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818B1 - 카트형 공구 부속함 - Google Patents

카트형 공구 부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818B1
KR102371818B1 KR1020210151735A KR20210151735A KR102371818B1 KR 102371818 B1 KR102371818 B1 KR 102371818B1 KR 1020210151735 A KR1020210151735 A KR 1020210151735A KR 20210151735 A KR20210151735 A KR 20210151735A KR 102371818 B1 KR102371818 B1 KR 10237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ype tool
drawer
car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옥
Original Assignee
서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옥 filed Critical 서명옥
Priority to KR102021015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5/00Tool, instrument or work supports or storage means used in association with vehicles; Workers' supports, e.g. mechanics' cree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카트형 공구 부속함이 개시된다.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와 이동식 카트 받침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포함하고,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하우징부는,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상하로 적층하여 결합할 수 있는 링크부 및 링크대응부를 포함한다. 한편, 링크부는 이동식 카드 받침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와도 결합한다.

Description

카트형 공구 부속함{Cart type tool box that can be stacked}
본 발명은 트럭 등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카트에 적층하여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에 관한 것이다.
트럭과 같은 소형 화물 차량은 탑승 공간 후방에 각종 화물을 실어 운반할 수 있는 화물 적재 공간을 가진 적재함을 갖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화물 적재 공간은 하나의 큰 화물 적재 공간만이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부품을 싣고 다녀야 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2023250호(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에서는 운전자를 비롯하여 2~5인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과 각종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공간이 구비된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소형화물차에서, 적재함 바닥에 10~20cm 높이로 착탈 가능한 사물함을 장착한 구성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물함의 구조가 복잡하여 사물함을 제작하는 단가가 높은 문제점과, 트럭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사물함의 잠금 장치가 없는 경우 서랍이 자동으로 열려 작업에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 그리고 사물함의 위에 다른 화물을 적재할 때 사물함이 충분히 견디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적재함에 하나의 적재함만을 둘 수 있도록 그 구조나 크기가 설계되고 있어, 동일한 형태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이어 붙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한 후, 차량을 공사장 근처에 주차한 후 공구 부속함을 분리하여 옮기거나, 공구 부속함 내부에 수납된 공구만 꺼내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공사 현장과 차량의 주차 위치가 멀거나, 공사 현장이 건물 등 지상에서 떨어진 높이에 있다면, 많은 공구를 한꺼번에 옮겨 사용해야 하거나, 공구 부속함을 분리한 후 손으로 들어 옮겨서 사용해야 했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공구 부속함이 차량에서 내린 후 차량으로 이동할 수 없는 공사 현장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카트에 쉽게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의 도임이 필요하게 되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3250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5721(물품 판매 서비스용 카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공구 부속함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단일 형태의 공구 부속함을 여러 개 이어 붙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라 공구 부속함의 용량을 증대하거나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 및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또는 차량의 적재합에 탑재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수납함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식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수납함 내부의 구획칸보다 작은 격자 형태의 구획칸을 형성하는 함몰된 격자 무늬 형태로 형성된 상부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빗물의 외부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수 홀이 형성된 하부면;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부 및 상기 상부에 대응하는 하부에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상하로 연결되는 다른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이웃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하우징부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 일 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되어, 상기 메인바디부에 접합되는 일단에서 끝단까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 및 상기 하우징부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측에서 상기 링크부 메인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링크대응부로, 상기 링크부의 돌출 고정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 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는, 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바퀴;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그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일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면 양측에서 링크부 메인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받침대 링크대응부로, 상기 링크부의 돌출 고정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 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링크대응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호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양측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양 링크대응부에 함께 끼워져 고정되며,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대응부와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아래에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대응부와 상기 이동식 카드 받침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끼워져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 측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 홀은 상기 링크대응부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면의 양 측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 홀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는 적어도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가 상기 메인바디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 중 한 돌출 고정부는 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다른 한 돌출 고정부는 이웃하는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대응 링크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고정 돌출부는 그 단면이 상기 하우징부 측면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1 그룹의 돌출 고정부와 그 단면이 상기 하우징부 측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 그룹의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 돌출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좁은 폭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좁은 폭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 및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에 대응하는 링크 홀의 하단면에는 각각 자석이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와의 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여, 상기 손잡이와 밀착되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손잡이의 양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가 접혀 상기 손잡이와 밀착될 때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링크대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 및 상기 이동식 카드 받침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또는 차량의 적재합에 탑재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수납함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식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 기능 또는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위에서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와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우징부 측면과 상부면 또는 상기 하우징부 측면과 하부면에 걸쳐 ㄱ 자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크대응부; 및 상기 링크대응부의 ㄱ자 홈에 결합하기 위한 ㄱ 자 조립부, 한쌍의 ㄱ 자 조립부 위에서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일자 조립부, 상기 일자 조립부,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대응부의 홀에 볼트 결합하여, 상기 일자 조립부,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 및 상기 링크대응부를 결합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는, 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바퀴;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그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일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좌측면 우측면에는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 측면과 상부면에 걸쳐 ㄱ 자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받침대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링크대응부에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호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양측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양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되며,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대응부와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아래에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대응부와 상기 이동식 카드 받침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ㄱ 자 조립부 및 상기 일자 조립부의 두께는 상기 링크대응부 및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ㄱ 자 홈의 깊이의 절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상단에서 좌측면과 상부면의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1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하단에서 좌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2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상단에서 우측면과 상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3 링크대응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하단에서 우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4 링크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 좌측면 상단에서 좌측면과 상부면의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링크대응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우측면 상단에서 우측면과 상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3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의 ㄱ 자 조립부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서랍식 공부 부속함의 ㄱ 자 조립부와 상호 자력으로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와의 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여, 상기 손잡이와 밀착되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손잡이의 양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가 접혀 상기 손잡이와 밀착될 때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링크대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이동식 카트 위에 적층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그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공구들을 수납하여 손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카트형 공구 부속함을 차량용 적재함에 실어 사용할 때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간단한 구조로 차량의 적재함에 쉽게 설치가능하고, 측면에 형성된 링크 구조를 통해 단일 형태의 공구 부속함을 여러 개 이어 붙일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공구 부속함의 용량을 증대하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대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링크부 1개와 링크대응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2개 연결 시의 링크부와 링크대응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의 회전과 이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적층된 모습과 이동식 카트 받침대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적층된 모습과 이동식 카트 받침대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은 동일형 형태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좌우 또는 상하로 연속하여 연결한 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은 하우징부(110) 및 수납함(12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수납함(120)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부(110)의 상부면 위에는 차량의 다른 적재물, 즉 수납함에 들어가지 않는 큰 적재물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부(110)은 상기 수납함 내부의 구획칸보다 작은 격자 형태의 구획칸을 형성하는 함몰된 격자 무늬 형태로 형성된 상부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빗물의 외부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수 홀이 형성된 하부면,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일부 영역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측면 손잡이(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이러한 측면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앙에 내부로의 수납 및 외부로의 돌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함몰 영역에 상부 모서리가 힌지 결합되어 형성된 접이식 측면 손잡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들어 올리거나 세울 때만 손잡이를 측면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시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하고,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측면 내측으로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10)은 다수의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그 구획칸 각각에 대응하는 수납함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의 하우징부(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획칸만을 갖고 하나의 수납함(120)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은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여러 개를 필요에 따라 이어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하우징부(110) 자체를 크게 만들지 않고, 그 내부에 여러 구획칸을 나눌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하우징부(11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수납함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포함한다.
수납함(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식으로 삽입 설치 및 분리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구획칸(121)은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빗물이 하우징부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의 경사면을 따라 수납함 바깥쪽으로 빗물이 흘러 내려, 수납한 내부의 구획칸으로는 빗물이 들어오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10)는, 하우징부(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과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이웃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하우징부 측면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부(130) 및 하우징부(110) 측면에서 링크부(130)에 끼워져서 상호 결합되기 위한 링크대응부(1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대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링크부 1개와 링크대응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링크부(130)는 메인바디부(131) 및 메인바디부 아래면에서 하단 방향 또는 상기 아래면에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되어, 메인바디부(131)에 접합되는 일단에서 끝단까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 고정부(132, 133)를 포함한다.
링크대응부(140)는 하우징부(110) 측면에서 상기 링크부(130)의 메인바디부(13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상기 메인바디부(131)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링크부(130)는 이웃하는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하우징부 측면에 형성된 양쪽의 링크대응부(140)를 결합하기 때문에 링크대응부(140)의 폭의 2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링크대응부(140)는 링크부(130)의 돌출 고정부(132, 133)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 홀(142, 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링크 홀(142, 143)은 링크대응부(140)의 메인프레임(141)에서 수직 방향으로 뚫려 있어, 돌출 고정부(132, 133)의 연장 방향에 대응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링크대응부(140)는 하우징부(110)의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하는 위치, 즉 양 측면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링크 홀(142, 143)은 링크대응부(140)에서 하우징부(110)의 측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링크부(130)는 적어도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132)가 메인바디부(131)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132) 중 한 돌출 고정부는 한 차량용 공구 부속함의 링크 홀(14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마주보도록 형성된 다른 한 돌출 고정부(132)는 이웃하는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대응 링크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웃한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결합할 때, 해당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 홀에 상기 노출된 돌출 고정부를 위에서부터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돌출부(132, 133)는, 제1 그룹의 돌출 고정부(132)와 제2 그룹의 돌출 고정부(13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돌출 고정부(132)는 그 단면이 하우징부(110) 측면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형태를 갖는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제1 그룹의 돌출 고정부(132)는 링크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2 그룹의 돌출 고정부(133)는 그 단면이 상기 하우징부(110) 측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형태를 갖는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제2 그룹의 돌출 고정부(133)는 링크부(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그룹의 돌출 고정부(133)는 링크부(130)의 메인바디부(131)의 좁은 폭에 대응하여 그 폭의 길이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1 그룹의 돌출 고정부(132)는 한 쌍이 메인바디부(131)의 좁은 폭 양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중간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메인바디부(131)의 길이 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링크부(13)는 적어도 세 쌍의 제1 그룹 돌출 고정부(132) 및 상기 제1 그룹 돌출 고정부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제2 그룹 돌출 고정부(133)를 포함한다. 도 2의 예에서는 4쌍의 제1 그룹 돌출 고정부(132)와 2개의 제2 그룹 돌출 고정부(1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그 배치 순서는 제1 그룹 돌출 고정부, 제2 그룹 돌출 고정부, 제1 그룹 돌출 고정부의 순으로 배치되고, 이 형태가 2번 반복되는 형태로 예시적으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10)는 적어도 측면 중앙 및 상기 측면의 양 끝단에 링크부(130) 및 링크대응부(140)가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2개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연결될 때, 하우징부 측면의 양 끝단을 포함한, 3곳에서 연결되어, 서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링크대응부(140)는 상기 제1 그룹 돌출 고정부(132)에 대응하는 링크 홀(142)은 상기 하우징부(110)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133)에 대응하는 링크 홀(143)은 하단면이 막힌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링크부(130)는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링크대응부(140)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호 측면 또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부(130)가 양측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양 링크대응부(140)에 함께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그룹 돌출 고정부(133) 및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에 대응하는 링크 홀(143)의 하단면에는 각각 자석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2 그룹 돌출 고정부(133)가 링크 홀(143)에 삽입되면, 막힌 홀 끝단에서 두개의 자석이 인력으로 붙어 결합을 쉽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의 회전과 이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대응부(140)는, 하우징부(110) 측면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 측면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부 상부면에 밀착되는 위치로 90 회전 가능하여, 상기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측면으로 2개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10_A 및 110_ B)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링크대응부(140_A 및 140_B)가 하우징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위치로 고정되고 링크부(130)가 2개의 이웃한 링크 대응부(140_A 및 140_B) 상단에서 삽입 고정되어, 2개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10_A 및 110_ B)을 측면 연결하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10_A 및 110_ B)가 상하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링크대응부(140_A 및 140_B)가 하우징부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위치로 고정되고 링크부(130)가 2개의 이웃한 링크 대응부(140_A 및 140_B) 측면에서 삽입 고정되어, 2개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10_A 및 110_ B)을 상하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2개 연결 시의 링크부와 링크대응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600)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과 같이 하우징부(610) 및 수납함(62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610) 및 수납함(620)도 도 1의 하우징부(110)와 수납함(1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다.
한편, 도 6의 하우징부(610)는 링크부(610) 및 링크대응부(620)를 포함하는데, 링크대응부(620)는 하우징부(6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600)과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이웃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하우징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우징부(610) 측면과 상부면 또는 하우징부 측면과 하부면에 걸쳐 ㄱ 자 로 형성된 홈(641)과 상기 홈(641)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 홀(642)이 형성된다.
링크부(610)는 링크대응부(620)의 ㄱ자 홈(641)에 결합하기 위한 ㄱ 자 조립부(631), 한쌍의 ㄱ 자 조립부(631) 위에서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일자 조립부(632), 상기 일자 조립부(632),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631)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대응부(640)의 홀(642)에 볼트 결합하여, 상기 일자 조립부(632),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631) 및 상기 링크대응부(640)를 결합시키는 볼트부(633)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ㄱ 자 조립부(631) 및 상기 일자 조립부(632)의 두께는 상기 링크대응부(640)의 ㄱ 자 홈(641)의 깊이의 절반이다. 그러면, ㄱ 자 조립부(631) 및 일자 조립부(632)가 링크대응부(640)의 ㄱ 자 홈(641)위에 조립되면, 일자 조립부(632)의 표면이 하우징부(610)의 표면과 일치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600)의 링크대응부(640)는 상기 하우징부(610)의 좌측면 상단에서 좌측면과 상부면의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1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하단에서 좌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2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상단에서 우측면과 상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3 링크대응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하단에서 우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4 링크대응부를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링크부(630)의 ㄱ 자 조립부(631)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차량용 서랍식 공부 부속함의 ㄱ 자 조립부(631)와 상호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적층된 모습과 이동식 카트 받침대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900)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을 이용하여 카트형으로 변형한 공구 부속함이다. 카트형 공구 부속함(900)은 서랍식 공구 부속함(910)과 이동식 카트 받침대(920)를 포함하며, 이 중, 서랍식 공구 부속함(910)의 구조는, 도 1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과 유사하다.
다만, 도 1에서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의 링크대응부(140)는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들이 측면으로 이어 붙이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부(110) 측면 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9 및 도 10에서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910)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920) 위에 서랍식 공구 부속함(910)들이 상하로 이어 붙이기 때문에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가 하우징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쪽 가장 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9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트형 공구 부속함(900)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920)과 이동식 카트 받침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910)을 포함한다.
서랍식 공구 부속함(910)은 도 1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과 동일하게 하우징부 및 수납함을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이동식 카드 받침대(920) 또는 차량의 적재합에 탑재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수납함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납함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식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아울러, 하우징부는 상기 수납함 내부의 구획칸보다 작은 격자 형태의 구획칸을 형성하는 함몰된 격자 무늬 형태로 형성된 상부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빗물의 외부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수 홀이 형성된 하부면,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부 및 상기 상부에 대응하는 하부에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상하로 연결되는 다른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이웃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하우징부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 일 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되어, 상기 메인바디부에 접합되는 일단에서 끝단까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130) 및 상기 하우징부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측에서 상기 링크부 메인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링크대응부로, 상기 링크부의 돌출 고정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 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링크대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식 카트 받침대(920)는 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바퀴(921),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910)을 그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부(922)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922)의 일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92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부(922)의 상부면 양측에서 링크부 메인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받침대 링크대응부로, 상기 링크부의 돌출 고정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 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9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130)는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링크대응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호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양측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양 링크대응부에 함께 끼워져 고정되며,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대응부와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아래에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대응부와 상기 이동식 카드 받침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924)에 함께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 측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 홀은 상기 링크대응부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924)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922)의 상부면의 양 측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 홀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922)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링크부(130)는 적어도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가 상기 메인바디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 중 한 돌출 고정부는 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다른 한 돌출 고정부는 이웃하는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대응 링크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고정 돌출부는 그 단면이 상기 하우징부 측면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1 그룹의 돌출 고정부와 그 단면이 상기 하우징부 측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 그룹의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 돌출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좁은 폭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좁은 폭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와 링크부(13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에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a)는 이동식 카트 받침대 위에 다수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링크부를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0의 (b)는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접혀져 하부 프레임부(922)가 손잡이(923)에 밀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 (b)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922)은 상기 손잡이(923)와의 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여, 상기 손잡이와 밀착되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손잡이의 양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가 접혀 상기 손잡이와 밀착될 때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링크대응부(925)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이동식 카트 받침대(920)도 접혀서 차량의 적재함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필요시 펼쳐 그 위에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쌓아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카트형 공구 부속함의 적층된 모습과 이동식 카트 받침대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1100)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600)을 이용하여 카트형으로 변형한 공구 부속함이다. 카트형 공구 부속함(1100)은 서랍식 공구 부속함(1110)과 이동식 카트 받침대(1120)를 포함하며, 이중 서랍식 공구 부속함(1110)의 구조는 도 6의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600)과 동일하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1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트형 공구 부속함(1100)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1120)와 이동식 카트 받침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1110)을 포함한다.
서랍식 공구 부속함(1110)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600)과 동일하게 하우징부 및 수납함을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1120) 또는 차량의 적재합에 탑재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수납함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한다. 그리고 수납함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식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아울러,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 기능 또는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위에서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와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우징부 측면과 상부면 또는 상기 하우징부 측면과 하부면에 걸쳐 ㄱ 자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크대응부 및 상기 링크대응부의 ㄱ자 홈에 결합하기 위한 ㄱ 자 조립부, 한쌍의 ㄱ 자 조립부 위에서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일자 조립부, 상기 일자 조립부,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대응부의 홀에 볼트 결합하여, 상기 일자 조립부,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 및 상기 링크대응부를 결합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6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식 카트 받침대(1120)는, 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바퀴(1121),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1110)을 그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부(1122)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1122)의 일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112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부(1122)의 좌측면 우측면에는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1110)과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 측면과 상부면에 걸쳐 ㄱ 자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받침대 링크대응부(1124)를 포함한다.
이때,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부(630)는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링크대응부에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호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양측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양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되며,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대응부와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아래에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대응부와 상기 이동식 카드 받침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상단에서 좌측면과 상부면의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1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하단에서 좌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2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상단에서 우측면과 상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3 링크대응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하단에서 우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4 링크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1124)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1122) 좌측면 상단에서 좌측면과 상부면의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링크대응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1122)의 우측면 상단에서 우측면과 상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3 링크대응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링크부의 ㄱ 자 조립부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서랍식 공부 부속함의 ㄱ 자 조립부와 상호 자력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와 링크부(630)에 대한 설명은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에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a)는 이동식 카트 받침대 위에 다수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링크부를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2의 (b)는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접혀져 하부 프레임부(1122)가 손잡이(1123)에 밀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 (b)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122)은 상기 손잡이(1123)와의 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여, 상기 손잡이와 밀착되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손잡이의 양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가 접혀 상기 손잡이와 밀착될 때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링크대응부(1125)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이동식 카트 받침대(1120)도 접혀서 차량의 적재함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필요시 펼쳐 그 위에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쌓아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이동식 카트 위에 적층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그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공구들을 수납하여 손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카트형 공구 부속함을 차량용 적재함에 실어 사용할 때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간단한 구조로 차량의 적재함에 쉽게 설치가능하고, 측면에 형성된 링크 구조를 통해 단일 형태의 공구 부속함을 여러 개 이어 붙일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공구 부속함의 용량을 증대하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카트형 공구 부속함에 있어서,
    상기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 및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또는 차량의 적재합에 탑재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수납함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식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수납함 내부의 구획칸보다 작은 격자 형태의 구획칸을 형성하는 함몰된 격자 무늬 형태로 형성된 상부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빗물의 외부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수 홀이 형성된 하부면;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부 및 상기 상부에 대응하는 하부에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상하로 연결되는 다른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이웃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하우징부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 일 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되어, 상기 메인바디부에 접합되는 일단에서 끝단까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 및
    상기 하우징부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측에서 상기 링크부 메인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링크대응부로, 상기 링크부의 돌출 고정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 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는,
    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바퀴;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그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일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면 양측에서 링크부 메인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받침대 링크대응부로, 상기 링크부의 돌출 고정부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 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링크대응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호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양측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양 링크대응부에 함께 끼워져 고정되며,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대응부와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아래에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대응부와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상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양 측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 홀은 상기 링크대응부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면의 양 측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 홀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는 적어도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가 상기 메인바디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좌우 돌출 고정부 중 한 돌출 고정부는 한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다른 한 돌출 고정부는 이웃하는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대응 링크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돌출 고정부는
    그 단면이 상기 하우징부 측면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1 그룹의 돌출 고정부와
    그 단면이 상기 하우징부 측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 그룹의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 돌출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좁은 폭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좁은 폭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 및 상기 제2 그룹 돌출 고정부에 대응하는 링크 홀의 하단면에는 각각 자석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와의 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여, 상기 손잡이와 밀착되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손잡이의 양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가 접혀 상기 손잡이와 밀착될 때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6. 카트형 공구 부속함에 있어서,
    상기 카트형 공구 부속함은, 이동식 카트 받침대; 및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또는 차량의 적재합에 탑재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수납함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식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변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 기능 또는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 위에서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와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우징부 측면과 상부면 또는 상기 하우징부 측면과 하부면에 걸쳐 ㄱ 자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크대응부; 및
    상기 링크대응부의 ㄱ자 홈에 결합하기 위한 ㄱ 자 조립부, 한쌍의 ㄱ 자 조립부 위에서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일자 조립부, 상기 일자 조립부,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대응부의 홀에 볼트 결합하여, 상기 일자 조립부, 상기 한 쌍의 ㄱ 자 조립부 및 상기 링크대응부를 결합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는,
    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바퀴;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그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일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좌측면 우측면에는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과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 측면과 상부면에 걸쳐 ㄱ 자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받침대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링크대응부에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상호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양측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양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되며,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대응부와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가 아래에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부가 서랍식 공구 부속함의 링크대응부와 상기 이동식 카트 받침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ㄱ 자 조립부 및 상기 일자 조립부의 두께는 상기 링크대응부 및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ㄱ 자 홈의 깊이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상단에서 좌측면과 상부면의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1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좌측면 하단에서 좌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2 링크대응부,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상단에서 우측면과 상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3 링크대응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우측면 하단에서 우측면과 하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제4 링크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 좌측면 상단에서 좌측면과 상부면의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링크대응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우측면 상단에서 우측면과 상부면 모서리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3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의 ㄱ 자 조립부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서랍식 공부 부속함의 ㄱ 자 조립부와 상호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와의 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여, 상기 손잡이와 밀착되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손잡이의 양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결합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가 접혀 상기 손잡이와 밀착될 때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받침대 링크대응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링크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공구 부속함.
KR1020210151735A 2021-11-05 2021-11-05 카트형 공구 부속함 KR10237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735A KR102371818B1 (ko) 2021-11-05 2021-11-05 카트형 공구 부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735A KR102371818B1 (ko) 2021-11-05 2021-11-05 카트형 공구 부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818B1 true KR102371818B1 (ko) 2022-03-07

Family

ID=8081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735A KR102371818B1 (ko) 2021-11-05 2021-11-05 카트형 공구 부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81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898A (en) * 1987-03-09 1988-03-29 Williams Scottie D Pickup-bed secure storage unit
US5897154A (en) * 1997-03-03 1999-04-27 Albertini; Rick Michael Storage unit for pickup truck
US6318781B1 (en) * 2000-10-26 2001-11-20 Richard A. Mc Kee Pickup truck storage device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US20080128185A1 (en) * 2006-12-05 2008-06-05 Chih-Ching Hsieh Tool Cart having electric motor powered wheels
KR20090055721A (ko) 2007-11-29 2009-06-03 코레일투어서비스 주식회사 물품판매 서비스용 카트
US20100171334A1 (en) * 2009-01-05 2010-07-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Modular storage system
US8333160B2 (en) * 2010-09-14 2012-12-18 Yun-Huei Lin Detachable tool cart
KR20190059176A (ko) * 2017-11-22 2019-05-30 신은경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KR102217819B1 (ko) * 2020-12-15 2021-02-18 서명옥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898A (en) * 1987-03-09 1988-03-29 Williams Scottie D Pickup-bed secure storage unit
US5897154A (en) * 1997-03-03 1999-04-27 Albertini; Rick Michael Storage unit for pickup truck
US6318781B1 (en) * 2000-10-26 2001-11-20 Richard A. Mc Kee Pickup truck storage device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US20080128185A1 (en) * 2006-12-05 2008-06-05 Chih-Ching Hsieh Tool Cart having electric motor powered wheels
KR20090055721A (ko) 2007-11-29 2009-06-03 코레일투어서비스 주식회사 물품판매 서비스용 카트
US20100171334A1 (en) * 2009-01-05 2010-07-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Modular storage system
US8333160B2 (en) * 2010-09-14 2012-12-18 Yun-Huei Lin Detachable tool cart
KR20190059176A (ko) * 2017-11-22 2019-05-30 신은경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KR102023250B1 (ko) 2017-11-22 2019-09-19 신은경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KR102217819B1 (ko) * 2020-12-15 2021-02-18 서명옥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7382B2 (en) Utility assembly and coupling mechanism
US6371320B2 (en) Portable workshop container assembly
CA2553095C (en) Adjustable shelving and storage system for vehicles
EP1296854B1 (de)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S5423463A (en) Interlock panel
CN106314297B (zh) 一种具有可收式存储装置的机动车辆
US20100026027A1 (en) Vehicle Cargo Bed Extender-Tailgate Assembly
WO2019233573A1 (de) Baukonstruktion und fahrzeug mit einer baukonstruktion
KR102371818B1 (ko) 카트형 공구 부속함
CN113911019A (zh) 可收纳车载房
KR102379879B1 (ko)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
US20240010390A1 (en) Mobile Storage for Modular Systems
KR102217819B1 (ko)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US201602641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rlocking wagon
KR102328833B1 (ko) 조립식 파레트
JPH0334350Y2 (ko)
KR20130072835A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KR20190141951A (ko) 차량 탈부착형 텐트
TWM634840U (zh) 收納式承載置物結構
JP2591772Y2 (ja) 移動式シェルタ
CN213786252U (zh) 收纳箱
KR102263380B1 (ko)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JP2534936Y2 (ja) 移動式シェルタ
JP2778022B2 (ja) 整理箱用収納枠
JP2024029383A (ja) 箱付き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