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220B1 -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220B1
KR102372220B1 KR1020210132579A KR20210132579A KR102372220B1 KR 102372220 B1 KR102372220 B1 KR 102372220B1 KR 1020210132579 A KR1020210132579 A KR 1020210132579A KR 20210132579 A KR20210132579 A KR 20210132579A KR 102372220 B1 KR102372220 B1 KR 10237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olution
fabric material
rubber
weight
degrees cels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지
김학모
반영환
양세연
한종문
사재빈
류명한
Original Assignee
전명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지 filed Critical 전명지
Priority to KR102022002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0799A/ko
Priority to KR1020220027396A priority patent/KR20220100800A/ko
Priority to KR1020220027403A priority patent/KR20220100802A/ko
Priority to KR1020220027399A priority patent/KR2022010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8Natural or synthetic rubb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 소재에 베이스 용액을 도포하여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로 제조하는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에 대한 것으로,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이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되어 있는 베이스 용액 저장부;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직물 소재 운송부;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디핑 코팅부;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열풍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fabric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apparatus waterproof breathabl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직물 소재에 베이스 용액을 도포하여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로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미경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직물 소재에 도포하고, 젖은 직물 소재를 디핑 코팅한 후 고온의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여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더 높은 방수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그라비아 코팅을 한번 더 수행한 후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이용하여 성형한 필름막과 고온의 프레스로 압축하여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웰빙(Wellbeing)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아웃도어 활동의 유행 및 야외 활동의 수요증가로 인해, 모든 스포츠 활동 및 레저 활동의 최신 트렌드로서 소비자들로부터 아웃도어 의류가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그 시장의 수요가 획기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아웃도어 의류에 적용하기 위한 소재에는 많은 기능성이 요구되는데, 특히 스포츠 및 레저 활동시에 편의성을 위하여 방수기능과 경량화, 박지화 및 스트레치성 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투습방수원단은, 수증기 형태의 물은 통과시키고 액체 상태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특징을 갖는 원 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투습방수원단은 주로 등산복이나 스키복과 같은 아웃도어 의류에 주로 사용되며, 투습방수원단을 사용한 의류는 신체활동으로 발생된 수증기 형태의 땀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빗물과 같은 물방울 형태의 물은 의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투습방수원단에 대한 기술 개발은 196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1970년 중후반 고어텍스ㄾ의 개발을 기 점으로 가속화되었으며 현재에도 그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투습방수소재는 제조방법에 따라 크게 피막을 형성하는 코팅(coating) 타입과 박막의 필름을 접합하는 라이네이팅(laminating)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코팅 타입은 다시 수중에서 원단상에 미세한 기공을 갖는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습식코팅타입과,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제가 포함된 수지조성물을 원단상 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휘발성 유기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원단상에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형성시키는 건식코팅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투습방수소재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 0086149호에는 다공성 필름층과 기재 원단층을 구비하는 기재층; 상기 다공성 필름층 상에 합지된 나노 웹층을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 및 다공성 필름이 합지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나노 웹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 상의 상기 다공성 필름에 상기 나노 웹을 합지하는 합지 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현재 다양한 아웃도어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초경량 및 초박지로의 제조가 가능한 기술에 대한 니즈가 증가중이며, 스트레치성 등의 기능성을 갖는 아웃도어용 투습방수원단의 개발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도포하여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방수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특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직물 소재가 고정되거나 이송되는 경우로 나누어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은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은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에 15미크론 두께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대상으로 상기 베이스 용액을 15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열풍건조 시켜 상기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에 상기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소재와 필름막을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프레스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은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핑 코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균일하게 0.5 kg/㎠ ~2.0 kg/㎠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부에는 실리콘 롤, 하부에는 서스펜션 롤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베이스 용액을 짜내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은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을 제1, 2, 3 존(zone)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존은 섭씨 30도, 상기 제2 존은 섭씨 60도, 상기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온도 가지며, 상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은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에 15미크론 두께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대상으로 상기 베이스 용액을 15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열풍건조 시켜 상기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에 상기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소재와 필름막을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프레스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된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를 이송시키며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에 도포되는 베이스 용액을 20~30미크론 두께로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을 수행하고, 상기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가 이송되는 구간을 제1, 2, 3, 4, 5, 6존(zone)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존은 섭씨 30도, 상기 제2 존은 섭씨 60도, 상기 제3 존은 섭씨 90도, 상기 제4 존은 섭씨 90도, 상기 제5 존은 섭씨 90도, 상기 제6 존은 섭씨 60도의 온도 가지며,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의 이송 속도는 5m ~ 20m/min로 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장치를 본 발명 고유의 방식으로 직물 소재를 가공하는 경우 동일한 베이스 용액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법(베이스 용액 도포 후 열풍에 말리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을 때 보다 훨씬 높은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인레스 3중봉을 이용하여 디핑 코팅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열풍 건조 하하는 것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와 접착된 필름막을 120도 이상의 온도로 압착하는 프레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와 접착된 필름막을 프레스로 압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직물 소재의 발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의 발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의 발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수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 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하고 프레스 압착하였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1.5배 더 높은 접착력을 보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는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 직물 소재 운송부(200), 디핑 코팅부(300), 열풍 건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는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로 저장소에 베이스 용액이 적어도 65% 이상 충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에 있어 고무 고형분은 용질재료로, 접착용 첨가제 및 용질재료를 녹이는 용제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질재료와 용제재료를 혼합하여 액체 상태의 베이스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박막으로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여,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에서 직물 소재와의 접착성 및 피착소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로는 메틸에틸케톤(MEK)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용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고형분이 직물 소재에 용융되어 직물 소재와의 표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직물 소재에 고무 고형분이 박막으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재료는 용질재료를 녹일 수 있도록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용질재료를 녹여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고무 고형분은 액상 고무 고형분 및 분말 고무 고형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질재료, 접착용 첨가제 및 용질재료를 녹이는 용제재료가 혼합됨으로써 액체 상태로 이루어져 박막으로 코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질재료는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과 같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NBR계 수지가 용질재료에 포함되는 이유는,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에서 직물 소재와의 접착성 및 피착소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는 메틸에틸케톤(MEK)로 이루어지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고형분이 직물 소재에 용융되어 직물 소재와의 표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직물 소재에 고무 고형분이 박막으로 접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재료는 용질재료를 녹일 수 있도록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용질재료를 녹여 액체 상태로 형성되는데, 여기에서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울러 고무 고형분의 액체 상태 전후를 레오미터(Rheometer) 그래프를 이용하여 최대토크를 를 측정해보면 액체 상태 전에 비해 액체 상태 후의 최대토크가 50% 까지 감소되어 최대인장강도가 약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교반 전에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황제(Sulfur)를 첨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은 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되는 직물 소재에 상기한 고무 고형분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의 제조방법은 먼저 직물 소재(10)에 고무 고형분을 압착롤과 같은 설비를 이용해 1㎛ 내지 10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러버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 필름을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후 기재 필름을 건조(가황)시켜 직물 소재에 러버층을 접착시키는 코팅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은 러버층과 피착소재가 무봉제 방식으로 열 접착되는 베이스층이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러버층 단독으로는 형상변형이 어려우나 박막 형태로 직물 소재에 코팅됨으로 직물 소재이 녹는점에서 직물 소재에 의해 변형이 가능해져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는 베이스 용액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인 저장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소는 직물 소재 운송부(200)에서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가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는 컨베이어벨트 위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밸트가 저장소 내부로 연결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이어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는 집게 형태의 픽업 모듈로 저장소의 상단으로 이송되었다가 픽업 모듈을 저장소 내부로 이동시켜 픽업된 직물소재가 저장소 내부의 베이스 용액에 충분히 담궈질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후 픽업 모듈을 다시 저장소 외부로 이동시켜 베이스 용액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의 저장소로 직물소재를 이송시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이송 수단을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는 컨베이어벨트 위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밸트가 저장소 내부로 연결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집게 형태의 픽업 모듈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픽업 모듈을 통해 직물 소재는 저장소의 상단으로 이송되었다가 픽업 모듈을 저장소 내부로 이동되어 직물소재가 저장소 내부의 베이스 용액에 충분히 담궈질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후 픽업 모듈을 다시 저장소 외부로 이동시켜 베이스 용액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디핑 코팅부(300)는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이란 베이스 용액에 직물 소재를 담궈 적신다음 이를 건조시켜, 방수 및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 직물 소재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3중 봉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만들어진 3개의 봉이 서로 평행하게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도록 밀착된 위치에 존재하는 구조로 형성된 기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베이스 용액에 적셔진 직물 소재를 3중봉의 사이에 끼어 넣어 베이스 용액을 짜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3중 봉 대신 상기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균일하게 0.5 kg/㎠ ~2.0 kg/㎠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부에는 실리콘 롤, 하부에는 서스펜션 롤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베이스 용액을 짜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베이스 용액을 더 빠르게 짜내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3중봉이 아닌 실리콘 롤과 서스펜션 롤을 배치하여 두 롤러 사이에 직물 소재를 관통하게 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낼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 롤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직물 소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베이스 용액만 짜낼 수 있으며, 서스펜션 롤은 압력을 일정 부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두 롤러 사이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열풍 건조부(400)는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 투습 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이송되지 않고 일정한 분량의 직물 소재를 고정된 위치에서 건조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 더욱 추천되기로는 100~110도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건조하는 경우 방수 기능이 가장 높은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경우,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을 제1, 2, 3 존(zone)으로 분할하고, 제1 존은 섭씨 30도 제2 존은 섭씨 60도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온도 가지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열풍 건조부(400)는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의 전체 구간을 동일한 길이를 가진 제1, 2, 3 존(zone)으로 3분할하고, 제1 존에서는 섭씨 30도의 열풍을, 제2 존에서는 섭씨 60도의 열풍을,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열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세팅될 수 있으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사이로 설정될 수 있으나, 10m의 컨베이어벨트의 경우 1m/min의 이송속도로 설정되는 것이 가장 높은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는 10~100m 범위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장치는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 직물 소재 운송부(200), 디핑 코팅부(300), 열풍 건조부(400), 그라비아 코팅부(500), 필름막 성형부(600), 압착 가공부(7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는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로 저장소에 베이스 용액이 적어도 65% 이상 충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에 있어 고무 고형분은 용질재료로, 접착용 첨가제 및 용질재료를 녹이는 용제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질재료와 용제재료를 혼합하여 액체 상태의 베이스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박막으로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여,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에서 직물 소재와의 접착성 및 피착소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로는 메틸에틸케톤(MEK)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용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고형분이 직물 소재에 용융되어 직물 소재와의 표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직물 소재에 고무 고형분이 박막으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재료는 용질재료를 녹일 수 있도록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용질재료를 녹여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고무 고형분의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질재료, 접착용 첨가제 및 용질재료를 녹이는 용제재료가 혼합됨으로써 액체 상태로 이루어져 박막으로 코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질재료는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과 같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NBR계 수지가 용질재료에 포함되는 이유는,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에서 직물 소재와의 접착성 및 피착소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는 메틸에틸케톤(MEK)로 이루어지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고형분이 직물 소재에 용융되어 직물 소재와의 표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직물 소재에 고무 고형분이 박막으로 접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재료는 용질재료를 녹일 수 있도록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용질재료를 녹여 액체 상태로 형성되는데, 여기에서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울러 고무 고형분의 액체 상태 전후를 레오미터(Rheometer) 그래프를 이용하여 최대토크를 를 측정해보면 액체 상태 전에 비해 액체 상태 후의 최대토크가 50% 까지 감소되어 최대인장강도가 약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교반 전에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황제(Sulfur)를 첨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은 직물 소재에 상기한 고무 고형분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의 제조방법은 먼저 직물 소재(10)에 고무 고형분을 압착롤과 같은 설비를 이용해 1㎛ 내지 10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러버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 필름을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후 기재 필름을 건조(가황)시켜 직물 소재에 러버층을 접착시키는 코팅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은 러버층과 피착소재가 무 봉제 방식으로 열 접착되는 베이스층이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러버층 단독으로는 형상변형이 어려우나 박막 형태로 직물 소재에 코팅됨으로 직물 소재이 녹는점에서 직물 소재에 의해 변형이 가능해져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는 베이스 용액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인 저장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소는 직물 소재 운송부(200)에서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가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는 컨베이어벨트 위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밸트가 저장소 내부로 연결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이어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는 집게 형태의 픽업 모듈로 저장소의 상단으로 이송되었다가 픽업 모듈을 저장소 내부로 이동시켜 픽업된 직물소재가 저장소 내부의 베이스 용액에 충분히 담궈질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후 픽업 모듈을 다시 저장소 외부로 이동시켜 베이스 용액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베이스 용액 저장부(100)의 저장소로 직물소재를 이송시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이송 수단을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는 컨베이어벨트 위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밸트가 저장소 내부로 연결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 운송부(200)는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집게 형태의 픽업 모듈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픽업 모듈을 통해 직물 소재는 저장소의 상단으로 이송되었다가 픽업 모듈을 저장소 내부로 이동되어 직물소재가 저장소 내부의 베이스 용액에 충분히 담궈질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후 픽업 모듈을 다시 저장소 외부로 이동시켜 베이스 용액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디핑 코팅부(300)는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이란 베이스 용액에 직물 소재를 담궈 적신다음 이를 건조시켜, 방수 및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 직물 소재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3중 봉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만들어진 3개의 봉이 서로 평행하게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도록 밀착된 위치에 존재하는 구조로 형성된 기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베이스 용액에 적셔진 직물 소재를 3중봉의 사이에 끼어 넣어 베이스 용액을 짜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3중 봉 대신 상기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균일하게 0.5 kg/㎠ ~2.0 kg/㎠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부에는 실리콘 롤, 하부에는 서스펜션 롤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베이스 용액을 짜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베이스 용액을 더 빠르게 짜내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3중봉이 아닌 실리콘 롤과 서스펜션 롤을 배치하여 두 롤러 사이에 직물 소재를 관통하게 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낼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 롤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직물 소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베이스 용액만 짜낼 수 있으며, 서스펜션 롤은 압력을 일정 부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두 롤러 사이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열풍 건조부(400)는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 투습 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이송되지 않고 일정한 분량의 직물 소재를 고정된 위치에서 건조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 더욱 추천되기로는 100~110도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건조하는 경우 방수 기능이 가장 높은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경우,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을 제1, 2, 3 존(zone)으로 분할하고, 제1 존은 섭씨 30도 제2 존은 섭씨 60도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온도 가지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열풍 건조부(400)는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의 전체 구간을 동일한 길이를 가진 제1, 2, 3 존(zone)으로 3분할하고, 제1 존에서는 섭씨 30도의 열풍을, 제2 존에서는 섭씨 60도의 열풍을,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열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세팅될 수 있으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사이로 설정될 수 있으나, 10m의 컨베이어벨트의 경우 1m/min의 이송속도로 설정되는 것이 가장 높은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는 10~100m 범위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라비아 코팅부(500)는 제조된 방수 투습 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에 15미크론 두께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비아 코팅이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이송되는 직물 소재 일면에 대해, 베이스 용액이 묻은 그라비아 롤이 회전하면서 베이스 용액을 직물 소재에 전사시켜 코팅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더 자세하게는 그라비아 롤의 외주면에는 음각 패턴으로 베이스 용액 홈이 구비되어 있고,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의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소정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접촉하여 베이스 용액 홈을 제외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묻은 베이스 용액을 제거하여 베이스 용액 홈에 채워진 베이스 용액만이 직물 소재에 전사되게 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필름막 성형부(600)는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에 베이스 용액을 15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열풍건조 시켜 상기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는 코팅지나 시트지와 같이 베이스 면과 이와 접착되어 있다가 분리될 수 있는 코팅면으로 이루어진 용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는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광 릴리즈 페이퍼를 사용할 때 보다 엠보싱으로 인하여 더욱 직물소재에 밀착되어 방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완성되었을 경우에 유광 릴리즈 페이퍼와는 다르게 반짝거리는 비닐 느낌 없이 직물 소재 본연의 소재감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이 도포된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경우에 그라비아 코팅부(500)은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에 도포되는 베이스 용액을 20~30 미크론 두께로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가 이송되는 구간을 균등한 길이로 6분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존은 섭씨 30도 제2 존은 섭씨 60도 제3 존은 섭씨 90도 제4 존은 섭씨 90도 제5 존은 섭씨 90도 제6 존은 섭씨 60도의 온도로 직물 소재를 건조할 수 있게 열풍을 송풍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6존을 통과하는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의 이송 속도는 5m ~ 20m/min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이송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는 10~100m정도의 범위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압착 가공부(700)는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에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시키고, 접착된 직물소재와 필름막을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프레스로 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된 필름막에 접착제를 5~10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50% 건조된 상태에서 직물 소재에 상기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하여 프레스로 압착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직물 소재와 필름막을 접착하고 프레스 압착하였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1.5배 더 높은 접착력을 보일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인레스 3중봉을 이용하여 디핑 코팅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인레스 3중봉이 나타나 있으며, 도 3과 같은 형태의 스테인레스 3중봉을 이용하여, 2중봉 사이에 직물 소재를 통과시켜 베이스 용액을 짜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열풍 건조 하하는 것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건조하는 것이 나타나 있으며, 스테인레스 3중 봉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만들어진 3개의 봉이 서로 평행하게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도록 밀착된 위치에 존재하는 구조를 통해 베이스 용액에 적셔진 직물 소재를 3중봉의 사이에 끼어 넣어 베이스 용액을 짜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와 접착된 필름막을 120도 이상의 온도로 압착하는 프레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와 접착된 필름막을 프레스로 압착하는 것이 나타나 있으며, 도 5와 같은 프레스 기계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프레스를 120도 이상으로 예열한 후 압착하여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와 접착된 필름막을 프레스로 압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상부 및 하부 프레스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와 접착된 필름막을 프레스로 압착할 수 있다.
도 7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직물 소재의 발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의 발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고,도 9는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의 발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도 7은붉은색 박스로 표시된 직물 소재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직물 소재에 대한 것으로, 도 8의 파란색 박스로 표시된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와 대비하여 방수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차이가 나며, 더 나아가 도 9의 녹색 박스로 표시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는 물방울 모양도 흐트러러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수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저장소의 65% 이상 베이스 용액을 충전한다(S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로 저장소에 베이스 용액이 적어도 65% 이상 충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에 있어 고무 고형분은 용질재료로, 접착용 첨가제 및 용질재료를 녹이는 용제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질재료와 용제재료를 혼합하여 액체 상태의 베이스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박막으로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여,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에서 직물 소재와의 접착성 및 피착소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로는 메틸에틸케톤(MEK)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용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고형분이 직물 소재에 용융되어 직물 소재와의 표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직물 소재에 고무 고형분이 박막으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재료는 용질재료를 녹일 수 있도록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용질재료를 녹여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고무 고형분의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질재료, 접착용 첨가제 및 용질재료를 녹이는 용제재료가 혼합됨으로써 액체 상태로 이루어져 박막으로 코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질재료는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과 같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NBR계 수지가 용질재료에 포함되는 이유는,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에서 직물 소재와의 접착성 및 피착소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는 메틸에틸케톤(MEK)로 이루어지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용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고형분이 직물 소재에 용융되어 직물 소재와의 표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직물 소재에 고무 고형분이 박막으로 접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재료는 용질재료를 녹일 수 있도록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용질재료를 녹여 액체 상태로 형성되는데, 여기에서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울러 고무 고형분의 액체 상태 전후를 레오미터(Rheometer) 그래프를 이용하여 최대토크를를 측정해보면 액체 상태 전에 비해 액체 상태 후의 최대토크가 50% 까지 감소되어 최대인장강도가 약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교반 전에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황제(Sulfur)를 첨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은 직물 소재에 상기한 고무 고형분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고형분을 이용한 필름의 제조방법은 먼저 직물 소재(10)에 고무 고형분을 압착롤과 같은 설비를 이용해 1㎛ 내지 10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러버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 필름을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후 기재 필름을 건조(가황)시켜 직물 소재에 러버층을 접착시키는 코팅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은 러버층과 피착소재가 무봉제 방식으로 열 접착되는 베이스층이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러버층 단독으로는 형상변형이 어려우나 박막 형태로 직물 소재에 코팅됨으로 직물 소재이 녹는점에서 직물 소재에 의해 변형이 가능해져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인 저장소는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가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한다(S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소로 직물소재를 이송시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이송 수단을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직물소재는 컨베이어벨트 위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밸트가 저장소 내부로 연결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된 직물 소재를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기게 했다가 다시 꺼내질 수 있도록 집게 형태의 픽업 모듈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픽업 모듈을 통해 직물 소재는 저장소의 상단으로 이송되었다가 픽업 모듈을 저장소 내부로 이동되어 직물소재가 저장소 내부의 베이스 용액에 충분히 담궈질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후 픽업 모듈을 다시 저장소 외부로 이동시켜 베이스 용액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한다(S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3중 봉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만들어진 3개의 봉이 서로 평행하게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도록 밀착된 위치에 존재하는 구조로 형성된 기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베이스 용액에 적셔진 직물 소재를 3중봉의 사이에 끼어 넣어 베이스 용액을 짜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3중 봉 대신 상기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균일하게 0.5 kg/㎠ ~2.0 kg/㎠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부에는 실리콘 롤, 하부에는 서스펜션 롤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베이스 용액을 짜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베이스 용액을 더 빠르게 짜내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3중봉이 아닌 실리콘 롤과 서스펜션 롤을 배치하여 두 롤러 사이에 직물 소재를 관통하게 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한다(S40).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 투습 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이송되지 않고 일정한 분량의 직물 소재를 고정된 위치에서 건조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 더욱 추천되기로는 100~110도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건조하는 경우 방수 기능이 가장 높은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경우,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을 제1, 2, 3 존(zone)으로 분할하고, 제1 존은 섭씨 30도 제2 존은 섭씨 60도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온도 가지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열풍 건조부(400)는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의 전체 구간을 동일한 길이를 가진 제1, 2, 3 존(zone)으로 3분할하고, 제1 존에서는 섭씨 30도의 열풍을, 제2 존에서는 섭씨 60도의 열풍을,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열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세팅될 수 있으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사이로 설정될 수 있으나, 10m의 컨베이어벨트의 경우 1m/min의 이송속도로 설정되는 것이 가장 높은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되는 직물 소재의 방수기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S20부터 S40의 단계를 2회 반복할 수 있다.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에 15미크론 두께로 베이스 용액이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을 수행한다(S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된 방수 투습 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에 15미크론 두께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비아 코팅은 그라비아 롤의 외주면에는 음각 패턴으로 베이스 용액 홈이 구비되어 있고,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의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소정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접촉하여 베이스 용액 홈을 제외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묻은 베이스 용액을 제거하여 베이스 용액 홈에 채워진 베이스 용액만이 직물 소재에 전사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에 베이스 용액을 15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열풍건조 시켜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한다(S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에 베이스 용액을 15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열풍건조 시켜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는 코팅지나 시트지와 같이 베이스 면과 이와 접착되어 있다가 분리될 수 있는 코팅면으로 이루어진 용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는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광 릴리즈 페이퍼를 사용할 때 보다 엠보싱으로 인하여 더욱 직물소재에 밀착되어 방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완성되었을 경우에 유광 릴리즈 페이퍼와는 다르게 반짝거리는 비닐 느낌 없이 직물 소재 본연의 소재감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용액이 도포된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를 이송시키며 건조하는 경우에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에 도포되는 베이스 용액을 20~30 미크론 두께로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가 이송되는 구간을 균등한 길이로 6분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존은 섭씨 30도 제2 존은 섭씨 60도 제3 존은 섭씨 90도 제4 존은 섭씨 90도 제5 존은 섭씨 90도 제6 존은 섭씨 60도의 온도로 직물 소재를 건조할 수 있게 열풍을 송풍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6존을 통과하는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의 이송 속도는 5m ~ 20m/min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이송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는 10~100m정도의 범위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에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시키고, 접착된 직물소재와 필름막을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프레스로 압착한다(S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에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시키고, 접착된 직물소재와 필름막을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프레스로 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된 필름막에 접착제를 5~10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50% 건조된 상태에서 직물 소재에 상기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하여 프레스로 압착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직물 소재와 필름막을 접착하고 프레스 압착하였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1.5배 더 높은 접착력을 보일 수 있다지지 않을 정도로 뛰어난 방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 뛰어난 방수 성능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
  2.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에 15미크론 두께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대상으로 상기 베이스 용액을 15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열풍건조 시켜 상기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에 상기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소재와 필름막을 섭씨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프레스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
  3.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핑 코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직물소재를 대상으로 균일하게 0.5 kg/㎠ ~2.0 kg/㎠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부에는 실리콘 롤, 하부에는 서스펜션 롤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베이스 용액을 짜내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
  4.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이송시키며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 소재가 이송되는 구간을 제1, 2, 3 존(zone)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존은 섭씨 30도, 상기 제2 존은 섭씨 60도, 상기 제3 존은 섭씨 80~90도의 온도 가지며, 상기 직물소재의 이송 속도를 1m ~ 5m/min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
  5. 고무 고형분 및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계 수지를 용제와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베이스 용액을 저장소에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부피 중 65% 이상의 부피로 충전하는 단계;
    직물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 용액 저장부에 충전된 베이스 용액에 완전히 담궜다 꺼내지도록 직물소재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에 담궜다 꺼내진 직물 소재를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3중 봉을 이용하여 베이스 용액을 짜내어 디핑 코팅(dipping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핑 코팅된 직물 소재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건조시켜 베이스 용액과 직물 소재를 결합시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된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에 15미크론 두께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을 수행하는 단계;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대상으로 상기 베이스 용액을 15미크론 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RP)를 섭씨 100도 이상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열풍건조 시켜 상기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코팅된 직물 소재에 상기 성형된 필름막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소재와 필름막을 섭씨 120도 이상으로 예열된 프레스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용액이 도포된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를 이송시키며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에 도포되는 베이스 용액을 20~30미크론 두께로 도포되도록 그라비아 코팅을 수행하고,
    상기 도포된 베이스 용액을 필름막으로 성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가 이송되는 구간을 제1, 2, 3, 4, 5, 6존(zone)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존은 섭씨 30도, 상기 제2 존은 섭씨 60도, 상기 제3 존은 섭씨 90도, 상기 제4 존은 섭씨 90도, 상기 제5 존은 섭씨 90도, 상기 제6 존은 섭씨 60도의 온도 가지며, 상기 무광 엠보싱 릴리즈 페이퍼의 이송 속도는 5m ~ 20m/min로 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고무 고형분과 고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계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고형분은 용제재료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2000rpm 내지 4000rpm 속도로 교반시켜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 시 증발되는 용제를 보충해주면서 교반시키고, 고무 고형분의 함량은 분말 고무 고형분이 액상 고무 고형분의 중량 대비 20% 내지 40% 범위내에서 유지하며 혼합시키고,
    상기 용제 재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렌클로라이드(MC),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용질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 이상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방법.
KR1020210132579A 2021-10-01 2021-10-06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392A KR20220100799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6A KR20220100800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403A KR20220100802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9A KR20220100801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0625 2021-10-01
KR1020210130625 2021-10-01
KR20210131828 2021-10-05
KR1020210131828 2021-10-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392A Division KR20220100799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6A Division KR20220100800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403A Division KR20220100802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9A Division KR20220100801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220B1 true KR102372220B1 (ko) 2022-03-11

Family

ID=8081443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579A KR102372220B1 (ko) 2021-10-01 2021-10-06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403A KR20220100802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9A KR20220100801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2A KR20220100799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6A KR20220100800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403A KR20220100802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9A KR20220100801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2A KR20220100799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27396A KR20220100800A (ko) 2021-10-01 2022-03-03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3722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3134A (ja) * 1985-10-30 1987-05-13 花王株式会社 透湿性複合体
JPS63105023A (ja) * 1986-10-20 1988-05-10 Sunstar Giken Kk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製造法
JPH01201586A (ja) * 1988-02-05 1989-08-14 Achilles Corp 合成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59782B1 (ko) * 2010-09-30 2011-08-26 주식회사 우성염직 다중 맹글을 이용한 디지털 날염의 연속식 박막 전처리 장치
WO2020138030A1 (ja) * 2018-12-26 2020-07-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ラテックス、ラテックス組成物、成形体、およびフォームラバ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3134A (ja) * 1985-10-30 1987-05-13 花王株式会社 透湿性複合体
JPS63105023A (ja) * 1986-10-20 1988-05-10 Sunstar Giken Kk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製造法
JPH01201586A (ja) * 1988-02-05 1989-08-14 Achilles Corp 合成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59782B1 (ko) * 2010-09-30 2011-08-26 주식회사 우성염직 다중 맹글을 이용한 디지털 날염의 연속식 박막 전처리 장치
WO2020138030A1 (ja) * 2018-12-26 2020-07-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ラテックス、ラテックス組成物、成形体、およびフォームラ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800A (ko) 2022-07-18
KR20220100802A (ko) 2022-07-18
KR20220100801A (ko) 2022-07-18
KR20220100799A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0973B (zh) 粘合有卷起状态的韩纸和面料的织物的批量制造方法
US7794796B2 (en) Extensible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8677554A (zh) 一种高物性聚氨酯合成革及其制备方法
KR102372220B1 (ko) 방수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104594059A (zh) 涂层织物的环保工艺方法
CN108026672A (zh) 纤维面料及其制造方法以及利用其制造的纤维制品
CA3105504A1 (en) Biofabricated leather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KR20170114231A (ko) 자당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
KR101860441B1 (ko) 발수성 울원사, 울원단, 울제품 제작방법 및 발수성 울원사, 울원단, 울제품
KR100446465B1 (ko) 천연질감의 인조피혁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인조피혁
CN103287035B (zh) 一种细旦尼防水透湿面料的生产工艺
CN111051607B (zh) 具有优异的透气率的人造革及其制造方法
CN107227625A (zh) 一种细折痕慢回弹超细纤维合成革及其制备方法
US4892777A (en) Fine-grained coated laminate in continuous web form
CN106592264B (zh) 一种注塑纳帕的生产工艺
KR101152380B1 (ko) 통기성을 가지는 인조가죽의 제조방법
CN114211848A (zh) 一种防水透湿复合布的制备方法
CN1364956A (zh) 透湿人造革及其生产工艺以及其专用网辊涂胶、透湿孔处理装置
CN108312682A (zh) 一种复合型多层面料以及其制作方法
JPH0686710B2 (ja) 生地目感を有する合成皮革の製造方法
CN206446197U (zh) 一种新型抛焦效果合成革
KR20170078298A (ko) 합성피혁용 복합시트
KR100542506B1 (ko) 4방향 고신축성 폴리우레탄 인공피혁 및 제조방법
CN107804050A (zh) 具备抗菌功能的防水透湿复合膜及其制备工艺
KR950007185B1 (ko) 통기투습성 습식완제(濕式完製) 폴리우레탄 합성피혁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