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923B1 - 핸드타이탬퍼 모듈 - Google Patents

핸드타이탬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923B1
KR102372923B1 KR1020210063783A KR20210063783A KR102372923B1 KR 102372923 B1 KR102372923 B1 KR 102372923B1 KR 1020210063783 A KR1020210063783 A KR 1020210063783A KR 20210063783 A KR20210063783 A KR 20210063783A KR 102372923 B1 KR102372923 B1 KR 10237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flange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곤
백인철
서종민
김회안
김동용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씨엠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12Packing sleepers,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Compacting track-carrying ballast
    • E01B27/20Compacting the material of the track-carrying ballastway, e.g. by vibrating the track, by surface vib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06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 E01B27/10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without taking-up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2Tam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4Way of locomotion or support
    • E01B2203/141Way of locomotion or support on the track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타이탬퍼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갈 다짐 작업 시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고, 핸드타이탬퍼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타이탬퍼 모듈{HAND TIE TAMPER MODULE}
본 발명은 핸드타이탬퍼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갈 다짐 작업 시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고, 핸드타이탬퍼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철로에는 열차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침목 아래에 자갈이 깔리게 된다.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갈들이 마모되어 철로가 처지게 되므로, 보수 공사에서 주기적으로 자갈 다짐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갈 다짐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열차의 승차감이 저하되고 최악의 경우 열차가 철로를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자갈을 다지는 작업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구는 핸드타이탬퍼이다. 종래의 핸드타이탬퍼는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64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타이탬퍼는 작업자가 핸드타이탬퍼를 들고 자갈 다짐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그대로 작업자에게 전달되므로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타이탬퍼 자체의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일 지점의 자갈 다짐 작업 후 다른 지점으로 핸드타이탬퍼를 이동 시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자갈 다짐 작업의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640호
본 발명은 핸드타이탬퍼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갈 다짐 작업 시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고, 핸드타이탬퍼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자갈을 다짐하는 탬퍼 유닛 및 상기 탬퍼 유닛에 결합되는 핸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탬퍼 유닛은 용두가 일단에 결합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되, 외주면에 상기 핸들 유닛이 결합되는 제2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상호를 잇는 연결 핀; 및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서 위치되되, 상기 연결 핀이 관통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상기 제2 플랜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제2 탄성체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상기 핸들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핸들 프레임; 복수 개의 제2 핸들 프레임; 상기 제1 핸들 프레임과 상기 제2 핸들 프레임을 잇는 제1 핸들 완충부; 및 상기 제2 핸들 프레임을 잇는 제3 핸들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상기 제2 플랜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모터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이동 유닛; 상기 제1 이동 유닛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모터 유닛; 상기 제2 모터 유닛과 결합되는 라인 유닛; 및; 상기 라인 유닛과 상기 핸들 유닛을 결합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이동 유닛;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동시에 결합되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 상기 가이드 레일 유닛에 결합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이동 유닛; 상기 제3 이동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모터 유닛; 상기 제2 모터 유닛과 결합되는 라인 유닛; 및; 상기 라인 유닛과 상기 핸들 유닛을 결합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전해지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작업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가 분리되어 탬퍼 유닛의 경랑화되는 장점이 있고, 모터 또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므로 이동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의 구성을 통해 작업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 반경이 확장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을 확대하여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핸들 완충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이동 유닛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고정부가 레일을 파지하고 있을 때의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탬퍼 유닛의 작업 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탬퍼 유닛의 작업 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탬퍼유닛과 모터가 일체화된 것으로, 후술할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가 모터가 분리된 것과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을 확대하여 분해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탬퍼 유닛(100), 핸들 유닛(200) 및 제1 모터 유닛(300)을 포함한다.
탬퍼 유닛(100)을 자갈을 다짐하는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방에 자갈과접촉하는 용두가 결합된다. 모터의 진동이 편심 추에 전달되어 탬퍼 유닛 전체에 진동이 발생되며, 이러한 진동 발생 원리는 공지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탬퍼 유닛은 바디 프레임(110), 제1 플랜지(120), 제2 플랜지(130), 연결핀(140), 제1 탄성체(150) 및 제2 탄성체(160)를 포함한다.
바디 프레임(110)은 일단에 용두가 결합되고, 타단에 제1 플랜지(120)가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플랜지(120)는 바디 프레임(1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일 예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 프레임(110) 및 제1 플랜지(120)는 내부에 진동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한 플렉시블 샤프트, 커플링 등 기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를 감싸거나 관통시킬 수 있다.
제2 플랜지(130)는 제1 플랜지(120)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제2 플랜지(130)의 외주면에는 제2 탄성체(16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플랜지(120)와 제2 플랜지(130) 사이에는 제1 탄성체(150)가 위치되며, 연결 핀(140)이 제1 플랜지(120), 제1 탄성체(150) 및 제2 플랜지(130)를 동시에 관통되어 제1 탄성체(1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1 탄성체(150)는 일 예로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완충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탄성체(15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플렉시블 샤프트 등이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탄성체(150)의 구성으로 인해, 용두와 자갈의 마찰로 인해 발생된 진동이 작업자에게 전달되기 전, 1차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일체형 프레임 형태가 아닌 바디 프레임(110)과 제2 플랜지(130)로 구역을 구분하고, 구역 사이에 제1 탄성체(150)를 배치시켜 진동의 흡수가 원활하게 하도록 한다.
제2 탄성체(160)는 제2 플랜지(1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탄성체(160)는 제1 탄성체(150)와 마찬가지로 일 예로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완충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탄성체(16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플랜지(130)가 관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핸들 유닛(200)이 제2 탄성체(160)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탄성체(150)에서 1차로 감쇄된 진동은 핸들 유닛(200)에 진동이 전달되기 전 제2 탄성체(160)에서 2차로 감쇄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130)의 타단에는 제1 모터 유닛(300)이 결합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탬퍼 유닛(100), 핸들 유닛(200) 및 제1 모터 유닛(300)이 일체화되므로 모듈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유닛(20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들 유닛(200)은 결합구, 제1 핸들 프레임(210), 제2 핸들 프레임(220), 제1 핸들 완충부(230), 제3 핸들 프레임(240) 및 제2 핸들 완충부(250)를 포함한다.
결합구는 제2 탄성체(160)의 외주면을 감싸며, 핸들 유닛(200)과 탬퍼 유닛(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핸들 프레임(210)은 결합구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3에서는 4개의 제1 핸들 프레임(210)이 구비되나, 반드시 이러한 개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핸들 프레임(210)과 후술할 제2 핸들 프레임(220) 사이에는 제1 핸들 완충부(230)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핸들 완충부(23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핸들 완충부(230)는 제1 핸들 연결부(231), 제1 핸들 하부 커버(232), 제1-1 핸들 플랜지(233), 제1-2 핸들 플랜지(234), 제1-3 핸들 플랜지(235), 부시(236), 제1 핸들 탄성체(237), 볼트(238)를 포함한다.
먼저, 제1-2 핸들 플랜지(234)와 제1-3 핸들 플랜지(235) 사이에 제1 핸들 탄성체(237)가 위치된다. 제1 핸들 탄성체(237)는 일 예로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완충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볼트(238)가 관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핸들 플랜지(234)와 제1-1 핸들 플랜지(233) 사이에는 제1 핸들 하부 커버(232)가 위치된다. 이때, 제1 핸들 하부 커버(232)에는 일부분이 개방되어, 볼트(238)를 조일 수 있는 렌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볼트(238)는 제1-2 핸들 플랜지(234), 제1 핸들 탄성체(237), 제1-3 핸들 플랜지(235) 및 제1 핸들 연결부(23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부품을 고정한다. 또한, 후술할 제2 핸들 프레임(220)이 제1 핸들 연결부(231)를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체(150) 및 제2 탄성체(160)를 거쳐 감쇄된 진동이 제1 핸들 프레임(210)에 전달될 때,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제2 핸들 프레임(220)으로 진동이 전달되기 전 3차로 진동이 감쇄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핸들 완충부(230)는 어느 하나의 제1 핸들 프레임(210)을 기준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의 진동 감쇄 요구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2 핸들 프레임(220)은 제1 핸들 완충부(230)와 제3 핸들 프레임(240)을 연결한다.
제3 핸들 프레임(240)은 복수 개의 제2 핸들 프레임(220)의 단부를 잇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양 손으로 핸들 유닛(20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3 핸들 프레임(240)에는 복수 개의 제2 핸들 완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핸들 완충부(250)는 제3 핸들 프레임(240)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3 핸들 프레임(240)이 관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완충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핸들 완충부(250)는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손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핸들 완충부(230)에 의해 3차로 감쇄된 진동은 작업자의 손으로 전달되기 전 제2 핸들 완충부(250)에 의해 4차로 감쇄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탬퍼 유닛(100)에서 발생된 진동이 다수의 차수를 거쳐 감쇄되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핸드타이탬퍼보다 작업자의 피로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작업 효율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제1 이동 유닛(700)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과 탬퍼 유닛(100) 및 핸들 유닛(200)은 동일하다. 다만,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이 아닌 분리형으로 결합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을 설명함에 있어, 탬퍼 유닛(100) 및 핸들 유닛(200)의 중복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제2 모터 유닛(400), 라인 유닛(500), 연결 유닛(600) 및 제1 이동 유닛(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탬퍼 유닛(100)의 제2 플랜지(130)의 타단에 연결 유닛(600)이 결합되며, 플렉서블한 라인 유닛(500)이 연결 유닛(600)과 제2 모터 유닛(400)을 잇는다.
이러한 구조는 모터가 탬퍼 유닛(100)과 일체화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로, 탬퍼 유닛(100) 부근의 중량이 감소하여 일 실시 예보다 작업자가 탬퍼 유닛(100)을 이동시키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레일(R)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므로, 모터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이동 유닛(700)은 본체부(710), 휠부(720), 축부(730), 회전프레임부(740) 및 고정부(750)를 포함한다.
본체부(710)는 바디(body) 역할을 하며, 휠부(720)는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부(730)는 본체부(710)의 일 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회전프레임부(740)가 결합된다. 회전프레임부(740)에는 제2 모터 유닛(400)이 놓여져 결합된다.
이때, 회전프레임부(740)는 축부(7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모터 유닛(400), 라인 유닛(500), 연결 유닛(600) 및 탬퍼 유닛(100) 모두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작업자가 자갈을 다지는 구역을 변경하고자 하여 탬퍼 유닛(100)을 이동시킬 때, 탬퍼 유닛(100)과 결합된 위 구성요소 또한 탬퍼 유닛(1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특정 구역에서 자갈 다짐 중에는, 제1 이동 유닛(700)의 이동이 제한되어야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750)를 통해 제1 이동 유닛(700)이 레일(R)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고정부(75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고정부(750)가 레일(R)을 파지하고 있을 때의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고정부(750)는 제1 고정부(751), 제2 고정부(752), 제3 고정부(753), 제4 고정부(754), 고정패널(755), 고정프레임(756) 및 고정레버(757)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751)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패드(P)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1 고정부(751)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제2 고정부(752)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1 고정부(751)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고정부(752)는 제1 고정부(751)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도록 꺾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제2 고정부(752)는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고정부(751)로부터 꺽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고정부(751)와 제2 고정부(752)의 경계에는 홀이 형성되며, 홀에 관통되는 핀은 고정패널(755)에 동시에 관통된다. 이로 인해, 제1 고정부(751)와 제2 고정부(752)는 홀에 관통된 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폭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하는 동작 메커니즘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2 고정부(752)가 하강하는 경우 제1 고정부(751)가 레일(R)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제2 고정부(752)가 승강하는 경우 제1 고정부(751)가 레일(R)로부터 가까워지도록 회전한다.
제3 고정부(753)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2 고정부(752)와 각각 링크 결합된다. 또한, 제4 고정부(754)는 한 쌍의 제3 고정부(753)가 동시에 링크 결합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프레임(756)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4 고정부(754)와 결합되며, 타단이 고정레버(757)와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레버(757)를 승강시키면, 고정프레임(756), 제4 고정부(754), 제3 고정부(753)가 순차적으로 승강하며, 제3 고정부(753)의 승강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1 고정부(751)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 고정부(751)에 결합된 패드(P)가 레일(R)의 양면에서 레일(R)을 압착하게 되어 제1 이동 유닛(700) 전체가 레일(R)에 고정된다. 이와 반대로, 작업자가 고정레버(757)를 하강시키면 패드(P)가 레일(R)로부터 멀어져 고정에 해제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자갈을 다지는 작업 중에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탬퍼 유닛(100)의 작업 반경을 도시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이동 유닛(700)이 레일(R)의 일 지점에서 고정되었을 때의 작업 반경을 도시한 것이다.
제2 모터 유닛(400)을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지 않고, 제1 이동 유닛(700)에 의해 지지되고, 작업자는 탬퍼 유닛(100) 및 핸들 유닛(200)만으로 자갈의 다짐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회전프레임부(740)에 의해 탬퍼 유닛(100) 및 핸들 유닛(200)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도 8과 같은 작업 반경 내의 구역 내에서 자유롭게 다짐 구역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고정레버(757)를 하강시켜 제1 이동 유닛(7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면, 제1 이동 유닛(700)을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이동된 레일(R)의 위치에서 고정레버(757)를 승강시켜 제1 이동 유닛(700)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최초의 제1 이동 유닛(700)의 위치에서의 작업 반경과 다른 작업 반경을 설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과 비교할 때, 레일(R)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차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과 탬퍼 유닛(100), 핸들 유닛(200), 연결 유닛(600), 라인 유닛(500), 제2 모터 유닛(400)이 동일하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은 한 쌍의 제2 이동 유닛(1000, 2000)을 지닌다. 제2 이동 유닛(1000)은 본체부(1100, 2100), 휠부(1200, 2200) 및 고정부(1300, 2300)을 지니며, 이는 다른 실시 예의 제1 이동 유닛(700)의 본체부(710), 휠부(720), 고정부(750)와 동일한 구성이다.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또 다른 실시 예는 다른 실시 예와는 달리 제1 이동 유닛(700)의 축부(730) 및 회전프레임부(740)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은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레일(R)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제2 이동 유닛(1000, 2000)의 상부에 놓여져 결합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홈이 형성되며, 홈에 제3 이동 유닛(900)이 결합되어 제3 이동 유닛(900)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3 이동 유닛(900)은 패널 형상의 걸림부(910, 920)가 구비되고, 걸림부(910, 920)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 사이에서 걸려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3 이동 유닛(900)은 제3 축부(930) 및 제3 회전프레임부(940)를 구비한다. 제3 축부(930)는 걸림부(910, 920)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3 회전프레임부(940)는 제2 모터 유닛(400)을 수용하고, 제2 모터 유닛(40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제3 축부(930) 및 제3 회전프레임부(940)는 전술한 제1 이동 유닛(700)의 축부(730) 및 회전프레임부(740)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은 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3 이동 유닛(900)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800)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다른 실시 예가 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만 가능한 것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또 다른 실시 예는 제3 이동 유닛(900)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탬퍼 유닛(100)의 이동 가능한 반경이 다른 실시 예보다 넓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타이탬퍼 모듈의 탬퍼 유닛(100)의 작업 반경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서술한 사실을 뒷받침하게 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탬퍼 유닛,
200 : 핸들 유닛,
300 : 제1 모터 유닛,
400 : 제2 모터 유닛,
500 : 라인 유닛,
600 : 연결 유닛,
700 : 제1 이동 유닛,
800 : 가이드 레일 유닛,
900 : 제3 이동 유닛,
1000, 2000 : 제2 이동 유닛.

Claims (7)

  1. 자갈을 다짐하는 탬퍼 유닛 및 상기 탬퍼 유닛에 결합되는 핸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탬퍼 유닛은,
    용두가 일단에 결합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되, 외주면에 상기 핸들 유닛이 결합되는 제2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상호를 잇는 연결 핀; 및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서 위치되되, 상기 연결 핀이 관통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고,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이동 유닛;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동시에 결합되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유닛;
    상기 가이드 레일 유닛에 결합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이동 유닛;
    상기 제3 이동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모터 유닛;
    상기 제2 모터 유닛과 결합되는 라인 유닛; 및;
    상기 라인 유닛과 상기 핸들 유닛을 결합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 유닛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도록 꺾여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부와 동시에 핀이 관통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부가 상기 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폭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패널;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부와 각각 링크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제3 고정부와 동시에 링크 결합되는 제4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고정부가 승강 시,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가 상기 레일을 향하여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4 고정부가 하강 시,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상기 레일과의 고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 유닛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제3 축부; 및
    상기 제3 축부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2 모터 유닛을 수용하는 제3 회전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회전프레임부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상기 제2 모터 유닛과 결합된 상기 라인 유닛, 상기 연결 유닛, 상기 핸들 유닛 및 상기 탬퍼 유닛 모두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3 축부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여,
    상기 제3 축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위치 고정 시, 상기 탬퍼 유닛의 원형의 작업 반경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제2 탄성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핸들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핸들 프레임;
    복수 개의 제2 핸들 프레임;
    상기 제1 핸들 프레임과 상기 제2 핸들 프레임을 잇는 제1 핸들 완충부; 및
    상기 제2 핸들 프레임을 잇는 제3 핸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 완충부는 제1 핸들 연결부, 제1 핸들 하부 커버, 제1-1 핸들 플랜지, 제1-2 핸들 플랜지, 제1-3 핸들 플랜지, 제1 핸들 탄성체 및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제1-2 핸들 플랜지, 상기 제1 핸들 탄성체, 상기 제1-3 핸들 플랜지 및 상기 제1 핸들 연결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이를 고정하고,
    상기 제1-2 핸들 플랜지와 상기 제1-1 핸들 플랜지 사이에 일 부분이 개방된 상기 제1 핸들 하부 커버가 위치되어, 상기 볼트의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 핸드타이탬퍼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63783A 2021-05-18 2021-05-18 핸드타이탬퍼 모듈 KR102372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83A KR102372923B1 (ko) 2021-05-18 2021-05-18 핸드타이탬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83A KR102372923B1 (ko) 2021-05-18 2021-05-18 핸드타이탬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923B1 true KR102372923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783A KR102372923B1 (ko) 2021-05-18 2021-05-18 핸드타이탬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9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57A (ja) * 1993-12-20 1995-07-11 Ono:Kk レール吊り装置
CN202170454U (zh) * 2011-07-18 2012-03-21 浙江天球工量具实业有限公司 手持内燃振动式捣固镐
KR200467640Y1 (ko) 2011-08-11 2013-06-28 황선일 철도용 엔진 타이탬퍼
CN203654107U (zh) * 2013-12-20 2014-06-18 康保和 铁路路基振动捣固机
CN211112953U (zh) * 2019-06-12 2020-07-28 内蒙古工业大学 一种清理铁路轨枕下石砟的小型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57A (ja) * 1993-12-20 1995-07-11 Ono:Kk レール吊り装置
CN202170454U (zh) * 2011-07-18 2012-03-21 浙江天球工量具实业有限公司 手持内燃振动式捣固镐
KR200467640Y1 (ko) 2011-08-11 2013-06-28 황선일 철도용 엔진 타이탬퍼
CN203654107U (zh) * 2013-12-20 2014-06-18 康保和 铁路路基振动捣固机
CN211112953U (zh) * 2019-06-12 2020-07-28 内蒙古工业大学 一种清理铁路轨枕下石砟的小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472B1 (ko) 복합 철도 침목
JPH049138Y2 (ko)
RU2041306C1 (ru) Шпалоподбивочный агрегат
RU2013483C1 (ru) Передвижная шпалоподбивочная и выправочная машина
KR102372923B1 (ko) 핸드타이탬퍼 모듈
CN213354557U (zh) 一种防护性好的泡沫混凝土预制板搬运装置
KR101848091B1 (ko) 탬핑 머신
CN110774845A (zh) 隧道轮胎轮轨互换式车辆
CA1180597A (en) Tamping tool assembly
JPH04222701A (ja) 3個の枕木の下部を突固める軌道突固め機用の突固めユニット
CS268153B2 (en) Packing set
US20060037511A1 (en) Mobile track maintenance machine
TW577948B (en) A dual-functional railroad vehicle for carrying out works on track superstructure
EA039948B1 (ru) Шпалоподбивоч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подбивки шпал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KR101884361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CN110241667A (zh) 一种钢轨打磨装置
CN109537436A (zh) 一种公路桥梁减震降噪装置
JPH0135962B2 (ko)
KR20110008894U (ko) 자기부상열차용 차간 댐퍼장치
JPH07119105A (ja) タンピング装置
CN218373045U (zh) 一种地铁轨道降噪减震装置
JPS5948236B2 (ja) 緩震装置
CN215793928U (zh) 一种地铁维护人员交通运输车
JP2929351B2 (ja) 道床突き固め装置
CN111918484B (zh) 一种软性电路板生产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