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777B1 -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777B1
KR102371777B1 KR1020170092950A KR20170092950A KR102371777B1 KR 102371777 B1 KR102371777 B1 KR 102371777B1 KR 1020170092950 A KR1020170092950 A KR 1020170092950A KR 20170092950 A KR20170092950 A KR 20170092950A KR 102371777 B1 KR102371777 B1 KR 102371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nd
hinge shaft
smart key
ban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323A (ko
Inventor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70092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7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웨어러블형 스마트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는 사용자의 터치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측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를 포함하는 밴드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모듈을 통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힌지축을 수용하기 위한 장공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는 상기 체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힌지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한 회동이 가능하거나 회동이 구속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형 스마트키{Wearable smart key}
본 발명은 웨어러블형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이 발달하면서 자동차에도 첨단 IT 기술이 융합되어 Around View Monitor(AVM), Smart Parking Assistance System(SPAS), Advanced Smart Cruise Control(SCC) 등 운전자의 편의성이 고려된 다양한 기술들이 선보여지고 있다. 이렇게 운전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면서, 스마트키는 대부분의 신형 차량에 기본으로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키란 별도의 키 삽입 없이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차량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어하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을 조작하면 주차된 차량의 외부조명이 점등하고 경적이 울리면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키는 주로 차체 내ㆍ외에서의 도어개폐 및 시동에 중점을 둔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나, 운전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할 수 없기 때문에 주머니나 가방에 보관하여 소지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주머니나 가방에서 흘러내리거나 소정의 장소에 놓아둔 후 사용자가 그 위치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 분실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5-0132991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스마트키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는 웨어러블형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측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를 포함하는 밴드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모듈을 통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힌지축을 수용하기 위한 장공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는 상기 체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힌지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한 회동이 가능하거나 회동이 구속되는 웨어러블형 스마트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엘이디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접촉단자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회로기판 및 제2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에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회로기판과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접촉단자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케이스의 일면을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착용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차량의 출입 도어 잠금, 출입 도어 잠금 해제, 트렁크 도어의 개방, 트렁크 도어의 닫힘, 소리 출력 및 시동의 온/오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는 단부측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석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의 체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체결홈 측에는 상기 힌지축이 상기 본체에 대한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의 회동이 구속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통하여 상기 힌지축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함으로써 분실 및 도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본체와 밴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본체를 분리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A-A 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B-B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에서 힌지축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에서 힌지축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본체를 나타낸 도 2의 A-A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밴드부(121,122)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10)는 사용자의 터치시 상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115)와 더불어, 회로기판(141,142)이나 배터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11,112)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부재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111,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12)가 결합된 경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로 대면하는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12)의 테두리 측에는 밀봉 및 기밀을 위한 기밀부재(11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 측에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이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141,142)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 측에는 전원공급부(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130)의 양면에 두 개의 제1 및 제2 회로기판(141,14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와 같은 공지의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2회로기판(141,142)은 연결부재(143)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며(도 3 참조), 상기 제1 및 제2회로기판(141,142)은 상기 연결부재(143)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회로기판(141,142) 측에는 후술하는 다양한 회로부품이나 모듈이 분산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로기판(141) 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구동과 함께 차량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AP 또는 MCU와 같은 제어칩(144)이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115)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로기판(142) 측에는 상기 제어칩(144)에서 생성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145)이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15)는 사용자의 터치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 측으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115)는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회로기판(141) 상에 실장되는 접촉단자(116a)를 매개로 상기 제1회로기판(1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는 회로기판의 일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공지의 다양한 터치센서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접촉단자(116a)는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방식일 수 있으며, 공지의 포고핀이나 컨택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단자(116a)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터치센서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1회로기판(141)과 터치센서를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센서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시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생성되는 입력신호는 터치의 횟수나 간격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다양한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로기판(141)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150)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를 터치하는 경우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엘이디(150)는 단색의 엘이디일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색상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일체로 형성된 패키지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150)에서 방출되는 색상은 서로 다른 입력신호와 일대일로 매칭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를 터치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엘이디(150)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 상기 입력신호와 대응되는 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엘이디(150)에서 방출되는 색상을 통해 도어 잠금, 도어 해제 등과 같은 원하는 작동을 위한 입력신호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엘이디(150)의 작동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엘이디는 단색을 방출하는 엘이디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단색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가 실장되어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15)를 통해 생성된 입력신호와 대응되는 방식이라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111) 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150)와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엘이디(150) 측으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가이드부(111a)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엘이디(150)에서 발생된 빛의 방출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11a)의 상부측에는 상기 엘이디(150)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확산부재(11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엘이디(150)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가이드부(111a) 및 광확산부재(111b)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상기 제1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는 커버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14)는 상기 엘이디(150)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터치센서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커버부재(114)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재(114)의 일면을 터치함으로써 소정의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상기 전원공급부(130)의 전원을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충전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외부 충전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충전단자(160)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스(112)의 하면에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충전단자(160)는 상기 제2회로기판(142)의 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촉단자(116b)를 통해 상기 제2회로기판(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제2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충전단자(160)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홈(112a)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단자(160)는 상기 배치홈(112a)에 걸림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116b)는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방식일 수 있으며, 공지의 포고핀이나 컨택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단자(116b)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충전단자(16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2회로기판(142)과 충전단자(160)를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충전단자(160)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61)에 복수 개의 도전성부재(162)가 간격을 두고 어레이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61)가 상기 배치홈(112a)에 장착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USB포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본체(110) 측에는 상기 충전단자(160)를 통한 전원공급부(130)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충전확인용 엘이디(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확인용 엘이디(18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노출공(112c)을 통해 충전확인용 엘이디(180)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130)의 충전량에 따라 발광되는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121,1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를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상기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는 팔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밴드부(121,122)는 사용자의 신체, 일례로 손목을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단부측이 상기 본체(110)의 양 단부측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부(121,122)는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양 단부측이 상기 본체(110)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상기 본체(110)의 양단부측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밴드부(121,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성을 갖는 재질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이 서로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는 단부측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석부재(123a,123b)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단부가 자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는 상기 본체(110)의 양단부측에 힌지축(12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가 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를 회동시킴으로써 착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부(121,122)는 상기 본체(110)에 연결된 일단부측의 체결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110)에 대한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착용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10)의 양단부 측에는 상기 힌지축(124)을 수용하기 위한 장공의 체결홈(1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양단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의 단부가 상기 힌지축(124)을 매개로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힌지축(124)을 장공의 체결홈(117)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117) 측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스토퍼(117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홈(117) 내에서 이동되는 힌지축(124)의 자유로운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더불어,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밴드부(121)의 단부 및 본체(110)의 단부, 상기 제2밴드부(122)의 단부 및 본체(110) 단부 측에는 서로 형합되는 부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10)의 양단부 측에는 돌출부(11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의 단부측에는 상기 돌출부(119)와 형합되는 수용홈(125)이 형성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124)이 장공의 체결홈(117) 내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119) 및 수용홈(125)의 형합을 통하여 상기 본체(110)에 대한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124)이 장공의 체결홈(117) 내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110)에 대한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착용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잡아당겨 상기 힌지축(124)이 상기 스토퍼(117a)를 지나 제2위치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의 회동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착용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축(124)을 제1위치로 변경함으로써 제1밴드부(121) 및 제2밴드부(122)의 회동을 구속하여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117) 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통하여 상기 힌지축(124)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118)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부재(118)는 상기 힌지축(124)을 제1위치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항상 스프링부재(118)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힌지축(124)이 제1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안정적인 체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힌지축(124)은 상기 스프링부재(118)에서 제공되는 탄성력과 더불어 상기 스토퍼(117a)를 통해 자유로운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는 본체(110)에 밴드부(121,122)가 연결된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가 주머니나 가방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없이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는 사용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운반 및 휴대가 가능하므로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이 크게 줄어들 수 있으며, 휴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115)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차량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구동제어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의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41)에 실장된 AP 또는 MCU와 같은 제어칩(144)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모듈(145)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은 통상적인 스마트키에 적용되는 저주파 안테나 모듈일 수 있으며, 3개의 안테나가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을 중심으로 권선된 3축 안테나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차량의 출입 도어 잠금, 출입 도어 잠금 해제, 트렁크 도어의 개방, 트렁크 도어의 닫힘,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소리 출력 및 시동의 온/오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는 차량을 제어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0) 측에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모듈은 적절한 회로소자나 칩셋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는 회로기판(141,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실장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기능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AP나 MCU와 같은 칩셋을 통해 전체적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능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모듈(170)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센서일 수 있고, 상기 심박센서는 광학식 심박센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모듈(1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는 회로기판(142)에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 중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하부면 측에는 상기 센서모듈(170)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모듈(170)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관통부(112b)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모듈(170)을 심박센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체지방, 골격근량, 심박수, 심전도, 피부온도, 스트레스 반응, 뇌전도, 혈류량, 근전도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기능모듈은 상기 센서모듈(170)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모듈(170)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용 모듈일 수도 있고, 원거리 통신용 모듈일 수도 있으며, 근거리 통신용 모듈과 원거리 통신용 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부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근거리 통신용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 통신, LoRa 통신, RADAR 통신, 저전력 무선통신, WiFi 통신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거리 통신용 모듈은 GSM, GPRS, EDGE, LTE-A, LTE, CDMA, WCDMA, EVDO, Wibro, Mobile WiMax 등 공지의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용 모듈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통신모듈은 적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회로기판에 적절한 칩셋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스마트키(100)는 상기 센서모듈(170)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기기 측으로 획득된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출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획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고, 의료기기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기능모듈에 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기능모듈은 상기 센서모듈(170)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착용자에 대한 위급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지의 GPS 모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110 : 본체
111 : 제1케이스 111a : 가이드부
111b : 광확산부재 112 : 제2케이스
112a : 배치홈 112b : 관통부
112c : 노출공 113 : 기밀부재
114 : 커버부재 115 : 입력부
116a,116b : 접촉단자 117 : 체결홈
117a : 스토퍼 118 : 스프링부재
119 : 돌출부 121,122 : 밴드부
123a,123b : 자석부재 124 : 힌지축
125 : 수용홈 130 : 전원공급부
141,142 : 회로기판 143 : 연결부재
144 : 제어칩 145 : 통신모듈
150 : 엘이디 160 : 충전단자
161 : 몸체 162 : 도전성부재
170 : 센서모듈 180 : 충전확인용 엘이디

Claims (13)

  1. 사용자의 터치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측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를 포함하는 밴드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모듈을 통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힌지축을 수용하기 위한 장공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는 상기 체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힌지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한 회동이 가능하거나 회동이 구속되는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회로기판과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접촉단자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는 단부측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석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의 체결상태가 유지되는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 측에는 상기 힌지축이 상기 본체에 대한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의 회동이 구속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통하여 상기 힌지축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92950A 2017-07-21 2017-07-21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KR102371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50A KR102371777B1 (ko) 2017-07-21 2017-07-21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50A KR102371777B1 (ko) 2017-07-21 2017-07-21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23A KR20190010323A (ko) 2019-01-30
KR102371777B1 true KR102371777B1 (ko) 2022-03-08

Family

ID=6527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50A KR102371777B1 (ko) 2017-07-21 2017-07-21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9710B (zh) * 2020-11-20 2022-04-08 成都天兴汽车零部件有限公司 基于车联网及面部识别的汽车智能进入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946B1 (ko) 2014-05-19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스마트키
KR102366473B1 (ko) * 2015-06-16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00313B1 (ko) * 2015-11-10 202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터치 판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23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7943B2 (en) Earpiece with wirelessly recharging battery
US2020032348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CN106575819B (zh) 要被佩戴在人类皮肤上的电子设备及包含其的通信系统
RU2687955C2 (ru) Брело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чехле телефона
CN106456044B (zh) 可穿戴电子设备
US9904320B2 (en) Battery compartment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2813907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EP1758353A2 (en) Wrist watch-type headset assembly
EP3235145B1 (en) Optical communication with optical sensors
KR102432805B1 (ko)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US10001756B2 (en) Smart watch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hole at the center
US20150346877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TWM546128U (zh) 可穿戴設備
KR20180126207A (ko) 하우징에 포함된 도전성 부재를 이용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TTO20120862A1 (it) Dispositivo di localizzazione visiva di un autoveicolo
KR102371777B1 (ko)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US20150003629A1 (en) Portable wireless speaker system
KR101508601B1 (ko) 다기능 벨트
KR102158048B1 (ko)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EP4336812A1 (en) Roll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key input device
KR102217232B1 (ko) 카드 타입 스마트 키
WO2016148051A1 (ja) 携帯機及び車輌用通信システム
KR101772881B1 (ko) 스마트 키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KR20230120058A (ko)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40007031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