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778B1 -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778B1
KR102372778B1 KR1020200002213A KR20200002213A KR102372778B1 KR 102372778 B1 KR102372778 B1 KR 102372778B1 KR 1020200002213 A KR1020200002213 A KR 1020200002213A KR 20200002213 A KR20200002213 A KR 20200002213A KR 102372778 B1 KR102372778 B1 KR 10237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layer
checkerboard
stones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019A (ko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아이바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아이바둑 filed Critical (주)에이아이바둑
Priority to KR102020000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778B1/ko
Priority to PCT/KR2020/018676 priority patent/WO2021141278A1/ko
Priority to CN202080092282.6A priority patent/CN114929349A/zh
Publication of KR2021008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2Chess; Similar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2003/00996Board games available as video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은, 게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옵션에 기초하여 바둑판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게임자에게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게임자의 턴마다 주사위를 표시하여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게임자의 턴마다 상기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DUK GAME BY USING DICEPLAY}
본 발명은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둑은 오랜 역사를 가지는 게임 중의 하나로, 현재까지도 다양한 연령층의 게임자들이 게임을 배워 즐기고 있다. 전자 기기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바둑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수단 및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오랜 역사를 가지는 바둑은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으나, 용어나 규칙을 처음 접하는 사람은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과 룰을 숙지하지 못하면 전략적인 사고를 통해 흥미를 느끼고 게임을 계속 즐기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에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전자 게임의 형태로 바둑을 즐길 수 있는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하는 종래 기술은, 실제 바둑에서는 제공하기 어려운 정보를 제공하거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형태로 게임을 제공하고 있다.
KR 10-2013-0022736 A (2013.03.07. 공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바둑의 전투에 꼭 필요한 활로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여 접근전에서 공격과 수비의 선택과 활로의 급소를 찾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착수금지 점과 해제에 대한 경험과 잡을 수 없는 돌 등 바둑의 사활과 관련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둑의 중요 규칙인 착수금지와 사활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는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은, 게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옵션에 기초하여 바둑판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게임자에게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게임자의 턴마다 주사위를 표시하여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게임자의 턴마다 상기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는,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에 기초하여 바둑판을 생성하는 연산부; 및 게임자로부터 상기 옵션을 입력받고,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착수 기회를 제공하고, 상기 바둑판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게임자의 턴마다 주사위 던지기를 통해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게임자의 턴마다 상기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주사위 표시에 의해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여 착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대한 학습 또는 연습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여러 개의 돌을 한 턴에 착수하여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게임자가 바둑판에서 활로 개수, 착수금지 점과 해제에 대하여 경험을 통해 학습을 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바둑판 상에 착수되어 있는 돌의 활로 개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게임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어 게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임자는 원하는 때에 원하는 돌의 활로에 관한 정보만을 얻을 수 있어, 활로 세기라는 바둑의 기본 정보 수집 훈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사위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게임을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기착수된 돌의 활로의 개수 및 위치를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상기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연산부(110) 및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110)는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에 기초하여 바둑판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게임자로부터 옵션을 입력받고,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착수 기회를 제공하고, 바둑판을 표시하여 게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스마트 기기에 구현될 수 있다. 연산부(110)는 바둑 게임의 진행을 위한 옵션(환경 설정)을 저장하고 옵션에 기초하여 바둑판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20)는 연산부(110)에 의한 연산 결과를 게임자에게 츨력하고 게임자로부터 게임 진행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연산부(110)는 스마트 기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100)가 구현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20)는 일반적인 컴퓨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사위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게임을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사위를 이용하여 게임을 제공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은,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s210)와, 바둑판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s220)와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230)와, 바둑판을 업데이트 하여 표시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s210)에서는, 게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은 바둑 게임의 종류 및 난이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은 게임자의 식별 정보 및 결제 내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게임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부(110)에 의해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바둑판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s220)에서는, 옵션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할 바둑판이 생성될 수 있다. 바둑 게임의 종류 및 난이도에 따라 바둑판의 크기(가로줄과 세로줄의 개수)가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둑판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s220)에서는, 게임 시작 시 돌이 바둑판 상에 이미 착수되어 있는 바둑판을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즉, 바둑 게임의 종류 및 난이도에 따라, 게임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는 상황을 게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연산부(110)에 의해 바둑판이 생성되고,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게임자에게 바둑판이 표시될 수 있다.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230)에서는, 게임자로부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230)에서 게임자의 입력을 기다리고, 게임자가 현재 바둑판 상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면, 착수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위치에 돌이 착수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게임자의 입력은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수신하고, 연산부(110)에 의해 착수가 가능한 자리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착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둑판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240)에서는,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바둑판 상에 착수 처리가 수행된 위치에 돌이 표시될 수 있다. 연산부(110)에서 처리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게임자에게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230)는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s231)와,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s23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게임자의 턴마다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게임자의 턴마다 복수의 돌을 착수할 수 있는 게임이 제공될 수 있다.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s231)에서는, 착수할 돌의 개수는 게임자의 턴마다 주사위(310)를 표시하여 주사위 놀이를 통해 결정하고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게임자의 턴 시작과 함께 주사위(310)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주사위(410)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숫자가 표시된 면이 변화되다가 어느 한 면으로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정지된 주사위 면에 표시되는 수가 착수할 돌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착수할 돌의 개수가 연산부(110)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의 숫자의 주사위 면이 표시되는 과정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s232)에서는, 해당 게임자의 턴마다 주사위(310)에 의해 표시된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게임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게임자는 바둑판 상의 비어있는 자리를 선택하여, 턴마다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의 돌을 바둑판 상에 목표한 돌의 활로를 줄이는 점에만 착수할 수 있다.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s232)에서는, 선택되는 위치에 대해 착수 가능 여부가 판단되고 착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잇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230)는 착수할 돌의 개수를 차감하여 표시하는 단계(s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되는 착수할 돌의 개수(320)가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표시되고, 게임자의 순차적인 착수에 따라 착수할 돌의 개수(320)가 차감되어 표시되는 등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상의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230)는 복수의 게임자의 턴마다 각각 실시될 수 있고,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s232) 및 착수할 돌의 개수를 차감하여 표시하는 단계(s233)는 게임자의 해당 턴에서 결정된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주사위를 이용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자의 난이도 등의 옵션 선택을 반영하여 게임 개시 시 바둑판 상에 기착수되어 있는 돌(330)을 표시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게임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주사위를 이용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게임자가 경쟁하여, 기착수되어 있는 돌을 따내는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하얀 쥐 캐릭터(340)는 제 1 게임자, 검은 고양이 캐릭터(340)는 제 1 게임자와 경쟁하는 제 2 게임자, 원형의 쿠키 캐릭터(330)는 기착수되어 있는 잡아야 하는 목표물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게임자는 컴퓨터일 수도 있고, 온라인을 통해 접속한 상대방 게임자일 수 있다. 제 1 게임자 또는 제 2 게임자의 선택에 의해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게임자 또는 제 2 게임자가 따낼 돌은, 제 1 게임자 또는 제 2 게임자의 캐릭터(340)와는 다른 모양(330)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게임에서는, 따낼 돌을 단수(활로가 하나인 상태)로 만들기 전까지는 둘 수 없는 자리인 착수금지 점(350, 놓으면 바로 잡히는 자리)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게임자 진행을 위한 옵션으로서, 원치 않는 주사위의 숫자가 나오는 경우 주사위를 다시 표시하여 착수할 돌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입력버튼(360)이나, 복수(두 개)의 주사위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버튼(370), 게임자가 착수할 돌의 개수가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추가 착수 기회를 받을 수 있는 입력버튼(380)이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각 게임자의 턴마다 기착수되어 있는 돌을 따내는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게임자 간의 승패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자는 한 턴에서 결정된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착수가 가능하므로,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의 돌을 이용하여 기착수되어 있는 돌(330) 중에서 완전히 둘러쌀 수 있는 자리에 착수를 실시함으로써, 해당 게임자의 턴 내에 기착수되어 있는 돌을 따냄으로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에서 예를 들면, 착수할 돌의 개수(320)가 세 개 남은 상황에서 세 개의 활로를 둘러쌀 수 있는 위치들(390)에 돌을 착수함으로써, 게임자가 턴 내에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착수된 돌 중 오른쪽 위에 착수된 3개의 돌은 3개의 활로 방향을 갖는다. 이 경우 게임자는 자신이 착수할 수 있는 개수가 3회 이상 남았을 경우, 해당 위치들(390)에 돌을 착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게임자는 종래 바둑 게임의 룰에만 제약되지 않고 새로운 방식으로 바둑 게임을 즐길 수 있고, 게임자에게 자연스럽게 바둑 규칙을 학습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한 턴에 착수할 수 있는 돌의 개수를 늘려주고, 해당 턴 내에 기착수되어 있는 돌을 따냄으로써 점수를 획득하도록 유도하여, 게임자는 현재 기착수되어 있는 돌의 활로의 개수와 자신이 착수할 돌의 개수를 비교하여 한 턴 내에 점수를 획득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게임자는 현재 바둑판 상의 활로의 개수를 직관적으로 빠르게 생각해내는 사고력을 학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기착수된 돌의 활로의 개수 및 위치를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430)에서는, 연산부(110) 및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바둑판 상에 기착수된 돌에 대한 활로의 개수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턴 이전까지 바둑판 상에 착수된 돌들에 대한 활로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착수된 돌에 대한 활로의 개수는, 게임자가 바둑판 상에 착수되어 있는 돌을 선택함에 따라 표시되거나 미표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게임자가 자신의 턴에 바둑판 상에 비어있는 자리를 선택하지 않고 이미 착수되어 있는 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돌에 대한 활로의 개수가 표시되거나 미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기착수된 돌의 활로의 개수 및 위치(510, 520)를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기착수된 돌에 대한 활로의 개수(510)는 게임을 진행하는 중에 게임자가 선택한 기착수된 돌에 표시될 수 있다. 게임자가 활로가 표시된 돌을 다시 선택하면, 해당 돌의 활로의 개수에 대한 표시는 삭제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착수된 돌에 대한 활로의 개수(510)는 활로 상에 서로 이웃한 돌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활로를 따라 연결되어 이웃하게 놓여진 돌들은 활로의 개수가 동일하므로, 게임자는 선택한 돌에 대한 활로의 개수뿐만 아니라, 선택한 돌과 활로를 공유하는 활로의 개수가 동일한 돌들의 영역(530)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s430)에서는 기착수된 돌에 대한 활로의 위치(52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임자에게 기착수된 돌의 활로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게임자의 선택에 따른 활로의 개수 및 위치(510, 520)을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는 설정을 위한 입력버튼(540)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활로의 개수를 표시하는 구성에 의하면, 게임자는 자신의 턴에 새로운 돌을 착수하기 전에 이미 바둑판 상에 놓여있는 돌들에 대한 활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게임자가 바둑 게임을 진행하면서 활로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숙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활로의 개수가 일률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상황에 따른 게임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 및 미표시될 수 있으므로, 게임자는 미리 선택할 돌에 대한 활로를 생각해 볼 수 있는 등 능동적으로 활로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돌에 대한 활로의 개수뿐만 아니라, 선택된 돌에 이웃하여 동일한 활로의 개수를 갖는 돌들의 활로의 개수가 함께 표시될 수 있고, 나아가, 활로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임자는 바둑판 공간 상의 전체적인 게임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학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
110: 연산부
120: 인터페이스부
310: 주사위
320: 착수할 돌의 개수
330: 기착수되어 있는 돌
350: 착수금지 점
360: 주사위를 다시 표시하여 착수할 돌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입력버튼
370: 두 개의 주사위를 이용할 수 있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버튼
380: 추가 착수 기회를 받을 수 있는 입력버튼
510: 활로의 개수
520: 활로의 위치

Claims (6)

  1.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게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옵션에 기초하여 바둑판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게임자에게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둑판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옵션에 기초하여 게임 개시 시 상기 바둑판 상에 기착수되어 있는 목표물의 위치를 표시하고,
    복수의 상기 게임자가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은 각 게임자마다 다른 캐릭터로 표시되고, 상기 목표물은 상기 캐릭터와 다른 모양으로 표시되고,
    상기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게임자의 턴마다 주사위 던지기를 통해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게임자의 턴마다 상기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자는 각 게임자의 턴 내에 상기 목표물을 따냄으로써 점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게임자의 착수에 따라 상기 착수할 돌의 개수를 차감하여 표시하는 더 단계를 포함하는,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게임자의 턴마다 상기 목표물을 따내는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게임자 간의 승패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6.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게임 진행을 위한 옵션에 기초하여 바둑판을 생성하는 연산부; 및
    게임자로부터 상기 옵션을 입력받고,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는 착수 기회를 제공하고, 상기 바둑판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옵션에 기초하여 게임 개시 시 상기 바둑판 상에 기착수되어 있는 목표물의 위치를 표시하고, 복수의 상기 게임자가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은 각 게임자 마다 다른 캐릭터로 표시하고, 상기 목표물은 상기 캐릭터와 다른 모양으로 표시하고,
    상기 연산부는 게임자의 턴마다 주사위 던지기를 통해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게임자의 턴마다 상기 착수할 돌의 개수만큼 상기 바둑판 상에 착수할 돌의 위치를 입력받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게임자가 각 게임자의 턴 내에 상기 목표물을 따냄으로써 점수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
KR1020200002213A 2020-01-07 2020-01-07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7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13A KR102372778B1 (ko) 2020-01-07 2020-01-07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0/018676 WO2021141278A1 (ko) 2020-01-07 2020-12-18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202080092282.6A CN114929349A (zh) 2020-01-07 2020-12-18 通过骰子游戏提供围棋游戏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13A KR102372778B1 (ko) 2020-01-07 2020-01-07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19A KR20210089019A (ko) 2021-07-15
KR102372778B1 true KR102372778B1 (ko) 2022-03-11

Family

ID=7678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213A KR102372778B1 (ko) 2020-01-07 2020-01-07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72778B1 (ko)
CN (1) CN114929349A (ko)
WO (1) WO202114127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598B1 (ko) * 2007-08-23 2008-09-23 (주) 이플레이온 바둑규칙을 활용한 보드게임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및 바둑규칙을 활용한 온라인 대전용 보드게임 시스템과 그보드게임 방법
KR101771211B1 (ko) * 2010-12-30 2017-08-2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개인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및 방법
KR101293201B1 (ko) * 2011-06-27 2013-08-06 정인화 주사위를 도구로 사용하는 전자식 오목 게임 방법
KR20130022736A (ko) 2011-08-26 2013-03-07 스포츠토토온라인 주식회사 바둑 게임방법 및 바둑 게임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915359B1 (ko) * 2016-09-05 2018-11-05 신 라파엘 바둑 게임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ce Baduk", 인터넷 무료 이미지 호스팅 사이트 imgur 게시글( (2014.12.)*
"바둑의 제왕", 인터넷 유튜브 게시 영상(2016.03.31.)<https://www.youtube.com/watch?v=i1wKdKdZPJ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1278A1 (ko) 2021-07-15
CN114929349A (zh) 2022-08-19
KR20210089019A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3035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制御方法
CN113171608B (zh) 用于基于网络的视频游戏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JP2014147558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KR100819009B1 (ko) 이벤트 설정이 가능한 게임 장치 및 방법
KR102372778B1 (ko) 주사위 놀이를 통한 바둑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49603B1 (ko) 퍼즐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9103583A (ja) 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043160A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26891B1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ゲーム制御システム
JP6702914B2 (ja) 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357860B2 (ja) ゲー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082307B1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7280524B2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250093B2 (ja) 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制御方法
JP7386273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KR102200879B1 (ko) 궁장기 게임 제공시스템
JP7427039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管理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7366338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
JP7408857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
WO2024071030A1 (ja) 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6547016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Dillon Evergreen game design principles
Diwald Development and Analysis of Mobile Game Mechanics
JP2022083022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309146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