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819Y1 -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 Google Patents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819Y1
KR200442819Y1 KR2020080007387U KR20080007387U KR200442819Y1 KR 200442819 Y1 KR200442819 Y1 KR 200442819Y1 KR 2020080007387 U KR2020080007387 U KR 2020080007387U KR 20080007387 U KR20080007387 U KR 20080007387U KR 200442819 Y1 KR200442819 Y1 KR 200442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
module
casing
identification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계점
Original Assignee
송계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계점 filed Critical 송계점
Priority to KR2020080007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출력장치로서 회로적 및 물리적 상호 교합 또는 분리 가능한 케이싱구조를 갖는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제공하되, 개별 작동과 합체 작동시에도 음향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합체시 모듈간 아이디(ID) 식별을 통해 모듈간 커플임을 표출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발생시켜 커플 액세서리 및 음향기기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폰플러그(111, 211)와 드라이버유닛(113, 213)을 모듈별로 각각 구비한 것으로서, 일측 폰플러그(111)와 일측 드라이버유닛(113)의 사이에 접속된 제1내부회로(C1)를 제1케이싱(110)에 탑재한 제1모듈(100)과, 제1내부회로(C1)와 같은 형식의 구성품을 갖는 제2내부회로(C2)를 제2케이싱(210)에 탑재한 제2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110)과 상기 제2케이싱(210)이 경계면(119, 219)을 기준으로 분리 또는 합체되어 커플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교합 형상을 갖다.
제1모듈, 제2모듈, 제1케이싱, 제2케이싱, 제1컨트롤러, 제2컨트롤러

Description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COUPLE EARPHONE USING MICROCHIP IDENTIFICATION}
본 고안은 아이디(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마이크로칩 형식의 해당 컨트롤러 내에 미리 기록 저장된 ID코드를 상호 인식하고, 두 쌍의 드라이버유닛의 병렬 접속에도 불구하고 음향 품질을 유지하는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음원에 해당하는 각종 음향재생장치(예 : CD플레이어, MP3플레이어 등)의 출력단에 설치된 폰잭에 삽입 연결하여 사용하는 폰플러그와, 전달되어 오는 음향신호에 대응하게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마그넷, 코일, 진동판, 요크 등을 구비한 드라이버유닛과, 폰플러그와 드라이버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이어폰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진동판의 기술, 재질에 따라 음질 수준이 큰 차이를 나타내고, 병렬 접속용 Y형 젠더를 이용하여 이어폰간 병렬 접속시 음질 저하가 있을 정도로 민감하며 착용감에서도 노하우가 필요하다.
이어폰은 귀걸이형(Clip Type)과 커널형으로 분류하며, 최근에는 블루투스 기능이 강화된 귀걸이형 헤드셋, 노이지캔슬링 헤드폰 및 이어폰이 출시되는 등 프리미엄제품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목걸이형 커플 이어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3079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각각의 이어폰(12) 및 이어폰줄(14)을 릴타입으로 본체(20) 내에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폰(12)은 두 쌍으로 구비되어서 목걸이(10)의 보관홀더(80)를 이용하여 보관되고, 음악 청취시에는 커플 모두가 스테레오 사운드 청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목걸이형 커플 이어폰은 해당 이어폰줄(14)을 각각 감아 보관하거나 풀어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스프링, 보빈, 및 수납실을 본체(20)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 구비하고 있다. 본체(20)에 표출된 각각의 버튼(70)을 조작하여 이어폰줄(14)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본체(20) 내부에 수납된다.
본체(10)는 상부캡(50)과 하부캡(52)을 포함하며, 상부캡(50)의 정면에는 투명창(92)을 구비하여, 사진이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목걸이형 커플 이어폰은 해당 이어폰을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의 부재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개별 사용과 합체 사용이 불가능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목걸이형 커플 이어폰은 소형 휴대 음향재생장치에 접속될 폰플러그의 케이블로부터 병렬 접속된 4회선의 이어폰줄과 두 쌍의 이어폰을 갖고 있음에 따라, 일반형 이어폰의 음질에 최적화된 소형 휴대 음향재생장치에 접속될 경우 음질 저하가 불가피하고, 파워 있고 깨끗한 음질의 재생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목걸이형 커플 이어폰은 단순히 사진 등을 개재시킬 정도의 구성만을 제공함에 따라, 커플 액세서리로서의 재미 요소가 매우 빈약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향출력장치로서 회로적 및 물리적 상호 교합 또는 분리 가능한 케이싱구조를 갖는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제공하되, 개별 작동과 합체 작동시에도 음향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합체시 모듈간 아이디(ID) 식별을 통해 모듈간 커플임을 표출하는 이벤트를 발생시켜 커플 액세서리 및 음향기기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을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폰플러그와 드라이버유닛을 모듈별로 각각 구비한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에 있어서, 일측 폰플러그와 일측 드라이버유닛의 사이에 접속된 제1내부회로를 제1케이싱에 탑재한 제1모듈과; 상기 제1내부회로와 같은 형식의 구성품을 갖는 제2내부회로를 제2케이싱에 탑재한 제2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경계면을 기준으로 분리 또는 합체되어 커플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교합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내부회로와 상기 제2내부회로는 모듈의 분리시 각각 음향을 출력하는 개별 작동, 모듈의 합체시 동시에 음향을 출력하는 합체 작동, 인증 신호의 식별에 따라 커플임을 확인하고 이벤트를 표출하는 ID 식별 작동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내부회로를 각각의 모듈에 탑재하고 있음에 따라, 모듈의 개별 또는 합체 상태에 대응하게 음향신호의 사용 회선을 선택하여 음향 품질을 보장하고, 소형 휴대 음향재생장치에 접속되더라도 최적의 음향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회로적 및 물리적 상호 교합 또는 독립적으로 분리 및 개별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음에 따라, 모듈간 합체시 커플 이어폰구조가 되고, 모듈간 분리시 개별 이어폰구조가 되어서, 이동, 관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각각의 내부회로 상에 마이크로칩 형식의 컨트롤러 및 ID코드를 탑재하되, 컨트롤러에 접속된 이벤트발생부를 통해 모듈간 합체시 커플임을 표출하는 이벤트(예 : LED 발광 또는 점멸, LCD 표시, 음향 발생, 진동 발생 등)를 발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무반응이나 더욱 적극적으로 커플이 아님을 표출하는 다른 이벤트를 발현시켜서, 커플 액세서리 및 음향기기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각각의 모듈의 케이싱 내부에 케이블 권취 릴장치를 구비하여, 케이블 수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내부회로를 각각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폰플러그의 구별 없이 소형 휴대 음향재생장치에 접속하여 사용할 때, 커플 모두가 동시에 스테레오 음악 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양분 가능하거나 상호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케이싱을 커플로 구비함에 따라, 다양한 커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모듈간 합체시, 경계면을 포함한 케이싱 표면에, 디자인적으로 완성되는 커플형 도안 또는 커플형 이벤트 발현부위를 형성하여서, 케이싱 외형상 분리 또는 교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커플형 도안 또는 이벤트 발현부위에 의해 커플간 차이점을 표출하여 커플 제품으로서 다양화를 연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외형적으로 케이싱, 커플형 도안, 이벤트 발현부위가 모두 동일하더라도, 내부회로의 컨트롤러 및 ID코드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현부위에서 어떠한 이벤트 현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발생되지 않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으로서 그의 제1, 제2모듈이 합체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모듈이 분리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제2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모듈의 제1내부회로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2모듈의 제2내부회로를 보인 블록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제2모듈 합체시 회로적 및 물리적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제2모듈 합체시 ID 식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은 일측의 제1모듈(100)과 타측의 제2모듈(200)을 포함한다.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은 한 쌍을 이루도록 임시 교합 및 합체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모듈 분리가 가능한 케이싱구조를 갖는다.
즉, 제1모듈(100)은 그의 커플 상대인 제2모듈(200)에 대해서 회로적, 물리적 또는 형상적으로 합체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교합 방식 또는 끼워 맞춤 방식으로 형성된 제1케이싱(110)을 갖는다.
역시, 제2모듈(200)도 제1모듈(100)에 대응하여 교합 방식 또는 끼워 맞춤 방식으로 형성된 제2케이싱(210)을 갖는다.
각각의 제1, 제2모듈(100, 200)은 각각 폰플러그(111, 211), 케이블, 스테레오 타입의 드라이브유닛(113, 213)을 각각의 제1, 제2케이싱(110, 210)에서 케이블 권취 릴 방식으로 탑재하고 있다.
각각의 제1, 제2모듈(100, 200)은 그의 합체 사용시 디자인적으로 완성되는 커플형 도안 또는 커플형 이벤트 발현부위(E)를 제1, 제2케이싱(110, 210)간 마주 보는 측면과 같은 경계면(119, 219)을 포함한 케이싱 표면에 형성하고 있다.
커플형 이벤트 발현부위(E)는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이벤트발생부(190, 290)의 조합 또는 교합으로서 대응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발생부(190, 290)는 도 2에 도시된 커플형 이벤트 발현부위(E)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커플형 도안 또는 그에 준하거나, 또는 하기에 설명할 교합 형상 또는 끼워 맞춤 형상에 대응하게 제작되어 있고, 좌우 교합 또는 상하 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벤트발생부(190, 290)는 하기의 제1, 제2내부회로(C1, C2)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출원 시점을 기준으로 현존하는 범위 내에서, 커플로서 재미있고 커플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모든 표현 수단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발생부(190, 290)는 LED 발광 또는 점등, LCD 표시, 음향 발생, 진동 발생 등을 전자회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단 또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구적으로 제1, 제2모듈(100, 200)은 폰플러그(111, 211)쪽 케이블과 드라이브유닛(113, 213)쪽 케이블의 권취를 위한 통상적인 해당 케이블 권취 릴장치(112, 114, 212, 214)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케이블 권취 릴장치(112, 114, 212, 214)는 각각 작동 버튼(112a, 114a, 212a, 214a)을 구비하고 있고, 이를 통해서 릴장치 내부의 래치(latch) 및 보빈(bobbin)의 작동을 단속하고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의 작용을 제어하여, 결국 사용자의 힘에 의해 케이블이 풀리거나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해당 케이블을 감도록 되어 있다.
제1, 제2모듈(100, 200)의 제1, 제2케이싱(110, 210) 일측에는 폰플러그(111, 211) 및 해당 케이블이 완전히 들어가 안치되는 안착홈(101, 2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모듈(100, 200)의 제1, 제2케이싱(110, 210) 일부분 위치에는 액세서리용 줄, 목걸이용 줄, 밴드, 스트랩, 띠, 끈 등과 같은 휴대기구(102a, 202a)가 결합되는 결합구멍(103, 2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모듈(100, 200)의 제1, 제2케이싱(110, 210) 타측에는 각 쌍의 드라이버유닛(113, 213)이 임시 거치 또는 안치될 수 있는 유닛홀더(104, 204)가 외형적으로 돌출되거나 내형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닛홀더(104, 204)는 당업계의 양식(trend)에 대응하면서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서 클립형이나, 삽입 안착형, 걸쇠 또는 걸게형, 자석부착형, 주머니 수납형 등으로 제작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케이싱(110, 210)은 태극무늬, 하트 형상, 블록, 좌우 대칭 무늬를 갖는 곤충, 캐릭터 등과 같이, 경계면(119, 219)을 기준으로 분리 또는 합체되어 커플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교합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케이싱(110, 210)은 링 형상과 링 내부에 삽입될 형상, 십자가와 십자가 끼움 틀 형상, 열쇠와 열쇠 끼움 틀 형상 등과 같이, 역시 분리 또는 합체되어 커플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끼워 맞춤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합 형상 또는 상기 끼워 맞춤 형상은 다양한 커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도 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설명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응용예가 더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런 제1, 제2케이싱(110, 210)은 커버와 본체, 내지 상부와 하부 등과 같이, 주지의 분해 조립되게 설계된 후, 사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있으며,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제1, 제2내부회로(C1, C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1, 제2내부회로(C1, C2)는 제1, 제2모듈(100, 200)이 소형 휴대 스테레오 음향출력장치로서 기본적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별 사용 기능과, 합체 사용시에도 음향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음향 보상 또는 사운드 증폭 기능과, 합체시 모듈간 아이디(ID) 식별을 통해 모듈간 커플임을 입증하는 이벤트 발생과 같은 부가 기능을 구현하도록 전기, 전자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100)과 제2모듈 각각의 표면에는 제1, 제2내부회로에 각각 사용될 전원용 1회형 또는 충전형 배터리를 탑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배터리커버(181)가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모듈(100)과 제2모듈 각각의 표면에는 소형 단말용 통신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183)가 더 형성되어 있다. 포트(183)는 통신과 전원 충전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이 본 고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모듈(100)과 제2모듈 각각의 저면에는 휴대 기구에 일종인 집게형 클립과 같은 다른 휴대기구(10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휴대기구(102b)를 통해서 암밴드, 가방, 벨트, 셔츠 포켓 등에서 편리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통해서, 개별 작동, 합체 작동, ID 식별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회로(C1)는 제1모듈(100)용 제1케이싱(110)에 탑재된 것이다.
해당 폰플러그(111)는 안착홈(101)에 삽입되거나 인출 가능한 것으로서, 입력측 케이블 권취 릴장치(112)에 권취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측 케이블을 갖는다. 입력측 케이블의 종단은 제1내부회로(C1)의 입력회선(118)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회선(118)에는 다이오드와 같은 역류방지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회선(118)은 복수 회선으로 분지되어서 제1선택스위치(120)와 모듈접촉단자조립체(130)의 도체단부(131)에 병렬로 접속된다.
모듈접촉단자조립체(130)는 양질의 사운드를 위하여 금 도금 판과 같은 도체단부(131)를 갖는다. 도체단부(131)를 사용하여 모듈간 전류 또는 음향 신호의 이동을 시도하고, 향후 합체될 제2모듈의 드라이버유닛까지의 물리적 거리를 단축하여 거리에 따른 음향 손실을 감소시킨다.
도체단부(131)는 제1케이싱(110)의 경계면(119)에서 일부 돌출 또는 함몰되어 있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케이싱(11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접촉단자조립체(130)는 도체단부(131)의 배면에 일측단을 결합하고 타측단을 스프링 지지기구(133)에 체결하여 탄성 지지함에 따라 경계면(119)을 기준으로 제1케이싱(110)에서 도체단부(131)를 유한한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플런저(132)를 갖는다. 또한, 모듈접촉단자조립체(130)는 플런저(132)에서 수직하게 연장 결합된 연장바(134)를 포함한다. 이때, 연장바(134)의 끝단은 제1선택스위치(120)에서 스위칭 작동을 일으키는 놉(knob)에 결합되어서, 상기 도체단부(131)의 슬라이딩 작동에 대응하게 회선 접속을 일측에서 타측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스위칭시킨다.
제1선택스위치(120)는 상기 모듈접촉단자조립체(130)의 연장바(134)와 결합된 놉의 스위칭 작동에 따라, 입력회선(118)을 개별 작동회선(136)과 합체 작동회선(138)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 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모듈(100)의 개별 작동 사용을 살펴보면, 제1모듈(100)의 제1선택스위치(120)는 입력회선(118)과 개별 작동회선(136)을 연결시켜 상호 통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음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해당 폰플러그(111) 및 입력측 케이블, 입력회선(118), 개별 작동회선(136), 출력측 다이오드(137), 출력측 케이블 권취 릴장치(114)의 출력측 케이블을 통해 드라이버유닛(113)에서 음향으로 출력된다.
앰프부(140)는 합체 작동시 음향 품질 보장을 위해 음향의 보상 또는 사운드 증폭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되고, 합체 작동회선(138) 상에 설치되어 있다.
앰프부(140)는 노이즈 필터를 내부에 더 구성하여 양질의 음향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앰프부(140)는 그의 작동전원을 위해 배터리(180)에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180)는 이벤트발생부(190)의 전원과 제1컨트롤러(170)의 전원 및 기 타 회로 전반에 걸쳐 필요한 전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1회용 또는 충전형 중 어느 하나의 형식을 갖는다.
만일 배터리(180)가 충전형 또는 회로 탑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내부회로(C1)의 배터리(180)와 포트(183) 사이에 충전부(18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182)는 포트(183)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전원을 회로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포트(183)는 하기에 언급된 제1컨트롤러(170)의 소형 단말용 통신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포트(183)의 사용을 위해서 해당 통신 규격의 통신케이블(도시 안됨) 또는 해당 통신 규격을 만족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컨트롤러(170)는 마이크로칩 형식의 특정용도 집적회로(예 : ASIC)로서, 그의 상세 회로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개의 메모리와 로직 회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고 있다.
제1컨트롤러(170)는 그의 일측의 메모리에 각종 소자들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예 : LCD를 통해 표시할 텍스트 또는 이미지(예 : 화상, 사진, 캐릭터, 아이콘 등) 정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음향 또는 음성 데이터 등을 미리 기록 저장하고 있거나, 별도의 USB 등과 같은 주지의 소형 단말용 통신회로(도시 안됨)를 더 장착할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 등을 업데이트 시킬 수 있도록 전자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컨트롤러(170)는 자신의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상기 정보, 데이터 등을 이벤트발생부(190)를 통해 재생, 표현할 수 있는 소자별 구동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컨트롤러(170)는 그의 타측의 메모리에 제1컨트롤러(170)를 식별하기 위한 ID코드(예 : 적어도 하나의 모듈식별자)를 미리 기록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컨트롤러(170)는 인증 신호의 상호 전송 및 인증 신호로부터 ID코드의 독취, 비교 체크 등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로직 회로와 기타 부가 기능을 위한 로직 회로를 구비한다.
제1컨트롤러(170)는 모듈 합체 후 ID 식별을 위한 전기적 통전에 대응하여 전달된 상대편 제2컨트롤러(도 6의 도면부호 270)로부터 전달된 인증 신호를 판독 및 인식하여 커플임을 확인하기 위한 ID 식별 작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듈 합체 후 ID 식별을 위해 인증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적 통전 또는 단전은 제1링크부(160) 및 상대편 제2링크부(도 6의 도면부호 2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링크부(160)는 상대편 제2링크부(260)에 대하여 소켓-잭 결합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소켓구멍(162) 내부에 단자를 구비하고, 그 단자가 제1컨트롤러(170)와 회로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링크부(26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제1링크부(160)와 전기적 통전 또는 단전이 이루어진다.
제1링크부(160) 또는 제2링크부(260) 중 어느 하나는 소켓구멍(162)의 입구 주위에 구멍을 덮고 있다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캡(161)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컨트롤러(170)는 ID 식별 작동 결과에 대응하게 이벤트발생부(1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스위치(171)와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이벤트발생부(190)는 LED소자, LCD소자, 스피커, 진동 모터 등과 같은 소자이다.
제1컨트롤러(170)는 그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모듈간의 ID코드의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단하여 커플 또는 커플 아님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컨트롤러(17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판단 결과, 커플일 경우 전자스위치(171)를 제어하여서 전자스위치(171)에 연결되고 배터리(180)를 이용하는 상기 소자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소자에서 표현 가능한 방식으로 동작 또는 이벤트의 발현이 이루어지게 한다. 반대로 커플이 아닌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소자에서 무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역으로 경고 등의 비호감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제2케이싱(110, 2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종 형상의 경계면(119, 219)을 기준으로 분리 또는 합체되어 커플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교합 형상 또는 끼워 맞춤 형상에 대응하게 상호 맞춰지는 요철면, 평면, 곡면, 절곡면 등을 갖는다.
이런 제1, 제2케이싱(110, 210)의 교합 상태는 네오듐 자석과 같이 소형이면 서 고자기력을 갖는 영구자석(151)을 이용한 것으로서 경계면(119, 129)을 기준으로 형성된 임시결속부(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거나, 삽입용 단턱 돌기 및 안착용 단턱 홈과 같이 물리적 탈착부(도시 안됨)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임시결속부(150)를 살피건데, 각각의 영구자석(151)은 경계면(119, 219)을 기준으로 상호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자기 차폐 재료를 이용하여 각 경계면(119, 219)을 제외한 타측면을 자기 실드층(152)으로 감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부회로(C2)는 제2모듈(200)용 제2케이싱(210)에 탑재된 것이다.
제2내부회로(C2)도 앞서 상세히 설명한 제1내부회로와 동일하거나 커플로서 대응되는 구성요소 및 작동 방법을 갖는다.
즉, 제2내부회로(C2)는 제1선택스위치 및 관련 구성과 동일 구조 및 작동 방식의 제2선택스위치(220) 및 모듈접촉단자조립체(230)를 갖는다.
제2선택스위치(220)도 역시 그의 입력회선(218)을 개별 작동회선(236)과 합체 작동회선(238)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 시킨다.
제2모듈(200)은 제1모듈(100)과 동일 또는 대응되는 작동을 위하여 같은 형식 또는 유사 내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품, 즉, 안착홈(201), 폰플러그(211), 입력측 케이블 권취 릴장치(212), 드라이버유닛(213), 출력측 케이블 권취 릴장치(214), 경계면(219), 모듈접촉단자조립체(230)의 체단부(231), 앰프부(240), 임시결속부(250), 제2링크부(260), 제2컨트롤러(270), 전자스위치(271), 배터리(280), 충전부(282), 포트(283), 이벤트발생부(290)를 구비한다.
특히, 제2링크부(260)는 앞서 설명한 제1링크부의 소켓구멍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단자(262)와, 그 슬라이딩단자(262)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2케이싱(210)에 설치된 소형의 측면손잡이(261)를 갖는다.
또한, 제2컨트롤러(270)도 인증 신호의 상호 전송 및 인증 신호로부터 ID코드의 독취, 비교 체크 등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로직 회로와 기타 부가 기능을 위한 로직 회로를 구비한다.
제2모듈(200)의 개별 작동도 제1모듈의 개별 작동과 동일하다. 즉, 제2모듈(200)의 제2선택스위치(220)는 입력회선과 개별 작동회선(236)을 연결시켜 상호 통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음원(31)으로부터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해당 폰플러그(211) 및 입력측 케이블, 입력회선(218), 개별 작동회선(236), 출력측 다이오드, 출력측 케이블 권취 릴장치(214)의 출력측 케이블을 통해 드라이버유닛(213)에서 음향으로 출력된다.
도 7을 통해서, 합체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입력측 케이블 권취 릴장치(212)의 작동 버튼을 조작하여 케이블을 감아, 해당 폰플러그(211)로 하여금 안착홈(201)에 안착되게 한다.
그 대신 사용자는 다른쪽 폰플러그(111)를 음원(30)에 연결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서 제1, 제2케이싱(110, 210)간 경계면(119, 219)이 상호 교합 또는 맞춤 되도록,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은 합체된다.
이때, 고자기력의 임시결속부(150, 260)간 인력에 의해서 제1모듈(100)과 제 2모듈(200)의 합체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인력을 이길 수 있는 외력이 작용될 때,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이 상호 분리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모듈접촉단자조립체 각각의 도체단부(131, 231)는 상호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져서, 결국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의 제1, 제2내부회로(C1, C2)는 상호 회로적으로 합체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폰플러그(111)로부터 음원(30)의 음향 신호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폰플러그(111)에서 연장된 입력회선(118)은 제1선택스위치(120)와 일측 모듈접촉단자조립체의 도체단부(131)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이런 일측 모듈접촉단자조립체의 도체단부(131)는 타측 모듈접촉단자조립체의 도체단부(231)에 접촉하여 제1내부회로(C1)의 음향 신호가 제2내부회로(C2)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쌍을 이루는 상기 도체단부(131, 231)간 접촉에 연동하여 모듈접촉단자조립체에서는 스위칭 작동이 일어난다.
그 결과, 음향 신호는 해당 합체 작동회선(138, 238)을 통해 각각의 앰프부(140, 240)로 입력되고, 각 앰프부(140, 240)에서 음향의 보상 또는 사운드 증폭이 이루어진 후 해당 드라이브유닛(113, 213)을 통해 동시 출력된다.
도 8을 통해서, ID 식별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2링크부(260)의 측면손잡이(261)를 슬라이딩시켜서, 측면손잡이(261)에 연결된 슬라이딩단자(262)가 제1링크부(160)의 소켓구멍(162)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제1, 제2컨트롤러(170, 27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증 신호를 상호 전송하 여, 해당 인증 신호로부터 ID코드의 독취 및 비교 체크함에 따라 커플이거나 또는 커플이 아님을 인식하게 된다.
즉, 제1, 제2컨트롤러(170, 270)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판단 결과, 커플일 경우 전자스위치(171, 271)를 각각 제어하여서 커플임을 표출하는 이벤트, 즉 LED 발광 또는 점멸, LCD 표시, 음향 발생, 진동 발생 중 어느 하나가 이벤트발생부(190, 290)에서 발현 또는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컨트롤러(170, 270)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판단 결과, 커플이 아닐 경우 무반응을 보이거나, 또는 커플이 아님을 표출하는 다른 이벤트 내지 경고 등의 비호감적 동작이 이벤트발생부(190, 290)에서 표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설명에 언급된 이어폰에 관련된 고안일지라도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가, 한 쌍을 이루는 모듈간에서 회로적 및 물리적 합체 및 분리 가능한 커플 이어폰 관련 기술분야에 관한 것일 경우 본 고안에 귀속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목걸이형 커플 이어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으로서 그의 제1, 제2모듈이 합체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모듈이 분리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제2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모듈의 제1내부회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2모듈의 제2내부회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제2모듈 합체시 회로적 및 물리적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제2모듈 합체시 ID 식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제1모듈 110 : 제1케이싱
111, 211 : 폰플러그 113, 213 : 드라이버유닛
120, 220 : 제1, 제2선택스위치 130, 230 : 모듈접촉단자조립체
140, 150 : 앰프부 150, 250 : 임시결속부
160, 260 : 제1, 제2링크부 170, 270 : 제1, 제2컨트롤러
180, 280 : 배터리 190, 290 : 이벤트발생부
200 : 제2모듈 210 : 제2케이싱
C1 : 제1내부회로 C2 : 제2내부회로

Claims (10)

  1. 폰플러그와 드라이버유닛을 모듈별로 각각 구비한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에 있어서,
    일측 폰플러그와 일측 드라이버유닛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모듈간 합체에 따른 전기적 접속용 도체단부를 갖는 모듈접촉단자조립체와 상기 모듈접촉단자조립체에 연동하는 선택스위치에 의해 입력회선을 개별 작동회선 또는 합체 작동회선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시켜서 음향 손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1내부회로가 제1케이싱에 탑재된 제1모듈과;
    상기 제1내부회로와 같은 형식의 구성품을 갖는 제2내부회로가 제2케이싱에 탑재된 제2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은 제1, 제2모듈간 분리 또는 합체를 위하여 삽입용 단턱 돌기와 안착용 단턱 홈으로 이루어진 물리적 탈착부 또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임시결속부를 제1, 제2케이싱의 마주보는 경계면에 형성함으로써 커플 이미지의 완성을 위한 교합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회로와 상기 제2내부회로는,
    폰플러그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된 입력회선;
    상기 입력회선에 병렬로 접속된 모듈접촉단자조립체의 도체단부;
    상기 모듈접촉단자조립체에 연동하여서 개별 작동 또는 합체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회선을 개별 작동회선과 합체 작동회선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 시키는 선택스위치;
    상기 합체 작동회선 상에 설치된 앰프부;
    상기 앰프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자스위치에 결합되어 인증 신호의 식별에 대응하여 커플임을 확인하고 이벤트를 표출하도록 이벤트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게 인증 신호를 상호 전달하기 위해 전기적 통전 또는 단전되는 링크부;
    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LED소자, LCD소자, 스피커, 진동 모터 중 어느 하나의 소자 또는 조합된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그의 소켓구멍의 입구 주위에 구멍을 덮고 있다가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보호 캡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은,
    분리 또는 합체되어 커플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링 형상과 링 내부에 삽입될 형상, 십자가와 십자가 끼움 틀 형상, 열쇠와 열쇠 끼움 틀 형상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끼워 맞춤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면은,
    교합 형상 또는 끼워 맞춤 형상에 대응하게 상호 맞춰지는 요철면, 평면, 곡면, 절곡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은,
    액세서리용 줄, 목걸이용 줄, 밴드, 스트랩, 띠, 끈, 집게형 클립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휴대기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식별을 이용 한 커플 이어폰.
KR2020080007387U 2008-06-03 2008-06-03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KR200442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387U KR200442819Y1 (ko) 2008-06-03 2008-06-03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387U KR200442819Y1 (ko) 2008-06-03 2008-06-03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819Y1 true KR200442819Y1 (ko) 2008-12-12

Family

ID=4164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387U KR200442819Y1 (ko) 2008-06-03 2008-06-03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19B1 (ko) * 2010-06-17 2010-12-15 김재열 커플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19B1 (ko) * 2010-06-17 2010-12-15 김재열 커플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60113B (zh) 用于耳塞的带有插座连接器的耳塞盒
CN102484754B (zh) 用于电子设备的附件控制器
US7565179B2 (en) No-cable stereo handsfree accessory
EP3328230A1 (en) Single piece case with a battery and a hinge
CN1678130A (zh) 头戴式受话器
TW200849303A (en) Wireless headset having adaptive powering
KR20120101487A (ko) 개인용 오디오 장치
KR200442819Y1 (ko) Id 식별을 이용한 커플 이어폰
US7956791B2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improved shielding and grounding performance
KR101429251B1 (ko) 리시버 및 이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CN101273541A (zh) 多扬声器二部分式电子设备
EP2378744A1 (en) Communication item as a pendant on a necklace
JP3238528U (ja) イヤホン用充電ケース
KR20170122498A (ko) 블루투스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CN219611991U (zh) 一种集nfc功能于一体的耳机
EP2856772B1 (en)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sounds
CN209234019U (zh) 一种蓝牙音箱耳机
JP2966581B2 (ja) 電話コンセント
KR101043126B1 (ko) 핸즈프리 장치
CN115967880A (zh) 耳机仓及移动终端
JPH10200616A (ja) 携帯電話器操作装置
US20070230733A1 (en) Immulination device assembly adapted for use with a portable rechargable audio playback device
JP2016051950A (ja) ケーブルユニットおよびヘッドホン
KR20080009529A (ko) 목걸이형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KR20050122916A (ko) 다기능 스테레오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