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781B1 -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781B1
KR102373781B1 KR1020210006519A KR20210006519A KR102373781B1 KR 102373781 B1 KR102373781 B1 KR 102373781B1 KR 1020210006519 A KR1020210006519 A KR 1020210006519A KR 20210006519 A KR20210006519 A KR 20210006519A KR 102373781 B1 KR102373781 B1 KR 10237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boarding
free
reservation
passe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0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1/00Indicators for reserved seats; Warning or like signs; Devices or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ickets, e.g. ticket holders; Holders for cargo tickets or the like
    • B61D41/04Indicators for reserved sea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차에 무임 탑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승차권을 예매하는 단계와, 상기 기차의 운행 구간별 예매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기차에 탑승하는 승객과 하차하는 승객을 계수하여 상기 기차에 현재 탑승하고 있는 탑승객수를 계수하는 단계와, 상기 기차의 전 좌석의 착석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비예매 좌석에 착석이 감지되면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에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예매 좌석과 착석 좌석이 동일한데, 상기 계수한 탑승객수가 상기 에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탑승객수보다 많으면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상기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상기 승무원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 및 그것을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REE RIDE ON TRAIN}
본 발명은 기차의 무입 탑승 장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구간에서 기차 예약 현황과 기차 탑승 현황이 일치하지 않을 때 무임 승차 경보를 발생하여 승차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승객이 정체 현상 없이 목적지까지 신속하게 이동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기차는 오랫동안 대중 교통으로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기차는 다수의 객차가 열차 형태로 운행되고, 시발역과 종착역 사이의 운행 구간 내의 각 기차역에서 정차하며 운행한다. 이 운행 중에, 승객들은 전체 운행 구간 내에서 자신이 필요한 구간, 즉 특정 기차역에서 특정 기차역까지 승차하여 이용한다.
그러한 기차의 운행 방식으로 인하여, 기차의 운임 방식은 타 교통 수단에 비해 복잡한 특성을 갖게 된다. 예컨대, 고속버스 같은 경우 출발지와 목적지까지 동일한 승객이 좌석을 점유하며, 탑승하는 승객수가 적기 때문에, 승차시 승차권을 검사하면 되지만, 기차의 경우, 승차객별로 출발역과 도착역이 다르므로 기차역별로 승강장 입구와 출구에서 각기 역무원들이 승차권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인원적, 비용적 부담이 있엇다. 더욱이 새벽부터 밤중까지도 역무원들이 필수적으로 배치되어 승차권을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하철과 같이 승객당 승차 요금이 상대적으로 작고, 보다 많은 인원이 동시에 이용하는 지하철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을 고가의 일반 기차, KTX(Korea Train eXpress), SRT(Super Rapid Train)의 경우 무임 승차 발생시 고액의 수익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차에 무임 승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본원에서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인용하는 공개 특허 제2011-0038272호(공개일자 : 2011년04월14일) "무임 승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승객의 열차 정보 및 승객 정보를 RFID 티켓에 기록한 후, 열차 내의 객차 출입문에 설치된 RFID 리더기에서 승객의 열차 정보 및 승객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각 좌석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착석 정보를 전송하면, 해당 객차 내의 탑승 승객 수와 착석 승객 수를 비교하여 무임 승차 여부를 확인하는 무임 승차 감지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무임 승차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인 도 1을 참조하면, 티켓 발급 장치로부터 열차 정보 및 승객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티켓을 발급한다.
따라서, 승객은 기차역에 도착하여 매표 창구를 통하여, 또는 무인 발매기를 통해서 물리적인 승차권, 즉 RFID 티켓을 발행받아야 하기 때문에, 1회용의 물리적 티켓 및 발매기의 사용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발행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RFID 티켓이 RFID 리더기의 인식 거리에 도달하면, RFID 리더기가 RFID 티켓에 기록된 태그 정보(즉, 열차 정보 및 승객 정보)를 읽어들인 후, 태그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센서부는 좌석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 센서부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착석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이 RFID 티켓으로부터 읽어들인 태크 정보와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착석 정보를, 서버에서 비교하여 무임 승차가 의심되는 좌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승객이 RFID 티켓을 반드시 소지하여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또한, 승객이 실수로 RFID 티켓을 소지하였거나 분실시 무임 승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승객이 실제 발권하였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고, 이를 입증하지 못할 때는 무인 승차로 간주되기 때문에, 무임 승차 여부를 확인하는 데 복잡한 과정이 따르며, 이 과정에서 승객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객차 별로 탑승 승객의 수와 각 객차 별 착석한 승객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객차 내에 무임 승차가 의심되는 좌석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RFID 리더기에서 RFID 티켓을 인식해서 승객의 승차를 확인하기 때문에, RFID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은 승객으로 인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좌석에 대한 무임 승차 여부는 판단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입석 승객에 대한 무임 승차 여부는 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 특허 제2011-0038272호(공개일자 : 2011년04월14일)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본 발명은 기차역에서 물리적인 기차 승차권을 구매하지 않고, 인터넷이나 모바일로 승차권을 구매한 경우에도 기차의 무임 승차를 방지할 수 있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본 발명은 승객이 물리적 승차권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기차의 무임 승차를 방지할 수 있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본 발명은 입석 승객에 대해서도 기차의 무임 승차를 방지할 수 있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본 발명은 RFID 티켓 발행에 따른 비용 손실 없이 기차의 무임 승차를 방지할 수 있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기차에 입석으로 승차권을 구매하고 좌석에 앉거나 아예 승차권을 구매하지 않고 무임으로 탑승하는 승객이 발생한 것을 상기 기차의 승무원 단말기에 통지하여 상기 기차에 무임 탑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을 예매 요청하고, 예매된 승차권을 저장하는 승객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승객 단말기로부터 예매 요청을 받아 상기 승차권을 발행하고, 상기 발행된 승차권 정보를 취합하여 예매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기차 예매 시스템과, 상기 기차에 승차하는 고객과 하차하는 고객을 감지하여 상기 기차에 탑승한 탑승객수를 계수하고,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각 운행 구간별 상기 예매 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비예매 좌석에 착석이 감지되면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고, 상기 에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예매 좌석과 착석 좌석이 동일한 데, 상기 계수한 탑승객수가 상기 에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탑승객수보다 많으면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승무원 단말기에 통지하는 승차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예매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승무원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승차 관리 통신부와, 상기 기차에 탑승하는 승객을 감지하여 승차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기차로부터 하차하는 승객을 감지하여 하차 신호를 발생하는 승하차 감지부와, 상기 기차의 각 좌석에 마련되어 상기 승객이 상기 좌석에 착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 감지부와,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예매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와, 무임 승차와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기차에 현재 근무하는 승무원이 휴대한 승무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승무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예매 현황이 변경될 때마다 갱신된 예매 현황 정보를 상기 승차 관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승하차 감지부에서 수신한 승차 신호 및 하차 신호로부터 현재 기차 내에 탑승한 탑승객수를 계수하고, 상기 착석 감지부로부터의 착석 감지 신호로부터 착석 신호를 수신하여 착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착석 정보와 상기 예매 현황 정보의 예매 좌석이 불일치하면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고, 상기 착석 정보와 상기 예매 좌석이 일치하되 상기 계수한 탑승객수가 상기 예매 현황 정보의 탑승객수보다 많으면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상기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승무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근무 승무원의 승무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승차 관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기차 내에 마련되어,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승차 관리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차에 입석으로 승차권을 구매하고 좌석에 앉거나 아예 승차권을 구매하지 않고 무임으로 탑승하는 승객이 발생한 것을 상기 기차의 승무원 단말기에 통지하여 상기 기차에 무임 탑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을 예매하는 단계와, 상기 기차의 운행 구간별 예매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기차에 탑승하는 승객과 하차하는 승객을 계수하여 상기 기차에 현재 탑승하고 있는 탑승객수를 계수하는 단계와, 상기 기차의 전 좌석의 착석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비예매 좌석에 착석이 감지되면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에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예매 좌석과 착석 좌석이 동일한 데, 상기 계수한 탑승객수가 상기 에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탑승객수보다 많으면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상기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상기 승무원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상기 기차 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모바일로 승차권을 구매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물리적 티켓을 구매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이 없고, 현장에서 RFID 티켓을 발행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객차로의 승하차 감지를 통해 산출한 탑승 승객수의 비교를 통해, 기차의 무임 승차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객차로의 승하차 감지를 통해 산출한 탑승 승객수의 비교를 통해, 무임 승차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승객이 물리적 티켓을 소지하지 않아도 기차의 무임 승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객차로의 승하차 감지를 통해 산출한 탑승 승객수의 비교를 통해, 무임 승차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좌석 뿐만 아니라 입석 승객에 대해서도 기차의 무임 승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객차로의 승하차 감지를 통해 산출한 탑승 승객수의 비교를 통해, 무임 승차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좌석 뿐만 아니라 입석 승객에 대해서도 기차의 무임 승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객차로의 승하차 감지를 통해 산출한 탑승 승객수의 비교를 통해, 무임 승차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RFID 티켓 발행 장치와, 1회용 소모성의 RFID 티켓 발행에 따른 비용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착석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구간에서 얘매하지 않은 좌석에 무입 승객(입석 승객 포함)이 착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객차로의 승하차 감지를 통해 산출한 탑승 승객수의 비교를 통해, 그리고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예매 현황과, 착석 감지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무임 승차를 파악하기 때문에, 평상시에 불필요한 인력 낭비나 감정 소모 없이 실제 무임 승차가 발생했을 때만 해당 구간의 무임 착석 승객 또는 무임 입석 승객에게만 승차권 확인을 하면되므로, 승차권 확인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등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동등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이하의 설명에서 동등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 요소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를 갖는 요소에 제공된 설명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임 탑승 방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정상 승차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보다 철저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에서는 세부 사항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들 특정 세부 사항없이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공지된 구조 및 장치는 실시예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후술되는 상이한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기능 블록은 본질적인 목적 및 기능이 유지되는 한, 상호 간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이웃하는 기능 블록과 일부 기능을 분담할 수 있으며, 각 기능 블록 사이에 추가의 기능 블록이 더 마련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의 각 블록 블록은, 본 발명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을 구현하는 형태에 따라, 보다 세분화할 수도 있고, 보다 개략화할 수도 있으며, 다른 기능 블록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로부터의 특징이 추가의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중 하나와 관련하여 설명된 변형 또는 수정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기차가 통상적으로 승객을 태우는 객차를 여러 량(輛) 길게 이은 열차의 형태로 운영하기 때문에, '복수'의 객차라는 표현을 예로서 사용하지만, 하나의 객차만을 운영하는 단량의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단량 형태의 객차를 운영하는 기차의 운행 구간이 있다면 해당 단량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포함된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기차, 열차, 차량, 객차 등의 표현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적용 형태, 이용 상황에 적합하게 혼용할 뿐, 승객을 실어나르는 실제 기차를 지칭하는 것으로, 기차의 여러 정의 중 상황에 따라 적절한 용어가 사용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하, 도 2,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정상 승차 메시지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는, 크게 승객 단말기(100), 기차 예매 시스템(200), 승차 관리 시스템(300), 네트워크(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 입력부(110), 승객 단말 제어부(120), 승객 통신부(130), 승객 디스플레이부(140), 승차권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승객에 의해 승차권을 예매하고, 승차권을 저장하는 데 이용되는 단말기로서, 예컨대,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을 사용 가능한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객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각종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승객의 정보, 기차 예매에 관한 정보 선택를 포함하여 기차의 예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예매자나 승객의 조작에 따라 발생한다.
승객 단말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 및 승객의 입력 조작에 대응하여, 승객 단말기(100) 전반을 제어한다.
승객 통신부(130)는 승객 단말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0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예매 통신부(210)와의 통신 규격에 맞게 승객 정보, 예매를 위한 선택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암호화하여 기차 예매 시스템(200)의 예매 통신부(210)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예매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승차권 정보를 복호화하여 승객 단말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승객 디스플레이부(140)는 기차 승차권 예매 화면 등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승차권이 선택될 때 승차권을 표시하기도 한다. 예컨대, 승무원의 요구가 있을 시 승객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디지털 데이터로 구성된 전자 승차권을 표시하여 승무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승차권 데이터 저장부(150)는 승객 단말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승차권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승차권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다른 승객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승객 단말기(180)는 컴퓨터나 휴대폰 등 하나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를 통해 기차 예매 시스템(200)에 승차권을 예매하고, 예매한 승차권은 휴대폰 등으로 받을 수도 있다.
기차 예매 시스템(200)은, 예매 통신부(210),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 회원 데이터베이스(230), 예약 현황 데이터베이스(240), 결제 모듈(250), 승차권 발행 모듈(260), 기차 데이터베이스(2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복수의 승객 단말기(100) 각각을 통해 승객이 원하는 기차의 승차권을 발행하여 송신하고, 각 승객의 예매 현황을 취함하여 예매 현황 정보를 복수의 기차 각각에 전송한다.
예매 통신부(210)는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0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승객 통신부(130) 또는 승차 관리 통신부(310)와의 통신 규격에 맞게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 및 승객의 입력 조작 또는 예매 시스템 관리자의 설정에 대응하여, 기차 예매 시스템(200) 전반을 제어한다.
회원 데이터베이스(230)는 기차 예매 시스템(200)에 가입된 고객의 정보, 예컨대, 고객의 고유 번호, 비밀 번호, 연락처 등의 고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240)에는 복수의 기차 각각에 대한 현재 좌석 또는 입석의 예약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복수의 기차 각각의 운행 구간 내의 특정 기차역과 특정 기차역 사이의 구간별로, 좌석 예매 상황, 입석 예매 승객수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결제 모듈(250)은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정보에 따라 휴대폰, 신용 카드, 온라인 결제, 무통장 입금, 포인트 결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제 방법으로 승차권 예매에 따른 대금 결제를 처리한 후, 결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에 전송한다.
승차권 발행 모듈(260)은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승차권 양식에 예매 정보를 기입한 승차권을 디지털 데이터로 발생하며, 그 발생된 승차권 데이터를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에 전송한다.
기차 데이터베이스(270)에는 각 기차의 운행 정보 및 기차 고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어 있다.
승차 관리 시스템(300)은 승차 관리 통신부(310),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 승하차 감지부(330), 착석 감지부(340),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360), 승무원 데이터베이스(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승차 관리 통신부(310)는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0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예매 통신부(210)와의 통신 규격에 맞게 예매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에 전달한다.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승하차 감지부(330) 및 착석 감지부(340)로부터의 감지 신호 및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프로그램 및 승차 관리 시스템 관리자의 설정 등에 따라 승차 관리 시스템(300)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70)에 저장된 예매 현황 정보와 착석 감지부(240)로부터의 착석 감지 신호에 근거한 착석 정보가 일치하고, 승하차 감지부(330)로부터의 승하차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산출한 현행 구간의 탑승 승객수와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탑승 승객수가 일치하면 도 4의 정상 승차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하고, 예매 되지 않은 좌석에서 착석 신호가 발생하면 도 5의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고, 예매 좌석과 착석 정보가 일치하는 데 산출한 탑승 승객수가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탑승 승객수보다 많으면 도 6의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새지를 발생하도록 승차 관리 시스템(300) 전반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경고 메시지는 승무원 데이터베이스(370)에 저장된 근무 승원 정보 및 승무원 단말기 고유 번호에 근거하여, 승무원 단말기(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승무원에게 무임 승차 고객이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차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해당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승무원에게 무임 승차가 발생한 사실을 통지하는 동시에, 무임 승객에게 경고할 수도 있다. 또는 승무원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승하차 감지부(330)는 적외선 센서, 열감지 센서, 압력 센서, 동영상 패턴 인식 모듈 등 주지된 인체 감지 센서로 구성되어, 기차에 승객이 탑승하는 것과, 기차로부터 승객이 하차하는 것을 감지하여, 승하차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승하차 감지 신호를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에 송신한다.
착석 감지부(340)는 압력 센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기차 객차 내의 각 좌석에 마련되며, 승객이 좌석에 착석하는 것을 감지하여 착석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착석 감지 신호를 착석 고유 번호와 함께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에 송신한다.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는 기차 예매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기차의 각 운행 구간별 예매 현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360)는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정상 승차 메시지, 도 5에 도시된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 도 5에 도시된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발생한다.
승무원 데이터베이스(370)에는 승무원의 각 단말기 고유 번호를 포함한 객차 내에 근무중인 승무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네트워크(200)는 승객 단말기(100)와 기차 예매 시스템(200) 사이, 기차 예매 시스템(200)과 승차 관리 시스템(300) 사이에서,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하는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에 의하면, 고객들이 물리적 승차권을 발행하는 번거로움 없이, 물리적 승차권을 소지하지 않아도 정확히 기차의 무임 승차를 감지함으로써, 무임 승차가 발생한 경우에만 탑승권을 확인하도록 하여, 탑승권 확인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승객은 승객 단말기(100)의 승객 통신부(130)를 통해 네트워크(400)를 경유하여 기차 예매 시스템(200)의 예매 통신부(210)와 접속하여, 승객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기차 예매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된 예매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기차, 원하는 운행 구간, 원하는 시간, 원하는 좌석 등을 승객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여 원하는 승차권을 예매한다.
한편, 기차 예매 시스템(200)에서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 모듈(250)을 통해서 대금 결제를 받은 후, 승차권 모듈(260)을 통해서 기설정된 양식의 승차권을 발행한 후, 예매 통신부(210)를 통해서 승객 단말기(100)에 발생된 승차권을 송신한다.
이렇게 예매된 승차권은 승차권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다(S110).
한편,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는 발매한 승차권 정보를 포함하여 예매 현황 정보를 작성 또는 갱신한 후,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한다(S120).
상술한 S120 단계에서 저장된 예매 현황 정보는, 예매 시스템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기차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된 기차 운행 정보에 근거하여, 예매 통신부(210)를 통해 네트워크(400)를 경유하여 해당 기차의 승차 관리 통신부(310)에 송신된다.
승차 관리 통신부(310)는 기차 예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예매 현황 정보를 복호화하여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에 전달하고,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예매 현황 정보를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한다(S13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객의 승차권 예매가 이루어질때마다, 상술하 S110∼S130 단계가 반복되어 실시간으로 예매 현황 정보가 승차 관리 시스템(300)의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다.
이후, 기차가 운행 구간 내의 특정 기차역에 정차하면, 승차 관리 시스템(300)의 승하차 감지부(330)는 승차 신호 및 하차 신호를 발생하여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에 전송하고, 착석 감지부(340)는 착석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좌석 고유 번호와 함께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에 전송한다.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승하차 감지부(330)로부터의 승차 신호 및 하차 신호에 근거하여 현재 기차 내의 탑승객수를 계수한다(S140).
한편,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좌석 예매 현황과 착석 감지부(340)로부터의 착석 감지 신호로부터 좌석 예매 현황과 착석 현황이 일치하는지 판정한다(S150).
S150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좌석 예매 현황과 착석 감지부(340)로부터의 착석 감지 신호로부터 좌석 예매 현황과 착석 현황이 일치하지 않으면,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예매되지 않은 비예매 착석, 즉 무임 착석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한다(S160).
그에 따라,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360)를 제어하여, 도 5에 도시된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작성한다(S170).
한편, S150 단계의 판정 결과,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좌석 예매 현황과 착석 감지부(340)로부터의 착석 감지 신호로부터 좌석 예매 현황과 착석 현황이 일치하면,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다시 S140 단계에서 계수한 탑승객수와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예매 현황 정보의 탑승객수가 일치하는지를 판정한다(S155).
S155의 판정 결과, 계수한 탑승객수와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예매 현황 정보의 탑승객수와 일치하면,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360)를 제어하여, 도 4에 도시된 정상 승차 메시지를 작성한다(S172).
한편, S155의 판정 결과, 계수한 탑승객수가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예매 현황 정보의 탑승객수보다 많으면,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360)를 제어하여, 도 6에 도시된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작성한다(S174).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320)는, 승무원 데이터베이스(370J) 내에 저장된 근무 승무원의 승무원 단말 고유 번호로, S170 단계, S172 단계, S174 단계에서 각기 작성된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 정상 승차 메시지,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S180).
따라서, 승무원은 S180 단계에서의 메시지를 확인하여, 승차권 확인을 생략할 수도 있고, 입석 승책에 대해서만 승차권을 확인할 수도 있고, 또는 무임 좌석으로 판정된 좌석에 대해서만 승차권을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차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해당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승무원에게 무임 승차가 발생한 사실을 통지하는 동시에, 무임 승객에게 경고할 수도 있다. 또는 승무원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방법에 의하면, 고객들이 물리적 승차권을 발행하는 번거로움 없이, 물리적 승차권을 소지하지 않아도 정확히 기차의 무임 승차를 감지함으로써, 무임 승차가 발생한 경우에만 탑승권을 확인하도록 하여, 탑승권 확인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 요소 또는 구조(어셈블리, 장치, 회로, 시스템 등)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하여, 이러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수단"에 대한 참조 포함)는,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예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동일하지 않더라도, 기술된 구성 요소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즉, 기능적으로 동등한)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 청구 범위는 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각 청구항은 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종속항이 청구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청구항과의 특정 조합을 언급할 수 있더라도),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서로 종속 또는 독립 청구항의 주제와 종속항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조합은 특정 조합이 의도되지 않았다고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제안된다. 또한, 이 청구항이 독립항에 직접적으로 종속되지 않더라도, 임의의 다른 독립항에 대한 청구항의 특징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 또는 청구 범위에 개시된 방법은 이들 방법의 각 동작의 각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또는 청구 범위에 개시된 다수의 동작 또는 기능의 개시는 특정 순서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동작 또는 기능의 개시는 이러한 동작 또는 기능이 기술적 이유로 상호 교환이 가능하지 않는 한 특정 순서로 이들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행위는 다수의 하위 행위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하위 행위로 나눌 수 있다. 명시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한 이러한 하위 행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단일 행위의 개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FPGA : 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 또는 기타 등가의 통합 또는 이산된 논리 회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프로세서"는 전술한 구조 중 어느 하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의 구현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구조를 말한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술은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논리 요소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DSP, ASIC, 또는 임의의 다른 등가의 통합 또는 이산된 논리 회로뿐만 아니라 이러한 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은 또한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동일한 장치 내에서 또는 별도의 장치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그 위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또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포함하도록,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 또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은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의 이점 중 일부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 요소가 적절히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징에서도 다른 도면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음을 언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에 대한 이러한 수정은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들의 법적 등가물에 의해 커버되도록 의도된다.
100 : 승객 단말기
110 : 승객 입력부
120 : 승객 단말 제어부
130 : 승객 통신부
140 : 승객 디스플레이부
150 : 승차권 데이터 저장부
200 : 기차 예매 시스템
210 : 예매 통신부
220 : 예매 시스템 제어부
230 : 회원 데이터베이스
240 :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
250 : 결제 모듈
260 : 승차권 발행 모듈
270 : 기차 데이터베이스
300 : 승차 관리 시스템
310 : 승차 관리 통신부
320 :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
330 : 승하차 감지부
340 : 착석 감지부
350 :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
360 :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
370 : 승무원 데이터베이스
400 : 네트워크

Claims (5)

  1. 기차에 입석으로 승차권을 구매하고 좌석에 앉거나 아예 승차권을 구매하지 않고 무임으로 탑승하는 승객이 발생한 것을 상기 기차의 승무원 단말기에 통지하여 상기 기차에 무임 탑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을 예매 요청하고, 예매된 승차권을 저장하는 승객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승객 단말기로부터 예매 요청을 받아 상기 승차권을 발행하고, 상기 발행된 승차권 정보를 취합하여 예매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기차 예매 시스템과,
    상기 기차에 승차하는 고객과 하차하는 고객을 감지하여 상기 기차에 탑승한 탑승객수를 계수하고,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각 운행 구간별 상기 예매 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비예매 좌석에 착석이 감지되면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고, 상기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예매 좌석과 착석 좌석이 동일한 데, 상기 계수한 탑승객수가 상기 예매 현황 정보에 근거한 탑승객수보다 많으면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승무원 단말기에 통지하는 승차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예매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승무원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승차 관리 통신부와,
    상기 기차에 탑승하는 승객을 감지하여 승차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기차로부터 하차하는 승객을 감지하여 하차 신호를 발생하는 승하차 감지부와,
    상기 기차의 각 좌석에 마련되어 상기 승객이 상기 좌석에 착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 감지부와,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예매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와,
    무임 승차와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는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기차에 현재 근무하는 승무원이 휴대한 승무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승무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예매 현황이 변경될 때마다 갱신된 예매 현황 정보를 상기 승차 관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차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예매 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승하차 감지부에서 수신한 승차 신호 및 하차 신호로부터 현재 기차 내에 탑승한 탑승객수를 계수하고, 상기 착석 감지부로부터의 착석 감지 신호로부터 착석 신호를 수신하여 착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착석 정보와 상기 예매 현황 정보의 예매 좌석이 불일치하면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고, 상기 착석 정보와 상기 예매 좌석이 일치하되 상기 계수한 탑승객수가 상기 예매 현황 정보의 탑승객수보다 많으면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상기 승차 관리 메시지 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승무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근무 승무원의 승무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승차 관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차 감지부는 적외선 센서, 열감지 센서, 압력 센서, 동영상 패턴 인식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되어, 기차에 승객이 탑승하는 것과, 기차로부터 승객이 하차하는 것을 감지하여, 승하차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착석 감지부는 압력 센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되어 기차 객차 내의 각 좌석에 마련되며, 승객이 좌석에 착석하는 것을 감지하여 착석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착석 고유 번호와 함께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에 송신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기차 내에 마련되어, 상기 승차 관리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임 착석 경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임 입석 승차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승차 관리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6519A 2021-01-18 2021-01-18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37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19A KR102373781B1 (ko) 2021-01-18 2021-01-18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19A KR102373781B1 (ko) 2021-01-18 2021-01-18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781B1 true KR102373781B1 (ko) 2022-03-15

Family

ID=8081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19A KR102373781B1 (ko) 2021-01-18 2021-01-18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7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257A (ja) * 2003-08-06 2005-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車内検札システム
KR20070077944A (ko) * 2006-01-25 2007-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자 티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8272A (ko) 2009-10-08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임 승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8982A (ko) * 2015-07-15 2015-08-04 안범주 열차의 현 탑승 인원수 파악 및 무임 승차 검출
KR20170049141A (ko) * 2015-10-28 2017-05-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임 승차 확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69864B1 (ko) * 2017-04-18 2018-06-21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영상 기반 열차 부정 탑승 승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4351A (ko) * 2018-12-14 2020-06-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임 승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257A (ja) * 2003-08-06 2005-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車内検札システム
KR20070077944A (ko) * 2006-01-25 2007-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자 티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8272A (ko) 2009-10-08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임 승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8982A (ko) * 2015-07-15 2015-08-04 안범주 열차의 현 탑승 인원수 파악 및 무임 승차 검출
KR20170049141A (ko) * 2015-10-28 2017-05-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임 승차 확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69864B1 (ko) * 2017-04-18 2018-06-21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영상 기반 열차 부정 탑승 승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4351A (ko) * 2018-12-14 2020-06-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임 승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1896B2 (en) On-vehicle ticketing and validation
US10121288B2 (en) Transit account management with mobile device messaging
AU2010271244B2 (en) Predictive techniques in transit alerting
AU2010271245B2 (en) Reloadable prepaid card distribution, reload, and registration in transit
US20110165836A1 (en) Id application for nfc phone
US10112529B2 (en)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a vehicle
US20150294298A1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using geotagging and mobile devices
US20150235145A1 (en) Open ticketless travel services
CN114638323A (zh) 避免触摸点并保持社交距离的智能机场和客舱系统
US95828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tting a user to submit a payment electronically
KR102373781B1 (ko) 기차의 무임 탑승 방지 장치 및 방법
EP2911097A1 (en) Open ticketless travel services
WO2022254484A1 (ja) システム、サーバ装置、認証方法及び記憶媒体
CA2881641C (en) Open ticketless travel services
JP2000276615A (ja) 指定席管理/発券システム
JP2021196956A (ja) 決済代行装置、決済代行システム、決済代行方法、及び決済代行プログラム
JP2022184709A (ja) 認証端末、認証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21277630A1 (en) Enhanced authorization to access transportation hub services
JP2022171332A (ja) 乗車券発行システム及び乗車券発行プログラム
JP2021131651A (ja) 配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