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719B1 - 커플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커플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719B1
KR101001719B1 KR1020100057508A KR20100057508A KR101001719B1 KR 101001719 B1 KR101001719 B1 KR 101001719B1 KR 1020100057508 A KR1020100057508 A KR 1020100057508A KR 20100057508 A KR20100057508 A KR 20100057508A KR 101001719 B1 KR101001719 B1 KR 101001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number
pair
module
signa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열
Original Assignee
김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열 filed Critical 김재열
Priority to KR102010005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G08B2001/085Partner search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플 액세서리는, 2개로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에 있어서, 고유의 식별번호가 기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번호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 상기 송수신되는 상태에 따라 발광모듈에 구비되는 LED는 빛을 발광하고, 상기 메모리, 상기 송수신모듈 및 발광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플 액세서리{Couple Accessory}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커플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액세서리가 무선 송수신을 하여 특정한 액세서리끼리만 반응하여 발광하는 커플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커플 액세서리는 사랑하는 연인 및 친구 간의 사랑이나 우정을 확인하거나 과시하기 위한 용도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플 액세서리는 팔찌, 반지, 목걸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되며, 재질, 디자인 도는 색상 등을 통일화하여 서로 간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커플 액세서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색상, 제질 및 디자인에 의존해 왔으며, 단순한 구조로 제작된 커플 액세서리는 대부분 유사한 형태의 디자인 및 색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다른 액세서리들과 차별성이 떨어지고 서로간의 특별한 의미 부여가 미흡하기 때문에 연인들이나 친구들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광 방식의 커플 액세서리는 액세서리들을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발광이 이루지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선 송수신 방식의 커플 액세서리들도, 송수신 간에 다른 커플들이 보유한 커플 액세서리와의 구별이 불가능하여 동종의 다른 액세서리들간에도 일률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서로간에만 특별히 반응하는 형태의 액세서리 형태가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종래 무선 송수신 방식의 커플 액세서리는 무선 송수신과 발광을 위한 전지가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지가 방전되는 경우, 전지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플 액세서리를 착용한 사용자들끼리만 반응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액세서리들이 존재할 때 빛을 발광하는 커플 액세서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송수신이나 발광을 담당하는 전지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는 커플 액세서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커플 액세서리는 각각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제1식별번호 및 제2식별번호가 저장된 한 쌍의 메모리,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식별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송수신모듈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송수신모듈이 주기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식별번호를 포함한 송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제2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가 상기 제2식별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1식별번호를 포함한 재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모듈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듈,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식별번호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제1식별번호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2식별번호를 포함한 응답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응답신호에 따른 재응답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제2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몸체부는 각각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팔찌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어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일측은 발광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모듈,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발광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몸체는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가 소비하는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고, 어느 한 끝단부에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나머지 한 끝단부에 개방 및 폐쇄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에 구비된 상기 송수신모듈이 식별번호를 송수신하는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모듈이 다른 색상 및 다양한 패턴의 빛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한 쌍의 메모리, 상기 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은 연성회로기판에 설계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메모리에 기 저장되는 제1식별번호 및 제2식별번호는 동일한 식별번호로 프로그램되어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제1식별번호 및 제2식별번호가 저장된 한 쌍의 메모리,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식별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송수신모듈,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모듈,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송수신모듈이 주기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식별번호를 포함한 송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제2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2식별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제어모듈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제1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2식별번호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제2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플 액세서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선 송수신을 하는 커플 액세서리 간에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식별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무선 신호에 응답하지 않고 2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 액세서리만이 응답 송수신 하기 때문에, 연인이나 친구 사이의 친밀감을 더욱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무선 송수신 하는 한 쌍의 액세서리 간에 신호의 송수신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다양한 패턴 및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를 통하여 보다 개성있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가 충전지에 구비되어 전력을 소모할 경우 충전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장기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커플 액세서리 간의 거리에 따라 발광하는 패턴 및 색상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커플이 되는 액세서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접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로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가능한 전원부 몸체의 개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로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가 발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로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가 이격된 거리에 따라 다른 패턴의 빛을 발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로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의 식별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액세서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플 액세서리(10)는 RF, Zigbee, Bluetooth 및 RFID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대역폭을 가지는 무선 주파수를 통하여 송수신 하는 RF기술을 이용하는 커플 액세서리(10)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액세서리를 착용하고 친목을 도모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Zigbee 또는 RFID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한 액세서리의 구비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커플 액세서리(10)는 팔찌, 반지, 목걸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가 팔찌 형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커플 액세서리(10)는 기본적으로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에 몸체부(110), 메모리(140), 송수신모듈(150), 발광모듈(120), 제어모듈(130) 및 전원부 몸체(163)를 포함 한다.
상기 커플 액세서리(10)는 서로 대응되는 제1액세서리(100)와 제2액세서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플 액세서리(10)의 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팔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의 형태로 형성된 몸체부의 내부는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액세서리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발광모듈(120)이 발광하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광하는 빛이 잘 보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0), 메모리(140), 송수신모듈(150), 발광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은 전원부 몸체(163)에 구비되는 충전지(16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 몸체(163)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원부 몸체(163)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수용공간 내부에 충전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부 몸체(163)는 액세서리 몸체부(110)의 일측에 힌지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 몸체(163)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충전 가능하도록 충전단자(162)를 구비하는 충전지(160)가 수용될 수 있다.
개폐되는 전원부 몸체(163)의 끝단은 전원부 몸체(163) 내부에 수용된 충전지(160)의 충전단자(162)가 노출될 수 있도록 충전단자 홀(165)이 구비될 수 있다.
충전단자(162)가 노출된 충전단자 홀(165)을 통해 사용자는 USB CELL 등의 충전방식을 통해 전력을 보다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전원부 몸체(163)에 구비되는 충전지(160)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의 다양한 종류로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충전가능한 충전지(160)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전력의 공급은 충전지(160)뿐만 아니라, 일회용 전지 및 건전지로도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140)는 액세서리 고유의 식별번호(142)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액세서리(100)와 제2액세서리(200)가 동일한 식별번호(142)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무선 송수신 할 수 있도록 고유한 식별번호(142)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일 실시예에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1액세서리(100) 및 제2액세서리(200) 각각에 동일한 식별번호(142)로 저장할 수 도 있으나, 각각의 메모리(140)에 각각이 상이한 고유의 식별번호(142)를 저장할 수 도 있다.
식별번호(142)는 제어모듈(130)에 의해 인지 및 판독이 가능하므로, 제1액세서리(100) 및 제2액세서리(200) 각각에 상이하게 저장할 수 도 있다.
메모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식별번호(142)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150)에 의해 송수신 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모듈(150)은 제1액세서리(100) 및 제2액세서리(200) 각각에 구비되고,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10) 간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송수신모듈(150)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 하도록 하는 안테너를 구비할 수 있고, 구비되는 안테나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거리에서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상기 발광모듈(120)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회로기판에 복수개의 엘이디소자(122)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발광모듈(120)에 배치되는 엘이디소자(122)는 고휘도, 하이플럭스 및 슈퍼플럭스 등의 다양한 발광소자로 구비가 가능하다.
제어모듈(130)의 인가 신호에 의해 엘이디소자(122)가 ON/OFF를 반복하면서 다양한 패턴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130)은 식별번호(142)가 저장되는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40)가 저장하는 식별번호(142)의 인지 및 판독이 가능하고, 발광모듈(120) 및 송수신모듈(150)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모듈(120)은 복수 개의 엘이디소자(122)가 회로 기판상에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발광하는 구성요소는 전력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어떠한 형태의 발광소자로도 다양하게 구비가 가능하다.
또한, 발광모듈(120)에 배치되는 엘이디소자(122)는 제어모듈(130)의 인가신호에 따라 일률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제1액세서리(100)와 제2액세서리(200) 사이의 상호 거리에 발광모듈의 패턴과 색상을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제1제어모듈(S10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식별번호(142)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모듈(S100)은 송수신모듈(150)이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액세서리(200)에 구비된 제2제어모듈(S200)은 제2액세서리(200)에 구비된 송수신모듈(150)이 수신대기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커플액세서리(10)의 각각에 구비된 제어모듈(130)은 식별번호(142)를 인지하고 판독하는 수행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커플 액세서리(10)의 구성요소 중 발광모듈(120), 메모리(140), 송수신모듈(150) 및 제어모듈(130)은 연성회로기판에 설계되어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액세서리(10)가 무선 송수신을 하고 그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거쳐 발광모듈(120)에 구비된 엘이디소자(122)가 발광하는 단계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1액세서리(100) 및 제2액세서리(200)에 구비된 메모리(140), 발광모듈(120) 및 송수신모듈(150)은 각각의 액세서리에 구비된 제어모듈(130)의 인가 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충전지(16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제1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제1제어모듈(S100)은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수신모듈(150)이 주기적으로 데이터 송신(S120) 할 수 있도록 인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수신모듈(150)은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142)가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 송신(S120)을 할 수 있다.
제2액세서리(200)는 식별번호(142)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 까지 계속해서 수신대기(S220) 상태를 유지하는 수행을 반복하여 할 수 있도록 제2제어모듈(S200)이 제어한다.
제2액세서리(200)에 구비되는 송수신모듈이 식별번호(142)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S230)하게 될 경우, 제2제어모듈(S200)은 수신한 식별번호(142)를 판독하고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를 비교(S240)할 수 있다.
제2제어모듈(S200)은 수신한 식별번호(142)와 메모리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가 일치할 경우, 제2액세서리(200)와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로 인지하여 그에 대하여 응답신호를 송신(S250)하도록 송수신모듈에 인가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수신한 식별번호(142)와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142)가 상이할 경우, 수신대기(S220)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액세서리(20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S130)한 제1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제1제어모듈(S100)은 수신한 응답신호에 포함된 식별번호(142)와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를 비교(S140)할 수 있다.
제1제어모듈(S100)이 비교한 응답신호에 포함된 식별번호(142)와 메모리(140) 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가 동일할 경우, 그에 따른 재응답신호를 송신(S150)할 수 있도록 제1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제1제어모듈(S100)은 인가하고 송수신모듈(150)은 식별번호를(142) 포함하는 재응답신호를 송신(S150)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액세서리(100)는 발광모듈에 구비된 엘이디소자(122)가 발광할 수 있도록 인가하여 발광모듈(120)은 다양한 색상 및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1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엘이디소자(122)는 제1제어모듈(S100)에 의해 인가된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하고, 제어모듈(130)은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수신모듈(150)이 주기적으로 데이터 송신(S120)을 할 수 있도록 인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수신모듈(150)은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가 포함된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2액세서리(200)는 제1액세서리(100)로부터 재응답신호를 수신(S260)할 경우, 제2제어모듈(S200)의 인가에 의해 발광모듈(120)은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할 수 있다.
제2액세서리(200)에 구비된 발광모듈(120)이 발광한 후 제2제어모듈(S200)은 식별번호(142)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 까지 계속해서 수신대기(S210)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1액세서리(100) 및 제2액세서리(200)의 메모리(140) 각각에 저장된 식별번호(142)가 상이한 경우, 각각의 메모리(140)는 제1식별번호(142) 및 제2식별번호(142)가 저장될 수 있다.
제1제어모듈(S100)은 송수신모듈(150)에 인가하여 제1식별번호(142)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무선으로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모듈(S200)은 송수신모듈(150)에 인가하여 제2식별번호(142)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무선으로 송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액세서리(100)와 제2액세서리(200) 각각에 구비되는 제1제어모듈(S100) 과 제2제어모듈(S200)은 각각 식별번호(142)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 받게 되고, 수신된 식별번호(142)와 액세서리 각각의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142)와 비교할 수 있다.
제1제어모듈 및 제2제어모듈은, 상기 수신한 식별변호(142)와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142)가 일치할 경우, 발광모듈(120)에 배치된 엘이디소자(122)가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하도록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모듈(S100) 및 제2제어모듈(S200)은 메모리에 기 저장된 식별번호(142)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2개로 한 쌍을 이루는 커플 액세서리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른 패턴의 빛을 발광하는 단계는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플 액세서리(10)는 제1액세서리(100)와 제2액세서리(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발광하는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제1액세서리(100)와 제2액세서리(200) 간의 거리는 송수신모듈(150)이 커플 액세서리(10)간에 식별번호(142)를 포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모듈(130)에서 산출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발광모듈(120)에 발광하는 패턴과 색상을 제어하게 되어 다양한 패턴과 색상으로 발광이 가능하다. 엘이디소자(122)의 배치에 따라 문자 및 그림 형태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 액세서리 사이의 거리가 20m 이내로 가까워지면 발광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액세서리(100)와 제2액세서리(200) 사이의 거리가 20 m 이상일 경우, 제어모듈(130)은 발광모듈(120)에 발광에 대한 인가를 하지 않으므로, 엘이디소자(122)는 발광하지 않고 20 m 이내 커플 액세서리가 접근하였을 경우, 엘이디소자(122)는 발광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점차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발광모듈(120)에 배치된 엘이디소자(122)의 색상 및 발광 패턴을 변형하면서 발광을 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설계에 따라 송수신 되는 거리의 길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 액세서리(10)의 송수신 가능 거리를 3 m ~ 5 m 내의 거리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면, 사용하는 주파수의 대역폭에 적합한 안테나의 길이와 굵기를 설정하여 송수신의 감도를 조정함으로써 지정된 거리에서만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할 수 있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가 가까워질 수록 보다 많은 엘이디소자(122)가 발광을 하고 1m 이내로 근접할 경우, 숫자, 문자 및 이미지 등의 형태로 발광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발광의 패턴 및 색상은 구비되는 엘이디소자(122)의 배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동일한 대역폭의 주파수로 송수신하는 커플 액세서리(10)가 주변에 서 송수신을 할 경우, 커플 액세서리(10)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플 액세서리(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식별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호 응답하며 수선 송수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플 액세서리(10)를 착용한 두 커플 중 하나의 커플을 커플 A (300) 라 하고, 식별번호가 상이한 나머지 커플을 커플B (400) 라 하면, 커플 A(300)의 남자는 커플 B(400)의 남자 및 여자와는 상호 송수신 하지 않고, 동일한 식별번호(142)를 가지는 커플A(300)의 여자만이 상호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커플 B(400)는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주위에 수신이 가능한 사용자에게 계속하여 송신하지만 액세서리에 구비된 제어모듈(130)은 식별번호(142)를 비교하여 상이한 식별번호(142)가 포함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기 때문에, 커플 A (300) 및 커플 B (400) 는 보다 안정적인 상태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10: 커플 액세서리 100: 제1액세서리
110: 몸체부 120: 발광모듈
122: 엘이디소자 130: 제어모듈
140: 메모리 142: 식별번호
150: 송수신모듈 160: 충전지
162: 충전단자 163: 전원부 몸체
165: 충전단자 홀 200: 제2액세서리
300: 커플 A 400: 커플 B
S100: 제1제어모듈 S200: 제2제어모듈

Claims (10)

  1. 각각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제1식별번호 및 제2식별번호가 저장된 한 쌍의 메모리;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식별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송수신모듈;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모듈;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송수신모듈이 주기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식별번호를 포함한 송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제2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가 상기 제2식별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1식별번호를 포함한 재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모듈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듈;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식별번호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제1식별번호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2식별번호를 포함한 응답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응답신호에 따른 재응답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제1식별번호와 일치하는 신호나 재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수신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는,
    각각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팔찌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액세서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어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는,
    각각 몸체부의 적어도 일측은 발광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는,
    상기 송수신모듈,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발광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가 소비하는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고, 어느 한 끝단부에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나머지 한 끝단부에 개방 및 폐쇄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에 구비된 상기 송수신모듈이 식별번호를 송수신하는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모듈이 다른 색상 및 패턴의 빛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모리, 상기 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은 연성회로기판에 설계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메모리에 기 저장되는 제1식별번호 및 제2식별번호는 동일한 식별번호로 프로그램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10. 각각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제1식별번호 및 제2식별번호가 저장된 한 쌍의 메모리;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식별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송수신모듈;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구비되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모듈;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송수신모듈이 주기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식별번호를 포함한 송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제2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2식별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제어모듈;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제1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2식별번호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발광모듈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제1식별번호와 일치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수신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액세서리.
KR1020100057508A 2010-06-17 2010-06-17 커플 액세서리 KR10100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508A KR101001719B1 (ko) 2010-06-17 2010-06-17 커플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508A KR101001719B1 (ko) 2010-06-17 2010-06-17 커플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719B1 true KR101001719B1 (ko) 2010-12-15

Family

ID=4351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508A KR101001719B1 (ko) 2010-06-17 2010-06-17 커플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7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349A1 (ko) * 2018-08-13 2020-02-20 정지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45840A1 (ko) * 2018-08-28 2020-03-05 정지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led 발광형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19Y1 (ko) * 2008-06-03 2008-12-12 송계점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19Y1 (ko) * 2008-06-03 2008-12-12 송계점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349A1 (ko) * 2018-08-13 2020-02-20 정지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CN112469303A (zh) * 2018-08-13 2021-03-09 郑智秀 具有非接触式短距离无线通信功能的金属首饰及其制造方法
WO2020045840A1 (ko) * 2018-08-28 2020-03-05 정지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led 발광형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8104B1 (ko) * 2018-08-28 2020-04-07 정지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led 발광형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9903A1 (en) Wirelessly chargeable battery apparatus
US10587943B2 (en) Earpiece with wirelessly recharging battery
US9760115B2 (en) Power band for a wearable computer
US20130173658A1 (en) Interactive base and toke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computing device
CN108348176B (zh) 一种智能穿戴设备
CN107949974A (zh) 适合给可佩戴电子装置充电的无线电力系统及方法
CN108697938A (zh) 具有可变角色的机器人
CN101023438A (zh) 具有当附装时会影响装置的操作的可移开式帽的便携式存储装置
US9808054B2 (en)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sensory feedback
US9746561B2 (en) Marker system
EP2934071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41912A1 (en) Wristband Accessories For A Wearable Computer
WO2019021661A1 (ja) 充電システム、充電装置、および電気治療器の制御装置
KR20160033383A (ko) 무선 충전 led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01719B1 (ko) 커플 액세서리
KR20048428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KR101976596B1 (ko) 매립형 IoT 조명 스위치 장치
CN202653279U (zh) 自动计步鞋
US10003950B2 (en) ID kits for personal automation, and charging units therefor
KR101905471B1 (ko) 소셜 로봇
KR102414055B1 (ko) 스마트블록 및 스마트보드 시스템
KR101862666B1 (ko)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KR101957557B1 (ko) 휴대용 플렉시블 라이트
KR20160080398A (ko) 웨어러블 장치
WO2015172353A1 (zh) 具有可调节发光阵列的智能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