈; 측정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n개 선원항 설비 요소를 대체한 단순 기하 도형에 대하여 선원항 함수식의 공간 적분을 수행하여 각 선원항 설비 요소의 기여 인자를 구하는 적분 모듈; 및 n개 선원항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를 미지수로 하고 각각의 기여 인자로 가중 합산하여 각 측정점의 측정치로 등치한 수식의 세트에 대한 역해를 구하여 미지수의 해를 구하는 해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 시스템은 해법 모듈에서 구해진 방사능 강도 값을 해당 선원항 설비 요소의 속성에 추가하는 속성 연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 시스템은 도형 생성 모듈은 단순 기하 도형의 기하 중심을 선원항 설비 요소의 기하 중심과 일치시키고 외형 체적이 동일하도록 팬텀의 외면 형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강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설비요소의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 빈 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체적이 동일하도록 팬텀의 내면형상을 생성하고 외면과 내면을 통합하여 쉘 형태의 팬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단순 기하 도형이 설비 요소 외형면의 외부에 존재하는 영역의 체적과 설비 요소 외형이 단순 기하 도형의 외형면의 외부에 존재하는 영역의 체적의 총합이 최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캐드 모듈이 선원항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예측값에 따라 범위 별로 정해진 컬러로 해당 설비 요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해법 모듈이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의 미지수에 구해진 해를 입력하고 각각의 기여 인자로 가중 합산하여 각 측정점의 계산치를 구하며, 캐드 모듈은 각 측정점의 계산치와 측정치의 차를 범위별로 구분하여 측정점의 크기 또는 정해진 컬러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해법 모듈이 선원항 설비 요소의 단순 기하 도형에 대하여 구해진 방사능 농도값을 입력하고 선원항 함수식의 직해를 이용하여 선택면에 대하여 선량율 계산치를 구하며, 캐드 모듈은 선택면의 선량율 계산치를 방사선 맵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방사선원의 직접적인 분석 없이도 방사선 조사시 측정되는 선량율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원 설비의 방사능 세기를 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원전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상의 선원항 설비 요소를 단순 기하 도형으로 대체함으로써 방사능 강도의 해를 구하는데 필요한 공간 적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선원항 설비 요소와 단순 기하 도형의 외형 체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양자의 등가성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예측 값에 따라 정해진 컬러로 해당 설비 요소를 표시함으로써 3차원 도메인에서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예측 값을 직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측정점의 계산치와 측정치의 차를 범위별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예측 결과 검증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선량율 계산치를 등고선 형식의 방사선 맵으로 표시함으로서 3차원 공간에서 방사선 분포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방사선 위험 지점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원항와 측정점 및 차폐물의 배치 관계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설비 요소 외형과 단순 기하 도형의 관계를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쉘 형태의 팬텀을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5는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예측값과 그에 따른 방사선 맵의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도메인 상의 방사선원 설비, 측정점 및 방사선 맵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화 되었으며,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발명은 원전의 설비 요소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기술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방사선장에서 측정값에 기반하여 방사선원의 세기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원전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은 방사선원의 직접적인 분석 없이도 방사선 조사시 측정되는 선량율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원 설비의 방사능 세기를 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전형적인 실시예는 도1에 블럭도로 표시된 바와 같이, 3D(3차원) 기반의 캐드(CAD; Computer Aided Design) 모듈(100), 속성 관리(Attribute (or Property) Management) 모듈(200), 측정점 관리(Measurement Point Management) 모듈(300), 기하 도형 생성(Elementary Geometric Shape Creation) 모듈(400), 적분(Integration) 모듈(500), 해법(Solution) 모듈(600) 및 속성 연계(Attribute Link)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드 모듈(100)은 사이버 공간 도메인에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표출 및 관리하며, 이 3차원 모델은 통상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선원항 설비 요소(equipment element)를 포함한다. 설비 요소는 펌프, 밸브, 배관 등을 모델링한 3차원 요소를 나타낸다. 캐드 모듈로서 건축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위 건축정보모델(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 관리 툴이 선호된다. 캐드 모듈에서 채택되는 파일 형식은 통상 stl, ifc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속성 관리 모듈(200)은 3차원 모델에 포함된 설비 요소에 대하여 속성 값을 입력한다. 여기서 설비 요소는 방사선원 및 비방사선원의 설비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통상적인 BIM 관리 툴은 생성된 요소에 속성 값을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속성 값은 요소의 체적, 질량, 방사능 강도 및 재질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점 관리 모듈(300)은 사이버 도메인 상에 측정점 좌표를 설정하고 이를 사이버 도메인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측정점에 대하여 측정치를 입력한다. 선원항 설비 요소가 n개일 경우, 이하에서 설명되는 해법 모듈(600)이 해를 갖기 위해서 측정점은 적어도 n개 이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파 및 베타 방사선은 후속되는 감마 방사선으로 탐지되며, 알파 및 베타선의 공기중 도달거리는 매우 짧으므로 통상적인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산정은 총 감마선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사선원의 식별은 사전 정보에 기초한 현장 전문가 판단 또는 감마 카메라를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측정점에서의 감마선 계수치(cps, count per second)로 계측되는 측정치는 적절한 교정(calibration) 관계식에 의하여 선량율(dose rate, μSv/hr)로 표시될 수 있다.
점선원(point source)의 방사능 강도(S)와 측정점의 선량율 측정치(d) 사이의 관계식은 예를 들어 점커널 식(point kernel method)으로 알려진 다음과 같은 선원항 함수식이 적용될 수 있다.
Figure 112020102117132-pat00001
여기서 B(E,μT)는 선원과 측정점의 경로상 차폐물의 축적인자(Buildup Factor)로서 감마에너지(E), 차폐물 감쇄 계수(μ) 및 차폐물 경로 길이(T)의 함수이며, C(E)는 감마선속-선량율 환산 인자이며, r은 선원과 측정점 간의 거리이다. 측정 경로 길이(r)와 차폐물 경로 길이(T)는 3차원 공간 도메인에서의 물리적 위치에 의하여 명확히 정의될 수 있으며, 캐드 모듈(100)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경로상에 존재하는 차폐물의 축적인자(B)와 차폐물 감쇄 계수(μ)는 속성 관리 모듈(200)에서 재질 특성으로 입력된 속성이 사용된다. 물론 선원항 함수식은 위 식에 국한 되지 않고, 점선원과 측정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적절한 관계식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기하 도형 생성 모듈(400)은 사이버 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선원항 설비 요소를 가상의 평가용 팬텀(phantom), 즉, 단순 기하 도형(elementary geometric shape)으로 대체하여 이를 사이버 도메인 상에 표출한다. 단순 기하 도형은 일종의 3차원 도형 템플릿(template)으로서, 발전소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상의 설비 요소를 원기둥(cylinder), 직육면체(cuboid), 구(sphere), 또는 이들 형상의 속이 빈 쉘(shell) 형태 등의 단순한 3차원 도형으로 대체시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적분 모듈(500)이 수행하는 공간 적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한 개의 선원항 설비 요소에 대하여 복수개의 팬텀을 적용하여 좀 더 복잡한 설비 요소를 분석할 수도 있다.
도2는 n개의 선원항(j)와 n개의 측정점(i) 및 차폐물(310)의 배치 관계의 예를 참고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적분 모듈(500)은 측정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n개 설비 요소를 대체한 팬텀에 대하여 선원항 함수식의 공간 적분(spatial integration)을 수행하여 다음 식과 같이 단위 방사능 강도를 갖는 각 설비 요소(j)의 측정점(i)에 대한 기여 인자(Aji)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20102117132-pat00002
여기서 χ(E)는 감마선의 에너지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단순 기하 도형에 대한 공간 적분은 수치(numerical) 적분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법 모듈(600)은 n개 선원항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Sj)를 미지수로 하고 각각의 기여 인자로 가중 합산하여 이를 각 측정점의 측정치(Di)로 등치한 수식의 세트를 구한다. 방사능 강도는 단위 체적 또는 단위 질량 당 베크렐(Bq)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20102117132-pat00003
이 수식 세트에 대하여 미지수(Sj)의 해를 구함으로써 각 선원항 설비 요소의 예측 방사능 강도(Sj p)를 구한다. 이를 행렬식 형태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02117132-pat00004
위 식에서 위첨자 p와 m은 각각 예측값 및 측정값을 나타내며, 문자 위의 화살표는 복수 요소로 이루어진 벡터를 나타내며, D 벡터의 계수 매트릭스는 수학식 2에서 정의한 기여 인자로 이루어진 행렬의 역행렬을 나타내므로, 예측 방사능 강도(Sj p)는 수학식 3의 수식 세트에 대하여 역해(inverse solution)라고 지칭한다.
속성 연계 모듈(700)은 해법 모듈(600)에서 구해진 각 설비의 방사능 강도 예측값(Sj p)을 속성 관리 모듈(200)이 이전에 입력한 해당 설비 요소의 속성에 추가하여 확장된 설비 속성으로 보강한다.
위에서 측정점의 개수가 선원항의 개수(n)보다 많으면 등치한 수식의 개수가 수학식 3에서 표시한 n개 보다 많은 m개가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충분히 많은 측정점에서의 측정결과를 활용하여 설비의 방사능 강도의 최적 예측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아래 식에서 정의하는 오차(ε)를 최소화하는 최적 예측치 해의 문제가 된다.
Figure 112020102117132-pat00005
기하 도형 생성 모듈(400)은 다양한 선원항 설비 요소를 단순 기하 도형의 팬텀으로 대체하여 적분 모듈(500)이 수행하는 공간 적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대체되는 단순 기하 도형은 그 3차원적 기하 중심(geometric center 또는 centroid)을 자동으로 3차원적 설비 요소 외형의 기하 중심과 일치시키고 외형 체적이 동일하도록 팬텀의 외면 형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서 설비 요소(410)를 임의 모양의 회색 영역으로 표현하고, 직사각형의 단순 기하 도형(420)을 빗금 영역으로 표시하여, 양자가 공통의 기하 중심(430)을 갖는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도3에서 단순 기하 도형(420)이 설비 요소(410) 외곽면의 외부에 존재하는 영역을 (+)로 표시하고, 반대로 설비 요소 외형(410)이 단순 기하 도형(420) 외곽면의 외부에 존재하는 영역을 (-)로 표시하였다. 외형 체적을 동일하게 생성한다 함은 (+)영역의 체적과 (-)영역의 체적을 동일하게 함을 의미한다. (+)영역의 체적과 (-)영역의 체적이 동일하다는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단순 기하 도형(420)의 가로 세로 비가 확정되지는 않을 수 있는데, (+)영역의 체적과 (-)영역의 체적의 총합이 최소로 되는 경우를 최적의 단순 기하 도형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된 단순 기하 도형의 치수(dimension)를 임의로 변경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다.
위에서 외형 체적을 기준으로 등가의 단순기하도형을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개념을 반복 적용하여 설비 요소 내부에 빈 공간(hollow space)이 있는 경우에는 단순 기하 도형을 쉘(shell) 형상으로 생성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대로, 일단 내부의 빈공간을 고려하지 않고 외형을 기준으로 단순 기하 도형을 생성하여 팬텀의 외면 형상(440)을 생성하고, 그 다음 단계로서 동일한 개념을 적용하여 내부의 빈 공간을 대상으로 그 공간 체적이 동일하도록 팬텀의 내면 형상(450)을 생성하고 외면 형상과 내면 형상을 통합함으로써 쉘 형태의 팬텀(460)을 생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에도 설비 요소와 단순 기하 도형 간에 등가성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5는 캐드 모듈(100)이 해법 모듈(600)에 의하여 구해진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예측 값에 따라 범위 별로 범례에 의하여 정해진 컬러로 해당 설비 요소를 표시하는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이에 의하여 3차원 도메인에서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예측값 결과를 직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해법 모듈(600)은 선원항 설비 요소에 대하여 구해진 방사능 강도값을 입력하고 선원항 커널 함수의 직해(direct solution)를 이용하여 선택면에 대하여 선량율 계산치를 구하며, 캐드 모듈(100)은 선택면 상에서 선량율 계산치를 방사선 맵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수학식 4에 의하여 얻어진 예측 방사능 강도(Sj p)를 임의 점(x)에 대하여 계산한 선량율 계산치(Dx c)는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0102117132-pat00006
도5는 수학식 6에 의하여 구해진 선량율 계산치를 등고선 형식의 방사선 맵(map)으로 표시한 예를 선원과 함께 도시한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도메인에서 3차원의 방사선원 설비가 표시되고, 다수 측정점이 작은 구로 표시되고, 수평의 선택면에 표시된 방사선 맵의 예를 도시한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방사선 분포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방사선 위험 지점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기술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진다. 첨부된 청구항의 균등물로의 치환은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3D 캐드 모듈
200: 속성 관리 모듈
300: 측정점 관리 모듈
310: 차폐물
400: 기하 도형 생성 모듈
410: 설비 요소
420: 단순 기하 도형
430: 기하 중심
440: 외면 형상
450: 내면 형상
460: 통합된 쉘 형상
500: 적분 모듈
600: 해법 모듈
700: 속성 연계 모듈

Claims (8)

  1. 사이버 공간 도메인에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선원항 설비 요소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표출하고 관리하는 캐드 모듈;
    설비 요소에 속성 값을 입력하는 속성 관리 모듈;
    사이버 도메인 상에 적어도 n개의 측정점 좌표를 설정하고, 측정점에 대하여 측정치를 입력하는 측정점 관리 모듈;
    사이버 도메인 상에서 선원항 설비 요소를 단순 기하 도형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기하 도형 생성 모듈;
    측정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선원항 설비 요소를 대체한 단순 기하 도형에 대하여 점커널 식에 의한 선원항 함수식의 공간 적분을 수행하여 각 선원항 설비 요소의 기여 인자를 구하는 적분 모듈; 및
    선원항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를 미지수로 하고 각각의 기여 인자로 가중 합산하여 각 측정점의 측정치로 등치한 수식의 세트에 대한 역해를 구하여 미지수의 해를 구하는 해법 모듈;을 포함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해법 모듈에서 구해진 방사능 강도 값을 해당 선원항 설비 요소의 속성에 추가하는 속성 연계 모듈을 더 포함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도형 생성 모듈은 단순 기하 도형의 기하 중심을 선원항 설비 요소의 기하 중심과 일치시키고 외형 체적이 동일하도록 팬텀의 외면 형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단순 기하 도형 외형이 설비 요소 외곽면의 외부에 존재하는 영역의 체적과 설비 요소 외형이 단순 기하 도형의 외곽면의 외부에 존재하는 영역의 체적의 총합이 최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설비요소의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 빈 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체적이 동일하도록 팬텀의 내면형상을 생성하고 외면 형상과 내면 형상을 통합하여 쉘 형태의 팬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캐드 모듈은 선원항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예측값에 따라 범위 별로 정해진 컬러로 해당 설비 요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해법 모듈은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의 미지수에 구해진 해를 입력하고 각각의 기여 인자로 가중 합산하여 각 측정점의 계산치를 구하며, 캐드 모듈은 각 측정점의 계산치와 측정치의 차를 범위별로 구분하여 측정점의 크기 또는 정해진 컬러로 표시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해법 모듈은 선원항 설비 요소의 단순 기하 도형에 대하여 구해진 방사능 강도값을 입력하고 선원항 함수식의 직해를 이용하여 선택면에 대하여 선량율 예측치를 구하며,
    캐드 모듈은 선택면의 선량율 예측치를 방사선 맵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요소 방사능 농도 산정 및 방사선맵 표출 시스템.

KR1020200124347A 2019-10-08 2020-09-25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원전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시스템 KR102374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665 2019-10-08
KR20190124665 2019-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015A KR20210042015A (ko) 2021-04-16
KR102374327B1 true KR102374327B1 (ko) 2022-03-15

Family

ID=7574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347A KR102374327B1 (ko) 2019-10-08 2020-09-25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원전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3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3876A (ja) 2015-05-29 2016-12-28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線量予測装置、線量予測方法及び線量予測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0601B2 (ja) * 2007-09-27 2014-04-02 ウエスチングハウス・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原子炉の中性子およびγ線の3次元放射線場分布の計算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3876A (ja) 2015-05-29 2016-12-28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線量予測装置、線量予測方法及び線量予測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015A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gner et al. FW-CADIS method for global and regional variance reduction of Monte Carlo radiation transport calculations
Cacuci et al. Computational methods for data evaluation and assimilation
EP2074442B1 (en) Radiation measurement
JP5774451B2 (ja) 放射能3次元測定装置、放射線取扱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取扱作業管理方法
KR101766294B1 (ko) 부호화 구경을 이용한 방사선원의 분포에 대한 3차원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6582558B2 (ja) 線量予測装置、線量予測方法及び線量予測プログラム
JP2019105502A (ja) 学習モデル製造方法、汚染密度算出方法および汚染密度算出装置
JP2018072017A (ja) 放射性廃棄物測定装置、放射性廃棄物測定方法、及び放射性廃棄物の密度分布計算装置
JP7399030B2 (ja) 線量推定装置、線量推定方法および線量推定プログラム
KR102374327B1 (ko)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원전 설비 요소의 방사능 강도 산정 및 방사선 맵 표출시스템
Chao et al. A dose assessment method for arbitrary geometries with virtual reality in the 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JP7000264B2 (ja) 放射能濃度評価システムおよび放射能濃度評価方法
CN107885913A (zh) 辐射场屏蔽方案可行性判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18189516A (ja) 表面汚染密度分布算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61413B2 (ja) 放射線量の定量方法及び関連する等線量曲線を求める方法
Vermeersch ALARA pre-job studies using the VISIPLAN 3D ALARA planning tool
JPH06186340A (ja) 放射線線量率マップ作成装置
Caracena et al. A variable point kernel dosimetry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lications in nuclear safeguards and security
Yang et al. Voxel-based point kernel method for dose rate assessment of non-uniform activity and self-shielding sources in nuclear facility decommissioning
CN114201918A (zh) 一种核退役的设备拆装序列规划方法
JP6925842B2 (ja) 放射能測定装置及び放射能測定方法
JP6871053B2 (ja) 廃棄物計測装置
Brabants et al. Minimal detection time for localization of radioactive hot spots in low and elevated background environments using a czt gamma-ray spectrometer
JP7399031B2 (ja) 線量推定装置、線量推定方法および線量推定プログラム
Benaskeur et al. Neutron tomography simulation by MAVRIC/Monaco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