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819B1 -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 Google Patents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819B1
KR102217819B1 KR1020200175578A KR20200175578A KR102217819B1 KR 102217819 B1 KR102217819 B1 KR 102217819B1 KR 1020200175578 A KR1020200175578 A KR 1020200175578A KR 20200175578 A KR20200175578 A KR 20200175578A KR 102217819 B1 KR102217819 B1 KR 10221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truck
box
draw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옥
Original Assignee
서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옥 filed Critical 서명옥
Priority to KR102020017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이 개시된다.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음, 트럭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다수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획칸 내부로 삽입 또는 구획칸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구획칸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식으로 설치된 분리 가능한 수납함을 포함하며, 수납함은, 수납함의 전면 칸막이를 형성하는 전면부, 전면부 상단 끝부분에서 외부로 굴곡 연장되되, 연장되는 면과 전면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돌출 연장부 및 돌출 연장부의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굴곡 연장되되, 연장되는 면이 전면부와 평행인, 상기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Drawer-type tool attachment of truck}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할 수 있는 서랍식 공구 부속함에 관한 것이다.
트럭과 같은 소형 화물 차량은 탑승 공간 후방에 각종 화물을 실어 운반할 수 있는 화물 적재 공간을 가진 적재함을 갖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화물 적재 공간은 하나의 큰 화물 적재 공간만이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부품을 싣고 다녀야 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2023250호(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에서는 운전자를 비롯하여 2~5인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과 각종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공간이 구비된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소형화물차에서, 적재함 바닥에 10~20cm 높이로 착탈 가능한 사물함을 장착한 구성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물함의 구조가 복잡하여 사물함을 제작하는 단가가 높은 문제점과, 트럭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사물함의 잠금 장치가 없는 경우 서랍이 자동으로 열려 작업에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 그리고 사물함의 위에 다른 화물을 적재할 때 사물함이 충분히 견디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3250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트럭의 공구 부속함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단가를 줄이면서도 빗물이 서랍식 공구 부속함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 부속함의 잠금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트럭이 기울어져 주차한 경우에도 수납함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 부속함 상부에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더라도 찌그러지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공구 부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상기 트럭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다수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구획칸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구획칸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구획칸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식으로 설치된 분리 가능한 수납함;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하나의 판이 적어도 4회 직각으로 굴곡되어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상기 수납함을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은, 상기 수납함의 전면 칸막이를 형성하는 상기 전면부; 상기 전면부 상단 끝부분에서 외부로 굴곡 연장되되, 연장되는 면과 상기 전면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돌출 연장부; 및 상기 돌출 연장부의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굴곡 연장되되, 연장되는 면이 상기 전면부와 평행인, 상기 손잡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수직 칸막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그 측면에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기울림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납함 측면에서,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 사이의 일 지점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동일한 무게로 연장되어 상기 트럭의 기울어짐에도 양 쪽의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의 배치 위치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수평 가로축; 및
상기 수평 가로축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가로축의 기울기와 상기 트럭의 기울기가 다른 경우,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 중 어느 하나의 기울림 걸림턱에 상기 양 끝단 중 어느 한 끝단이 걸리는 기울림 걸림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기울림 걸림턱과 연결되고 그 일단이 상기 구획칸의 외부 노출면에 설치되어, 상기 기울림 걸림턱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울림 걸림턱과 상기 기울림 걸림부를 이격시킬 수 있는 수동 걸림 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은, 상기 수평 가로축과 상기 트럭의 기울기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상기 수평 가로축의 회전 기울기의 한계 부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수납함 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 한계 제한부;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울림 걸림부는 상기 수평 가로축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울림 걸림부의 하부 끝단 높이와, 상기 기울림 걸림턱의 상부 끝단 높이는, 상기 수평 가로축이 상기 수납함과 소정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수납함을 슬리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기울림 걸림부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에 걸리지 않은 높이로, 그리고 상기 수평 가로축이 상기 수납함과 소정 기울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수납함을 슬라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에서 꺼내려고 할 때, 상기 기울림 걸림부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에 걸리는 높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일 끝단이 상기 수납함의 하단면 중 일 영역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납함이 상기 하우징부의 구획칸 안에 수납되었을 때는 상기 수납함 하단면에서 접혀 보관되고, 상기 수납함이 상기 하우징부의 구획칸 밖으로 소정 길이 이상 꺼냈을 때, 상기 수납함 하단면에서 펼쳐 세워 상기 수납함을 바닥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둥 받침대; 및 일 끝단이 상기 기둥 받침대 중간에 탈부착 연결되며, 다른 일 끝단이 상기 수납함의 하단면 중 상기 기둥 받침대가 연결된 영역과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 받침대가 상기 수납함을 지지할 때, 상기 기둥 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 고정부는 일 끝단이 상기 기둥 받침대 중간에 연결되며, 다른 일 끝단이 상기 수납함의 하단면 중 상기 기둥 받침대가 연결된 영역과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영역에 연결되되, 중간에 상기 받침대 고정부를 접을 수 있는 접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이부의 고정 또는 접음을 통해 상기 기둥 받침대를 지지하거나 상기 기둥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상부면이 주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함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수납함의 수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 및 상기 수납함의 수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 및 상기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는 상호 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그 위치가 가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 하단면 중앙에 상기 트럭의 적재함 바닥면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가 상기 트럭 적재함을 기준으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트럭의 공구 부속함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단가를 줄이면서도 빗물이 서랍식 공구 부속함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기울림 걸림턱과 기울림 걸림부를 갖는 수평 가로축을 통해, 공구 부속함의 잠금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트럭이 기울어져 주차한 경우에도 수납함이 열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공구 부속함 상부에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더라도 찌그러지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공구 부속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수납함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수납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수납함의 기울림 걸림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은 하우징부(110) 및 수납함(12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트럭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수납함(120)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부(110)의 상부면 위에는 트럭의 다른 적재물, 즉 수합함에 들어가지 않은 큰 적재물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부9110)은 다수의 구획칸(미도시)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그 구획칸 각각에 대응하는 수합함이 형성된다.
한편, 구획칸(미도시)은 하나의 판이 적어도 4회 이상 직각으로 굴곡되어,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는 수직 칸막이(111)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직 칸막이(111)는 하우징부(110)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 칸막이는 그 내부 공간이 뚫려 있는 단면이 수직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하우징부(110)의 상면부화 바닥부를 소정 거리로 이격시키고 하우징부(110) 전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구획칸의 수직 칸막이는 하나의 철판이 여러 번 굴곡되어 한 쌍의 지지벽을 갖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하우징부(110) 위에 무거운 적재물을 올려 놓더라도 상부면이 찌그러지거나 주저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는 철판을 구부려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방법이나 제조 단가가 절약될 수 있는 장점도 존재한다.
한편, 이러한 하우징부(110)는 상부면, 하부면, 및/또는 수직 칸막이는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수납함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수납함(120)는 수납함의 전면 칸막이를 형성하는 전면부(121), 전면부 상단 끝부분에서 외부로 굴곡 연장되며, 아울러 연장되는 면과 전면부(121)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돌출 연장부(122), 돌출 연장부(122)의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굴곡 연장되며, 아울러 연장되는 면이 전면부(121)과 평행을 이루는 손잡이(123) 및 수납함의 측면 칸막이를 형성하는 측면(124)을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123)의 위치는 수납함(120)이 하우징부(110)의 구획칸 안으로 수납되었을 경우, 하우징부(110) 외곽 모서리부분과 같거나 외곽 모서리부분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수납함(120)의 전면부(121)는 하우징부(110) 외곽 모서리보다 돌출 연장부(122) 만큼 안쪽으로 후퇴하여 수납되기 때문에 수납함(120)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연장부(122)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밑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빗가 경사져 내려 빗물이 돌출 연장부(122)에 떨어지더라도 돌출 연장부(122)의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흘러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수납함(12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수납함의 수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5) 및 상기 수납함의 수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5) 및 상기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6)는 상호 격자 형태로 끼워 맞춤 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각각의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5) 및 상기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6)는 다수의 결합홈(127)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홈(127)들 중에 각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5) 및 상기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126)이 결합되는 되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끼워 맞추는 결합홈(127)을 선택할 수 있어, 결합 위치가 가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함(120)에 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공구나 재료의 크기에 따라 수납함(120) 내부의 칸막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수납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20)의 수직 칸막이(111)들 중 적어도 일부는 그 측면에 기울림 걸림턱(131) 및 수동 걸림 해제부(132)를 포함하며, 수납함(12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수납함(120)은 그 측면에, , 회전 축(133), 수평 가로축(134), 기울림 걸림부(135) 를 포함하고, 수납함(120)의 바닥부분에 기둥 받침대(136) 및 받침대 고정부(137)를 포함한다.
기울림 걸림턱(131)은 수직 칸막이(111) 측면에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수직 칸막이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수동 걸림 해제부(132)는 하우징부(120)의 수직 칸막이(111)의 기울림 걸림턱(131)와 연결되고 그 일단이 구획칸의 외부 노출면에 설치되어 기울림 걸림턱(131)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기울림 걸림턱(131)과 기울림 걸림부(135)를 이격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축(133)은 수납함(12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131) 사이의 일 지점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평 가로축(134)이 연결된다.
수평 가로축(134)은 회전축(13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축(133)과 연결되고, 회전 축(133)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동일한 무게로 연장된다. 이를 통해 회전 축(133)을 중심으로 무게의 균형을 유지하여 트럭이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양쪽의 수평이 유지된다. 또한, 수평 가로축(134)는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131)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131)의 배치 위치보다 수납함(120)의 안쪽, 즉 내측에 배치된다.
한편, 기울림 걸림부(135)는 수평 가로축(134)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수평 가로축(134)의 기울기와 트럭의 기울기가 달라진 경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131) 중 어느 하나의 기울림 걸림턱(131)이 기울림 걸림부(135)의 양 끝단 중 어느 한 끝단에 걸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기울림 걸림부(135)는 수평 가로축(134)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기울림 걸림부(135)의 하부 끝단 높이와 기울림 걸림턱(131)의 상부 끝단 높이는, 수평 가로축(134)이 수납함(120)과 소정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수납함(120)을 슬리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110)에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기울림 걸림부(135)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131)에 걸리지 않은 높이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수평 가로축(134)이 상기 수납함과 소정 기울기 이상인 경우에는, 수납함(120)을 슬라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110)에서 꺼내려고 할 때, 상기 기울림 걸림부(135)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131)에 걸리는 높이로 형성된다.
도 4는 수납함의 기울림 걸림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4(a)는 트럭이 수평한 곳에 주차되어 수납함이 수평하게 유지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수납함(120) 및 하우징부(110)과 평행한 기울림 걸림턱(131)이 수평가로축(134) 및 기울림 걸림부(135)와 서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울림 걸림부(135)의 하부 끝단 높이와 기울림 걸림턱(131)의 상부 끝단 높이는, 상기 수납함(120)을 슬리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110)에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기울림 걸림부(135)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131)에 걸리지 않은 높이로 형성된다.
도 4(b) 및 도 4(c)는 트럭이 기울어진 곳에 주차되어 수납함(120) 및 기울림 걸림턱(131)도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수납함(120) 및 하우징부(110)의 기울기와 수평 가로축(134)의 기울기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 가로축(134)이 상기 수납함과 소정 기울기 이상인 경우에는, 수납함(120)을 슬라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110)에서 꺼내려고 할 때, 상기 기울림 걸림부(135)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131)에 걸리게 된다.
이를 통해, 차량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납함(120)이 자동으로 밀려 열려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d) 를 참조하면, 도 4(b) 와 도 4(c)와 같이, 차량이 기울어져 기울림 걸림턱(131)에 기울림 걸림부(135)가 걸리는 경우에도 수동 걸림 해제부(132)의 조작을 통해 기울림 걸림턱(131)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수동으로 기울림 걸림부(135)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둥 받침대(136)는 수납함(120)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납함(120)이 하우징부(110)의 구획칸 밖으로 나왔을 때 수납함(120)이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기능을 한다. 기둥 받침대(136)은 일 끝단이 수납함(1200의 하단면 중 일 영역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수납함이 수납함(120)이 하우징부(110)의 구획칸 안에 수납되었을 대는 수납함(120) 하단면에서 접혀 보관되고 수납함(120)이 하우징부(110)의 구획칸 밖으로 소정 길이 이상 꺼냈을 때, 수납함(120) 하단면에서 펼쳐 세워져 수납함(120)을 바닥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받침대 고정부(137)는 일 끝단이 기둥 받침대(136) 중간에 탈부착 연결되고, 다른 일 끝단은 수납함(120)의 하단면 중 기둥 받침대(136)가 연결된 영역과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영역에 연결되어, 기둥 받침대(136)가 수납함(120)을 세워 지지할 때 기둥 받침대(136)가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한편, 받침대 고정부(137)는, 일 끝단이 상기 기둥 받침대(136) 중간에 연결되며, 다른 일 끝단이 상기 수납함(120)의 하단면 중 상기 기둥 받침대(136)가 연결된 영역과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영역에 연결되되, 중간에 상기 받침대 고정부를 접을 수 있는 접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이부의 고정 또는 접음을 통해 상기 기둥 받침대를 지지하거나 상기 기둥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120)을 하우징부(110)의 구획칸 밖으로 꺼내는 경우, 기둥 받침대(136)를 세우고, 여기에 받침대 고정부(137)를 고정하여 기둥 받침대(136)가 수납함(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납함(120)을 하우징부(110) 구획칸 안으로 집어넣는 경우, 받침대 고정부(137)를 해체하거나 접고, 기둥 받침대(136)도 접어 수납함(120)에 하부면에 밀착시킨 후 수납함(120)을 하우징부(110) 내로 수납하게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100)의 하우징부(110)는 하우징부(110) 하단면 중앙에 상기 트럭의 적재함 바닥면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가 트럭 적재함을 기준으로 수평 회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작업 위치와 원하는 적재물이나 공구, 재료가 담김 특정 수납함(120)의 위치를 회전시켜 작업자와 가까이 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납함(120)은, 수평 가로축(134)과 트럭의 기울기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상기 수평 가로축의 회전 기울기의 한계 부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수납함 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 한계 제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트럭의 공구 부속함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단가를 줄이면서도 빗물이 서랍식 공구 부속함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기울림 걸림턱과 기울림 걸림부를 갖는 수평 가로축을 통해, 공구 부속함의 잠금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트럭이 기울어져 주차한 경우에도 수납함이 열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은, 공구 부속함 상부에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더라도 찌그러지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공구 부속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에 있어서,
    상기 트럭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다수의 구획된 구획칸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구획칸 내부로 삽입 또는 상기 구획칸 내부에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구획칸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식으로 설치된 분리 가능한 수납함;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칸은, 하나의 판이 적어도 4회 직각으로 굴곡되어 그 내부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 수직 칸막이에 의해 서로 구획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상기 수납함을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은,
    상기 수납함의 전면 칸막이를 형성하는 상기 전면부;
    상기 전면부 상단 끝부분에서 외부로 굴곡 연장되되, 연장되는 면과 상기 전면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돌출 연장부; 및
    상기 돌출 연장부의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굴곡 연장되되, 연장되는 면이 상기 전면부와 평행인, 상기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수직 칸막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그 측면에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수직 칸막이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기울림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납함 측면에서,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 사이의 일 지점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동일한 무게로 연장되어 상기 트럭의 기울어짐에도 양 쪽의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의 배치 위치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수평 가로축; 및
    상기 수평 가로축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가로축의 기울기와 상기 트럭의 기울기가 다른 경우, 상기 한 쌍의 기울림 걸림턱 중 어느 하나의 기울림 걸림턱에 상기 양 끝단 중 어느 한 끝단이 걸리는 기울림 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기울림 걸림턱와 연결되고 그 일단이 상기 구획칸의 외부 노출면에 설치되어, 상기 기울림 걸림턱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울림 걸림턱과 상기 기울림 걸림부를 이격시킬 수 있는 수동 걸림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림 걸림부는 상기 수평 가로축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울림 걸림부의 하부 끝단 높이와, 상기 기울림 걸림턱의 상부 끝단 높이는,
    상기 수평 가로축이 상기 수납함과 소정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수납함을 슬리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기울림 걸림부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에 걸리지 않은 높이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수평 가로축이 상기 수납함과 소정 기울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수납함을 슬라이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에서 꺼내려고 할 때, 상기 기울림 걸림부의 끝단이 상기 기울림 걸림턱에 걸리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일 끝단이 상기 수납함의 하단면 중 일 영역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납함이 상기 하우징부의 구획칸 안에 수납되었을 때는 상기 수납함 하단면에서 접혀 보관되고, 상기 수납함이 상기 하우징부의 구획칸 밖으로 소정 길이 이상 꺼냈을 때, 상기 수납함 하단면에서 펼쳐 세워 상기 수납함을 바닥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둥 받침대; 및
    일 끝단이 상기 기둥 받침대 중간에 탈부착 연결되며, 다른 일 끝단이 상기 수납함의 하단면 중 상기 기둥 받침대가 연결된 영역과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 받침대가 상기 수납함을 지지할 때, 상기 기둥 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고정부는
    일 끝단이 상기 기둥 받침대 중간에 연결되며, 다른 일 끝단이 상기 수납함의 하단면 중 상기 기둥 받침대가 연결된 영역과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영역에 연결되되, 중간에 상기 받침대 고정부를 접을 수 있는 접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이부의 고정 또는 접음을 통해 상기 기둥 받침대를 지지하거나 상기 기둥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상부면이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수납함의 수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 및
    상기 수납함의 수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 및 상기 제2 방향 내측 구획 칸막이는 상호 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그 위치가 가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 하단면 중앙에 상기 트럭의 적재함 바닥면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가 상기 트럭 적재함을 기준으로 수평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KR1020200175578A 2020-12-15 2020-12-15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KR10221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78A KR102217819B1 (ko) 2020-12-15 2020-12-15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78A KR102217819B1 (ko) 2020-12-15 2020-12-15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819B1 true KR102217819B1 (ko) 2021-02-18

Family

ID=7468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578A KR102217819B1 (ko) 2020-12-15 2020-12-15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18B1 (ko) * 2021-11-05 2022-03-07 서명옥 카트형 공구 부속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898A (en) * 1987-03-09 1988-03-29 Williams Scottie D Pickup-bed secure storage unit
US5897154A (en) * 1997-03-03 1999-04-27 Albertini; Rick Michael Storage unit for pickup truck
US6318781B1 (en) * 2000-10-26 2001-11-20 Richard A. Mc Kee Pickup truck storage device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US20100171334A1 (en) * 2009-01-05 2010-07-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Modular storage system
KR20190059176A (ko) * 2017-11-22 2019-05-30 신은경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898A (en) * 1987-03-09 1988-03-29 Williams Scottie D Pickup-bed secure storage unit
US5897154A (en) * 1997-03-03 1999-04-27 Albertini; Rick Michael Storage unit for pickup truck
US6318781B1 (en) * 2000-10-26 2001-11-20 Richard A. Mc Kee Pickup truck storage device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US20100171334A1 (en) * 2009-01-05 2010-07-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Modular storage system
KR20190059176A (ko) * 2017-11-22 2019-05-30 신은경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KR102023250B1 (ko) 2017-11-22 2019-09-19 신은경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18B1 (ko) * 2021-11-05 2022-03-07 서명옥 카트형 공구 부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6083B2 (en) Frame, in particular, for temporary installation in a trunk that opens up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US10336261B2 (en) Shelv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US5769260A (en) Molded plastic storage container
US9630562B2 (en) Multi-function automotive trunk storage drawer
US6050202A (en) Storage divider shelf
US6648166B2 (en) Folding storage assembly
US6935641B2 (en) Portable combination toolbox, workbench, and dispensing crib
US8534737B2 (en) Trunk of a motor vehicle
US8814245B1 (en) Multi-tiered rear cargo area storage system
US20090256454A1 (en) Containers and container system
CN107031513B (zh) 用于机动车辆的可折叠储物箱
US11529984B2 (en)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vehicle
US20030071039A1 (en) Storage divider
US4733900A (en) Engine cover console
KR102217819B1 (ko) 트럭의 서랍식 공구 부속함
US20090026197A1 (en) Soft Side Collapsible Storage Bin
EP0667260B1 (en) Vehicle cargo organizer
US4717020A (en) Vertical storage toolbox
US4953601A (en) Transformable tool-box
US11206965B1 (en) Adjustable rack
US6145800A (en) Collapsible portable work support
US11820411B2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device
US20050236788A1 (en) Combination tool box and dolly
KR102371818B1 (ko) 카트형 공구 부속함
KR101459926B1 (ko) 차량용 분할 러기지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