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666B1 -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666B1
KR101862666B1 KR1020170175867A KR20170175867A KR101862666B1 KR 101862666 B1 KR101862666 B1 KR 101862666B1 KR 1020170175867 A KR1020170175867 A KR 1020170175867A KR 20170175867 A KR20170175867 A KR 20170175867A KR 101862666 B1 KR101862666 B1 KR 10186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unit
communication
termina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일성
이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메이트
Priority to KR102017017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칩이 내재된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카드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카드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가능범위를 이탈되나,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신부로 임의의 알람신호를 전달할 경우, 카드에 구비된 알람부에서 진동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람이 구현되어, 사용자가 카드의 분실 여부 및 분실된 카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카드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성의 카드에 포함된 배터리를 카드 타입의 케이싱으로 구성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Multipurpose card and card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통신칩이 내재된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카드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카드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가능범위를 이탈되나,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신부로 임의의 알람신호를 전달할 경우, 카드에 구비된 알람부에서 진동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람이 구현되어, 사용자가 카드의 분실 여부 및 분실된 카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카드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성의 카드에 포함된 배터리를 카드 타입의 케이싱으로 구성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충전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최근 이동통신의 발전과 더불어 Bluetooth, Wifi, ZigBee, RF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음파 무선 통신 기술 또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2010년 출시된 Bluetooth4.0 기술은 저전력이면서 최고 24Mbps의 속도까지의 지원으로 사물간 근거리 통신기술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이하 "비엘이"라 칭함.)를 이용한 통신기술은 일반적으로 약 50 미터(m) 도달 반경을 가진 2.4 GHz 주파수 대역 기반의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기술로서, 비엘이의 가장 큰 특징은 동작 주기(duty cycle)가 수 밀리초(ms) 정도로, 대부분의 시간은 슬립 모드(sleep mode)로 있어 전력 소모가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엘이 통신기술은 비엘이 통신칩에 내재되는 고유식별번호를 이용한 고유물의 신분 또는 신상확인, 카드결제 시스템, 멤버쉽카드 승인처리 또는 특정 사물의 위치확인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한 카드 타입의 통신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3459호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비엘이 통신이 가능한 다목적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비엘이 통신칩을 포함하는 통신부재가 구비되는 메인바디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커버가 합지되는 구성을 하여, 카드 내부에 비엘이 통신칩이 안정적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하고, 비엘이 통신칩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제품을 카드 타입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엘이 통신이 가능한 다목적 카드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비엘이 칩을 포함하는 통신부재를 내부공간에 내재시킨 메인바디의 외측에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커버를 합지시킴으로써, 상기 통신부재의 손상없이 통신부재를 카드의 내부공간에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내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카드에 알람기능이 없어서, 사용자가 분실된 카드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3459호(2016.12.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9988호(2012.07.2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436호(2015.12.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4039호(2003.02.15.)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가지는 통신 제품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통신 기능을 가지는 통신 제품은 상당한 부피와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의 내부에 통신칩을 포함하는 통신부재가 내입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부피와 크기가 큰 문제가 있었고;
그 결과 사용자가 통신이 가능한 통신 제품을 소지하기가 불편하여, 사용자가 상기 통신 제품을 소지하면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통신 시스템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종래에는 통신칩을 포함하는 통신 제품을 카드 형태로 만들더라도, 통신 기능을 가지는 카드(또는 카드가 장착된 물건)가 분실된 경우, 카드와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는 카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나 카드 자체에서는 알람기능이 없어서, 사용자가 분실된 카드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카드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이 불가능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통신 가능한 카드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통신칩을 구비하는 통신부; 진동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람을 구현시키는 알람부; 상기 통신부와 알람부를 연결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 알람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알람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부 간의 통신 불능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신부로 전달되는 알람신호에 의하여 알람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카드를 제시하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가 구비된 카드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카드 형태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카드의 배터리부에 포함된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제2충전단자를 구비하는 충전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 충전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는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부가 카드 타입의 통신 제품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통신 제품의 부피와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가 다목적 카드를 소지하면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통신 시스템적으로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다목적 카드가 분실된 경우라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알람부가 진동 또는 소리의 발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분실된 카드의 정확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카드 충전장치를 통하여, 다목적 카드에 내재된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카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카드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카드의 알람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카드에 충전단자와 통신단자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카드가 카드 충전장치에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드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드 충전장치의 카드홀더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드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드 충전장치에 발전부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드 충전장치에 발전부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드 충전장치에 구비된 발전부의 회전판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본 발명은 통신칩이 내재된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통신 가능한 카드에 있어서, 상기 카드(10)는 통신칩을 구비하는 통신부(11); 진동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람을 구현시키는 알람부(12); 상기 통신부(11)와 알람부(12)를 연결시키는 제어부(13) 및; 상기 통신부(11), 알람부(12) 및 제어부(1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알람부(12)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부(11) 간의 통신 불능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신부(11)로 전달되는 알람신호에 의하여 알람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카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14)가 구비된 카드(1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된 카드(10) 형태의 케이싱(20) 및; 상기 케이싱(20)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위치되고 상기 카드(10)의 배터리부(14)에 포함된 충전단자(18)와 접속되는 제2충전단자(22)를 구비하는 충전커넥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1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는 사용자 단말기와 카드(10)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에서 카드(10)에 일정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을 수 있고, 카드(10)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일정의 신호를 송신하거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카드(10)와 각종의 신호 및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관리프로그램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관리서버와 같은 관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여, 산업현장, 건설현장과 같은 복수의 다목적 카드(10)가 운용될 수 있는 현장에서 복수의 다목적 카드(10)와 일괄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사용자 단말기와 카드(10)의 통신 주파수 영역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또는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카드(10) 간의 주된 통신 주파수가 비엘이(BLE) 통신인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는 거시적으로 통신부(11), 알람부(12), 제어부(13) 및 배터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는 일반적인 신용카드(10) 또는 은행카드(10) 등과 같은 크기 및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통신부(11), 알람부(12), 제어부(13) 및 배터리부(14)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11), 알람부(12), 제어부(13) 및 배터리부(14) 간의 원활한 연동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15)이 다목적 카드(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5)에 상기 통신부(11), 알람부(12) 및 제어부(13)가 칩(Chip)의 형태로 실장되고, 배터리부(14)가 인쇄회로기판(15)과 일체 또는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1)는 통신칩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카드(10)가 상기 통신칩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칩은 비엘이 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비엘이 칩은 저전력 저용량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 비엘이 송수신기가 포함되고, 칩(chip) 형태로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비엘이 통신용 구성품으로서, 카드(10)에 내부에 내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비엘이 칩에는 고유식별번호(MAC address)가 존재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가 부착되는 물건 각각을 독립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유식별번호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 등과 같은 관리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관리장치에 포함된 각각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되는 각종의 정보와 연동되고 연산처리의 기본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엘이 칩에 존재하는 고유식별번호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의 용도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기능 카드(10)의 식별을 위한 기본정보로 활용되고,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따른 각종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 포함된 각종의 정보와 연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통신부(11)는 비엘이 통신칩과 같은 통신칩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상기 통신칩을 작동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구성품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상기 통신칩에서 송신되는 전파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전파증폭기(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파증폭기는 통신칩에서 송신되는 전파를 증폭시켜 전파가 더 멀리까지 송신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의 통신가능 영역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시킨다.
아울러 상기 통신칩을 포함하는 통신부(11)는 통신칩이 사용자 단말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또는 관리서버의 무선통신부(11) 등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한 각종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필요에 따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알람부(12)는 진동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람을 구현시키는 구성으로서, 다목적 카드(10)의 전원상태, 분실상태 또는 환경인자 감지상태 등과 같은 상태를 진동 또는 소리 등과 같은 표시인자로 표현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알람부(12)는 ⅰ) 기본적으로는 다목적 카드(10)의 전원이 켜지거나 꺼지는 상태에서는 진동 또는 소리를 구현시켜, 다목적 카드(10)의 전원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고, ⅱ) 사용자 단말기와 카드(10)의 통신부(11)가 통신 불능 상태에 놓인 경우에는 카드(10)의 분실을 알리는 진동 또는 소리를 구현시켜 카드(10)의 분실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며, ⅲ) 사용자 단말기와 카드(10)의 통신부(11)가 통신 불능 상태가 아니더라도 사용자 단말기에서 카드(10)의 통신부(11)로 일정의 알람신호를 임의로 전달할 경우, 알람부(12)가 진동 또는 소리를 구현시켜 사용자가 카드(10)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며, ⅳ)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에 환경인자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환경인자 감지 정보를 진동 또는 소리로 구현시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 알람부(12)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통신부(11)와 알람부(12)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마이콤(Micom)과 같은 단일의 반도체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저항 캐피시터,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과 같은 복수의 소자 간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고, 제어부(13)는 통신부(11)에 의한 전파의 송신 여부 및 송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고, 통신부(11)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포함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연산 및 제어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의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한 연산신호 및 제어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부(14)는 상기 통신부(11), 알람부(12) 및 제어부(13)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다목적 카드(1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전기적인 구성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배터리부(14)는 다목적 카드(10)가 얇은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페이퍼 밧데리'라 알려진 종이처럼 얇고 구부려질 수도 있는 종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터리의 전원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도록 배터리 전력 제어기가 배터리부(14)에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에 인쇄된 전도성의 전원패턴을 통하여 상기 통신부(11), 알람부(12) 및 제어부(1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5)에는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을 승압시키커나 감압시킬 수 있는 전압조절칩(미도시) 또는 전류량을 조절시킬 수 있는 전류조절칩(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되어, 배터리의 방전시에는 외부 전원으로 충전하여 배터리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배터리의 충전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아울러 상기 알람부(12)는 다목적 카드(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 또는 소리를 구현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부(12)는 상기 카드(10)의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5)에 인쇄되어 형성된 패턴코일(12a); 상기 패턴코일(12a)의 상부에 배치되고, 플랙시블한 재질을 가지는 자성체(12b) 및; 상기 패턴코일(12a) 및 자성체(12b)를 감싸며 하부의 테두리가 상기 패턴코일(12a)의 외측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15)에 결착되는 진동필름(12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알람부(12)는 거시적으로 패턴코일(12a), 자성체(12b) 및 진동필름(12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코일(12a)은 상기 카드(10)의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5)에 인쇄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배터리부(14)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의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류에 의하여 일정의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패턴코일(12a)은 인쇄회로기판(15)에 전도성의 금속으로 얇게 인쇄되고, 단선보다 더 강한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코일과 같이 복수의 라인을 가지며 형성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배터리부(14)에서 패턴코일(12a)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세기를 조절하여 패턴코일(12a)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전류세기의 조절은 제어부(13)에 의한 제어로써 상기 전류조절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성체(12b)는 상기 패턴코일(12a)의 상부에 배치되고, 플랙시블한 재질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영구자석과 같이 일정의 자기장을 항상 형성시켜 상기 패턴코일(12a)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영향을 받는 다른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자성체(12b)는 형태가 변형되지 못하는 금속재질의 일반적인 영구자석과는 다르게 자성을 가지지만 플랙시블한 재질한 것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다목적 카드(10)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목적 카드(10)의 변형에 의하여 알람부(12) 및 알람부(12)가 구비된 다목적 카드(10)의 일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자성체(12b)는 상기 패턴코일(12a)의 상부와 하기 진동필름(12c)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하는데, 상기 패턴코일(12a)의 상부면과 자성체(12b)의 하부면은 서로 접착되어 고정되지 않아, 패턴코일(12a)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과 자성체(12b)에 의하여 형성된 다른 자기장 간의 세기 변화에 의하여, 자성체(12b)가 움직여 알람부(12)에서 진동 또는 버저(buzzer)와 같은 소리를 발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동필름(12c)은 상기 패턴코일(12a) 및 자성체(12b)를 감싸며 하부의 테두리가 상기 패턴코일(12a)의 외측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15)에 결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자성체(12b)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 또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진동필름(12c)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종이 재질의 필름 상태로 구성되어 하부에 상기 자성체(12b) 및 패턴코일(12a)을 순차적으로 감싸며 인쇄회로기판(15)의 상부에 결착되는 구성으로서, 일정의 면적을 가지는 진동필름(12c)의 테두리가 상기 패턴코일(12a)의 외측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15)에 결착된다.
이때, 상기 진동필름(12c)은 상기 자성체(12b) 및 패턴코일(12a)을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하부의 테두리가 보다 긴밀하게 인쇄회로기판(15)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돔 형태로 굴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일반적인 스피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외주에 감겨진 상태로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일측에 결착되는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일정한 자기장이 계속적으로 형성되는 영구자석에 의한 자기장 영역에서 상기 보이스 코일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보이스 코일이 움직여 일정의 진동을 형성시키고, 상기 진동은 진동판에서 소리로 변환되는 구성을 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알람부(12)는 카드(10) 타입으로 얇게 구성되는 다목적 카드(10)에 내입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상기 일반적인 스피커와 같이 보이스 코일이 움직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두꺼운 구조로 구성될 수 없고, 상기 일반적인 스피커와는 다르게 전류가 흐르는 패턴코일(12a)은 인쇄회로기판(1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자성체(12b)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필름(12c)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 또는 부저와 같은 소리를 발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성체(12b)는 패턴코일(12a)이 인쇄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5)의 상부와 진동필름(12c)의 하부 사이에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어, 패턴코일(12a)에 흐르는 전류 세기의 변화에 의하여 변화되는 패턴코일(12a)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움직이며 진동되어 다목적 카드(10)가 진동되거나 소리를 발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시킨다.
상기와 연관하여, 종래 통신 가능한 카드(10)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스피커는 주로 압전소자를 이용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종래의 스피커보다는 상당히 얇은 형태로 구성 가능하나, 형태 변형(굴곡)이 불가능하여 카드(10)와 같이 변형이 자주 발생하는 물건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쉽게 손상되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상기 구성의 알람부(12)는 종래 일반적인 스피커의 크기 문제 및 압전소자를 이용한 스피커의 형태 변형 불가능 문제를 극복하고, 두께가 얇은 상태의 카드(10)에 적절하게 구비된 상태로 진동 또는 소리를 발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알람부(12)가 패턴코일(12a), 자성체(12b) 및 진동필름(12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카드(10)에는 상기 진동필름(12c)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외부와 카드(10)의 내부를 통기시키는 통공(12d)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통공(12d)은 알람부(12)의 진동필름(12c)이 내입된 카드(10)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시키는 구성으로서, 진동필름(12c)의 진동 또는 진동에 의한 소리를 카드(1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통공(12d)은 진동필름(12c)의 상부(상부의 측방을 포함하는 개념임.)에 해당하는 카드(10)의 일정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진동필름(12c)의 진동 또는 진동에 의한 소리가 카드(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곧바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필름(12c)의 상부는 통공(12d)의 하부에 해당하는 카드(10) 내부 공간의 상부면과 최대한 밀접된 상태를 유지하여, 카드(10)의 외부를 통하여 통공(12d)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동필름(12c)의 상부면에는 점착성 물질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카드(10)의 내부 공간 상부면에 상기 코팅층이 점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공(12d)을 통하여 카드(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진동필름(12c)과 카드 내부 공간의 상부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카드(10)의 외부에는 상기 제어부(13)와 연결된 박막 형태의 스위칭 단자(1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상기 통신부(11)의 켜짐 및 꺼짐, 상기 알람부(12)의 켜짐 및 꺼짐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카드(10)의 외부 일측에 더 구비되는 IC칩(17)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 패드가 상기 스위칭 단자(16)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IC칩(17)과는 별도로 박막 형태의 스위칭 단자(16b)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다목적 카드(10)에는 스위칭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포함되는 스위칭 단자(16)는 다목적 카드(10)의 전기적인 구성품들의 전원 인가 여부를 조절시키는 구성으로서, 주되게는 통신부(11)의 켜짐 및 커짐, 알람부(12)의 켜짐 및 꺼짐을 조절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 단자(16)를 필수 구성으로 하고,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인쇄회로기판(15)에 실장되는 공지의 스위칭칩과 연결되어 전원 인가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카드(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통신부(11) 또는 알람부(12)가 켜지거나 꺼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카드(1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돌출되지 않고, 박막 상태로 카드(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만을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ⅴ) 다목적 카드(10)에 IC칩(17)이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IC칩(17)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 패드가 스위칭 단자(16, 이하, 스위칭 단자(16)가 IC칩(17)의 일부 패드의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스위칭 단자(16)의 도면부호는 ‘스위칭 단자(16a)’로 표시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IC칩(17)은 일반적으로 은행용 카드(10), 교통카드(10) 또는 신용카드(10) 등과 같은 일반적인 카드(10)에 구비되어, 카드(10)가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카드(10) 단말기와 연동되어 IC칩(17)에 저장된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보편적으로 IC칩(17)은 복수 개의 패드가 집합되어 사각형의 외주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의 패드는 정보 입출력을 위한 통신단자로 사용되고, 나머지 패드는 여분으로 남겨진 상태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 IC칩(17)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 패드를 스위칭 단자(16a)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칭 단자(16a)는 정전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정전식의 스위칭 단자(16a) 또는 손가락의 수분으로 전류를 통전시켜 작동하는 수분감지식의 스위칭 단자(16a)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ⅵ) 상기 IC칩(17)과는 별도로 박막 형태의 스위칭 단자(16b)가 카드(10)의 외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스위칭 단자(16b)가 IC칩(17)과는 무관하게 카드(1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 단자(16b)는 정전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정전식의 스위칭 단자(16b) 또는 손가락의 수분으로 전류를 통전시켜 작동하는 수분감지식의 스위칭 단자(16b)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카드(10)에는 상기 스위치부와 연동되어 통신부(11)의 켜짐 및 꺼짐, 알람부(12)의 껴짐 및 꺼짐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이 발광 가능한 램프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램프는 제어부(13)와 연결되어 스위치 단자의 켜짐 및 꺼짐을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거나 점멸하는 방식으로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14)는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드(10)의 외부에는 상기 배터리부(14)에 포함된 박막 형태의 충전단자(18)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전단자(18)는 카드(10)의 외부 일측에 더 구비되는 IC칩(17)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 패드가 상기 충전단자(18)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IC칩(17)과는 별도로 박막 형태의 충전단자(18b)가 카드(10)의 외부에 더 구비되어 상기 충전단자(18)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부(14)에 포함된 배터리는 다목적 카드(10)에 포함된 모든 전기적인 구성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고, 상기 충전단자(18)는 배터리부(14)의 일구성으로써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전달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충전단자(18)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카드(10)의 외부에 돌기 형태로 돌출되지 않고, 박막 상태로 카드(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만을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충전단자(18)는 ⅶ) 다목적 카드(10)에 IC칩(17)이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IC칩(17)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인 한 쌍의 패드가 상기 충전단자(18, 이하, 충전단자(18)가 IC칩(17)의 일부 패드의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충전단자(18)의 도면부호는 ‘충전단자(18a)’로 표시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단자(18a) 역할을 하는 한 쌍의 패드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충전단자(18)는 ⅷ) IC칩(17)과는 별도로 박막 형태의 충전단자(18b)가 카드(10)의 외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충전단자(18b)가 IC칩(17)과는 무관하게 카드(1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단자(18b)는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박막 형태로 만들어진 후 카드(10)의 외부면 일정부분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장치의 충전커넥터(23)의 충전단자(18)가 카드(10)의 상기 충전단자(18b)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카드(10)는 다목적 카드(10)가 위치한 환경의 온도, 습도, 공기오염 상태, 빛의 상태, 자기장의 상태 또는 압력 상태 등을 센싱할 수 있는 각종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종의 센서는 다목적 카드(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센싱부분이 노출되고, 센서에서 생성된 센싱정보가 상기 제어부(13)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목적 카드(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목적 카드(10)는 일부분에 센싱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싱홈의 내부에 해당하는 카드(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센서, 광센서, 자기센서 또는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가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센싱정보는 제어부(13)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카드(10)의 내부에 내입된 인쇄회로기판(15)에 실장되는 형태로 카드(10)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감지센서의 센싱부는 상기 센싱홈을 통하여 카드(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센싱정보는 제어부(13)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센싱정보를 그대로 통신부(11)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센싱정보에 의한 환경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제어부(13)로 전달된 센싱정보는 카드(10)에 더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저장된 환경 감지정보들(환경의 온도, 습도, 공기오염 상태, 빛의 상태, 자기장의 상태 또는 압력 상태에 대한 기준치 정보)과 매칭된 이후, 환경 상태가 환경 감지정보에서 제시된 기준 환경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어부(13)에서 생성된 경고 정보가 상기 알람부(12)에 전달되어, 알람부(12)의 진동 또는 소리로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다목적 카드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카드 충전장치를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14)가 구비된 카드(1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된 카드(10) 형태의 케이싱(20) 및; 상기 케이싱(20)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위치되고 상기 카드(10)의 배터리부(14)에 포함된 충전단자(18)와 접속되는 제2충전단자(22)를 구비하는 충전커넥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충전장치에 의하여 충전되는 이하의 카드(10)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다목적 카드(10)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20)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14)가 구비된 카드(1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된 카드(10) 형태의 구성으로서, 카드(10)를 지지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케이싱(20)은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사출되어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재질의 원단 또는 가죽 재질의 원단으로 만들어져 일정의 유연성을 가지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는 카드(10)가 내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20a)의 상부 또는 측부는 카드(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구(20b)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케이싱(20)은 상기 삽입구(20b)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모두 막힌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케이싱(20)의 전면부의 일부분은 열린 상태를 가지거나 투명한 재질의 투시창(20c)이 형성되어 카드(10)가 신분증 또는 사원증 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신분을 확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20)은 카드(10)보다는 더 큰 형태를 가지지만 두께가 얇은 목걸이형 케이싱 또는 지갑형 케이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케이싱(20)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는 목걸이 또는 고리가 걸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커넥터(23)는 상기 케이싱(20)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위치되고 상기 카드(10)의 배터리부(14)에 포함된 충전단자(18)와 접속되는 제2충전단자(2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케이블의 단자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카드(10)의 충전단자(18)와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충전케넥터는 카드(10)가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드(10)에 구비된 충전단자(18)와 대응되는 일정부분에 제2충전단자(22)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의 단자가 꽂아지는 전원입력단자(23a)는 케이싱(2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충전단자(22)는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 일정부분에 위치되는 상태를 가지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 일정부분(이하, 내부공간(20a)의 하부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에는, 카드(10)의 하부 일부분이 내입될 수 있는 카드삽입홈(29a)이 형성되고, 외측 부분은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 하부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는 카드홀더(29)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충전단자(22)는 상기 카드삽입홈(29a)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구성의 카드 충전장치가 휴대가능하도록 목걸이형 케이싱 또는 지갑형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경우,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삽입된 카드(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서 움직일 수 있고, 이때, 카드(10)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카드(10)의 충전단자(18)와 케이싱(20)의 충전단자(22)는 접속이 해제되어, 충전이 중단될 수 있는 우려가 있는데, 상기 카드홀더(29)는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삽입된 카드(10)의 하부 일부분을 견고하게 파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카드(10)의 충전단자(18)와 충전커넥터(23)의 충전단자(22)의 접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특히, 상기 카드홀더(29)는 케이싱(20)이 합성수지 재질의 원단 또는 가죽 재질의 원단으로 만들어진 경우에 케이싱(20) 내부공간(20a)에 카드(10)를 견고한 상태로 유지시키며 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드홀더(29)에 형성된 카드삽입홈(29a)은 카드(10)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카드삽입홈(29a)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견고히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카드(10)의 전면부(또는 후면부)에 구비된 충전단자(18)와 카드삽입홈(29a)의 전면부(또는 후면부)에 구비된 충전단자(22)가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성의 카드삽입홈(29a)에 구비되는 충전단자(22)는 카드삽입홈(29a)의 전면부, 바닥부 및 후면부를 아우를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구성되어, 카드(10)의 전면부가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의 어떠한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삽입되더라도 카드(10) 하부의 전면부(또는 후면부)에 형성된 충전단자(18)가 케이싱(20)에 구비된 충전단자(18)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카드홀더(29)에 형성된 카드삽입홈(29a)은 상기와 같이 전면부와 후면부만이 카드(10) 하부의 일부분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양쪽 측면부도 가로막힌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카드삽입홈(29a)에 하부 일부분이 삽입된 카드(10)가 측방으로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카드(10)의 충전단자(18)와 케이싱(20)의 충전단자(18) 간의 접속이 카드(10)의 측방 움직임에 의해서도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0)은 디스플레이부(24); 상기 디스플레이부(24)에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중앙처리부(25) 및; 상기 중앙처리부(25)와 연결된 통신단자(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드(10)에는 카드(10)에 포함되는 제어부(13)와 연결되는 통신단자(19)가 카드(10)의 외부에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20)의 통신단자(26)와 카드(10)의 통신단자(19)는 서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케이싱(20)은 사용자가 카드(10)의 통신상태, 충전상태 또는 알람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24)가 더 구비되고, 카드(10)의 정보(통신상태, 충전상태 또는 알람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4)에 구현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20)과 카드(10)에는 통신단자(19, 26)가 각각 구비되는 구성을 하며, 케이싱(20)에는 카드(10)에서 전달받은 카드 정보를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중앙처리부(25)가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엘이디 또는 엘씨디 등과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케이싱(2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4)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e-paper’라 알려진 전자종이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부(25)는 카드(10)에서 전달받은 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4)에서 구현시키기 위한 처리부로써 상기 카드(10)에 포함된 제어부(13)와 같이 마이콤(Micom)과 같은 단일의 반도체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저항 캐피시터,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과 같은 복수의 소자 간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카드(10)에 더 구비되는 통신단자(19)는 카드(10)의 제어부(13)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카드(10) 간의 통신상태,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알람의 작동여부와 알람의 작동기록 등과 같은 알람상태 등의 카드 정보를 카드(1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케이싱(20)에 구비되는 통신단자(26)는 상기 카드(10)의 통신단자(19)와 접속되어 상기 카드 정보를 중앙처리부(25)로 전달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카드(10)의 통신단자(19)는 카드(10)의 충전단자(18)와 인접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20)의 통신단자(26)는 케이싱(20)의 충전단자(22)와 인접 배치되어, 카드(10)가 케이싱(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드(10) 배터리의 충전과 통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0)에 카드삽입홈(29a)이 형성된 카드홀더(29)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케이싱(20)의 통신단자(26)는 상기 카드삽입홈(29a)의 일정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통신단자(26)는 카드삽입홈(29a)의 전면부, 바닥부 및 후면부를 아우를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구성되어, 카드(10)의 전면부가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의 어떠한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삽입되더라도 카드(10) 하부의 전면부(또는 후면부)에 형성된 통신단자(19)가 케이싱(20)에 구비된 통신단자(26)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20)은 제2배터리부(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배터리부(27)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가능하며, 상기 제2충전단자(22)와 연결되어 상기 카드(10)의 배터리부(14)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배터리부(27)는 케이싱(20)에 삽입된 카드(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케이싱(20)이 자체적으로 일정량의 외부 전원을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전원의 연결없이도 케이싱(20)에 삽입된 카드(10)의 배터리를 제2배터리부(27)의 제2배터리로써 충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배터리부(27)는 케이싱(20)에 구비된 상기 제2충전단자(22)와 충전커넥터(23)의 전원입력단자(23a)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케이블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고,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카드(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배터리부(27)에는 제2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전원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자동 차단시킬 수 있는 과충전 방지모듈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과충전 방지모듈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터리부(27)에 포함된 제2배터리의 충전상태는 상기 중앙처리부(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4)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싱(20)은 상기 제2충전단자(22)와 연결되는 발전부(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부(28)는 외부 전원의 공급없이 케이싱(20)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발전하고, 발전된 전원을 카드(10)의 배터리 또는 케이싱(20)의 제2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케이싱(20)을 소지한 채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발전용 코일(28b), 발전용 자성체(28d)가 구비된 회전판(28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전용 자성체(28d)는 일정의 자기장을 계속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회전판(28c)은 케이싱(20)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의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발전용 자성체(28d)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변화시켜, 발전용 자성체(28d)에 의하여 형성된 자력선이 계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전용 코일(28b)은 발전용 자성체(28d)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생성된 유도기전력으로써 전원을 생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제2충전단자(22)와 연결되는 발전부(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전부(28)는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판상의 지지판(28a)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호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을 각각 감겨진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 및; 상기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과 대응 가능한 복수 개의 발전용 자성체(28d)가 호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가능한 판상의 회전판(28c);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28a)은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을 케이싱(20)에 지지시키는 구성으로서, 케이싱(20)의 후방부 또는 전방부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케이싱(20)의 내부라 함은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의 후방부 또는 전방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은 상기 지지판(28a)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호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감겨지는 구성으로서, 발전용 자성체(28d)의 자력선에 변화에 따른 유도기전력을 생성시켜 전원을 생산하는 구성으로서,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코일이 감겨져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발전용 코일(28b)에 감겨지는 코일의 감김 횟수는 생산되는 전원의 양과 비례할 수 있고, 당업자는 발전용 코일(28b)의 감김 횟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의 양단 각각은 케이싱(20)에 구비된 상기 제2충전단자(22)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케이싱(20)에 제2배터리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배터리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20)에 상기 충전커넥터(23)에 포함될 수 있는 전압조절칩, 전류조절칩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품들을 실장시키는 인쇄회로기판(21)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1)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판(28a)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판(28c)은 상기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과 대응 가능한 복수 개의 발전용 자성체(28d)가 호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가능한 판상의 구성으로서, 상기 발전용 코일(28b)에 유도기전력을 생성시키는 영구자석과 같은 발전용 자성체(28d)를 지지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회전판(28c)은 상기 지지판(28a)의 어느 한 지점에 해당하는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판(28c)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발전용 자성체(28d)가 지지판(28a)에 감긴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에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자력선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28c)은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일정의 회전반경을 이루며 회전할 수 있되, 케이싱(20)의 일부분 또는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삽입된 카드(10)의 일부분과는 간섭되지 않아, 회전판(28c)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판(28c)과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에 체결부분(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상태)에는 텐션스프링(28g)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케이싱(20)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텐션스프링(28g)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회전판(28c)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일정의 경사를 가진 상태로 유지되고, 케이싱(20)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경사진 상태에서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지지판(28a)의 일정부분은 어느 한 지점(중심점(28e))을 기준하여 일정의 호형태로 파여진 형태로 구성되어 회전판 내입홈(28f)이 형성되고, 상기 호형태로 파여진 회전판 내입홈(28f)에는 회전판(28c)이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 내입홈(28f)은 상기 회전판(28c)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28c)이 회전판 내입홈(28f) 내에서 원형을 이루며 회전되거나, 호형태의 일정의 반경을 이루며 왕복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성의 회전판(28c)은 지지판(28a)의 어느 한 지점에 해당하는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케이싱(20)의 움직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이때, 회전판(28c)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발전용 자성체(28d)는 지지판(28a)에 감겨진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과 인접된 상태로 왕복 회전 이동하며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자력선을 형성시키며,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은 상기 자력선의 영향을 받아 유도기전력이 생성되어 전원을 생산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지지판(28a)의 적절한 부분에 위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은 회전판(28c)의 측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회전판(28c)의 측부 일부분은 상기 지지판(28a)이 중심점(28e)에 텐션스프링(28g)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회전판(28c)이 기울어진 상태임.), 중심점(28e)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회전판(28c)의 회전 중심이 회전판(28c)의 측부에 형성된 상태로 회전판(28c)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케이싱(20)을 목걸이형으로 소지하거나 주머니에 넣에 소지한 상태에서 회전판(28c)이 텐션스프링(28c)의 탄성력과 중력을 받으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발전부(28)에 의한 발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케이싱(20)에는 카드(10)에 구비된 통신부(11)와 별도로 다른 통신부재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드(10)에 구비된 통신부(11)가 비엘이(BLE) 통신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비엘이 통신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의 주파수보다 더 짧은 통신반경을 가지는데, 카드(10)에 와이파이 통신칩이 구비되면 통신을 위한 전원의 사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카드(10)의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카드(10)에 구비된 배터리부(14)보다 더 큰 전원 용량을 가질 수 있는 케이싱(20)의 제2배터리부(27)의 대용량 전원을 와이파이 통신칩과 같은 통신부재에 공급 가능하여, 카드(10)의 통신반경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20)에 구비되는 통신부재는 카드(10)에 구비되는 통신부(11)보다 더 긴 통신반경을 가지는 통신 방식의 것으로 구성되고, 카드(10)가 케이싱(2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드(10)에 구비된 통신단자(19)와 케이싱(20)에 구비된 통신단자(26)가 서로 연통되어, 카드(10)의 통신이 케이싱(20)의 통신부재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케이싱(20)에는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카드(10)의 위치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카드 11 : 통신부
12 : 알람부 12a : 패턴코일
12b : 자성체 12c : 진동필름
12d : 통공 13 : 제어부
14 : 배터리부 15 : 인쇄회로기판
16 : 스위칭 단자 16a : 스위칭 단자
16b : 스위칭 단자 17 : IC칩
18 : 충전단자 18a : 충전단자
18b : 충전단자 19 : 통신단자
20 : 케이싱 20a : 내부공간
20b : 삽입구 20c : 투시창
21 : 인쇄회로기판 22 : 충전단자
23 : 충전커넥터 23a : 전원입력단자
24 : 디스플레이부 25 : 중앙처리부
26 : 통신단자 27 : 제2배터리부
28 : 발전부 28a : 지지판
28b : 발전용 코일 28c : 회전판
28d : 발전용 자성체 28e : 중심점
28f : 회전판 내입홈 28g : 텐션스프링
29 : 카드홀더 29a : 카드삽입홀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통신 가능한 카드에 있어서,
    상기 카드(10)는,
    통신칩을 구비하는 통신부(11); 진동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람을 구현시키는 알람부(12); 상기 통신부(11)와 알람부(12)를 연결시키는 제어부(13) 및; 상기 통신부(11), 알람부(12) 및 제어부(1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알람부(12)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부(11) 간의 통신 불능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신부(11)로 전달되는 알람신호에 의하여 진동 또는 버저(buzz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람이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알람부(12)는,
    상기 카드(10)의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5)에 인쇄되어 형성된 패턴코일(12a); 상기 패턴코일(12a)의 상부에 배치되고, 플랙시블한 재질을 가지는 자성체(12b) 및; 상기 패턴코일(12a) 및 자성체(12b)를 감싸며 하부의 테두리가 상기 패턴코일(12a)의 외측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15)에 결착되는 진동필름(12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성체(12b)는 패턴코일(12a)이 인쇄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5)의 상부와 상기 진동필름(12c)의 하부 사이에 접착되지 않아 움직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드(10)에는,
    상기 진동필름(12c)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외부와 카드(10)의 내부를 통기시키는 통공(12d)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동필름(12c)의 상부면에는 점착성 물질이 코팅된 코팅층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통공(12d)의 하부에 해당하는 카드(10) 내부 공간의 상부면에 점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0)의 외부에는,
    상기 제어부(13)와 연결된 박막 형태의 스위칭 단자(1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상기 통신부(11)의 켜짐 및 꺼짐, 상기 알람부(12)의 켜짐 및 꺼짐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단자(16)는,
    상기 카드(10)의 외부 일측에 더 구비되는 IC칩(17)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 패드가 상기 스위칭 단자(16)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IC칩(17)과는 별도로 박막 형태의 스위칭 단자(16b)가 카드(10)의 외부에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14)는,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드(10)의 외부에는 상기 배터리부(14)에 포함된 박막 형태의 충전단자(18)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전단자(18)는,
    상기 카드(10)의 외부 일측에 더 구비되는 IC칩(17)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드 중 일부 패드가 상기 충전단자(18)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IC칩(17)과는 별도로 박막 형태의 충전단자(18b)가 카드(10)의 외부에 더 구비되어 상기 충전단자(18)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6.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14)가 구비된 카드(1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된 카드(10) 형태의 케이싱(20) 및; 상기 케이싱(20)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케이싱(20)의 내부공간(20a)에 위치되고 상기 카드(10)의 배터리부(14)에 포함된 충전단자(18)와 접속되는 제2충전단자(22)를 구비하는 충전커넥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20)은,
    제2배터리부(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배터리부(27)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가능하며, 상기 제2충전단자(22)와 연결되어 상기 카드(10)의 배터리부(14)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20)은,
    상기 제2충전단자(22)와 연결되는 발전부(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전부(28)는,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판상의 지지판(28a)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호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을 각각 감겨진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 및;
    상기 복수 개의 발전용 코일(28b)과 대응 가능한 복수 개의 발전용 자성체(28d)가 호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가능한 판상의 회전판(28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판(28c)과 지지판(28a)의 중심점(28e)에 체결부분에는 텐션스프링(28g)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28c)은,
    상기 케이싱(20)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텐션스프링(28g)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회전판(28c)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진 상태로 유지되고, 케이싱(20)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경사를 가진 상태에서 중심점(28e)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은,
    디스플레이부(24);
    상기 디스플레이부(24)에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중앙처리부(25) 및;
    상기 중앙처리부(25)와 연결된 통신단자(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드(10)에는 카드(10)에 포함되는 제어부(13)와 연결되는 통신단자(19)가 카드(10)의 외부에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20)의 통신단자(26)와 카드(10)의 통신단자(19)는 서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충전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70175867A 2017-12-20 2017-12-20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KR10186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67A KR101862666B1 (ko) 2017-12-20 2017-12-20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67A KR101862666B1 (ko) 2017-12-20 2017-12-20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666B1 true KR101862666B1 (ko) 2018-07-04

Family

ID=6291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867A KR101862666B1 (ko) 2017-12-20 2017-12-20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44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스마트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238A (ja) * 2003-11-17 2005-06-09 Tdk Corp Icカード用充電装置及びパスケース
JP2014016932A (ja) * 2012-07-11 2014-01-30 Bridgestone Corp カードケース
KR101773395B1 (ko) * 2016-02-29 2017-08-31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드 타입 소지품 분실 방지 경보카드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238A (ja) * 2003-11-17 2005-06-09 Tdk Corp Icカード用充電装置及びパスケース
JP2014016932A (ja) * 2012-07-11 2014-01-30 Bridgestone Corp カードケース
KR101773395B1 (ko) * 2016-02-29 2017-08-31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드 타입 소지품 분실 방지 경보카드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44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스마트카드
KR20210156819A (ko) 2020-06-12 2021-12-27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스마트카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4623B2 (en) Distributed charging of mobile devices
US11121580B2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10044229B2 (en) Efficiencies and flexibilities in inductive charging
KR101385706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용 수신기
US9819214B2 (en) Wireless charger for mobile terminal
KR101250267B1 (ko) 차량용 무접점충전기
US11601017B2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2013024457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N107949974A (zh) 适合给可佩戴电子装置充电的无线电力系统及方法
KR101929765B1 (ko)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JP6661829B2 (ja) 無線充電機能を備えるクレードル装置
EP30903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evices
JP2008171403A (ja) 無線出力センサ、近接センサ、加工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30079064A (ko) 근거리통신 주파수의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발광장치, 발광장치가 내장된 스마트폰, 발광장치가 내장된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
KR101862666B1 (ko) 다목적 카드 및 카드 충전장치
KR20200017883A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399760A1 (en) Distributed charging of mobile devices optionally with different energy storage capabilities
KR20140066010A (ko) 차량용 무접점충전기
US20190237985A1 (en) Wireless charging and docking syste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610678B1 (ko) 정보 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KR101001719B1 (ko) 커플 액세서리
CN209046889U (zh) 基于ZigBee的家用智能标签及智能寻物装置
US10936526B1 (en) Intelligent sensor suite(s) for portable personal containers
JP3145965U (ja) セキュリティカード
CN209712577U (zh) 一种功能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